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1208B1 - 원전핵연료 골격체 원격 취급장치 - Google Patents

원전핵연료 골격체 원격 취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1208B1
KR101081208B1 KR1020100078345A KR20100078345A KR101081208B1 KR 101081208 B1 KR101081208 B1 KR 101081208B1 KR 1020100078345 A KR1020100078345 A KR 1020100078345A KR 20100078345 A KR20100078345 A KR 20100078345A KR 101081208 B1 KR101081208 B1 KR 101081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clear fuel
unit
frame
skeleton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8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준
김길수
권인찬
권형문
오완호
전용범
민덕기
황용하
류우석
서항석
장정남
신희성
이형권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78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12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34Apparatus or processes for dismantling nuclear fuel, e.g. before reprocessing ; Apparatus or processes for dismantling strings of spent fuel elements
    • G21C19/36Mechanical mean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1/00Details of nuclear power plant
    • G21D1/003Nuclear facilities decommission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핵연료 골격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히, 상기 핵연료 골격체를 사용한 후에, 상기 핵연료 골격체를 수조 내에서 절단 또는 해체하는 공정에 사용될 수 있는 핵연료 골격체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핵연료 골격체 처리 장치는, 핵연료 골격체가 설치될 수 있는 프레임; 상기 핵연료 골격체의 적어도 일부분과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홈을 구비하는 골격체 고정부; 상기 골격체 고정부를 회전시키는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 상기 제1 회전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 상기 제2 회전부에 상기 제1 회전부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골격체 고정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핵연료 골격체의 회전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을 손쉽게 절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원전핵연료 골격체 원격 취급장치{Remote handling apparatus of nuclear fuel assembly frame}
본 발명은 원전핵연료 골격체 원격 취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라늄을 원자력발전소의 연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라늄 235의 비율을 2~5%로 높여주는 농축작업을 거쳐야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농축우라늄을 담배필터 모양으로 만들어서 고온처리를 하면 원전연료 소자(펠렛)가 된다. 그 다음 펠렛을 특수합금으로 만든 가느다란 튜브에 수백 개씩 집어넣어 핵연료봉을 만들고, 이것을 여러 개씩 묶어 하나의 다발로 만든다. 원자로에 들어가는 연료의 최종 형태는 이러한 다발형태의 핵연료 집합체가 된다.
상기 핵연료 집합체의 제조공정에는, 핵연료 골격체 제조공정과, 핵연료 골격체에 연료봉을 장입하는 조립공정으로 이루어진다. 골격체 조립공정은 부품 제조공정에서 준비한 안내관(guide tube)과 계측관, 지지격자(spacer grid) 및 기타 구성부품을 용접 및 조립하는 공정이다. 집합체 조립공정은 완성된 골격체에 연료봉을 장입하고 최종적으로 상하단 고정체를 조립하는 공정이다.
상기 핵연료 골격체를 사용한 후에는, 상기 핵연료 골격체를 수조 내에서 절단 또는 해체하는 공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핵연료 골격체를 사용한 후에 수조 내에서 절단 또는 해체하는 공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원전핵연료 골격체 원격 취급장치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핵연료 골격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을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는 원전핵연료 골격체 원격 취급장치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전핵연료 골격체 원격 취급장치는, 핵연료 골격체가 설치될 수 있는 프레임; 상기 핵연료 골격체의 적어도 일부분과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홈을 구비하는 골격체 고정부; 상기 골격체 고정부를 회전시키는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 상기 제1 회전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 상기 제2 회전부에 상기 제1 회전부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골격체 고정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핵연료 골격체의 회전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을 손쉽게 절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핵연료 골격체의 절단공정 시에 상기 핵연료 골격체가 고정되어 절단공정이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핵연료 골격체에서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전핵연료 골격체 원격 취급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전핵연료 골격체 원격 취급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동력전달유닛의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격자 고정부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하단 고정부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회전방지부재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그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을 실시예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및 삭제 등에 의해서 다르게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전핵연료 골격체 원격 취급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전핵연료 골격체 원격 취급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전핵연료 골격체 원격 취급장치(1)에는 핵연료 골격체(100 : 도 6 참조)가 설치될 수 있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된 상기 핵연료 골격체(100)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닛(20)과, 상기 회전유닛(20)을 구동하기 위한 동력전달유닛과, 상기 핵연료 골격체(100)의 절단 공정시에 상기 핵연료 골격체(10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골격체 고정부(30)(40)와, 상기 골격체 고정부(30)(4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유닛(60)과, 상기 핵연료 골격체(10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재(80)가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 핵연료 골격체(100)가 수용될 수 있는 바스켓(11)과, 상기 원전핵연료 골격체 원격 취급장치(1)가 수조 내에서 사용될 때, 수조의 바닥 또는 핵연료 보관랙에 안착될 수 있는 복수의 다리부(14)가 구비된다.
상기 바스켓(11)은 내부에 상기 핵연료 골격체(10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판상의 금속재료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11)의 측면에는 상기 바스켓(11)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부재(12)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12)는 속이 빈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의 보강 부재(12)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바스켓(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12)는 용접에 의해 상기 바스켓(11)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스켓(11)의 저면에는 물이 배수될 수 있는 배수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11)의 상단에는 줄, 로프 등이 걸릴 수 있는 걸림부(13)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걸림부(13)는 아이볼트 등이 용접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13)는 상기 프레임(10)을 들어올리거나, 운반할 때 사용된다.
상기 다리부(14)는 상기 바스켓(11)에서 연장되고, 복수 개의 다리부(14)가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다리부(14)에는 각각의 다리부(14)를 연결하는 가로 지지대(15)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유닛(20)에는 상기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회전부(21), 및 상기 제1 회전부(21)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2 회전부(22)가 포함된다. 상기 제1 회전부(21) 및 제2 회전부(22)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스켓(11)의 저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다.
상기 제1 회전부(21)의 양단부는 제1 회전 지지부(25)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2 회전부(22)의 양단부는 제2 회전 지지부(26)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제1 회전 지지부(25) 및 상기 제2 회전 지지부(26)는 상기 바스켓(11)의 저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부(21) 및 상기 제2 회전부(22)의 회전축이 관통한다. 또한, 상기 제1 회전부(21)의 단부에는 후술할 동력제공부(7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제1 베벨기어(211)가 구비된다.
상기 동력전달유닛에는 상기 제1 회전부(2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70)와, 상기 제1 회전부(21)의 동력을 상기 제2 회전부(22)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50)가 포함된다. 상기 동력전달유닛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동력전달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격자 고정부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하단 고정부의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동력제공부(70)는 상기 제1 회전부(21)와 연동된다. 상기 동력제공부(70)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디부(71)와, 상기 바디부(71)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2 베벨기어(72)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바디부(71) 및 상기 제2 베벨기어(72) 사이에는 상기 바디부(71)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73)가 구비된다. 일례로, 상기 지지부(73)는 상기 제1 회전 지지부(2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71)의 회전축의 연장선은 상기 제1 회전부(21)의 회전축의 연장선과 교차된다. 일례로, 상기 바디부(71)의 회전축의 연장선 및 상기 제1 회전부(21)의 회전축의 연장선은 직교할 수 있다.
상기 제1 베벨기어(211) 및 상기 제2 베벨기어(71)는 기어결합되며, 상기 동력제공부(70)의 구동력이 상기 제1 회전부(21)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동력제공부(70)가 회전되면, 상기 제1 회전부(21)도 함께 회전된다.
상기 동력전달부(50)는 상기 제1 회전부(21) 및 상기 제2 회전부(22)에 연결하고, 상기 제1 회전부(21)의 구동력을 상기 제2 회전부(22)에 전달한다. 일례로, 상기 동력전달부(50)는 체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회전부(21)가 회전되면, 상기 동력전달부(50)에 의해 상기 제2 회전부(22)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1 회전부(21) 및 상기 제2 회전부(22)는 상기 골격체 고정부(30)(40)를 지지하므로, 상기 제1 회전부(21) 및 상기 제2 회전부(22)가 회전되면,상기 골격체 고정부(30)(40)도 회전되며, 결국 상기 골격체 고정부(30)(40)에 결합되는 상기 핵연료 골격체(100)도 회전된다.
상기 골격체 고정부(30)(40)에는 상기 핵연료 골격체(100)의 지지격자(110)를 고정하는 격자 고정부(30)와, 상기 핵연료 골격체(100)의 상단 또는 하단 고정체를 고정하는 상하단 고정부(40)가 포함된다.
상기 격자 고정부(30)에는 상기 지지격자(110)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311)이 형성되는 제1 바디(31)와, 상기 제1 바디(3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바디(32)가 포함된다.
상기 제1 삽입홈(311)은 상기 지지격자(11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제1 삽입홈(311)은 직사각형의 일부분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격자(110)가 상기 제1 삽입홈(311)에 삽입되면, 상기 지지격자(110) 및 상기 제1 삽입홈(311) 사이에 간격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핵연료 골격체(100)의 절단공정 시에 상기 핵연료 골격체(100)가 견고하게 고정되고, 상기 격자 고정부(30)가 회전될 때 상기 지지격자(110) 및 상기 제1 삽입홈(311) 사이에 충돌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1 바디(31)에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댐퍼(3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댐퍼(312)는 상기 제1 삽입홈(311)과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댐퍼는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댐퍼(312)는 상기 제2 바디(32)가 상기 삽입홈(311)을 개폐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진동을 흡수하거나, 상기 핵연료 골격체(10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32)는 힌지 등에 의해 상기 제1 바디(3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바디(32)는 상기 제1 삽입홈(311)을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바디(32)를 상기 격자 고정부(30)의 개폐부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32)는, 상기 제1 삽입홈(311)에 상기 지지격자(1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삽입홈(311)을 차폐하여 상기 지지격자(11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32)에는, 상기 지지격자(110) 중에서 상기 제1 삽입홈(311)에 삽입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제2 삽입홈(321)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삽입홈(321)도 상기 제1 삽입홈(311)과 같이 상기 지지격자(11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제2 삽입홈(321)도 직사각형의 일부분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32)는 개폐툴(36)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개폐툴(36)의 단부에는 후크(36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바디(32)에는 상기 후크(361)에 걸릴 수 있는 걸림부(322)가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걸림부(322)는 상기 제2 바디(32)에 형성된 파이프일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32)에는, 상기 제2 바디(32)를 상기 제1 바디(31)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부(322)와, 상기 볼트부(322)를 조이기 위한 조임부(323)와, 상기 조임부(323)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이동 제한부(324)가 포함된다. 상기 이동 제한부(324)는 상기 제2 바디(32)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이동 제한부(324)는 판상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볼트부(322) 및 상기 조임부(32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디(31)에는 상기 볼트부(322)와 결합될 수 있는 너트부(313)가 구비된다. 상기 너트부(313)는 상기 제2 바디(32)가 상기 제1 삽입홈(311)을 차폐할 때, 상기 볼트부(322)와 대응되도록 위치된다.
한편, 상기 상하단 고정부(40)는 상기 핵연료 골격체(100)의 지지격자(110)가 아닌 상단 또는 하단 고정체(130)를 고정한다는 점에서 상기 격자 고정부(30)와 차이점이 있다.
상기 상하단 고정부(40)에는 상기 상단 또는 하단 고정체(130)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411)이 형성되는 제1 바디(41)와, 상기 제1 바디(4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바디(42)가 포함된다.
상기 제1 삽입홈(311)은 상기 상단 또는 하단 고정체(13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바디(42)에는, 상기 상단 또는 하단 고정체(130) 중에서 상기 제1 삽입홈(411)에 삽입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제2 삽입홈(421)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삽입홈(421)도 상기 제1 삽입홈(411)과 마찬가지로 상기 상단 또는 하단 고정체(13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바디(41) 및 상기 제2 바디(42)에는 상기 회전 유닛(20)으로부터 회전력을 신뢰성 있게 전달받기 위한 복수 개의 래치부(43)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회전부(21) 및 상기 제2 회전부(22)에는 상기 래치부(43)에 걸려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돌기부(201)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201)가 상기 복수 개의 래치부(43)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회전부(21) 및 상기 제2 회전부(22)가 회전될 때, 상기 상하단 고정부(4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상하단 고정부(40)에 상기 회전 유닛(20)의 회전력이 확실하게 전달되어, 상기 골격체 고정부(30)(40)가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회전력을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상하단 고정부(40)에 상기 돌기부(201)가 형성되는 것은 상기 상하단 고정부(40)가 상기 핵연료 골격체(100)의 단부에 위치되어 작업 용이성 및 힘의 효율성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 유닛에 대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10)의 내측면에는 상기 격자 고정부(30) 및 상기 상하단 고정부(4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상기 가이드 유닛(60)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유닛(60)에는,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고정되는 레일부(61)와, 상기 골격체 고정부(30)(4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플레이트(62)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62)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롤러(63)와, 상기 레일부(61)를 지지하는 레일 지지부(64)가 포함된다.
상기 레일부(61)는 상기 바스켓(11)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부(61)의 상단에는 상기 롤러(63)가 회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62)는 금속판을 'ㄷ'자 형으로 절곡하여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62)는 두 개의 평행판(62a, 62b)이 형성되고, 상기 평행판(62a, 62b) 사이에 상기 골격체 고정부(30)(40)가 삽입된다. 상기 평행판(62a, 62b) 사이의 거리는 상기 골격체 고정부(30)(40)의 두께에 대응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62)의 일측단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63)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63)의 평행판(62a, 62b)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레일부(61) 상에서 구를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롤러(63)에는 상기 레일부(6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닛(60)에 의해 상기 골격체 고정부(30)(40)가 회전될 때, 상기 골격체 고정부(30)(40) 흔들리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골격체 고정부(30)(40) 및 상기 핵연료 골격체(100)가 정해진 위치에서 회전운동만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회전방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방지부재(80)는 상기 핵연료 골격체(100)의 안내관(120 : 도 6 참조)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핵연료 골격체(10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회전방지부재(80)에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81)와, 상기 베이스(81)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바디부(82)와, 상기 회전방지부재(80)를 취급하기 위한 취급툴(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는 취급툴 결합부(83)가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81)는 상기 제1 회전부(21) 및 상기 제2 회전부(22) 위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82)에는 상기 안내관(120)이 삽입될 수 있는 슬롯(822)(823)이 형성된다. 상기 슬릇(822)(823)은 상기 바디부(82)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구획부(821)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슬롯(822)(823)은 상기 바디부(82)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슬롯(822)(823)에는 상기 바디부(82)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 슬롯(822)과, 상기 중앙 슬롯(823)의 양측에 형성되는 좌측 및 우측 슬롯(823)이 포함된다. 상기 좌측 및 우측 슬롯(823)은 상기 중앙 슬롯(822)보다 깊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슬릇(822)(823)이 함몰되는 깊이는 상기 안내관(120)의 위치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상기 바디부(80)는 가상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취급툴 결합부(83)는 상기 회전방지부재(8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취급툴과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일례로, 상기 취급툴은 볼트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취급툴 결합부(83)는 너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취급툴 결합부(83)는 상기 바디부(82)에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10 : 프레임 20 : 회전 유닛
30 : 격자 고정부 40 : 상하단 고정부
60 : 가이드 유닛 50 : 동력전달부
70 : 동력제공부 80 : 회전방지부재

Claims (12)

  1. 핵연료 골격체가 설치될 수 있는 프레임;
    상기 핵연료 골격체의 적어도 일부분과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홈을 구비하는 골격체 고정부;
    상기 골격체 고정부를 회전시키는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
    상기 제1 회전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
    상기 제2 회전부에 상기 제1 회전부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골격체 고정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원전핵연료 골격체 원격 취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격체 고정부에는, 상기 골격체 고정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전핵연료 골격체 원격 취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격체 고정부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댐퍼가 구비되는 원전핵연료 골격체 원격 취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2 회전부에는 복수 개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골격체 고정부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돌기부에서 힘을 전달받을 수 있는 복수 개의 래치부가 형성되는 원전핵연료 골격체 원격 취급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1 회전부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원전핵연료 골격체 원격 취급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체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핵연료 골격체 원격 취급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제공부 및 상기 제1 회전부 사이에는 베벨 기어가 구비되는 원전핵연료 골격체 원격 취급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는 레일부;
    상기 골격체 고정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원전핵연료 골격체 원격 취급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핵연료 골격체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원전핵연료 골격체 원격 취급장치.
  10. 상기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부재는 상기 회전 유닛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핵연료 골격체 원격 취급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수조의 바닥 및 핵연료 보관랙에 안착되기 위한 복수의 다리부가 구비되는 원전핵연료 골격체 원격 취급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핵연료 골격체가 수용될 수 있는 바스켓이 구비되는 원전핵연료 골격체 원격 취급장치.

KR1020100078345A 2010-08-13 2010-08-13 원전핵연료 골격체 원격 취급장치 KR101081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345A KR101081208B1 (ko) 2010-08-13 2010-08-13 원전핵연료 골격체 원격 취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345A KR101081208B1 (ko) 2010-08-13 2010-08-13 원전핵연료 골격체 원격 취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1208B1 true KR101081208B1 (ko) 2011-11-07

Family

ID=45397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8345A KR101081208B1 (ko) 2010-08-13 2010-08-13 원전핵연료 골격체 원격 취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12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789B1 (ko) 2011-05-12 2012-11-30 한국원자력연구원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용 관 절단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577B1 (ko) 2006-06-16 2007-11-12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핵연료집합체의 안내관 마개 자동접합장치 및 방법
JP2011089960A (ja) 2009-10-26 2011-05-06 Nuclear Fuel Ind Ltd 核燃料棒梱包体、核燃料棒梱包体用骨格体、核燃料棒梱包体用保持板及び核燃料棒を輸送容器へ梱包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577B1 (ko) 2006-06-16 2007-11-12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핵연료집합체의 안내관 마개 자동접합장치 및 방법
JP2011089960A (ja) 2009-10-26 2011-05-06 Nuclear Fuel Ind Ltd 核燃料棒梱包体、核燃料棒梱包体用骨格体、核燃料棒梱包体用保持板及び核燃料棒を輸送容器へ梱包する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789B1 (ko) 2011-05-12 2012-11-30 한국원자력연구원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용 관 절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183B1 (ko) 용접치구 자동 장입 및 인출 장치
EP2745297B1 (en) Nuclear reactor refueling methods and apparatuses
KR101135297B1 (ko) 원전핵연료 수중해체를 위한 파지장치
KR101917082B1 (ko) 컨테이너를 선회시키기 위한 디바이스, 특히 핵연료를 조립하기 위한 디바이스, 선회 조립체 및 핵발전소
KR101081208B1 (ko) 원전핵연료 골격체 원격 취급장치
JPS6119955B2 (ko)
KR101162002B1 (ko)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의 상단고정체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단고정체 제거 방법
JPH09166690A (ja) 核燃料アセンブリおよび制御棒を共に貯蔵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5781265B2 (ja) 燃料集合体の輸送容器
JP3146244B2 (ja) 使用済燃料ラック
EP2680273B1 (en) Nuclear fuel storage rack
KR101130804B1 (ko) 핵연료봉 지지격자 용접 테이블
US4058224A (en) Traversing and vertically swinging strongback
JPS639191B2 (ko)
JPS6344480B2 (ko)
JP2011137336A (ja) 梁貫通孔補強装置及び梁構造
RU2562055C2 (ru) Герметичный пенал хранения отработавшего ядерного топлива реактора рбмк-1000
JP5562784B2 (ja) 使用済燃料貯蔵ラックの耐震補強装置及び耐震補強方法
SK501332014U1 (sk) Vyberateľná ukladacia mreža na použité jadrové palivo
JP2002257983A (ja) 放射線の仮設遮蔽構造
KR20170032103A (ko) 노심 분리형 하이브리드 원자로
JP6903516B2 (ja) 核燃料貯蔵ラック群
JP3100496B2 (ja) 非核燃料炉心構成体挿入用治具及び非核燃料炉心構成体挿入用治具を備えた挿入装置
JP5881449B2 (ja) 機器搬入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機器搬入方法
KR101817051B1 (ko) 노심 분리형 하이브리드 원자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