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9277B1 -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베어링 - Google Patents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9277B1
KR101089277B1 KR1020090027363A KR20090027363A KR101089277B1 KR 101089277 B1 KR101089277 B1 KR 101089277B1 KR 1020090027363 A KR1020090027363 A KR 1020090027363A KR 20090027363 A KR20090027363 A KR 20090027363A KR 101089277 B1 KR101089277 B1 KR 101089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inner ring
outer ring
coupling member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7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9002A (ko
Inventor
강대겸
Original Assignee
강대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겸 filed Critical 강대겸
Priority to KR1020090027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9277B1/ko
Publication of KR20100109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4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5/06Mounting or dismounting of ball or roller bearings; Fixing them onto shaft or in housing
    • F16C35/063Fixing them on the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4Rollers; Needles
    • F16C33/36Rollers; Needles with bearing-surfaces other than cylindrical, e.g. tapered; with grooves in the bear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58Raceways; Race rings
    • F16C33/581Raceways; Race rings integral with other parts, e.g. with housings or machine elements such as shafts or gear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 상호 간의 대응되는 면에 요홈과 결합홈이 형성된 내륜 및 외륜과, 상기 요홈에 양측단 일부위가 삽입된 상태로 끼워진 볼과, 상기 볼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리테이너와, 상기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커버로 구성된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내륜 또는 외륜을 일측 또는 양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하여 형성하고 연장 형성된 내륜 또는 외륜의 외주면의 중앙부 둘레 상에 일정 간격을 갖는 다수의 장착홈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베어링에 부가 결합 되는 결합부재와 베어링과의 마찰에 의하여 발생하는 동력손실을 최소화하고 베어링이나 결합부재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어 경제성 있는 발명이며 작업공정을 단축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베어링, 내륜, 외륜, 리테이너, 기어치, 치홈

Description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베어링{Bearing can be equiped of combination elements}
본 발명은 양방향과 경방향의 축하중을 지지하고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방향의 축하중을 지지하면서 마찰을 최소화하여 경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하중에 잘 견디고 베어링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며 베어링에 부가 결합 되는 결합부재와 베어링과의 마찰에 의하여 발생하는 동력손실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베어링이나 결합부재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어 경제성 있는 발명이며 작업공정을 단축하거나 개선할 수 있고 공간활용도를 높여 제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는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방향의 축과 경방향의 하중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는 베어링(Bearing)으로는 앵귤러 보올 베어링(Angular Ball Bearings)과 테이퍼 로울러 베어링(Tapered Roller Bearings)등이 있다.
상기 앵귤러 보올 베어링은 경방향 하중과 한방향의 축방향 하중을 부하할 수 있으며 보올은 내륜 및 오륜과 15°, 30° 혹은 40°의 접촉각을 갖고 있다.
상기 접촉각이 클수록 축방향 하중의 부하능력은 커지고 접촉각이 작은 만큼 고속회전에는 유리하다. 보통 2개의 베어링을 짝지어 내부 클리어런스를 조정하여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강판 프레스 리테이너를 사용하지만 접촉각이 30°이하인 고정밀도의 베어링에서는 주로 폴리아미드 성형 리테이너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테이퍼 로울러 베어링은 원추형태의 로울러가 전동체로서 내장되어 있고 내륜의 큰턱에 의해서 안내되는 이 베어링은 경방향하중과 한방향의 축방향하중을 함께 받을 수 있으며 그 부하능력이 여타 베어링에 비해 매우 크다. 고부하용량 베어링으로서는 내부 설계를 최적화하여 로울러 치수와 로울러 갯수를 극대화 시킨 베어링도 사용되고 있다. 상기 앵귤러 보올 베어링과 마찬가지로 보통 짝지어 사용하며 이 경우 내륜끼리 혹은 외륜끼리의 간격을 축방향으로 조정함에 따라 적당한 내부 틈새를 설정할 수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앵귤러 보올 베어링과 테이퍼 로울러 베어링은 양방향으로의 축하중과 경방향의 하중을 동시에 지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대안으로서 조합형 베어링(Duplex Bearings)이 제안되었다.
상기 조합형 베어링은 레이디얼 베어링을 2개 이상 조합해서 한쌍으로 한 베어링을 조합형 베어링이라 하며 보통 앵귤러 보올 베어링끼리 혹은 테이퍼 로울러 베어링끼리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조합의 종류로서 외륜의 정면을 맞춘 정면 조합(DF형), 배면을 맞춘 배면 조합(DB형), 그리고 똑같은 방향이 되도록 조합한 병렬 조합(DT형)이 있다.
그러나, 상기 조합형 베어링은 양방향의 축하중과 경방향의 축하중을 동시에 지지할 수는 있으나 베어링을 1개가 아닌 2개를 조합해야 하므로 베어링의 부피가 증가하게 되어 공간활용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무게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베어링은 대부분 회전운동만을 하게 제작되어 있으므로 주 기계 장치나 부재와 베어링 사이를 연결하는 별도의 추가적인 결합부재가 장착되어야 하므로 베어링의 무게와 부피를 감소시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베어링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1개의 베어링으로 양방향과 경방향의 축하중을 극복하고 베어링에 부가 결합 되는 결합부재와 베어링과의 마찰에 의하여 발생하는 동력손실을 최소화하며 베어링과 결합부재의 무게 및 부피를 줄임으로써 공간활용도를 높여 제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이룰 수 있는 베어링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호 간의 대응되는 면에 요홈과 결합홈이 형성된 내륜 및 외륜과, 상기 요홈에 양측단 일부위가 삽입된 상태로 끼워진 볼과, 상기 볼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리테이너와, 상기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커버로 구성된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내륜 또는 외륜을 일측 또는 양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하여 형성하고 연장 형성된 내륜 또는 외륜의 외주면의 중앙부 둘레 상에 일정 간격을 갖는 다수의 장착홈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양방향과 경방향의 축하중을 극복하고 베어링에 부가 결합 되는 결합부재와 베어링과의 마찰에 의하여 발생하는 에너지손실을 최소화하고 베어링이나 결합부재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어 경제성 있는 발명이며 주기계장치 및 결합부재와 베어링 사이를 연결하는 별도의 추가적인 부재가 불필요함으로써 작업공정을 단축하거나 개선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를 높여 제품 의 소형화 및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호 간의 대응되는 면에 요홈과 결합홈이 형성된 내륜 및 외륜과, 상기 요홈에 양측단 일부위가 삽입된 상태로 끼워진 볼과, 상기 볼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리테이너와, 상기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커버로 구성된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내륜 또는 외륜을 일측 또는 양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하여 형성하고 연장 형성된 내륜 또는 외륜의 외주면의 중앙부 둘레 상에 일정 간격을 갖는 다수의 장착홈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종래의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베어링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1c는 종래의 베어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종래의 베어링은 상호 간의 대응되는 면에 요홈(2)과 결합홈(4)이 형성된 내륜(10) 및 외륜(20)과, 상기 요홈(2)에 양측단 일부위가 삽입된 상태로 끼워진 볼(30)과, 상기 볼(30)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리테이너(40)와, 상기 결합홈(4)에 끼워져 결합 되는 커버(50)로 구성된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원형상의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내륜(10)이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연장 형성된 내륜(100)에 반구 형상의 장착홈(300)이 구비된 도면이고, 도 2c 및 도 2d는 각각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사각 형상의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내륜(10)이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연장 형성된 내륜(100)에 사각형상의 장착홈(300)이 구비된 도면이다.
또한,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가 장착할 수 있는 원형상의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내륜(10)이 양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연장 형성된 내륜(110)에 원형상의 장착홈(300)이 구비된 도면이며, 도 3c 및 도 3d는 각각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사각 형상의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내륜(10)이 양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연장 형성된 내륜(110)에 사각 형상의 장착홈(300)이 형성된 도면이다.
또한,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가 장착할 수 있는 반구 형상의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외륜(20)이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연장 형성된 외륜(200)에 반구 형상의 장착홈(300)이 형성된 도면이고, 도 4c 및 도 4d는 각각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사각 형상의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외륜(20)이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연장 형성된 외륜(200)에 사각 형상의 장착홈(300)이 형성된 도면이다.
또한,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가 장착할 수 있는 원형상의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외륜(20)이 양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연장 형성된 외륜(210)에 반구 형상의 장착홈(300)이 형성된 도면이고, 도 5c 및 도 5d는 각각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사각 형상의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외륜(20)이 양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연장 형성된 외륜(210)에 사각 형상의 장착홈(300)이 형성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베어링은 상호 간의 대응되는 면에 요홈(2)과 결합홈(4)이 형성된 내륜(10) 및 외륜(20)과, 상기 요홈(2)에 양측단 일부위가 삽입된 상태로 끼워진 볼(30)과, 상기 볼(30)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리테이너(40)와, 상기 결합홈(4)에 끼워져 결합되는 커버(50)로 구성되는 베어링에 있어서,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상기 내륜(10)을 일측으로 상기 내륜(10) 이나 외륜(20)의 폭(W)의 길이보다 1/3 내지 1배의 길이만큼 연장된 폭(w1')을 형성하고, 연장 형성된 내륜(100)의 외주면 중앙부 둘레 상에 일정 간격을 갖는 다수의 장착홈(300)을 형성하여, 상기 장착홈(300)에 대응되게 형성된 돌기를 구비한 결합부재에 의해 부하 된 축하중을 극복하게 된다.
상기 연장된 폭(w1')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증감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종래의 베어링에 있어서, 종래 베어링의 내륜(10)을 양측으로 종래 내륜(10)이나 외륜(20)의 폭(W)의 길이보다 1/3 내지 1배의 길이만큼 연장된 좌측폭(w1') 및 우측폭(w2')을 형성하고, 연장 형성된 내륜(110)의 외주면 중앙부 둘레 상에 일정 간격을 갖는 다수의 장착홈(300)을 형성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종래의 베어링에 있어서, 외륜(20)을 일측으로 종래 내륜(10)이나 외륜(20)의 폭(W)의 길이보다 1/3 내지 1배의 길이만큼 연장된 폭(w1') 을 형성하고, 연장 형성된 외륜(200)의 외주면 중앙부 둘레 상에 일정 간격을 갖는 다수의 장착홈(300)을 형성한다.
도 5a 및 도 5d를 참조하면, 종래의 베어링에 있어서, 외륜(20)을 양측으로 종래 내륜(10)이나 외륜(20)의 폭(W)의 길이보다 1/3 내지 1배의 길이만큼 연장된 좌측폭(w1') 및 우측폭(w2')을 형성하고, 연장 형성된 외륜(210)의 외주면 중앙부 둘레 상에 일정 간격을 갖는 다수의 장착홈(300)을 형성한다. 상기 연장된 좌측폭(w1') 및 우측폭(w2')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증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륜(100, 110) 또는 외륜(200,210)의 장착홈(300)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돌기를 구비한 결합부재에 의한 축하중이 상기 내륜(100,110)이나 외륜(200,210)의 어느 한 곳에만 걸리게 되므로 베어링이 회전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정확한 회전에 의해 마찰이 최소화됨으로써 동력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2e 및 도 2f는 각각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내륜(10)이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연장 형성된 내륜(100)에 원형의 관통공(400)이 형성된 도면이고, 도 2g 및 도 2h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사각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내륜(10)이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연장 형성된 내륜(100)에 사각 형상의 관통공(400)이 형성된 도면이다.
또한, 도 3e 및 도 3f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내륜(11)이 양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연장 형성된 내륜(110)에 원형의 관통공(400)이 형성된 도면이며, 도 3g 및 도 3h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사각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내륜(10)이 양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연장 형성된 내륜(110)에 사각 형상의 관통공(400)이 형성된 도면이다.
또한, 도 4e 및 도 4f는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외륜(20)이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연장 형성된 외륜(200)에 원형의 관통공(400)이 형성된 도면이고, 도 4g 및 도 4h는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사각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외륜(20)이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연장 형성된 외륜(200)에 사각 형상의 관통공(400)이 형성된 도면이다.
또한, 도 5e 및 도 5f는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외륜(20)이 양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연장 형성된 외륜(210)에 원형의 관통공(400)이 형성된 도면이고, 도 5g 및 도 5h는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사각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외륜(20)이 양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연장 형성된 외륜(210)에 사각 형상의 관통공(400)이 형성된 도면이다.
도 2e 내지 도 2h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호 간의 대응되는 면에 요홈(2)과 결합홈(4)이 형성된 내륜(10) 및 외륜(20)과, 상기 요홈(2)에 양측단 일부위가 삽입된 상태로 끼워진 볼(30)과, 상기 볼(30)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리테이너(40)와, 상기 결합홈(4)에 끼워져 결합되는 커버(50)로 구성되는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내륜(10)을 일측으로 상기 내륜(10) 이나 외륜(20)의 폭(W)의 길이보다 연장된 폭(w1')을 형성하고, 연장 형성된 내륜(100)의 외주면 중앙부 둘레 상에 일정 간격을 갖는 다수의 관통공(400)을 형성하여, 상기 관통공(400)에 대응되게 형성된 돌기를 구비한 결합부재에 의해 부하 된 축하중을 극복하게 된다.
도 3e 내지 도 3h는 종래의 베어링에 있어서, 종래 베어링의 내륜(10)을 양측으로 종래 내륜(10)이나 외륜(20)의 폭(W)의 길이보다 1/3 내지 1배의 길이만큼 연장된 좌측폭(w1') 및 우측폭(w2')을 형성하고, 연장 형성된 내륜(110)의 외주면 중앙부 둘레 상에 일정 간격을 갖는 다수의 관통공(400)을 형성한다. 상기 연장된 좌측폭(w1') 및 우측폭(w2')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증감할 수 있다.
도 4e 내지 도 4h는 종래의 베어링에 있어서, 외륜(20)을 일측으로 종래 내륜(10)이나 외륜(20)의 폭(W)의 길이보다 연장된 폭(w1')을 형성하고, 연장 형성된 외륜(200)의 외주면 중앙부 둘레 상에 일정 간격을 갖는 다수의 관통공(400)을 형성한다.
도 5e 내지 도 5h를 참조하면, 종래의 베어링에 있어서, 외륜(20)을 양측으로 종래 내륜(10)이나 외륜(20)의 폭(W)의 길이보다 연장된 좌측폭(w1') 및 우측폭(w2')을 형성하고, 연장 형성된 외륜(210)의 외주면 중앙부 둘레 상에 일정 간격을 갖는 다수의 관통공(400)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내륜(100, 110) 또는 외륜(200,210)의 관통공(400)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돌기를 구비한 결합부재에 의한 축하중이 상기 내륜(100,110)이나 외륜(200,210)의 어느 한 곳에만 걸리게 되므로 베어링이 회전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정확한 회전에 의해 마찰이 최소화됨으로써 동력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2i 및 도 2j는 각각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기어치가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내륜(10)이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연장 형성된 내륜(100)의 외주면 가장자리 둘레 상에 다수의 기어치(500)가 형성되며 상기 기어치(500) 사이를 일정 곡률의 치홈(510)이 형성된 도면이다.
또한, 도 3i 및 도 3j는 각각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기어치가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내륜(10)이 양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연장 형성된 내륜(110)의 외주면 가장자리 둘레 상에 다수의 기어치(500)가 형성되며 상기 기어치(500) 사이를 일정 곡률의 치홈(510)이 형성된 도면이다.
또한, 도 4i 및 도 4j는 각각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기어치가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외륜(20)이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연장 형성된 외륜(200)의 외주면 가장자리 둘레 상에 다수의 기어치(500)가 형성되며 상기 기어치(500) 사이를 일정 곡률의 치 홈(510)이 형성된 도면이다.
또한, 도 5i 및 도 5j는 각각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기어치가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외륜(20)이 양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연장 형성된 외륜(210)의 외주면 가장자리 둘레 상에 다수의 기어치(500)가 형성되며 상기 기어치(500) 사이를 일정 곡률의 치홈(510)이 형성된 도면이다.
도 2i 내지 도 2j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호 간의 대응되는 면에 요홈(2)과 결합홈(4)이 형성된 내륜(10) 및 외륜(20)과, 상기 요홈(2)에 양측단 일부위가 삽입된 상태로 끼워진 볼(30)과, 상기 볼(30)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리테이너(40)와, 상기 결합홈(4)에 끼워져 결합되는 커버(50)로 구성되는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내륜(10)을 일측으로 상기 내륜(10) 이나 외륜(20)의 폭(W)의 길이보다 연장된 폭(w1')을 형성하고, 연장 형성된 내륜(100)의 외주면 가장자리 둘레 상에 다수의 기어치(500)가 형성되며 상기 기어치(500) 사이를 일정 곡률의 치홈(510)이 형성되며, 상기 기어치(500) 및 치홈(510)에 대응되게 형성된 기어치와 치홈을 구비한 결합부재에 의해 부하 된 축하중을 극복하게 된다.
도 3i 내지 도 3j는 종래의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내륜(10)을 양측으로 상기 내륜(10) 이나 외륜(20)의 폭(W)의 길이보다 연장된 좌측폭(w1') 및 우측폭(w2')을 형성하고, 연장 형성된 내륜(110)의 외주면 가장자리 둘레 상에 다수의 기어치(500)가 형성되며 상기 기어치(500) 사이를 일정 곡률의 치홈(510)이 형성된다.
도 4i 내지 도 4j는 종래의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외륜(20)을 일측으로 상기 내륜(10) 이나 외륜(20)의 폭(W)의 길이보다 연장된 폭(w1')을 형성하고 연장 형성된 외륜(200)의 외주면 가장자리 둘레 상에 다수의 기어치(500)가 형성되며 상기 기어치(500) 사이를 일정 곡률의 치홈(510)이 형성된다.
도 5i 내지 도 5j를 참조하면, 종래의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외륜(20)을 양측으로 상기 내륜(10) 이나 외륜(20)의 폭(W)의 길이보다 연장된 좌측폭(w1') 및 우측폭(w2')을 형성하고, 연장 형성된 외륜(210)의 외주면 가장자리 둘레 상에 다수의 기어치(500)가 형성되며 상기 기어치(500) 사이를 일정 곡률의 치홈(510)이 형성된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발명의 제 5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내륜(10)이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장되어 형성된 내륜(100)의 측면 중앙부의 둘레 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장착홈(300)이 형성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본 발명의 제 6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내륜(10)이 양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장되어 형성된 내륜(110)의 측면 중앙부의 둘레 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장착홈(300)이 형성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 7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외륜(20)이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장되어 형성된 외륜(200)의 측면 중앙부의 둘레 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장착홈(300)이 형성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 8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외륜(20)이 양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장되어 형성된 외륜(210)의 측면 중앙부의 둘레 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장착홈(300)이 형성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베어링은 상호 간의 대응되는 면에 요홈(2)과 결합홈(4)이 형성된 내륜(10) 및 외륜(20)과, 상기 요홈(2)에 양측단 일부위가 삽입된 상태로 끼워진 볼(30)과, 상기 볼(30)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리테이너(40)와, 상기 결합홈(4)에 끼워져 결합되는 커버(50)로 구성되는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내륜(10)을 일측으로 상기 내륜(10) 이나 외륜(20)의 폭(W)의 길이보다 연장된 폭(w1')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되어 형성된 내륜(100)의 측면 중앙부의 둘레 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장착홈(300)을 형성하여, 상기 장착홈(300)에 대응되게 형성된 돌기를 구비한 결합부재에 의해 부하 된 축하중을 극복하게 된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종래의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내륜(10)을 양측으로 상기 내륜(10) 이나 외륜(20)의 폭(W)의 길이보다 연장된 좌측폭(w1') 및 우측폭(w2')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되어 형성된 내륜(110)의 측면 중앙부의 둘레 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장착홈(300)을 형성하여, 상기 장착홈(300)에 대응되게 형성된 돌기를 구비한 결합부재에 의해 부하 된 축하중을 극복하게 된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종래의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외륜(20)을 일측으로 상기 내륜(10) 이나 외륜(20)의 폭(W)의 길이보다 1/3 내지 1배의 길이만큼 연장된 폭(w1')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되어 형성된 내륜(100)의 측면 중앙부의 둘레 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장착홈(300)을 형성하여, 상기 장착홈(300)에 대응되게 형성된 돌기를 구비한 결합부재에 의해 부하 된 축하중을 극복하게 된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종래의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외륜(20)을 양측으로 상기 내륜(10) 이나 외륜(20)의 폭(W)의 길이보다 연장된 좌측폭(w1') 및 우측폭(w2')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되어 형성된 외륜 (210)의 측면 중앙부의 둘레 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장착홈(300)을 형성하여, 상기 장착홈(300)에 대응되게 형성된 돌기를 구비한 결합부재에 의해 부하 된 축하중을 극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내륜(100, 110) 또는 외륜(200,210)의 장착홈(300)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돌기를 구비한 결합부재에 의한 축하중이 상기 내륜(100,110)이나 외륜(200,210)의 어느 한 곳에만 걸리게 되므로 베어링이 회전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정확한 회전에 의해 마찰이 최소화됨으로써 동력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6c 및 도 6d는 본 발명의 제 5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내륜(10)이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장되어 형성된 내륜(100)의 측면 중앙부의 둘레 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공(400)이 형성된 도면이다.
도 7c 및 도 7d는 본 발명의 제 6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내륜(10)이 양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장되어 형성된 내륜(110)의 측면 중앙부의 둘레 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공(400)이 형성된 도면이다.
도 8c 및 도 8d는 본 발명의 제 7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외륜(20)이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장되어 형성된 외륜(200)의 측면 중앙부의 둘레 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공(400)이 형성된 도면이다.
도 9c 및 도 9d는 본 발명의 제 8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외륜(20)이 양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장되어 형성된 외륜(210)의 측면 중앙부의 둘레 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공(400)이 형성된 도면이다.
도 6c 및 도 6d를 참조하면, 종래의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내륜(10)을 일측으로 상기 내륜(10) 이나 외륜(20)의 폭(W)의 길이보다 연장된 폭(w1')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되어 형성된 내륜(100)의 측면 중앙부의 둘레 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공(400)을 형성하여, 상기 관통공(400)에 대응되게 형성된 돌기를 구비한 결합부재에 의해 부하 된 축하중을 극복하게 된다.
도 7c 및 도 7d를 참조하면, 종래의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내륜(10)을 양측으로 상기 내륜(10) 이나 외륜(20)의 폭(W)의 길이보다 연장된 좌측폭(w1') 및 우측폭(w2')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되어 형성된 내륜(110)의 측면 중앙부의 둘레 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공(400)을 형성한다.
도 8c 및 도 8d를 참조하면, 종래의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외륜(20)을 일측으로 상기 내륜(10) 이나 외륜(20)의 폭(W)의 길이보다 연장된 폭(w1')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되어 형성된 내륜(100)의 측면 중앙부의 둘레 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공(400)을 형성한다.
도 9c 및 도 9d를 참조하면, 종래의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외륜(20)을 양측으로 상기 내륜(10) 이나 외륜(20)의 폭(W)의 길이보다 연장된 좌측폭(w1') 및 우측폭(w2')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되어 형성된 외륜 (210)의 측면 중앙부의 둘레 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공(400)을 형성하여, 상기 관통공(400)에 대응되게 형성된 돌기를 구비한 결합부재에 의해 부하 된 축하중을 극복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내륜(100, 110) 또는 외륜(200,210)의 관통공(400)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돌기를 구비한 결합부재에 의한 축하중이 상기 내륜(100,110)이나 외륜(200,210)의 어느 한 곳에만 걸리게 되므로 베어링이 회전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정확한 회전에 의해 마찰이 최소화됨으로써 동력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 9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내륜(10)이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내륜(10)의 타측으로 외륜(20)이 연장형성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베어링은 상호 간의 대응되는 면에 요홈(2)과 결합홈(4)이 형성된 내륜(10) 및 외륜(20)과, 상기 요홈(2)에 양측단 일부위가 삽입된 상태로 끼워진 볼(30)과, 상기 볼(30)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리테이너(40)와, 상기 결합홈(4)에 끼워져 결합되는 커버(50)로 구성되는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내륜(10)을 일측으로 상기 내륜(10) 이나 외륜(20)의 폭(W)의 길이보다 1/3 내지 1배의 길이만큼 연장된 폭(w1')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된 내륜(120)의 타 측으로 상기 내륜(10) 이나 외륜(20)의 폭(W)의 길이보다 1/3 내지 1배의 길이만큼 연장된 폭(w2')을 형성한 외륜(220)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연장된 폭(w1')(w2')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증감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 10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상기 내륜(10) 및 외륜(20)의 일측이 연장형성되고 연장 형성된 내륜(120) 및 외륜(220)에 반구 형상의 장착홈(300)이 구비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종래의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내륜(10)을 일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하여 형성하고, 상기 연장 형성된 내륜(120)의 타측으로 외륜(20)을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하여 외륜(220)을 형성하며, 상기 연장되어 형성된 내륜(120) 및 외륜(220)의 외주면의 중앙부 둘레 상에 일정 간격을 갖는 다수의 장착홈(300)을 형성하여 결합부재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 11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상기 내륜(10) 및 외륜(20)의 일측이 연장형성되고 연장 형성된 내륜(120) 및 외륜(220)에 원형의 관통공(400)이 형성된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종래의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내륜(10)을 일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하여 형성하고, 상기 연장 형성된 내륜(120)의 타측으로 외륜(20)을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하여 외륜(220)을 형성하며, 상기 연장되어 형성된 내륜(120) 및 외륜(220)의 외주면의 중앙부 둘레 상에 일정 간격을 갖는 다수 의 관통공(400)을 형성하여 결합부재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제 12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기어치가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내륜(10) 및 외륜(20)이 연장형성되고, 연장 형성된 내륜(120) 및 외륜(220)의 외주면 가장자리 둘레 상에 다수의 기어치(500)가 형성되며 상기 기어치(500) 사이를 일정 곡률의 치홈(510)이 형성된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종래의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내륜(10)을 일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하여 형성하고, 상기 연장 형성된 내륜(120)의 타측으로 외륜(20)을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하여 외륜(220)을 형성하며, 상기 연장되어 형성된 내륜(120) 및 외륜(220)의 외주면의 가장자리 둘레 상에 다수의 기어치(500)를 형성하여 상기 기어치(500)에 대응되게 형성된 기어치와 치홈을 구비한 결합부재에 의해 부하 된 축하중을 극복하게 된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제 14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기어치가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내륜(10) 및 외륜(20)이 연장형성되고, 연장 형성된 내륜(120)의 내주면 가장자리 둘레 상에 다수의 기어치(500)가 형성되며 상기 기어치(500) 사이를 일정 곡률의 치홈(510)이 형성된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종래의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내륜(10)을 일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하여 형성하고, 상기 연장 형성된 내륜(120)의 타측으로 외륜(20)을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하여 외륜(220)을 형성하며, 상기 연장되어 형 성된 내륜(120)의 내주면의 가장자리 둘레 상에 다수의 기어치(500)를 형성하여 상기 기어치(500)에 대응되게 형성된 기어치와 치홈을 구비한 결합부재에 의해 부하 된 축하중을 극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베어링에 부가 결합 되어 사용되는 결합부재가 장착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베어링에 적용 가능하다.
도 1a는 종래의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베어링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c는 종래의 베어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원형상의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원형상의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c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사각 형상의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d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사각 형상의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e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f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g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사각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h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사각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i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기어치가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j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기어치가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가 장착할 수 있는 원형상의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원형상의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c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사각 형상의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d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사각 형상의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e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f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g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사각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h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사각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i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기어치가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j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기어치가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가 장착할 수 있는 원형상의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원형상의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c는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사각 형상의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d은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사각 형상의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e는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f는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g는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사각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h는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사각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i는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기어치가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j는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기어치가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가 장착할 수 있는 원형상의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원형상의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c는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사각 형상의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d은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사각 형상의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e는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f는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g는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사각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h는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사각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i는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기어치가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j는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기어치가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 5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 5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6c는 본 발명의 제 5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d은 본 발명의 제 5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 6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제 6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7c는 본 발명의 제 6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d은 본 발명의 제 6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제 7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b는 본 발명의 제 7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8c는 본 발명의 제 7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d은 본 발명의 제 7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제 8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b는 본 발명의 제 8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9c는 본 발명의 제 8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d은 본 발명의 제 8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제 9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b는 본 발명의 제 9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베어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제 10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b는 본 발명의 제 10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홈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2a는 본 발명의 제 11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b는 본 발명의 제 11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3a는 본 발명의 제 12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기어치가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b는 본 발명의 제 12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기어치가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4a는 본 발명의 제 13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기어치가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b는 본 발명의 제 13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기어치가 형성된 베어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요홈 4 : 결합홈
10, 100, 110, 120 : 내륜 20, 200, 210, 220 : 외륜
30 : 볼 40 : 리테이너
50 : 커버 300 : 장착홈
400 : 관통공 500 : 기어치
510 : 치홈 W, w1', w2' : 폭

Claims (10)

  1. 상호 간의 대응되는 면에 요홈(2)과 결합홈(4)이 형성된 내륜(10) 및 외륜(20)과, 상기 요홈(2)에 양측단 일부위가 삽입된 상태로 끼워진 볼(30)과, 상기 볼(30)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리테이너(40)와, 상기 결합홈(4)에 끼워져 결합되는 커버(50)로 구성된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내륜(10) 또는 외륜(20)을 일측 또는 양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하여 형성하고, 연장 형성된 내륜(100,110) 또는 외륜(200,210)의 외주면의 중앙부 둘레 상에 일정 간격을 갖는 다수의 장착홈(300)을 형성하여 결합부재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베어링
  2. 상호 간의 대응되는 면에 요홈(2)과 결합홈(4)이 형성된 내륜(10) 및 외륜(20)과, 상기 요홈(2)에 양측단 일부위가 삽입된 상태로 끼워진 볼(30)과, 상기 볼(30)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리테이너(40)와, 상기 결합홈(4)에 끼워져 결합되는 커버(50)로 구성된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내륜(10) 또는 외륜(20)을 일측 또는 양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하여 형성하고, 연장 형성된 내륜(100,110) 또는 외륜(200,210)의 외주면의 중앙부 둘레 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공(4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베어링
  3. 상호 간의 대응되는 면에 요홈(2)과 결합홈(4)이 형성된 내륜(10) 및 외륜(20)과, 상기 요홈(2)에 양측단 일부위가 삽입된 상태로 끼워진 볼(30)과, 상기 볼(30)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리테이너(40)와, 상기 결합홈(4)에 끼워져 결합되는 커버(50)로 구성된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내륜(10) 또는 외륜(20)을 일측 또는 양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하여 형성하고, 연장 형성된 내륜(100,110) 또는 외륜(200,210)의 외주면의 가장자리 둘레 상에 다수의 기어치(500)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치(500) 사이를 일정 곡률의 치홈(5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베어링
  4. 상호 간의 대응되는 면에 요홈(2)과 결합홈(4)이 형성된 내륜(10) 및 외륜(20)과, 상기 요홈(2)에 양측단 일부위가 삽입된 상태로 끼워진 볼(30)과, 상기 볼(30)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리테이너(40)와, 상기 결합홈(4)에 끼워져 결합되는 커버(50)로 구성된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내륜(10) 또는 외륜(20)을 일측 또는 양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하여 형성하고, 연장 형성된 내륜(100,110) 또는 외륜(200,210)의 측면 중앙부의 둘레 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장착홈(3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베어링
  5. 상호 간의 대응되는 면에 요홈(2)과 결합홈(4)이 형성된 내륜(10) 및 외륜(20)과, 상기 요홈(2)에 양측단 일부위가 삽입된 상태로 끼워진 볼(30)과, 상기 볼(30)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리테이너(40)와, 상기 결합홈(4)에 끼워져 결합되는 커버(50)로 구성된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내륜(10) 또는 외륜(20)을 일측 또는 양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하여 형성하고, 연장 형성된 내륜(100,110) 또는 외륜(200,210)의 측면 중앙부의 둘레 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공(4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베어링
  6. 상호 간의 대응되는 면에 요홈(2)과 결합홈(4)이 형성된 내륜(10) 및 외륜(20)과, 상기 요홈(2)에 양측단 일부위가 삽입된 상태로 끼워진 볼(30)과, 상기 볼(30)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리테이너(40)와, 상기 결합홈(4)에 끼워져 결합되는 커버(50)로 구성된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내륜(10)을 일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하여 형성한 내륜(120);과
    상기 연장된 내륜(120)의 타측으로 외륜(20)을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하여 형성한 외륜(2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베어링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되어 형성된 내륜(120) 및 외륜(220)의 외주면의 중앙부 둘레 상에 일정 간격을 갖는 다수의 장착홈(300)을 형성하여 결합부재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베어링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되어 형성된 내륜(120) 및 외륜(220)의 외주면의 중앙부 둘레 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공(4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베어링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되어 형성된 내륜(120) 및 외륜(220)의 외주면의 가장자리 둘레 상에 다수의 기어치(500)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치(500) 사이를 일정 곡률의 치홈(5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베어링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되어 형성된 내륜(120)의 내주면의 가장자리 둘레 상에 다수의 기어치(500)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치(500) 사이를 일정 곡률의 치홈(5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베어링
KR1020090027363A 2009-03-31 2009-03-31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베어링 KR101089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363A KR101089277B1 (ko) 2009-03-31 2009-03-31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베어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363A KR101089277B1 (ko) 2009-03-31 2009-03-31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베어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002A KR20100109002A (ko) 2010-10-08
KR101089277B1 true KR101089277B1 (ko) 2011-12-07

Family

ID=43130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7363A KR101089277B1 (ko) 2009-03-31 2009-03-31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베어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92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9341A (en) * 1977-06-23 1979-01-24 Nippon Seiko Kk Device for fixing inner ring of bearing movable axially
JPS6131719A (ja) 1984-07-20 1986-02-14 Ko Yonehara 転がり軸受
JPS6138218A (ja) 1984-07-31 1986-02-24 Nec Corp ベアリングの固定構造
JP2008286344A (ja) * 2007-05-18 2008-11-27 Ntn Corp 自動車電装・補機用転がり軸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9341A (en) * 1977-06-23 1979-01-24 Nippon Seiko Kk Device for fixing inner ring of bearing movable axially
JPS6131719A (ja) 1984-07-20 1986-02-14 Ko Yonehara 転がり軸受
JPS6138218A (ja) 1984-07-31 1986-02-24 Nec Corp ベアリングの固定構造
JP2008286344A (ja) * 2007-05-18 2008-11-27 Ntn Corp 自動車電装・補機用転がり軸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002A (ko) 201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9727B1 (ko) 파동기어장치의 파동발생기
US9309921B2 (en) Internally-toothed gear unit with composite roller bearing, and wave gear device
EP2351947B1 (en) Gear transmitting device
WO2003029670A1 (fr) Roulement a rouleaux et roulement a deux rangees de rouleaux cylindriques
US7485995B2 (en) Bearing support for use in a motor
JP2014013075A (ja) 特にトンネル装置用のころ軸受
US6920969B2 (en) One-way clutch
KR101163993B1 (ko) 크로스 롤러 베어링, 앵귤러 롤러 베어링 및 크로스 롤러 베어링과 앵귤러 롤러 베어링의 제조 방법
KR101089277B1 (ko) 결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베어링
JP2011007247A (ja) 旋回軸受およびこれを用いた風力発電装置
WO2005103515A1 (ja) 複合転がり軸受
JP5664213B2 (ja) 取付板付転がり軸受ユニット
JP2007530350A (ja) ハンドル取り付けアセンブリ
EP1574754A3 (en) Coupling assembly
EP2730804A1 (en) Epicyclic reduction gear
US7399253B2 (en) Washer and planetary gear set having the same
JP2012167728A (ja) スラストころ軸受用保持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スラストころ軸受
KR100614174B1 (ko) 일방향 클러치
KR19990033596U (ko) 베어링을이용한감속기.
JP2975903B2 (ja) 旋回座軸受
JP2013148116A (ja) 深みぞ玉軸受および軸受装置
CN112513497A (zh) 行星齿轮装置
JP7166099B2 (ja) 遊星歯車装置
JP5874171B2 (ja) 組合せアンギュラ玉軸受
JP2001082488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