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6031B1 - 이동 단말의 자동 오프/온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의 자동 오프/온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6031B1
KR101086031B1 KR1020090046467A KR20090046467A KR101086031B1 KR 101086031 B1 KR101086031 B1 KR 101086031B1 KR 1020090046467 A KR1020090046467 A KR 1020090046467A KR 20090046467 A KR20090046467 A KR 20090046467A KR 101086031 B1 KR101086031 B1 KR 101086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sleep mode
mode setting
information
dorm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8040A (ko
Inventor
남천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046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6031B1/ko
Publication of KR20100128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의 자동 오프/온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단말의 자동 오프/온 시스템은 휴면모드--여기서, 상기 휴면모드는 이동통신망 측에서 통신을 분리하여 이동통신서비스가 불가능한 소프트웨어적인 오프(Off) 상태를 의미함-- 설정 메뉴를 통해 입력 받은 조건정보에 기초한 휴면모드 설정을 요청하는 이동 단말과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의 휴면모드를 설정하여 카운터하고,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이동 단말이 통신을 중단하는 위치등록서버를 포함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단말을 일정한 기간 동안 휴면모드로 설정하여 외부의 방해 없이 이동 단말의 독립적인 부가 기능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휴면모드, 오프/온, 위치등록, 부가기능

Description

이동 단말의 자동 오프/온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AUTO OFF/ON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의 자동 오프/온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가입자의 설정에 따라 일정한 시간 동안 이동 단말의 이동통신기능을 자동으로 오프/온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무선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이동통신서비스는 기존의 이동성이 보장된 통화서비스 뿐아니라 문자서비스 및 무선 인터넷기반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은 전원이 인가(On)되면 이동통신망과 초기접속에 따른 위치를 등록하고, 이동통신망의 서비스 영역 내에서의 언제 어느 곳에서나 통신서비스 및 이동성을 보장받는다.
그러나 일상생활에서는 자의 혹은 타의에 의해서 이동통신서비스를 제한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예를 들면, 항공기의 이착륙시나 극장과 같은 공연관람, 종교행사, 회의, 강의 등과 같은 가입자의 일정에 따라 일정한 시간 동안 이동 단말의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이 때, 가입자는 이동 단말을 진동 혹은 램프모드로 전환할 수 있으나 이는 완전한 서비스의 제한이 될 수 없으며, 결국 이동 단말을 종료(Off)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이동 단말은 기존의 통화 서비스 이외에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 기능이 추가되어 멀티기능의 단말기로 거듭나고 있다.
예컨대, 이동 단말은 무선통신망 접속을 이용한 서비스 뿐아니라, 이동통신망의 접속과 무관하게 카메라, 음성/동영상 재생, 게임, 다이어리, 전자사전, 간단한 문서 편집 및 메모리 등과 같은 단말기의 독립된 부가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말기의 독립된 부가기능들은 이동 단말의 전원이 인가(On)되는 상황에서 동작하므로 이동통신서비스를 제한하는 환경에서 전원을 종료(Off)하게 되면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즉, 이동통신기능의 제한으로 인해 이동 단말의 상기 독립된 부가 기능 또한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과, 이동 단말의 독립된 부가기능을 이용한 작업 중 착신되는 호로 인해 작업에 방해를 받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입자의 설정에 따라 일정한 시간 동안 이동 단말의 통신을 이동통신망과 분리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적인 자동 오프/온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이 통신기능을 자동으로 오프/온 하는 방법은,
a) 휴면모드--여기서 휴면모드는 이동통신망 측에서 통신을 분리하여 이동통신서비스가 불가능한 소프트웨어적인 오프(Off) 상태를 의미함-- 설정 메뉴를 통해 입력 받은 조건정보에 기초하여 휴면모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휴면모드 요청 메시지를 이동 단말의 휴면모드를 관리하는 위치등록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위치등록서버로부터 휴면모드 설정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무선망 접속이 해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등록서버가 이동 단말의 통신기능을 자동으로 오프/온 하는 방법은,
a) 상기 이동 단말의 휴면모드 요청에 따라 휴면모드--여기서 휴면모드는 이동통신망 측에서 통신을 분리하여 이동통신서비스가 불가능한 소프트웨어적인 오프(Off) 상태를 의미함--를 설정하고 휴면모드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상기 이동 단말로 응답하는 단계; b)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해 미리 설정된 휴면모드 설정 기간을 카운터 하는 단계; 및 c) 상기 카운터가 완료되면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상기 이동통신서비스를 활성화(On)하고 휴면모드 설정 해제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자동 오프/온 시스템은,
휴면모드--여기서, 상기 휴면모드는 이동통신망 측에서 통신을 분리하여 이 동통신서비스가 불가능한 소프트웨어적인 오프(Off) 상태를 의미함-- 설정 메뉴를 통해 입력 받은 조건정보에 기초한 휴면모드 설정을 요청하는 이동 단말; 및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의 휴면모드를 설정하여 카운터하고,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이동 단말이 통신을 중단하는 위치등록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단말을 일정한 기간 동안 휴면모드로 설정하여 외부의 방해 없이 단말의 독립적인 부가기능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의 휴면모드 설정 기간 동안 무선망 접속을 해제함으로써 한정된 무선구간의 자원을 절약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위치등록서버가 이동 단말에 대한 휴면모드를 실시간으로 관리하여, 이동 단말에 호를 시도하는 다른 단말에 휴면 상태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호 연결이 불가능한 이유와 이후 정상모드로 전환될 시간을 명확히 안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단말(terminal),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자동 오프/온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자동 오프/온 방법 및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자동 오프/온 방법 및 시스템은 이동 단말(100), 기지국(200), 교환기(300) 및 위치등록서버(400)를 포함한다. 또한, 이외에도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른 장치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이미 알려진 구성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기재하여 설명한다.
이동 단말(100)은 기지국(200)을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여 이동통신 기능을 수행하거나, 인터넷 기반의 무선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100)은 이동통신망측으로 접속을 해제하는 휴면모드(Dormant Mode)를 요청하여, 일정한 시간 동안 이동통신망측과의 통신을 종료(Off) 한다. 여기서, 휴면모드는 이동 단말(100)의 전원이 켜져 있으나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이동통신망 측에서 통신을 분리하여 이동통신서비스가 불가능한 소프트웨어적인 오프(Off) 상태에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동 단말(100)은 전원이 켜진 비 접속 상태에서 카메라, 음성/동영상 재생, 게임, 다이어리, 전자사전, 간단한 문서 편집, TV 수신, 길안내 및 메모리 등과 같은 자체적으로 독립된 부가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200) 무선 접속 규격에 따르는 이동 단말(100)과의 무선 접속 종단 기능을 수행하고, 무선 통신망과 이동 단말(100)의 사이에서 음성, 영상 및 데이터 트래픽(Traffic)을 송수신하는 중계역할을 한다.
교환기(300)는 이동통신 시스템망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하며, 이동 단말(100)에게 발/착신 호 처리 및 가입자 인증 기능, 과금, 기능, 핸드오프 기능 등으로 제공하는 중앙통제 기능을 수행한다.
위치등록서버(400)는 홈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일 수 있으며, 이동 단말(100)의 등록 인식, 등록 삭제, 위치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가입자 정보, 가입자별 부가서비스 정보 및 이동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등록서버(400)는 이동 단말(100)의 휴면모드 요청에 따라 이동 단말(100)의 상태를 일정한 시간 동안 비활성화된 상태로 설정하여 이동통신기능을 중단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100)은 통신부(110), 음성 처리부(120), 키입력부(130), 표시부(140), 카메라부(150), 저장부(160), 휴면모드 설정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200)과 무선통신신호를 송수신하고, 음성 처리부(120)는 통신시에 사용자에 대해 입/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한다.
키입력부(130)는 각종 입력 키를 구비하여 이동 단말(100)의 운용에 필요한 각종 명령을 제어부(180)로 입력하고, 표시부(14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이동 단말(100)의 동작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카메라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피사체의 이미지 및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저장부(160)는 이동 단말(100)의 구동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 및 그 구동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휴면모드 설정부(170)는 기능키(key) 입력에 따른 휴면모드 설정 메뉴를 표시부(140)에 표시하는 역할을 하며, 메시지 생성부(171), 타이머부(172) 및 상태 관리부(173)를 포함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에 표시되는 휴면모드 설정 메뉴를 나타낸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에 표시되는 휴면모드 설정 상태정보를 나타낸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면모드 설정 메뉴는 설정기간을 위한 날짜, 시작시간, 종료시간과 해제시 알림여부 및 알림음 등의 휴면모드 조건을 입력 받는 탭을 포함한다.
휴면모드 설정 메뉴는 특정 기능키의 입력에 따라 팝업 될 수 있으며, 예컨대 일반적으로 종료버튼을 길게 누르면 파워가 오프(Off)되지만, 종료버튼을 짧게 누름으로써 팝업될 수 있다.
메시지 생성부(171)는 휴면모드 설정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조건을 토대로 휴면모드 서비스 식별정보, 설정 기간, 가입자 전화번호 및 장치 일련번호(Electronic serial number, ESN) 등을 포함하는 휴면모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타이머부(172)는 위치등록서버(400)의 이동 단말(100)의 휴면모드 설정이 완료되면 설정 기간을 카운터한다.
상태 관리부(173)는 휴면모드 설정 완료에 따른 상태정보를 표시한다.
즉,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100)의 표시부(140)에 410과 같이 현재 휴면모드 중임을 알리는 아이콘과 타이머부(172)의 카운터 값을 남은 시간으로 표시하여 가입자가 휴면모드의 설정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제어부(180)는 메시지 생성부(171)에서 생성된 휴면모드 요청 메시지를 위치등록서버(400)로 전송하고, 그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면 이동 단말(100)을 휴면모드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후, 제어부(180)는 이동통신망으로의 통신기능을 수행하지 않으며 미리 설정된 휴면모드 설정시간이 도과되어 위치등록서버(400)로부터 휴면모드 해제정보 정보를 수신하면 정상(Active)모드로 전환하여 이동통신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필요시 이동 단말(100)의 초기화하거나 또는 위치등록서버(400)로 휴면모드 해제 요청을 하여 정상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등록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위치등록서버(400)는 통신부(410), 휴면모드 처리부(420), 타이머부(430), 데이터베이스(440) 및 제어 부(450)를 포함한다.
통신부(410)는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교환기(300)와 통신하며, 이동 단말(100)로부터 요청되는 휴면모드 요청 혹은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휴면모드 처리부(420)는 교환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이동 단말(100)의 휴면모드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여 휴면모드 서비스 식별정보, 설정 기간, 가입자 전화번호 및 장치 일련번호 등의 정보를 획득한다.
휴면모드 처리부(420)는 획득된 정보를 인증하여 상기 휴면모드 요청이 정당한 가입자의 요청으로 이루어진 경우 이동 단말(100)에 대한 휴면모드 설정 테이블을 생성하여 상기 획득된 정보들을 기록한다. 여기서, 휴면모드 설정 테이블을 휴면모드를 요청한 가입자별로 생성되며 휴면모드의 해제시까지 유효한 정보로 유지된다.
또한, 휴면모드 처리부(420)는 휴면모드 설정이 완료되면 그에 따른 휴면모드 설정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부(410)를 통해 교환기(300)로 응답한다.
타이머부(430)는 상기 휴면모드 설정완료와 함께 가입자 설정에 따른 휴면모드 설정 기간을 카운터한다.
데이터베이스부(440)는 위치등록서버(400)의 구동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 및가입자 정보, 가입자별 부가 서비스 정보 및 이동 단말(100)의 위치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특히, 이동 단말(100)의 휴면모드 요청에 의해 생성되는 휴면모드 설정 테이블을 저장하고, 휴면모드가 해제된 이후에는 그 이력을 별도로 기록한다.
제어부(450)는 위치등록서버(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한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제어부(180)는 휴면모드 처리부(420)에서 생성된 휴면모드 설정 테이블에 기초하여 유효 기간 동안 이동 단말(100)을 휴면(Dormant)모드 상태로 인식하여 처리한다. 여기서 휴면 모드는 실질적으로 이동 단말(100)을 오프(Off) 상태인 것으로 처리하는 것과 유사한 의미이며, 다만, 휴면모드 설정기간(카운터)이 완료되거나 혹은 이동 단말(100)의 휴면모드 해제 요청시 자동으로 온(On) 상태로 복귀하여 활성화되는 것만 다르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다른 발신 단말로부터 이동 단말(100)에 대한 위치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이동 단말(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임을 알리는 안내로 응답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자동 오프/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100)이 휴면모드 설정을 위한 기능키 값을 입력 받아 휴면모드 메뉴를 표시부(140)에 표시한다(S601).
그리고, 휴면모드 메뉴에 입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휴면모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S602), 교환기(300)로 전송한다(S603). 상기 휴면모드 요청 메시지는 휴면모드 서비스 정보, 설정 기간, 가입자 전화번호 및 장치일련번호(ESN) 등을 포함하며, 교환기(300)는 이를 위치등록서버(400)로 전달한다(S604).
위치등록서버(400)는 수신되는 상기 휴면모드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여, 휴면모드 서비스 식별정보, 설정 기간, 가입자 전화번호 및 장치 일련번호 등의 정보를 획득하고(S605), 획득된 정보를 토대로 휴면모드 설정 테이블을 생성한다(S606). 그리고, 위치등록서버(400)는 상기 설정 기간에 따른 카운터를 실시한다(S607).
여기서, 상기 휴면모드 설정 테이블은 이동 단말(100)에 대한 휴면모드 설정 코드를 ON으로 하고, 이동 단말(100)에 대한 통신서비스를 휴면 휴면(Dormant)모드 즉, 비활성화(Off)된 것으로 처리한다.
위치등록서버(400)는 휴면모드 설정 테이블 생성에 따른 휴면모드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교환기(300)를 통해 이동 단말(100)로 응답한다(S608, S609). 이동 단말(100)은 휴면모드 설정 완료에 따른 카운터를 구동하고, 휴면모드 상태정보를 표시부(140)의 일면에 지속적으로 표시한다(S610).
이때, 교환기(300)는 이동 단말(100)의 무선망 접속을 해제하고, 휴면모드 설정 해제시까지 무선자원을 할당하지 않는다(S611).
따라서, 이동 단말(100)은 휴면모드로 설정된 기간 동안 이동통신기능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기존의 전원을 오프한 것과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으며, 실제로 전원을 종료하지 않고서도 외부의 방해 없이 단말의 독립적인 부가기능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위치등록서버(400)는 이동 단말(100)의 휴면모드 설정 기간에 따른 카운터를 완료하면(S612), 휴면모드 설정을 해제하고(S613), 휴면모드 설정 해제 정보를 교환기(300)로 전송한다(S614).
즉, 위치등록서버(400)는 이동 단말(100)에 대한 휴면모드 설정 코드를 오프(Off)로 변경하고, 이동 단말(100)에 대한 통신서비스를 활성화(Active)된 것으로 처리한다.
교환기(300)는 상기 휴면모드 설정 해제 정보를 수신하면 이동 단말(100)에 대한 무선자원을 할당하여 무선망 재접속을 이루고(S615), 상기 휴면모드 설정 해제 정보를 재접속된 이동 단말(100)로 전송한다(S616).
상기 휴면모드 설정 해제 정보를 수신한 이동 단말(100)은 휴면모드가 해제 되었음을 미리 설정된 알람(벨, 진동 혹은 램프 등)모드로 표출하여 가입자에게 알린다(S617).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100)을 일정한 기간 동안 휴면모드로 설정하여 외부의 방해 없이 단말의 독립적인 부가기능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 단말(100)의 휴면모드 설정 기간 동안 무선망 접속을 해제함으로써 한정된 무선구간의 자원을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휴면모드에 따른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도 7에서 나타내는 서비스 방법은 상기 도 6에 표시된 "A"부분에 해당하는 것으로 휴면모드로 설정된 이동 단말(100)에 다른 단말(이하, "발신 단말"이라 칭함)이 호를 시도했을 때의 서비스 방법을 가정한다.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등록서버(400)가 이 동 단말(100)에 대한 휴면모드 설정을 완료한 이후에, 발신 단말로부터 이동 단말(100)의 위치정보 요청을 수신하면(S701), 수신된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여 착신 단말의 정보를 파악한다(S702).
위치등록서버(400)는 상기 착신 단말의 정보를 통해 휴면모드 설정 테이블을 조회하여(S703), 이동 단말(100)이 휴면모드로 설정 중임을 확인한다(S704).
그러므로, 위치등록서버(400)는 이동 단말(100)의 휴면상태 정보를 발신 단말 측으로 전송하여 호처리가 불가능함을 알린다(S705). 이 때, 상기 휴면상태 정보에는 휴면설정이유 및 남은 기간이 포함시켜 발신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위치등록서버(400)가 이동 단말에 대한 휴면모드를 실시간으로 관리하여, 이동 단말(100)에 호를 시도하는 다른 단말에 휴면 상태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호연결이 불가능한 이유와 이후 정상모드로 전환될 시간을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발신자가 정상모드로 전환된 이후에 통화를 시도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면모드 설정메뉴에 설정기간 및 해제시 알람 정보 등의 조건을 입력받는 탭을 포함한다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휴면모드 설정이유를 입력 받는 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래서, 게임중, 음악/영화감상중, 회의중, 강의중, 취침중, 비행중, 게임중 등의 적어도 하나의 휴면모드 설정이유를 발신 단말로 명확히 알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자동 오프/온 방법 및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에 표시되는 휴면모드 설정 메뉴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에 표시되는 휴면모드 설정 상태정보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등록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자동 오프/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휴면모드에 따른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Claims (15)

  1. 이동 단말이 통신기능을 자동으로 오프/온 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휴면모드--여기서 휴면모드는 이동통신망 측에서 통신을 분리하여 이동통신서비스가 불가능한 소프트웨어적인 오프(Off) 상태를 의미함-- 설정 메뉴를 통해 입력 받은 조건정보에 기초하여 휴면모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휴면모드 요청 메시지를 이동 단말의 휴면모드를 관리하는 위치등록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위치등록서버로부터 휴면모드 설정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 단말과 상기 이동통신망의 교환기 간에 무선망 접속이 해제되는 단계; 및
    d) 상기 교환기의 요청에 따라 무선망 재접속이 이루어진 후, 휴면모드 설정 해제 정보를 상기 위치등록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의 자동 오프/온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면모드 설정 메뉴는
    휴면모드 설정 기간을 위한 날짜, 시작시간, 종료시간, 휴면모드 해제시 알림여부, 알림음 및 휴면설정이유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입력 받는 탭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의 자동 오프/온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와 상기 d) 단계 사이에,
    미리 설정된 휴면모드 설정 기간을 카운터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카운터가 완료되면 상기 무선망 재접속에 따른 휴면모드 설정 해제 정보를 상기 위치등록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이동 단말의 자동 오프/온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종료키 값을 입력 받아 휴면모드 설정 혹은 파워오프 선택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휴면모드 설정을 선택 받아 상기 휴면모드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의 자동 오프/온 방법.
  5. 위치등록서버가 이동 단말의 통신기능을 자동으로 오프/온 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 단말의 휴면모드 요청에 따라 휴면모드--여기서 휴면모드는 이동통신망 측에서 통신을 분리하여 이동통신서비스가 불가능한 소프트웨어적인 오프(Off) 상태를 의미함--를 설정하고 휴면모드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상기 이동통신망의 교환기를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응답하는 단계;
    b)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해 미리 설정된 휴면모드 설정 기간을 카운터 하는 단계; 및
    c) 상기 카운터가 완료되면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상기 이동통신서비스를 활성화(On)하고 휴면모드 설정 해제정보를 상기 교환기를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교환기는 상기 위치등록서버로부터 휴면모드 설정이 완료되었음이 수신되면, 상기 이동 단말로 전달한 후 상기 이동 단말과의 무선망 접속을 해제하고, 상기 위치등록서버로부터 휴면모드 설정 해제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 단말과의 무선망 재접속을 수행한 후 상기 휴면모드 설정 해제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이동 단말의 자동 오프/온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휴면모드 요청을 분석하여 휴면모드 서비스 식별정보, 휴면모드 설정 기간, 휴면설정이유, 가입자 전화번호 및 장치 일련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의 자동 오프/온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획득된 정보를 토대로 휴면모드 설정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이동 단말을 비활성화 상태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의 자동 오프/온 방법.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후 상기 c) 단계 이전에,
    발신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의 휴면상태 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여 호처리가 불가능함을 알리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의 자동 오프/온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휴면모드 설정 테이블을 조회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상기 휴면모드 설정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자동 오프/온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휴면상태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의 휴면설정이유 안내정보 및 상기 카운터에 따라 남은 휴면모드 설정 기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자동 오프/온 방법.
  11. 휴면모드--여기서, 상기 휴면모드는 이동통신망 측에서 통신을 분리하여 이동통신서비스가 불가능한 소프트웨어적인 오프(Off) 상태를 의미함-- 설정 메뉴를 통해 입력 받은 조건정보에 기초한 휴면모드 설정을 요청하는 이동 단말;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의 휴면모드를 설정하여 카운터하고, 상기이동 단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이동 단말의 통신을 중단하는 위치등록서버; 및
    상기 위치등록서버로부터 휴면모드 설정 완료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전달한 후 상기 이동 단말과의 무선망 접속을 해제하고, 상기 위치등록서버로부터 휴면모드 설정 해제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 단말과의 무선망 재접속을 수행한 후 상기 휴면모드 설정 해제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교환기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의 자동 오프/온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조건정보에 기초하여 휴면모드 서비스 식별정보, 휴면모드 설정 기간, 휴면설정이유, 가입자 전화번호 및 장치 일련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휴면모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상기 휴면모드 설정 기간을 카운터 하는 타이머부;
    상기 휴면모드 상태임을 알리는 정보와 상기 타이머부의 카운터 값을 표시하는 상태 관리부; 및
    상기 휴면모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위치등록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위치등록서버로부터 휴면모드 설정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휴면모드 상태로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의 자동 오프/온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은,
    카메라, 음성/동영상 재생, 게임, 다이어리, 전자사전, 문서 편집, TV 수신, 길안내 및 메모리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구동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그램의 구동을 제어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자동 오프/온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등록서버는,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요청되는 휴면모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휴면모드설정 완료에 따른 응답을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조건정보를 토대로 상기 이동단말의 휴면모드 설정 테이블을 생성하는 휴면모드 처리부;
    상기 휴면모드 설정 기간을 카운터 하는 타이머부;
    가입자별 상기 휴면모드 설정 테이블을 저장하고, 휴면모드가 해제된 이후에는 이력을 별도로 기록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휴면모드 설정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 기간 동안 상기 이동 단말을 휴면모드 상태로 인식하여 처리하는 중앙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의 자동 오프/온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발신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위치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이동 단말의 휴면상태정보 및 남은 기간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로 응답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자동 오프/온 시스템.
KR1020090046467A 2009-05-27 2009-05-27 이동 단말의 자동 오프/온 방법 및 시스템 KR101086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467A KR101086031B1 (ko) 2009-05-27 2009-05-27 이동 단말의 자동 오프/온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467A KR101086031B1 (ko) 2009-05-27 2009-05-27 이동 단말의 자동 오프/온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040A KR20100128040A (ko) 2010-12-07
KR101086031B1 true KR101086031B1 (ko) 2011-11-22

Family

ID=43505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467A KR101086031B1 (ko) 2009-05-27 2009-05-27 이동 단말의 자동 오프/온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60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137B1 (ko) 2005-07-25 2006-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차단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신호 차단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137B1 (ko) 2005-07-25 2006-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차단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신호 차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040A (ko) 201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5599B2 (en) Channel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US11553433B2 (en) User equipment power-saving method and device,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KR101732559B1 (ko) 네트워크 접속 방법, 기기, 시스템,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CN114007253A (zh) 搜索空间参数配置和调整方法及装置
CN109842924B (zh) 一种位置获取的控制方法、用户终端和装置
CN103944740A (zh) 通信管理系统、中继装置、通信控制系统、通信系统
US20210345443A1 (en) Discontinuous reception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CN104270806A (zh) 发射功率调整方法及装置
EP4033802A1 (en) Measurement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measurement information repor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base station
CN109918268B (zh) 系统兼容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5246135A (zh) 接入无线网络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11917660B2 (en) Method for control instruction transmission, base station, and terminal
CN112088541A (zh) 一种寻呼信道监听方法、寻呼信道监听装置及存储介质
US11445412B2 (en) Access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05094966B (zh) 控制pc的方法及装置
EP3879922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resolving du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dual sim (ds), paging conflict, and storage medium
CN111699724A (zh) 控制终端的方法及装置、存储介质
US11805475B2 (en) Access control barr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086031B1 (ko) 이동 단말의 자동 오프/온 방법 및 시스템
US20220110093A1 (en) Resource determination method and device
WO2023283952A1 (zh) 信道监听方法及装置、存储介质
WO2022174393A1 (zh) 能力交互方法和装置、交互触发方法和装置
WO2022155935A9 (zh) 请求信息发送方法和装置、请求信息接收方法和装置
EP3905773A1 (en) Carrier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EP3876651A1 (en) Contention random access method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