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492B1 - 3층 구조의 다이아프램을 사용한 어큐뮤레이터 - Google Patents

3층 구조의 다이아프램을 사용한 어큐뮤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492B1
KR101080492B1 KR1020100013693A KR20100013693A KR101080492B1 KR 101080492 B1 KR101080492 B1 KR 101080492B1 KR 1020100013693 A KR1020100013693 A KR 1020100013693A KR 20100013693 A KR20100013693 A KR 20100013693A KR 101080492 B1 KR101080492 B1 KR 101080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layer
resin
rubber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4372A (ko
Inventor
김성군
김기용
이재우
Original Assignee
(주)하이프레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프레실 filed Critical (주)하이프레실
Priority to KR1020100013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492B1/ko
Publication of KR20110094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silicone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upply Devices, Intensifiers, Converters, And Telemoto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포펫이 설치되어 있는 다이아프램의 중앙부가 비스듬하게 기운 상태로 상승하여, 다이아프램에서의 굴곡 변형부(M)의 위치가 중앙부측로부터 외측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어긋나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이, 굴곡 변형부(M)의 위치가 중앙부측로부터 외측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어긋나는 경우가 발생하면, 이 지점에서 응력이 집중하기 때문에, 다이아프램에서 균열이 생겨서 파손을 일으키게 되어 어큐뮤레이터의 수명이 현저히 짧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가스 투과성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수지층을 둔 종래의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은 가스실의 표면과 유입실의 표면이 고무층으로 형성되고, 양 고무층을 포함하여 5층 이상으로 구성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제조 원가가 높아서 소비자 가격이 높아지고 또한 제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한편 양 고무층을 포함하여 3층의 다이아프램은 어큐뮤레이터의 사용 시에 가스가 완전히 차단되지 못하고 가스가 투과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용 압력의 변동 시에 3층 구조의 다이아프램이 중심축 상에서 안정되게 변형되도록 하여 다이아프램의 손상을 방지하며, 다이아프램의 가스 투과성을 억제시킬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 원가가 저렴하고, 더구나 제조시의 가공 능률이 높으며, 수명이 현저히 긴 어큐뮤레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어큐뮤레이터는, 실리콘고무 49∼55wt%, 에틸렌 초산비닐 폴리머 11∼14wt%, 아디핀산계 에스테르 8∼10wt%, 산화아연 8∼10wt%, 폴리오레핀계 수지 2∼5wt%, 가소제 3∼4wt%, 산화방지제 2∼4wt%, 안정제 1∼3wt%, 가황제 및 가황촉진제 5∼6wt%의 조성으로 된 단일층인 가스실측 고무층(83)과, 염화비닐계 수지 36∼43wt%, 아크릴산에스테르 11∼16wt%,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 6∼10wt%, 아크릴로니트릴 7∼12wt%, 가소제 6∼9wt%, 폴리오레핀계수지 10∼15wt%, 탄산칼슘 8∼12wt%의 조성으로 된 단일층인 수지층(82)과의 사이에, 에틸렌부타디엔공중합고무 19∼25wt%, 폴리염화비닐계 열가소성 에라스토머 18∼21wt%,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10∼12wt%, 초산에틸 10∼16wt%, 폴리아미드수지 10∼15wt%, 피메린산 10∼12wt%, 에틸렌아민 6∼9wt%, 석유계연화제 3∼6wt%의 조성으로 된 가스실측 접착제를 바르고, 상기의 단일층인 수지층(82)과, 천연고무 34∼38wt%, 유기 과산화물 29∼31wt%, 폴리 염화 비닐 25∼29wt%, 폴리옥시알키렌 모노지방산 에스테르 0.9∼2.2wt%, 폴리에틸렌 글리콜 0.6∼1.4wt%, 산화 아연 1.0∼1.6wt%, 스노라이트 0.7∼1.5wt%, 노화 방지제 0.3∼0.7wt%, 가황 촉진제 0.3∼0.6wt%, 가황제 0.4∼0.8wt%, 지연제 0.4∼0.6wt%의 조성으로 된 단일층인 오일실측 고무층(81)과의 사이에, 우레탄 프리폴리머 31∼38wt%, 케톤레진 14∼18wt%, 키실렌 9∼14wt%, 트리에틸렌글리콜 10∼13wt%, 이소프로필알콜 8∼13wt%, 가소성에폭시수지 7∼11wt%, 이소프탈산 5∼9wt%의 조성으로 된 오일실측 접착제를 바른 후에 프레스로 압력을 가하여 접착시키며, 가스실측 고무층(83)을 질소 가스실(87) 측에 두고, 오일실측 고무층(81)을 오일실(88) 측에 설치하고, 이러한 3층 구조를 가지는 다이아프램(85)의 가스실측에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돌기 (95)를 두며, 다이아프램(85)의 오일실측에 다이아프램의 오일실측 돌기(96)를 두고,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고무층 두께(T1)는 수지층과 고무층을 합한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1/5∼3/5배의 범위로 하고, 오일실측 고무층 두께(T2)는 수지층과 고무층을 합한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2/5∼3/5배의 범위로 하고, 수지층 두께(T3)는 수지층과 고무층을 합한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1/6∼2/5배의 범위로 하며,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돌기 폭(t1)은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2∼5배의 범위로 하며, 다이아프램의 오일실측 돌기 폭(t2)은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2∼5배의 범위로 하고,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돌기 사이의 거리(f1)는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5∼14배의 범위로 하며, 오일실측 돌기 사이의 거리(f2)는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5∼14배의 범위로 하고,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돌기 높이(h1)는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2∼4배의 범위로 하며, 다이아프램의 오일실측 돌기 높이(h2)는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2∼4배의 범위로 한다.
본 발명의 어큐뮤레이터는, 작용 압력의 변동 시에 다이아프램이 중심축 상에서 안정되게 변형되도록 하여 다이아프램의 손상을 방지하며, 다이아프램의 가스 투과성을 억제시킬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 원가가 저렴하고, 더구나 제조시의 가공 능률이 높으며, 어큐뮤레이터의 수명이 현저히 길어지는 효과를 가진다.
어큐뮤레이터, 다이아프램, 고무, 수지, 가스, 오일

Description

3층 구조의 다이아프램을 사용한 어큐뮤레이터{Accumulator with 3-layer type diaphragm}
본 발명은, 어큐뮤레이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일반적으로, 유로 내의 고압 유체의 축적 혹은 유로 내의 유체의 맥동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는 어큐뮤레이터(20)는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즉, 구형으로 형성된 쉘(26)의 내부에 고무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진 다이아프램(20)이 홀더(13)에 의해서 부착되고, 내부가 2개의 밀폐 공간으로 구획되고 한쪽의 밀폐공간을 가스 봉입용의 가스실(21)로, 다른 쪽의 밀폐 공간을 유체의 유입실인 오일실(22)로 각각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에, 상기의 다이아프램(24)이 고무 등의 기체 투과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되기 때문에, 가스실(21)의 내부의 기체가 다이아프램(24)을 서서히 투과하여, 장기간에 걸쳐 사용함에 있어서 가스실(21)의 내부의 압력이 대단히 낮아지고, 안정된 유체압의 제어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도 2는 종래의 어큐뮤레이터에서 오일실 측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작동 상 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어큐뮤레이터에서 오일실 측에 압력이 가해진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의 M은 어큐뮤레이터에서 오일실 측에 압력이 가해진 작동 상태에서의 다이아프램에서의 굴곡점인데, 장기간의 반복 사용 중에 피로응력에 의하여 이러한 굴곡점(M)에서 손상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어큐뮤레이터의 다이아프램은 사용 중에 가스의 투과 억제성 뿐만 아니라 사용 중의 반복 응력에 따른 소정의 내구성도 요구된다. 도 2의 23은 오일 출입구를 보이고, 도 3의 27은 포펫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선행 기술로서 도 4에 보이는 어큐뮤레이터가 존재한다.
도 4는 종래의 어큐뮤레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4에서, 쉘(151)은 구형으로 형성되어서 한쪽 단에 오일 출입구(152)를 가진다. 쉘(51)의 내부는 밀폐 공간(153)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밀폐 공간(153)은 오일 출입구(152)와 연통되어 있다.
이 밀폐 공간(153)은, 다이아프램(160)에 의하여 가스실(154)과 오일실(155)로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오일실(152) 내에 오일 출입구(152)로부터 오일이 유입 및 유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이아프램(160)은, 가스실(154) 내의 가스가 오일실(155)로 투과되지 않도록 수지막(165)을 매설하고 있다. 그리고, 다이아프램(160)은, 고무 재료로 되어 있으며, 가소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어큐뮤레이터(150)은, 오일 출입구(152)로부터 오일이 유입하면, 다이아프램(160)은 가스실(154) 측으로 반전하려고 하지만, 다이아프램(160)의 복부(163)에 원주 방향을 따라서 여러 지점에서 굴곡 변형부(164)가 발생한다. 이것은, 다이아프램(160)에 수지막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반전시에 수축이 가능하지 않고, 좌굴 이 발생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만곡부(164)가 발생하면, 만곡부(164)에 응력이 집중하기 때문에, 균열이 생겨서 파손을 일으키게 된다.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평 5-66302호 공보에서는,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대략 중공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가스 차단용의 수지층(181)과 수지층(181)의 양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외측 탄성층(182) 및 내측 탄성층(183)과 외측 탄성층(182)의 외주면 중앙부에 설치된 포펫(184)과 내측 탄성층(183)의 내면에 내측 탄성층(183)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원주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원환형 리브(185)로 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다이아프램(180)은, 수지층(181)을 가지므로 강성이 높아지고, 더욱이 제작시에 수지층(181)이나 양탄성층(182, 183)의 두께 치수 등을 완전하게 균일하게 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각 부위의 강성에 미묘한 격차가 생긴다. 그 때문에, 다이아프램(180)의 중간부가 굴곡하도록 하여 탄성변형 할 때에, 강성이 낮은 부분에 응력 집중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여 그 부분이 좌굴하기 쉽고, 이와 같은 좌굴이 수지층(181)에 반복적으로 발생하면 최종적으로는 균열이 발생되어 파괴되어 버린다.
그래서, 이 다이아프램(180)에는, 굴곡 변형부에서의 좌굴 발생에 따른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내측 탄성층(183)의 내면에 복수개의 원환형 리브(185)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서로 이웃 위치인 원환형 리브(185)의 사이에는, 단면이 V자형 모양의 링 홈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각 원환형 리브(185)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도 6에 나타내듯이, 오일실(71)의 압력 변화에 따라서 다이아프램(80)이 탄성 변형하려면, 포펫(84)이 설치되어 있는 중앙부가 비스듬하게 기우는 일 없이 곧게 상승되어, 굴곡 변형부(M)의 위치가 중앙부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다이아프램(80)은, 제작 시에 수지층(81)이나 양 탄성층(82, 83)의 원주 방향으로의 두께 치수의 격차가 불가피하게 발생한다. 이 때문에, 실제로 다이아프램(80)이 탄성 변형하는 때에, 도 7에 나타내듯이, 포펫(84)이 설치되어 있는 중앙부가 비스듬하게 기운 상태로 상승하여, 굴곡 변형부(M)의 위치가 중앙부측로부터 외측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어긋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굴곡 변형부(M)의 위치가 중앙부측로부터 외측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어긋나는 경우가 발생하면, 이 지점에서 응력이 집중하기 때문에, 균열이 생겨서 파손을 일으키게 된다.
이와 같이 다이아프램(80)이 비스듬하게 기운 상태로 탄성변형 하면, 굴곡 변형부(M)의 위치가 한쪽에서 높아져서 변형이 커지거나 클램프 링(85)과 접촉하여 다이아프램(80)에 손상이 발생한다든지 하기 때문에, 다이아프램(80)의 내구성이 현저히 저하된다. 또한, 각각의 다이아프램(80)의 탄성변형에 차이가 발생하여, 내구성의 심각한 변동의 요인으로도 된다.
한편, 일본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실개평 평7-10505호에는, 대략 반구형으로 형성되어서 중심부의 포펫 부근의 두께가 얇고 주변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다이아프램에 대해서, 포펫을 중심으로 하여 링형으로 이어지는 1개 이상의 리브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다이아프램이 정상적인 형상으로 팽창하고, 또한, 수축하여 정상적인 형상으로 복원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8-334101호에는, 대략 반구형으로 열림 단부 부근에 가요부가 형성된 다이아프램 대하여, 가요부의 중심 측에 중심을 향하여 두께를 점차 증가시키는 후육부를 두는 것에 의하여, 다이아프램에 작동 유체가 작용할 때에, 정상적인 탄성변형 상태를 유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일본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실개평 7-10505호 및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8-334101호에 개시된 다이아프램의 경우에도, 제작 시에 발생하는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의 격차를 완전하게 해소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충분히 만족할 수 있을 정도로 다이아프램에서의 이상적인 탄성변형 상태는 얻어지기 어렵다.
한편, 상기의 다이아프램을 구성하는 고무 재료에 첨가제를 가하여 가스 투과성을 억제시킨 시도가 되어 왔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면, 고무의 가스 투과성은 억제되나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 자체의 유연성이 저하되고, 장기간의 사용에서 균열 등이 발생하기 쉬운 새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2-165948호 공보에는, 고무제 박막의 사이에 에틸렌 비닐 알콜 수지막을, 접착제층을 게재시켜 설치한 고무 수지 복합막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복합막을 이용하여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에틸렌 비닐 알콜 수지막이 가스 투과 방지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가스의 봉입 압력을 장기간에 걸쳐서 유지할 수가 있지만, 그러나 고무-수지 복합막은 사용 기간이 길어지면, 즉 사용 중의 굴곡 반복회수가 많아지면, 그 에틸렌 비닐 알콜 공중합체(EVOH) 막에서 균열, 박리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을 사용한 어큐뮤레이터는 수명이 현저히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국 등록특허공보 제3035326호 공보에는, 다이아프램의 기체 투과성을 억제시켜서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으며, 이 종래 기술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일본국 등록특허공보 제3035326호 공보에서의 종래의 어큐뮤레이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를, 도 9는 종래에 사용하고 있는 다이아프램을 나타내는 확대 개략도를 나타낸다. 다이아프램에서, 기체 투과성 억제를 위한 수지층(52)과 이 수지층(52)의 양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적층된 고무 등의 탄성체(51)로 구성되어 있다. 도 8에서, 61은 어큐뮤레이터의 쉘을 나타내고, 62는 다이아프램, 63은 포펫, 64는 홀더, 65는 오일 포펫, 66은 가스 프래그, 67은 O링, 68은 가스 봉입구, 69는 오일출입구, 21은 가스실, 22는 오일실을 나타낸다. 도 9에서, 32는 다이아프램, 33은 포펫, 51은 탄성막, 52는 수지층, 54는 돌기를 나타낸다. 또한, 일본국 등록특허공보 제3035326호 공보에서는, 도 10 및 도 11에 보이는 바와 같은 상기와 다른 형태의 다이아프램도 제안하고 있다. 즉, 도 10은 종래에 사용하고 있는 다이아프램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확대 개략도이고, 도 11은 종래에 사용하고 있는 다이아프램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확대 개략도를 보인다. 도 10 및 도 11의 다이아프램에서는, 수지의 양측에, 수지막(63)을 적층시켜서 형성한 수지층(62)과 이 수지층(62)의 양측에 적층된 고무 등의 탄성층 (61)으로 구성되고, 각 층의 적층은 접착제로 행해진다. 도 10 및 도 11에서, 33은 포펫, 61은 탄성막, 62는 수지층, 64는 돌기, 65는 다이아프램을 나타내고, 60은 수지, 63은 수지막을 보인다.
도 12는 종래의 어큐뮤레이터에서, 그 본체의 내부에 취부된 가소성막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단면 설명도이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9-111064호 공보에서는, 다이아프램의 기체 투과성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도 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가소성막(47)이 중간층(40)과 그 양측에 적층 형성된 유연층(42, 42)을 설치하고, 더욱이 각 유연층(42, 42)의 외측에, 접착제층(44, 44)을 두고서 적층된 고무층(46, 46)의 7층으로 이루어진 일체적인 적층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의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국 등록특허공보 제2747860호 공보에서는 도 13 및 도 14에서 보이는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을 제안하고 있다. 도 9는 종래의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을 설치한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의 부분 단면도를 보인다. 고무층으로는 종래 공지된 아크릴로니트릴부탄고무(NBR) 등을 사용하였고, 에틸렌 비닐 알콜 공중합체(EVOH)와 폴리아미드 수지를 압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함께 압출함에 의하여 에틸렌 비닐 알콜 공중합체(EVOH)를 중심층으로, 그 상하 양면에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탄성층을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복합층으로 구성 하였다. 이 경우에 에틸렌 비닐 알콜 공중합체(EVOH)와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탄성층과의 접합계면은, 양자의 반 응에 의해서 접착하는 것으로부터 접착제는 불필요하다.
다음에 이 복합층의 상하 양면에 종래 공지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고무층을 프레스기로 프레스 성형하고, 가황 접착하였다. 일본국 등록특허공보 제2747860호 공보의 도 13은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의 구조를 보인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은, 도 14에 나타내듯이, 대략 반구형의 2개의 분할 쉘 중에서 아래 쪽의 분할 쉘(71)의 개구부의 내주 모서리에, 그 주 모서리부를 위치 결정시키고, 그 주 모서리부를, 링형 지지체(71a)의 외주와 아래 쪽의 분할 쉘(71)의 개구부 내주 모서리로 협지 고정하는 것으로부터 아래 쪽의 분할 쉘(71)에 장착된다. 그리고, 이 아래 쪽의 분할 쉘(71)의 열림부에, 위쪽의 분할 쉘(70a)의 열림부를 대고서, 전자빔 용접 등을 하는 것에 의해 어큐뮤레이터(70)이 구성되었다. 도에서, 73은 포펫이다.
일본국 등록특허공보 제2747860호 공보에서는, 아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도 15 내지 도 17에서 보이는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의 제조 방법도 제안하고 있다. 도 15는 종래의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에 이용하는 복합층의 중심층과 탄성층과의 층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보이고, 도 16은 종래의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7은 종래의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중심층 형성 재료로서 EVOH(에틸렌 함유량 32%, 쿠라레 사제 F-101)를 준비함과 함께, 탄성층 형성 재료로서 폴리아미드 수지(듀퐁 사제, 슈퍼터프 나일론 ST811HS)를 준비하고, 또한, 고무층 형성용 재료로서 NBR를 준비하였으며, 다음에, 상기 EVOH 및 폴리아미드 수지를, 소 정의 두께로 압출 성형기로부터 모두 압출시켜, 도 15에 나타내는 3층 구조의 복합층을 제작했다. 도 15에서, 71은 EVOH로 이루어진 중심층, 72는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탄성층이다. 다음에, 상기 복합층의 각 상하 양표면에 종래 공지의 접착제를 도포하고, 게다가 프레스기를 이용해 NBR을 소정의 두께가 되도록 층상으로 프레스 성형한 후, 가황 접착했다. 이와 같이 하여, 5층 구조로 된 탄성의 얇은 판형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이프램(77)(도 13 참조)을 얻었다.
또한 상기의 방법과 같이 하여, 압출 성형기로부터 함께 압출함에 의해, 7층 구조의 복합층을 제작하였고. 다음에, 상기 복합층의 각 상하 양표면에 종래 공지의 접착제를 도포하고, 더욱이 프레스기를 이용해 NBR 고무를 소정의 두께가 되도록 층상으로 프레스 성형한 후, 가황 접착하여 도 1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9층 구조의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77)을 얻었다. 도 16에서, 73은 고무층이고, 71'은 EVOH로 이루어진 층, 72'는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탄성층이다.
한편 상기의 방법으로, 압출 성형기로부터 함께 압출함에 의해, 11층 구조의 복합층을 제작하였고, 다음에, 상기 복합층의 각 상하 양표면에 종래 공지의 접착제를 도포하고, 더욱이 프레스기를 이용해 NBR를 소정의 두께로 층상으로 프레스 성형한 후에, 가황 접착했다. 이와 같이 하여 도 1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13층 구조의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77)을 얻었다. 도 17에서, 73은 고무층이다. 도 16 및 도 17에서 A는 내측 부분층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가스 투과성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수지층을 둔 종래의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은 가스실의 표면과 유입실의 표면이 고무층으로 형성되고, 양 고무층을 포함하여 3개층 이상으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제조 원가가 높아서 소비자 가격이 높아지고 또한 제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어큐뮤레이터는, 작용 압력의 변동 시에 다이아프램이 중심축 상에서 안정되게 변형되도록 하여 다이아프램의 손상을 방지하며, 다이아프램의 가스 투과성을 억제시킬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 원가가 저렴하고, 더구나 제조시의 가공 능률이 높으며, 어큐뮤레이터의 수명이 현저히 긴 어큐뮤레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85)은, 실리콘고무 49∼55wt%, 에틸렌 초산비닐 폴리머 11∼14wt%, 아디핀산계 에스테르 8∼10wt%, 산화아연 8∼10wt%, 폴리오레핀계 수지 2∼5wt%, 가소제 3∼4wt%, 산화방지제 2∼4wt%, 안정제 1∼3wt%, 가황제 및 가황촉진제 5∼6wt%의 조성으로 된 단일층인 가스실측 고무층(83)과, 염화비닐계 수지 36∼43wt%, 아크릴산에스테르 11∼16wt%,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 6∼10wt%, 아크릴로니트릴 7∼12wt%, 가소제 6∼9wt%, 폴리오레핀계수지 10∼15wt%, 탄산칼슘 8∼12wt%의 조성으로 된 단일층인 수지층(82)과의 사이에, 에틸렌부타디엔공중합고무 19∼25wt%, 폴리염화비닐계 열가소성 에라스토머 18∼21wt%,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10∼12wt%, 초산에틸 10∼16wt%, 폴 리아미드수지 10∼15wt%, 피메린산 10∼12wt%, 에틸렌아민 6∼9wt%, 석유계연화제 3∼6wt%의 조성으로 된 가스실측 접착제를 바르고, 상기의 단일층인 수지층(82)과, 천연고무 34∼38wt%, 유기 과산화물 29∼31wt%, 폴리 염화 비닐 25∼29wt%, 폴리옥시알키렌 모노지방산 에스테르 0.9∼2.2wt%, 폴리에틸렌 글리콜 0.6∼1.4wt%, 산화 아연 1.0∼1.6wt%, 스노라이트 0.7∼1.5wt%, 노화 방지제 0.3∼0.7wt%, 가황 촉진제 0.3∼0.6wt%, 가황제 0.4∼0.8wt%, 지연제 0.4∼0.6wt%의 조성으로 된 단일층인 오일실측 고무층(81)과의 사이에, 우레탄 프리폴리머 31∼38wt%, 케톤레진 14∼18wt%, 키실렌 9∼14wt%, 트리에틸렌글리콜 10∼13wt%, 이소프로필알콜 8∼13wt%, 가소성에폭시수지 7∼11wt%, 이소프탈산 5∼9wt%의 조성으로 된 오일실측 접착제를 바른 후에 프레스로 압력을 가하여 접착시키며, 가스실측 고무층(83)을 질소 가스실(87) 측에 두고, 오일실측 고무층(81)을 오일실(88) 측에 설치하고, 이러한 3층 구조를 가지는 다이아프램(85)의 가스실측에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돌기(95)를 두며, 다이아프램(85)의 오일실측에 다이아프램의 오일실측 돌기(96)를 두고,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고무층 두께(T1)는 수지층과 고무층을 합한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1/5∼3/5배의 범위로 하고, 오일실측 고무층 두께(T2)는 수지층과 고무층을 합한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2/5∼3/5배의 범위로 하고, 수지층 두께(T3)는 수지층과 고무층을 합한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1/6∼2/5배의 범위로 하며,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돌기 폭(t1)은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2∼5배의 범위로 하며, 다이아프램의 오일실측 돌기 폭(t2)은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2∼5배의 범위로 하고,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돌기 사 이의 거리(f1)는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5∼14배의 범위로 하며, 오일실측 돌기 사이의 거리(f2)는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5∼14배의 범위로 하고,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돌기 높이(h1)는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2∼4배의 범위로 하며, 다이아프램의 오일실측 돌기 높이(h2)는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2∼4배의 범위로 한다.
본 발명의 어큐뮤레이터는, 작용 압력의 변동 시에 다이아프램이 중심축 상에서 안정되게 변형되도록 하여 다이아프램의 손상을 방지하며, 다이아프램의 가스 투과성을 억제시킬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 원가가 저렴하고, 더구나 제조시의 가공 능률이 높으며, 어큐뮤레이터의 수명이 현저히 길어지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8은 본 발명의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19은 본 발명의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어큐뮤레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를 보인다. 도 18에서, 81은 오일실측 고무층, 82는 수지층, 83은 가스실측 고무층, 84는 쉘, 85는 다이아프램, 86은 홀더, 87은 가스실, 88은 오일실, 89는 어큐뮤레이터, 90은 오일 출입구, 95는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돌기, 96은 다이아프램의 오일실측 돌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85)은, 실리콘고무 49∼55wt%, 에틸렌 초산 비닐 폴리머 11∼14wt%, 아디핀산계 에스테르 8∼10wt%, 산화아연 8∼10wt%, 폴리오레핀계 수지 2∼5wt%, 가소제 3∼4wt%, 산화방지제 2∼4wt%, 안정제 1∼3wt%, 가황제 및 가황촉진제 5∼6wt%의 조성으로 된 단일층인 가스실측 고무층(83)과, 염화비닐계 수지 36∼43wt%, 아크릴산에스테르 11∼16wt%,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 6∼10wt%, 아크릴로니트릴 7∼12wt%, 가소제 6∼9wt%, 폴리오레핀계수지 10∼15wt%, 탄산칼슘 8∼12wt%의 조성으로 된 단일층인 수지층(82)과의 사이에, 에틸렌부타디엔공중합고무 19∼25wt%, 폴리염화비닐계 열가소성 에라스토머 18∼21wt%,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10∼12wt%, 초산에틸 10∼16wt%, 폴리아미드수지 10∼15wt%, 피메린산 10∼12wt%, 에틸렌아민 6∼9wt%, 석유계연화제 3∼6wt%의 조성으로 된 가스실측 접착제를 바르고, 상기의 단일층인 수지층(82)과, 천연고무 34∼38wt%, 유기 과산화물 29∼31wt%, 폴리 염화 비닐 25∼29wt%, 폴리옥시알키렌 모노지방산 에스테르 0.9∼2.2wt%, 폴리에틸렌 글리콜 0.6∼1.4wt%, 산화 아연 1.0∼1.6wt%, 스노라이트 0.7∼1.5wt%, 노화 방지제 0.3∼0.7wt%, 가황 촉진제 0.3∼0.6wt%, 가황제 0.4∼0.8wt%, 지연제 0.4∼0.6wt%의 조성으로 된 단일층인 오일실측 고무층(81)과의 사이에, 우레탄 프리폴리머 31∼38wt%, 케톤레진 14∼18wt%, 키실렌 9∼14wt%, 트리에틸렌글리콜 10∼13wt%, 이소프로필알콜 8∼13wt%, 가소성에폭시수지 7∼11wt%, 이소프탈산 5∼9wt%의 조성으로 된 오일실측 접착제를 바른 후에 프레스로 압력을 가하여 접착시키며, 가스실측 고무층(83)을 질소 가스실(87) 측에 두고, 오일실측 고무층(81)을 오일실(88) 측에 설치하고, 이러한 3층 구조를 가지는 다이아프램(85)의 가스실측에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돌 기(95)를 두며, 다이아프램(85)의 오일실측에 다이아프램의 오일실측 돌기(96)를 두고,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고무층 두께(T1)는 수지층과 고무층을 합한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1/5∼3/5배의 범위로 하고, 오일실측 고무층 두께(T2)는 수지층과 고무층을 합한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2/5∼3/5배의 범위로 하고, 수지층 두께(T3)는 수지층과 고무층을 합한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1/6∼2/5배의 범위로 하며,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돌기 폭(t1)은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2∼5배의 범위로 하며, 다이아프램의 오일실측 돌기 폭(t2)은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2∼5배의 범위로 하고,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돌기 사이의 거리(f1)는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5∼14배의 범위로 하며, 오일실측 돌기 사이의 거리(f2)는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5∼14배의 범위로 하고,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돌기 높이(h1)는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2∼4배의 범위로 하며, 다이아프램의 오일실측 돌기 높이(h2)는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2∼4배의 범위로 한다.
표 1의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은, 실리콘고무 49wt%, 에틸렌 초산비닐 폴리머 11wt%, 아디핀산계 에스테르 10wt%, 산화아연 10wt%, 폴리오레핀계 수지 5wt%, 가소제 4wt%, 산화방지제 3wt%, 안정제 2wt%, 가황제 및 가황촉진제 6wt%의 조성으로 된 단일층인 가스실측 고무층(83)과, 염화비닐계 수지 36wt%, 아크릴산에스테르 14wt%,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 10wt%, 아크릴로니트릴 7wt%, 가소제 6wt%, 폴리오레핀계수지 15wt%, 탄산칼슘 12wt%의 조성으로 된 단일층인 수지층(82)과의 사이에, 에틸렌부타디엔공중합고무 19wt%, 폴리염화비닐계 열가소성 에라스토머 18wt%,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11wt%, 초산에틸 10wt%, 폴리아미드수지 15wt%, 피메린산 12wt%, 에틸렌아민 9wt%, 석유계연화제 6wt%의 조성으로 된 가스실측 접착제를 바르고, 상기의 단일층인 수지층(82)과, 천연고무 34wt%, 유기 과산화물 29wt%, 폴리 염화 비닐 29wt%, 폴리옥시알키렌 모노지방산 에스테르 1.8wt%, 폴리에틸렌 글리콜 0.6wt%, 산화 아연 1.6wt%, 스노라이트 1.5wt%, 노화 방지제 0.6wt%, 가황 촉진제 0.6wt%, 가황제 0.8wt%, 지연제 0.5wt%의 조성으로 된 단일층인 오일실측 고무층(81)과의 사이에, 우레탄 프리폴리머 31wt%, 케톤레진 14wt%, 키실렌 14wt%, 트리에틸렌글리콜 13wt%, 이소프로필알콜 13wt%, 가소성에폭시수지 7wt%, 이소프탈산 8wt%의 조성으로 된 오일실측 접착제를 바른 후에 프레스로 50kgf/cm2의 압력을 가하여 접착시키며, 가스실측 고무층(83)을 질소 가스실(87) 측에 두고, 오일실측 고무층(81)을 오일실(88) 측에 설치하고, 이러한 3층 구조를 가지는 다이아프램(85)의 가스실측에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돌기(95)를 두며, 다이아프램(85)의 오일실측에 다이아프램의 오일실측 돌기(96)를 두고, 프레스로 가압 후의 수지층과 고무층을 합한 다이아프램의 총두께를 1.6mm로 하였으며,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고무층 두께(T1)는 수지층과 고무층을 합한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2/5로 하였고, 오일실측 고무층 두께(T2)는 수지층과 고무층을 합한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2/5로 하였고, 수지층 두께(T3)는 수지층과 고무층을 합한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1/5로 하였으며,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돌기 폭(t1)은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 의 3배로 하였으며, 다이아프램의 오일실측 돌기 폭(t2)은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3.2배로 하였고,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돌기 사이의 거리(f1)는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8배로 하였으며, 오일실측 돌기 사이의 거리(f2)는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8.3배로 하였고,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돌기 높이(h1)는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3배로 하였으며, 다이아프램의 오일실측 돌기 높이(h2)는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3.5배로 하였고, 도 2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어큐뮤레이터를 제작하였다.
또한, 표 1의 실시예 2에서 사용된,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은, 실리콘고무 51wt%, 에틸렌 초산비닐 폴리머 14wt%, 아디핀산계 에스테르 9wt%, 산화아연 8wt%, 폴리오레핀계 수지 2wt%, 가소제 3wt%, 산화방지제 4wt%, 안정제 3wt%, 가황제 및 가황촉진제 6wt%의 조성으로 된 단일층인 가스실측 고무층(83)과, 염화비닐계 수지 40wt%, 아크릴산에스테르 11wt%,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 8wt%, 아크릴로니트릴 12wt%, 가소제 9wt%, 폴리오레핀계수지 10wt%, 탄산칼슘 10wt%의 조성으로 된 단일층인 수지층(82)과의 사이에, 에틸렌부타디엔공중합고무 21wt%, 폴리염화비닐계 열가소성 에라스토머 20wt%,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10wt%, 초산에틸 16wt%, 폴리아미드수지 12wt%, 피메린산 10wt%, 에틸렌아민 6wt%, 석유계연화제 5wt%의 조성으로 된 가스실측 접착제를 바르고, 상기의 단일층인 수지층(82)과, 천연고무 36wt%, 유기 과산화물 31wt%, 폴리 염화 비닐 25wt%, 폴리옥시알키렌 모노지방산 에스테르 2.2wt%, 폴리에틸렌 글리콜 1.4wt%, 산화 아연 1.1wt%, 스노라이트 1.1wt%, 노화 방지제 0.7wt%, 가황 촉진제 0.5wt%, 가황제 0.4wt%, 지연제 0.6wt%의 조성으로 된 단일층인 오일실측 고무층(81)과의 사이에, 우레탄 프리폴리머 34wt%, 케톤레진 18wt%, 키실렌 13wt%, 트리에틸렌글리콜 11wt%, 이소프로필알콜 8wt%, 가소성에폭시수지 11wt%, 이소프탈산 5wt%의 조성으로 된 오일실측 접착제를 바른 후에 프레스로 60kgf/cm2의 압력을 가하여 접착시키며, 가스실측 고무층(83)을 질소 가스실(87) 측에 두고, 오일실측 고무층(81)을 오일실(88) 측에 설치하고, 이러한 3층 구조를 가지는 다이아프램(85)의 가스실측에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돌기(95)를 두며, 다이아프램(85)의 오일실측에 다이아프램의 오일실측 돌기(96)를 두고, 프레스로 가압 후의 수지층과 고무층을 합한 다이아프램의 총두께를 1.8mm로 하였으며,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고무층 두께(T1)는 수지층과 고무층을 합한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1.5/5로 하였고, 오일실측 고무층 두께(T2)는 수지층과 고무층을 합한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2.5/5로 하였고, 수지층 두께(T3)는 수지층과 고무층을 합한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1/5로 하였으면,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돌기 폭(t1)은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4배로 하였으며, 다이아프램의 오일실측 돌기 폭(t2)은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4배로 하였고,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돌기 사이의 거리(f1)는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5배로 하였으며, 오일실측 돌기 사이의 거리(f2)는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5배로 하였고,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돌기 높이(h1)는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4배로 하였으며, 다이아프램의 오일실측 돌기 높이(h2)는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4배로 하였고, 도 2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어큐뮤레이터를 제작하였다.
또한, 표 1의 실시예 3에서 사용된,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은, 실리콘고무 55wt%, 에틸렌 초산비닐 폴리머 13wt%, 아디핀산계 에스테르 8wt%, 산화아연 9wt%, 폴리오레핀계 수지 4wt%, 가소제 3wt%, 산화방지제 2wt%, 안정제 1wt%, 가황제 및 가황촉진제 5wt%의 조성으로 된 단일층인 가스실측 고무층(83)과, 염화비닐계 수지 43wt%, 아크릴산에스테르 16wt%,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 6wt%, 아크릴로니트릴 9wt%, 가소제 7wt%, 폴리오레핀계수지 11wt%, 탄산칼슘 8wt%의 조성으로 된 단일층인 수지층(82)과의 사이에, 에틸렌부타디엔공중합고무 25wt%, 폴리염화비닐계 열가소성 에라스토머 21wt%,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12wt%, 초산에틸 11wt%, 폴리아미드수지 10wt%, 피메린산 11wt%, 에틸렌아민 7wt%, 석유계연화제 3wt%의 조성으로 된 가스실측 접착제를 바르고, 상기의 단일층인 수지층(82)과, 천연고무 38wt%, 유기 과산화물 30wt%, 폴리 염화 비닐 27wt%, 폴리옥시알키렌 모노지방산 에스테르 0.9wt%, 폴리에틸렌 글리콜 1.0wt%, 산화 아연 1.0wt%, 스노라이트 0.7wt%, 노화 방지제 0.3wt%, 가황 촉진제 0.3wt%, 가황제 0.4wt%, 지연제 0.4wt%의 조성으로 된 단일층인 오일실측 고무층(81)과의 사이에, 우레탄 프리폴리머 38wt%, 케톤레진 15wt%, 키실렌 9wt%, 트리에틸렌글리콜 10wt%, 이소프로필알콜 11wt%, 가소성에폭시수지 8wt%, 이소프탈산 9wt%의 조성으로 된 오일실측 접착제를 바른 후에 프레스로 40kgf/cm2의 압력을 가하여 접착시키며, 가스실측 고무층(83)을 질소 가스실(87) 측에 두고, 오일실측 고무층(81)을 오일실(88) 측에 설치하고, 이러한 3층 구조를 가지는 다이아프램(85)의 가스실 측에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돌기(95)를 두며, 다이아프램(85)의 오일실측에 다이아프램의 오일실측 돌기(96)를 두고, 프레스로 가압 후의 수지층과 고무층을 합한 다이아프램의 총두께를 1.7mm로 하였으며,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고무층 두께(T1)는 수지층과 고무층을 합한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1.8/5로 하였고, 오일실측 고무층 두께(T2)는 수지층과 고무층을 합한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2.2/5로 하였고, 수지층 두께(T3)는 수지층과 고무층을 합한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1/5로 하였으며,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돌기 폭(t1)은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4배로 하였으며, 다이아프램의 오일실측 돌기 폭(t2)은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4배로 하였고,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돌기 사이의 거리(f1)는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5배로 하였으며, 오일실측 돌기 사이의 거리(f2)는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5.2배로 하였고,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돌기 높이(h1)는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2.5배로 하였으며, 다이아프램의 오일실측 돌기 높이(h2)는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2.5배로 하였고, 도 2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어큐뮤레이터를 제작하였다.
또한, 가스실(87) 내에 봉입 가스로서 N2 가스를 5MPa의 봉입 압력으로 봉입함과 동시에 오일실(88) 내에 점도 상승 방지제 함유의 오일(Pentosin CHF11S)을 충진하였다. 그리고 상온 조건하에서 0MPa와 10MPa의 압력을 교대로 오일실(88)에 1만회 반복적으로 가하여, 내구성을 시험하였고, 내구성 시험(0MPa∼10MPa, 1만회)후의 질소가스 투과성, 내구성 시험(0MPa∼10MPa, 1만회)후의 오일 투과성, 내구성 시험(0MPa∼10MPa, 1만회)후의 접착부 균열, 내구성 시험(0MPa∼10MPa, 1만회)후의 고무층 손상, 내구성 시험(0MPa∼10MPa, 1만회)후의 수지층 손상, 초기 질소가스 투과성, 유연성 등의 이상 발생의 유무를 측정 평가하였다.
표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실시예 3의 본 발명의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은, 내구성 시험(0MPa∼10MPa, 1만회)후의 질소가스 투과성, 내구성 시험(0MPa∼10MPa, 1만회)후의 오일 투과성, 내구성 시험(0MPa∼10MPa, 1만회)후의 접착부 균열, 내구성 시험(0MPa∼10MPa, 1만회)후의 고무층 손상, 내구성 시험(0MPa∼10MPa, 1만회)후의 수지층 손상, 초기 질소가스 투과성, 유연성의 관점에서 현저히 우수한 성능을 가진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0500536431-pat00001
Figure 112010500536431-pat00002
도 1은 종래의 어큐뮤레이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어큐뮤레이터에서 오일실 측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어큐뮤레이터에서 오일실 측에 압력이 가해진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4는 종래예의 어큐뮤레이터의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의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의 변형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종래의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의 변형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종래의 어큐뮤레이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9는 종래에 사용하고 있는 다이아프램을 나타내는 확대 개략도,
도 10은 종래에 사용하고 있는 다이아프램을 다른 예를 나타내는 확대 개략도,
도 11은 종래에 사용하고 있는 다이아프램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확대 개략도,
도 12는 종래의 어큐뮤레이터에서, 그 본체의 내부에 취부된 가소성막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단면 설명도,
도 13은 종래의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도 9의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을 설치한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 프램의 부분 단면도,
도 15는 종래의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에 이용하는 복합층의 중심층과 탄성층과의 층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는 종래의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7은 종래의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8는 본 발명의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19은 본 발명의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어큐뮤레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부호의 설명]
81 오일실측 고무층
82 수지층
83 가스실측 고무층
84 쉘
85 다이아프램
86 홀더
87 가스실
88 오일실
89 어큐뮤레이터
90 오일 출입구
95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돌기
96 다이아프램의 오일실측 돌기
f1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돌기 사이의 거리
f2 다이아프램의 오일실측 돌기 사이의 거리
h1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돌기 높이
h2 다이아프램의 오일실측 돌기 높이
T 수지층과 고무층을 합한 다이아프램의 총두께
T1 가스실측 고무층 두께
T2 오일실측 고무층 두께
T3 수지층 두께
t1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돌기 폭
t2 다이아프램의 오일실측 돌기 폭

Claims (1)

  1. 실리콘고무 49∼55wt%, 에틸렌 초산비닐 폴리머 11∼14wt%, 아디핀산계 에스테르 8∼10wt%, 산화아연 8∼10wt%, 폴리오레핀계 수지 2∼5wt%, 가소제 3∼4wt%, 산화방지제 2∼4wt%, 안정제 1∼3wt%, 가황제 및 가황촉진제 5∼6wt%의 조성으로 된 단일층인 가스실측 고무층(83)과, 염화비닐계 수지 36∼43wt%, 아크릴산에스테르 11∼16wt%,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 6∼10wt%, 아크릴로니트릴 7∼12wt%, 가소제 6∼9wt%, 폴리오레핀계수지 10∼15wt%, 탄산칼슘 8∼12wt%의 조성으로 된 단일층인 수지층(82)과의 사이에, 에틸렌부타디엔공중합고무 19∼25wt%, 폴리염화비닐계 열가소성 에라스토머 18∼21wt%,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10∼12wt%, 초산에틸 10∼16wt%, 폴리아미드수지 10∼15wt%, 피메린산 10∼12wt%, 에틸렌아민 6∼9wt%, 석유계연화제 3∼6wt%의 조성으로 된 가스실측 접착제를 바르고, 상기의 단일층인 수지층(82)과, 천연고무 34∼38wt%, 유기 과산화물 29∼31wt%, 폴리 염화 비닐 25∼29wt%, 폴리옥시알키렌 모노지방산 에스테르 0.9∼2.2wt%, 폴리에틸렌 글리콜 0.6∼1.4wt%, 산화 아연 1.0∼1.6wt%, 스노라이트 0.7∼1.5wt%, 노화 방지제 0.3∼0.7wt%, 가황 촉진제 0.3∼0.6wt%, 가황제 0.4∼0.8wt%, 지연제 0.4∼0.6wt%의 조성으로 된 단일층인 오일실측 고무층(81)과의 사이에, 우레탄 프리폴리머 31∼38wt%, 케톤레진 14∼18wt%, 키실렌 9∼14wt%, 트리에틸렌글리콜 10∼13wt%, 이소프로필알콜 8∼13wt%, 가소성에폭시수지 7∼11wt%, 이소프탈산 5∼9wt%의 조성으로 된 오일실측 접착제를 바른 후에 프레스 로 압력을 가하여 접착시키며, 가스실측 고무층(83)을 질소 가스실(87) 측에 두고, 오일실측 고무층(81)을 오일실(88) 측에 설치하고, 이러한 3층 구조를 가지는 다이아프램(85)의 가스실측에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돌기(95)를 두며, 다이아프램(85)의 오일실측에 다이아프램의 오일실측 돌기(96)를 두고,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고무층 두께(T1)는 수지층과 고무층을 합한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1/5∼3/5배의 범위로 하고, 오일실측 고무층 두께(T2)는 수지층과 고무층을 합한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2/5∼3/5배의 범위로 하고, 수지층 두께(T3)는 수지층과 고무층을 합한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1/6∼2/5배의 범위로 하며,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돌기 폭(t1)은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2∼5배의 범위로 하며, 다이아프램의 오일실측 돌기 폭(t2)은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2∼5배의 범위로 하고,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돌기 사이의 거리(f1)는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5∼14배의 범위로 하며, 오일실측 돌기 사이의 거리(f2)는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5∼14배의 범위로 하고, 다이아프램의 가스실측 돌기 높이(h1)는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2∼4배의 범위로 하며, 다이아프램의 오일실측 돌기 높이(h2)는 다이아프램의 총두께(T)의 2∼4배의 범위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큐뮤레이터(89).
KR1020100013693A 2010-02-16 2010-02-16 3층 구조의 다이아프램을 사용한 어큐뮤레이터 KR101080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693A KR101080492B1 (ko) 2010-02-16 2010-02-16 3층 구조의 다이아프램을 사용한 어큐뮤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693A KR101080492B1 (ko) 2010-02-16 2010-02-16 3층 구조의 다이아프램을 사용한 어큐뮤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372A KR20110094372A (ko) 2011-08-24
KR101080492B1 true KR101080492B1 (ko) 2011-11-04

Family

ID=44930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693A KR101080492B1 (ko) 2010-02-16 2010-02-16 3층 구조의 다이아프램을 사용한 어큐뮤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4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448B1 (ko) * 2016-09-22 2017-02-03 한국기계연구원 초대형 엔진용 흡배기 밸브 장치의 멀티채널 축압기 질소가스 압력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372A (ko) 201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54228B1 (en) Flexible multilayer vinylidene fluoride tubes
US5093166A (en) Laminated rubber structure
GB2547962A (en) Chemical and gas-resistant, high-pressure, large-bore bonded flexible rubber pip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EP2716445B1 (en) Multi-layered structure, inner liner for pneumatic tire, and pneumatic tire
JP2007292303A (ja) 燃料輸送ホース
JP2013010350A (ja) 多層構造体、空気入りタイヤ用インナーライナー及び空気入りタイヤ
KR101080492B1 (ko) 3층 구조의 다이아프램을 사용한 어큐뮤레이터
JPWO2017209198A1 (ja) 積層体、多層構造体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EP0927631B1 (en) Diaphragm and accumulator using the same
US9868267B2 (en) Multilayer structure, inner liner for pneumatic tire, and pneumatic tire
JP4063046B2 (ja) 燃料用ホースおよびその製法
KR101154792B1 (ko) 어큐뮤레이터를 위한 3층 구조를 가지는 다이아프램
KR101082308B1 (ko) 어큐뮤레이터용 다이아프램
KR20110071164A (ko) 다이아프램형 어큐뮤레이터
JP2008260242A (ja) 燃料ホー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505327B2 (ja) 軟質フッ素樹脂を含む積層材料
JP6790329B2 (ja) ガス用可撓性ホース
JPH0582812B2 (ko)
JP2019194487A (ja) 水素充填用ホース
US11028954B2 (en) Accumulator having a diaphragm or bladder with a metallized barrier film
JP2700593B2 (ja) アキュムレータおよびそれに用いるアキュムレータ用ブラダ
US20240229980A9 (en) Flexible tube
US20240133491A1 (en) Flexible tube
JP2700594B2 (ja) アキュムレータおよびそれに用いるアキュムレータ用ブラダ
JPH09314763A (ja) 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