KR101089596B1 -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장치, 네트워크 개체,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 Google Patents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장치, 네트워크 개체,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9596B1
KR101089596B1 KR1020087019675A KR20087019675A KR101089596B1 KR 101089596 B1 KR101089596 B1 KR 101089596B1 KR 1020087019675 A KR1020087019675 A KR 1020087019675A KR 20087019675 A KR20087019675 A KR 20087019675A KR 101089596 B1 KR101089596 B1 KR 101089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part
resource file
content files
content
fi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9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5290A (ko
Inventor
페트로스 벨림파사키스
카탈린 이오네스쿠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05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7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n interconnection network, e.g. matrix, shuffle, pyramid, star, snowfla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4Presence management, e.g. monitoring or registration for receipt of user log-on information, or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콘텐트 공유를 위한 방법, 장치, 네트워크 개체,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이 제공된다. 특히, 예를 들면, 포토 앨범들, 음악 또는 비디오 파일들, 또는 그와 동종의 것을 포함하는 콘텐트를 공유하기를 바라는 개인이, 그 콘텐트를 공유하고 싶은 개인(들)을 단지 선택만 하면 되고, 그 개인이 조작하고 있는 장치가 그 콘텐트가 공유되어야 할 적절한 장치 뿐만 아니라, 그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토콜들, 접속성 베어러들, 및 그와 동종의 것 모두를 결정하게 되는 기술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장치, 네트워크 개체,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Method, apparatus, network entity,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haring conten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대체적으로, 콘텐트(content)를 공유하는 것에 관한 것이고, 특히, 사용자에게 트랜스패런트(transparent)한 방식으로 콘텐트를 끊김없이(seamlessly) 공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개인 장치들(예를 들면, 셀룰러 전화들(cellular telephones), PDAs(personal digital assistants), 페이저들(pagers), 및 기타 동종의 것)에서 진보된 특성들(features)을 사용함에 따라서, 디지털 콘텐트의 생성 및 소비가 많은 개인들의 일상 생활의 부분이 되었다. 이것은 디지털 사진을 찍는 것, 디지털 음악을 듣는 것, 짧은 비디오들(videos)을 지켜보는 것, 및 그 이상을 포함한다. 자기생성(self-creation) 및 자기소비(self-consumption)는 별 문제로 하고, 콘텐트 공유(content sharing)의 개념이 어느 때보다도 더 우세한 상황이다. 사람들은, 예를 들면, 그들의 가족, 친구들 및 동료들을 포함하는 다른 사람들과 많은 다른 수준들(levels)로 그들의 콘텐트를 공유할 수 있기를 원한다.
그러나, 콘텐트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많은 다른 프로토콜 들(protocols) 또는 서비스들(services)이 있고, 각 프로토콜 또는 서비스는 일정한 상황들에 대해서는 이상적일 수도 있으나, 다른 상황들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하나의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러한 서비스들의 예들은 이메일 - 이것은 대개 개인대개인 통신을 위해 사용되고, 인터넷에 연결된 장치들을 대상으로 하며, 일정 기반구조(infrastructure) (예를 들면, 이메일 서버들 등)를 필요로 한다;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MS) - 이것은 모바일(mobile) 영역에서 사용되고 작은 미디어 파일들을 교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및 UPnP/AV(Universal Plug and Play/Audio Video) - 이것은 장치대장치 통신을 대상으로 하며, 그것이 큰 파일들을 지원하는 한편, 주로 개인 장치들을 목표로 하고, 여기에서 송신 및 수신 장치들은 대체로 동일인에 의해 소유된다 - 를 포함한다.
콘텐트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서비스들 또는 프로토콜들의 다른 예들은 Atom - 주로 웹로그들(weblogs)로 콘텐트를 업로딩(uploading)하기 위해 사용되는 XML-기반 신디케이션 포맷(syndication format); WebDAV(Web Distributed Authoring and Versioning) - 이는 문서들이 HTTP를 거쳐 쓰여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HTTP 프로토콜에 대한 향상방안(enhancement)이고, 주로 기업 영역(enterprise domain)에서 사용되고, 큰 파일들을 지원하며, 다수의 설정들(settings)을 필요로 한다; 피어투피어 네트워크(Peer-to-Peer networks) - 이는 큰 파일들의 공용의(public) 사용자대사용자 교환을 위해 사용된다; 및 블루투스 오브젝트 교환(Bluetooth Object Exchange(OBEX)) - 이는 장치들이 서로의 근접에 있는 경우에서 장치대장치로 콘텐트를 교환하는 것을 대상으로 한다 - 를 포함한다.
다수의 장치들이, 고정식 및 모바일(mobile) 모두, 이들 서비스들 및 프로토콜들의 다수를 지원하기 때문에, 각각의 특별한 경우에 대해 (즉,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송하고 있는 콘텐트가 무엇인지 및/또는, 그 사용자의 장치에 관련되어, 의도된 수신자가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적절한 것을 선택하는 것은 다른 개인들과 자신의 콘텐트를 공유하거나 또는 전송하기를 바라는 그 사용자에 달려 있다.
다수의 이용가능한 서비스들 및 프로토콜들에 더하여, 또한 그 서비스들 및 프로토콜들처럼, 각각이 특정 경우에 대해 최선일 수도 있는, 다수의 접속성 베어러들(connectivity bearers)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접속성 베어러들의 예들은, 모바일 장치들을 위해 사용되는 셀룰러 패킷 무선(Cellular Packet Radio); 전형적으로 인터넷 접속성(Internet connectivity)을 위해 고정식 및 모바일 장치들 양자 모두에서 사용되는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기반구조; 근접 서비스들(proximity services)(예를 들면, 모바일(mobile)-대-모바일 접속성)을 위해 주로 모바일 장치들에서 사용되는 WLAN Ad-hoc; 근접 서비스들을 위해 모바일 장치들에서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WLAN Ad-hoc과 같은, 블루투스; 및 인터넷 접속성을 위해 정적인(static) 장치들에 의해 사용되는 고정 인터넷(fixed Internet)을 포함한다.
게다가, 사용자는, 무엇보다도, 그 사용자가 공유하고 있는 콘텐트 및 상기에서처럼 의도된 수신자에 대하여 그 사용자의 장치가 위치된 곳에 따라 어떤 접속 성 베어러가 사용되어야 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상술할 것이 요구될 수도 있다.
상황을 더욱 더 복잡하게 하면, 많은 개인들이 하나 이상의 장치(예를 들면, 셀룰러 전화, PDA, 페이저, 홈 미디어 센터(home media center) 또는 콘텐트 서버(content server), 개인용 컴퓨터(PC), 랩톱(laptop) 등)를 가지고, 이때 각 장치는 서로 다른 유형들 및 크기들의 콘텐트를 다루기 위해 서로 다른 범위의 (예를 들면, 단거리의(short) 또는 넓은(wide)) 접속성 및 서로 다른 성능들(capabilities)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PC는 이메일, UPnP/AV, 피어투피어, 및 그와 동종의 것을 지원할 수도 있지만, 개인의 셀룰러 전화는 블루투스, MMS 및 이메일을 지원할 수도 있다.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해, 사용자는, 무엇보다도, 어떤 서비스들 또는 프로토콜이 사용될 것인지, 어떤 접속성 베어러가 사용될 것인지, 및 그 콘텐트가 전송될 의도된 수신자와 연관된 장치가 어떤 것인지를 결정할 것이 요구될 수도 있다. 이들 결정들을 하기 위해서, 그 사용자는, 예를 들면, 송신 및 수신 장치들이 같은 프로토콜들을 지원하는지, 수신 장치가 근접해 있는지 및, 그렇지 않다면,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그것에 도달될 수 있는지, 그 수신 장치가 특정 콘텐트 유형 또는 크기의 공유 파일를 다룰 수 있는지(표현할 수 있는지) (즉, 그 수신 장치가 필요한 메모리 공간을 가지고 있는지), 또는 그 송신 및 수신 장치들이 어떻게 설정들(예를 들면, MAC/IP 어드레스들(addresses), 사용자이름들(usernames), 패스워드들(passwords), 보안 키들(security keys), 디렉토리 경로들(directory paths) 등)을 교환할 것인지를 결정할 것이 요구될 수도 있다.
전술한 것에 더하여, 많은 경우들에서 사용자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그 사용자의 홈 PC 또는 서버, 또는 심지어 그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 상에 저장된 콘텐트에 원격으로 액세스(access)하라고 초대할 수 있다. 유익하긴 하지만, 이것 또한 그 초대받은 사람들이 어떻게 또는 어디에서 그 콘텐트에 액세스할지를 어떻게 알지에 관하여 오히려 추가적인 문제점들을 유발할 수도 있고, 만약 그 사용자가 하나의 장치(예를 들면, 그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또 다른 장치(예를 들면, 그 사용자의 미디어 서버)로 그 콘텐트를 이동시킨다면 특히 그러하다.
그러므로, 어떻게 그리고 어디로 콘텐트를 전송할지에 관하여 사용자가 여러가지 결정들을 할 것을 요구하지 않는 다른 사람들과 콘텐트를 공유하는 더 용이한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무엇보다도, 현재의 장치-중심적인(device-centric) 콘텐트 공유에서 더 한층 사람-중심적인(people-centric) 콘텐트 공유 방법으로 다시 초점을 맞춤으로써 알려진 선행 기술에 대하여 개량된 점을 제공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개인으로 하여금 단지 누구에 대해 콘텐트를 공유하고 싶은지만을 선택하게 할 수 있고, 그 개인 자신이 아니라 오히려, 그 개인의 장치가, 어떻게 그리고 어디로 그 콘텐트를 보낼 것인지 및/또는 어디로부터 그리고 어떻게 그 콘텐트에 액세스할 것인지에 관하여 전술한 결정들을 할 것이다. 그 결정들은, 예를 들면, 몇 개를 든다면, 공유되고 있는 콘텐트의 유형 및/또는 크기, 그 의도된 수신자 또는 공유 상대방(sharing party) (즉, 그 사용자가 액세스할 다양한 콘텐트 파일들을 지원제공(offering)하는 상대방(party))과 연관된 다양한 장치들의 성능들 및/또는 그 의도된 수신자의/공유 상대방의 장치들의 근접성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들 결정들을 하기 위해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전자 장치는 그 의도된 수신자의/공유 상대방의 장치들의 각각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그 의도된 수신자 또는 공유 상대방과 연관된 개인 리소스 파일(resource file) 또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에 액세스한다.
하나의 관점에 따르면, 콘텐트를 공유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 방법은 (1) 상대방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장치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상대방과 연관된 리소스 파일(resource file)에 액세스하는 단계, 및 (2) 상기 리소스 파일에 포함된 상기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상대방과 하나 이상의 콘텐트 파일들(content files)을 공유하는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또 하나의 관점에 따르면,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네트워크 개체(network entity)가 제공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 네트워크 개체는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메모리는 각각 하나 이상의 상대방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리소스 파일들을 저장하고, 여기에서 각각의 리소스 파일들은 그 각각의 상대방들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장치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그리고 각각의 리소스 파일들은 상기 각각의 상대방들과 하나 이상의 콘텐트 파일들을 공유하는 방식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어질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더 저장할 수도 있고, 여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실행시에, 상기 리소스 파일들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 하나의 관점에 따르면, 콘텐트를 공유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모바일 장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로서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실행시에, (1) 상대방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장치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상대방과 연관된 리소스 파일에 액세스하고, 그리고 (2) 상기 리소스 파일에 포함된 상기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상대방과 하나 이상의 콘텐트 파일들을 공유하는 방식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또 하나의 관점에 따르면,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이 제공된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 부분들(program code portions)을 저장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 부분들은 (1) 상대방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장치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상대방과 연관된 리소스 파일에 액세스하기 위한 제1 실행가능 부분(executable portion), 및 (2) 상기 리소스 파일에 포함된 상기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상대방과 하나 이상의 콘텐트 파일들을 공유하는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제2 실행가능 부분을 포함한다.
또 하나의 관점에 따르면, 콘텐트 공유를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 시스템은 각각 하나 이상의 상대방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리소스 파일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리소스 파일들 중 적어도 하나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된 장치를 포함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각각의 리소스 파일들은 그 각각의 상대방들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장치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이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되는 리소스 파일에 대응하는 상대방과 하나 이상의 콘텐트 파일들을 공유하는 방식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대체적인 표현들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기술했고, 이제는 수반하는 도면들 - 이는 반드시 일정한 비례로 확대 또는 축소하여 그려진 것은 아니다 - 에 대한 언급이 이루어질 것이며, 여기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해 취해질 수도 있는 단계들을 예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대응 리소스 파일에 정보를 제공하는 개인 장치들을 예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대응 리소스 파일에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개인 장치들을 예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유용하게 활용할 한 유형의 시스템에 관한 블록 다이어그램(block diagram)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호스트(Host) 및/또는 프레즌스 서버(Presence Server)로서 동작할 수 있는 개체(entity)의 도식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고;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동작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도식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이하에서 수반하는 도면들에 관하여 더 충분히 기술될 것이고, 거기에서 본 발명들의 몇 개의, 그러나 모두는 아닌 실시예들이 제시될 것이다. 사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다른 많은 형태들로 구현될 수도 있고 이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오히려, 적용가능한 법적 요건들을 이 개시가 만족시킬 것을 위해 이들 실시예들이 제공된다. 같은 번호들은 전부 같은 요소들을 나타낸다.
개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를 들면, 개인의 개인 장치들(예를 들면, 그 개인의 셀룰러 전화, PDA, 페이저, PC, 랩톱, 홈 미디어 서버 등)의 각각에 관련된 프로토콜들, 성능들, 어드레스들, 베어러들 및 보안 연관들(security associations)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각각의 개인들과 연관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개인 리소스 파일들의 생성을 수반한다. 어느 다른 개인(여기에서는 "송신자"(sender)로서 부른다)이, 디지털 사진들, 음악 파일들 또는 그와 동종의 것과 같은, 콘텐트를, 그 리소스 파일이 연관되어 있는 개인(여기에서는 "의도된 수신자"(intended recipient)로서 부른다)과 공유하기를 바란다면, 그 송신자는 그 송신자의 장치의 연락자(contact) 목록(예를 들면, 그 전자 장치 상에서 동작하는 폰 북 어플리케이션(phone book application) 또는 어드레스)에서 그 의도된 수신자와 연관된 연락자 기재사항(contact entry)만을 단지 선택하기만 하면 되고, 그 장치는 그 의도된 수신자와 연관된 리소스 파일에 액세스할 것이고, 예를 들면, 공유될 콘텐트의 유형 및 크기, 그 의도된 수신자의 장치의 근접성 및 유용성(availability), 및 그와 동종의 것에 기초하여, 그 의도된 수신자의 장치들 중 어떤 것에게 그 콘텐트를 보낼 것인지 뿐만 아니라, 어떤 서비스 또는 프로토콜 및 접속성 베어러를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할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콘텐트를 지원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 문서에서 쓰이는 "지원제공"(offering)은 개인(여기에서 "공유 상대방"(sharing party)으로서 부른다)이 다른 개인들("방문자들"로서 부른다)에게, 그 공유 상대방과 연관된 다양한 장치들 상에 저장된, 포토 앨범들(photo albums) 또는 그와 동종의 것과 같은, 콘텐트에 액세스하도록 초대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 공유 상대방과 연관된 개인 리소스 파일은 각각의 앨범들이 저장되어 있는 장치들에 대한 링크를 따라 그 공유 상대방이 지원제공하고자 하는 앨범들의 목록 및 그들 장치들에 관한 지원 프로토콜들, 환경설정들(configurations), 및 그와 동종의 것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방문자가 그 공유 상대방에 의해 액세스가능하게 되어 있는 콘텐트에 액세스하고자 할 때, 그 방문자의 장치는 그 공유 상대방과 연관된 리소스 파일을 검색하고 어떻게 최선으로 그 콘텐트에 대한 액세스권을 획득할 것인지 를 결정하기 위해 그것을 사용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기술되는 바와 같이, 그 개인 리소스 파일들은 WAN(Wide Area Network)(예를 들면, 인터넷)을 거쳐 공용으로(publicly) 액세스가능한 서버 상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 송신자 또는 방문자 장치들은 해당 리소스 파일에 액세스하기 위해 그 의도된 수신자 또는 공유 상대방에 의해 제공되는 어드레스(예를 들면, URL 어드레스)에 대해 브라우징할(browsing)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그 리소스 파일들은 프레즌스 서버에 의해 유지될 수도 있고, 여기에서 그 리소스 파일들에 포함된 정보는 모바일 장치 조작자에 의해 제공되는 프레즌스 서비스(Presence Service)의 부분으로서 모바일 장치들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 리소스 파일들은 그 송신자/방문자 장치들 자체 상에 직접 저장될 수도 있다. 이 후자의 구현에서, 그 장치는, 예를 들면, 중앙 서버 상에 또는 피어투피어 장치를 이용하여 저장된 리소스 파일들과 그 장치 상에 저장된 리소스 파일들을 주기적으로 동기화할 수도 있다.
끊김없이 콘텐트를 공유하는 방법
이제 도 1에 관한 설명하는데, 도 1은 다른 사람들과 콘텐트를 공유하기를 및/또는 다른 사람들에게 콘텐트를 지원제공하기를 추구하는 개인들에게 놓여진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취해질 수도 있는 단계들을 예시한다.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계(101)에서 절차가 개시되고, 여기에서 개인 리소스 파일 또는 데이터베이스가 특정한 개인 또는 상대방에 관하여 생성된다.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그 리소스 파일은, 그 개인에 의해 동작되는 또는 그렇지 않으면 그 개인과 연관된 각각의 장치들의 성능들 및/또는 그 각각의 장치들에 관련된 보안 연관들(security associations)에 의해 지원되는 프로토콜들 및 접속성 베어러들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특히, 자신에 관한 정보가 그 개인 리소스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각 장치는 하나 이상의 콘텐트 전송 프로토콜들(예를 들면, UPnP, WebDAV, Atom 등)을 거쳐 콘텐트 공유를 지원한다. 그 장치는 하나 이상의 접속성 인터페이스들(connectivity interfaces)(예를 들면, WLAN, 블루투스,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등)을 더 가지고, 그 장치 서비스들은 하나 이상의 인터넷/근접 어드레스들(Internet/proximity addresses)(예를 들면, URL들, MAC 어드레스들 등)을 사용하여 불러낼 수 있다. 그 개인 리소스 파일은 전술한 것 모두는 아니더라도 몇몇 부분에서 기술된 것을 포함한다.
다음은 셀룰러 전화, PC, 미디어 서버 및 웹로그 - 이들 모두는 콘텐트 공유를 지원한다 - 를 가진 개인의 개인 리소스 파일에 포함될 수도 있는 정보의 예를 제공한다.
Figure 112008057449652-pct00001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과 기술을 가진 자들에 의해 인식될 바와 같이, 예를 들면 XML(Extended Markup Language),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또는 그와 동종의 것을 포함하여 어떤 포맷(format)이라도 그 리소스 파일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 리소스 파일이 생성되었으면, 그 장치들 자체가 거기에 저장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담당한다. 예시한다면, 도 2는 개인의 셀룰러 전화(10), PC(50), 및 호스트 서버(22)와 통신하는 미디어 서버(60)를 묘사하고 있고, 그 각각의 장치들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호스트 서버(22)상에 그 개인의 해당 리소스 파일(70)이 저장되어 있다.
전술한 것에 더하여, 단계(101)는 그 개인과 연관된 각각의 장치들 상에 저장되어 있고 어떤 다른 개인들에 의해 액세스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콘텐트 파일들(즉, 방문자들에게 지원제공되어지는 콘텐트 파일들)에 관한 그 개인 리소스 파일 내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 리소스 파일은 어떻게 최선으로 그들 콘텐트 파일들에 액세스하는지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그들이 위치할 수 있는 어드레스, 방법, 프로토콜 및/또는 그렇게 할 때 사용될 환경설정 등)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개인들은, 공용으로 이용가능한 웹 사이트들에 포토 앨범들, 음악 파일들, 및 그와 동종의 것과 같은, 콘텐트 파일들을 업로딩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대신, 단지 어떻게 그들 장치들 상에 직접 그 콘텐트를 액세스할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한다면, 다음은 지원제공되어지고 있는 두 개의 포토 앨범들(BestOfShopping 및 Summer2005)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바람직한 리소스 파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8057449652-pct00002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그 이용가능한 콘텐트 파일들 및 그들의 위치를 상술함에 더하여, 그 리소스 파일들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기술될, 어느 제3의 상대방들(즉 방문자들)이 그 저장된 콘텐트 파일들에 대한 액세스 권리를 가지는지를 상술할 수도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특정한 장치와 연관된 정보가 변화하는 경우에 (예를 들면, 개인의 셀룰러 전화의 성능들이 그 개인에 의해 구입된 부가적 서비스들 때문에 향상된 경우에), 그 장치는 자동적으로 그 리소스 파일을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특히, 그 장치는 (단계(104)에 관하여 아래에 기술된 방식으로) 그 리소 스 파일에 액세스할 수도 있고, 포함된 정보를 변경할 수도 있어서, 그 리소스 파일은 그 개인의 장치들의 각각에 관한 최신 정보를 유지할 것이다. 특정의 콘텐트 파일이 하나의 장치에서부터 다른 장치로 이동될 때, 또는 그 콘텐트 파일이 업데이트되었을 때 (예를 들면, 새로운 사진들이 그 앨범에 추가되었을 때) 각각의 장치들은 그 리소스 파일을 더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예시한다면, 도 3은 개인이 포토 앨범 BestOfShopping(80)에 대한 콘텐트 파일을 자신의 셀룰러 전화(10)로부터 자신의 미디어 서버(60)로 이동시켜 놓은 상황을 나타낸다.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 셀룰러 전화(10)는 그 전화(72)로부터 제거된 포토 앨범에 대한 레퍼런스(reference)를 그 리소스 파일(70)에서의 그것의 단락으로부터 삭제하거나 또는 제거함으로써 그 개인의 리소스 파일(70)을 업데이트할 것이다. 부가적으로, 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미디어 서버(60)는 그 제거된 참조(72)를 그 리소스 파일(70)에서의 그것의 단락에 부가함으로써 그 리소스 파일(70)을 업데이트할 것이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방문자들은, 언제 그리고 어디로, 그들에게 액세스가 승인된 콘텐트 파일들이 제거되었는지에 대해 개별적으로 알 필요가 없다.
도 1로 되돌아가서, 단계(102)에서, 개인(예를 들면, 송신자)이 의도된 수신자에게 파일(들)을 전송하기 위해, 예를 들면, 개인의 장치 상에 저장된, 그 파일(들)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콘텐트 파일들을 선택하는 경우로 절차가 계속된다. 상기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그 콘텐트 파일들은, 예를 들면, 디지털 사진들, 음악 파일들, 비디오 클립들(video clips), 및 그와 동종의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관 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과 기술을 가진 자들에 의해 인식될 바와 같이, 그 개인이 공유 상대방과 연관된 장치 상에 저장된 콘텐트를 (전송하기보다는 오히려) 액세스하기를 바라는 경우에서, 단계(102)는 건너뛰어질 수도 있고 그 절차는 단계(103)로 직접 계속된다.
그 콘텐트 파일(들)이 선택되었으면 (또는 리소스 파일과 연관된 개인이 공유를 위해 콘텐트를 지원제공한 경우에서, 그 리소스 파일이 생성되었다면), 그때 그 송신자/방문자는 자신의 어드레스 또는 폰 북 중에서 그 선택된 콘텐트 파일(들)을 전송받을 또는 그 송신자/방문자가 액세스하고 싶은 콘텐트가 속한 연락자(contact)를 선택할 수도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것은 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display screen)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그 연락자의 이름,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어드레스를 특별히 밝게 하는 것(highlighting) 그리고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예를 들면, 그 전자 장치가 음성 명령들에 응답하는 경우에서, 단계(103)는 그 연락자의 이름 또는 그것과 연관된 어떤 다른 단어 또는 구(phrase)(예를 들면, "엄마", "비서" 등)를 말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시점에서, 그 송신자가 조작하고 있는 장치는 그 선택된 연락자와 연관된 리소스 파일에 액세스할 것이다(단계(104)).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개인들과 연관된 개인 리소스 파일들 또는 데이터베이스들은, 예를 들면, WAN(예를 들면, 인터넷)을 거쳐 공용으로 액세스가능한 서버 상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개인의 콘텐트 목록의 각각의 연락자 기재사항들은 해당 개인 리소스 파일의 어드레스(예를 들면, URL 어드레스) (예를 들면, http://www.isp.com/my_resource.xml)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 송신자가 그 연락자 기재사항을 선택할 때, 그 장치는 그 리소스 파일에 액세스하기 위해 그 연락자 기재사항에 포함된 어드레스에 대해 브라우징할 수도 있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자신들에 대한 정보가 각각의 개인 리소스 파일들에 포함된 개인 장치들이,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그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하기 위해, 그 장치들은 단순히 그 어드레스에 대해 브라우징하고 그 위치에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할 것이다.
또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셀룰러 네트워크 운영자의 프레즌스 서버는 다양한 개인 리소스 파일들에 대한 액세스권을 저장하고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과 기술을 가진 자들에 의해 인식될 바와 같이, 프레즌스는 다양한 짝들의 서비스들 및 장치들을 거쳐서 사용자의 장치(들)의 위치 및 유용성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그 사용자의 능력(ability) 및 의향(willingness)을 말한다. 프레즌스 정보는 대체로 그 장치의 전화번호에 링크되고, (예를 들면, 그 사용자에 관련된 연락자 기재사항의 형태로) 해당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다른 장치들에게, 프레즌스 문서(Presence Document)의 형태로, 공포된다(published). 개인이 자신의 연락자 목록에 액세스할 때, 그 개인은 해당 연락자가 응할 수 있는지 또는 예를 들면 회의 중인지를 알기 위해 그 프레즌스 문서를 볼 수 있다. 많은 셀룰러 운영자들의 소비자들에게 인스턴트 메시징(Instant Messaging;IMing), 푸쉬투토크(push-to-talk), 및 그와 동종의 것과 같은 서비스들 을 제공하기 위하여 그 많은 셀룰러 운영자들에 의해 프레즌스 인에이블러들(Presence enablers)이 현재 설치된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셀룰러 네트워크 운영자들에 의해 지원제공되는 현존하는 프레즌스 서비스(Presence Service)는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특히, 특정한 개인 또는 장치에 관련된 프레즌스 정보를 공포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레즌스 문서들은 그 개인과 연관된 개인 리소스 파일을 포함할 수도 있다. 환언하면, 프레즌스 정보를 공시하기 위해 그 프레즌스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에 더하여, 또한 개인은, 제3의 상대방들에게 지원제공되어지고 있는 다양한 콘텐트 파일들에 관한 정보 뿐만 아니라, 그 개인의 장치들에 관련된 프로토콜, 베어러, 성능 및 보안 정보를 공시하기 위해 그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의 정보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레즌스 문서에 포함될 수도 있다: 공유 서비스 유용성(Sharing Service availability) - 이는 이 서비스를 사용하여 통신하려는 사용자의 의향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open"은 그 사용자가 연락받으려 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고, 반면 "closed"는 그 사용자가 그 공유 서비스를 사용하여 통신하지 않으려 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공유 서비스 식별자(Sharing Service Identifier) - 이는 이 정보 집합에 의해 기술되는 서비스의 유형을 나타내기 위해 공포된다; 그 공유 서비스가 실행되고 있는 장치들의 목록(예를 들면, 그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 장치들의 목록)으로서, 콘텐트를 그 콘텐트 유형, 그 공유 서비스를 실행하는 장치들의 장치 성능들 및 우선권들(priorities)에 따라 전달할 수도 있는 그 장치들의 목록; 및 그 개인 장치 들에 관련된 상기에서 논의된 정보(예를 들면, 프로토콜들, 베어러들, 성능들 등).
다음의 프레즌스 문서는 4개의 장치들, 즉 모바일 전화, 홈 서버, 공용 미디어 서버(public media server), 및 웹로그 서버(weblog server) 상에서 실행되는 공유 서비스의 예를 예시한다. 이 예에서의 모바일 전화는 블루투스, MMS 및 WLAN을 통해 콘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콘텐트는 UPnP 기술을 거쳐 그 홈 서버로 보내질 수도 있다. 그 미디어 서버는 UPnP 및 WebDAV 인터페이스를 드러낼 수도 있고, 그 웹로그 서버는 HTTP를 통해 액세스될 수도 있다.
Figure 112008057449652-pct00003
Figure 112008057449652-pct00004
전자(즉, 인터넷을 거쳐 공용으로 이용가능한 서버 상에 리소스 파일들을 저장하는 것)에 대한 이 실시예의 하나의 이점은 그 연락자 기재사항이 그 리소스 파일과 연관된 어드레스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즉, 그 연락자 기재사항 또는 그 장치와 연관된 개인이 그 어드레스를 수동으로 입력할 필요가 없다). 대조적으로, 그 리소스 파일은 그 교신자 기재사항 내 전화번호에 직접 링크될 것이다. 사용자가 그 연락자를 선택할 때, 그 네트워크 운영자는 그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그 프레즌스 정보, 즉 그 프레즌스 서버 상에 저장된 (그 리소스 파일을 포함하는), 프레즌스 문서를, 찾아낼 것이고 그리고 나서 그 사용자의 장치에 그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 관한 하나의 불리한 면은, 프레즌스 서비스는 셀룰러 네트워크 운영자들에 의해 지원제공되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그것은 모바일 또는 셀룰러 영역 내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한정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대안적인 실시예는 이전의 두 실시예들의 혼성물(hybrid)을 제공한다. 특히,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그 개인 리소스 파일 또는 데이터베이스는 공용으로 이용가능한 서버 상에 유지될 수도 있고(이는 상기에서 기술된 제1 실시예에서의 경우였다), 그 리소스 파일 그 자체보다는 그 리소스 파일에 대한 링크가 그 프레즌스 서비스를 사용하여 공포될 수도 있다. 환언하면, 그 프레즌스 문서 - 이는 그 개인의 전화번호에 대해 링크된다 - 는 그 리소스 파일 그 자체보다는 오히려, 그 리소스 파일과 연관된 어드레스를 포함할 것이다. 전자 장치들은 특정 연락자 기재사항에 포함된 어드레스에 대해 브라우징하는 것(즉, 그 장치가 셀룰러 네트워크 운영자와 연관되지 않는 경우), 또는 그 특정 연락자의 전화번호와 연관된 프레즌스 문서에 액세스하고, 그 어드레스를 검색하고, 그리고 나서 그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그 리소스 파일에 액세스하는 것(즉, 그 장치가 셀룰러 네트워크 운영자와 연관된 경우)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그 리소스 파일에 액세스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은 어떻게 공유 서비스가 프레즌스 문서 내에 리소스 파일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링크를 공포할 수도 있는지를 예시한다.
Figure 112008057449652-pct00005
추가적인 또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 리소스 파일들은 그 전자적 장치 그 자체 상에 직접 저장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 관한 불이익한 면들은, 그 다양한 리소스 파일들이 그 장치 메모리의 상당한 양을 차지할 수도 있고, 그리고 다양한 장치들 - 그 장치들에 관한 정보가 그 리소스 파일들에서 제공된다 - 이 그들의 성능들, 지원되는 프로토콜들 및/또는 베어러들, 또는 그와 동종의 것에 대한 변화들이 있는 경우에 그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이 어려울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 장치가 자신에 저장된 리소스 파일들을, 예를 들면, 중앙 서버 상에 저장된 것들과 주기적으로 동기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즉, 그 장치 상에서 직접보다는 오히려 그 서버 상에 저장되면서 그 파일들에 대해 다양한 업데이트들이 수행되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또는 피어투피어 장치와 주기적으로 동기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후자의 불이익한 면이 줄어들 수도 있다.
그 리소스 파일이 위치한 곳 또는 그것이 액세스되는 방법과 상관없이, 단계(105)에서, 그 송신자/방문자 장치가 선택된 연락자 또는 상대방과 콘텐트를 공유하는 방식을 결정하는 것으로 절차가 계속된다. 그 결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그 상대방이 그 콘텐트 파일을 전송하기보다는 오히려 액세스하기를 추구하는 경우) 단계(102)에서 선택된 아니면 그 액세스되는 리소스 파일에서 기술된 콘텐트 파일(들)의 유형 및/또는 크기 뿐만 아니라, 그 리소스 파일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할 수도 있다. 그 선택된 콘텐트를 공유하는 방식을 결정하는 것은, 예를 들면, 그 의도된 수신자의 장치들 중 어떤 장치가 그 선택된 콘텐트를 전송받을지 뿐만 아니라, 어떤 프로토콜 및/또는 접속성 베어러가 사용될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 목적이 그 연락자에 의해 지원제공되어지고 있는 하나 이상의 콘텐트 파일들에 액세스하는 것인 경우에, 단계(105)는 어떤 장치 상에서 그 콘텐트가 이용가능한지, 그리고 그 콘텐트 파일(들)에 액세스하기 위해 어떤 프로토콜, 접속성 베어러 및/또는 어드레스를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 방식이 선택되었으면, 단계(106)에서, 그 장치는 단계(105)에서 결정된 방식으로 그 선택된 연락자와 그 콘텐트를 공유한다. 이것은, 예를 들면, 그 연락자와 연관된 장치들 중 하나로 그 선택된 콘텐트를 전송하는 것, 또는 그 연락자의 장치(들) 상의 이용가능한 하나 이상의 콘텐트 파일들에 액세스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시하자면, 송신자가 상기 기술된 것과 유사한 리소스 파일을 가지는 의도된 수신자에 대응하는 연락자 기재사항을 선택하는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 장치가 그 리소스 파일을 검색하였다면, 그 장치는 먼저 그 의도된 수신자가 근접에 있는지 여부를 알기 위해 조사할 것이다. 환언하면, 그것은 블루투스 또는 WLAN Ad-hoc이 그 의도된 수신자에게 그 선택된 콘텐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는지 여부를 알기 위해 조사할 것이다. 그 의도된 수신자가 근접에 있는 경우에는, 그 장치는 그 리소스 파일에서 제공된 블루투스 어드레스(11:22:33:44:55:66) 또는 WLAN 어드레스(77:88:99:00:11:22) 중 어느 하나로 커넥션(connection)을 설립하고, 그리고 나서 정의된 더 높은 전송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그 콘텐트를 송신한다. 만일 그 의도된 수신자가 근접에 있지 않다면, 그 장치는 그 리소스 파일에 기술된 다른 공유 방법을 사용하려고 시도할 것이다. 예를 들면, 그 장치는 그 의도된 수신자의 홈 컴퓨터에 대해 원격 액세스(remote access)를 거쳐 접속할 수도 있다.(예를 들면, http://mypc.isp.com:5678/UPnP에 있는 UPnP 서버에 액세스함으로써 접속).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만일, 그 송신자/방문자가 그 콘텐트 파일들을 전송하는/액세스하는 과정에 있는 동안, 그 의도된 수신자/공유 상대방 및/또는 그의 장치(들)에 대해 변화가 일어난다면, 그 송신자/방문자가 조작하고 있는 장치는 이 변화를 인식할 것이고 이에 따라서 다음의 단계를 속행할 것이다. 예를 들면, 그 공유 상대방이 원래 그 방문자의 근접에 있었지만, - 이는 그 방문자로 하여금, 예를 들면, 그 공유 콘텐트 파일들을 액세스하기 위해 블루투 스 또는 WLAN Ad-hoc을 이용하게 하는 것을 유발한다 - 그후에, 그 방문자가 여전히 그 공유 콘텐트 파일에 액세스하고 있는 동안 그 공유 상대방이 근접 영역 밖으로 이동하는 시나리오를 고려해 본다. 이 경우에, 그 블루투스 또는 WLAN Ad-hoc 커넥션이 상실되었음을, 그렇지만 그 리소스 파일이 그 콘텐트가 또한, 예를 들면 HTTP를 거쳐, 원격으로 액세스가능한 것임을 나타내고 있음을 그 방문자 장치는 알 것이고, 원격 액세스를 거쳐 커넥션을 설립할 것이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 전체 절차는 그 방문자에게 트랜스패런트(transparent)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들에 따르면, 공유 상대방은, 자신의 리소스 파일 내에서, 특정 콘텐트 파일들에 대한 액세스권을 가지는 특정 상대방들을 상술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콘텐트 파일에 대한 액세스권이 없는 상대방이 그 공유 상대방의 리소스 파일을 검색하는 경우, 그 특정 콘텐트 파일에 대한 레퍼런스(예를 들면, 그것이 위치한 곳 및 그것이 액세스될 수 있는 방법)가 그 검색된 리소스 파일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 리소스 파일을 호스팅(hosting)하는 서버(예를 들면, 공용으로 액세스가능한 서버, 또는 프레즌스 서버)가 그 리소스 파일을 요구하는 상대방들에게 그것을 제공하기에 앞서 그 리소스 파일을 필터링(filtering)하는 것을 담당할 수도 있다. 게다가, 상대방들은, 그 요구된 리소스 파일을 수신하기에 앞서, 예를 들면, 사용자이름 및 패스워드를 사용하여 그들 자신을 인증할 것을 요구받을 수도 있다.
더 나아가 공용으로 이용가능한 서버 상에 저장된 리소스 파일들은 암호화 될 수도 있어서, 단지 그 정확한 복호화 키들을 가진 상대방들만이 그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을 것이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 공유 상대방은, 예를 들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또는 MMS 메시지, 또는 이메일을 사용하여 자신의 친구들 및 가족들에게 그 키들을 배포할 수도 있다.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과 기술을 가진 자들에 의해 인식될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개인 리소스 파일들에 포함된 데이터에 액세스할 권한을 부여받지 않은 상대방들은 그렇게 액세스할 수 없도록 그 개인 리소스 파일들에 포함된 데이터를 보안유지하기 위해 어떤 수만큼의 방법들 또는 수단들이라도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무엇보다도, 다른 개인들과 콘텐트를 공유하기를 추구하는 개인들에게 놓여진 부담을 크게 감소시킴으로써, 선행 기술에 비해 몇가지 이점들을 제공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콘텐트 공유는 함께 그 콘텐트를 공유할 사람을 간단하게 선택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모든 기술적 문제들(예를 들면, 장치/서비스 발견, 커넥션 설립, 데이터 전송, 사용될 프로토콜들 등)이 사용자의 직접적인 개입 없이 시스템에 의해 다루어진다. 유사하게, 방문자들이 그들이 위치한 곳 또는 그들이 액세스되고 있는 방법을 알지 않고도, 포토 앨범들, 및 그와 동종의 것을 액세스할 수 있도록 콘텐트의 지원제공은 트랜스패런트하게(transparently) 이루어진다. 커넥션이 상실될지라도, 또 다른 커넥션이 끊김없이 생성될 수도 있다. 콘텐트 파일들이 이동된 경우일지라도, 방문자가 그 이동을 인식하고 있지도 않으면서도, 그들은 용이하게 액세스될 수 있다.
총체적 시스템 및 모바일 장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유용하게 활용할 하나의 유형의 시스템의 예시가 제공된다. 도 4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그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이동국들(mobile stations, 10)을 포함할 수 있고, 그 이동국들(10) 각각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base stations; BS's, 14)에게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그리고 그 기지국들(14)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12)를 구비한다.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모바일 교환국들(mobile switching centers; MSC, 16)과 같은, 해당 네트워크를 동작시킬 것이 요구되는 요소들을 각각이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셀룰러 또는 모바일 네트워크들의 일부이다. 관련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들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그 모바일 네트워크는 또한 기지국/MSC/상호작용 기능체(Base Station/MSC/Interworking function;BMI)로서 불려질 수도 있다. 동작에 있어서, 이동국들이 전화 호출들(calls), 데이터, 또는 그와 동종의 것을 만들어내고 있고 받고 있을 때, 그 MSC는 그 이동국들에게 그리고 그 이동국들로부터 전화 호출들, 데이터, 또는 그와 동종의 것을 라우팅(routing)할 수 있다. 또한 그 MSC는, 이동국들이 전화 호출에 관계되어 있을 때, 지상통신선 전화중계회선들(landline trunks)에 대한 커넥션을 제공할 수 있다.
그 MSC(16)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및/또는 WAN(wide area network)와 같은, 데이터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그 MSC는 그 데이터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그 MSC는 패킷 제어 기능부(Packet Control Function;PCF, 18)에 연결되 고, 그 PCF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acket Data Serving Node; 19)에 연결되고, 이는 차례로 인터넷(Internet, 20)과 같은 WAN에 연결된다. 차례로, 프로세싱 요소들(예를 들면, 개인용 컴퓨터들, 서버 컴퓨터들 또는 그와 동종의 것)과 같은 장치들이 인터넷을 거쳐 그 이동국(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 프로세싱 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개인 리소스 파일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그 리소스 파일들이 상기에서 기술된 도 1의 단계(104)에 따라 액세스될 수도 있는 호스트 서버(22) 및/또는 프레즌스 서버(2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인식될 바와 같이, 그 프로세싱 요소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동작할 수 있는 다수의 프로세싱 장치들, 시스템들 또는 그와 동종의 것 중 어느 것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 BS(14)는 시그널링(signaling)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지원 노드(SGSN, 30)에 연결될 수 있다. 관련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들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전형적으로 그 SGSN은 패킷 교환 서비스들(packet switched services)을 위해 그 MSC(16)와 유사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그 MSC과 같이, 그 SGSN은 인터넷(20)과 같은 데이터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그 SGSN은 그 데이터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더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그 SGSN은 GPRS 코어 네트워크(GPRS core network, 32)와 같은 패킷교환방식(packet-switched)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그때 그 패킷교환방식 코어 네트워크는 GTW GPRS 지원 노드(GGSN, 34)와 같은 또 하나의 GTW에 연결되고, 그 GGSN은 인터넷에 연결된다.
모든 가능한 네트워크의 모든 요소가 이 문서에서 보여지고 기술된 것은 아 니긴 하지만, 그 이동국(10)은 다수의 다른 네트워크들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들에 연결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이 점에 있어서, 모바일 네트워크(들)는 다수의 제1세대(1G), 제2세대(2G), 2.5G 및/또는 제3세대(3G) 이동 통신 프로토콜들 또는 그와 동종의 것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들에 따라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더욱 특히, 하나 이상의 이동국들은 2G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 IS-136(TDMA), GSM, 및 IS-95(CDMA)에 따라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들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그 네트워크(들) 중 하나 이상은 2.5G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 GPRS,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또는 그와 동종의 것에 따라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게다가, 예를 들면, 그 네트워크(들) 중 하나 이상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무선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는 UTMS(Universal Mobile Telephone System) 네트워크와 같은 3G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에 따라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TACS 뿐만 아니라, 어떤 협대역(narrow-band) AMPS(NAMPS), 네트워크(들)도, 이중(dual) 또는 더 높은 모드의 이동국들(예를 들면 디지털/아날로그 또는 TDMA/CDMA/아날로그 전화들)이 그럴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도 있다.
(비록 도 4에서 그렇게 제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요소들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이동국들(10)은 더 나아가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access points;APs, 36)에 연결될 수 있다. 그 APs는, 예를 들면, 무선 주파수(RF), 블루투스(BT), 적외선(IrDA) 또는 WLAN 기술들을 포함한 다수의 다른 무선 네트워킹 기술들 중 어느 것과 같은 기술들에 따라 이동국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APs는 인터넷(20)에 연결될 수도 있다. 그 MSC(16)에 대해서처럼, 그 APs는 인터넷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실시예에서, 그 APs는 GTW(28)를 거쳐 인터넷에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인식될 바와 같이, 이동국들 및 프로세싱 요소들(예를 들면, 호스트 서버(22) 및/또는 프레즌스 서버(24)) 및/또는 다수의 다른 장치들 중 어떤 것을, 그 APs를 거치든지 또는 그 모바일 네트워크(들)를 거치든지, 인터넷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함에 의해, 그 이동국들 및 프로세싱 요소들은 서로와 통신하여서, 그에 의해, 데이터, 콘텐트 또는 그와 동종의 것을 전송하는 및/또는 수신하는 것과 같은, 각각의 개체들의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문서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데이터", "콘텐트", "정보", 및 유사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전송, 수신, 및/또는 저장되어질 수 있는 데이터를 가리키기 위해 서로 바꾸어서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용어들 중 어느 것에 관한 사용도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비록 도 4에서 보여지지는 않았지만, 인터넷(20)을 지나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요소들(예를 들면, 호스트 서버(22) 및/또는 프레즌스 서버(24))에 이동국들(10)을 연결시키는 것에 더하여 또는 그러한 연결시키는 것 대신에, 하나 이상의 이러한 개체들이 서로에게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그러한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개체들은, 예를 들면, RF, BT, IrDA 또는 LAN 및/또는 WLAN 기술들을 포함한 다수의 다른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기술들 중 어느 것에 따라 서로와 통신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그 이동국(10) 및 그 프로세싱 요소들은 프린터들, 디지털 프로젝터들(digital projectors) 및/또는 다른 멀티미디어 캡쳐(capturing), 생산(producing) 및/또는 저장(storing) 장치들(예를 들면, 다른 단말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들에 연결될 수 있다.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호스트 서버(22) 및/또는 프레즌스 서버(24)로서 동작할 수 있는 개체의 블록 다이어그램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제시된다. 호스트 서버(22) 및/또는 프레즌스 서버(24)로서 동작할 수 있는 개체는, 이 문서에서 더욱 특히 보여지고 기술된 것들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다양한 수단을 포함한다. 그러나,그 개체들의 하나 이상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하나 이상의 유사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대안적인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보여지는 것처럼, 호스트 서버(22) 및/또는 프레즌스 서버(24)로서 동작할 수 있는 개체는, 그 개체의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거나 또는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220)에 연결된 프로세서(210)와 같은, 수단을 일반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그 메모리는 휘발성(volatile) 및/또는 비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전형적으로 콘텐트, 데이터, 또는 그와 동종의 것을 저장한다. 예를 들면, 그 메모리는 전형적으로 그 개체로부터 전송된, 및/또는 그 개체에 의해 수신된, 콘텐트를 저장한다. 또한 예를 들면, 그 메모리는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그 개체의 동작과 연관된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그 프로세서를 위한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들(software applications), 명령들(instructions) 또는 그와 동종의 것을 저장한다.
그 메모리(220)에 더하여, 그 프로세서(210)도 데이터, 콘텐트 또는 그와 동종의 것을 디스플레이하는, 전송하는 및/또는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interface) 또는 다른 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 그 인터페이스(들)는, 디스플레이(240) 및/또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50)를 포함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230) 또는 데이터, 콘텐트 또는 그와 동종의 것을 전송하는 및/또는 수신하는 다른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차례로, 그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는, 키패드(keypad), 터치 디스플레이(touch display), 조이스틱(joystick) 또는 다른 입력 장치와 같이, 그 개체가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허용하는 다수의 장치들 중 어느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6에 대한 언급을 하는데, 여기에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유용하게 활용할 하나의 유형의 전자 장치를 예시한다. 보여지는 것처럼, 그 전자 장치는 이동국(10), 그리고, 특히, 셀룰러 전화일 수도 있다. 그러나 예시되고 이하에서 기술된 이동국은 단지 본 발명을 유용하게 활용할 하나의 유형의 전자 장치를 예시할 뿐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고, 그러므로 그것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 이동국(10)의 몇몇 실시예들이 예시되어 있고 예를 위해 이하에서 기술될 것이지만, 모바일의 무선 장치들 및 고정식의 유선 장치들 양자 모두를 포함하는 다른 유형의 전자 시스템들 뿐만 아니라, PDAs(personal digital assistants), 페이저들, 랩톱 컴퓨터들과 같은 다른 유형의 이동국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다.
이동국은, 이 문서에서 더욱 특히 보여지고 기술된 것들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다양한 수단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그 개체들의 하나 이상이 하나 이상의 유사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대안적인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더욱 특별하게, 예를 들면, 도 6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302)에 더하여 그 이동국(10)은 송신기(304), 수신기(306), 및 각각 그 송신기(304) 및 수신기(306)에게 신호들을 제공하고 그 송신기(304) 및 수신기(306)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는, 프로세싱 장치(308) - 예를 들면 프로세서, 콘트롤러 또는 그와 동종의 것 -와 같은 수단을 포함한다. 이들 신호들은 적용가능한 셀룰러 시스템의 공중 인터페이스(air interface) 표준에 따른 시그널링 정보(signaling information) 및 또한 사용자 음성 및/또는 사용자 생성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 점에 있어서, 그 이동국은 하나 이상의 공중 인터페이스 표준들, 통신 프로토콜들, 변조 유형들, 및 액세스 유형들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더욱 특히, 그 이동국은 다수의 제2세대(2G), 2.5G 및/또는 제3세대(3G) 통신 프로토콜들 또는 그와 동종의 것 중 어느 것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예를 들면, 그 이동국은, 블루투스, IEEE 802.11 WLAN (또는 Wi-Fi®), IEEE 802.16 WiMAX, 초광대역(UWB), 및 그와 동종의 것을 포함하는, 다수의 다른 무선 네트워킹 기술들 중 어느 것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 제어기 또는 다른 계산 장치(computing device)와 같은, 프로세싱 장치(308)는 그 이동국의 비디오, 오디오, 및 로직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요구되 는 회로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논의되는 기능성(functionality)을 구현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예를 들면, 그 프로세싱 장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장치, 및 다양한 아날로그에서-디지털로의 변환기들, 디지털에서-아날로그로의 변환기들, 및 다른 지원 회로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 이동 장치의 제어 및 신호 프로세싱 기능부들은 그들 각각의 성능들에 따라 이들 장치들 사이에 할당된다. 따라서 그 프로세싱 장치(308)도 변조 및 전송에 앞서 메시지 및 데이터를 콘볼루션(convolution)적으로 부호화하고 인터리빙(interleaving)하는 기능성을 포함한다. 그 프로세싱 장치는 부가적으로 내부의 음성 부호화기(voice coder;VC, 308A)를 포함할 수 있고, 내부의 데이터 모뎀(data modem;DM, 308B)을 포함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그 프로세싱 장치(308)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들을 동작시키는 기능성을 포함할 수도 있고, 그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들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그 제어기는 기존의 웹 브라우저(Web browser)와 같은, 접속성 프로그램(connectivity program)을 동작시킬 수도 있다. 그때 그 접속성 프로그램은, 그 이동국이, 예를 들면 HTTP 및/또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에 따르는 것과 같은, 웹 콘텐트를 전송하고 수신하도록 허용할 수도 있다.
또한 그 이동국은, 예를 들면, 기존의 이어폰 또는 스피커(310), 전화벨소리생성장치(ringer, 312), 마이크로폰(microphone, 314), 디스플레이(316) - 이들 모두는 그 제어기(308)에 연결된다 - 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같은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는 모바일 장치가, (상기에서 기술된, 도 1의 단계(102)에 따라) 사용자가 다른 상대방과 공유하기를 바라는 하나 이상의 콘텐트 파일들에 관한, 그 모바일 장치와 연관된 그 사용자에 의한, 선택의 결과 및/또는 (도 1의 단계(103)에 따라) 그 상대방과 연관된 연락자 기재사항의 선택의 결과와 같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키패드(318), 터치 디스플레이(미도시), 마이크로폰(314), 또는 다른 입력 장치와 같이, 그 모바일 장치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허용하는 다수의 장치들 중 어느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키패드를 포함한 실시예들에서, 그 키패드는 전통적인 수(0-9) 및 관련 키들(#, *), 및 그 이동국을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다른 키들을 포함할 수 있고 문자숫자(alphanumeric) 키들의 완전한 세트(set) 또는 문자숫자 키들의 완전한 세트를 제공하기 위해 기동될(activated) 수도 있는 키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비록 제시되지는 않았지만, 그 이동국은, 탐지가능한 출력으로서 기계적인 진동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그 이동국을 동작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다양한 회로들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위한, 진동 배터리 팩(vibrating battery pack)과 같은, 배터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국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SIM, 320), 착탈식 사용자 식별 모듈(removable user identity module;R-UIM)(미도시), 또는 그와 동종의 것을 포함하는 메모리 - 이는 전형적으로 모바일 가입자에 관련된 정보 요소들을 저장한다 - 와 같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 SIM에 더하여, 그 모바일 장치는 다른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 그 이동국은 휘발성 메모리(322)를 다른 비휘발성 메모리(324) - 이는 엠베디드(embedded)될 수 있고 및/또는 착탈가능할 수도 있다 - 와 마찬가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 다른 비휘발성 메모리는 엠베디드된 또는 착탈가능한 멀티미디어 메모리 카드들(multimedia memory cards;MMCs), 소니(Sony Corporation)에 의해 제조된 메모리 스틱들(Memory Sticks), EEPROM,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또는 그와 동종의 것일 수도 있다. 그 메모리는 그 이동국의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그 이동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다수의 정보들 및 데이터 중 어느 것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 메모리는, 그 이동 장치를 유니크하게(uniquely) 식별할 수 있는,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fication) 코드,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ication) 코드, MSISDN(mobile device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코드, 또는 그와 동종의 것과 같은,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다. 그 메모리는 또한 콘텐트를 저장할 수 있다. 그 메모리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및 다른 컴퓨터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에서 기술된, 도 1의 단계들(101, 104, 105, 106) 각각에 따라) 상대방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장치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 리소스 파일을 생성하고, 그 모바일 장치와 연관된 사용자가 콘텐트를 공유하기를 바라는 연락자와 연관된 리소스 파일에 액세스하고, 그 액세스되는 리소스 파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 콘텐트를 공유하는 방식을 결정하고, 그리고 결국 그 결정된 방식으로 그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그 메모리는 저장할 수도 있 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시스템, 방법,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은 주로 모바일 통신 어플리케이션들과 함께 기술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시스템, 방법,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은, 모바일 통신 산업들 내에서 그리고 그 모바일 통신 산업들의 외부에서 모두, 갖가지 다른 어플리케이션들과 함께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시스템,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면, 인터넷) 어플리케이션들과 함께 활용될 수 있다.
결론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그리고 관련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에 의해 인식될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시스템, 방법 또는 전자 장치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완전히 하드웨어로 된, 완전히 소프트웨어로 된,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어느 조합을 포함하는 다양한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록 매체에 구현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들(예를 들면, 컴퓨터 소프트웨어)을 가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하드 디스크들, CD-ROM들, 광학적 저장 장치들, 또는 자기적 저장 장치들을 포함하여 어떠한 적합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라도 활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방법들, 장치들(즉, 시스템들) 및 컴퓨터 프 로그램 생성물들의 블록 다이어그램들 및 흐름도 예시들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기술되었다. 그 블록 다이어그램들 및 흐름도 예시들의 각 블록, 및 그 블록 다이어그램들 및 흐름도 예시들 내 블록들의 조합들은, 각각,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계를 생산하는 다른 프로그램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으로 로딩(loading)되어서, 그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명령들은 그 흐름도 블록 또는 블록들에서 상술되는 기능들을 구현하는 수단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또한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에게 특정한 방식으로 기능할 것을 지시(명령)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메모리(computer-readable memory) 내에 저장되어서, 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메모리 내에 저장된 명령들은 그 흐름도 블록 또는 블록들에서 상술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제품을 만들어낼 수도 있다. 또한 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으로 로딩되어서 일련의 동작 방안들을 그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한 장치 상에서 수행되게 하여서 그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한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명령들이 그 흐름도 블록 또는 블록들에서 상술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공하도록 컴퓨터구현 프로세스를 만들어낼 수도 있다.
따라서, 그 블록 다이어그램들의 블록들 및 흐름도 예시들은 그 상술된 기능 들을 수행하는 수단들의 조합들, 그 상술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단계들의 조합들 및 그 상술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명령 수단들을 뒷받침한다. 또한 그 블록 다이어그램들 및 흐름도 예시들의 각 블록, 및 그 블록 다이어그램들 및 흐름도 예시들 내 블록들의 조합들은, 그 상술된 기능들 또는 단계들을 수행하는 특수용 하드웨어기반 컴퓨터 시스템들, 또는 특수용 하드웨어 및 컴퓨터 명령들의 조합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전술한 기술내용들 및 연관된 도면들에서 제시된 내용들의 이점들을 가지는 이 문서에서 설명된 본 발명들의 많은 변형예들 및 다른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이들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의 머리에 떠오를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개시된 특정 실시예들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고 변형예들 및 다른 실시예들은 덧붙여진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 것임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비록 특정 용어들이 이 문서에서 사용되었지만, 그들은 단지 포괄적이고 설명적인 의미에서 사용되고 한정을 위해 사용된 것은 아니다.

Claims (52)

  1. 상대방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장치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상대방과 연관된 리소스 파일(resource file)에 액세스하는 단계; 및
    상기 리소스 파일에 포함된 상기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상대방과 하나 이상의 콘텐트 파일들(content files)을 공유하는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파일에 포함된 상기 정보는, 상기 상대방과 연관된 각각의 장치들의 하나 이상의 성능들(capabilities), 상기 상대방과 연관된 각각의 장치들에 의해 지원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들(protocols), 상기 상대방과 연관된 각각의 장치들에 의해 지원되는 하나 이상의 접속성 베어러들(connectivity bearers), 및 상기 상대방과 연관된 각각의 장치들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어드레스들(addresses)의 일정 조합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과 하나 이상의 콘텐트 파일들을 공유하는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방과 상기 콘텐트 파일들을 공유하기 위해 사용될 어드레스, 프로토콜 및 접속성 베어러의 일정 조합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과 하나 이상의 콘텐트 파일들을 공유하는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방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장치들 중 어느 장치와 상기 콘텐트 파일들을 공유할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과 연관된 연락자 기재사항(contact entry)을 선택한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락자 기재사항은 상기 리소스 파일이 액세스될 수 있는 어드레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과 연관된 연락자 기재사항을 선택한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연락자 기재사항과 연관된 프레즌스 문서(Presence Document)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즌스 문서는 상기 리소스 파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즌스 문서는 상기 리소스 파일이 액세스될 수 있는 어드레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콘텐트 파일들을 공유하는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공유될 상기 콘텐트 파일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방식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파일은 상기 상대방과 연관된 각각의 장치들 상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콘텐트 파일들에 대한 레퍼런스(reference)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콘텐트 파일들을 공유하는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리소스 파일에서 레퍼런스되는 상기 콘텐트 파일들 중 적어도 하나에 액세스하는 방식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파일은 액세스시 사용될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들, 액세스시 사용될 하나 이상의 접속성 베어러들, 및 레퍼런스되는 각각의 콘텐트 파일들과 연관 된 하나 이상의 어드레스들의 일정 조합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액세스시 사용될 프로토콜들, 액세스시 사용될 접속성 베어러, 또는 레퍼런스되는 각각의 콘텐트 파일들과 연관된 어드레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변화가 일어날 때 상기 리소스 파일은 자동적으로 업데이트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 파일들 중 적어도 하나에 액세스하기 위하여 상기 콘텐트 파일들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와 제1 커넥션(connection)을 설립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커넥션이 상실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와 제2 커넥션을 자동적으로 설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제2 상대방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장치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상대방과 연관된 리소스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상대방과 연관된 각각의 장치들과 연관된 성능들, 프로토콜들, 접속성 베어러들 또는 어드레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변화가 일어날 때 상기 생성된 리소스 파일을 자동적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메모리로서, 각각 하나 이상의 상대방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리소스 파일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리소스 파일들은 상기 각각의 상대방들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장치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리소스 파일들은 상기 각각의 상대방들과 하나 이상의 콘텐트 파일들을 공유하는 방식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어질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더 저장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실행시에, 상기 리소스 파일들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리소스 파일들에 포함된 상기 정보는, 대응하는 상대방과 연관된 각각의 장치들의 하나 이상의 성능들, 상기 대응하는 상대방과 연관된 각각의 장치들에 의해 지원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들, 상기 대응하는 상대방과 연관된 각각의 장치들에 의해 지원되는 하나 이상의 접속성 베어러들, 및 상기 대응하는 상대방과 연관된 각각의 장치들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어드레스들의 일정 조합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WAN(wide area network)을 거쳐 액세스가능하고, 상기 장치에 저장된 각각의 리소스 파일들은 상기 각각의 리소스 파일들과 연관된 해당 어드레스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프레즌스 서버(Presence Server)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각각 하나 이상의 상대방들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프레즌스 문서들을 더 저장하고, 각각의 프레즌스 문서들은 연관된 상대방에 대응하는 리소스 파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실행시에,
    상기 리소스 파일들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파일에 액세스하는 상대방과 연관된 ID(identity)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상대방이 상기 리소스 파일의 적어도 일부에 액세스할 권한이 부여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실행시에,
    상기 리소스 파일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기에 앞서 상기 리소스 파일을 변경하도록;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파일을 변경하는 것은 상기 리소스 파일에 포함된 정보를 암호화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파일을 변경하는 것은, 상기 상대방이 하기 제거되는 적어도 일부에 액세스할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것임이 결정되는 경우에, 상기 리소스 파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장치에 있어서,
    상대방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장치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상대방과 연관된 리소스 파일에 액세스하고; 그리고
    상기 리소스 파일에 포함된 상기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상대방과 하나 이상의 콘텐트 파일들을 공유하는 방식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파일에 포함된 상기 정보는, 상기 상대방과 연관된 각각의 장치들의 하나 이상의 성능들, 상기 상대방과 연관된 각각의 장치들에 의해 지원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들, 상기 상대방과 연관된 각각의 장치들에 의해 지원되는 하나 이상의 접속성 베어러들, 및 상기 상대방과 연관된 각각의 장치들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어드레스들의 일정 조합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과 하나 이상의 콘텐트 파일들을 공유하는 방식을 결정하기 위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대방과 상기 콘텐트 파일들을 공유하기 위해 사용될 어드레스, 프로토콜 및 접속성 베어러의 일정 조합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과 하나 이상의 콘텐트 파일들을 공유하는 방식을 결정하기 위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대방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장치들 중 어느 장치와 상기 콘텐트 파일들을 공유할지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대방과 연관된 연락자 기재사항을 선택한 결과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연락자 기재사항은 상기 리소스 파일이 액세스될 수 있는 어드레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대방과 연관된 연락자 기재사항을 선택한 결과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선택된 연락자 기재사항과 연관된 프레즌스 문서에 액세스하도록;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즌스 문서는 상기 리소스 파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즌스 문서는 상기 리소스 파일이 액세스될 수 있는 어드레스를 포 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콘텐트 파일들을 공유하는 방식을 결정하기 위해서, 상기 프로세서는 공유될 상기 콘텐트 파일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방식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파일은 상기 상대방과 연관된 각각의 장치들 상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콘텐트 파일들에 대한 레퍼런스(reference)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콘텐트 파일들을 공유하는 방식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리소스 파일에서 레퍼런스되는 상기 콘텐트 파일들 중 적어도 하나에 액세스하는 방식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파일은 액세스시 사용될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들, 액세스시 사용될 하나 이상의 접속성 베어러들, 및 레퍼런스되는 각각의 콘텐트 파일들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어드레스들의 일정 조합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액세스시 사용될 프로토콜들, 액세스시 사용될 접속성 베어러, 또는 레퍼런스되는 각각의 콘텐트 파일들과 연관된 어드레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변화가 일어날 때 상기 리소스 파일은 자동적으로 업데이트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콘텐트 파일들 중 적어도 하나에 액세스하기 위하여, 상기 콘텐트 파일들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와 제1 커넥션을 설립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커넥션이 상실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와 제2 커넥션을 자동적으로 설립하도록;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2 상대방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장치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상대방과 연관된 리소스 파일을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2 상대방과 연관된 각각의 장치들과 연관된 성능들, 프로토콜들, 접속성 베어러들 또는 어드레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변화가 일어날 때 상기 생성된 리소스 파일을 자동적으로 업데이트하도록;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전자 장치의 형태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8.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39. 콘텐트 공유를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 하나 이상의 상대방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리소스 파일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로서, 각각의 리소스 파일들은 각각의 상대방들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장치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리소스 파일들 중 적어도 하나에 액세스하도록, 그리고 상기 액세스되는 리소스 파일에 포함된 상기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되는 리소스 파일에 대응하는 상대방과 하나 이상의 콘텐트 파일들을 공유하는 방식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0. 제39항에 있어서,
    각각의 리소스 파일들에 포함된 상기 정보는, 대응하는 상대방과 연관된 각각의 장치들의 하나 이상의 성능들, 상기 대응하는 상대방과 연관된 각각의 장치들에 의해 지원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들, 상기 대응하는 상대방과 연관된 각각의 장치들에 의해 지원되는 하나 이상의 접속성 베어러들, 및 상기 상대방과 연관된 각각의 장치들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어드레스들의 일정 조합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과 하나 이상의 콘텐트 파일들을 공유하는 방식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콘텐트 파일들을 공유하기 위해 사용될 프로토콜, 상기 콘텐트 파일들을 공유하기 위해 사용될 접속성 베어러, 상기 콘텐트 파일들을 공유하기 위해 사용될 어드레스, 및 상기 콘텐트 파일들을 공유할 상기 상대방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장치들 중 어느 장치의 일정 조합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2.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프레즌스 서버(Presence Serv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리소스 파일들은, 대응하는 상대방과 연관되고 상기 프레즌스 서버 상에 저장된 프레즌스 문서와 연관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3.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KR1020087019675A 2006-04-11 2007-02-23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장치, 네트워크 개체,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KR1010895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279,281 2006-04-11
US11/279,281 US9467530B2 (en) 2006-04-11 2006-04-11 Method, apparatus, network entity,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haring content
PCT/IB2007/000442 WO2007116250A2 (en) 2006-04-11 2007-02-23 Method, apparatus, network entity,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haring cont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290A KR20090005290A (ko) 2009-01-13
KR101089596B1 true KR101089596B1 (ko) 2011-12-05

Family

ID=38576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9675A KR101089596B1 (ko) 2006-04-11 2007-02-23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장치, 네트워크 개체,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67530B2 (ko)
EP (1) EP2005690B1 (ko)
KR (1) KR101089596B1 (ko)
ES (1) ES2804773T3 (ko)
RU (1) RU2411682C2 (ko)
WO (1) WO200711625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0555B2 (en) * 2006-06-30 2011-08-30 Aperio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mages over a network
US8155628B1 (en) * 2006-09-15 2012-04-10 At&T Mobility Ii Llc Mobile initiated broadcast
JP4296194B2 (ja) * 2006-11-13 2009-07-1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コンテンツ伝達システム、通信端末及びコンテンツ伝達方法
JP2008172483A (ja) * 2007-01-11 2008-07-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通信システム及びドアホンシステム
US8438214B2 (en) * 2007-02-23 2013-05-07 Nokia Corporation Method, electronic device, computer program product, system and apparatus for sharing a media object
US8990426B2 (en) * 2007-11-28 2015-03-2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electronic transactions
JP4342596B1 (ja) * 2008-05-20 2009-10-14 株式会社東芝 電子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データ提供方法
US9100458B2 (en) * 2008-09-11 2015-08-0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ering media content
US20100191728A1 (en) * 2009-01-23 2010-07-29 James Francis Reilly Method, System Computer Program, and Apparatus for Augmenting Media Based on Proximity Detection
KR101581678B1 (ko) 2009-10-14 2016-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송 순서를 이용한 데이터 공유 시스템
PL2564627T3 (pl) 2010-04-30 2017-10-31 Nokia Technologies Oy Sposób i urządzenie dla zapewnienia usług mobilnych poza obszarem pokrycia komórek
US9130763B2 (en) * 2011-06-20 2015-09-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omatic sharing of event content by linking devices
KR101870992B1 (ko) * 2011-07-20 2018-07-23 주식회사 케이티 Uicc를 이용한 drm컨텐츠 전송 방법 및 그를 위한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 획득방법과 단말 및 uicc
US8898593B2 (en) * 2011-10-05 2014-11-25 Microsoft Corporation Identification of sharing level
US9426229B2 (en) * 2012-06-29 2016-08-23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on of a device for content sharing operations
KR20140026999A (ko) * 2012-08-23 2014-03-06 (주)휴맥스 원격 브라우징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6051681B2 (ja) * 2012-08-24 2016-12-2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40149498A1 (en) * 2012-11-26 2014-05-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chitecture for local content sharing using dynamic location mapping
RU2610586C2 (ru) * 2013-05-13 2017-02-1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Яндекс"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клиентскому устройству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обновления ip-адреса,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го доменному имени
TW201508656A (zh) * 2013-08-23 2015-03-01 Hui-Qi Xiong 社區管理伺服器
US10933209B2 (en) 2013-11-01 2021-03-02 Georama, Inc. System to process data related to user interactions with and user feedback of a product while user finds, perceives, or uses the product
CN103686420B (zh) * 2013-12-13 2017-09-29 广州华多网络科技有限公司 邀请好友观看视频的方法、终端、服务器及系统
US9246803B2 (en) * 2014-01-02 2016-01-26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calable content routing and mobility in named data networks
US9882996B2 (en) * 2014-01-23 2018-01-30 Google Llc Determining data associated with proximate computing devices
EP3051371B1 (de) 2015-01-29 2018-01-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ufbau einer unterbrechungsfreien Kommunikationsverbindung und Kommunikationsgerät
RU2628992C1 (ru) * 2016-02-17 2017-08-2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ЛитРес"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систематизации, упорядочивания, распределения, обработки и работы с контентом библиотечной системы
US11477302B2 (en) 2016-07-06 2022-10-18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activity detection
RU2686637C1 (ru) * 2018-08-27 2019-04-29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ЛЬБОМИКС" Способ просмотра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го медиа-контента
RU191682U1 (ru) * 2019-05-29 2019-08-1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МАРТ ЭНДЖИНС СЕРВИС" Система покупки цифрового контент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моби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2135B1 (en) * 1998-10-30 2002-12-31 Science Applications International Corporation Agile network protocol for secure communications with assured system availability
JP3472498B2 (ja) * 1999-01-27 2003-12-02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ータ転送装置、データ転送方法およびデータ転送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US20030134648A1 (en) * 2001-10-04 2003-07-17 Reed Mark Jefferson Machine for providing a dynamic data base of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wireless device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7277946B2 (en) * 2002-06-28 2007-10-02 Microsoft Corporation Distributed session listing and content discovery
US7724705B2 (en) * 2003-03-14 2010-05-25 Nokia Corporation Wireless transfer of data
US20050028168A1 (en) 2003-06-26 2005-02-03 Cezary Marcjan Sharing computer objects with associations
US8171516B2 (en) 2004-02-24 2012-05-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and storage mediums for providing multi-viewpoint media sharing of proximity-centric content
US7653001B2 (en) * 2004-04-09 2010-01-26 At&T Mobility Ii Llc Managing differences in user devices when sharing content on mobile devices
JP4490743B2 (ja) 2004-06-24 2010-06-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ファイル共有システム、ファイル共有用管理サーバおよびクライアント装置
US20080189099A1 (en) * 2005-01-12 2008-08-07 Howard Friedman Customizable Delivery of Audio Information
US7953794B2 (en) * 2005-01-14 2011-05-3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ransitioning between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communication modes
US20060190616A1 (en) * 2005-02-04 2006-08-24 John Mayerhofer System and method for aggregating, delivering and sharing audio content
DE102005011882A1 (de) * 2005-03-15 2006-09-21 Siemens Ag Verfahren zum Sicherstellen der Erreichbarkeit von Teilnehmern von Kommunikationsnetzen
US8332475B2 (en) * 2005-08-22 2012-12-11 Triplay Communications Ltd. Messaging system and method
US7787864B2 (en) * 2006-03-27 2010-08-31 Teamon Systems, Inc. Wireless email communications system providing device capability set update features and related methods
US7746223B2 (en) * 2006-12-01 2010-06-29 Embarq Holdings Company, Llc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security content from wireless cameras
US8141115B2 (en) * 2008-12-17 2012-03-20 At&T Lab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le media coordin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11682C2 (ru) 2011-02-10
EP2005690B1 (en) 2020-04-22
EP2005690A4 (en) 2013-01-23
ES2804773T3 (es) 2021-02-09
US9467530B2 (en) 2016-10-11
RU2008143455A (ru) 2010-05-20
EP2005690A2 (en) 2008-12-24
WO2007116250A2 (en) 2007-10-18
KR20090005290A (ko) 2009-01-13
US20070239867A1 (en) 200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596B1 (ko)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장치, 네트워크 개체,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US11218372B2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facilitating synchronization of setting configurations
US9407686B2 (en) Device to-device transfer
JP4349587B2 (ja) 携帯電話の間で連絡先リストを共有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073479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ervice and application configuration in a network device
US8065361B2 (en) Apparatus and methods using a data hub server with servers to source and access informational content
EP280786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service discovery and connectivity
EP1952613B1 (en) Intermediary, source and methods for sharing content
KR20110008334A (ko) 네트워크 기반 컨버지드 주소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44250A (ko) 어드레스 북 업데이트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080270613A1 (en) Method of Processing a Contact for a Mobile Device and Related Device
CN103518216A (zh) 私有用户群组内的内容共享
WO2011100904A2 (zh) 联系人信息同步的方法、装置及系统
Belimpasakis et al. Sharing with people: a system for user-centric content sharing
Bennaceur et al. The iBICOOP middleware: Enablers and services for emerging pervasive computing environments
EP2224679B1 (en) Remote administration of mobile wireless devices
CA2670855C (en) Device-to-device transf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