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7131B1 - 스크린유닛 교체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유닛 교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7131B1
KR101087131B1 KR1020090046162A KR20090046162A KR101087131B1 KR 101087131 B1 KR101087131 B1 KR 101087131B1 KR 1020090046162 A KR1020090046162 A KR 1020090046162A KR 20090046162 A KR20090046162 A KR 20090046162A KR 101087131 B1 KR101087131 B1 KR 101087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ving
screen
screen uni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7633A (ko
Inventor
김종택
박종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6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131B1/ko
Publication of KR20100127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5/00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 C21B5/008Composition or distribution of the 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00Shaft or like vertical or substantially vertical furnaces
    • F27B1/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1/20Arrangements of devices for cha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033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charging of particulat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5/00Supports, screens, or the like for the charge within the furnace
    • F27D5/0062Shields for the 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유닛 교체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스크린유닛을 운반하는 제1이동부; 제2스크린유닛을 운반하는 제2이동부;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유닛 교체장치는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가 순차적으로 이동되고, 이로 인해 스크린유닛 교체가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Figure R1020090046162
스크린유닛, 선별, 교체, 바퀴, 와이어

Description

스크린유닛 교체장치{EXCHANGING DEVICE OF SCREEN UNIT}
본 발명은 스크린유닛 교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린유닛을 신속하게 이동시켜 교체시간을 단축하는 스크린유닛 교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에 투입되는 원료인 철광석은 소결기로부터 불출되어 원료저장조에 투입된 후 입도선별기에 의해 고로조업에서 필요로 하는 크기의 입도로 선별된다.
입도선별기는 복수의 스크린유닛이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부스크린부와 하부스크린부로 이루어진다.
상부스크린부는 우레탄 고무판에 일정한 크기의 구멍이 다수개 형성된 스크린유닛들이 한 조를 이룬다. 상부스크린부에는 90여개의 스크린유닛들이 장착된다.
하부스크린부는 상부스크린부의 하방에 위치된다. 상부스크린부와 하부 스크린부는 구멍의 크기가 다르다.
입도선별기에서 상부스크린부의 구멍을 통과하지 않은 철광석은 이송설비에 의해 이송되어 고로에 투입된다.
상부스크린부의 구멍을 통과하는 원료는 하부스크린부 상에 떨어지며, 이중 직경이 12mm 이상인 것은 2차 스크린 평량에 의해 선별되어 고로에서 원료로 사용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 하부 스크린 매트의 구멍에 원료가 끼이게 되면, 입도 선별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스크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스크린 효율이 저하되면, 괴광을 포함한 분광이 고로 내에 다량으로 투입되며, 이로 인해 고로 내부의 가스흐름이 불균일해져 고로 연속조업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스크린 효율이 저하된 스크린유닛을 신속하게 교체하여 고로 연속조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크린유닛 교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스크린유닛을 운반하는 제1이동부; 제2스크린유닛을 운반하는 제2이동부; 상기 제1이동부와 상기 제2이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1이동부와 상기 제2이동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유닛 교체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이동부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2이동부에 타단부가 결합되는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이동부에 일단부가 결합되는 제1결합체; 상기 제1결 합체의 타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1결합체가 감기는 제1회전체; 및 상기 제1회전체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이동부에 일단부가 결합되는 제2결합체; 상기 제2결합체의 타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2결합체가 감기는 제2회전체; 및 상기 제2회전체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유닛 교체장치는 교체할 스크린유닛을 기계장치를 통해 이동시켜 줌으로써, 작업자가 편리하고 신속하게 스크린유닛에 대한 교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유닛 교체장치는 스크린유닛의 신속한 교체로 인해 스크린 효율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고로 연속조업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유닛 교체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유닛 교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유닛 교체장치가 제1스크린유닛을 교체하기 전 배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유닛 교체장치의 제1이동부에 제1스크린유닛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유닛 교체장치가 제2스크린유닛을 하우징에 위치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유닛 교체장치에 의해 스크린유닛 교체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유닛 교체장치(100)에는 제1이동부(110), 제2이동부(120), 연결부(130) 및 구동부(140)가 구비된다. 이러한 스크린유닛 교체장치(100)는 복수개의 스크린유닛이 설치되어 원료를 선별하는 하우징(10)을 통과한다.
하우징(10)의 일측면에는 제1작업도어(11)가 구비되어 하우징(10)을 개폐하고, 하우징(10)의 타측면에는 제2작업도어(12)가 구비되어 하우징(10)을 개폐한다. 제1작업도어(11)와 제2작업도어(12)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제1작업도어(11)와 제2작업도어(12)가 하우징(10)을 동시에 개방하는 경우, 제1이동부(110)와 제2이동부(120)는 개방된 부분을 통해 하우징(10)을 통과한다.
제1이동부(110)는 스크린 효율이 저하되어 교체가 필요한 제1스크린유닛(21)을 운반한다. 제1이동부(110)에는 바퀴가 구비되며, 바퀴는 지면상에서 자유 회전되거나 레일상에서 회전된다.
제2이동부(120)는 스크린 효율이 정상이며, 제1스크린유닛(21)을 대체할 제2스크린유닛(22)을 운반한다. 제2이동부(120)에는 바퀴가 구비되며, 바퀴는 지면상에서 자유 회전되거나 레일상에서 회전된다.
연결부(130)는 제1이동부(110)와 제2이동부(120)를 연결한다. 이로 인해 제1이동부(110) 또는 제2이동부(120) 중 어느 하나가 일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다른 하나가 따라서 이동된다.
구동부(140)는 제1이동부(110)와 제2이동부(120)를 강제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구동부(140)는 제1이동부(110) 또는 제2이동부(120)에 연결되거나, 제1이동부(110) 또는 제2이동부(120)의 바퀴 자체에 구비되는 동력발생장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130)로는 와이어를 사용한다. 이러한 와이어는 일단부가 제1이동부(11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제2이동부(120)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40)에는 제1구동부(141)와 제2구동부(142)가 구비된다. 제1구동부(141)는 제1이동부(110)를 이동시키고, 제2구동부(142)는 제2이동부(120)를 이동시킨다.
제1구동부(141)에는 제1결합체(141a), 제1회전체(141b) 및 제1구동체(141c)가 구비된다. 제1결합체(141a)는 제1이동부(110)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제1회전 체(141b)에 타단부가 결합된다. 제1결합체(141a)는 제1이동부(110)에 탈부착되어 결합되거나 분리된다. 제1회전체(141b)는 회전되면서 제1결합체(141a)를 감거나 풀어주며, 제1구동체(141c)는 제1회전체(141b)와 결합되어 제1회전체(141b)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1결합체(141a)의 일예로 와이어를 사용하고, 제1구동체(141c)의 일예로 모터를 사용한다.
제2구동부(142)에는 제2결합체(142a), 제2회전체(142b) 및 제2구동체(142c)가 구비된다. 제2결합체(142a)는 제2이동부(120)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제2회전체(142b)에 타단부가 결합된다. 제2결합체(142a)는 제2이동부(120)에 탈부착되어 결합되거나 분리된다. 제2회전체(142b)는 회전되면서 제2결합체(142a)를 감거나 풀어주며, 제2구동체(142c)는 제2회전체(142b)와 결합되어 제2회전체(142b)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2결합체(142a)의 일예로 와이어를 사용하고, 제2구동체(142c)의 일예로 모터를 사용한다.
구동부(140)에는 제1구동부(141)만 구비되거나, 제1구동부(141)와 제2구동부(142)가 모두 구비될 수 있다.
만일 제1구동부(141)만 구비되는 경우, 제1구동부(141)가 제1이동부(110)를 이동시켜 스크린유닛 교체를 완료하고, 제1구동부(141)의 위치를 변동시켜 제1구동부(141)가 제2이동부(120)를 이동시켜 스크린유닛의 교체를 완료한다.
구동부(140)에 제1구동부(141)와 제2구동부(142)가 구비되는 경우, 제1구동부(141)는 제1이동부(110)를 이동시키고, 제2구동부(142)는 제2이동부(120)를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유닛 교체장치를 이용한 스크린유닛의 교체작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구동부는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하우징(10)의 양측으로 스크린유닛 교체장치(100)가 배치되고, 하우징(10)의 양측면은 제1작업도어(11)와 제2작업도어(12)에 의해 폐쇄된다(도 2 참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다수의 스크린유닛이 배치되어 원료에 대한 선별 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상태에서, 구멍이 막혀 선별력이 떨어지는 스크린유닛(이하, '제1스크린유닛'이라 함)을 교체하기 위해, 제1작업도어(11)와 제2작업도어(12)에 의해 하우징(10)의 양측면을 개방하고, 제1결합체(141a)를 제1이동부(110)에 연결한다.
그런 다음, 제1구동체(141c)를 구동시키면, 제1회전체(141b)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1결합체(141a)를 감게 되고, 이에 따라 제1이동부(110)는 제1결합체(141a)의 장력에 의해 하우징(10) 내부로 이동되어 제1스크린유닛(21) 하방에 위치된다.
제1이동부(110)가 제1스크린유닛(21)의 하방에 위치되면, 다수의 스크린유닛 결합물 중에서 제1스크린유닛(21)만을 분리하여 제1이동부(110)에 안착시킨다(도 3 참조).
이때, 제1이동부(110)와 제2이동부(120)는 연결부(13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제1이동부(110)에 제1스크린유닛(21)이 안착된 상태에서, 제1구동체(141c)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회전체(141b)가 제1결합체(141a)를 감게 되어 제1이동부(110)는 하우징(10)에서 배출되고 제2이동부(120)가 하우징(10) 내부로 이동된다(도 4 참조).
제2이동부(120)에는 정상적인 선별력을 갖는 제2스크린유닛(22)이 장착되므로, 작업자는 제2스크린유닛(22)을 제2이동부(120)에서 분리하여 다수의 스크린유닛 결합물에 결합시킨다.
제1스크린유닛(21)을 제2스크린유닛(22)으로 교체한 다음, 제1구동체(141c)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이동부(120)를 하우징(10)에서 배출한 다음, 제2결합체(142a)를 제2이동부(120)와 분리시키고 제1작업도어(11)와 제2작업도어(12)가 하우징(10)을 폐쇄한다(도 5 참조).
한편, 제2스크린유닛(22)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상술한 과정을 통해 제2스크린유닛(22)을 정상 선별이 가능한 제품으로 교환 가능하다. 이때, 제1이동부(110)와 제2이동부(120)에 대한 구동력은 제2구동부(142)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유닛 교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유닛 교체장치가 제1스크린유닛을 교체하기 전 배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유닛 교체장치의 제1이동부에 제1스크린유닛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유닛 교체장치가 제2스크린유닛을 하우징에 위치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유닛 교체장치에 의해 스크린유닛 교체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제1작업도어 12 : 제2작업도어
21 : 제1스크린유닛 22 : 제2스크린유닛
110 : 제1이동부 120 : 제2이동부
130 : 연결부 140 : 구동부

Claims (4)

  1. 제1스크린유닛을 운반하는 제1이동부;
    제2스크린유닛을 운반하는 제2이동부;
    상기 제1이동부와 상기 제2이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1이동부와 상기 제2이동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유닛 교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이동부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2이동부에 타단부가 결합되는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유닛 교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이동부에 일단부가 결합되는 제1결합체;
    상기 제1결합체의 타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1결합체가 감기는 제1회전체; 및
    상기 제1회전체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유닛 교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부에 일단부가 결합되는 제2결합체;
    상기 제2결합체의 타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2결합체가 감기는 제2회전체; 및
    상기 제2회전체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유닛 교체장치.
KR1020090046162A 2009-05-26 2009-05-26 스크린유닛 교체장치 KR101087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162A KR101087131B1 (ko) 2009-05-26 2009-05-26 스크린유닛 교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162A KR101087131B1 (ko) 2009-05-26 2009-05-26 스크린유닛 교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633A KR20100127633A (ko) 2010-12-06
KR101087131B1 true KR101087131B1 (ko) 2011-11-25

Family

ID=43504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162A KR101087131B1 (ko) 2009-05-26 2009-05-26 스크린유닛 교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71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366B1 (ko) * 2011-02-14 2011-06-01 이상대 합성수지 압출기용 스크린 교체장치
KR102218528B1 (ko) 2020-09-02 2021-02-22 나이스레이저(주) 절곡기 날 교체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442B1 (ko) 2006-11-15 2007-10-25 (주)흥원피앤엠 자동 스크린 교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442B1 (ko) 2006-11-15 2007-10-25 (주)흥원피앤엠 자동 스크린 교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633A (ko) 2010-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688870U (zh) 一种废旧电池破碎回收加料筛选装置
CN106984415A (zh) 一种废旧电池破碎回收加料筛选装置
CN203426040U (zh) 一种高效有机肥筛分设备
KR101087131B1 (ko) 스크린유닛 교체장치
CN204338454U (zh) 一种水泥磨研磨体筛选装置
CN106238190A (zh) 可流动作业的制沙装置
CN212142816U (zh) 一种矿物加工用筛选装置
CN111070474B (zh) 一种塑料颗粒原料筛选机
CN201848941U (zh) 大型轮胎回收生产线
CN213376815U (zh) 一种铁钩浇注料生产用破碎装置
CN108927336A (zh) 一种转炉用铁矿石筛分装置
CN209438992U (zh) 一种土木工程用分类筛沙装置
CN209077181U (zh) 一种转炉用铁矿石筛分装置
CN215878103U (zh) 一种具有矿石筛选功能的矿石粉碎机
CN205364299U (zh) 废橡胶磨轮联动可逆超音速气流对撞粉碎设备
CN107185800A (zh) 外入式圆筒隔渣筛
CN114425481A (zh) 一种应用于环保镍生铁生产的生产设备
CN203484219U (zh) 小型试验用储氢合金粉自动筛分机
CN207463423U (zh) 一种带有分筛功能的混凝土破碎机
CN205217073U (zh) 滚筒式钢渣破碎筛分装置
CN112474006A (zh) 一种可移动式破碎机设备
CN105032592B (zh) 磁力分离粉碎机
CN205217070U (zh) 一种大型球磨机分体式筛分装置
CN205818250U (zh) 八角滚筒筛分机
CN211678698U (zh) 一种配电柜生产用原料筛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