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7284B1 - 트리거식 분무장치 - Google Patents

트리거식 분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7284B1
KR101087284B1 KR1020090081557A KR20090081557A KR101087284B1 KR 101087284 B1 KR101087284 B1 KR 101087284B1 KR 1020090081557 A KR1020090081557 A KR 1020090081557A KR 20090081557 A KR20090081557 A KR 20090081557A KR 101087284 B1 KR101087284 B1 KR 101087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housing
negative pressure
body memb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3586A (ko
Inventor
세인 래피 마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린
Priority to KR1020090081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284B1/ko
Publication of KR20110023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8Piston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9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 B05B11/1011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without substantial movement of the nozzle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38Pressure accumulation pumps, i.e. pumps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 B05B11/1039Pressure accumulation pumps, i.e. pumps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the outlet valve being mechanically opened after a defined accumulation stroke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트리거식 분무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트리거식 분무장치는: 왕복 이동되는 피스톤을 구비하는 펌핑부와, 피스톤이 삽입되는 내측홈부와 내측홈부와 연통되는 관로부재를 구비하는 하우징부와, 펌핑부와 연동하여 관로부재의 입구부를 개폐하는 제1밸브부 및 펌핑부와 연동하여 관로부재의 출구부를 개폐하는 제2밸브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트리거, 분무장치, 제1밸브부, 제2밸브부, 펌핑부

Description

트리거식 분무장치{TRIGGER TYPE SPRAYER}
본 발명은 분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즐부의 분사 종료 후, 노즐부에서 액체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트리거식 분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리거식 분무장치는, 손잡이부재를 잡아당겨서 발생된 압력을 이용해서 용기에 저장된 액체를 분사하는 장치이다.
손잡이부재를 놓으면, 손잡이부재가 원상 회복되면서 발생된 압력으로 용기에 저장된 액체가 하우징부에 충진된다.
하우징부의 내측을 흐르는 유체의 흐름은 쇠구슬을 이용하여 제어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트리거식 분무장치는 유체의 흐름을 쇠구슬을 이용하여 제어하므로, 유체의 누설이 발생되어 노즐부에서 잔여 액체의 낙하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유체의 흐름을 정확히 제어하여 노즐부에서 액체의 잔량이 낙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트리거식 분무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식 분무장치는: 왕복 이동되는 피스톤을 구비하는 펌핑부와, 피스톤이 삽입되는 내측홈부와 내측홈부와 연통되는 관로부재를 구비하는 하우징부와, 펌핑부와 연동하여 관로부재의 입구부를 개폐하는 제1밸브부 및 펌핑부와 연동하여 관로부재의 출구부를 개폐하는 제2밸브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펌핑부에서 하우징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부압돌기부 및 하우징부에 부압돌기부가 이동되는 이동공간이 형성되며 이동공간의 내측에는 하우징부의 외측과 하우징부에 연결되는 용기를 연결하는 부압홀이 구비되는 부압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밸브부는, 관로부재의 내측을 따라 이동되는 봉 형상의 제1몸체부재 및 제1몸체부재에서 방사 형상으로 경사지게 펼쳐지는 제1날개부재를 포함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몸체부재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측면에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제1머리부재 및 관로부재의 내측에서 돌출되어 삽입홈에 삽입되는 가이드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관로부재의 내측에서 돌출되어 제1몸체부재의 측면을 가이드하는 안내돌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날개부재와 접하는 관로부재의 측면에 통공되는 유로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밸브부는, 관로부재의 내측을 따라 이동되는 봉 형상의 제2몸체부재 및 제2몸체부재에서 방사 형상으로 경사지게 펼쳐지는 제2날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2몸체부재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머리부재 및 제2머리부재가 삽입되는 장착홈과 장착홈과 이격되어 관로부재와 연통되는 연통공을 구비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식 분무장치는 유체의 흐름에 따라 변형되어 관로부재를 개폐하는 제1날개부재와 제2날개부재를 구비하므로, 유체의 누설이 방지되어 노즐부에서 잔여 액체가 낙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식 분무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정용 트리거식 분무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식 분무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식 분무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식 분무장치에서 손잡이부재가 당겨지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손잡이부재가 복원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에 제1밸브부와 제2밸브부의 설치상태를 도시하는 부분절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식 분무장치(1)는, 왕복 이동되는 피스톤(16)을 구비하는 펌핑부(10)와, 피스톤(16)이 삽입되는 내측홈부(37)와 내측홈부(37)와 연통되는 관로부재(35)를 구비하는 하우징부(20)와, 펌핑부(10)와 연동하여 관로부재(35)의 입구부(40)를 개폐하는 제1밸브부(70) 및 펌핑부(10)와 연동하여 관로부재(35)의 출구부(44)를 개폐하는 제2밸 브부(8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한 트리거식 분무장치(1)는 액체가 저장되는 용기(9)에 결합되며, 용기(9)에 저장된 액체는 노즐부(3)를 통해 전방으로 분사된다.
노즐부(3)는 하우징부(20)의 전방에 구비되며, 하우징부(20)와 용기(9) 사이에는 가스켓부재(7)가 설치되어 공기의 누설을 방지한다.
용기(9)와 하우징부(20)를 연결하는 호스부재(8)는 가스켓부재(7)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하우징부(20)의 외측에는 외형을 형성하는 커버부재(5)가 결합된다.
하우징부(20)는 상부하우징(30)과 하부하우징(60)으로 분리되며, 상부하우징(30)과 하부하우징(60)의 사이에는 캡부재(6)가 설치된다.
캡부재(6)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용기(9)에 결합되므로, 트리거식 분무장치(1)가 용기(9)에 고정된다.
펌핑부(10)는 사용자가 조작력을 가하는 손잡이부재(12)와, 손잡이부재(12)와 연결되어 왕복이동하는 플런저(17) 및 플런저(17)를 복귀시키는 탄성부재(14)를 포함한다.
플런저(17)는 하우징부(20)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메인돌기부(18)와 부압돌기부(19)를 구비하며, 메인돌기부(18)와 부압돌기부(19)는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메인돌기부(18)에는 피스톤(16)이 결합되며, 피스톤(16)을 구비한 메인돌기부(18)는 상부하우징(30)에 구비된 내측홈부(37)를 따라 왕복 이동된다.
하우징부(20)는 내측홈부(37)를 구비하는 상부하우징(30)과, 상부하우징(30) 의 하측(이하 도 2기준)에 결합되는 하부하우징(60)을 포함한다.
하우징부(20)에는 액체가 흐르는 통로를 형성하는 관로부재(35)가 구비되며, 이러한 관로부재(35)는 제1관로(32)와 제2관로(33) 및 제3관로(34)를 포함한다.
제1관로(32)는 하부하우징(60)에 구비되며, 하부하우징(60)의 내측으로 가이드편(62)이 돌출 형성된다.
제1관로(32)와 이격되어 상부하우징(30)에 설치되는 제2관로(33)는 상부하우징(30)의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통공된다.
제2관로(33)는 내측홈부(37)와 연결공(38)으로 연결되며, 제2관로(33)의 상측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3관로(34)와 연결된다.
하우징부(20)에는 부압돌기부(19)의 이동으로 용기(9)에 공기를 보충해주는 부압홈부(50)가 구비된다.
부압홈부(50)는, 내측홈부(37)와 이격되어 하우징부(20)에 설치되는 이동공간(52)과, 이동공간(52)의 내측과 연통되어 하우징부(20)의 외측과 하우징부(20)에 연결되는 용기(9)를 연결하는 부압홀(54)을 포함한다.
부압돌기부(19)는 이동공간(52)에 삽입되어 왕복 이동되므로, 부압돌기부(19)의 동작에 따라 부압홀(54)이 개폐된다.
관로부재(35)의 입구부(40)는 제1관로(32)의 상측과 제2관로(33)의 하측 사이에 형성되며, 관로부재(35)의 출구부(44)는 제3관로(34)에서 노즐부(3)를 향한 방향에 형성된다.
관로부재(35)의 입구부(40)를 개폐하는 제1밸브부(70)는, 관로부재(35)의 내 측을 따라 이동되는 봉 형상의 제1몸체부재(72) 및 제1몸체부재(72)에서 방사 형상으로 경사지게 펼쳐지는 제1날개부재(74)를 포함한다.
제1날개부재(74)는, 제1관로(32)의 상측에 접하면서 제1관로(32)를 통한 액체의 이동을 차단하거나, 제2관로(33)의 하측에 접하면서 제2몸체부재(82)의 상측 이동을 구속한다.
제1날개부재(74)는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관로부재(35)를 따라 이동되는 액체나 공기 등의 유체 이동에 따라서 제1몸체부재(72) 방향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진다.
제1밸브부(70)는, 제1몸체부재(72)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측면에는 삽입홈(78)을 형성하는 제1머리부재(76)가 구비된다.
제1머리부재(76)는 측면에 삽입홈(78)이 형성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십자 형상으로 교차된 편 형상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관로부재(35)에서 제1머리부재(76)가 삽입되는 제1관로(32)의 내측에는 가이드편(62)이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편(62)은 제1머리부재(76)가 제1관로(32)에 삽입될 때, 제1머리부재(76)의 삽입홈(78)에 삽입되어 제1밸브부(70)의 회동 및 흔들림을 방지하므로, 제1밸브부(70)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몸체부재(72)가 상하로 이동되는 제2관로(33)의 내측에는 제1몸체부재(72)의 측면을 가이드하는 안내돌기부재(38)가 돌출 형성된다.
안내돌기부재(38)는 상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가 제2관로(33)의 내 주면을 따라 복수로 구비되며, 제1몸체부재(72)의 외측을 따라 흐르는 액체나 공기의 유체 흐름을 허용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안내돌기부재(38)가 제1몸체부재(72)의 측면에 접하거나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1밸브부(7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므로, 제1밸브부(70)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입구부(40)는 제1밸브부(70)의 상하 이동으로 개폐되며, 이를 위하여 제1밸브부(70)의 하측 이동시 제1날개부재(74)와 접하는 제1관로(32)의 측면에는 별도의 구멍이 형성되지 않으며, 제1밸브부(70)의 상측 이동시 제1날개부재(74)와 접하는 제2관로(33)의 측면에는 액체나 공기 등의 유체가 이동되기 위한 유로공(42)이 통공된다.
제1밸브부(70)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제1날개부재(74)가 제2관로(33)의 하측에 접할 때, 제1관로(32)를 따라 상측으로 올라오는 액체는 유로공(42)을 통하여 제2관로(33)로 유입되어 상측으로 이동된다.
제1밸브부(70)는 펌핑부(10)의 작동으로 형성되는 압력에 의해서 상하 이동하면서 관로부재(35)의 입구부(40)를 개폐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제2밸브부(80)도 펌핑부(10)의 작동으로 형성되는 압력에 의해서 수평 이동하면서, 관로부재(35)의 출구부(44)를 개폐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제2밸브부(80)는, 관로부재(35)의 내측을 따라 이동되는 봉 형상의 제2몸체부재(82)와, 제2몸체부재(82)에서 방사 형상으로 경사지게 펼쳐지는 제2날개부재(84) 및 제2몸체부재(82)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머리부재(86)를 포함한다.
제2날개부재(84)는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제2몸체부재(82)에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제2날개부재(84)는 제3관로(34)를 따라 이동되는 액체나 공기 등의 유체 이동에 따라서 제2몸체부재(82) 방향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진다.
관로부재(35)의 출구부(44)에는 제2밸브부(80)가 안착되는 홈부인 스토퍼부(48)가 구비된다. 스토퍼부(48)는 제2밸브부(80)가 노즐부(3) 방향에서 하우징부(20) 방향으로 이동되어 안착되는 홈부를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스토퍼부(48)는, 제2머리부재(86)가 삽입되는 장착홈(46)과, 장착홈(46)과 이격되어 관로부재(35)의 제3관로(34)와 연통되는 연통공(47)을 구비한다.
제2머리부재(86)는 십자 형상으로 교차된 편 형상을 포함하여 원기둥 형상이나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식 분무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재(12)를 하우징부(20) 방향으로 당기면, 메인돌기부(18)에 결합된 피스톤(16)이 내측홈부(37)의 공간을 압축한다.
내측홈부(37)에 저장된 액체는 연결공(38)을 통해 관로부재(35)의 제2관로(33)로 이동된다.
제2관로(33)로 이동된 액체의 일부는 제2관로(33)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여 제1밸브부(70)의 제1날개부재(74)를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하측으로 이동되는 제1밸브부(70)의 제1날개부재(74)는 제1관로(32)의 상단에 걸려서 액체가 제1관로(32)를 따라 용기(9)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가이드편(62)은 제1머리부재(76) 사이에 구비되는 삽입홈(78)에 삽입되어 제1밸브부(70)의 회동 및 흔들림을 방지하므로, 제1날개부재(74)와 제1관로(32)의 밀착성을 향상시킨다.
제2관로(33)의 하부 이동이 구속된 액체는 제2관로(33)의 상측과 연통된 제3관로(34)를 따라 연통공(47)으로 흐른다.
연통공(47)으로 흐르는 액체는 제2밸브부(80)의 제2날개부재(84)를 제2몸체부재(82) 방향으로 젖히고 노즐부(3) 방향으로 이동되어 트리거식 분무장치(1)의 외측으로 분사된다.
피스톤(16)이 내측홈부(37)를 가압하면서 발생된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하가 되면, 제2날개부재(84)의 형상이 원상으로 회복되면서 제3관로(34)를 통하여 노즐부(3)로 이동하는 액체의 흐름을 차단한다.
한편, 피스톤(16)과 같이 이동되는 부압돌기부(19)는 부압홈부(50)의 내측으로 이동되면, 부압돌기부(19)의 외측면과 부압홈부(50)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공기가 이동되어 부압홀(54)을 통해 용기(9)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용기(9) 의 변형을 방지한다.
도 2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재(12)가 탄성부재(14)의 탄성력으로 하우징부(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메인돌기부(18)에 결합된 피스톤(16)이 외측으로 이동되면서 내측홈부(37)의 공간이 확장된다.
내측홈부(37)의 내측에는 진공압이 발생되므로, 내측홈부(37)의 내측 압력은 용기(9)의 내측 압력이나 노즐부(3)의 외측 압력보다 낮게 형성된다.
노즐부(3)의 외측 공기는 노즐부(3)에서 제3관로(34)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밸브부(80)의 제2머리부재(86)를 장착홈(46)에 안착시킨다.
제2날개부재(84)는 스토퍼부(48)에 펼쳐진 형상으로 접하면서 연통공(47)을 막으므로, 외측 공기가 제3관로(34)를 통해서 내측홈부(37)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용기(9)에 있는 액체는 호스부재(8)를 따라 제1관로(32)로 이동되며, 제1관로(32)로 이동된 액체는 제1밸브부(70)의 제1날개부재(74)를 상측으로 들어올린다.
제1날개부재(74)는 상측으로 이동되어 제2관로(33)의 하단에 접하여 상측 이동이 구속되며, 제1몸체부재(72)의 측면은 안내돌기부재(38)로 상측 이동을 안내하여 제1밸브부(70)의 편심 및 흔들림 현상을 방지하여 동작신뢰성을 향상한다.
제1밸브부(70)가 제2관로(33)의 하단을 막고 있는 상태에서, 제1관로(32)를 통과한 액체는 제2관로(33)의 하측면에 구비되는 유로공(42)을 통하여 상측으로 이동한다.
유로공(42)을 통과한 액체는 내측홈부(37)로 이동되며, 설정된 양의 액체가 내측홈부(37)에 충진되어 내측홈부(37)와 용기(9) 내측의 압력차가 설정된 값 이하가 되면, 제1밸브부(70)는 제1관로(32)를 막으므로 용기(9)에서 내측홈부(37)로 이동되는 액체의 이동을 중지시킨다.
한편, 피스톤(16)과 같이 이동되는 부압돌기부(19)는 부압홈부(5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부압홈부(50)의 입구를 막으므로, 부압홀(54)을 통한 공기의 이동을 막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탄성적으로 펼쳐지는 제1날개부재(74)와 제2날개부재(84)를 구비한 제1밸브부(70)와 제2밸브부(80)를 사용하여 유체의 흐름을 보다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노즐부(3)에서 액체의 잔량이 낙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분사 동작과 함께 용기(9)로 공기의 보충이 이루어지므로, 용기(9)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다 원활한 분사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가정용 트리거식 분무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업소용이나 공업용 등 다양한 종류의 유체 분사에도 본 발명의 트리거식 분무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식 분무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식 분무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식 분무장치에서 손잡이부재가 당겨지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손잡이부재가 복원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에 제1밸브부와 제2밸브부의 설치상태를 도시하는 부분절개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트리거식 분무장치 3: 노즐부
9: 용기 10: 펌핑부
12: 손잡이부재 16: 피스톤
17: 플런저 18: 메인돌기부
19: 부압돌기부 20: 하우징부
30: 상부하우징 32: 제1관로
33: 제2관로 34: 제3관로
35: 관로부재 38: 안내돌기부재
37: 내측홈부 38: 연결공
40: 입구부 42: 유로공
44: 출구부 46: 장착홈
47: 연통공 48: 스토퍼부
50: 부압홈부 54: 부압홀
60: 하부하우징 62: 가이드편
70: 제1밸브부 72: 제1몸체부재
74: 제1날개부재 76: 제1머리부재
78: 삽입홈 80: 제2밸브부
82: 제2몸체부재 84: 제2날개부재
86: 제2머리부재

Claims (8)

  1. 왕복 이동되는 피스톤을 구비하는 펌핑부;
    상기 피스톤이 삽입되는 내측홈부와, 상기 내측홈부와 연통되는 관로부재를 구비하는 하우징부;
    상기 펌핑부와 연동하여 상기 관로부재의 입구부를 개폐하는 제1밸브부; 및
    상기 펌핑부와 연동하여 상기 관로부재의 출구부를 개폐하는 제2밸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밸브부는, 상기 관로부재의 내측을 따라 이동되는 봉 형상의 제2몸체부재; 및
    상기 제2몸체부재에서 방사 형상으로 경사지게 펼쳐지는 제2날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식 분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에서 상기 하우징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부압돌기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상기 부압돌기부가 이동되는 이동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공간의 내측에는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과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는 용기를 연결하는 부압홀이 구비되는 부압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식 분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부는,
    상기 관로부재의 내측을 따라 이동되는 봉 형상의 제1몸체부재; 및
    상기 제1몸체부재에서 방사 형상으로 경사지게 펼쳐지는 제1날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식 분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부재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측면에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제1머리부재; 및
    상기 관로부재의 내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가이드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식 분무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부재의 내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몸체부재의 측면을 가이드하는 안내돌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식 분무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날개부재와 접하는 상기 관로부재의 측면에 통공되는 유로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식 분무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부재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머리부재; 및
    상기 제2머리부재가 삽입되는 장착홈과, 상기 장착홈과 이격되어 상기 관로부재와 연통되는 연통공을 구비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식 분무장치.
KR1020090081557A 2009-08-31 2009-08-31 트리거식 분무장치 KR101087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557A KR101087284B1 (ko) 2009-08-31 2009-08-31 트리거식 분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557A KR101087284B1 (ko) 2009-08-31 2009-08-31 트리거식 분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586A KR20110023586A (ko) 2011-03-08
KR101087284B1 true KR101087284B1 (ko) 2011-11-29

Family

ID=43931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557A KR101087284B1 (ko) 2009-08-31 2009-08-31 트리거식 분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72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4165A (ko) * 2014-11-05 2016-05-16 주식회사 다린 분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413B1 (ko) * 2011-09-30 2013-09-27 주식회사 다린 트리거식 분무장치
KR101887397B1 (ko) * 2016-11-22 2018-09-21 주식회사 다린 분무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9255A (ja) * 1999-02-05 2000-08-22 Toppan Printing Co Ltd トリガー式液体噴霧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9255A (ja) * 1999-02-05 2000-08-22 Toppan Printing Co Ltd トリガー式液体噴霧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4165A (ko) * 2014-11-05 2016-05-16 주식회사 다린 분무장치
KR101672805B1 (ko) 2014-11-05 2016-11-07 주식회사 다린 분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586A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21658B1 (en) Trigger sprayers
EP2233213B1 (en) Pressure accumulation dispenser
JPS6157066B1 (ko)
JP3916998B2 (ja) トリガー式流体吐出器
EP2694221B1 (en) Pre-compression trigger sprayers
US10159997B2 (en) Low cost trigger sprayer
US8469291B2 (en) Low cost trigger sprayer
JP2008149252A (ja) トリガー式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
EP2703088A1 (en) Foam spray head assembly
JP2013158673A (ja) トリガー式連続噴霧器
EP2669015B1 (en) Foam spray head assembly
JPS6251150B2 (ko)
KR101087284B1 (ko) 트리거식 분무장치
KR101902473B1 (ko) 이중 스프링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
JP3167339U (ja) 泡発生用のポンプ構造
US8864052B2 (en) Low cost trigger sprayer
KR101551191B1 (ko) 약제 디스펜서
KR102125725B1 (ko) 펌프 디스펜서
KR101457173B1 (ko) 약제 디스펜서
KR101672805B1 (ko) 분무장치
JP7345984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2015174071A (ja) スプレー装置
JP5632729B2 (ja) 低コストのトリガー式噴霧器
KR101950809B1 (ko) 스프레이형 펌프 디스펜서
KR20140146681A (ko) 약제 디스펜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