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3528B1 - 지대치 형성용 역경사 프렙 버 - Google Patents

지대치 형성용 역경사 프렙 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3528B1
KR101083528B1 KR1020090037114A KR20090037114A KR101083528B1 KR 101083528 B1 KR101083528 B1 KR 101083528B1 KR 1020090037114 A KR1020090037114 A KR 1020090037114A KR 20090037114 A KR20090037114 A KR 20090037114A KR 101083528 B1 KR101083528 B1 KR 101083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paration
margin
cutting
burr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7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8336A (ko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이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호 filed Critical 이준호
Priority to KR1020090037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3528B1/ko
Publication of KR20100118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15Drill bits, i.e. rotating tools extending from a handpiece to contact the worke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22Drill 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2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 A61C1/06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with electr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4Supports for holding tooth drills in order of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 피스에 결합되어 환자의 치아를 프렙(preparation)하는 지대치 형성용 버(bur)에 관한 것으로, 일단에 마련되어 회전하는 상기 핸드 피스에 결합되는 섕크부와; 상기 섕크부와 동일한 회전 축선을 가지며 치아 삭제를 위한 다이아몬드가 부착되어 상기 섕크부로부터 연장된 절삭부와; 상기 절삭부와 동일한 회전 축선을 가지며 치아 삭제를 하는 다이아몬드가 부착되고 상기 절삭부에서 연장되어 타단에 마련된 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삭부는 상기 첨단부에서 상기 섕크부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역경사도를 부여하였기에, 하나의 버로 교합면, 협설 축면 또는 인접 축면 프렙을 쉽게 하여 지대치의 형성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피니쉬 라인에서 치면에 수직되는 경사도의 마진을 쉽게 얻을 수 있다.
역경사, 지대치, 버, 첨단부, 절삭부

Description

지대치 형성용 역경사 프렙 버{REVERSED TAPERED PREPARATION BUR FOR ABUTMENT PREPARATION}
본 발명은 지대치 형성용 프렙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의 형상을 개선한 지대치 형성용 역경사 버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치아는 음식물의 영양 섭취를 위한 저작 기능, 발음 기능, 심미감을 주는 얼굴 성형 기능, 치아 주위 조직의 발달과 보호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치아에서는 충치로 썩거나, 외부의 충격으로 치아가 부분적으로 떨어져 나가는 등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치과에서 썩은 부분이나 파손된 부분을 삭제하여 보철물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지대치가 형성된다. 그리고, 레진, 금, 도자기 재료 등으로 만들어진 보철물이 지대치에 결합되어 원래 치아와 동일한 형상으로 복원되는 것이 통상의 치료 방법이다.
이렇게 보철물이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치아의 손상 또는 파손 부분을 적절한 형상으로 삭제하는 작업인 프렙(preparation)은 핸드 피스(hand piece)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프렙 버(bur)에 의해 이루어진다.
일반적인 버는 날이 있는 절삭용 두부(cutting head)를 가진 회전 절삭 기구 를 말하고, 주로 치아의 와동 형성뿐만 아니라 금속 보철물의 마무리를 위해 치아를 삭제하거나 골을 외과적으로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버 중에서 특히 치아의 손상 또는 파손 부분을 삭제하는 프렙 버(100)에 대해 설명한다.
치아를 효과적으로 삭제하기 위해 수 백 가지의 다양한 종류가 있다. 그러나, 실제 일반 병원에서 임상에 실제로 사용되는 프렙 버는 사용자의 선호도, 삭제 부위, 삭제 대상, 치아 종류 등에 따라 다소 차이를 갖지만 일반적으로 몇 종류로 한정된다. 실제로 자주 사용되는 프렙 버의 공통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종래의 프렙 버(60A, 60B)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 피스에 결합되는 섕크부(61A, 61B)와, 단부의 첨단부(65A, 65B)와 섕크부(61A, 61B)와 첨단부(65A, 65B)를 결합시키는 절삭부(63A, 63B)로 이루어진다.
프렙 버(60A, 60B)는, 절삭부(63A, 63B)에서 첨단부(65A, 65B)로 갈수록 각도가 3도 내외에서 작아지는 테이퍼(도 1a의 'F'부분 참조)를 갖거나(일반적인 프렙 버), 평행이 되는 형상(도 1b 참조, 토피도)을 갖는다. 종래의 프렙 버(60A, 60B)에서 다이아몬드가 입혀져 있는 길이는 8.5~10mm 정도이고, 프렙 버(60A, 60B)의 전체 길이는 22~23 mm 이다. 프렙 버(60A, 60B)는 치아의 삭제하는 부분의 조도에 따라 '거침'(coarse), '부드러움'(fine), '매우 부드러움'(superfine) 등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프렙 버(60A, 60B)는 첨단부(65A, 65B)의 형상에 따라 쉠퍼(chamfer), 딥쉠퍼(deep chamfer), 토피도(torpedo), 라운디드숄더(rounded shoulder) 등으로 나누어진다. 첨단부 형상에 따라 분류되는 프렙 버(60A, 60B)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쉠퍼 혹은 딥쉠퍼는 보철물의 착탈축(혹은 치아 장축)에 평행하게 세워서 사용된다. 사용자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지만 치은 연상 마진의 골드 보철물에 쉠퍼가, 세라믹 보철물에 딥쉠퍼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여기서, 쉠퍼 혹은 딥쉠퍼로 첨단부(65A, 65B)를 절반만 사용하여 치은 연하 마진(margin, 보철물과 치아의 경계 부분)을 설정하는 경우 치은에 출혈이 될 수 있는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또한, 프렙 버는 첨단부에서 섕크부로 갈수록 각도가 3도 내외에서 커지는 테이퍼가 형성되어 프렙을 하는 과정에서 인접 치아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인접 치아 손상을 줄이기 위해 프렙 바를 기울여서 사용하면 소정 형상으로 삭제되는 치아인 지대치의 삭제량이 불필요하게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고, 테이퍼 증가로 인해 지대치와 보철물 사이의 유지력을 감소시킬 우려가 있다. 여기서, 프렙 버의 직경을 줄이면, 에나멜 리핑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프렙 시간이 증가되며, 지대치 표면의 불규칙성이 증가될 우려를 갖는다. 그렇다고 프렙 버(60A, 60B)의 경사도를 테이퍼가 없는 '0'도인 제작한다면, 직경이 증가하지 않으므로 인접 치아 손상 가능성 줄지만 치은 출혈이라는 문제가 남는다.
다음, 토피도(Torpedo)는 총알처럼 뾰족한 팁 형상에 절삭부가 평행한 형상을 갖는다. 토피도는 뾰족하니까 치은 출혈 가능성을 줄일 수 있고, 절삭부의 테이퍼가 없으므로 인접 치아가 손상될 가능성은 쉠퍼 또는 딥쉠퍼보다 줄어든다. 토피도에서 골드 보철물에는 직경 1.2mm 정도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세라믹 보철물에는 최소 직경 1.6mm 이상을 사용하여 세라믹의 마진 두께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프렙하는 과정에서 토피도를 기울여 사용할 경우, 뾰족한 마진이 짧아지면서 옆으로 넓어지므로 1.6 mm보다 작은 직경으로도 세라믹 보철물용 프렙이 가능하지만, 마진의 테이퍼가 커진다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토피도에서는 협설측 삭제, 인접 컷팅, 교합면 삭제 등 각 부위별에 적절한 버를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라운디드숄더는 통상 절삭부의 테이퍼가 3도 내외로 형성된다. 쉠퍼나 토피도에서 첨단부의 절반 이상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에나멜 리핑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나, 라운디드숄더에서 첨단부 전체가 사용되더라도 치은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절삭부의 테이퍼가 없다면 인접 치아를 손상시킬 우려도 적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프렙 작업은 치아를 삭제하여 보철물을 결합하기 위해 소정 형상으로 형성하는 프렙은 교합면을 삭제하는 교합면 삭제, 협설측의 치아를 삭제하는 협설 축면 형성, 원심 또는 근심의 인접면의 치아를 삭제하는 인접 축면 형성, 인접 커팅, 치아와 보철물의 경계를 형성하는 마진 형성 작업을 포함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 물론, 치아의 손상 정도 등에 따라 어느 과정을 생략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주로 상기의 모든 과정을 포함하는 프렙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세라믹 보철물용 마진 폭은 다른 재질의 보철물보다 비교적 넓어야 된다. 치은 연하는 교합면에서 거리가 먼 부분이고, 치은 연하 마진을 형성하기 위한 과정에서 인접 치아나 이미 작업을 완료한 협설 축면 또는 인접 축면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세라믹 보철물을 위한 치은 연하 마진 형성용 프렙버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치은 연하 마진 형성용만이 아니라 교합면 삭제, 인접 축면 및 협설 축면 형성을 위한 하나의 프렙 버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버로 교합면, 협설 축면 또는 인접 축면 삭제시 지대치 형성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지대치 형성용 프렙 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피니쉬 라인에서 치면에 수직되는 경사도의 마진을 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팁 형상을 갖는 지대치 형성용 프렙 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치은 출혈을 최대한 방지함과 동시에 에나멜 리핑을 예방할 수 있는 지대치 형성용 프렙 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하나의 버로 재질이 다양한 보철물의 경우에도 마진 폭이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는 팁 형상을 갖는 지대치 형성용 프렙 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협설 축면 삭제를 위해 다이아몬부가 부착된 영역의 길이가 짧은 지대치 형성용 프렙 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협설 축면 또는 인접 축면 삭제 과정에서 버를 기울이더라도 지대치 경사도가 완만하게 형성될 수 있는 지대치 형성용 프렙 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최소한의 종류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지대치 형성용 프렙 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핸드 피스에 결합되어 환자의 치아를 프렙(preparation)하는 지대치 형성용 버(bur)에 있어서, 일단에 마련되어 회전하는 상기 핸드 피스에 결합되는 섕크부와; 상기 섕크부와 동일한 회전 축선을 가지며 치아 삭제를 위한 다이아몬드가 부착되어 상기 섕크부로부터 연장된 절삭부와; 상기 절삭부와 동일한 회전 축선을 가지며 치아 삭제를 하는 다이아몬드가 부착되고 상기 절삭부에서 연장되어 타단에 마련된 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삭부는 상기 첨단부에서 상기 섕크부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경사가 형성된 지대치 형성용 버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절삭부의 외경은 1.2 mm 내지 1.4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삭부의 길이는 6.5 mm 내지 9.5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삭부에서 외경이 오목하게 점점 작아지는 형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버로 교합면, 협설 축면 또는 인접 축면 삭제시 지대치 형성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피니쉬 라인에서 치면에 수직되는 경사도의 마진을 쉽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치은 출혈을 최대한 방지함과 동시에 에나멜 리핑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버로 재질이 다른 보철물의 경우에도 적절한 마진 폭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협설 축면 삭제를 위해 다이아몬부가 부착된 영역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협설 축면 또는 인접 축면 삭제 과정에서 버를 기울이더라도 지대치 경사도가 완만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면서 버의 종류를 최소한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협설 축면, 인접 축면 삭제시 마진쪽에서 교합면쪽으로 올라갈수록 경사도가 완만히 커지는 형태로 지대치 형성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인접 축면 삭제시 인접 치아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협설 축면, 인접 축면 삭제 과정에서 버를 기울이더라도 지대치 경사도를 완만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보철물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교합면 프렙 과정에서 균일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강한 절삭력을 가져서 열발생으로 인한 치아 손상을 줄일 수 있으며, 시술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대치 형성용 역경사 프렙 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프렙 버의 단면도이며, 도 2는 핸드 피스에 결합된 본 발명에 따른 지대치 형성용 역경사 프렙 버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첨단부와 절삭부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를 최종적으로 완성한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교합면을 프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6a는 설측 축면을 형성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인접 축면을 형성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7a는 이상적인 마진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7b는 치온 연상 마진을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며, 도 7c는 치온 연하 마진을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7d는 종래의 치온 연하 마진 형성을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며,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지대치 형성용 역경사 프렙 버로 소구치를 형성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치료 대상이 되는 대상 치아(20)가 소구치라고 가정하고, 보철물(미도시)을 부착시키기 위해 소구치의 손상된 부분을 일정한 형태로 프렙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에서 참조 번호 '20'은 프렙 전의 대상 치아를 표시하며, 참조 번호 '103'은 프렙을 하고 난 후의 치아로 지대치를 표시하고, 참조 번호 중 'p'라는 의미는 프렙한 후를 나타낸다. 즉, 참조번호 '181'은 교합면을 '181p'는 교합면을 프렙한 후의 지대치 상의 교합면을 의미한다. 그리고, 도면에 183, 185 중 어느 하나만 도시되어 있어도, 도시되지 않은 다른 하나도 동일한 작용과 구조를 갖는다면 설명을 하면서 도시되지 않은 참조번호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대치 형성용 역경사 프렙 버(100, 이하에서 간단하게 '프렙 버'라 함)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섕크부(110)와, 첨단부(130)와, 절삭부(120)를 포함한다.
섕크부(110)는 상부에 마련되어 핸드 피스(10)와 결합되어 핸드 피스(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중앙에 프렙 버(100)가 회전하는 중심인 회전 축선(C)이 통과한다. 핸드 피스(10)에 결합되는 부분인 섕크부(110)의 직경은 규격에 따라 그 크기가 정해져 있을 수 있다.
절삭부(120)는 섕크부(110)와 동일한 회전 축선(C)을 따라 섕크부(110)에서 연장되어 첨단부(130)와 연결된다. 절삭부(120)는 섕크부(110)와 첨단부(130)를 연결하는 프렙 버(100)의 중간 영역이고, 섕크부(110)와 연결되면서 섕크부(110)의 직경과 차이나는 넥(neck, 미도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절삭부(120)에서는 첨단부(130)에서 섕크부(110)로 가면서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특징이 있다.
첨단부(130)는 섕크부(110), 절삭부(120)와 동일한 회전 축선(C) 상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프렙 버(100)의 하단에 형성된다.
첨단부(130)는 외경이 가장 큰 가상 모서리부(160)에서 모서리 곡률반경(R2)으로 형성된 팁 모서리부재(140)와, 가상 모서리부(160)와 이격되어 아래쪽 제일 단부에 형성된 가상 팁단부(170)에서 단 곡률반경(R1)으로 형성된 팁 단부재(150)를 갖는다.
여기서, 모서리 곡률반경(R2)은 단 곡률반경(R1)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모서리 곡률반경(R2)은 각이 형성된 가상 모서리부(160)를 둥글게 한 부분으로 대상 치아(20)를 삭제하거나 마진(187)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이 부분을 둥글게 형성하지 않고 각지게 하면 할수록 대상 치아(20)를 삭제하는 힘이 부족해 질 수 있다. 이는 팁 모서리부재(140)에서 외경이 가장 큰 부분(도 4의 'Dmax'부분)이 회전 축선(C)에서 멀어질수록 더욱 강한 토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모서리 곡률반경(R2)이 적은 경우 대상 치아(20)를 삭제하는 량이 적어야 되므로 시술 기간이 매우 길어질 우려가 있으며, 만약 삭제 량을 많이 하면 삭제력이 부족하여 프렙 버(100)가 밀리는 느낌이 들면서 프렙한 표면에 물결무늬가 생길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프렙 버(100)에서는 가상 모서리부(160)에서 모서리 곡률반경(R2)을 가상 팁단부(170)의 단 곡률반경(R1)보다 크게 형성한다. 일예로, 가상 모서리부(160)의 최대 직경이 1.6mm인 경우 모서리 곡률반경(R2)이 0.5mm이고 단 곡률반경(R1)이 0.1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서리 곡률반경(R2)을 비교적 크게 형성하여 프렙 버(100)의 절삭력을 향상시켜 시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렙 버(100)는 첨단부(130)에서 절삭부(120)의 상단으로 갈수록 역경사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모서리부(160)에서 회전 축선(C)과 평행 이동한 축선(C1)과 절삭부(120)의 접선이 이르는 각도(A)는, 가상 모서리부(160)에서 회전 축선(C)에 수직으로 내려 회전 축선(C)과 만난 가상 수직점(P0)에서 회전 축선(C)을 따라 섕크부(110)로 향하는 높이(H)에 비례하여 점점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도"A"의 감소 비율은 높이 "H"의 증가분에 비례하여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급격한 역경사를 갖는 프렙 버(100)의 경우에는 프렙시 프렙 버(100)의 특정한 부분에 순간적으로 과도한 토크가 걸려 프렙 버(100)의 강도에 영향을 주고, 프렙 버(100)의 파손 가능성도 야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높이(H1 ~H6)가 동일하게 1 mm 씩 높아질 때마다 이에 대응한 각도(A1~A6)가 동일하게 1 도씩 줄어들도록 절삭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도 3에서 가상 수직점(PO)에서 높이가 높아질수록(P1 내지 P6), 평행 이동한 축선(C1)과 절삭부(120)의 각 접점(K1 내지 K6)의 각도는 6도, 5도, 4도, 3도, 2도, 1도로 낮아져서 접점(K6)보다 상측은 평행 이동한 축선(C1)과 0도가 되어 평행하게 된다.
여기서, 높이(H)가 1mm 씩 증가할 때마다 각도(A)가 0.8도씩 동일한 비율로 줄어드는 것과 같이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일예로, 절삭부(120)가 역경사된 부분의 곡선이 일정한 방정식을 만족하는 곡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프렙 버(100)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서 먼저, 직경 1.2mm 의 토피도로 인접면을 삭제하고 다음에, 직경 1.6 mm의 버로 마진, 협설 축면 및 인접 축면을 형성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직경 1.2mm 와 직경 1.6mm의 두 개의 버가 사용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역경사를 갖는 프렙 버(100) 하나로 한 번의 작업으로 마진 및 축면 형성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프렙 버(100)에 -6도부터 0도까지 점진적 역경사도를 부여하면, 인접 치아(30)가 위치하는 마진 상방 3~4 mm 위치(도 3의 'Hx' 부분 참조)는 1.2 mm 정도의 직경(도 3의 'Dx' 부분 참조)을 얻을 수 있다. 이에, 역경사 부여로 프렙하는 과정에서 인접 치아(30)와의 간섭을 줄여 인접 치아(30)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가상 팁단부(170)에서 회전 축선(C)에 대해 가상 모서리부(160)가 이루는 각도는 45도 정도(도 2의 'L1'과 'L2'가 동일함을 의미)인 것을 본 설명에서는 예로 들었다. 그러나, 가상 팁단부(170)에서 회전 축선(C)에 대해 가상 모서리부(160)가 이루는 각도는 30도 내지 60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오차 범위는 ±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너무 끝이 뾰족하면(각도가 작으면) 마진(187) 폭의 형성에도 불리하고, 상대적으로 첨단부(130)의 길이가 길어져 전체 길이가 길 어질 우려가 있으며, 너무 끝이 무디면(각도가 크면) 치은 연하 마진(187) 형성시 치은(40)의 손상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프렙 버(100)를 기울여 사용한다면 첨단부(130)의 양쪽 중 회전 축선(C)을 중심으로 반은 대상 치아(20)의 삭제에 참여하고, 나머지 반은 대상 치아(20)의 삭제 작업에 참여하지 않는다. 따라서, 치은(40) 손상을 줄일 수가 있다.
대상 치아(20)를 삭제하기 위해 절삭부(120)와 첨단부(130)에는 다이어몬드가 포함되며, 다이어몬드를 포함한 영역의 길이는 6.5 mm에서 8.5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다양한 용도의 프렙을 하면서도 프렙에 직접 관여하는 부분의 길이를 비교적 짧게 할 수 있어 경제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편의상 치료 대상인 대상 치아(20)의 프렙 과정이 교합면(181) 삭제, 협설 축면(183p) 삭제, 인접 축면(185p) 삭제, 마진(187) 형성의 순서로 이루어진다고 가정하고 본 발명에 따른 프렙 버(100)의 작용과 효과도 이 순서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교합면(181)을 삭제하는 과정을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칙적, 전체 교합면(181)에 걸쳐 균일한 보철물 두께가 되도록 교합면(181) 삭제량 역시 균일해야 예를 들면 골드 보철물의 경우 1.0 mm 내외, 세라믹 보철물의 경우 1.5~2.0 mm 내외로 삭제하여 삭제된 교합면(181p)을 형성한다. 다만, 소와열구 부위는 급격하게 꺾이기에, 다소 완만한 곡면을 그리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렙 버(100)를 수직으로 사용하여 열구(211, groove) 삭제를 먼저 삭제한다.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모서리부(160)의 직경이 1.6mm 인 프렙 버(100)를 이용하여 안내구(213, guiding groove)를 여러 개 형성한 뒤, 이들 안내구(213)를 부드럽게 연결하면 삭제된 교합면(181p)이 형성된다. 프렙 버(100)에 점진적인 역경사도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장자리부에서 중앙으로 점점 낮아지는 곡선이 아름답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간편하게 아름답고 부드러운 교합면(181p)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 프렙 버(100)를 이용하여 협설 축면(183p)과 인접 축면(185p)을 형성하는 과정을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상 치아(20)의 협설면(183)에서는 인접면(185)에 비해 수직 길이가 길다.
우선 협설면(183)에서 교합면(181)을 2mm 삭제 후 지대치(103)의 길이를 측정하면, 전치부의 수직 길이는 8mm 전후, 구치부의 수직 길이는 5mm 전후인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2mm 교합면(181) 삭제는 세라믹 보철물용이며, 골드 보철물용이라면 1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협설면(183)을 프렙하는 과정에서 협설 축면(183p)을 2면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강학적 태도이다. 협설면(183)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길이가 길다. 이에, 치은(40)에 가까울수록 평행에 가까운 면으로, 교합면(181)에 가까울수록 경사진 면으로 유지하는 2면 삭제를 하여 보철물의 유지력도 높이고 삭제량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런 해석이라면 협설 축면(183p)이나 인접 축면(185p)을 형성하는 프렙 과정에서 2면 삭제보다 3면 삭제, 3면 삭제보다는 4면 삭제, 4면 삭제보다는 프렙 전의 원래 협 설면(183) 이나 인접면(185)에 가까운 부드러운 곡선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 할 것이다. 즉, 프렙으로 형성된 라인이 둥글게 처리가 되어 있어야 보철물과 지대치(103)의 결합성 내지 적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교합시 발생하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교합면(181)을 삭제한 후 인접면(185)의 수직 길이는 전치부에서 5~6mm 내외, 구치부에서 3~4mm 내외인 것이 통상이다. 원래 대상 치아(20)의 길이를 재지 않고, 교합 삭제 후 길이를 잰 이유는 프렙 버(100)의 다이아몬드가 부착된 부분의 길이를 짧게 만들기 위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으로 유통되는 버에서 다이어몬드가 부착된 부분의 길이는 보통 8.5~10.0mm 정도인데, 교합면(181) 삭제 후 축면(183p, 185p)을 삭제를 한다면 굳이 다이아몬드 부착부분의 길이를 8.5~10mm 로 맞출 필요가 없으므로 그 길이를 더욱 줄이는 것이 프렙 버(100)의 끝단에서의 떨림, 회전력 손실 등을 더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인접면(185)을 프렙하는 과정에서 치은정(top of papillary gingiva)에서 접촉면 하방(bottom of contact area)까지의 거리도 고려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전치부에서 이 거리는 3mm 내외, 구치부에서는 2mm 내외라고 가정하면, 인접 치아를 건드리지 않으면서 치은(40) 출혈 없이 마진(187)을 형성하려면 마진(187)에서 접촉점까지 거리인 3~4mm 정도 영역에 신경을 집중해야 한다. 특히 테이퍼가 큰 버를 사용한다든지, 첨단부의 절반만 마진 형성에 참여하는 쉠퍼 등의 경우에는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 경우 인접면(185)을 컷팅하는 버를 먼저 사용하여 시야를 확보한 뒤 프렙 버(100)로 마진(187)과 축면(183p, 185p)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인 접 축면(185p)을 형성하는 경우 지대치, 치은 출혈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하면 축면(183p, 185p)의 테이퍼가 커지는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매우 높다.
종래에는 테이퍼이면서 직경 1.2 mm의 토피도가 인접면(185) 삭제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세라믹용 보철물이 부착되는 지대치(103)의 경우에는 마진(187) 폭이 보다 넓어야 하므로 직경 1.6mm 버를 한 번 더 사용하여야 하므로 번거롭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프렙 버(100)를 사용하면 특히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 축면(185)의 가운데 부분을 프렙 버(100)의 역경사를 이용하여 볼록하게 형성(도 7b의 'N'부분 참조)시킬 수 있어 원래 치아의 형태에 매우 근접하게 축면(183p, 185p)을 형성시킬 수 있다(협설 축선도 동일함). 또한, 축면(183p, 185p)과 마진(187)을 형성하는 특히, 세라믹 보철물이 부착되는 경우 폭이 다소 넓은 마진(187)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직경 1.6 mm 프렙 버(100)를 사용하면 하나의 프렙 버(100)를 사용하여 한 번의 연속적 작업으로 축면(183p, 185p) 형성과 마진(187) 형성을 동시에 완성할 수 있다.
이에, 축면(183p, 185p)을 원래의 치아 치관 형태에 가깝게 형성할 수 있으며, 지대치(103)와 보철물의 결합성 내지 적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합시의 응력 집중도 예방할 수 있고 보철물의 수명을 한층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시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마진(187) 형성 과정을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진(187) 형성 시에는 유리 법랑질(free enamel)이 남지 않도록 하면서 수복될 보철물이 적절한 형태를 갖도록 하려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의 표면에 수직인 마진 형태(butt joint finishing line)가 바람직할 것이다. 즉,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진(187)이 ①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면 마진(187)과 치아 표면에서의 접선인 'La'와 수직이며, 마진(187)이 ②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면 마진(187)과 치아 표면에서의 접선인 'Lb'와 수직이고, 마진(187)이 ③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면 마진(187)과 치아 표면에서의 접선인 'Lc'와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미이다. 이렇게 치아의 표면에 수직인 마진(187) 형상은 지대치(103)와 보철물의 결합력을 높임과 동시에 교합시의 응력을 분산시켜주는 기능도 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마진(187)의 위치(finishing line의 위치)는 치은(40)을 기준으로 상/하 1.0 mm 내외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부분은 치아가 급격하게 꺾이는 지점이어서, 피니쉬 라인의 위치에 따라 마진(187)의 경사도에 있어서 매우 차이(도 7a의 접선 'Lb'와 'Lc'를 비교)를 갖는다.
종래에, ①의 마진을 얻으려면 라운디드숄더를, ②의 마진을 얻으려면 쉠퍼를, ③의 마진을 얻으려면 토피도를 각각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마진(187)의 형성 위치에 따라 선택되는 버의 종류가 다르다. 여기서, ③과 같은 마진을 형성하는 경우 피니쉬 라인에 수직으로 보철물을 만든다면 과형성된(over contoured) 보철물이 될 것이다. 골드 보철물이라면 파절에 대한 걱정이 없기 때문에 치아의 원래 형상대로 제작하면 되겠지만, 세라믹 보철물이라면 문제가 야기될 우려가 많다. 왜냐하면, 세라믹 보철물은 적정 두께를 가져야하는데, ③과 같은 마진이 형성된 경우 마진의 폭이 매우 좁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보철물을 과형성 시키지 않는다면 보철물은 얇은 두께를 가질 수밖에 없다. 또한, 좋은 마진(187)이란 명확한 피니쉬 라인(marginal integrity)과 함께 일정한 폭(도 7b의 'E' 부분 참조)을 가지면서 축면(axial wall, 183p, 185p)과 부드러운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마진(187)이 치온 연상 영역에서 형성되는 경우를 도 7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협설 축면(183p) 또는 인접 축면(185p)을 삭제하고 난 뒤 치온 연상 영역에서 마진(187)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축면(183p, 185p)을 형성하던 프렙 버(100)를 그대로 사용하고 특히, 인접 치아(30)와 크게 간섭이 되지 않는 경우에 프렙 버(100)를 기울여 마진(187) 폭을 충분하게 넓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프렙 버(100)에 역경사를 갖는 영역이 마련되어 마진(187)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이미 형성된 축면(183p, 185p)을 손상시킬 우려가 없다. 또한, 인접 축면(185p)의 마진(187) 형성의 경우에도 이미 형성된 인접 축면(185p)의 볼록한 부분(도 7b의 'N'부분) 뿐만 아니라 인접 치아(30)가 비록 있더라도 인접 치아(30)의 볼록한 영역도 마찬가지로 손상시키지 않고 원하는 마진(187) 폭(도 7b의 'E' 부분 참조)을 형성시킬 수 있다. 즉, 마진(187)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프렙 버(100)를 다소 기울이더라도 축면(183p, 185p)이나 인접 치아(30)의 볼록한 부분을 손상시키지 않고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다음 마진(187)이 치온 연하 영역에서 형성되는 경우를 도 7c 및 도 7d를 참 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온 연하 부분에 마진(187)이 형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축면(183p, 185p)을 삭제하는 경우에 축면(183p, 185p)의 경사가 수직선(V)에 대해 약 6도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동시에 마진(187) 형성시 치표면의 접선과 마진(187)이 수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테이퍼('F' 부분 참조) 3도인 쉠퍼를 사용하여 축면(183p, 185p)과 마진(187)을 형성한다면, 쉠퍼를 수직선(V)에 대해 3도를 기울이면 수직선(V)에 대한 축면(183p, 185p)의 경사 각도 6도가 형성된다. 즉,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선(V)과 인접 축면(185p)가 이루는 각도('β' 부분 참조)는 6도가 되고, 인접 축면(185p)은 직선('N1' 부분 참조)으로 형성된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프렙 버(100)는 절삭부(120)에 형성된 역경사에 의해 종래와 달리, 축면(183p, 185p)이 수직선(V)에 대해 6도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시키는 경우, 절삭부(120)의 역경사에 의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첨단부(130) 근처에서의 수직선(V)에 대한 축면(183p, 185p) 각도와 첨단부(130)에서 점점 멀어진 축면(183p, 185p)의 수직선(V)에 대한 각도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첨단부(130)에서는 수직선(V)과 축면(183p, 185p)이 이루는 각도는 3도이지만 첨단부(130)에서 상방으로 향할수록 수직선(V)과 축면(183p, 185p)이 이루는 각도는 4도, 5도로 증가하다가 축면(183p, 185p)과 삭제된 교합면(181p)이 만나는 영역에서의 각도는 6도가 된다. 이러한 경사를 만들려면 프렙 버(100)를 수직선(V)에 대해 9도 기울여서 프렙을 하여야 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상 첨단부(130) 직경 1.6mm의 프렙 버(100)에 -6도부터 0도까지 점진적 역경사도를 부여하면 인접 치아(30)가 위치하는 마진(187) 상방 3~4mm 위치에서는 1.2mm 정도의 직경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축면(183p, 185p)이 이루는 곡선('N2' 부분 참조)은 전술한 2면 형태를 띠는 것이 아니라 완만한 곡선을 이룰 수 있으므로 지대치(103)와 보철물의 적합성이 향상되고 교합시에 발생하는 응력의 분산도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절삭부(120)에 형성된 역경사에 의해 종래와 달리 인접 치아(30)의 볼록한 부분의 간섭을 받지 않고 마진(187)을 충분히 원하는 대로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마진(187)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뾰족한 형상의 첨단부(130)를 가져 치은(40)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아 치은(40)의 출혈을 예방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렙 버(100)에서 절삭부(120)에서 최대 직경(도 3의 'Dmax' 부분 참조)은 전술한 마진(187)의 폭을 결정하는 하나의 중요한 요소이고, 그 크기는 1.2 mm에서 1.8 mm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1.2 mm 에서 1.4 mm 범위가 좋다. 또한, 절삭부(120)의 길이는 5.0 mm 에서 12.0 mm 범위인 것이 좋고, 이는 전치부와 구치부의 높이를 고려한 것이고, 불필요하게 긴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며, 절삭부(120)의 길이는 6.5 mm 에서 9.5 mm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역경사도는 -6도에서 -1도까지 다양하게 부여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6도 이상도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프렙 버(100)의 파절 저항성 및 사용시 기울임 정도를 고려한 적절한 역경사는 -3도 내외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렙 버(100)에 의해 프렙된 지대치(103)의 샘플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상에서 환자의 치료 대상 치아(20)가 소구치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을 하였으나 이는 다른 모든 치아에 적용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수치를 한정하였으나 이는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한 설명을 위한 것으로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프렙 버의 단면도,
도 2는 핸드 피스에 결합된 본 발명에 따른 지대치 형성용 역경사 프렙 버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첨단부와 절삭부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2를 최종적으로 완성한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교합면을 프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a는 설측 축면을 형성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b는 인접 축면을 형성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a는 이상적인 마진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7b는 치온 연상 마진을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7c는 치온 연하 마진을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7d는 종래의 치온 연하 마진 형성을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지대치 형성용 역경사 프렙 버로 소구치를 형성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8b는 도 8a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핸드 피스 20 : 대상 치아
30 : 인접 치아 40 : 치은
100 : 지대치 형성용 프렙 버 103 : 지대치
110 : 섕크부 120 : 절삭부
130 : 첨단부 140 : 팁 모서리부재
150 : 팁 단부 160 : 가상 모서리부
170 : 가상 팁단부 181 : 교합면
181p : 프렙된 교합면 193 : 협설면
183p : 협설 축면 185 : 인접면
185p : 인접 축면 187 : 마진
211 : 열구 213 : 안내구

Claims (4)

  1. 핸드 피스에 결합되어 환자의 치아를 프렙(preparation)하는 지대치 형성용 버(bur)에 있어서,
    일단에 마련되어 회전하는 상기 핸드 피스에 결합되는 섕크부와;
    상기 섕크부와 동일한 회전 축선을 가지며 치아 삭제를 위한 다이아몬드가 부착되어 상기 섕크부로부터 연장된 절삭부와;
    상기 절삭부와 동일한 회전 축선을 가지며 치아 삭제를 하는 다이아몬드가 부착되고 상기 절삭부에서 연장되어 타단에 마련된 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삭부는 상기 첨단부에서 상기 섕크부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경사가 형성된 지대치 형성용 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의 외경은 1.2 mm 내지 1.4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대치 형성용 역경사 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의 길이는 6.5 mm 내지 9.5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대치 형성용 역경사 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에서 외경이 오목하게 점점 작아지는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경사가 형성된 지대치 형성용 버.
KR1020090037114A 2009-04-28 2009-04-28 지대치 형성용 역경사 프렙 버 KR101083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114A KR101083528B1 (ko) 2009-04-28 2009-04-28 지대치 형성용 역경사 프렙 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114A KR101083528B1 (ko) 2009-04-28 2009-04-28 지대치 형성용 역경사 프렙 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336A KR20100118336A (ko) 2010-11-05
KR101083528B1 true KR101083528B1 (ko) 2011-11-16

Family

ID=43404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114A KR101083528B1 (ko) 2009-04-28 2009-04-28 지대치 형성용 역경사 프렙 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35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5603A (ja) * 2007-05-30 2008-12-11 Manii Kk 歯科用の回転駆動切削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5603A (ja) * 2007-05-30 2008-12-11 Manii Kk 歯科用の回転駆動切削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336A (ko) 201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29770B2 (ja) 歯科治療システム
JP4485037B2 (ja) 歯科用ダイヤモンドバー
US7232311B1 (en) Bur for preparing metal substrates
JPS59160450A (ja) 歯内療法用器具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60228667A1 (en) Endodontic instruments with pilot tips and parabolic cutting flutes
EP3253327B1 (en) Dental implant for implantation facilitation and stabilization
CN106659547A (zh) 用于正畸牙套的臼齿器具
CA2827267C (en) Endodontic burs, kits, and methods for using endodontic burs
US20050026109A1 (en) Multi-tapered dental files
Rathi et al. A multidisciplinary aesthetic treatment approach for peg lateral of the maxillary incisors
KR101083528B1 (ko) 지대치 형성용 역경사 프렙 버
Winchester Methods of debonding ceramic brackets
EP1553888B1 (en) Endodontic instruments with pilot tips and parabolic cutting flutes
JP2004522524A (ja) 複数先細りした歯科用やすり
US9707051B1 (en) Depth limiting bur
EP3651682B1 (en) Endodontic instrument
CN214231576U (zh) 一种骨性扩弓器
BR102018013045B1 (pt) Aperfeiçoamentos introduzidos em ponta descartável para polimento de esmalte dentário
US20050214711A1 (en) Endodontic instruments with pilot tips and parabolic cutting flutes
EP3749245B1 (en) Dental burs for anatomy and reducing anesthetic use
Mohan A Comparative Evaluation of Effect of Instrument design on inducing root fracture-An in-vitro study
CN104688364A (zh) 一种正畸微种植支抗钉
CN114917042A (zh) 一种牙根屏障术根片制备工具套装及方法
BR102018013045A2 (pt) aperfeiçoamentos introduzidos em ponta descartável para polimento de esmalte dentário
Messing et al. The Post-retained Crow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