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4604B1 - 와이어 열수축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열수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4604B1
KR101084604B1 KR1020100099273A KR20100099273A KR101084604B1 KR 101084604 B1 KR101084604 B1 KR 101084604B1 KR 1020100099273 A KR1020100099273 A KR 1020100099273A KR 20100099273 A KR20100099273 A KR 20100099273A KR 101084604 B1 KR101084604 B1 KR 101084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unit
heat
wire holde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00099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46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1/00Shaping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Apparatus therefor
    • B29C61/02Thermal shrink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 H01R4/72Insulation of connections using a heat shrinking insulating slee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열수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열수축 장치는 와이어를 거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와이어 거치부와; 상기 와이어 거치부와 중첩되거나 중첩되지 않도록 좌우로 왕복운동하며, 상기 와이어 거치부에 거치된 상기 와이어를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과 온도로 간접적으로 가열하여 상기 와이어를 열수축하는 열수축부와; 하단면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와이어 거치부를 고정하고,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거치부에 거치되는 동안에는 상기 열수축부가 좌우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거치부로부터 분리되는 동안에는 상기 열수축부가 와이어 거치부와 중첩되지 않으면서 대기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바디부; 및 상기 열수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열수축부는 상기 열수축부를 상기 와이어 거치부와 중첩되거나 중첩되지 않도록 좌우로 왕복운동하는 동작부와; 상기 동작부에 의해 상기 와이어 거치부와 중첩되거나 중첩되지 않도록 좌우로 왕복운동하며, 상기 와이어 거치부의 상단을 가열하는 상단 열판부와; 상기 상단 열판부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동일한 방향으로 좌우로 왕복운동하고, 상기 와이어 거치부의 하단을 가열하는 하단 열판부; 및 상기 상단 열판부의 온도와 상기 하단 열판부의 온도를 온도에 따라 단계별로 제어하는 온도 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이어 열수축 장치{Apparatus for Wire Thermal Contraction}
본 발명은 와이어 열수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열수축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단자 및 방수씰이 열수축기 커버 및 벨트 등에 간섭을 받아 열수축하려는 와이어가 변형이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열수축기의 하나인 히터건을 사용할 경우에는 온도 및 가열시간을 제어할 수 없어 과열에 인한 피복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와이어를 와이어 거치부에 거치한 후 열수축부를 왕복운동하여 와이어를 열수축할 수 있는 와이어 열수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열수축 장치는 와이어를 거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와이어 거치부와; 상기 와이어 거치부와 중첩되거나 중첩되지 않도록 좌우로 왕복운동하며, 상기 와이어 거치부에 거치된 상기 와이어를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과 온도로 간접적으로 가열하여 상기 와이어를 열수축하는 열수축부와; 하단면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와이어 거치부를 고정하고,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거치부에 거치되는 동안에는 상기 열수축부가 좌우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거치부로부터 분리되는 동안에는 상기 열수축부가 와이어 거치부와 중첩되지 않으면서 대기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바디부; 및 상기 열수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열수축부는 상기 열수축부를 상기 와이어 거치부와 중첩되거나 중첩되지 않도록 좌우로 왕복운동하는 동작부와; 상기 동작부에 의해 상기 와이어 거치부와 중첩되거나 중첩되지 않도록 좌우로 왕복운동하며, 상기 와이어 거치부의 상단을 가열하는 상단 열판부와; 상기 상단 열판부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동일한 방향으로 좌우로 왕복운동하고, 상기 와이어 거치부의 하단을 가열하는 하단 열판부; 및 상기 상단 열판부의 온도와 상기 하단 열판부의 온도를 온도에 따라 단계별로 제어하는 온도 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열수축부는 상단 열판부와 하단 열판부의 온도를 센싱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온도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열수축부는 와이어 거치부에 거치된 와이어를 열수축하는 동안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스위칭부와 제어부에 전원이 공급되면 턴 온하여 열수축부를 동작시키거나 턴 오프하여 열수축부를 정지시키는 열수축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열수축부가 턴 온되면 와이어가 열수축되는 시간과 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전원 스위칭부가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면 턴 온되고, 전원을 차단하면 턴 오프되는 전원램프부와 열수축 스위칭부에 의해 열수축부가 동작되면 턴 온되고, 열수축부가 정지되면 턴 오프되는 열수축램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거치부는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지는 와이어를 거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의 하단면에는 바디부를 전후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열수축 장치는 와이어를 와이어 거치부에 거치한 후 열수축부를 왕복운동하여 와이어를 열수축함으로써, 단자 및 방수씰 등의 간섭에 의한 부적합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와이어를 열수축하는 시간과 온도를 와이어의 굵기, 와이어의 재질, 와이어의 상태 등에 따라 용이하게 재설정할 수 있어, 와이어의 변형 및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열수축 장치는 복수 개의 와이어를 동시에 열수축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열수축 장치는 와이어를 와이어 거치부에 거치한 후 열수축부를 왕복운동하여 와이어를 열수축함으로써, 공정시간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열수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열수축 장치의 옆면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거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열수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열수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열수축 장치의 옆면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열수축 장치(100)는 와이어 거치부(110), 열수축부(120), 바디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와이어 거치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200)를 거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와이어 거치부(110)는 와이어(200)가 용이하게 거치되도록 와이어 홈이 형성되어 와이어(200)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 거치부(110)는 와이어(200)를 거치시킬 때 와이어(200)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한 개씩 거치되도록 하는 보조 와이어 거치부(11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 거치부(11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열수축부(120)는 와이어 거치부(110)와 중첩되거나 중첩되지 않도록 좌우로 왕복운동하며, 와이어 거치부(110)에 거치된 와이어(200)를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과 온도로 간접적으로 가열하여 와이어(200)를 열수축하는 것이다. 이러한 열수축부(120)는 동작부(124), 상단 열판부(121a), 하단 열판부(121b), 온도센싱부(125a,125b), 방출부(122a,122b), 흡입부(123a,123b) 및 온도 레버부(12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동작부(124)는 열수축부(120)를 와이어 거치부(110)와 중첩되거나 중첩되지 않도록 좌우로 왕복운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부(124)는 후술할 제어부(140)를 통해 전원을 제공받아 에어 실린더(Air Cylinder) 또는 모터(Motor) 등을 동작하여 열수축부(120)를 와이어 거치부(110)와 중첩되거나 중첩되지 않도록 좌우로 왕복운동하는 것이다. 이때, 동작부(124)는 에어 실린더(Air Cylinder) 또는 모터(Motor)에 한정되어 구성되지 않으며, 열수축부(120)를 좌우로 왕복운동시킬 수 있으면 어떠한 구동방식도 가능한 것이다.
상단 열판부(121a)는 동작부(124)에 의해 와이어 거치부(110)와 중첩되거나 중첩되지 않도록 좌우로 왕복운동하며, 와이어 거치부(110)의 상단을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단 열판부(121a)는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와이어 거치부(110)의 상단에 형성되어 와이어 거치부(110)에 거치된 와이어(200)의 상단 영역을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것이다.
하단 열판부(121b)는 상단 열판부(121a)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고 동일한 방향으로 좌우로 왕복운동하며, 와이어 거치부(110)의 하단을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것이다. 이러한 하단 열판부(121b)는 상단 열판부(121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좌우로 왕복운동하며,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와이어 거치부(110)의 하단에 형성되어 와이어 거치부(110)에 거치된 와이어(200)의 하단 영역을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단 열판부(121a)와 하단 열판부(121b) 간의 소정의 간격은 와이어(200)가 거치되는 와이어 거치부(110)의 두께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단 열판부(121a)와 와이어 거치부(110) 간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고, 와이어 거치부(110)와 하단 열판부(121b) 간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와이어 거치부(110)의 상단에는 상단 열판부(121a)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와이어(200)를 간접적으로 가열하고, 와이어 거치부(110)의 하단에는 하단 열판부(121b)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와이어(200)를 간접적으로 가열함으로써, 와이어 거치부(110)에 거치된 와이어(200)가 전체적으로 골고루 열을 제공받아 균일하게 열수축되는 것이다.
온도센싱부(125a,125b)는 상단 열판부(121a)와 하단 열판부(121b)의 온도를 센싱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온도센싱부(125a,125b)는 상단 열판부(121a) 및 하단 열판부(121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단 열판부(121a) 및 하단 열판부(121b)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센싱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단 열판부(121a) 및 하단 열판부(121b)의 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보다 상승하면 상단 열판부(121a) 및 하단 열판부(121b)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상단 열판부(121a) 및 하단 열판부(121b)의 온도를 하강시키고, 상단 열판부(121a) 및 하단 열판부(121b)의 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보다 하강하면 상단 열판부(121a) 및 하단 열판부(121b)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단 열판부(121a) 및 하단 열판부(121b)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를 소정의 오차범위 내에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흡입부(123a,123b)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것이다. 이러한 흡입부(123a,123b)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방출부(122a,122b)는 흡입된 공기를 방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출부(122a,122b)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출부(122a,122b)와 흡입부(123a,123b)를 형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를 열수축부(120)의 내부를 순환시킨 후 방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수축부(120)의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에 의해 상단 열판부(121a) 및 하단 열판부(121b)에서 발생하는 열이 효율적으로 균등하게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열수축부(120)가 열을 균등하게 분산함으로써, 와이어 거치부(110)에 거치된 와이어(200)가 전체적으로 골고루 열을 제공받아 균일하게 열수축되는 것이다.
온도 레버부(126)는 상단 열판부(121a)의 온도와 하단 열판부(121b)의 온도를 온도에 따라 단계별로 제어하는 것이다. 열수축부(120)에 온도 레버부(126)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와이어(200)의 굵기, 와이어(200)의 재질, 와이어(200)의 상태 등에 따라 용이하게 온도를 달리할 수 있다.
바디부(130)는 하단면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와이어 거치부(110)를 고정하고, 와이어(200)가 와이어 거치부(110)로부터 거치되는 동안에는 열수축부(120)가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와이어(200)가 와이어 거치부(110)로부터 분리되는 동안에는 열수축부(120)가 와이어 거치부(110)와 중첩되지 않으면서 대기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바디부(130)는 사용자가 와이어 거치부(110)에 와이어(200)를 용이하게 거치하거나 와이어 거치부(1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도록 와이어 거치부(110)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동시에 열수축부(120)가 와이어 거치부(110)와 중첩되거나 중첩되지 않도록 좌우로 원활하게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바디부(130)가 열수축부(120)와 와이어 거치부(110)를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와이어(200)를 흔들림없이 열수축할 수 있어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바디부(130)는 와이어 거치부(110)를 고정하는 영역에 공기를 분사시켜 와이어 거치부(110)에 거치된 와이어(200)를 냉각시키는 냉각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냉각부(133)는 와이어 거치부(110)에 거치된 상태에서 열수축부(120)에 의해 열수축된 와이어(200)를 냉각시키는 것이다. 열수축된 와이어(200)는 가열되어 있기 때문에 굳지 않은 점착액끼리 서로 붙어 와이어(200)가 손상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냉각부(133)를 통해 열수축된 와이어(200)에 공기(Air)를 분사시켜 열수축된 와이어(200)를 빠르게 냉각시키는 것이다.
또한, 바디부(130)는 열수축부(120)가 와이어 거치부(110)와 중첩되기 전에 와이어 거치부(110)의 일부와 겹치도록 동작하여 와이어 거치부(110)에 거치된 와이어(200)를 고정하는 가이드바(132)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이드바(132)를 통해 열수축부(120)가 동작하기 전에 와이어 거치부(110)에 거치된 와이어(200)를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와이어(200)를 더욱 용이하게 열수축할 수 있다. 가이드바(132)는 와이어(200)를 견고하게 고정할 뿐만 아니라 와이어 거치부(110)에 거치된 와이어(200)를 팽팽하게 잡아당김으로써, 더욱 효율적으로 와이어 거치부(110)에 와이어(200)를 정렬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바(132)는 와이어 보조 거치대(111)가 배치된 맞은편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30)의 하단면에는 바디부(130)를 전후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부(131)를 바디부(130)에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열수축 장치(100)를 더욱 용이하게 이동할 있어 공간의 제약을 덜 받을 수 있다.
제어부(140)는 열수축부(120)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부(140)는 바디부(130)에서 열수축부(120)가 좌우로 왕복운동하도록 제어하여 와이어 거치대(110)에 거치된 와이어(200)를 가열하여 열수축하는 것이다. 제어부(14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거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거치부(110)는 와이어(200)를 용이하게 거치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거치부(110)는 거치되는 와이어(200)가 흔들리지 않도록 2 개의 레일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와이어(200)를 2 개의 레일에 걸쳐 와이어(200)를 거치함으로써, 와이어(200)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형성된 2 개의 레일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 홈이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 홈에 와이어(200)를 삽입하여 거치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와이어 거치부(110)는 서로 다른 너비를 가지는 와이어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지는 와이어(200)를 거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와이어 거치부(110)는 레일에 형성된 와이어 홈의 너비(W1,W2,W3)를 다르게 함으로써, 서로 다른 굵기로 형성되는 와이어(200)를 와이어(200)의 굵기에 맞은 와이어 홈에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의 범위에는 W1의 너비로 형성된 와이어 홈이 나열되고, b의 범위에는 W2의 너비로 형성된 와이어 홈이 나열되고, c의 범위에는 W3의 너비로 형성된 와이어 홈이 나열되는 것이다. 이때, 와이어 홈의 너비는 W1>W2>W3 인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와이어 거치부(110)는 동일한 굵기 또는 서로 다른 굵기로 형성된 다양한 굵기의 와이어(200)를 더욱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전원 스위칭부(141), 열수축 스위칭부(142), 디스플레이부(145), 전원램프부(143) 및 열수축램프부(1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원 스위칭부(141)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제어부(14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전원 스위칭부(141)를 턴 온(Turn on)하여 제어부(140)에 전원을 공급하고 턴 오프(Turn off)하여 제어부(140)에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다.
열수축 스위칭부(142)는 제어부(140)에 전원이 공급되면 턴 온(Turn on)하여 열수축부(120)를 동작시키거나 턴 오프(Turn off)하여 열수축부(120)를 정지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열수축 스위칭부(142)는 제어부(140)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턴 온(Turn on)하거나 턴 오프(Turn off)하여 열수축부(120)를 좌우로 왕복운동 또는 대기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45)는 열수축부(120)가 턴 온(Turn on)되면 와이어(200)가 열수축되는 시간과 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열수축부(120)가 턴 온(Turn on)되면 와이어(200)의 굵기, 와이어(200)의 재질, 와이어(200)의 상태 등에 따라 와이어(200)가 열수축되는 시간과 온도를 디스플레이부(145)를 통해 재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45)를 통해 와이어(200)가 열수축되는 시간과 온도를 용이하게 재설정함으로써, 주변 상황에 따른 대응을 신속하게 할 수 있어 불량률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전원램프부(143)는 전원 스위칭부(141)가 제어부(140)에 전원을 공급하면 턴 온(Turn on)되고, 전원을 차단하면 턴 오프(Turn off)되는 것이다.
열수축램프부(144)는 열수축 스위칭부(142)에 의해 열수축부(120)가 동작되면 턴 온(Turn on)되고, 열수축부(120)가 정지되면 턴 오프(Turn off)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원램프부(143) 및 열수축램프부(144)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램프부(143) 및 열수축램프부(144)가 제어부(140)에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와이어 열수축 장치(100)의 상태를 용이하게 체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열수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열수축 장치(100)의 동작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a)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제어부(140)에 전원이 공급된 후 열수축부(120)가 가열 대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는 와이어 거치부(110)에 와이어(200)를 거치하고 와이어(200)의 굵기, 와이어(200)의 재질, 와이어(200)의 상태 등에 따라 와이어(200)가 열수축되는 시간과 온도를 디스플레이부(145)를 통해 재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열수축부(120)를 와이어 거치부(110)와 중첩되기 전에 가이드바(132)가 동작하여 와이어 거치부(110)에 거치된 와이어(200)를 팽팽하게 고정하는 것이다.
도 5의 (b)는 열수축부(120)를 와이어 거치부(110)와 중첩되도록 위치한 후 와이어(200)를 간접적으로 가열하고 열수축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와이어(200)를 열수축하는 시간과 온도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값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다.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시간과 온도만큼 와이어(200)를 간접적으로 가열하고 열수축하는 것이다.
도 5의 (c)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시간과 온도만큼 와이어(200)를 간접적으로 가열하고 열수축한 후 열수축부(120)가 와이어 거치부(110)와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한 후 대기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즉, 와이어(200)를 열수축한 후 열수축부(120)를 대기시키고 열수축된 와이어(200)를 냉각하는 것이다.
도 5의 (d)는 열수축된 와이어(200)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공정을 통해 간단하게 와이어(200)를 열수축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열수축 장치(100)는 와이어(200)를 와이어 거치부(110)에 거치한 후 열수축부(120)를 왕복운동하여 와이어(200)를 열수축함으로써, 단자 및 방수씰 등의 간섭에 의한 부적합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와이어(200)를 열수축하는 시간과 온도를 와이어(200)의 굵기, 와이어(200)의 재질, 와이어(200)의 상태 등에 따라 용이하게 재설정할 수 있어, 와이어(200)의 변형 및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열수축 장치(100)는 복수 개의 와이어(200)를 동시에 열수축할 수 있어 생산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열수축 장치는 와이어를 와이어 거치부에 거치한 후 열수축부를 왕복운동하여 와이어를 열수축함으로써, 단자 및 방수씰 등의 간섭에 의한 부적합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와이어를 열수축하는 시간과 온도를 와이어의 굵기, 와이어의 재질, 와이어의 상태 등에 따라 용이하게 재설정할 수 있어, 와이어의 변형 및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열수축 장치는 복수 개의 와이어를 동시에 열수축할 수 있어 생산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10: 와이어 거치부 111: 와이어 보조 거치부
120: 열수축부 121a: 상단 열판부
121b: 하단 열판부 122a,122b: 방출부
123a,123b: 흡입부 124: 동작부
125a,125b: 온도센싱부 126: 온도 레버부
130: 바디부 131: 이동부
132: 가이드바 133: 냉각부
140: 제어부 141: 전원 스위칭부
142: 열수축 스위칭부 143: 전원램프부
144: 열수축램프부 145: 디스플레이부
200: 와이어

Claims (9)

  1. 와이어를 거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와이어 거치부와; 상기 와이어 거치부와 중첩되거나 중첩되지 않도록 좌우로 왕복운동하며, 상기 와이어 거치부에 거치된 상기 와이어를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과 온도로 간접적으로 가열하여 상기 와이어를 열수축하는 열수축부와; 하단면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와이어 거치부를 고정하고,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거치부에 거치되는 동안에는 상기 열수축부가 좌우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거치부로부터 분리되는 동안에는 상기 열수축부가 와이어 거치부와 중첩되지 않으면서 대기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바디부; 및 상기 열수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열수축부는
    상기 열수축부를 상기 와이어 거치부와 중첩되거나 중첩되지 않도록 좌우로 왕복운동하는 동작부와;
    상기 동작부에 의해 상기 와이어 거치부와 중첩되거나 중첩되지 않도록 좌우로 왕복운동하며, 상기 와이어 거치부의 상단을 가열하는 상단 열판부와;
    상기 상단 열판부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동일한 방향으로 좌우로 왕복운동하고, 상기 와이어 거치부의 하단을 가열하는 하단 열판부; 및
    상기 상단 열판부의 온도와 상기 하단 열판부의 온도를 온도에 따라 단계별로 제어하는 온도 레버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열수축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축부는 상기 상단 열판부의 온도와 상기 하단 열판부의 온도를 센싱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상기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온도센싱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열수축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축부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흡입된 상기 공기를 방출하는 방출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열수축 장치.
  5. 삭제
  6. 제1 항, 제3 항,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제어부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스위칭부;
    상기 제어부에 상기 전원이 공급되면 턴 온하여 상기 열수축부를 동작시키거나 턴 오프하여 상기 열수축부를 정지시키는 열수축 스위칭부; 및
    상기 열수축부가 턴 온되면 상기 와이어가 열수축되는 상기 시간과 상기 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열수축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스위칭부가 상기 제어부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면 턴 온되고, 상기 전원을 차단하면 턴 오프되는 전원램프부;와
    상기 열수축 스위칭부에 의해 상기 열수축부가 동작되면 턴 온되고, 상기 열수축부가 정지되면 턴 오프되는 열수축램프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열수축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와이어 거치부를 고정하는 영역에 공기를 분사시켜 상기 와이어 거치부에 거치된 상기 와이어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열수축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열수축부가 상기 와이어 거치부와 중첩되기 전에 상기 와이어 거치부의 일부와 겹치도록 동작하여 상기 와이어 거치부에 거치된 상기 와이어를 고정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와이어 열수축 장치.
KR1020100099273A 2010-10-12 2010-10-12 와이어 열수축 장치 KR101084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273A KR101084604B1 (ko) 2010-10-12 2010-10-12 와이어 열수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273A KR101084604B1 (ko) 2010-10-12 2010-10-12 와이어 열수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4604B1 true KR101084604B1 (ko) 2011-11-17

Family

ID=45397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273A KR101084604B1 (ko) 2010-10-12 2010-10-12 와이어 열수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46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129A (ko) * 2015-08-27 2017-03-0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안착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열수축 가열장치
CN110429443A (zh) * 2019-08-12 2019-11-08 上海李尔实业交通汽车部件有限公司 用于加热固定接线端子热缩管的设备及其作业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129A (ko) * 2015-08-27 2017-03-0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안착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열수축 가열장치
KR101723044B1 (ko) * 2015-08-27 2017-04-0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안착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열수축 가열장치
CN110429443A (zh) * 2019-08-12 2019-11-08 上海李尔实业交通汽车部件有限公司 用于加热固定接线端子热缩管的设备及其作业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2391B1 (ko) Uv 경화용 uv led 제어루프 및 제어기
US10921643B2 (en) Backlighting display apparatus
KR101084604B1 (ko) 와이어 열수축 장치
JP2009119602A (ja) プリンタ
KR102242435B1 (ko) 테이프 박리 장치
US20050227429A1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ultrasondic bonding head
CN110226808B (zh) 具有集成的光源的拾取工具
KR101409910B1 (ko) 수축튜브용 열성형 장치
WO2014112107A1 (ja) スクリーン印刷機
KR10202396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6558604B2 (ja) 窪み除去のための装置
CN1197180C (zh) 极化装置和方法
KR102270530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유리 및 강화유리 밴딩 방법
JP3761495B2 (ja) リードの溶着装置
CN103827578A (zh) 具有电路板底座的照明装置
US10966358B2 (en) Component mounting device
CN101556912B (zh) 引线切割器和切割引线的方法
KR102169158B1 (ko) 필름 성형 장비
KR100643502B1 (ko) 면발광 기판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13758B1 (ko) 솔더링 장치
KR20200077725A (ko) 방열시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219093988U (zh) 激光拆屏装置
KR102476253B1 (ko) 열전소자를 활용한 금형 온도조절장치
KR20190008471A (ko) 냉각/가열 복합 장치, 이를 구비하는 접착 필름 절단 어셈블리 및 접착 필름 절단 장비
KR101443966B1 (ko) 그라파이트시트의 접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