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9237B1 -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 - Google Patents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9237B1
KR101089237B1 KR1020110089310A KR20110089310A KR101089237B1 KR 101089237 B1 KR101089237 B1 KR 101089237B1 KR 1020110089310 A KR1020110089310 A KR 1020110089310A KR 20110089310 A KR20110089310 A KR 20110089310A KR 101089237 B1 KR101089237 B1 KR 101089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detector
base
block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석
박진근
진영덕
윤명훈
박상원
Original Assignee
테크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크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테크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9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92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01N23/04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using tomography, e.g. computed tomography [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0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the radiation being X-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50Det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lmo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사체, 디텍터 및 엑스선 발생장치와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으면서도 디텍터가 공간상 전방향으로 제어 가능하고, 부재들의 이동간에 편하중 또는 마모에 의한 이동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 상면에 고정 결합하고 엑스선 발생장치를 결합하는 엑스선 발생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면에 피사체 테이블을 안착하는 테이블 블록, 상기 테이블 블록을 기준으로 상기 엑스선 발생부에 대향하는 부위에 배치되고, 일측에 디텍터가 전후방향 및 높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검출부, 상면에서 상기 검출부를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검출부 블록 및 상기 검출부 블록의 전방 및 후방에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의 중심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검출부 블록의 편하중 또는 부품 마모시 이동 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롤러를 구비하는 검출부 텐션부를 포함하는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를 제공한다. 따라서, 디텍터가 공간상 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면서도 피사체와의 거리를 자유롭게 조정 가능하며, 부재의 이동간의 신뢰성을 텐션 제공수단을 통해 보장함으로써 검사의 효율성 및 정확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X-RAY ANALYSIS APPARATUS HAVING TENSION PROVIDING MEANS}
본 발명은 엑스선 검사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피사체, 디텍터 및 엑스선 발생장치와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으면서도 디텍터가 공간상 전방향으로 제어 가능하고, 부재들의 이동간에 편하중 또는 마모에 의한 이동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엑스선 CT 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상호 대향 배치된 엑스선 원(source)과 엑스선 검출기 사이에 엑스선 광축과 직교하는 축주위를 회전하는 회전 스테이지가 배치된다.
엑스선들은 그 회전 스테이지에 피사체를 유지한 상태에서 피사체 상에 조사된다. 엑스선 투과 데이터는 소정의 미소 각도로 회전 스테이지를 회전시킬 때마다 엑스선 검출기로부터 얻어진다. 스테이지의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에 따른 피사체의 단층상이 상기 획득한 엑스선 투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구성된다.
스테이지는 통상 엑스선 광축(X축의 방향) 및 그에 수직인 방향들에서(Y축 및 Z 축의 방향들)에서 이동 기구에 의해 이동한다. 회전축에 수직인 두 방향(x축 및 y 축의 방향들)에서 피사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 스테이지 상에 xy 테이블을 구비한 엑스선 CT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엑스선 CT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엑스선 발생장치(1)에 대향해서 엑스선 검출기(2)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의 사이에 기계장치 등의 피사체를 회전하기 위한 스테이지(3)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스테이지(3)에는 피사체 등을 안착하기 위한 테이블(5)이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CT 장치는 주로 자동차 엔진 등과 같은 큰 피사체의 CT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장비로서, 정확한 영상획득을 위하여 엑스선 발생장치와 피사체와의 거리 및 피사체와 검출기와의 거리가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와 같은 거리 등과 같은 변수를 제어하기 위하여 구동장치가 필요한데, 구동하는 과정에서 장치들의 편하중에 의한 기울어짐이나 장기간 구동에 의한 초점의 불량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는 일반적인 CT장비에서도 발생하지만 특히 산업용 CT장비와 같이 피사체의 부피와 질량이 큰 경우에는 심각한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결국, 편하중 및 내구성의 문제는 물질 분석 성능의 저하를 가져오는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엑스선 검사장비에서 다양한 팩터를 조정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내구성 및 편하중에 의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엑스선 검사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사체를 안착하는 테이블과 검출부의 수평이동 수단을 구비하면서, 검출부가 3축으로 입체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편하중의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어 사용 정밀성이 극대화되는 엑스선 검사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 상면에 고정 결합하고 엑스선 발생장치를 결합하는 엑스선 발생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면에 피사체 테이블을 안착하는 테이블 블록, 상기 테이블 블록을 기준으로 상기 엑스선 발생부에 대향하는 부위에 배치되고, 일측에 디텍터가 전후방향 및 높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검출부, 상면에서 상기 검출부를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검출부 블록 및 상기 검출부 블록의 전방 및 후방에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의 중심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검출부 블록의 편하중 또는 부품 마모시 이동 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롤러를 구비하는 검출부 텐션부를 포함하는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를 제공한다. 따라서, 디텍터가 공간상 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면서도 피사체와의 거리를 자유롭게 조정 가능하며, 부재의 이동간의 신뢰성을 텐션 제공수단을 통해 보장함으로써 검사의 효율성 및 정확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는, 상기 베이스는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메인레일을 결합하고, 상기 테이블 블록 및 상기 검출부 블록의 하측에는 가이드 수단이 형성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시 전후방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를 제공한다. 따라서, 피사체와 디텍터의 이동 정확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는, 상기 테이블 블록 및 검출부 블록은 각각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독립적으로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에서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를 제공한다. 따라서, 피사체의 검사 능력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는, 상기 검출부는, 내부에 구동수단 및 전자기적 부품을 수용하는 검출부 하우징, 일면에 높이방향으로 길게 결합하는 수직레일, 상기 수직레일에 대해 높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전후방으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수직이동 브라켓, 상기 수직이동 브라켓의 일면에 전후방으로 길게 결합하는 수평레일 및 일측에 디텍터를 결합하고 상기 수평레일에 대해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디텍터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를 제공한다. 따라서, 디텍터가 정확하게 3축에 대해 이동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는, 상기 검출부 텐션부는, 상기 검출부 블록의 전방 및 후방의 면에 고정결합하는 텐션 브라켓 및 상기 텐션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베이스의 전방 및 후방의 면에 외주면이 밀착하여 상기 검출부 블록의 이동시 상기 베이스의 중심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롤러로 이루어지는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동시 마찰력이 최소화되면서도 정확한 힘의 전달이 가능하여 작동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는, 상기 롤러는 탄성을 가진 수지재질로서 이루어지는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를 제공한다. 따라서,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검사의 정확도가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는, 상기 검출부 텐션부는, 상기 텐션 브라켓에 고정결합하는 롤러 지지부, 상기 롤러 지지부에 전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일측 상면에 상기 롤러를 결합하는 롤러 브라켓부 및 상기 롤러 브라켓부에 상기 베이스의 중심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를 제공한다. 따라서, 탄성력의 제공이 정확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는, 상기 텐션 브라켓은, 상측에서 상기 검출부 블록의 전방 및 후방의 면에 결합하고, 하측에서 상기 베이스의 외주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롤러를 지지하며, 상기 절곡 부위에서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롤러에 상기 베이스의 중심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를 제공한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안정되면서도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는, 상기 테이블 블록의 전방 및 후방에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의 중심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검출부 블록의 편하중 또는 부품 마모시 이동 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롤러를 구비하는 테이블 텐션부를 더 포함하는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를 제공한다. 따라서, 피사체의 이동시 정확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는, 베이스의 일측에 엑스선 발생부가 고정되고, 검출부와 테이블 블록이 메인레일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모든 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개념을 제공한다.
또한, 검출부는 z축 방향의 이동을 보장할 수 있는 수직이동 브라켓 및 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디텍터 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디텍터가 공간상에 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개념을 제공한다.
또한, 검출부 텐션부는 상기 검출부의 하측에서 베이스의 중심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디텍터의 치우침이나 부재들의 마모에 의한 이동 오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테이블 텐션부는 테이블 블록의 이동 오차를 방지한다.
따라서, 다양한 피사체나 물질의 구조 검사시 효율적으로 입사 및 산란 조건을 조정할 수 있으면서도 부재들의 치우침이나 부품의 마모에 의한 작동 신뢰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X선 검사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난 텐션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다른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기본적으로 본 밟명은 엑스선 발생장치(미도시), 피사체 테이블(미도시) 및 디텍터(미도시)를 결합하기 위한 검사장비의 기본 골격의 개념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엑스선 발생부는 클로즈드 타입의 고전압 엑스선 발생기나 오픈 타입의 엑스선 발생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전파를 이용하여 물질의 구조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파장의 전자기파를 발생할 수 있는 장비라면 엑스선 발생부에 채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디텍터 및 피사체 테이블의 구조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는 기본적으로 지면 또는 바닥면에 대해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의 베이스(500),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결합하고 엑스선 발생장치를 타측을 향하여 지향하도록 배치되는 엑스선 발생부(300), 피사체 테이블이 안착되는 테이블 블록(400) 및 상기 테이블 블록(400)를 기준으로 엑스선 발생부(300)에 대향하는 타측에 배치되는 검출부(200)로 이루어진다.
이하, 베이스(500)의 엑스선 발생부(300)가 배치되는 측을 일측, 그 대향하는 부위를 타측으로 정의하고, 길이방향의 양 측면을 전방 및 후방으로 정의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상기 엑스선 발생부(300)는 베이스(500)의 타측 상부에 결합하여 고정되고, 상기 테이블 블록(400)과 검출부(200)는 베이스(5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500)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메인레일(510)이 배치된다.
상기 메인레일(510)은 베이스(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이동 간의 흔들림이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베이스(500)의 전방 모서리 및 후방 모서리 부위에 인접하여 2개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이블 블록(400)의 하측에는 상기 메인레일(510)을 따라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는 소정의 가이드 수단(미표시)이 구비되는데,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테이블 블록(400)의 전후방으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모양이면 족하다.
또한, 상기 테이블 블록(400)은 독자적으로 베이스(500)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구동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는 외부의 제어전력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또한, 검출부(200)는 디텍터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물을 일측에 구비하고 내부에 전자기적 부품들을 수용할 수 있는 검출부 하우징(230) 및 상기 검출부 하우징(230)의 하측에서 상기 메인레일(510)에 대해 검출부(200)의 이동을 지지하기 위한 검출부 블록(240)이 결합된다.
상기 검출부 블록(240)은 상기 테이블 블록(400)과 마찬가지로 하측에 상기 메인레일(51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는 소정의 가이드 수단(미표시)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검출부 블록(240)의 전후방으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검출부 블록(240)은 독자적으로 베이스(500)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구동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는 외부 제어전력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짐에 따라, 검출부(200)와 테이블 블록(400)이 각각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피사체와 엑스선 발생장치 및 디텍터 간의 거리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디텍터가 공간에 대해 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 메인레일(510)을 따른 이동 방향을 x축으로 정의하고, 상기 베이스(500)의 전방 및 후방으로의 이동 방향을 y축으로 정의하며, 높이방향을 z축으로 정의하여 사용한다.
상기 테이블 블록(400) 및 검출부(200)의 x축 방향의 이동을 위한 구조는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 검출부(200)는 내부 및 일측에 디텍터의 y축 및 z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를 더 구비하는데,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검출부 하우징(230)은 일측에 높이방향으로 z축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수직레일(211)이 구비된다. 상기 수직레일(211)은 바람직하게는 디텍터의 수직 이동을 정확하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전후방에 각각 하나씩 검출부 하우징(230)의 높이방향으로 두 개가 배치된다.
상기 수직레일(211)에는 수직이동 브라켓(210)이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한다. 상기 수직이동 브라켓(210)은 전후방으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이동 브라켓(210)은 타측에 상기 수직레일(211)과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수직이동 가이드(212)가 구비된다. 상기 수직이동 가이드(212)는 수직레일(211)의 전후방 위치에 대응되는 수직이동 브라켓(210)에 배치된다.
수직이동 브라켓(210)의 일측에는 디텍터의 전후방 즉, y축 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는 수평레일(221)이 구비된다. 상기 수평레일(221)은 상기 수직이동 브라켓(210)의 길이방향 즉 전후방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정확한 y축 방향 이동을 위하여 상하단에 인접하여 두 개가 배치된다.
디텍터는 디텍터 지지부(220)의 일측에 결합하게 되는데, 상기 디텍터 지지부(220)는 타측에서 상기 수평레일(221)을 따라 이동을 가이드하며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평이동 가이드(222)가 배치된다.
상기 수직이동 가이드(212)와 수평이동 가이드(222)는 각각 독립적으로 z축 및 y축 방향으로의 디텍터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각각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수직이동 가이드(212), 수평이동 가이드(222) 및 테이블 블록(40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구동부는 롤러는 구비한 모터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211, 221, 510)들은 긴 봉 형상의 스크류로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의 가이드(212, 222)는 너트로서 이루어져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따른 볼너트의 이동원리를 이용하여 이동이 제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검출부 하우징(230)은 내부에 상기 디텍터의 이동을 위한 구동부 및/또는 제어를 위한 전자기적 부품들을 수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검출부(200)는 디텍터가 x, y 및 z축 방향으로 전방향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테이블 블록(400)의 상측에 배치되는 피사체 또는 물질의 구조를 다각도로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의 문제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디텍터 및 테이블이 이동하는 구조를 이룸에 따라 편하중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장기간의 사용에 따라 가이드 부위 또는 레일이 마모되어 이동의 편차가 발생하여 측정 결과가 부정확해질 우려가 존재한다.
특히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디텍터가 y축방향 즉,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디텍터가 상기 베이스(500)의 모서리 부위를 벗어난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배치될 때 편하중에 의한 문제는 더욱 심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엑스선 검사장비가 검출부(200) 및/또는 테이블 블록(400)에 베이스(500)의 중심축 방향으로 텐션을 제공할 수 있는 텐션부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텐션부의 구조는 도 3을 기초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난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의 검출부 텐션부의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텐션(tension)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상기 텐션은 베이스(500)의 중심축 방향, 더욱 정확하게는 수평 단면상의 중심방향을 의미하는 소정의 탄성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검출부 텐션부(600)가 도시되는데, 상기 검출부 텐션부(600)는 상기 검출부 블록(240)의 전방 및 후방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텐션부재를 고정하는 텐션 브라켓(610), 상기 텐션 브라켓(610)에 결합하고 하측에 롤러 브라켓부(621)를 결합하는 롤러 지지부(620) 및 상기 롤러 브라켓부(621)에 결합하는 롤러(6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630)는 원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베이스(500)의 중심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검출부 텐션부(600)는 각각 검출부 블록(240)의 전방 및 후방에 양측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롤러(630)를 통하여 내주방향으로 유동을 고정하게 되므로, 상기 검출부 블록(240)의 메인레일(510)을 따른 정확한 이동을 보장하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롤러(630)를 통하여 베이스(500)의 중심 방향으로 텐션을 제공하기 위한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텐션 브라켓(610)은 2개의 절곡 부위로 이루어진 3 단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일 상측 부위에서는 검출부 블록(240)의 전방 또는 후방측의 측면에 고정결합하게 되고, 절곡 부위를 통하여 베이스(500)의 외주방향으로 연장되고, 가장 하측 부위에서는 롤러(630)를 지지하면서 롤러(630)의 외주면에 베이스(500)의 면에 정확하게 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롤러(630)가 베이스(500)의 전방 또는 후방의 면에 밀착하기 위하여는 롤러(630)가 탄성력을 제공하여야 하는데, 제1실시예로서 롤러는 러버나 수지재 등의 탄성 재질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롤러(630)의 중심축은 롤러 브라켓부(621)에 고정되고 롤러 브라켓부(621)와 롤러 지지부(620)는 일체로서 이루어져 텐션 브라켓(610)과 고정결합될 수 있다.
제2실시예로서, 상기 롤러 브라켓부(621)와 롤러(630)의 결합시 회전축에 베이스(500)의 내주방향으로 힘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수단은 판스프링이나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제3실시예로서, 상기 롤러(630), 롤러 브라켓부(621) 및 롤러 지지부(620)가 텐션 브라켓(610)과 고정결합되고, 상기 텐션 브라켓(610)은 전후방으로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텐션 브라켓(610)은 자체의 탄성력으로써 롤러(630)에 베이스(500)의 중심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4실시예로서, 상기 롤러 브라켓부(621)는 일측 상면에 롤러(630)를 결합하면서 타측에서 롤러 지지부(620)의 하면과 결합시 소정의 회전축을 구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롤러 브라켓부(621)의 롤러 지지부(620)에 대한 회전시 베이스(500)의 중심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검출부 블록(240)의 전후방으로 형성된 검출부 텐션부(6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검출부 텐션부(600)의 구조는 테이블 텐션부(70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때, 테이블 블록(400)은 전방 및 후방에 테이블 텐션부(700)를 구비함으로써 편하중 또는 마모에 의한 수평 이동간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베이스(500)의 일측에 엑스선 발생부(300)가 고정되고, 검출부(200)와 테이블 블록(400)이 메인레일(510)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모든 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개념을 제공한다.
또한, 검출부(200)는 z축 방향의 이동을 보장할 수 있는 수직이동 브라켓(210) 및 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디텍터 지지부(220)를 구비함으로써 디텍터가 공간상에 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개념을 제공한다.
또한, 검출부 텐션부(600)는 상기 검출부(200)의 하측에서 베이스(500)의 중심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디텍터의 치우침이나 부재들의 마모에 의한 이동 오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테이블 텐션부(700)는 테이블 블록(400)의 이동 오차를 방지한다.
따라서, 다양한 피사체나 물질의 구조 검사시 효율적으로 입사 및 산란 조건을 조정할 수 있으면서도 부재들의 치우침이나 부품의 마모에 의한 작동 신뢰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엑스선 검사장비 200...검출부
210...수직이동 브라켓 211...수직레일
212...수직이동 가이드 220...디텍터 지지부
221...수평레일 222...수평이동 가이드
230...검출부 하우징 240...검출부 블록
300...엑스선 발생부 400...테이블 블록
500...베이스 600...검출부 텐션부
610...텐션 브라켓 620...롤러 지지부
621...롤러 브라켓부 630...롤러
700...테이블 텐션부

Claims (9)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 상면에 고정 결합하고 엑스선 발생장치를 결합하는 엑스선 발생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면에 피사체 테이블을 안착하는 테이블 블록;
    상기 테이블 블록을 기준으로 상기 엑스선 발생부에 대향하는 부위에 배치되고, 일측에 디텍터가 전후방향 및 높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검출부;
    상면에서 상기 검출부를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검출부 블록; 및
    상기 검출부 블록의 전방 및 후방에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의 중심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검출부 블록의 편하중 또는 부품 마모시 이동 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롤러를 구비하는 검출부 텐션부;를 포함하는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메인레일을 결합하고, 상기 테이블 블록 및 상기 검출부 블록의 하측에는 가이드 수단이 형성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시 전후방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블록 및 검출부 블록은 각각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독립적으로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에서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내부에 구동수단 및 전자기적 부품을 수용하는 검출부 하우징, 일면에 높이방향으로 길게 결합하는 수직레일, 상기 수직레일에 대해 높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전후방으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수직이동 브라켓, 상기 수직이동 브라켓의 일면에 전후방으로 길게 결합하는 수평레일 및 일측에 디텍터를 결합하고 상기 수평레일에 대해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디텍터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 텐션부는,
    상기 검출부 블록의 전방 및 후방의 면에 고정결합하는 텐션 브라켓 및 상기 텐션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베이스의 전방 및 후방의 면에 외주면이 밀착하여 상기 검출부 블록의 이동시 상기 베이스의 중심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롤러로 이루어지는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탄성을 가진 수지재질로서 이루어지는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 텐션부는,
    상기 텐션 브라켓에 고정결합하는 롤러 지지부, 상기 롤러 지지부에 전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일측 상면에 상기 롤러를 결합하는 롤러 브라켓부 및 상기 롤러 브라켓부에 상기 베이스의 중심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브라켓은, 상측에서 상기 검출부 블록의 전방 및 후방의 면에 결합하고, 하측에서 상기 베이스의 외주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롤러를 지지하며, 상기 절곡 부위에서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롤러에 상기 베이스의 중심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블록의 전방 및 후방에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의 중심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검출부 블록의 편하중 또는 부품 마모시 이동 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롤러를 구비하는 테이블 텐션부;를 포함하는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
KR1020110089310A 2011-09-03 2011-09-03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 KR101089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310A KR101089237B1 (ko) 2011-09-03 2011-09-03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310A KR101089237B1 (ko) 2011-09-03 2011-09-03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9237B1 true KR101089237B1 (ko) 2011-12-02

Family

ID=45505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310A KR101089237B1 (ko) 2011-09-03 2011-09-03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92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664B1 (ko) * 2016-12-13 2018-06-0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초음파탐상검사장치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664B1 (ko) * 2016-12-13 2018-06-0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초음파탐상검사장치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3621B2 (en) Source and/or detector positioning system
JP6402720B2 (ja) X線装置
CN103239247B (zh) C形臂设备和带有c形臂变形和振动补偿的方法
CN105102966B (zh) 通过断层摄影用于轮胎无损检测的装置和方法
JP2005527800A (ja) 大視野の対象物を画像化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22212871A1 (en) Transport system with curved tracks for multiple pulsed x-ray source-in-motion tomosynthesis imaging
US9312038B2 (en) X-ray diaphragm mechanism and X-ray CT apparatus
US9014340B2 (en) Radiation tomography system, radiation detecting device, and spatial resolution changing method for radiation tomography
KR101209518B1 (ko) 헬리컬 ct장치
JP2015523548A (ja) X線検出器およびx線システム
JP2012090805A (ja) 放射線撮影装置及び放射線撮影システム
CN103096607A (zh) 计算机断层成像设备机架的直线调节装置和有关成像设备
JP6685078B2 (ja) X線回折装置およびx線回折装置駆動方法
WO2014148266A1 (ja) X線撮影装置
KR101089237B1 (ko) 텐션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엑스선 검사장비
CZ306843B6 (cs) Víceosé zařízení pro provádění rentgenových měření, zejména počítačové tomografie
US20190101496A1 (en) Radiation phase contrast imaging apparatus
JP2014128412A (ja) X線透視装置
KR101608669B1 (ko) 빔스토퍼장치
KR101516315B1 (ko) 방사선조사 스테이지 이동제어장치
US11992357B2 (en) Transport system with curved tracks for multiple pulsed X-ray source-in-motion tomosynthesis imaging
JP4409865B2 (ja) 核医学診断装置
JP5851178B2 (ja) X線ct装置
CN212780582U (zh) 一种工业ct同轴机构
JP6243414B2 (ja) イメージングシステム被験者支持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