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3324B1 - 발광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3324B1
KR101083324B1 KR1020100031976A KR20100031976A KR101083324B1 KR 101083324 B1 KR101083324 B1 KR 101083324B1 KR 1020100031976 A KR1020100031976 A KR 1020100031976A KR 20100031976 A KR20100031976 A KR 20100031976A KR 101083324 B1 KR101083324 B1 KR 101083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space
heat
main body
hea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2703A (ko
Inventor
이종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아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아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아전자
Priority to KR1020100031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3324B1/ko
Publication of KR20110112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21V29/75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with fins or blades having different shapes, thicknesses or spa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56Cooling arrangements using liquid coo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발광 장치를 제공한다. 발광 장치는, 하면이 개방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며, 분리판에 의해 한정되는 상부 공간을 포함하는 중공의 본체, 상부 공간에 배치되는 히트 파이프, 히트 파이프 하부에 연결되는 발광 소자, 그리고, 본체의 상면 외벽에 구비되는 히트 싱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발광 장치{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발광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광 다이오드를 발광 소자로 이용하는 발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헤드 램프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가로등 및 형광등을 포함한 각종 조명등은 일반적인 벌브(bulb) 광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벌브는 사용 수명이 짧고 내충격성이 떨어지므로, 최근에 들어서 사용수명이 크게 연장되면서도 내충격성이 뛰어난 고광도의 LED(Light Emitting Diode) 광원으로 사용하는 추세에 있다. 한편, 고광도의 LED는 점등 시 매우 높은 열이 발생함으로, 고열의 발열 온도에 의해 이를 적용 및 설계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방열 효율이 우수한 발광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상기 발광 장치를 포함하는 발광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일 실시예는 발광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발광 장치는, 하면이 개방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며, 분리판에 의해 한정되는 상부 공간을 포함하는 중공의 본체, 상기 상부 공간에 배치되는 히트 파이프, 상기 히트 파이프 하부에 연결되는 발광 소자, 그리고, 상기 본체의 상면 외벽에 구비되는 히트 싱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본체의 개방된 하면에 마주하며 배치되는 발광 다이오드, 그리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 및 히트 파이프 사이에 배치되는 금속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히트 파이프의 수직 일 단은 상기 금속 패드에 연결되고, 상기 히트 파이프의 수직 타 단은 상기 본체의 내측 상면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다수 개일 경우, 상기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들은 상기 금속 패드에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히트 파이프는 상기 본체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히트 파이프가 다수 개일 경우, 상기 다수의 히트 파이프들은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수직 단면이 반원 형상을 가질 경우, 상기 다수의 히트 파이프들은 서로 상이한 높이를 가지며, 상기 본체의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상기 다수의 히트 파이프들의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히트 싱크는, 상기 본체의 외벽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본체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부, 그리고, 상기 돌출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보다 넓은 폭을 갖는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히트 싱크가 다수 개일 경우, 상기 다수의 히트 싱크는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 장치는, 상기 본체의 열린 하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투명 창, 그리고, 상기 히트 파이프의 양단을 덮는 커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발광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발광 장치는, 하면이 개방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며 분리판에 의해 한정되는 상부 공간을 포함하는 중공의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 공간에 배치되는 다수의 히트 파이프들, 상기 히트 파이프 하부에 연결되는 다수의 발광 소자, 그리고, 상기 본체의 상면 외벽에 구비되는 다수의 내부 히트 싱크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발광 구조물들, 상기 내부 히트 싱크들과 대응되는 구조를 갖는 다수의 외부 히트 싱크 구조물들, 그리고, 상기 발광 구조물들 및 외부 히트 싱크 구조물들을 감싸며 구비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리세스들이 형성된 하단면, 상기 하단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측면, 그리고, 상기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하단면 및 측면과 함께 상기 외부 히트 싱크 구조물들이 배치되는 공간을 한정하는 상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외부 히트 싱크 구조물은, 상기 프레임의 각각의 리세스로부터 하부로 연장하는 다수의 제1 히트 싱크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하단면, 측면 및 상단면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2 히트 싱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제1 히트 싱크에는 상기 내부 히트 싱크의 구조에 대응하는 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히트 싱크들을 포함하는 발광 장치는 상기 제1 히트 싱크들의 홈들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 시스템은, 상기 프레임의 양단을 덮는 측면 커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발광 소자는, 상기 각각의 히트 파이프 하단에 배치되는 금속 패드, 그리고, 상기 본체의 개방된 하면에 대항하도록 상기 금속 패드 하단에 구비되고,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수의 히트 파이프는 등간격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내부 히트 싱크들은 등간격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발광 장치는, 상기 본체의 열린 하면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투명 창, 그리고, 상기 다수의 히트 파이프들의 양단을 덮는 커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히트 파이프 및 히트 싱크가 일체로 구비되고, 발광 소자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발광 소자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더욱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또한, 히트 파이프 및 히트 싱크가 일체로 구비되고 서로 상호 보완 작용을 하도록 구조화 및 위치됨으로써 제조 단가가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광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발광 장치를 A-A`으로 절단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히트 파이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발광 시스템의 배면 사시도들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발광 시스템을 A-A`으로 절단한 사시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광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발광 장치를 A-A`으로 절단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히트 파이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발광 장치(10)는, 본체(100), 투명 창(110), 발광 소자(120), 히트 파이프(130), 히트 싱크(140) 및 커버(146)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tub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본체(100)의 수직 단면은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본체(100)의 수직 단면은 다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100)는 하부 공간(106), 중부 공간(107) 및 상부 공간(108)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의 상부 공간(108)은 분리판에 의해 중부 및 하부 공간(106)과 구분될 수 있다. 하부 공간(106)에는 투명 창(110)이 구비되고, 중부 공간(107)에는 발광 소자(120)가 구비되고, 상부 공간(108)에는 히트 파이프(130)가 배치될 수 있다.
본체(100)는 하면이 개방될 수 있다. 개방된 본체(100)의 하면에는 투명 창(110)이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체(100)의 하면에는 투명 창(110)을 체결하고 이동시키는 지지 구조체(102, 104)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 구조체(102, 104)는 하부 지지부(102) 및 상부 지지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지지부(102)는 본체(100)의 하면으로부터 본체(100) 내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지지부(104)는 하부 지지부(102)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며, 본체(100) 내측벽으로부터 본체(100) 내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지지부(104)에도 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투명 창(110)은 개방된 본체(100)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투명 창(110)은 본체(100)의 지지 구조체에 체결되며, 지지 구조체(102, 104)의 홈들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창(11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지지 구조체(102, 104)의 상부 지지부(104) 및 하부 지지부(102)에 형성된 홈들과 대응되는 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투명 창(110)은 본체(100) 내에 구비되는 발광 소자(120)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통과시킬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본체(100) 내로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발광 소자(120)는 본체(100) 내 중부 공간(107)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발광 소자(120)는 분리판의 하면에 접하며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발광 소자(120)는, 금속 패드(124) 및 발광 다이오드(122)를 포함할 수 있다. 금속 패드(124)가 분리판에 접하며 구비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122)는 금속 패드(1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122)는 광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열을 발산시킬 수 있다. 한편, 발광 다이오드(122)는 다수 개일 수 있으며,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들(122)은 금속 패드(124)에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발광 소자(120)로부터 발산된 열은 히트 파이프(130) 및 히트 싱크(140)에 의해 외부로 방열될 수 있다.
히트 파이프(130)는 본체(100) 내 상부 공간(108)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히트 파이프(130)는 본체(100)와 일체형일 수 있다. 다른 예로, 히트 파이프(130)는 본체(100)와 분리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히트 파이프(130)의 수직 일 단은 금속 패드(124)에 연결되고, 히트 파이프(130)의 수직 타단은 본체(100)의 상면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히트 파이프(130)는 본체(100)의 연장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수평 연장할 수 있다.
히트 파이프(130)는 본체(100)의 상부 공간(108)에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다수의 히트 파이프(130)는 등간격 이격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본체(100)가 반원 형상의 수직 단면을 갖는 경우, 다수의 히트 파이프들(130)은 그 수직 높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본체(100)의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히트 파이프들(130)의 높이가 실질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본체(100)가 사각 형상의 수직 단면을 갖는 경우, 다수의 히트 파이프들은 그 수직 높이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히트 파이프(130)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히트 파이프(130)는 하우징(housing, 132), 작동 유체(134) 및 심지(wick, 136)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32)의 내측벽을 따라 심지(136)가 배치되며, 심지(136)가 구비된 하우징(132) 내부에 작동 유체(134)가 형성될 수 있다. 작동 유체(134)의 예로는, 암모니아, 메탄올, 물, 프레온 등일 수 있다. 이때, 히트 파이프(130)의 작동 온도 범위는 작동 유체(134)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심지(136)의 예로써는, 스웨이지(swage), 돌출된 요철, 스크린 메쉬(screen mesh), 소결된(sintered) 분말 합금 등일 수 있다. 또한, 심지는 그루브(groove), 그물(net), 미세한 와이어(micro wire) 묶음 등에 다공질 표면 처리가 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히트 파이프(130)는 하우징(132) 내 작동 유체(134)가 주위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작동 유체(134)가 증기 상태로 상변화를 하며 증기가 하우징(132)의 반대 끝쪽으로 밀도 차에 의해 이동하는 동안 흡수한 열을 잃고 다시 액체 상태로 상변화를 한 후, 심지(136) 구조를 통해 모세관 압력차에 의해 심지를 통해 가열된 하우징(132) 쪽으로 다시 이동하게 된다. 증발 잠열값이 단일 상에서 일어나는 온도 변화에 비해 월등히 크기 때문에 증기가 한쪽 끝에서 반대 방향 끝으로 이동하는 동안 적은 온도차이가 존재하는 것에 비해 상당한 양의 열 전달이 일어날 수 있다.
히트 파이프(130)의 수평 양단은 커버(146)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커버(146)는 본체(100) 양단의 상부 공간(108)을 덮으며 구비될 수 있다. 커버(146)는 본체(10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히트 싱크(140)는 본체(100)의 상면 외벽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히트 싱크(140)는 본체(100)와 일체형일 수 있다. 다른 예로, 히트 싱크(140)는 본체(100)와 분리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며, 히트 싱크(140)는 돌출부(142) 및 플랜지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42)는 본체(100)의 외벽으로부터 돌출되고 본체(100)의 연장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플랜지부(144)는 돌출부(142) 상에 형성되며, 돌출부(142)보다 실질적으로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히트 싱크(140)가 다수 개일 경우, 다수의 히트 싱크들(140)은 등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본체(100)가 반원 형상의 수직 단면을 가질 경우, 각각의 히트 싱크(140)를 가상의 선으로 연장하면 동일한 중심을 통과하도록, 본체(100)의 외벽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체(100)가 사각 형상의 수직 단면을 가질 경우, 다수의 히트 싱크들(140)은 서로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히트 싱크(140)는 히트 파이프(130)로부터 전달된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발광 소자(120)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외부로 히트 파이프(130) 및 히트 싱크(140)를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발광 시스템의 배면 사시도들이고,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발광 시스템을 A-A`으로 절단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발광 시스템(20)은, 프레임(frame, 200), 적어도 두 개의 발광 장치들(10) 및 외부 히트 싱크 구조물들(218)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00)은 발광 장치들(10) 및 외부 히트 싱크 구조물들(218)을 감싸며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 장치들(10)이 세 개일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발광 장치들(10)의 수량을 한정하는 것을 아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발광 장치들(10)이 세 개일 경우, 외부 히트 싱크 구조물들(218)도 세 개일 수 있다. 또한, 발광 장치들(10) 및 외부 싱크 구조물들(218)은 서로 체결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200)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200)은 하단면(202), 측면(206) 및 상단면(2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단면(202), 측면(206) 및 상단면(210)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200)의 하단면(202)은 발광 장치들(10)이 장착되는 리세스들(204)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200)에 세 개의 발광 장치들(10)이 설치되므로 세 개의 리세스들(204)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200) 하단면(202)의 각각의 리세스(204)에는 외부 히트 싱크 구조물이 구비될 수 있다. 외부 히트 싱크 구조물(218)에 각각의 발광 장치(10)가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이후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프레임(200) 측면(206)은 하부에서 상부로 올라가면서 음의 기울기를 갖는 슬롭(slop)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200)의 상단면(210)은 제1 영역(207), 제2 영역(208) 및 제3 영역(209)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 시스템(20)이 세 개의 발광 장치들(10)을 포함하기 때문에, 프레임(200)의 상단면(210)이 세 영역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즉, 발광 장치들(10)의 수량에 따라 프레임(200) 상단면(210)이 구분될 수 있다.
프레임(200)의 상단면(210)의 제2 영역(208)은 중심에 위치하고, 제1 영역 및 제3 영역(207, 209)은 가장 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레임(200)의 상단면(210)의 제2 영역(208)은 제1 및 제3 영역(207, 209)보다 실질적으로 낮은 레벨(level)을 가질 수 있다. 실질적으로 낮은 레벨을 갖는 제2 영역(208) 상부로 제1 및 제3 영역(207, 209)의 상면은 각각 제2 영역(208)으로 연장하는 연장면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200)에는 다수의 제1 체결부들(212)이 구비될 수 있다. 다수의 제1 체결부들(212)은 측면 커버(220)를 프레임(200)의 양단을 덮을 시 측면 커버의 다수의 제2 체결부들(222)과 연결되어, 측면 커버(220)를 프레임(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수의 제1 및 제2 체결부들(212, 222)은 고정되고 다시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체결부(212, 222)는 볼트 및 너트일 수 있다.
외부 히트 싱크 구조물들(218)은 다수의 제1 히트 싱크들(214) 및 다수의 제2 히트 싱크들(21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히트 싱크들(214)은 프레임(200) 하단면(202)의 리세스들(204)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히트 싱크들(214)은 리세스들(204)의 하부로부터 연장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히트 싱크들(214)은 다수의 방열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방열판들은 리세스들(204)의 하단에 부채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히트 싱크들(214)은 발광 장치(10)의 내부 히트 싱크들(140)과 각각 체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각각의 내부 히트 싱크(140)는 돌출부(142) 및 플랜지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각각의 제1 히트 싱크(214)에는 돌출부(142) 및 플랜지부(144)에 상응하는 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 히트 싱크들(140)은 제1 히트 싱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내부 히트 싱크들(140) 및 제1 히트 싱크들(214)은 홈들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제2 히트 싱크들(216)은 프레임(200)의 하단면(202), 측면(206) 및 상단면(210)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히트 싱크들(216)은 다수의 방열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방열판들은 리세스들(204)의 상단에 부채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들(122)이 발광하는 동안, 발생되는 열이 발광 장치(10)의 히트 파이프들(130), 내부 히트 싱크들(140) 및 외부 히트 싱크 구조물들(218)에 의해 더욱 효율적으로 방열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00) 내에 다수 개의 발광 장치들(10)이 구비될 수 있어, 보다 좁은 면적에서 고출력의 발광 시스템(20)을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발광 장치(10)는, 본체(100), 투명 창(110), 다수의 발광 소자들(120), 다수의 히트 파이프들(130), 다수의 내부 히트 싱크들(140), 커버들(14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발광 장치(10)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발광 장치(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발광 장치 100; 본체
102; 하부 지지부 104; 상부 지지부
110; 투명 창 120; 발광 소자
130; 히트 파이프 140; 히트 싱크
146; 커버

Claims (8)

  1.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의 형상을 가지고, 폐쇄된 제1 공간과 개방된 제2 공간을 가진 제1 본체;
    상기 제1 본체의 외벽에 위치되는 히트 싱크;
    상기 제2 공간에 위치된 발광 소자; 및
    상기 제1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상기 히트 싱크로 전달하는 히트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은 제1 분리판에 의해 구분되며, 상기 제1 분리판은 상기 제1 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제2 공간에 위치하되 상기 제1 분리판 상에 위치되는 금속 패드; 및
    상기 금속 패드 상에 위치되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파이프의 일단은 상기 본체의 내측 상면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파이프는 상기 제1 본체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의 형상을 가지고, 폐쇄된 제3 공간과 개방된 제4 공간을 가진 제2 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공간과 상기 제4 공간은 제2 분리판에 의해 구분되며, 상기 제2 분리판은 상기 제2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 공간에 히트 파이프가 위치되며, 상기 제1 공간에 위치된 히트 파이프와 상기 제3 공간에 위치된 히트 파이프는 서로 평행하게 위치되며,
    상기 제2 본체는 상기 제1 본체는 서로 평행하게 위치되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가 반원 형상의 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는,
    상기 제1 본체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본체의 외벽과 연결된 돌출부; 및
    상기 제1 본체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돌출부 상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의 외벽에 위치되는 히트 싱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본체의 외벽에 위치되는 히트 싱크와 상기 제2 본체의 외벽에 위치되는 히트 싱크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KR1020100031976A 2010-04-07 2010-04-07 발광 장치 KR101083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976A KR101083324B1 (ko) 2010-04-07 2010-04-07 발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976A KR101083324B1 (ko) 2010-04-07 2010-04-07 발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703A KR20110112703A (ko) 2011-10-13
KR101083324B1 true KR101083324B1 (ko) 2011-11-14

Family

ID=45028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976A KR101083324B1 (ko) 2010-04-07 2010-04-07 발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33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698B1 (ko) * 2015-11-03 2016-10-20 주식회사 보스텍 천장 조명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703A (ko) 201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97753B1 (en) Led lamp and a heat sink thereof having a wound heat pipe
JP3182927U (ja) 放熱機能を有する防爆灯
JP2010103454A (ja) ナノスプレッダーを利用した円形構造のled発光照明灯
JP2012104485A5 (ko)
JP2010010128A (ja) 受動性放熱器及び街路灯放熱装置
JP2013524450A (ja) 照明器具のハウジング
EA024632B1 (ru) Светодиодное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08135260A (ja) 車両用前照灯
CN102339801A (zh) 具方向性热虹吸式的导热柱
KR101646190B1 (ko) 채널 타입 방열 시스템을 포함하는 led 등기구
KR101083323B1 (ko) 발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시스템
KR200451042Y1 (ko) 열 대류와 열 전도 효과를 가진 led 조명 장치 및 방열 조립체
US20120186798A1 (en) Cooling module for led lamp
JP2013516076A (ja) 発光ダイオードのパッケージ構造
KR101083324B1 (ko) 발광 장치
KR101759085B1 (ko) 엘이디 조명등의 방열구조
TWI537522B (zh) 發光裝置
KR101615703B1 (ko) 방열 성능을 향상시킨 엘이디 조명등
JP3173982U (ja) 発光ダイオード照明器具用放熱装置
CN101334150B (zh) 发光二极管灯具
CN103594437A (zh) 用于电子组件的散热装置与具有此散热装置的led模块
KR101364002B1 (ko) 엘이디 조명 장치와 그 방열 장치
KR101297048B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용 led 램프 모듈
JP6349798B2 (ja) 車両用灯具
KR101121136B1 (ko) 가로등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