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989B1 - 진동 저작 도구 - Google Patents

진동 저작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989B1
KR101080989B1 KR1020107004814A KR20107004814A KR101080989B1 KR 101080989 B1 KR101080989 B1 KR 101080989B1 KR 1020107004814 A KR1020107004814 A KR 1020107004814A KR 20107004814 A KR20107004814 A KR 20107004814A KR 101080989 B1 KR101080989 B1 KR 101080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authoring
unit
score
cle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4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5219A (ko
Inventor
류종현
최승문
이재봉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00125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5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1/00Means for the representation of mus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저작 도구와 진동 저작 방법 및 이를 수록한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학습이 용이하고 쉽고 빠르게 진동을 저작할 수 있도록 하며, 직관적으로 인식하기 편리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진동을 저작하기 위한 주파수, 진폭, 리듬의 3차원 정보를 한눈에 파악하기 쉽도록 함으로써 악보에 음표나 쉼표의 추가/삭제를 통해 간단하게 패턴을 디자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악보 형태로 표현되므로 발생하는 진동의 효과를 유추하기 용이한 진동 저작 도구와 진동 저작 방법 및 이를 수록한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진동의 주파수와 진폭 및 파형을 조절함으로써 스케일(scale)을 정의하는 스케일 정의부; 진동 악보의 각 보표선(staff line)을 상기 주파수 중 일부에 대응시키고 각 음표의 머리 숫자를 상기 진폭 중 일부에 대응시킴으로써 클레프(clef)를 정의하는 클레프 정의부; 상기 진동 악보에 음표, 쉼표, 셈여림표를 포함하는 기호를 입력하여 악보를 저작하는 스코어 저작부; 상기 스코어 저작부를 통해 저작된 악보를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작 도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진동 저작 도구{Vibration Authoring Tool}
본 발명은 진동 저작 도구와 진동 저작 방법 및 이를 수록한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학습이 용이하고 쉽고 빠르게 진동을 저작할 수 있도록 하며, 직관적으로 인식하기 편리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진동을 저작하기 위한 주파수, 진폭, 리듬의 3차원 정보를 한눈에 파악하기 쉽도록 함으로써 악보에 음표나 쉼표의 추가/삭제를 통해 간단하게 패턴을 디자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악보 형태로 표현되므로 발생하는 진동의 효과를 유추하기 용이한 진동 저작 도구와 진동 저작 방법 및 이를 수록한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햅틱 기술은 사용자에게 촉감(tactile)과 역감(kinesthetic)을 통해 가상 또는 실제 환경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과 관련된 것이다. 'Haptics' 라는 단어는 그리스어로 촉각을 뜻하는 것으로서, 촉감과 역감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촉감은 피부 감각을 통하여 접촉 표면의 기하형상, 거칠기, 온도, 및 미끄러짐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역감은 근육과 뼈 및 관절의 수용 감각을 통하여 전체 접촉력, 유연성, 및 무게감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햅틱 기술 중 진동촉감(vibrotactile)은 특히 시각과 청각 정보가 제한적인 경우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진동촉감 기술은 가상현실과 게임 분야에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구조화된 진동촉감 패턴의 형태로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HCI, Human-Computer Interaction)에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압전 액추에이터와 같은 진동촉감 액추에이터를 모바일 기기에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진동촉감을 제공하기 위한 하드웨어 분야의 연구와 더불어, 진동촉감 패턴의 저작과 평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Hapticon Editor, Haptic Icon Prototype, VibeTonz studio와 같은 저작도구가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저작도구들은 사운드 파형을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운드 형성 프로그램과 유사하다는 한계를 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저작도구들의 접근방식이 파형을 형성하는 데 유연성을 제공하기는 하나, 이러한 방법으로 음악 또는 오디오 아이콘을 저작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직관성을 제공하지 못하고, 또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학습이 용이하고 쉽고 빠르게 진동을 저작할 수 있도록 하며, 진동을 저작하기 위한 주파수, 진폭, 리듬의 3차원 정보를 한눈에 파악하기 쉽도록 함으로써 악보에 음표나 쉼표의 추가/삭제를 통해 간단하게 패턴을 디자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생하는 진동의 효과를 유추하기 용이한 진동 저작 도구와 진동 저작 방법 및 이를 수록한 저장매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기술적 해결방법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작 도구는 진동의 주파수와 진폭 및 파형을 조절함으로써 스케일(scale)을 정의하는 스케일 정의부; 진동 악보의 각 보표선(staff line)을 상기 주파수 중 일부에 대응시키고 각 음표의 머리 숫자를 상기 진폭 중 일부에 대응시킴으로써 클레프(clef)를 정의하는 클레프 정의부; 상기 진동 악보에 음표, 쉼표, 셈여림표를 포함하는 기호를 입력하여 악보를 저작하는 스코어 저작부; 상기 스코어 저작부를 통해 저작된 악보를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 저작 도구는 상기 스코어 저작부의 저작 결과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파일 형태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레프 정의부는 사분음표의 시간적 길이를 초 단위로 표시하는 템포를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코어 저작부는 음표의 머리에 숫자를 통해 진동의 진폭을 표시하고, 상기 음표의 보표선 상의 위치에 따라 진동의 주파수를 표시하며, 상기 음표와 쉼표를 통해 진동의 리듬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코어 저작부는 상기 클레프 정의부에서 정의한 클레프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클레프 지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작 방법은 (a) 진동의 주파수와 진폭 및 파형을 조절함으로써 스케일을 정의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를 통해 정의된 스케일을 구성하는 주파수와 진폭 중 일부를 선택하여 진동 악보의 각 보표선(staff line)에 선택된 주파수를 대응시키고 각 음표의 머리 숫자에 선택된 진폭을 대응시킴으로써 클레프를 정의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를 통해 정의된 클레프 중 특정 클레프를 지정하고 상기 진동 악보에 음표, 쉼표, 셈여림표를 포함하는 기호를 입력하여 스코어를 저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 저작 방법은 (d) 상기 (c)단계를 통해 저작된 스코어를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저작 방법은 상기 (a)단계를 통해 정의된 스케일, 상기 (b)단계를 통해 정의된 클레프, 상기 (c)단계를 통해 저작된 스코어를 XML 파일 형태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단계는 음표의 머리에 숫자를 통해 진동의 진폭을 표시하고, 상기 음표의 보표선 상의 위치에 따라 진동의 주파수를 표시하며, 상기 음표와 쉼표를 통해 진동의 리듬을 표시할 수 있다.
유리한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음악 악보의 형태를 이용하여 진동 악보를 저작함으로써, 음악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학습이 용이하고, 쉽고 빠르게 진동을 저작할 수 있도록 하고, 직관적으로 인식하기 편리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진동을 저작하기 위한 주파수, 진폭, 리듬의 3차원 정보를 한눈에 파악하기 쉽도록 함으로써 악보에 음표나 쉼표의 추가/삭제를 통해 간단하게 패턴을 디자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악보 형태로 표현되므로 발생하는 진동의 효과를 유추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산출물을 XML 파일로 저장함으로써 재생성과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고, 다양한 진동 액츄에이터를 지원하여 실시간으로 실감있는 재생이 가능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작 도구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 악보와, 클레프가 도시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작 도구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도시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작 도구로 저작한 진동 악보의 개념도,
도 5는 도 4의 진동 악보를 생성하기 위한 클레프의 개념도,
도 6은 도 4의 진동 악보를 파형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 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작 도구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작 도구는, 도 1을 참조하면, 입력부(10), 스케일 정의부(20), 클레프 정의부(30), 스코어 저작부(40), 저장부(50), 및 재생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입력부(10)는 화면, 마우스,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를 통해 스케일 정의부(20), 클레프 정의부(30), 스코어 저작부(40), 재생부(60)에 입력 처리를 수행한다. 일례로, 입력부(10)는 도 3과 같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에서 키보드와 마우스를 통해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주어진 데이터 중에서 선택을 수행한다.
스케일 정의부(20)는 진동의 주파수와 진폭 및 파형을 조절함으로써 스케일(scale, 음계)을 정의하는 부분이다. 음악 악보에서의 메이저 스케일, 마이너 스케일과 마찬가지로, 진동 악보에서도 스케일을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진동을 구성하는 주파수, 진폭, 파형 등의 요소들이 스케일을 구성한다고 정의한다.
이에 따라, 스케일 정의부(20)에서는 하나의 스케일을 이루는 주파수 군과 진폭 군, 파형 군이 정의된다.
예컨대, 하나의 옥타브를 이루는 C-D-E-F-G-A-B 음에서 C음의 주파수를 220 Hz로 설정하고 각 음 간의 주파수 간격을 조절하여 하나의 주파수 배열을 구성한다. 다른 스케일 구성방법으로, C음의 주파수를 330 Hz로 설정하고 각 음 간의 주파수 간격을 보다 좁혀서 다른 하나의 주파수 배열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의된 스케일은 주파수 군을 구성하게 되며, 후술할 클레프 정의부(30)에서 주파수 군 중 일부를 선택하여 진동 악보의 저작에 사용하게 된다.
클레프 정의부(30)는 스케일 정의부(20)에서 정의된 스케일에서 일부를 취사선택하여 진동 악보 생성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클레프(clef, 음자리)를 정의하는 부분이다. 클레프 정의부(30)는 스케일 정의부(20)에서 정의된 스케일을 진동 악보에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단이다. 도 2에 진동 악보와, 클레프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와 같이 진동 악보는 음악 악보를 메타포어(methphor)로 차용한 형식을 갖는다. 음악 악보는 N개의 보표선(staff line)으로 구성되고, 기타 타브 악보(TAB)와 같이 보표선 위에만 음표를 위치시키게 된다. 또한, 음표의 머리에 숫자를 통해 진동의 진폭을 표시한다. 한편, 음표의 머리 숫자가 진동의 파형(tone 조절)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진동 악보는 음악 악보와 마찬가지로 음표, 쉼표를 통해 리듬을 표현하게 된다.
도 2(a)에는 6개의 보표선으로 구성된 진동 악보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의 진동 악보는 도 2(b)의 클레프에 의해 정의된다. 도 2(b)의 좌측에 1 ∼ 9 까지의 숫자는 진동 악보의 머리 숫자에 해당하며 진동의 진폭을 나타낸다. 예컨대, 도 2(a)의 진동악보에서 첫번째 음표의 머리 숫자 1은 1.0 의 진폭을 표현하고, 두번째 음표의 머리 숫자 2는 2.0의 진폭을 표현한다. 도 2(b)의 우측에 1 ∼ 6 까지의 숫자는 진동 악보의 각 보표선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나타낸다. 예컨대, 도 2(a)의 진동악보에서 아래로부터 첫번째 보표선은 100Hz의 주파수를, 두번째 보표선은 150Hz의 주파수를, 여섯번째 보표선은 350Hz의 주파수를 표현한다.
또한, 클레프 정의부(30)는 사분음표의 시간적 길이를 초 단위로 표시하는 템포(tempo)를 정의한다. 도 2(b)에서 템포는 사분음표에 해당되는 진동이 1초 동안 지속됨을 의미한다. 그에 따라, 도 2(a)에서 첫번째 음표는 8분음표이므로, 1.0의 진폭과 150Hz의 주파수를 갖는 진동이 0.5초 동안 지속된다. 두번째 음표는 4분음표이므로, 2.0의 진폭과 200Hz의 주파수를 갖는 진동이 1초 동안 지속된다.진동 신호를 y = Asin(2πFt)의 사인(sine) 파형으로 표현하면, A는 진폭, F는 주파수, t는 시간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도 2(a)의 진동 악보를 파동 방정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수학식 1
Figure 112010013712278-pct00001
즉, 클레프 정의부(30)는 진동 악보의 각 보표선을 해당 주파수에 대응시키고, 각 음표의 머리 숫자를 해당 진폭에 대응시켜 클레프를 생성한다. 이때, 클레 프는 다수 생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다수 생성된 클레프 중 특정 클레프를 선택하여 진동 악보를 저작할 수 있다. 예컨대, 점점 진폭이 작아지는 진동을 저작하고자 하는 경우 Clef 1은 1 ∼ 9까지의 머리 숫자가 각각 0.0027 ∼ 0.0447 의 진폭을 갖도록 정의하고, Clef 2는 1 ∼ 9까지의 머리 숫자가 각각 0.0047 ∼ 0.7351 의 진폭을 갖도록 정의하면, 두 클레프를 조합함으로써 0.7351로부터 0.0027의 진폭으로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진동을 표현할 수 있다.
스코어 저작부(40)는 진동 악보에 음표, 쉼표, 셈여림표를 포함하는 기호를 입력하여 스코어(score, 악보)를 저작하는 부분이다. 도 3에 스코어를 저작할 수 있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스코어 저작부(40)에서 사용하는 기호들은 다음과 같다. 음자리표(clef)는 각 보표선에 대응되는 주파수 군을 변경하고, 마디(bar)는 4/4 박자인 경우 한 마디에 4분음표가 4개 포함되도록 한다. 음표와 쉼표는 리듬을 형성하고, 템포는 4분음표의 시간적 길이를 표시하며, 셈여림(dynamics)은 크라센도(crescendos)와 디크라센도(decrescendos)로 표현된다. 음계(scale)는 주파수 군을 달리 함으로써 다른 느낌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음색(tone)은 진동의 파형을 달리 함으로써 다른 느낌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스코어 저작부(40)에서는 클레프 정의부(30)에서 정의한 클레프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클레프 지정부를 포함한다. 예컨대, 도 3(b)에서 Clef 1 과 Clef 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진동 악보를 저작하게 된다. 이때, 도 3의 예에서는 각 마디마다 클레프를 지정하였으나, 클레프를 지정하는 단위는 이와 다르 게 설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저장부(50)는 스케일 정의부(20), 클레프 정의부(30), 스코어 저작부(40)의 결과를 저장하는 부분이다. 이때. 저장부(50)는 각 산출물을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파일 형태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저장부(50)는 산출된 결과물을 반복해서 재사용(reusability)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확장(extensibility)을 통하여 확대 재생산 할 수 있도록 한다.
재생부(60)는 스코어 저작부(40)를 통해 저작된 악보를 재생하는 부분이다.
스코어 저작부(40)에서 디자인된 진동 패턴은 연속적인 저작과 실시간 테스트를 위해 재생부(60)에 의해 재생된다. 재생부(60)는 다양한 진동자를 지원하여, 각 진동자가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저작 결과를 보다 실감있게 테스트해 볼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음악 악보의 형태를 이용하여 진동 악보를 저작함으로써, 음악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학습이 용이하고, 쉽고 빠르게 진동을 저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관적으로 인식하기 편리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진동을 저작하기 위한 주파수, 진폭, 리듬의 3차원 정보를 한눈에 파악하기 쉽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악보 형태로 표현되므로, 발생하는 진동의 효과를 유추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작 방법은 진동의 주파수와 진폭 및 파형을 조절함으로써 스케일을 정의하는 단계, 정의된 스케일을 구성하는 주파수와 진폭 중 일부를 선택하여 진동 악보의 각 보표선에 선택된 주파수를 대응시키 고 각 음표의 머리 숫자에 선택된 진폭을 대응시킴으로써 클레프를 정의하는 단계, 정의된 클레프 중 특정 클레프를 지정하고 진동 악보에 음표, 쉼표, 셈여림표를 포함하는 기호를 입력하여 스코어를 저작하는 단계, 저작된 스코어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각 단계의 산출물, 즉 스케일, 클레프, 스코어는 XML 파일 형태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내지 도 6은 진동 악보를 저작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진동 악보는 "폴더 삭제(delete folder)"를 표현하는 진동을 저작한 일례이다. 도 4의 a 부분을 저작하기 위해 Clef 1과 Clef 2를 사용하였으며, Clef 1과 Clef 2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Clef 1은 낮은 진폭 범위(0.0027 ∼ 0.0447)를 갖는 사인 파형이며, Clef 2는 상대적으로 높은 진폭 범위(0.0477 ∼ 0.7351)를 갖는 사인 파형이다. Clef 1과 2는 동일한 주파수 군을 가지며, 진폭의 강도는 지수적으로(exponentially) 증가한다. 템포는 연속적으로 변하는 파형을 재생산할 수 있도록 충분히 작게(0.15초) 설정되어 있다.
도 6은 도 4의 진동 악보를 파형으로 표시한 것이다. a 부분은 도 4에서 보듯이 모든 음표가 동일한 보표선(아래로부터 두번째)에 위치하고 있어 동일한 주파수(100 Hz)를 갖는다. 그러나, 진폭의 경우에는 a 부분의 첫번째 마디는 Clef 2를 지정하고 있으므로 머리 숫자가 9 → 2로 진행됨에 따라 진폭이 0.7351 → 0.0634로 작아짐에 반해, 두번째 마디는 Clef 1을 지정하고 있으므로 머리 숫자가 9 → 2로 진행됨에 따라 진폭이 0.0447 → 0.0039로 작아지게 된다. 그 결과, a 부분의 파형은 도 6과 같이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진폭을 갖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햅틱 분야, 특히 진동 저작과 재생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진동의 주파수와 진폭 및 파형을 조절함으로써 스케일(scale)을 정의하는 스케일 정의부;
    진동 악보의 각 보표선(staff line)을 상기 주파수 중 일부에 대응시키고 각 음표의 머리 숫자를 상기 진폭 중 일부에 대응시킴으로써 클레프(clef)를 정의하는 클레프 정의부;
    상기 진동 악보에 음표, 쉼표, 셈여림표를 포함하는 기호를 입력하여 악보를 저작하는 스코어 저작부;
    상기 스코어 저작부를 통해 저작된 악보를 재생하는 재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작 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 저작부의 저작 결과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파일 형태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작 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레프 정의부는 사분음표의 시간적 길이를 초 단위로 표시하는 템포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작 도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 저작부는 음표의 머리에 숫자를 통해 진동의 진폭을 표시하고, 상기 음표의 보표선 상의 위치에 따라 진동의 주파수를 표시하며, 상기 음표와 쉼표를 통해 진동의 리듬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작 도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 저작부는 상기 클레프 정의부에서 정의한 클레프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클레프 지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작 도구.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07004814A 2009-03-13 2009-03-13 진동 저작 도구 KR1010809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9/001259 WO2010104226A1 (ko) 2009-03-13 2009-03-13 진동 저작 도구와 진동 저작 방법 및 이를 수록한 저장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219A KR20100125219A (ko) 2010-11-30
KR101080989B1 true KR101080989B1 (ko) 2011-11-09

Family

ID=42728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4814A KR101080989B1 (ko) 2009-03-13 2009-03-13 진동 저작 도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99166B2 (ko)
KR (1) KR101080989B1 (ko)
WO (1) WO20101042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90630B2 (en) * 2013-05-03 2016-07-12 John James Daniels Accelerated learning, entertainment and cognitive therapy using augmented reality comprising combined haptic, auditory, and visual stimulation
KR102191968B1 (ko) 2014-01-28 2020-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형용사를 이용한 진동 생성 방법 및 디바이스
KR20150091692A (ko) 2014-02-03 2015-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형용사 공간에서 진동 생성 방법 및 디바이스
US10437335B2 (en) 2015-04-14 2019-10-08 John James Daniels Wearable electronic, multi-sensory, human/machine, human/human interfaces
KR101790892B1 (ko) * 2016-05-17 2017-10-26 주식회사 씨케이머티리얼즈랩 음향 신호를 촉각 신호로 변환하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햅틱 장치
JP2020516327A (ja) 2016-11-25 2020-06-11 キナプティック・エルエルシー 触覚ヒト/機械インターフェースおよび着用可能な電子機器の方法および装置
US12035206B2 (en) 2019-01-13 2024-07-09 Kinaptic, LLC Fabric, connections and functional structures for wearable electronic garments and applications for the same
US12031982B2 (en) 2020-04-19 2024-07-09 John J. Daniels Using exhaled breath condensate for testing for a biomarker of COVID-19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7786A (ja) 2001-01-13 2004-09-09 ネイティブ インストゥルメンツ ソフトウェア シンセシス ゲーエムベーハー メロディのテンポ、及び位相の自動検出方法、及び調和方法、及びそれらを用いた対話型音楽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7076A (ja) * 1983-05-10 1984-11-24 Naoyuki Murakami 音楽再生装置
KR20000072127A (ko) * 2000-08-02 2000-12-05 한창호 전자악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악보추적방법
US7601904B2 (en) * 2005-08-03 2009-10-13 Richard Dreyfuss Interactive tool and appertaining method for creating a graphical music display
JP4207063B2 (ja) 2006-07-20 2009-01-14 ヤマハ株式会社 演奏補助装置および楽器
US7893337B2 (en) * 2009-06-10 2011-02-22 Evan Lenz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music in a computer g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7786A (ja) 2001-01-13 2004-09-09 ネイティブ インストゥルメンツ ソフトウェア シンセシス ゲーエムベーハー メロディのテンポ、及び位相の自動検出方法、及び調和方法、及びそれらを用いた対話型音楽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48213A1 (en) 2011-03-03
US7999166B2 (en) 2011-08-16
KR20100125219A (ko) 2010-11-30
WO2010104226A1 (ko) 201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0989B1 (ko) 진동 저작 도구
KR102554444B1 (ko) 음향 신호를 촉각 신호로 변환하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햅틱 장치
Hunt et al. The importance of parameter mapping in electronic instrument design
Hollan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and music: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o encourage and facilitate music composition by novices
Schneider et al. Improvising design with a haptic instrument
US9378652B2 (en) Musical learning and interaction through shapes
Johnston et al. Designing and evaluating virtual musical instruments: facilitating conversational user interaction
Medeiros et al. Challenges in designing new interfaces for musical expression
Ward et al. Music technology and alternate controllers for clients with complex needs
Laato et al. Affordances of music composing software for learning mathematics at primary schools
Challis Octonic: an accessibl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Amico et al. Kibo: A MIDI controller with a tangible user interface for music education
Giordano et al. Design of vibrotactile feedback and stimulation for music performance
Leman et al. Cognition and technology for instrumental music learning
Malloch et al. Input devices and music interaction
Kritsis et al. imuscica: A web platform for science education through music activities
Morton et al. STEAM education through music technology (evaluation)
Gregorio et al. Introduction to STEAM through music technology (evaluation)
Baratè et al. A Web Prototype to Teach Music and Computational Thinking Through Building Blocks
Challis Technology, accessibility and creativity in popular music education
Hunt et al. MidiGrid: past, present and future.
Baratè et al. An Ensemble of Tangible User Interfaces to Foster Music Awareness and Interaction in Vulnerable Learners.
JP7107720B2 (ja) 運指表示プログラム
Knutzen Haptics in the Air-Exploring vibrotactile feedback for digital musical instruments with open air controllers
JP5773956B2 (ja) 楽曲演奏装置、楽曲演奏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