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8002B1 - 화면 확대를 지원하는 단말, 단말의 화면 확대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화면 확대를 지원하는 단말, 단말의 화면 확대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8002B1
KR101088002B1 KR1020090090618A KR20090090618A KR101088002B1 KR 101088002 B1 KR101088002 B1 KR 101088002B1 KR 1020090090618 A KR1020090090618 A KR 1020090090618A KR 20090090618 A KR20090090618 A KR 20090090618A KR 101088002 B1 KR101088002 B1 KR 101088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magnifying glass
display area
magnification
enlarge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2884A (ko
Inventor
이용규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90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8002B1/ko
Publication of KR20110032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화면 확대를 지원하는 단말, 단말의 화면 확대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문자, 그림 및 확대 표시 영역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확대경 기능이 선택되면, 확대경의 모양 및 크기, 상기 확대경의 배율을 입력받고, 상기 확대경의 좌표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확대경의 모양 및 크기로 결정되는 확대 표시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상기 확대경의 좌표를 이동시키며, 상기 확대경의 좌표에서 화면을 상기 배율만큼 확대하여 상기 확대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확대 표시 영역의 테두리에 상기 확대경의 좌표를 나타내는 바(Bar)를 표시하는 화면 확대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면 확대를 지원하는 단말, 단말의 화면 확대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Termnal device supporting enlargement of screen, Method for enlarging screen of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단말의 화면 표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면 확대를 지원하는 단말, 단말의 화면 확대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휴대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RF부(153)는 휴대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RF부(15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150)은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55)는 코덱을 구성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55)는 모뎀(150)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어 송신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모뎀(15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코덱은 별도로 구비되거나 또는 제어부(100)에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부(11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선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카메라부(13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하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영상처리부(140)는 카메라부(13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처리부(140)는 카메라부(13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영상처리부(140)는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영상처리부(140)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제 어부(100)의 제어하에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160)는 영상처리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제어부(10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부(160)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될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표시부(160)는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키입력부(120)는 일반적인 키 매트릭스 구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며 문자키, 숫자키, 각종 기능키 및 외부 볼륨 키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신호를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제어부(100)는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모뎀(150) 및 코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방식으로 화면을 확대하고 확대 방법을 동적으로 변경함으로써,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확대경의 화면 이동이 간편하고, 화면에서의 확대경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바로 알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면 확대를 지원하는 단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화면이 작은 단말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화면을 확대하고 확대 방법을 동적으로 변경함으로써,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화면에서의 확대경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바로 알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말의 화면 확대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단말의 화면 확대 방법을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로서, 컴퓨터 시스템이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확대를 지원하는 단말은 문자, 그림 및 확대 표시 영역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확대경 기능이 선택되면, 확대경의 모양 및 크기, 상기 확대경의 배율을 입력받고, 상기 확대경의 좌표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확대경의 모양 및 크기로 결정되는 확대 표시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상기 확대경의 좌표를 이동시키며, 상기 확대경의 좌표에서 화면을 상기 배율만큼 확대하여 상기 확대 표 시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확대 표시 영역의 테두리에 상기 확대경의 좌표를 나타내는 바(Bar)를 표시하는 화면 확대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화면 확대 방법은 상기 단말에서 확대경 기능이 선택되면, 확대경의 모양 및 크기, 상기 확대경의 배율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화면에 상기 확대경의 모양 및 크기로 결정되는 확대 표시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확대경의 좌표가 이동하면, 상기 확대경의 좌표의 화면을 상기 배율만큼 확대하여 상기 확대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확대 표시 영역의 테두리에 상기 확대경의 좌표를 나타내는 바(Bar)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면, 화면이 작은 단말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화면을 확대하고 확대 방법을 동적으로 변경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확대경의 화면 이동이 간편하고, 확대경의 화면에서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바로 알 수 있어 조작성이 향상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휴대폰 등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스크린이 작아 문자메시지의 문자 크기, 이미지의 크기 등이 제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단말에 화면의 부분 또는 전 체를 확대시킬 수 있는 확대경 기능을 추가하여 작은 문자나 이미지 등을 확대하여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작은 화면에 많은 정보를 표현하기 위해서 화면을 축소하여 표시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단말에서 확대경을 이용한 확대 축소를 동적으로 가능하게 하고, 확대경의 크기를 동적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확대경의 모양을 동적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화면을 확대하고 확대 방법을 동적으로 변경 가능하게 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화면이 작은 단말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화면을 확대하고 확대 방법을 동적으로 변경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확대 표시 영역의 테두리에 확대경의 위치를 바 형태로 표시하여 화면의 어느 부분의 확대되고 있는지 시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바 형태의 표시 방법으로 테두리 중 일부에 다른 색깔을 부여하거나 테두리보다 굵은 바를 사용하는 등의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화면의 어느 영역을 확대한 것인지 전체 화면에서 위치를 확인해보지 않더라도 확대 표시 영역만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다. 확대 표시 영역의 크기를 크게하여 확대할 때는 화면이 확대 표시 영역에 의해 가려지게 되므로 확대경의 화면내 위치를 확인하기 어렵다. 그러나, 상술한 확대경 위치 표시 방법을 적용하면 확대 표시 영역만으로도 정확한 화면내 위치 식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화면의 왼쪽의 끝과 오른쪽의 끝이 원통형으로 연결 된 것으로 취급하여 화면의 오른쪽 끝에서 왼쪽 끝으로의 확대경의 이동과 그 반대 방향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고, 마찬가지로 화면의 위쪽 끝과 아래쪽 끝이 원통형으로 연결된 것으로 취급하여 화면의 위쪽 끝에서 아래쪽 끝으로의 확대경의 이동과 그 반대 방향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기존의 방법으로는 화면의 왼쪽 끝에서 오른 쪽 끝으로 확대경을 이동하려면 화면의 가로축의 길이만큼 이동하여야 한다. 그 반대 방향의 이동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양쪽 끝 사이의 이동이 매우 간단하다. 마찬가지로 위쪽 끝과 아래쪽 끝간의 이동도 기존 방식으로는 세로축 길이만큼 이동하여야 하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위쪽 끝과 아래쪽 끝 사이의 이동이 편리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확대를 지원하는 단말(200)을 도시한 것이다.
디스플레이(210)는 문자, 그림 및 확대 표시 영역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210)는 도 1의 표시부(160)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사용자 입력부(220)는 확대경 기능 선택, 확대경의 모양 및 크기, 확대경의 배율 등의 정보를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부(220)는 확대경 기능이 선택된 이후에는 확대경의 모양 및 크기, 확대경의 배율을 입력받고, 확대경의 좌표를 입력받는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20)를 통해 메뉴에서 원이나 사각형 등의 확대경의 모양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확대할 부분은 확대경 모양이 원인 경우는 커서의 위치를 중심으로 반지름 r 인 면적의 화면이며, 사각형인 경우는 커서 위치를 중심으로 (가로 * 세로)의 면적에 해당하는 화면이다. 전체 화면확대는 확대경의 크기가 전체 화면을 차지하도록 한다. 사용자 입력부(220)는 키패드 또는 터치 패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화면 확대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210)에 확대경의 모양 및 크기로 결정되는 확대 표시 영역을 생성(표시)한다. 화면 확대 제어부(230)는 사용자 입력부(220)의 입력에 따라 확대경의 좌표를 이동시키며, 확대경의 좌표의 화면을 배율만큼 확대하여 확대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 화면 확대는 확대경의 현재 좌표에서 확대경의 영역에 해당하는 화면의 해상도, 문자의 폰트 크기 등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체 화면 중 확대경의 위치는 확대경 상에 화면 맵을 만들어 좌표를 점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확대경의 위치는 확대 표시 영역 또는 확대경 테두리 상에 바(Bar)의 형태로 표시할 수도 있다. 테두리 상에 굵게 표시되는 바(Bar)들은 확대경의 이동 정도에 비례하여 위치가 이동하고, 확대경의 배율에 따라 그 길이가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확대경이 좌우의 가장 자리 끝에 걸쳐 있는 경우 가로 좌표를 나타내는 바도 확대 표시 영역 또는 확대경 테두리의 좌우 양끝에 걸쳐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확대경이 상하의 가장 자리 끝에 걸쳐 있는 경우 세로 좌표를 나타내는 바도 확대 표시 영역 또는 확대경 테두리의 상하 양끝에 걸쳐 있게 된다. 한편, 확대경의 가로 좌표 및 세로 좌표를 나타내는 바들은 확대경이나 확대 표시 영역이 아니라, 전체 화면의 테두리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화면 확대 제어부(230)는 문자를 확대할 때 확대경의 일부가 화면의 가장 자리 끝에 도달하거나 가장 자리 끝을 넘어가는 경우, 확대 표시 영역에 표시된 문자와 문자 스트림상으로 연결된 문자들을 확대하여 확 대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 문자 확대시에 텍스트 스트림을 처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휴대폰의 문자 메시지나 한글 문서 등처럼 문서 작성 시에 줄바꿈 기호(엔터 키)를 사용하지 않았으나 화면의 제약으로 줄바꿈이 일어나게된 텍스트는 확대경 이용시에 스트림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텍스트를 읽으면서 확대경을 우측으로 이동할 때 확대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텍스트의 내용도 연속적이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처리하면, 텍스트를 확대경으로 읽으면서 좌우로 되풀이 이동하지 않아도 된다. 줄바꿈 기호가 사용된 경우에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트림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때는 줌바꿈 기호를 무시하고 텍스트 메시지 전체를 하나의 스트림으로 처리하면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화면 확대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단말에서 확대경 기능이 선택될 때까지 대기한다(S310).
확대경 기능이 선택되면, 확대경의 모양 및 크기, 확대경의 배율(확대 비율 또는 축소 비율)을 입력받는다(S320). 축소 비율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화면을 축소하여 많은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다음, 화면에 확대경의 모양 및 크기로 결정되는 확대 표시 영역을 생성(표시)하고, 확대 표시 영역에 화면의 일부를 확대하여 표시한다(S330). 문자 메시지 작성 화면, 문자 메시지 확인 화면, 이미지 메시지 확인 화면 등 화면에 표시되는 모든 정보를 확대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따라 확대경의 좌표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이동한 좌표에서 확대 영역 만큼의 화면을 배율만큼 확대하여 확대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 이때, 화면을 좌우가 연결된 원통형으로 취급하면 좌우의 한쪽 끝에서 반대편 끝으로의 이동이 간단하다. 이 경우, 확대 표시 영역은 화면의 우단과 좌단을 함께 보도록 해줄 수 있다. 또한, 확대경이 화면의 가장 자리 중 한쪽 끝을 임계 비율 이상 이동하면, 확대경이 곧바로 반대쪽 끝에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즉, 확대경의 영역 중 가장 자리 끝을 넘어간 영역의 비율이 단말에서 미리 정한 임계 비율 이상이 되면, 확대경의 좌표를 반대쪽 끝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확대경이 화면의 가장 자리 끝에 도달하거나 가장 자리 끝을 넘어가는 경우 확대 표시 영역에 문자가 표시되면, 확대 표시 영역에 표시된 문자들에 스트림 상으로 연결된 문자들을 연이어 표시할 수도 있다.
확대경의 좌표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확대 표시 영역의 테두리에 확대경의 좌표를 나타내는 바(Bar)를 표시한다(S340). 테두리 상에 굵게 표시되는 바(Bar)들은 확대경의 이동 정도에 비례하여 위치가 이동하고, 확대경의 배율에 따라 그 길이가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서 확대경의 모양이 사각형이 아닌 경우의 바 표시 과정(S340)의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사각형이 아닌 확대경을 포함하는 최소 경계 사각형(MBR, Minimum Bounding Rectangle)을 구한다(S441).
다음, 구해진 최소 경계 사각형 상에서 확대경의 위치를 나타내는 바를 표시할 좌표 및 바의 길이를 계산한다(S442).
마지막으로, 위에서 계산된 바의 좌표 및 바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확대 표시 영역 또는 확대경 테두리를 따라 바를 표시한다(S443). 확대 표시 영역 테두리에 표시된 바의 형태는 도 7e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스트림 상으로 연결되는 문자들 또는 다음 행의 문자들을 복사한다(S441).
다음, 확대 표시 영역에 다음 행에서 복사한 문자들을 표시할 공간이 부족하면(S442), 확대 표시 영역 안의 기존 문자들을 왼쪽으로 이동시킨다(S443).
이후, 확대 표시 영역에 마련된 공간에 스트림 상의 다음 문자 또는 다음 행의 문자들을 기존 문자들과 연결하여 표시한다(S464). 확대 표시 영역에 스트림 상의 다음 문자 또는 다음 행에서 복사한 문자들을 표시할 공간이 부족하지 않다면(S462), 기존 문자를 시프트하지 않고, 곧바로 스트림 상으로 연결되는 문자들 또는 다음 행의 문자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화면 확대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화면 확대 중에도 확대경의 비율을 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먼저, 단말에서, 화면에 확대경의 모양 및 크기로 결정되는 확대 표시 영역을 생성(표시)하고, 확대 표시 영역에 화면의 일부를 확대하여 표시한다(S510). 사용자 입력에 따라 확대경의 좌표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이동한 좌표에서 확대 영역 만큼의 화면을 배율만큼 확대하여 확대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
다음, 단말에서 확대경 변경 요청이 입력되면(S520), 확대경의 모양 및 크기, 확대경의 배율을 입력받는다(S530). 확대경 변경 요청이 입력되지 않으 면(S520), 화면 확대 표시 과정(S510)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단말의 화면에 새로 입력된 확대경의 모양 및 크기로 결정되는 확대 표시 영역을 재생성(표시)한다(S540). 재생성된 확대 표시 영역에는 새로 입력된 확대경의 모양, 크기, 배율에 따라 확대된 화면의 일부가 표시된다.
다음, 확대경 기능이 종료되면(S550), 모든 절차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화면 확대 표시 과정(S510)부터 반복한다.
도 6a 내지 6e는 도 3에서 확대경(620)의 이동에 따라 확대 표시 영역(630)에 표시되는 내용이 변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화면(600)을 좌우가 연결된 원통형으로 취급하면 좌우의 한쪽 끝에서 반대편 끝으로의 이동이 간단하다. 즉, 확대경(620) 사용시의 좌우의 이동거리를 줄일 수 있다. 좌우가 연결된 원통형 화면은 왼쪽 끝과 우측 끝이 한 픽셀(또는 화면 표시 최소 단위)을 간격으로 서로 연결된 것으로 취급한다. 즉, 오른쪽 끝 픽셀의 다음 픽셀이 왼쪽 끝의 픽셀이 된다. 이는 도 6d와 같이, 화면과 같은 형태의 사각형 종이를 좌단과 우단을 풀로 이어 붙인 것과 같다.
이 경우, 확대 표시 영역(630)은 화면의 우단에서 좌단으로 이동하는 도중에는 화면(600)의 우단과 좌단을 함께 보여주다가 완전히 이동하면 좌단 부분을 보여주게 된다. 화면의 좌단에서 우단으로의 반대 방향의 이동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처리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확대경(620)이 우로 한 칸(글자) 이동할 때마다 확대 표시 영역(630)의 표시가 달라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확대경(620)이 우측으로 이동할 때마다 좌측 끝의 글자도 확대 표시 영역(630)에 표시된다. 도 6d는 도 6c의 화 면(600)을 원통형으로 취급하는 경우에, 화면의 좌단(621)과 우단(622)가 연결되어 표시되는 원리를 도시한 것이다. 확대경(620)이 우측 끝에서 계속하여 확대경의 가로폭만큼 우측으로 이동하면, 도 6e와 같이 확대경(620)이 화면의 좌측 끝 부분부터 내용을 보여주게 된다.
또한, 화면(600)을 상하가 연결된 원통형으로 취급하면 상하의 한쪽 끝에서 반대편 끝으로의 이동이 간단하다. 즉, 확대경(620) 사용시의 상하의 이동거리를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확대 표시 영역(630)은 화면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하는 도중에는 화면(600)의 상단과 하단을 함께 보여주다가 완전히 이동하면 하단 부분만 보여주게 된다. 화면의 하단에서 상단으로의 이동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처리한다.
도 7a 내지 7e는 도 3에서 확대경(720)의 좌표를 확대 표시 영역(730)의 테두리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화면(700)에서 확대경(720)이 우로 한 칸(글자) 이동할 때마다 확대 표시 영역(730)의 표시가 달라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a 내지 6c와 달리, 확대 표시 영역(730)의 테두리에 확대경의 현재 위치를 표시한다. 테두리 상에 굵게 표시되는 바(Bar)들은 확대경(720)의 이동 정도에 비례하여 위치가 이동한다. 확대 표시 영역(730)의 테두리에 화면상의 확대경의 위치를 표시하게 되면, 화면의 어느 영역을 확대한 것인지 별도로 위치를 확인해보지 않더라도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편리성이 향상된다. 확대경의 크기를 크게하여 확대할 때는 화면이 확대경에 의해 가려지게 되므로 확대경의 화면내 위치를 확인 할 수 없으나, 이 방법을 적용하면 확대경의 정확한 화면내 위치 식별이 가능하다.
확대 표시 영역(730)의 테두리에 표시되는 바들은 가로 세로 한면씩 2면에 표시되거나 4면에 모두 표시될 수 있다. 표시되는 바들은 색깔이나 선의 굵기로 구별될 수 있다. 확대경(720)의 위치가 이동하면, 확대 표시 영역(730) 테두리의 바들도 동적으로 새로운 위치에 표시된다. 바들의 길이가 확대한 곳의 위치를 나타내므로 배율도 함께 알려줄 수 있다.
특히, 도 7b 또는 7c와 같이 확대경이 화면의 좌우 경계에 걸쳐 있는 경우에는 확대 표시 영역(730)도 화면 좌우 끝단의 내용을 확대해서 보여주므로, 확대경(720)의 좌우 위치를 나타내는 바의 모양도 화면의 좌우 끝에 걸쳐 있게 된다. 한편, 확대경(720)이 우측으로 일정 정도 이동하면, 도 7d와 같이 확대경(720)이 곧바로 좌측 끝에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확대경(720)의 좌우 위치를 나타내는 바는 확대 표시 영역의 좌측 끝에 있게 된다.
도 7e는 확대경(720)이 타원형인 경우를 보여준다. 확대경(720)의 모양이 사각형이 아닐 때는 확대경(720)을 포함하는 최소 경계 사각형을 구하여 이 사각형의 위치표시 구간의 좌표를 구한 후에, 가로축의 표시 구간과 세로축의 표시 구간을 확대경(720) 또는 확대 표시 영역(730)에 표시하면 된다. 도 7e에서는 확대경(720)의 좌표를 나타내는 바들은 타원형의 확대 표시 영역(730)의 곡선 테두리 상에 표시된다.
이하에서는 바의 위치 계산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한다. 화면의 크기를 m*n(가로 m, 세로 n) 이라고 가정한다. 단위는 픽셀 수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화면의 가로축 좌표 x와 세로축 좌표 y의 값의 범위는 0<= x <= m-1, 0<= y <= n-1 이다. 확대경의 크기를 p*q(가로 p, 세로 q)라고 가정하면, 확대경의 가로축의 좌표 x'와 세로축의 좌표 y'의 값의 범위는 0 <= x' <= p-1, 0<= y' <= q-1 이다. 확대경이 화면의 좌표 (x1, y1), (x2, y2)로 이루어지는 사각형을 확대한 것이라면((x1, y1), (x2, y2)는 사각형의 좌하단 모서리와 우상단 모서리의 좌표), 확대경의 가로축 좌표 x'와 세로축의 좌표 y'의 화면에서의 값의 범위는 x1<= x' <= x2, y1 <= y' <= y2 이다. 그리고, 가로축의 확대비율은 p/(x2-x1+1), 세로축의 확대비율은 q/(y2-y1+1) 이다.
만일 x1>x2이면 원통형 화면으로 확대경에 우단과 좌단이 함께 보여지는 경우이다. 이때 화면의 양쪽 끝은 한 픽셀(또는 화면 표시 최소 단위)의 간격을 두고 연결되므로 이 경우의 x축의 확대비율은 p/(m-x1+x2+1)이다. 마찬가지로 y1>y2이면 y축의 확대비율은 q/(n-y1+y2+1) 이다.
화면상의 확대 영역 표시를 위해 확대 표시 영역 테두리를 색깔이나 굵기 등의 방법으로 강조하여 표시해야할 화면상 가로축 바의 길이는 p*(x2-x1)/m 이고, 확대경에서 굵게 또는 색깔로 표시해야할 화면상 세로축 바의 길이는 q*(y2-y1)/n 이다. 확대경의 가로축을 표시하는 바의 시작 위치는 p*x1/m, 확대경의 세로축을 표시하는 바의 시작 위치는 q*y1/n 이다. 또한, 확대경의 가로축을 표시하는 바의 끝 위치는 p*x2/m, 확대경의 세로축을 표시하는 바의 끝 위치는 q*y2/n 이다즉, 확대경 좌표의 가로축 p*x1/m에서 p*x2/m까지 p*(x2-x1)/m 길이만큼의 바를 확대 표 시 영역의 테두리에 표시한다. 또한, 확대경 좌표의 세로축 q*y1/n에서 q*y2/n까지 q*(y2-y1)/n 길이만큼의 바를 확대 표시 영역의 테두리에 표시한다. . 좌표는 특성상 값이 정수여야 하므로 만일 좌표의 계산결과가 정수가 아니면, 정수로 변환(반올림, 절사 등의 방법 이용하거나, ceiling이나 floor 연산을 이용하여 정수로 변환)한다.
여기서 만일, x1>x2이면 가로축은 p*x1/m에서 (p-1)까지 표시하고 다시 처음 0부터 p*x2/m까지 표시한다. 이 경우는 화면의 우단의 끝과 좌단을 끝이 연결된 원통형으로 간주하여 확대하는 것이다. 만일, y1>y2이면 세로축은 q*y1/n에서 (q-1)까지 표시하고 다시 처음 0부터 q*y2/n까지 표시한다. 이 경우는 화면의 상단의 끝과 하단의 끝이 연결된 원통형으로 간주하여 화면을 확대하는 것이다. 위의 모든 계산 결과가 정수가 아니면, 정수로 변환(반올림, 절사 등의 방법 이용하거나, ceiling이나 floor 연산을 이용하여 정수로 변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대경이 화면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을 때는 별도의 처리가 필요하지 않고 화면의 확대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하면 된다. 그러나 텍스트를 우측으로 읽어나가다가 화면의 끝에 도달하였을 때, 화면의 좌우가 원통형으로 연결된 것으로 간주하여 우측으로 계속 이동하여 화면의 좌측 처음으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확대경에 화면의 우단과 좌단을 함께 표시하다가 우로 점점 더 이동하면서 완전히 좌측으로 이동하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메뉴 설정 등 방법으로) 텍스트의 스트림 처리를 원하면, 확대경이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화면도 우측으로 확장되는 것으로 처 리할 수 있다.
한편, 화면을 원통형으로 처리하는 방식, 화면 위치 표시, 텍스트 스트림 처리 기능 등은 단말의 설정 메뉴에서 해당 기능의 적용여부를 선택/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도 3에서 그림을 확대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과 같이, 확대경(820)이 화면(800) 상하의 가장자리에 걸쳐 있는 경우, 이들 그림을 조합한 후 확대하여 확대 표시 영역(830)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의 화면 확대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제공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 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 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화면 확대를 지원하는 단말, 단말의 화면 확대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형 화면을 가독하기 어려운 연령층이 휴대폰, 컴퓨터, PDA, PMP, 학습기 등을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 단말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확대를 지원하는 단말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화면 확대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다음행 문자 표시 과정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화면 확대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6e는 도 3에서 확대경의 이동에 따라 확대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내용이 변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7a 내지 7e는 도 3에서 확대경의 좌표를 확대 표시 영역의 테두리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3에서 그림을 확대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11)

  1. 문자, 그림 및 확대 표시 영역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확대경 기능이 선택되면, 확대경의 모양 및 크기, 상기 확대경의 배율을 입력받고, 상기 확대경의 좌표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확대경의 모양 및 크기로 결정되는 확대 표시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상기 확대경의 좌표를 이동시키며, 상기 확대경의 좌표에서 화면을 상기 배율만큼 확대하여 상기 확대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확대 표시 영역의 테두리에 상기 확대경의 좌표를 나타내는 바(Bar)를 표시하는 화면 확대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는 상기 확대경의 이동 정도에 비례하여 상기 바의 위치가 이동하고, 상기 확대경의 배율에 따라 상기 바의 길이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확대를 지원하는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확대 제어부는
    상기 확대경의 모양이 사각형이 아닌 경우, 상기 확대경의 모양을 포함하는 최소 경계 사각형을 구하여 상기 최소 경계 사각형 상에서 상기 확대경의 좌표를 나타낼 수 있는 바(Bar)의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바(Bar)의 위치에 상응하도록 상기 확대 표시 영역의 테두리 상에 바(Bar)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확대를 지원하는 단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확대 제어부는
    상기 확대경의 영역이 상기 화면의 좌우 가장 자리 중 어느 한쪽을 넘어가는 경우, 상기 화면의 좌우 가장 자리의 양단이 서로 연결된 원통형 화면으로 취급하여 상기 화면의 반대쪽 가장 자리의 일부를 상기 확대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확대를 지원하는 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확대 제어부는
    상기 확대경의 영역이 상기 화면의 상하 가장 자리 중 어느 한쪽을 넘어가는 경우, 상기 화면의 상하 가장 자리의 양단이 서로 연결된 원통형 화면으로 취급하여 상기 화면의 반대쪽 가장 자리의 일부를 상기 확대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확대를 지원하는 단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키패드 또는 터치 패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확대를 지원하는 단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확대 제어부는
    상기 확대 표시 영역에 문자가 표시되는 경우, 표시된 문자와 스트림으로 연결된 문자들을 확대하여 상기 확대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확대를 지원하는 단말.
  7. 단말에서 화면의 일부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서 확대경 기능이 선택되면, 확대경의 모양 및 크기, 상기 확대경의 배율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화면에 상기 확대경의 모양 및 크기로 결정되는 확대 표시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확대경의 좌표가 이동하면, 상기 확대경의 좌표의 화면을 상기 배율만큼 확대하여 상기 확대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확대 표시 영역의 테두리에 상기 확대경의 좌표를 나타내는 바(Bar)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바는 상기 확대경의 이동 정도에 비례하여 상기 바의 위치가 이동하고, 상기 확대경의 배율에 따라 상기 바의 길이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화면 확대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확대경의 변경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확대경의 모양, 크기, 또는 상기 확대경의 배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변경값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화면에 상기 확대경의 모양 및 크기로 결정되는 확대 표시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확대경의 좌표의 화면을 상기 배율만큼 확대하여 상기 확대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화면 확대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경의 좌표의 화면을 상기 배율만큼 확대하여 상기 확대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확대경의 영역이 상기 화면의 상하 가장 자리 중 어느 한쪽을 넘어가는 경우, 상기 화면의 상하 가장 자리의 양단이 서로 연결된 원통형 화면으로 취급하여 상기 화면의 반대쪽 가장 자리의 일부를 확대하여 상기 확대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화면 확대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경의 좌표의 화면을 상기 배율만큼 확대하여 상기 확대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확대경의 영역이 상기 화면의 한쪽 가장 자리를 임계 비율 이상 넘어가면, 상기 확대경을 상기 화면의 반대쪽 가장자리의 끝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화면 확대 방법.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시스템이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90090618A 2009-09-24 2009-09-24 화면 확대를 지원하는 단말, 단말의 화면 확대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1088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618A KR101088002B1 (ko) 2009-09-24 2009-09-24 화면 확대를 지원하는 단말, 단말의 화면 확대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618A KR101088002B1 (ko) 2009-09-24 2009-09-24 화면 확대를 지원하는 단말, 단말의 화면 확대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884A KR20110032884A (ko) 2011-03-30
KR101088002B1 true KR101088002B1 (ko) 2011-12-01

Family

ID=43937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618A KR101088002B1 (ko) 2009-09-24 2009-09-24 화면 확대를 지원하는 단말, 단말의 화면 확대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80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884A (ko) 201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58816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10091378A (ko) 카메라 동영상 처리 및 재생 방법 및 장치
JP2004004565A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7077296B (zh) 用户终端设备和用于控制用户终端设备的方法
EP1921840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portable terminal
JP2008293419A (ja) 情報表示装置及び情報表示方法
CN103297855A (zh) 一种应用展示方法以及一种终端
US20070162878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displaying data in wireless terminal
CN111741357A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JP2003316490A (ja) 遠隔操作システム及び遠隔操作方法
JP2007114402A (ja) 表示処理装置
JP2006330027A (ja) 画像出力装置、画像出力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826984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for selectively creating one of an animation file and a moving image file from a plurality of continuously shot images
KR101088002B1 (ko) 화면 확대를 지원하는 단말, 단말의 화면 확대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JP2008098828A (ja) 携帯端末装置
JP2007150877A (ja) 通信端末およびその表示方法
WO2022193475A1 (zh) 显示设备、接收投屏内容的方法及投屏方法
JP5683550B2 (ja) 表示方法及び表示システム
JP5501915B2 (ja) レイアウト選択装置、レイアウト選択方法、レイアウト選択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ならびに、コンテンツ表示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作成方法
JP2011029728A (ja) 画像表示装置
CN115767176A (zh) 用于显示墙系统的影像处理装置及播放控制方法
JP3872295B2 (ja) データ表示方法、記録媒体、及びプロセッサ・ベース・システム
KR101895865B1 (ko) 랜드스케이프 동영상 컨텐츠의 적응적 재생 시스템 및 재생방법
JP4631258B2 (ja) 携帯機器
JP2019211595A (ja) 表示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表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