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7338B1 - 솜 재생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솜 재생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7338B1
KR101087338B1 KR20090114461A KR20090114461A KR101087338B1 KR 101087338 B1 KR101087338 B1 KR 101087338B1 KR 20090114461 A KR20090114461 A KR 20090114461A KR 20090114461 A KR20090114461 A KR 20090114461A KR 101087338 B1 KR101087338 B1 KR 101087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tton
conveyor
conveying
rotating memb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114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7867A (ko
Inventor
백태구
백정구
Original Assignee
백정구
백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정구, 백태구 filed Critical 백정구
Priority to KR20090114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338B1/ko
Publication of KR20110057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1/00Disintegrating fibre-containing articles to obtain fibres for re-us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3/00Mixing, e.g. blending, fibres; Mixing non-fibrous materials with fibr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23/00Feeding fibres to machines; Conveying fibres between machines
    • D01G23/02Hoppers; Delivery shoots
    • D01G23/04Hoppers; Delivery shoots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eed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5/00Separating, e.g. sorting, fibr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9/00Opening or cleaning fibres, e.g. scutching cotton
    • D01G9/12Combinations of opening or clean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9/00Opening or cleaning fibres, e.g. scutching cotton
    • D01G9/14Details of machines or apparatus
    • D01G9/16Feed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9/00Opening or cleaning fibres, e.g. scutching cotton
    • D01G9/14Details of machines or apparatus
    • D01G9/22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02Cotton wool; Wad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6Disintegrating fibre-containing textile articles to obtain fibres for re-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입컨베이어(111)를 구비하는 투입부(110)와, 상기 투입컨베이어(111)에 이웃하게 구비되며 투입컨베이어(111)에 의하여 이송된 솜을 분리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에 이웃하게 구비되어 분리부에서 분리된 솜을 적층형 구조로 하는 적층부(180)로 이루어져, 재생용 또는 신규의 솜을 풀어 분리하고 거의 균일한 두께로 적층시키며 쿠션과 보온성이 우수한 구조의 솜을 재생 제조할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솜을 혼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솜, 분리

Description

솜 재생 제조 장치{A Device For Regenerating and Production Fiber}
본 발명은 솜을 분리하여 혼합 재생하는 솜 재생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솜을 풀어 분리하고 분리된 솜을 혼합 적층하여 쿠션과 높은 보온성을 가지도록 하는 솜 재생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솜은 동물성 섬유인 명주솜, 양모솜이 있고, 식물성 섬유인 목화솜이 있으며, 폴리에스터에 로우멜트가 혼합된 화학솜이 있다. 이하에서 상기 명주솜, 양모솜, 목화솜, 화학솜을 통칭하여 '솜'이라고 한다. 상기 솜은 종류에 따라 판상으로 제조되기도 하고, 다양한 부피를 가지도록 제조되기도 한다. 그리고 제조된 솜은 탄성감이 적으므로 실제 사용에 있어서 이불이나 베개, 쿠션 등에 투입하기 위해서는 솜을 풀어 분리하여 섬유 볼로 형성하여 탄성을 가지도록 하였으며, 섬유 볼을 천 등으로 제조되는 이불, 쿠션 케이스, 베개 케이스에 투입하고, 개구된 부분을 박음질하거나 개구 부분에 설치된 지퍼 등으로 밀봉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제조 방법에서는 재생용 솜을 혼합하여 균일한 두께를 가지며 적층형 구조의 솜을 자동 공정에 따라 재생 제조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투입부, 1차 분리부, 2차 분리부 및 적층부를 구비하여 자동으로 재생용 또는 신규의 솜을 풀어 분리하고 혼합하여 적층형 구조의 솜을 제조하는 솜 재생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입컨베이어를 구비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컨베이어에 이웃하게 구비되며 투입컨베이어에 의하여 이송된 솜을 분리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에 이웃하게 구비되어 분리부에서 분리된 솜을 적층형 구조로 하는 적층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적층부는 지지틀부재와, 상기 지지틀부재에 경사지게 구비되며 분리부로부터 이송되어 온 분리된 솜을 상향 이송하는 제2 컨베이어부와, 일단이 상기 제2 컨베이어부의 상단 하부로 상기 지지틀부재에 위치하는 제1 힌지축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회전부재와, 상단부가 상기 제1 회전부재의 타단에 제2 힌지축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회전부재와, 상기 제1 힌지축과 제2 힌지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며 제1 회전부재와 함께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제2 컨베이어부를 통하여 이송되어 온 분리된 솜을 제2 힌지축 쪽으로 이송하는 제3 컨베이어와, 상기 제2 힌지축 하부로 위치하며 서로 이격되어 제2 회전부재에 구비되며 제3 컨베이어부터 이탈되는 분리된 솜이 하향 낙하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안내부재와, 상기 제2 회전부재의 하단부 에 구비되는 회전휠과, 상기 회전휠의 하부로 위치하여 회전휠의 이동 레일로 작용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회전휠을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솜 재생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회전부재와 상기 제2 회전부재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1 회전부재는 제3 컨베이어의 양측으로 위치하고, 상기 각 제2 회전부재의 상단부는 각 제1 회전부재에 제2 힌지축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각 제2 회전부재의 하부로 회전휠이 구비되며, 상기 제2 힌지축으로부터 하향 이격하여 제2 회전부재 사이에 상하로 개구된 직사각형인 상부부재가 고정 구비되며, 상기 안내부재는 상단이 상부부재에 고정되어 제2 회전부재의 양측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솜 재생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제2 회전부재에는 상기 상부부재로부터 회전휠 방향으로 이격되어 안내부재를 향하여 양측으로 연장되는 간격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간격부재에는 서로 배향하여 안내부재를 향하여 오목하게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에는 막대 형상의 간격축이 나란하게 삽입되어 안내부재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솜 재생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컨베이어부는 상하로 위치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이송컨베이어와 제2 이송컨베이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로 위치하는 제2 이송컨베이어의 하단은 상부로 위치하는 제1 이송컨베이어의 하단으로부터 하부로 돌출 연장되는 솜 재생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리부는 상기 투입컨베이어에 이웃하게 위치하여 투 입된 솜을 분리하는 제1 분리부와, 상기 제1 분리부에 이웃하게 위치하여 제1 분리부에서 분리되어 이송된 솜을 볼 형상으로 성형하여 이송하는 이송성형부와, 송풍기를 구비하며 중간수집부와 상기 이송성형부를 연결하는 이송관으로 이루어진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를 통하여 이송되어 온 볼 형상 솜을 중간 보관하며 하부로 구비되는 배출컨베이어를 통하여 배출하는 중간수집부와, 상기 배출컨베이어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배출컨베이어의 타측으로 이송컨베이어를 구비하여 솜을 다시 분리하여 이송컨베이어를 통하여 적층부로 이송하는 제2 분리부로 이루어지는 솜 재생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간수집부는 상부로 이송관이 연결된 통공이 형성되며 하부로 개구된 중공체인 본체와, 상기 통공을 통하여 유입되는 솜을 안내하여 하향시키는 가이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컨베이어는 본체 하부로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통공의 하부로 본체에 위치하는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본체 내에 위치하는 판상의 안내판부재와, 일단은 상기 안내판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은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어 회전하는 가동휠의 편심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크랭크와,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고 회전축으로부터 편심된 편심축을 가지며 본체 외측에 위치하는 가동휠과, 본체의 외측으로 위치하며 상기 가동휠을 구동하는 모터로 이루어지는 솜 재생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솜 재생 제조 장치는 자동 공정으로 재생용 또는 신규의 솜을 풀어 분리하고 혼합하며 적층형 구조로 솜을 재생 제조할 수 있으 며, 다양한 종류의 솜을 혼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솜 재생 제조 장치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솜 재생 제조 장치에 의한 공정을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 솜 재생 제조 장치에 구비되는 투입부와 제1 분리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솜 재생 제조 장치의 제1 분리부에 구비되는 분리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4 및 도 5는 도 3의 분리휠에 구비되는 제1 분리편을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솜 재생 제조 장치에 구비되는 이송성형부와 이송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이송성형부의 이송성형롤에 구비되는 이송성형편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 솜 재생 제조 장치에 구비되는 중간수집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도 9의 중간수집부의 일부 측면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 솜 재생 제조 장치에 구비되는 제2 분리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에서 A부의 제1 투입롤러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13은 도 11의 B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14는 본 발명 솜 재생 제조 장치에 구비되는 적층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15는 도 14의 A-A선에 따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16은 도 14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17은 적층부 하부로 구비되는 배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솜 재생 제조 장치는 도 1, 도 2, 도 6, 도 9, 도 11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입부(110), 분리부 및 적층부(180)로 이루어져 사용한 다양한 종류의 솜이나 신규 제조한 솜을 투입하는 단계(ST-110)와, 투입된 뭉쳐진 솜을 풀어서 분리하는 단계와, 분리된 솜이 쿠션을 가지고 적층되도록 하는 단계(ST-150)와, 적층된 솜을 배출하는 단계(ST-160)를 거쳐 솜을 분리 적층한다. 상기 분리부는 제1 분리부(120), 이송성형부(130), 이송부(140), 중간수집부(150) 및 제2 분리부(170)으로 이루어져, 상기 분리하는 단계는 투입된 솜을 풀어 1차로 분리하는 단계(ST-120)와, 분리된 솜들을 볼 형상으로 만들면서 이송하는 이송 성형 단계(ST-130)와, 성형되어 이송된 솜을 다시 풀어 2차로 분리하는 단계(ST-140)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 성형 단계(ST-130)와 2차로 분리하는 단계(ST-140) 사이에는 솜들을 임시 저장하여 일정한 양들의 솜이 2차 분리 단계(ST-140)로 공급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구비되는 투입부(1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입컨베이어(111)와, 투입컨베이어(111) 일측으로 위치하며 투입컨베이어(111)에 의하여 이송되어 온 솜을 제1 분리부(120)로 투입하는 한 쌍의 투입롤러(115)로 이루어진다. 상기 투입롤러(115)는 원통형으로서 외경면에 복수의 제1 돌기(116)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돌기(116)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 2에서 도면부호 113은 쿠입컨베이어(111)의 구동휠을, 117은 상기 투입롤러(115)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구비된 종동풀리를, 119는 벨트(118)에 의하여 상기 구동휠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투입롤러(115)는 서로 치합하는 기어가 설치되어 도 2에 화살 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기 투입롤러(115)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투입컨베이어(111)를 통하여 이송되어 온 솜을 제1 분리부(120)로 투입한다.
본 발명에 구비되는 제1 분리부(1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투입롤러(115)를 향하여 개구된 분리부커버(127)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원통상의 분리휠(121)로 이루어진다. 도 2에서 도면부호 122는 모터(123)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1 구동풀리를, 124는 벨트(125)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1 종동풀리(124)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리휠(121)의 외경면에는 복수의 제1 분리편(129)이 구비된다. 상기 제1 분리편(129)은 분리휠(121)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열로 구비되며, 한 열을 이루는 제1 분리편(129)은 원주 방향으로 위상각을 가지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한 열을 이루는 복수의 제1 분리편(129)이 동시에 투입롤러(115)에 의하여 공급되는 솜을 분리하는 것이 아니고 순차로 솜을 분리하게 된다. 상기 제1 분리편(129)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휠(121)의 외경면에 접하는 고정부(1291)와, 상기 고정부(1291)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분리편부(1297)로 이루어지며, 분리편부(1297)는 경사편부(1295)를 매개로 고정부(1291)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1291)는 분리휠(121)의 외경면에 밀착하도록 아치 형태로 이루어지며 고정 나사를 체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공(1293)이 형성된다. 경사편부(1295)는 고정부(1291)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넓게 형성된다.
도 2에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휠(121)이 회전하면서 투입롤러(115)를 통하여 투입된 솜을 제1 분리편(129)이 뜯어서 분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조의 경사편부(1295)를 구비함으로써 솜을 뜯을 때 제1 분리편(129)에 작용하는 큰 하중을 견딜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리부커버(127)는 타측으로도 개구되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이송성형부(130)의 상부커버(131)와 하부커버(133)로 연결된다. 도 6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상부커버(131)와 하부커버(133)는 측판으로 연결되어 폐쇄된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하부커버(133)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로 내측으로 반복해서 오목하게 형성되며, 오목하게 형성된 각 부분에 원통상의 이송성형롤(137)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커버(133)는 내측으로 복수의 커버돌기(134)를 구비하여 요철 구조를 가진다. 상기 상부커버(131)는 내측으로 하부커버(133)를 향하여 연장된 복수의 판상인 격벽부재(135)를 구비하며, 상기 격벽부재(135)는 상기 이송성형롤(137) 사이로 연장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성형롤(137)의 외경면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복수의 이송성형편(139)이 구비된다. 상기 이송성형편(139)은 이송성형롤(137)의 길이 방향(도 6에서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 열로 구비된다. 상기 이송성형편(139)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U자형이 되도록 절곡된 구조로 라운딩된 만곡부(1391)를 가지며, 상기 만곡부(1391)가 회전 방향 전방을 향한다.
도 6에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이송성형롤(137)이 회전하면 이송성형편(139)에 의하여 하부커버(133)를 따라 제1 분리부(120)에서 분리된 솜들이 상향 이송되며, 하부커버(133)에 형성된 커버돌기(134)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이송되어 볼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송성형롤(137)은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풀리나 벨트, 또는 기어 등을 매개로 연결되어 회전한다.
상기 이송성형부(130)에는 그 상단부로 이송부(140)의 이송관(141)의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이송관(141)은 내측에 송풍날개(145)가 구비된 케이싱(143)을 구비하며, 도 6에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송풍날개(145)가 회전하면 이송관(141)의 내측에는 도 6에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이송 기류가 형성되어 분리된 솜은 이송성형부(130) 내에서 용이하게 상향 이송된다.
상기 이송관(141)의 타단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수집부(150)로 연결된다. 상기 중간수집부(1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에 상기 이송관(141)이 연결된 통공(1511)이 형성되고 하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본체(151)와, 통공을 통하여 유입되는 분리된 솜을 안내하여 하향시키는 가이드부(153)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51)의 하부로 배출컨베이어(161)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151)의 하부와 배출컨베이어(161) 사이에는 배출공(159)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153)는 통공(1511)의 하부로 본체(151)에 위치하는 회전축(153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본체(151) 내에 위치하는 판상의 안내판부재(1533)와, 일단은 상기 안내판부재(153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은 모터(1532)에 의하여 구동되어 회전하는 가동휠(1539)의 편심축(153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크랭크(1537)와, 모터(1532)에 의하여 구동되고 회전축으로부터 편심된 편심축(1534)을 가지며 본체(151) 외측에 위치하는 가동휠(1539)과, 본체(151)의 외측으로 위치하며 상기 가동휠(1539)을 구동하는 모터(1532)로 이루어진다. 상기 크랭크(1537)는 본체(151)를 관통하여 구비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판부재(1533)는 통공(1511)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회전축(153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양 안내판부재(1533)를 연결봉부재(1535)로 제1 힌지부(153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켜 함께 각 회전축(1531)에 대하여 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축(1531)은 복수로 구비된다. 도 9에서 도면부호 1538은 본체(151) 외측에 구비되어 모터(1532)의 적치 장소를 제공하는 받침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에서와 같이 모터(1532)에 의하여 가동휠(1539)이 회전하면 편심축(153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크랭크(1537)에 의하여 안내판부재(1533)는 좌우로 왕복운동을 한다. 따라서 통공(1511)을 통하여 본체(151) 내로 유입되는 솜들은 안내판부재(1533)에 의하여 도 9에서 좌우로 안내되어 하강하게 된다.
도 9에서 도면부호 155는 본체(151)에 구비되어 본체(151)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투시창을, 157은 본체(151)에 구비되어 본체(151) 내부에 적치되는 분리된 솜을 감지하는 센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센서(157)는 광센서이고 맞은편에 반사판을 설치하여 적치된 솜이 센서(157) 높이 이하인 경우 도시하지 않은 경보 수단이 작동하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51) 내측 하단부에는 원통형으로서 외경면에 그 길이 방향(도 10에서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기부(1541)를 가지는 한 쌍의 제1 배출롤러(154)를 설치하여 본체(151) 내의 솜을 하부로 강제 배출시킬 수도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1 배출롤러(154)는 도 10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제1 배출롤러(154)를 구동하는 모터와 동력 전달 수단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배출컨베이어(161)의 상부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제2 배출롤러(163)를 설치한다. 상기 제2 배출롤러(163)는 도 10에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배출컨베이어(161) 상의 솜을 제2 분리부(170)로 이송한다. 상기 제2 배출롤러(163)는 원통형이며 그 외경면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며 길이 방향(도 10에서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돌기부(165)를 구비한다. 상기 제2 배출롤러(163)는 풀리와 밸트 또는 기어 등을 매개로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다. 도 10에서 도면부호 152는 본체(151) 내에 상기 제2 배출롤러(163)의 상부로 구비되어 낙하하여 적재되는 홈을 제2 배출롤러(163)로 안내하는 경사판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분리부(170)는 상기 배출컨베이어(161)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되며, 반대쪽으로 개구된 중공의 케이스(179)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179)는 상방향으로 아치형을 이루고 있으며, 양 측면을 덮는 측면부재(도시하지 않음)를 가진다. 상기 케이스(179) 내에는 아치 부분과 간격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원통형 메인롤러(175)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롤러(175)와 케이스(179)의 아치 부분 사이에는 복수의 원통형 안내롤러(177)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롤러(175)와 안내롤러(177)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배출컨베이어(161)를 향하여 개구된 부분으로 배출컨베이어(161) 전방 에는 배출컨베이어(161)로부터 이송된 솜을 케이스(179) 내로 투입시키는 한 쌍의 제1 투입롤러(171)가 설치된다. 상기 제1 투입롤러(171)는 원통형이며 치합하는 기어로 서로 연결되어 도 11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1 투입롤러(171)의 외경면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1711)가 구비된다. 상기 제1 투입롤러(171)와 메인롤러(175) 사이에는 안내롤러(177) 중 하나가 구비된다. 상기 안내롤러(177)에도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복수의 돌기(1771)가 구비되며, 메인롤러(175)에도 회전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복수의 돌기(1751)가 구비된다. 상기 제1 투입롤러(171)와 메인롤러(175) 사이에 구비되는 안내롤러(177)의 하부로는 케이스(179)로 연결되며 상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받침부(1791)가 구비된다.
배출컨베이어(161)를 통하여 이송되어 온 1차 분리된 솜은 제1 투입롤러(171)에 의하여 케이스(179) 내로 투입되어 메인롤러(175)와 안내롤러(177)의 회전에 의하여 2차로 분리되면서 배출컨베이어(161) 반대쪽으로 개구된 부분에 위치하는 이송컨베이어(172)에 의하여 적층부(180)로 이송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172)의 일부는 케이스(179) 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배출 방향으로 상향 설치된다.
상기 제1 투입롤러(171), 이송컨베이어(172), 메인롤러(175) 및 안내롤러(177)를 구동하는 모터와 동력 전달 수단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적층부(180)는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지지 틀부재(181)와, 상기 지지틀부재(181)에 구비되며 경사지게 구비되어 제2 분리부(170)부터 이송되어 온 분리된 솜을 상향 이송하는 제2 컨베이어부(183)와, 일단이 상기 제2 컨베이어부(183)의 상단 하부로 상기 지지틀부재(181)에 위치하는 제1 힌지축(1891)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회전부재(189)와, 상단부가 상기 제1 회전부재(189)의 타단에 제2 힌지축(1892)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회전부재(182)와, 상기 제1 힌지축(1891)과 제2 힌지축(1892)을 회전 중심으로 하며 제1 회전부재(189)와 함께 제1 힌지축(189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제2 컨베이어부(183)를 통하여 이송되어 온 분리된 솜을 제2 힌지축(1892) 쪽으로 이송하는 제3 컨베이어(187)와, 상기 제2 힌지축(1892) 하부로 위치하며 서로 이격되어 제2 회전부재(182)에 구비되며 제3 컨베이어(187)부터 이탈되는 분리된 솜이 하향 낙하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안내부재(191)와, 상기 제2 회전부재(182)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회전휠(186)과, 상기 회전휠(186)의 하부로 위치하여 회전휠(186)의 이동 레일로 작용하는 가이드부재(195)와, 상기 회전휠(186)을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는 예를 들면 모터와, 모터 축에 연결된 구동풀리와, 회전휠에 연결되어 회전휠과 일체로 회전하는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 컨베이어부(183) 및 제3 컨베이어(187)를 구동하는 모터와 동력 전달 수단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 회전부재(182)는 제2 힌지축(1892)으로부터 하향 연장 구비된다. 상기 제1 힌지축(1891)과 제2 힌지축(1892)에 제3 컨베이어(187)의 휠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14에서 도면부호 193은 상기 지지틀부재(181)의 상단에 연결되어 수평 연장되고 다시 하향 경사지게 절곡 연장되어 지면으로 고정되는 보조지지틀(193)을 도시한 것이며, 상기 안내부재(191)는 일단이 상기 보조지지틀(193)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틀부재(181)에 고정되어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휠(186)의 왕복 이동 방향은 제2 힌지축(1892)에 수직한 방향이다. 상기 제1 회전부재(181)와 제2 회전부재(182)는 길이를 가지는 막대 형태이다.
상기 제1 회전부재(181)와 상기 제2 회전부재(182)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1 회전부재(181)는 제3 컨베이어(187)의 양측으로 위치하고, 상기 각 제2 회전부재(182)의 상단부는 각 제1 회전부재(181)에 제2 힌지축(1892)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각 제2 회전부재(182)의 하부로 회전휠(186)이 구비되며, 상기 제2 힌지축(1892)으로부터 하향 이격하여 제2 회전부재(182) 사이에 상하로 개구된 직사각형인 상부부재(194)가 고정 구비되며, 상기 안내부재(191)는 상단이 상부부재(194)에 고정되어 제2 회전부재(182)의 양측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 회전부재(181)는 도 10에서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2 회전부재(182)도 도 10에서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안내부재(191)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2 회전부재(182)를 사이에 두고 좌우 양측에서 제2 회전부재(182)와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안내부재(191)의 하단도 서로 간격을 가지도록 고정된다. 상기 제2 회전부재(182) 사이에 하단부에 상부부재와 같은 부재를 고정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안내부재(191)의 하단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제2 회전부재(182)의 하단에 판상의 설치부재(184)를 고정 연결하고, 상기 설치부재(184)에 회전휠(186)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5에서 도면부호 1861은 양측의 회전횔(18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휠축을, 1951은 상기 가이드부재(195)에 형성되어 회전휠(186)의 이동 레일로 작용하는 턱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안내부재(191)는 유연한 판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얇은 판재를 엮어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회전휠(186)에 연결되는 구동부(도시하지 않음)가 정역 회전하면, 회전휠(186)이 회전하면서 가이드부재(195)를 따라 도 14에서 좌우로 왕복 운동을 하며, 제2 힌지축(1892)을 회전 중심으로 제2 회전부재(182)와 안내부재(191)가 일체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3 컨베이어(187)와 제1 회전부재(189)는 제1 힌지축(1891)을 회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제3 컨베이어(187)로부터 이송되어 온 솜들은 제3 컨베이어(187)로부터 낙하할 때 안내부재(191)에 의하여 안내되어 좌우 방향으로 고르게 낙하하게 되며, 가이드부재(195)의 하부로 위치하는 제1 배출컨베이어(197)에 의하여 배출된다.
상기 각 제2 회전부재(182)에는 상기 상부부재(194)로부터 회전휠(186) 방향(도 14에서 하방향)으로 이격하여 안내부재(191)를 향하여 양측으로 연장되는 간격부재(188)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간격부재(188)에는 서로 배향하여 안내부재(191) 를 향하여 오목하게 오목부(1881)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1881)에는 막대 형상의 간격축(1882)이 나란하게 삽입되어 안내부재(191)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안내부재(191)는 양 간격축(1882)의 외측으로 위치하여 유연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간격축(1882)에 의하여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부재(182)에는 복수의 간격부재(188)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컨베이어부(183)는 상하로 위치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이송컨베이어(183a)와 제2 이송컨베이어(183b)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로 위치하는 제2 이송컨베이어(183b)의 하단은 상부로 위치하는 제1 이송컨베이어(183a)의 하단으로부터 하부로 돌출 연장된다. 상기 지지틀부재(181)는 단면이 상방향으로 개구된 '┗┛'자 형태로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183a)와 제2 이송컨베이어(183b)는 상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지지틀부재(181)에 구비된다. 상기 지지틀부재(181)는 하단부의 양 측판에 제1 이송컨베이어(183a)로부터 노출된 제2 이송컨베이어(183b) 부분의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부(1811)를 가지고,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172)는 제2 분리부(170)를 향하는 방향에서 양측으로 돌출된 걸림축(1721)을 구비하여 상기 오목홈부(1811)에 걸어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172)는 일단이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183b)의 노출된 부분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이송컨베이어(172)를 타고 이송된 분리된 솜들은 제2 이송컨베이어(183b)로 전달되고, 도 16에서와 같이 제1 이송컨베이어(183a)와 제2 이송컨베이어(183b)가 회전하면, 분리된 솜들은 제1 이송컨베이어(183a)와 제2 이송컨베이어(183b) 사 이에서 상방향으로 이송되어 제3 컨베이어(187)로 전달된다.
상기에서 투입컨베이어(111), 배출컨베이어(161), 이송컨베이어(172), 제1 이송컨베이어(183a), 제2 이송컨베이어(183b) 및 제3 컨베이어(187)의 컨베이어 벨트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를 가지는 얇은 판을 엮어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으로부터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 솜 재생 제조 장치에 의한 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 솜 재생 제조 장치에 구비되는 투입부와 제1 분리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솜 재생 제조 장치의 제1 분리부에 구비되는 분리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분리휠에 구비되는 제1 분리편을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솜 재생 제조 장치에 구비되는 이송성형부와 이송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이송성형부의 이송성형롤에 구비되는 이송성형편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솜 재생 제조 장치에 구비되는 중간수집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9의 중간수집부의 일부 측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 솜 재생 제조 장치에 구비되는 제2 분리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A부의 제1 투입롤러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도 11의 B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 솜 재생 제조 장치에 구비되는 적층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도 14의 A-A선에 따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적층부 하부로 구비되는 배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투입부 120: 제1 분리부
130: 이송성형부 140: 이송부
150: 중간수집부 170: 제2 분리부
180: 적층부

Claims (6)

  1. 투입컨베이어를 구비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컨베이어에 이웃하게 구비되며 투입컨베이어에 의하여 이송된 솜을 분리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에 이웃하게 구비되어 분리부에서 분리된 솜을 적층형 구조로 하는 적층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적층부는 지지틀부재와, 상기 지지틀부재에 경사지게 구비되며 분리부로부터 이송되어 온 분리된 솜을 상향 이송하는 제2 컨베이어부와, 일단이 상기 제2 컨베이어부의 상단 하부로 상기 지지틀부재에 위치하는 제1 힌지축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회전부재와, 상단부가 상기 제1 회전부재의 타단에 제2 힌지축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회전부재와, 상기 제1 힌지축과 제2 힌지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며 제1 회전부재와 함께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제2 컨베이어부를 통하여 이송되어 온 분리된 솜을 제2 힌지축 쪽으로 이송하는 제3 컨베이어와, 상기 제2 힌지축 하부로 위치하며 서로 이격되어 제2 회전부재에 구비되며 제3 컨베이어부터 이탈되는 분리된 솜이 하향 낙하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안내부재와, 상기 제2 회전부재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회전휠과, 상기 회전휠의 하부로 위치하여 회전휠의 이동 레일로 작용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회전휠을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솜 재생 제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재와 상기 제2 회전부재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1 회전부재는 제3 컨베이어의 양측으로 위치하고, 상기 각 제2 회전부 재의 상단부는 각 제1 회전부재에 제2 힌지축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각 제2 회전부재의 하부로 회전휠이 구비되며, 상기 제2 힌지축으로부터 하향 이격하여 제2 회전부재 사이에 상하로 개구된 직사각형인 상부부재가 고정 구비되며, 상기 안내부재는 상단이 상부부재에 고정되어 제2 회전부재의 양측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솜 재생 제조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2 회전부재에는 상기 상부부재로부터 회전휠 방향으로 이격되어 안내부재를 향하여 양측으로 연장되는 간격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간격부재에는 서로 배향하여 안내부재를 향하여 오목하게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에는 막대 형상의 간격축이 나란하게 삽입되어 안내부재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솜 재생 제조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베이어부는 상하로 위치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이송컨베이어와 제2 이송컨베이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로 위치하는 제2 이송컨베이어의 하단은 상부로 위치하는 제1 이송컨베이어의 하단으로부터 하부로 돌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솜 재생 제조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투입컨베이어에 이웃하게 위치하여 투입된 솜을 분리하는 제1 분리부와, 상기 제1 분리부에 이웃하게 위치하여 제1 분리부에서 분리되어 이송된 솜을 볼 형상으로 성형하여 이송하는 이송성형부와, 송풍 기를 구비하며 중간수집부와 상기 이송성형부를 연결하는 이송관으로 이루어진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를 통하여 이송되어 온 볼 형상 솜을 중간 보관하며 하부로 구비되는 배출컨베이어를 통하여 배출하는 중간수집부와, 상기 배출컨베이어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배출컨베이어의 타측으로 이송컨베이어를 구비하여 솜을 다시 분리하여 이송컨베이어를 통하여 적층부로 이송하는 제2 분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솜 재생 제조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수집부는 상부로 이송관이 연결된 통공이 형성되며 하부로 개구된 중공체인 본체와, 상기 통공을 통하여 유입되는 솜을 안내하여 하향시키는 가이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컨베이어는 본체 하부로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통공의 하부로 본체에 위치하는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본체 내에 위치하는 판상의 안내판부재와, 일단은 상기 안내판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은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어 회전하는 가동휠의 편심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크랭크와,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고 회전축으로부터 편심된 편심축을 가지며 본체 외측에 위치하는 가동휠과, 본체의 외측으로 위치하며 상기 가동휠을 구동하는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솜 재생 제조 장치.
KR20090114461A 2009-11-25 2009-11-25 솜 재생 제조 장치 KR101087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14461A KR101087338B1 (ko) 2009-11-25 2009-11-25 솜 재생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14461A KR101087338B1 (ko) 2009-11-25 2009-11-25 솜 재생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867A KR20110057867A (ko) 2011-06-01
KR101087338B1 true KR101087338B1 (ko) 2011-11-30

Family

ID=44393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114461A KR101087338B1 (ko) 2009-11-25 2009-11-25 솜 재생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73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445B1 (ko) * 2017-06-09 2019-08-22 박영준 닥나무 솜 제조 시스템
CN109898213A (zh) * 2019-03-15 2019-06-18 江阴捷豹针织制衣有限公司 一种基于边角料的循环棉面料生产方法
KR102370174B1 (ko) * 2022-01-07 2022-03-07 아웃리치 주식회사 깃털류 충진재 수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6835A (ja) 1998-03-14 1999-10-19 Truetzschler Gmbh & Co Kg 綿花または化学繊維の如き繊維材料を供給および計量する装置
JP2006214053A (ja) 2005-02-07 2006-08-17 Sanyu:Kk 開繊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6835A (ja) 1998-03-14 1999-10-19 Truetzschler Gmbh & Co Kg 綿花または化学繊維の如き繊維材料を供給および計量する装置
JP2006214053A (ja) 2005-02-07 2006-08-17 Sanyu:Kk 開繊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867A (ko)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7338B1 (ko) 솜 재생 제조 장치
CN110040450B (zh) 一种聚酯切片的进料系统
CN106628839A (zh) 一种锂电池电芯专用纠偏输送装置
CN212404373U (zh) 一种混棉开棉清棉一体机
CN206866595U (zh) 一种转筒冷却器
CN109159189A (zh) 一种甘蔗除杂及切割设备
CN116817575A (zh) 一种中药材脱水用循环干燥设备及干燥工艺
CN112172232A (zh) 一种往复式碾压的物料成形装置
KR200385088Y1 (ko) 선별기
CN109163523B (zh) 一种聚氨酯切片翻滚干燥装置
CN214347742U (zh) 一种废旧冰箱保温层回收分选装置
CN209797021U (zh) 一种聚乙烯丙纶生产用自动收卷设备
CN211204802U (zh) 一种自动烘干机
CN206586293U (zh) 一种自动不落地揉捻机组
CN212374287U (zh) 一种碳化硅原料输送装置
CN204973931U (zh) 立式椭圆料管活性炭/焦再生一体塔
CN213472102U (zh) 一种注塑件用可连续冷却的高效冷却箱
CN210283218U (zh) 吹塑机的加料装置
CN218645989U (zh) 一种棉花烘干除杂机用托辊轴笼
CN214982685U (zh) 一种节能型除湿干燥送料机
KR20020065992A (ko) 시트상 고무재료의 냉각장치
CN217196397U (zh) 一种塑料瓶回收机
CN220195466U (zh) 一种毛豆分拣装置
CN218756208U (zh) 一种棉花烘干除杂机用除杂装置
CN219707415U (zh) 小型水果包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