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590B1 - 보조키패드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보조키패드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590B1
KR101080590B1 KR1020030083750A KR20030083750A KR101080590B1 KR 101080590 B1 KR101080590 B1 KR 101080590B1 KR 1020030083750 A KR1020030083750 A KR 1020030083750A KR 20030083750 A KR20030083750 A KR 20030083750A KR 101080590 B1 KR101080590 B1 KR 101080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auxiliary
auxiliary keypad
main body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3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9970A (ko
Inventor
서흥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3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590B1/ko
Publication of KR20050049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9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키패드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 본체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키패드에 구비된 버튼키와 다른 문자나 기호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키를 갖는 보조키패드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보조키패드를 단말기 본체를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또는 회동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간단한 조작을 통해 손쉽게 문자 등을 입력할 수 있는 보조키패드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휴대용 단말기, 보조키패드, 슬라이딩, 회동

Description

보조키패드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MOBILE PHONE HAVING AUXILIARY KEYPA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키패드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선 A-A 단면도
도 3,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키패드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단말기 본체 4a,4b,4c : 키패드
5a,5b : 버튼키 6 : 레일부
7 : 안내홈 9 : 걸림턱
10 : 힌지수단 11 : 플립
12a,12b,12c : 고정키패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조키패드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휴대형 단말기에 대한 개념은 예전과 많이 달라지게 되어, 이제는 필수적인 개인 생활용품의 하나로 자리잡게 되었다.
또한, 이렇게 휴대형 단말기의 사용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의 활용 방식은 단순히 개인 대 개인이 음성으로 필요한 의사소통을 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을 통해 예를 들어, SMS(Short Messege Service) 및 MMS(Multimedia Messege Service) 등과 같은 방식을 통해 정보를 취득 및 공유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휴대형 단말기의 활용 범위는 점점 더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휴대형 단말기의 이용방식이 다양해짐에 따라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휴대형 단말기에서 입력버튼의 방식이다.
즉,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본적인 서비스 또는 부가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에 장착된 숫자, 문자, 도형 및 특수문자 등으로 배치되는 여러 버튼키들로 이루어진 키패드를 조작함으로써 각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전달을 위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사용자가 간편하고 빠르게 문자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입력버튼 방식은 키패드상의 각각의 숫자키마다 한글 및 영문 자모의 일정수가 배치되고, 사용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입력되는 자모가 속한 숫자키를 원하는 자모가 선택될 때까지 누르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방식은 휴대형 단말기가 제한된 버튼키을 가지기 때문에 사용되는 고 육책으로서 실제 사용시 느리고 어려운 입력형식으로 인해 사용자들은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여야 올바른 문자입력이 가능하게 되어, 중년층 이상의 휴대형 단말기 사용자들은 쉽게 익힐 수 없는 이러한 문자입력 방식에 많은 어려움을 느끼게 되어 문자 메세지 서비스 등을 제대로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는 바, 그 중 선 등록된 "휴대용 문자입력 키패드의 숫자키 여백을 활용한 추가보조 키버튼 설치 및 알파벳 문자 입력시스템"(출원번호 : 20-2002-0033065)이 있는데, 이는 기존 키버튼 사이의 여백 공간을 활용하여 다수개의 추가 키버튼을 배치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휴대용 문자입력 키패드의 숫자키 여백을 활용한 추가보조 키버튼 설치 및 알파벳 문자 입력시스템은 키패드 상에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입력버튼의 종류 및 갯수의 한계를 가지고 있어 종래의 문제점을 충분히 해소할 수 없었고, 더욱 복잡해진 키버튼 구조로 인해 미관이 저하됨은 물론 상품성을 떨어지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단말기 본체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키패드에 구비된 버튼키와 다른 문자나 기호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키를 갖는 보조키패드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보조키패드를 단말기 본체를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또는 회동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간단한 조작을 통해 손쉽게 문자 등을 입력할 수 있는 보조키패드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키패드에 구비된 버튼키와 다른 문자나 기호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키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키패드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고정키패드를 노출시키는 상태와 가리는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키패드는 양측단부에 구비된 안내홈과 상기 본체에 돌출 형성된 레일부를 통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키패드가 상기 본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탈방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보조키패드의 저부와 상기 고정키패드의 상부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서로 걸려질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키패드는 힌지부 및 힌지홈으로 이루어진 힌지수단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키패드는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 내면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키패드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선 A-A 단면도이다.
또한, 도 3,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키패드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키패드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3)의 고정키패드(12a,12b,12c)에 구비된 버튼키(5a)와 다른 숫자, 문자 또는 특수문자 등의 기호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키(5b)를 갖는 보조키패드(4a,4b,4c)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키패드(4a,4b,4c)를 본체(3)에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키패드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는 첨부한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키패드(12a)에 구비된 버튼키(5a)와 다른 숫자, 문자 또는 특수문자 등의 기호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키(5b)를 갖는 보조키패드(4a)를 본체를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하였다.
즉, 상기 본체(3)의 양내측벽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부(6)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키패드(4a) 양측에는 상기 레일부(6)가 삽입되고, 그 슬라이딩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홈(7)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키패드(4a)는 상기 레일부(6) 및 안내홈(7)과 같은 안내수단을 통해 슬라이딩 운동하며 선택적으로 본체(3)에서 인출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숫자, 문자 또는 각종기호를 입력할 시에는 별도의 모드변환버튼(도시하지 않음)을 눌러줄 필요없이 상기 보조키패드(4a)를 인출함으로써, 숫자에서 문자로 또는 문자에서 기호 등으로의 입력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첨부한 도 1 내지 도 2에서는 본체(3)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동작되는 보조키패드(4a)의 수가 하나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그 이상으로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에서는 상기 보조키패드(4a)의 슬라이딩 운동이 레일부(6) 및 안내홈(7)을 통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지만, 이는 이외의 안내수단을 통해 보조키패드(4a)가 슬라이딩 운동될 수 있도록 장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첨부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3)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운동하며 선택적으로 인출되는 보조키패드(4a)에는 이가 본체(3)에서 완전히 인출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조키패드(4a)의 저부와 상기 고정키패드(12a)의 상부 일단부에 소정 높이를 갖는 걸림턱(9)을 각각 돌출 형성하고, 상기 각 걸림턱(9)이 서로 걸려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보조키패드(4a)가 본체(3)에서 일정구간 이상 인출될 시에는 상기 각 걸림턱(9)이 걸려지면 상기 보조키패드(4a)가 본체(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첨부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키패드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고정키패드(12b)에 구비된 버튼키(5a)와 다른 숫자, 문자 또는 특수문자 등의 기호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키(5b)를 갖는 보조키패드(4b)를 힌지수단(10)을 통해 본체에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였다.
즉, 상기 보조키패드(4b)에는 힌지부(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3)에는 상기 힌지부가 체결될 수 있는 힌지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 는 바, 상기 보조키패드(4b)는 상기 힌지부 및 힌지홈으로 이루어진 힌지수단(10)을 통해 본체(3)를 기준으로 일정구간 젖힘 동작 가능하게 장착되어, 전술한 실시예의 보조키패드(4a)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보조키패드(4b)를 선택적으로 젖혀 각종 키버튼(5a,5b)을 통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키패드(4b)도 여러개가 구비될 수 있는 바, 이는 하나의 힌지수단(10)을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장착하거나, 보조키패드(4b)의 양 단부를 각각의 힌지수단을 통해 열결하는 방식(도시하지 않음)으로도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첨부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키패드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고정키패드(12c)에 구비된 버튼키(5a)와 다른 숫자, 문자 또는 특수문자 등의 기호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키(5b)를 갖는 보조키패드(4c)를 기존 플립형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11) 내면에 장착하였다.
따라서, 사용자는 플립(11)을 연 후에 본체(3)에 구비된 고정키패드(12c)의 버튼키(5a)와 플립(11) 내면에 장착된 보조키패드(4c)의 버튼키(5b)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 방식 또는 힌지수단을 통한 회동 방식 등으로 장착되는 각 키패드(4a,4b,4c)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장착되어 있지만, 이는 수평 방향 또는 그 외의 다른 방향으로 설정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방향을 동시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숫자 입력버튼으로 구성된 제 1 키패드는 수직 방향으로 인출 또 는 회동될 수 있도록 장착하고, 문자 또는 특수문자 등으로 구성된 제 2 키패드는 수평 방향으로 인출 또는 회동될 수 있도록 장착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조키패드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의하면 단말기 본체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키패드에 구비된 버튼키와 다른 문자나 기호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키를 갖는 보조키패드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보조키패드를 단말기 본체를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또는 회동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새로운 사용자 뿐만 아니라 중년층 이상의 사용자도 매우 손쉽게 입력버튼의 위치를 인식하거나 숙지할 수 있어 문자 등의 입력을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입력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과 동등한 수준의 미관을 유지하면서도 편리함을 향상 시킴은 물론 상품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본체;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상기 폴더에 의해 덮이는 상기 본체의 일면에서 리세스되게 형성되며, 양측면에서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레일부를 구비하는 리세스부;
    상기 리세스부의 바닥면에 장착되고, 버튼키를 구비하는 고정키패드; 및
    상기 고정키패드에 구비되는 상기 버튼키와 다른 문자나 기호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키를 구비하며, 상기 레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양측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리세스되게 형성되는 안내홈을 구비하고, 상기 리세스부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보조키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키패드의 일단에 장착되는 마이크는 상기 보조키패드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이동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조키패드의 일면은 상기 본체의 일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어 상기 폴더에 의해 덮이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키패드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키패드가 상기 본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탈방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키패드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보조키패드의 저부와 상기 고정키패드의 상부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서로 걸려질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키패드 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5. 삭제
  6. 삭제
KR1020030083750A 2003-11-24 2003-11-24 보조키패드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KR101080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750A KR101080590B1 (ko) 2003-11-24 2003-11-24 보조키패드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750A KR101080590B1 (ko) 2003-11-24 2003-11-24 보조키패드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970A KR20050049970A (ko) 2005-05-27
KR101080590B1 true KR101080590B1 (ko) 2011-11-04

Family

ID=38665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750A KR101080590B1 (ko) 2003-11-24 2003-11-24 보조키패드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5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5053A (ja) * 2001-10-18 2003-04-25 Bosu & K Consulting Kk 携帯電話
JP2003289359A (ja) 2002-03-28 2003-10-10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携帯電話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5053A (ja) * 2001-10-18 2003-04-25 Bosu & K Consulting Kk 携帯電話
JP2003289359A (ja) 2002-03-28 2003-10-10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携帯電話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970A (ko) 2005-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8607B1 (ko) 양쪽 키패드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CN100531236C (zh) 侧向滑动型移动终端
KR101106333B1 (ko) 데이터 입력부 및 숫자 입력부를 갖는 복합 개폐형 이동통신 단말기
US20030073414A1 (en) Textual and telephony dual input device
US20080186663A1 (en) Dual slid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60079732A (ko) 복합 개폐형 이동통신 단말기
AU775987B2 (en) Flipable alphanumeric keypad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7206616B2 (en) Handphone capable of inputting characters like keyboard
EP1722538A1 (en) Sliding-type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dual operation mode and two keyboards
KR101080590B1 (ko) 보조키패드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CN101276234A (zh) 带有副键盘和副屏幕的笔记本型计算机
KR19990007518A (ko)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 방법
KR10042998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기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KR200214829Y1 (ko) 엘씨디 부분이 움직이는 슬라이더형 휴대폰
KR100735146B1 (ko) 측면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KR100484424B1 (ko) 숫자 입력 겸용 문자 입력 자판
KR100230665B1 (ko) 한글입력장치를 구비한 디지탈 이동전화기
KR101188133B1 (ko) 휴대단말의 문자입력 키패드
KR200155225Y1 (ko) 착탈식 키보드가 구비된 문자용 페이져
KR20060038552A (ko)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KR1011605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7020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작동 방법
KR200247310Y1 (ko) 슬라이드식과 플립식으로 개폐되는 커버를 구비한 슬라이드형휴대 전화기
KR2004004822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입력장치
JP2003099178A (ja) 補助キーボード入力装置及び該装置を装着し得る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