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196B1 - 조명을 이용한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명을 이용한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196B1
KR101080196B1 KR1020080130001A KR20080130001A KR101080196B1 KR 101080196 B1 KR101080196 B1 KR 101080196B1 KR 1020080130001 A KR1020080130001 A KR 1020080130001A KR 20080130001 A KR20080130001 A KR 20080130001A KR 101080196 B1 KR101080196 B1 KR 101080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sensor node
node network
sensor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0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1328A (ko
Inventor
김호성
강성묵
박경진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30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196B1/ko
Publication of KR20100071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1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2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는 센서 노드 네트워크와, 상기 센서 노드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상기 센서 노드 네트워크에 조명을 인가하는 조명 장치와, 상기 조명 장치의 상기 조명 인가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조명을 이용한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 노드 자체에서 에너지 변환을 통하여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서 전원 공급에 필요한 배선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전원이 부족한 경우 조명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어서 센서 노드의 동작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건물이나 신축 건물에서 불필요한 배선을 최소화하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센서 노드 네트워크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석유 에너지를 기초로 생산된 전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석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센서 노드, 조명, 빛 에너지, 센서 노드 네트워크, 조명 제어, 배선

Description

조명을 이용한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SYSTEM OF MANAGING SENSOR NODE NETWORK USING LIGHTING}
본 발명은 조명을 이용한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센서 노드 자체에서 에너지 변환을 통하여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서 전원 공급에 필요한 배선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전원이 부족한 경우 조명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어서 센서 노드의 동작을 보장할 수 있는 조명을 이용한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핵심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과제관리번호: 2008-F-050-01, 과제명: U-Scavenging Post System 최적설계, 구현 연구]
센서 노드 네트워크는 센서 노드에 네트워크 개념을 추가해 사물의 존재 및 위치를 감지하면서 네트워크에 연동,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제어하는 개념이다. 센서 노드 네트워크는 특히 유비쿼터스(Ubiquitous) 컴퓨팅과 관련하여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은 특히 각종 센서에서 감지한 정보를 무선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한 네트워크로서,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애드혹(ad-hoc) 네트워크 등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USN 관련 기술의 개발 및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센서 네트워크는 특히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의 보급에 연동하여 그 사용 대상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센서 노드를 이용하면 다양한 데이터의 감지가 가능하므로, 화재 예방이나 온도 측정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센서 노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경우, 센서 노드의 동작을 위한 전원 공급 문제로 인하여 복잡한 배선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즉 센서 노드가 수집한 감지 데이터를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수신하는 구성은 가능하나, 센서 노드의 동작을 위해서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여야 하므로 각 센서 노드마다 배선이 필요하다.
또한 센서 노드에 내장되는 배터리를 사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배터리를 사용하는 방식의 경우 센서 노드의 배터리가 충전이 되어 있는지를 별도로 확인하여야 하며, 또한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라면 다시 충전하거나 새로운 배터리로 교체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어느 경우이던지, 배선을 위한 비용 또는 배터리 관리 비용 등의 센서 노드 네트워크의 운영 측면에서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 노드 자체에서 에너지 변환을 통하여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서 전원 공급에 필요한 배선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전원이 부족한 경우 조명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어서 센서 노드의 동작을 보장할 수 있는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는 센서 노드 네트워크와, 상기 센서 노드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상기 센서 노드 네트워크에 조명을 인가하는 조명 장치와, 상기 조명 장치의 상기 조명 인가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조명을 이용한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을 이용한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 네트워크는 태양 전지를 이용하여 상기 빛 에너지를 상기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을 이용한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 네트워크는 상기 변환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충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을 이용한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 네트워크는 상기 충전부에 저장되는 상기 전기 에너지가 상기 센서 노드 네트워크의 동작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 조명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이고, 상기 조명 제어 장치는 상기 조명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 장치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을 이용한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 네트워크는 상기 센서 노드 네트워크 주위의 조명 상태가 상기 전원 생성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조명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이고, 상기 조명 제어 장치는 상기 조명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 장치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을 이용한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 장치는 상기 센서 노드 네트워크 주위의 조명 상태가 상기 전원 생성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 장치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을 이용한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 장치는 현재 시간대를 기초로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 장치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을 이용한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LED 조명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을 이용한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의 센서 노드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조명 장치는 하나 이상의 LED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LED 조명 장치 각각은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 노드 중에서 대응되는 센서 노드에 국부적으로 조명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을 이용한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의 센서 노드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조명 장치는 하나 이상의 LED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조명 제어 장치는 하나 이상의 LED 조명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LED 조명 장치 각각은 상기 하나 이상의 LED 조명 제어 장치 중 대응되는 LED 조명 제어 장치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 노드 중에서 대응되는 센서 노드에 국부적으로 조명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을 이용한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의 센서 노드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 노드 각각은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자신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 노드 자체에서 에너지 변환을 통하여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서 전원 공급에 필요한 배선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전원이 부족한 경우 조명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어서 센서 노드의 동작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건물이나 신축 건물에서 불필요한 배선을 최소화하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센서 노드 네트워크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석유 에너지를 기초로 생산된 전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석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조명을 이용한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을 이용한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을 이용한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은, 센서 노드 네트워크(100)와, 조명 제어 장치(200)와, 조명 장치(300)를 포함한다.
센서 노드 네트워크(100)는 종래의 센서 노드 네트워크와 유사하게 주변 데이터를 감지하여 수신 장치에게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노드 네트워크(100)는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자체적으로 생성하는 점이 종래의 센서 노드 네트워크와의 차이점이다.
예컨대 센서 노드 네트워크(100)는 내부에 태양 전지를 포함하여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또한 센서 노드 네트워크(100)는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충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더라도 센서 노드 네트워크(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센서 노드 네트워크(100)의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 미리 변환을 수행하여 충전한 후 센서 노드 네트워크(100)의 동작시 충전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센서 노드 네트워크(100)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센서 노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 이상의 센서 노드 각각이 전술한 태양 전지 또는 충전부를 포함하여 각각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센서 노드 전체에 대해서 하나의 태양 전지 또는 충전부가 대응되고 센서 노드 각각은 해당 하나의 태양 전지 또는 충전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조명 장치(300)는 센서 노드 네트워크(100)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센서 노드 네트워크(100)에 조명을 인가한다.
조명 장치(300)는 예컨대 형광등 또는 백열등 등의 종래의 조명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조명 장치(300)는 센서 노드 네트워크(100) 주위에 국부적으로 조명을 인가하여 센서 노드 네트워크(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도록 하는 목적을 가지므로, 바람직하게는 조명 장치(300)는 LED 조명 장치 등의 전력 효율이 높으면서도 지향성을 가지는 조명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노드 네트워크(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기 위해서 불필요한 전기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하나의 조명 장치(300)만이 도시되었지만, 센서 노드 네트워크(100)가 내부에 하나 이상의 센서 노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경우, 조명 장치(300)는 하나 이상의 LED 조명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LED 조명 장치 각각은 센서 노드 네트워크(100)의 하나 이상의 센서 노드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대응되는 센서노드에 국부적으로 조명을 인가하도록 구 성될 수 있다.
조명 장치(300)는 전술하듯이 조명 제어 장치(200)의 제어에 따라서 동작한다.
조명 제어 장치(200)는 조명 장치(300)가 센서 노드 네트워크(100)에 조명을 인가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예컨대 조명 제어 장치(200)는 조명 장치(300)의 동작 제어를 위해서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조명 장치(300)에게로 전송한다.
조명 제어 신호는 조명 장치(300)의 동작을 ON 또는 OFF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조명 제어 신호의 생성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우선 조명 제어 장치(200)가 센서 노드 네트워크(100)의 요청에 의해서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이다.
예컨대 센서 노드 네트워크(100)가 전술한 충전부를 포함하는 경우, 센서 노드 네트워크(100)는 충전부에 저장되는 전기 에너지가 센서 노드 네트워크(100)의 동작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 조명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조명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
또는 센서 노드 네트워크(100)는 센서 노드 네트워크(100) 주위의 조명 상태가 전기 에너지 변환을 통한 전원 생성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조명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조명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
센서 노드 네트워크(100)로부터 조명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조명 제어 장 치(200)는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조명 장치(300)에게로 전송한다.
한편 센서 노드 네트워크(100)가 하나 이상의 센서 노드를 포함하고, 또한 조명 장치(200)가 하나 이상의 센서 노드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LED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라면, 하나 이상의 센서 노드 각각은 조명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조명 제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조명 제어 장치(200)는 해당 센서 노드에 대응하는 LED 조명 장치에 대해서는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조명 장치(300) 중에서 해당되는 LED 조명 제어 장치만 선택적으로 조명을 해당 센서 노드에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조명 제어 장치(200)가 센서 노드 네트워크(100)의 요청과 관련없이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이다.
센서 노드 네트워크(100)가 조명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센서 노드 네트워크(100)의 구성이 복잡해진다.
따라서 조명 제어 장치(200)가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서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조명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조명 제어 장치(200)는 센서 노드 네트워크(100) 주위의 조명 상태가 전기 에너지 변환을 통한 전원 생성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조명 장치(300)에게로 전송한다. 특히 조명 제어 장치(200)와 센서 노드 네트워크(100)가 근접하여 배치되는 경우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조명 제어 장치(200)는 현재 시간대를 기초로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조명 장치(300)에게로 전송한다.
예컨대 새벽 2시 내지 새벽 6시인 경우, 센서 노드 네트워크(100) 주위에는 조명이 인가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고, 또한 낮 시간에 센서 노드 네트워크(100)가 충전된 전원을 다 사용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조명 제어 장치(200)는 해당 시간대에는 센서 노드 네트워크(100) 주위를 조명하도록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조명 장치(300)에게로 전송한다.
한편 도 1에서는 하나의 조명 제어 장치(200)만이 도시되었지만, 조명 제어 장치(200)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 노드 네트워크(100)가 내부에 하나 이상의 센서 노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고 조명 장치(300)가 하나 이상의 LED 조명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경우, 조명 제어 장치는 하나 이상의 LED 조명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 이상의 LED 조명 장치 각각은 하나 이상의 LED 조명 제어 장치 중 대응되는 LED 조명 제어 장치의 제어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센서 노드 중에서 대응되는 센서 노드에 국부적으로 조명을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조명이 필요한 센서 노드에만 조명을 인가할 수 있다.
그러나 조명 제어 장치(200)는 하나를 사용하고, 하나의 조명 제어 장치에 여러 개의 LED 조명 장치를 연결하여 제어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을 이용한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센서 노드(110A, 120A)를 포함하는 센서 노드 네트워크와 하나의 조명 제어 장치(200)와, 하나의 조명 장치(300)를 포함하는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이 도시된다.
도 2를 참조로 하는 구현예의 경우 특히 센서 노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센서 노드들(110A, 120A)이 인접하여 배치되는 경우에 사용이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센서 노드(110A, 120A, 130B)를 포함하는 센서 노드 네트워크와 하나의 조명 제어 장치(200)와, 두 개의 조명 장치(300A, 300B)를 포함하는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이 도시된다.
도 3을 참조로 하는 구현예의 경우 특히 센서 노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센서 노드들(110A, 120A, 130B) 중에서 인접하게 배치되는 센서 노드들(110A, 120A)에 대해서는 조명 장치(300A)를 이용하여 조명을 인가하고, 다른 센서 노드(130B)에 대해서는 다른 조명 장치(300B)를 이용하여 조명을 인가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센서 노드(110A, 120A, 130B)를 포함하는 센서 노드 네트워크와 두 개의 LED 조명 제어 장치(200A, 200B)와, 두 개의 조명 장치(300A, 300B)를 포함하는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이 도시된다.
도 4를 참조로 하는 구현예의 경우 특히 센서 노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센서 노드들(110A, 120A, 130B) 중에서 인접하게 배치되는 센서 노드들(110A, 120A)에 대해서는 LED 조명 제어 장치(200A)에 의해서 제어되는 조명 장치(300A)를 이용하여 조명을 인가하고, 다른 센서 노드(130B)에 대해서는 LED 조명 제어 장치(200B)에 의해서 제어되는 다른 조명 장치(300B)를 이용하여 조명을 인가하는 방 식을 사용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구성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 노드 자체에서 에너지 변환을 통하여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서 전원 공급에 필요한 배선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전원이 부족한 경우 조명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어서 센서 노드의 동작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건물이나 신축 건물에서 불필요한 배선을 최소화하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센서 노드 네트워크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석유 에너지를 기초로 생산된 전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석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을 이용한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을 이용한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센서 노드 네트워크 110, 120, 130: 센서 노드
200: 조명 제어 장치 300: 조명 장치

Claims (11)

  1.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는 센서 노드 네트워크;
    상기 센서 노드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상기 센서 노드 네트워크에 조명을 인가하는 조명 장치; 및
    상기 조명 장치의 상기 조명 인가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조명 제어 장치는 상기 센서 노드 네트워크 주위의 조명 상태 및 현재 시간대 중 어느 하나를 기초로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 장치에게로 전송하며,
    상기 조명 장치는 지향성을 갖는 LED 조명 장치이며,
    상기 센서 노드 네트워크는 복수의 센서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LED 조명 장치는 상기 복수의 센서 노드 중 하나 이상의 센서 노드에 국부적으로 조명을 인가하는 조명을 이용한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 네트워크는 태양 전지를 이용하여 상기 빛 에너지를 상기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인 조명을 이용한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 네트워크는 상기 변환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인 조명을 이용한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 네트워크는 상기 충전부에 저장되는 상기 전기 에너지가 상기 센서 노드 네트워크의 동작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 조명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이고,
    상기 조명 제어 장치는 상기 조명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 장치에게로 전송하는 것인 조명을 이용한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 네트워크는 상기 센서 노드 네트워크 주위의 조명 상태가 상기 전원 생성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조명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이고,
    상기 조명 제어 장치는 상기 조명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 장치에게로 전송하는 것인 조명을 이용한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의 센서 노드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조명 장치는 하나 이상의 LED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조명 제어 장치는 하나 이상의 LED 조명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LED 조명 장치 각각은 상기 하나 이상의 LED 조명 제어 장치 중 대응되는 LED 조명 제어 장치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 노드 중에서 대응되는 센서 노드에 국부적으로 조명을 인가하는 것인 조명을 이용한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의 센서 노드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 노드 각각은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자신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는 것인 조명을 이용한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
KR1020080130001A 2008-12-19 2008-12-19 조명을 이용한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 KR101080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001A KR101080196B1 (ko) 2008-12-19 2008-12-19 조명을 이용한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001A KR101080196B1 (ko) 2008-12-19 2008-12-19 조명을 이용한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328A KR20100071328A (ko) 2010-06-29
KR101080196B1 true KR101080196B1 (ko) 2011-11-07

Family

ID=42368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0001A KR101080196B1 (ko) 2008-12-19 2008-12-19 조명을 이용한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1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6313A (ja) * 2004-09-16 2006-03-30 Yoshiharu Fujii 太陽電池発電システム
JP2007179411A (ja) * 2005-12-28 2007-07-1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無線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6313A (ja) * 2004-09-16 2006-03-30 Yoshiharu Fujii 太陽電池発電システム
JP2007179411A (ja) * 2005-12-28 2007-07-1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無線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328A (ko) 201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19819B (zh) 无线照明装置和电网切换应用
US202201785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ggregating edge signals in a mesh network
CN105517294A (zh) 一种物联网智慧路灯系统
KR20130142612A (ko) 무선 메쉬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로등 제어 시스템
KR101036582B1 (ko)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태양광 가로등 관리시스템
US20110062787A1 (en) Intelligent Solar Energy Collection System
WO2018168848A1 (ja) センサ装置および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RU2012132492A (ru) Система для распределения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и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KR20120081775A (ko) 저전력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led 조명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04619079A (zh) 一种led照明灯自组网控制系统
JP2014124081A (ja) 外部給電機能付照明装置
JP7166520B2 (ja) 太陽光発電モニタリングのためのIoT制御及び街路灯点灯制御システム
KR101080196B1 (ko) 조명을 이용한 센서 노드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
CN202835138U (zh) 照明装置和照明群组
CN201323678Y (zh) 基于zigbee无线传输技术的大功率LED路灯控制装置
Ramachandran et al.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for monitoring renewable street light system
CN102573200A (zh) 具有供电装置的照明设备、用于照明设备的控制装置以及用于控制照明设备的方法
JP6808973B2 (ja) 発信装置、発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004603B1 (ko) 빛 에너지를 이용한 화재 경보 장치 및 화재 경보 시스템
CN105210450A (zh) 照明系统中的改进及其相关改进
KR101268426B1 (ko) 유에스엔 태양광 가로등의 전력공급 제어장치
US20200096180A1 (en) Luminaire control device with universial power supply
JP6303062B1 (ja) センサ装置
KR20110119027A (ko) 발전 시스템을 갖는 등기구를 포함하는 복합 전력망 시스템
CN205596415U (zh) 一种采用分布式电源的室内照明检测与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