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4996B1 - 준설토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준설토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4996B1
KR101084996B1 KR1020090104319A KR20090104319A KR101084996B1 KR 101084996 B1 KR101084996 B1 KR 101084996B1 KR 1020090104319 A KR1020090104319 A KR 1020090104319A KR 20090104319 A KR20090104319 A KR 20090104319A KR 101084996 B1 KR101084996 B1 KR 101084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edged soil
fluid
pump
treatment system
vor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4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7619A (ko
Inventor
최문규
배용환
Original Assignee
(주)대동기술단
배용환
최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동기술단, 배용환, 최문규 filed Critical (주)대동기술단
Priority to KR1020090104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4996B1/ko
Publication of KR20110047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준설토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준설토의 세정효율을 높일 수 있고, 준설토의 이송시 펌프를 직접적으로 통하지 않으므로 펌프의 고장률을 낮춰 유지 및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이동이 간편하고, 고장 시 교체가 용이한 준설토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준설토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물이 채워지고, 준설토가 공급되어 침전되는 침사부와; 침사부 내에 와류가 발생하도록 유체를 분사하여 침사부에 침전된 침사물을 세정하며, 와류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상승류를 이용하여 침사물을 배출시키는 와류발생부와; 와류발생부로부터 배출된 침사물이 유입되어 세정되며, 비중이 큰 물질은 하측의 모래유출구로 배출시키고,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물질은 상측의 상등수유출구로 배출하는 사이클론부; 및 상등수유출구에서 유출되는 물질을 모아 처리하는 상등수처리부; 를 포함하는 준설토 처리시스템을 제공한다.
Figure R1020090104319
준설토, 침사부, 와류발생부, 사이클론부, 상등수처리부, 펌프, 노즐수단, 배출가이드, 에젝터, 진동스크린, 드럼스크린

Description

준설토 처리시스템{TREATMENT SYSTEM FOR DREDGED SOIL}
본 발명은 준설토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준설토의 세정효율을 높일 수 있고, 준설토의 이송시 펌프를 직접적으로 통하지 않으므로 펌프의 고장률을 낮춰 유지 및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이동이 간편하고, 고장 시 교체가 용이한 준설토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하천, 호수, 수중보 등의 수질정화나 수량확보를 위하여 정기적으로 준설을 하면 발생하는 준설토에는 모래와 토사, 슬러지(Sludge; 오니) 등이 섞여 있는데 준설토 내 양질의 모래를 재사용하거나 준설토를 정화시키기 위하여 모래에 붙은 슬러지, 토사 등의 이물질을 세정, 분류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일반적인 공정은 준설토를 건식 진동스크린에 투입시켜 준설토 내에 포함된 폐기물이나 큰 돌들을 걸러내고, 드럼스크린에서 1차적으로 물로 세정을 시키면서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한 자갈은 드럼스크린의 배출부에 설치된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분류 배출되고, 모래나 토사, 슬러지류는 혼재된 침사물로 변해 스크 린을 통과해서 드럼스크린의 하부의 침사부에 모이게 된다. 침사부의 침사물은 샌드펌프에 의해 사이클론으로 이송되어 사이클론 내부에서 강력한 회전력에 의해 2차적으로 세정되면서 원심력에 의하여 모래, 세사 등의 큰 입자는 사이클론 내벽으로 날아가서 내벽과 부딪치면서 원심력을 잃고 중력으로 낙하하여 사이클론 하부 호퍼의 유출구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고 슬러지, 토사 등의 미립자가 포함된 세정혼탁액은 사이클론 상부의 유출구를 통하여 응집침전조로 이송된다.
한편 응집침전조에서는 화학 응집제인 폴리머를 사용하여 세정혼탁액 내의 혼탁물질을 응집시킨 후 침전지에서 침전시키고, 상등수는 세정수로 재사용하며, 침사물은 펌프에 의해 탈수장치로 이송하여 탈수한 후 탈수케이크로 배출하여 외부에서 처리한다
그런데, 최근에는 탈수케이크를 성토제나 토양개량제로 사용하는 경향이 늘고 있다. 이때, 응집제로 사용하는 폴리머가 고분자 화학 응집제여서 성토제나 복토제로 사용시 토양에 축적되어 인체에 해를 입힐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어서 최근에는 응집제를 친환경 응집제인 키토산계 응집제로 대체 하고 있다.
이런 일반적인 처리과정에서 전술한 장치들을 묶어서 한 장치 내에서 일괄적으로 준설토를 처리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으나, 전술한 장치들을 한 장치로 묶은 것 외에는 특별한 기술이 가미된 것이 없으며, 일부 기술들은 세정 및 분리를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2차 세정, 분리기인 사이클론을 2중 또는 3중으로 장치하여 사이클론에서 세정, 분리한 후 다시 사이클론에서 세정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같은 사이클론을 직렬로 연결하여 1차 및 2차 사이클론 형태로 사용할 경우 1차 사이클론에서 원심력으로 분리하지 못한 입도의 고형물은 2차 사이클론에서도 역시 분리가 되지 않기 때문에 2중 또는 3중의 사이클론 설치로 인한 펌프의 토출 압력만 높아지고, 세정 및 입자분리 효율의 증가는 거의 없어서 비경제적인 설비 추가 요인만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침사부 내에 무축 스크류 컨베이어를 장착하고 침사부 하부에 침전된 침사물 중 모래만을 끌어올리고, 나머지 침사물은 펌프에 의해 응집조로 이송한 후 응집제를 사용하여 혼탁액 내의 혼탁물질을 응집, 침전시켜 탈수장치로 탈수 처리하기도 한다.
이러한 방법은 스크류 컨베이어로만 입자를 분류하기 때문에 모래와 같이 큰 입자는 쉽게 분류할 수 있지만 미세한 모래입자, 예를 들어 세사는 분류가 어렵고 특별하게 강한 세정력이 없이 단순히 침사물에서 모래만 건져내기 때문에 모래에 강하게 부착된 슬러지나 토사가 잘 씻겨지지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준설토 처리시스템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준설토의 세정효율을 높일 수 있는 준설토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준설토의 이송시 펌프를 직접적으로 통하지 않으므로 펌프의 고장률을 낮춰 유지 및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준설토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이동이 간편하고, 고장 시 교체가 용이한 준설토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준설토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물이 채워지고, 침사물이 공급되어 침전되는 침사부와; 침사부 내에 와류가 발생하도록 유체를 분사하여 침사부에 침전된 침사물을 세정하며, 와류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상승류를 이용하여 침사물을 배출시키는 와류발생부와; 와류발생부로부터 배출된 침사물이 유입되어 세정되며, 침사물 중 비중이 큰 물질은 하측의 모래유출구로 배출시키고,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물질은 상측의 상등수유출구로 배출하는 사이클론부; 및 상등수유출구에서 유출되는 물질을 모아 처리하는 상등수처리부; 를 포함하는 준설토 처리시스템을 제공한다.
와류발생부는, 유체를 공급하는 펌프와; 펌프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유체분사구를 통해 분사하여 와류를 발생시키는 노즐수단; 및 상승류에 의해 상승하는 침사물을 사이클론부에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배출가이드; 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출가이드는 노즐수단과 연결되고, 노즐수단은 배출가이드를 축으로 하여 유체분사구를 통해 분사되는 유체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출가이드에는, 내측에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분사되고, 유체의 분사에 의해 내부 압력이 떨어져 와류발생부로부터 침사물을 흡입하는 에젝터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침사부에 공급되는 준설토는, 진동스크린, 드럼스크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거친 준설토인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준설토 처리시스템에 의하면, 준설토의 세정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준설토의 이송시 펌프를 직접적으로 통하지 않으므로 펌프의 고장률을 낮춰 유지 및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이동이 간편하고, 고장 시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준설토 처리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와류발생부의 상세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준설토 처리시스템은 크게 침사부(100)와 와류발생부(200), 사이클론부(300) 및 상등수처리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침사부(100)는 물이 채워지고, 준설토(S)가 공급되어 침전되는 구성요소로써, 하부측이 통상의 호퍼처럼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침사부(100)에는 준설선(D)이나 포크레인(E) 등으로 준설되어 현장에 반입된 준설토(S)를 포크레인(E) 등을 이용하여 투입하게 된다. 이때, 준설토(S)는 준설 후 창고 등지에 보관되어 있던 준설토(S)가 투입될 수 있다. 통상 '침사지'는 하수 처리장에서 모래와 흙 따위를 가라앉혀 제거하기 위하여 만든 못을 지칭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못뿐만 아니라 준설토(S)와 물이 투입되며 이동이 가능한 저수조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써 침사부(100)라 한다.
와류발생부(200)는 침사부(100) 내에 와류가 발생하도록 유체를 분사하여 침사부(100)에 침전된 침사물(102) 내의 모래(302)에 붙은 슬러지나 토사류를 세정하며, 와류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상승류를 이용하여 침사물(102)을 배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침사부(100)에 침전된 침사물(102)은 모래(302) 등과 같이 투입된 슬러지나 토사류 등의 혼합물로써 일부는 모래(302)와 분리되어 있지만, 대부분은 모래(302) 표면에 부착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이를 그대로 펌프(210)를 이용하여 사이클론부(300)로 이송할 경우 펌프(210)의 날개에 모래(302) 등이 충돌하여 펌프(210)가 쉽게 고장나는 등 수명이 단축되어 유지 및 관리비용이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침사부(100)에 침전된 침사물(102)을 이송하기 위해 침사물(102)이 펌프(210)를 통과하여 침사물(102)과 펌프(210)가 직접적으로 접하는 방식이 아니라 펌프(21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발생하는 와류의 상승류를 이용하여 침사물(102)을 이송시키도록 와류발생부(200)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와류발생부(200)는 펌프(210)와 노즐수단(220) 및 배출가이드(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펌프(210)는 와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유체를 공급하게 되며, 고압공기를 공급할 수도 있으나 와류를 발생시키기 좋도록 고압의 물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수단(220)은 펌프(210)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유체분사구(222)를 통해 분사하여 와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유체분사구(222)는 와류의 발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배출가이드(230)는 노즐수단(220)으로부터 분사되는 유체에 의해 와류가 발생하고, 와류의 중심측에 발생하는 상승류에 의해 침사물(102)이 상승하게 되면 이를 사이클론부(300)에 유입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이때, 배출가이드(230)와 노즐수단(220)은 상호 연결되고, 노즐수단(220)은 유체분사구(222)를 통해 분사되는 유체에 의해 배출가이드(230)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침사부(100) 내에 발생하 는 와류의 유속을 더 빠르게 할 수 있다.
사이클론부(300)는 통상 유체의 선회류(旋回流)에 의해서 생기는 원심력을 이용한 분리장치인 사이클론(Cyclone)을 사용할 수 있으며, 와류발생부(200)로부터 배출된 침사물(102)이 연결호스(310)를 통해 유입되어 재차 세정되고, 비중에 따라 물질을 분리시키게 된다. 즉, 사이클론부(300)에 유입되는 침사물(102)은 원심력에 의해 사이클론부(300)의 내벽을 따라 나선형으로 이동하면서 세정되며, 침사물(102) 중 비중이 큰 물질, 예를 들어 모래(302) 등은 사이클론부(300)의 내벽에 부딪친 후 원심력을 잃고 자체무게 때문에 사이클론부(300)의 하부 호퍼(320) 측에 모여 모래유출구(330)를 통해 사이클론부(300)의 외부로 유출된다. 그리고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물질, 즉 모래(302) 등이 제거된 침사물(102)은 미세한 슬러지나 토사가 혼합된 혼탁액으로 변하여 사이클론부(300) 상측의 상등수유출구(340)를 통하여 유출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사이클론부(300)의 하측에 비중이 큰 물질이 유출되는 부분을 모래유출구(330)라고 지칭하였으나, 이는 비중이 큰 물질이 유출되는 부분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단지 모래(302)만이 유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모래유출구(330)를 통해 유출된 모래(302) 등을 별도의 장소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모래유출구(330)의 하단에 컨베이어(미도시)를 배치하거나, 별도의 용기에 수집한 후 크레인(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상등수처리부(400)는 상등수유출구(340)에서 유출된 물질을 모아 처리하게 되는 요소이다. 상등수처리부(400)는 통상 하폐수처리시 사용되는 장치들이 사용된다. 즉, 상등수유출구(340)를 통해 유출된 혼탁액을 응집침전조(410)에 모은 후 약 품처리과정, 예를 들어 키토산계 응집제 등과 같은 친환경 응집제를 투입한다. 이후, 약품처리에 따라 발생하여 침전되는 고형물(412)은 슬러지펌프(420)로 탈수장치(430)에 이송하여 탈수시켜 케이크(432) 상태로 만든 다음 처리, 예를 들어 매립장에 매립되거나, 성토재료나 복토재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응집침전조(410) 상단의 상등수 및 탈수장치(430)에서 고형물(412)의 탈수시 발생하는 탈수 여액은 재이용펌프(440)에 의해 집수조(450)에 이송하여 세정수로 재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준설토 처리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와류발생부의 상세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준설토 처리시스템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준설토 처리시스템과 유사하게 구성되나, 배출가이드(230)에 에젝터(240)가 연결되어 침사부(100) 내의 침사물(102)이 사이클론부(300)로 쉽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는 점에서 구분된다.
에젝터(Ejector, 240)는 구동유체의 힘으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통상의 진공발생장치로써, 본 발명에서는 내측에 펌프(21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분사되고, 이에 의해 내부 압력이 떨어져 와류발생부(200)로부터 침사물(102)을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즉, 와류발생부(200)로부터 분사되는 유체에 의해 침사부(100) 내에 와류가 형성되고, 상승류에 의해 침사물(102)이 상승하게 되는데, 펌프(210)로부터 공급받는 유체에 의해 흡인력을 갖는 에젝터(240)가 포함되어 침사물(102)의 더 많은 양 이, 더 빠른 속도로 이송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와류발생부(200)와 에젝터(240)에 의하여 이송되는 침사물(102)은 사이클론부(300)와 연결하지 않은 경우 침사부(100) 상측으로 약 30~40m 이상 뿜어져 나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준설토 처리시스템은 준설토(S)를 바닥에 펼쳐 놓고 물로 씻어서 세정하는 경우 유용하게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준설토 처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준설토 처리시스템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준설토 처리시스템에 진동스크린(Tension Screen, 500)과 드럼스크린(Drum Screen, 600)이 포함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제1 실시예에 따른 준설토 처리시스템에 진동스크린(500), 드럼스크린(600) 중 어느 하나나 둘 모두가 포함되는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대한 설명과 제3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의해 충분히 실현 가능한 것으로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준설선(D)이나 포크레인(E)등으로 준설되어 현장에 반입되는 준설토(S)가 침사부(100)에 공급되나, 제3 실시예에서는 먼저 진동스크린(500)과 드럼스크린(600)을 통과한 후 침사부(100)에 공급된다.
먼저, 현장에 반입된 준설토(S)는 진동스크린(500)의 상부호퍼(510)에 투입되고, 스크린(520) 진동에 의해 큰 돌 등이 포함된 폐기물(502)이 스크린(520) 끝단에 설치된 폐기물배출컨베이어(53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며, 모래(302)나 자갈(602)슬러지, 토사 등이 혼합된 토사류는 스크린(520) 밑으로 배출되어 진동스크 린(500) 하단에 배치된 이송컨베이어(540)에 의해 후단의 드럼스크린(600)으로 공급된다.
드럼스크린(600)은 드럼으로 된 원형스크린(610)이 회전하면서 원형스크린(610) 내의 토사류를 입도별로 분류하게 된다. 드럼스크린(600) 상부에 장착된 세정노즐(620)에서는 토사류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수가 공급되어 토사류 내의 자갈(602)이나 모래(302)에 묻은 슬러지나 토사를 세정하게 되고, 원형스크린(610)의 구멍보다 큰 입도를 갖는 자갈(602) 등은 드럼스크린(600) 끝단에 설치된 자갈이송컨베이어(63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원형스크린(610)의 구멍보다 작은 입도를 갖는 모래(302)나 슬러지, 토사 등은 원형스크린(610)을 통과하여 세정수와 함께 후단의 침사부(100)로 이송되어 침사물(102)이 되는 것이다.
즉, 진동스크린(500)과 드럼스크린(600)을 거치면서 준설토(S)가 1차로 세정되고, 와류발생부(200)에 의해 2차로 세정되며, 사이클론부(300)에서 3차로 세정됨으로써 준설토(S)의 세정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에서는 진동스크린(500)과 드럼스크린(600)이 모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준설토 처리시스템의 구축환경이나 사용환경 등에 따라 진동스크린(500)이나 드럼스크린(600) 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순수 모래만을 세정, 분류할 때에는 진동스크린(500)을 제외하고 나머지 장치로 준설토 처리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 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준설토 처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와류발생부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준설토 처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와류발생부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준설토 처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침사부 102: 침사물
200: 와류발생부 210: 펌프
220: 노즐수단 222: 유체분사구
230: 배출가이드 240: 에젝터
300: 사이클론부 302: 모래
310: 연결호스 320: 호퍼
330: 모래유출구 340: 상등수유출구
400: 상등수처리부 410: 응집침전조
412: 고형물 420: 슬러지펌프
430: 탈수장치 432: 탈수케이크
440: 재이용펌프 450: 집수조
500: 진동스크린 502: 폐기물
510: 상부호퍼 520: 스크린
530: 폐기물배출컨베이어 540: 이송컨베이어
600: 드럼스크린 602: 자갈
610: 원형스크린 620: 세정노즐
630: 자갈이송컨베이어 D: 준설선
E: 포크레인 S: 준설토

Claims (6)

  1. 준설토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물이 채워지고, 준설토가 공급되어 침전되는 침사부와;
    상기 침사부 내에 와류가 발생하도록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침사부에 침전된 침사물을 세정하며, 와류에 의해 발생하는 상승류를 이용하여 상기 침사물을 배출시키는 와류발생부와;
    상기 와류발생부로부터 배출된 침사물이 유입되어 세정되며, 상기 침사물 중 비중이 큰 물질은 하측의 모래유출구로 배출시키고,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물질은 상측의 상등수유출구로 배출하는 사이클론부; 및
    상기 상등수유출구에서 유출되는 물질을 모아 처리하는 상등수처리부;
    를 포함하는 준설토 처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발생부는,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유체분사구를 통해 분사하여 와류를 발생시키는 노즐수단; 및
    상승류에 의해 상승하는 상기 침사물을 상기 사이클론부에 유입되도록 가이 드하는 배출가이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 처리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가이드는 상기 노즐수단과 연결되고,
    상기 노즐수단은 상기 배출가이드를 축으로 하여 상기 유체분사구를 통해 분사되는 유체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 처리시스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가이드에는,
    내측에 상기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분사되고, 유체의 분사에 의해 내부 압력이 떨어져 상기 와류발생부로부터 상기 침사물을 흡입하는 에젝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 처리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사부에 공급되는 상기 준설토는,
    진동스크린, 드럼스크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거친 준설토인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준설토 처리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침사부에 공급되는 상기 준설토는,
    진동스크린, 드럼스크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거친 준설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 처리시스템.
KR1020090104319A 2009-10-30 2009-10-30 준설토 처리시스템 KR101084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319A KR101084996B1 (ko) 2009-10-30 2009-10-30 준설토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319A KR101084996B1 (ko) 2009-10-30 2009-10-30 준설토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619A KR20110047619A (ko) 2011-05-09
KR101084996B1 true KR101084996B1 (ko) 2011-11-21

Family

ID=44238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4319A KR101084996B1 (ko) 2009-10-30 2009-10-30 준설토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499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391B1 (ko) 2003-04-09 2004-10-21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물밑퇴적물의 처리공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391B1 (ko) 2003-04-09 2004-10-21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물밑퇴적물의 처리공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619A (ko) 2011-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82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watering of slurries
KR100729863B1 (ko) 준설토의 슬러지제거와 오탁수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729262B1 (ko) 쐐기 봉 스크린을 활용한 협잡물처리기
KR102141236B1 (ko) 각종 준설토용 정화시스템
CN207941295U (zh) 污水沉淀处理系统
KR101658523B1 (ko) 오염토양 선별 및 세척처리 정화시스템
JP5916005B2 (ja) 沈砂洗浄装置
JP2001020318A (ja) 水域浄化方法及び水域浄化システム及びダム排砂システム
KR100922414B1 (ko) 친환경 수중 준설 장치 및 공법
CN102755768A (zh) 用于压力式抽排水出口处的泥渣处理装置
KR101431161B1 (ko) 모래 및 협잡물 여과, 탈수 장치
KR20120056429A (ko) 오니혼탁물의 수거 및 분리방법 및 그 분리장치
JP5067809B2 (ja) 沈砂洗浄装置
KR100939175B1 (ko) 친환경 준설토 분리장치 및 방법
JP2005205251A (ja) 空気圧送システム利用の浚渫土砂分級システム及び装置
KR102081851B1 (ko) 스컴제거부를 구비한 선회류식 협잡물처리기
KR101084996B1 (ko) 준설토 처리시스템
KR101590037B1 (ko) 모듈식 수저퇴적물 정화처리 시스템 및 공법
KR20120105770A (ko) 준설사업 중 배출되는 배출수 여과장치
KR102351916B1 (ko) 침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오염토양정화시스템
CN202700154U (zh) 用于压力式抽排水出口处的泥渣处理装置
KR101777997B1 (ko) 장방형 폭기 침사 및 유분 제거 시스템
KR100616525B1 (ko) 골재 세척장치
JP2651559B2 (ja) ウォータジェット加工装置の廃液処理装置
KR101929269B1 (ko) 복합 오염토양 정화시스템용 침적물분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