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8426B1 - 유에스엔 태양광 가로등의 전력공급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유에스엔 태양광 가로등의 전력공급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8426B1
KR101268426B1 KR1020120008882A KR20120008882A KR101268426B1 KR 101268426 B1 KR101268426 B1 KR 101268426B1 KR 1020120008882 A KR1020120008882 A KR 1020120008882A KR 20120008882 A KR20120008882 A KR 20120008882A KR 101268426 B1 KR101268426 B1 KR 101268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olar cell
lamp
street light
relay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8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중재
박행원
Original Assignee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중재
주식회사 에스엘엘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중재, 주식회사 에스엘엘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08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4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라셀의 전력공급량과 센서 MAC 프로토콜의 액티브 모드 및 슬립 모드를 고려하여 태양광 가로등 센서노드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USN 태양광 가로등의 전력공급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솔라셀부; 솔라셀부의 출력전압을 감지하는 전압 감지부; 솔라셀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충전되는 재충전 배터리부; 전원을 공급받아서 발광하는 램프;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인접한 다른 가로등의 통신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통신부와 램프의 구동상태에 따른 액티브 모드 또는 슬립 모드를 판단하여 각각의 상태신호를 릴레이 회로부에 전달하는 제어부; 및 전압 감지부에서 감지된 솔라셀부의 출력전압과 상기 제어부의 상태신호에 따라 솔라셀부 또는 재충전 배터리부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전력공급원을 결정하여 통신부 또는 램프에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릴레이 회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에스엔 태양광 가로등의 전력공급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ENERGY SUPPLY OF UBIQUITOUS SENSOR NETWORK SOLAR CELL STREET LIGHT}
본 발명은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태양광 가로등의 전력공급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솔라셀의 전력공급량과 센서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로토콜의 액티브(Active) 모드 및 슬립(Sleep) 모드를 고려하여 태양광 가로등 센서노드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USN 태양광 가로등의 전력공급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로등은 교통의 안전과 보행자에 대한 범죄 예방의 보안을 위하여 가로를 따라서 소정 거리를 간격으로 설치된 조명시설을 말한다. 여기서 가로라 함은 차량용 도로는 물론 보행자용 통행로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가로등은 가로 주변을 밝히기 위한 조명만을 지칭하기도 하나 상기 조명을 고정하기 위한 가로등 전주(이하에서는 가로용 폴(pole)이라고도 함)를 포함하여 가로등이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가로등은 고속도로, 시가지의 주요 도로, 상업지구 도로, 및 주택지구 도로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고 있으며, 그에 알맞은 다양한 종류의 가로등이 사용되고 있다. 즉, 자동차 또는 사람이 통행하는 길에는 가로를 밝혀주기 위한 가로등이 필수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가로등의 광원으로는 고압 수은등, 형광등, 나트륨 등, 및 보통의 전구 등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하여 전력소모가 적고 광효율이 높은 LED 램프가 사용되고 있으며, 더욱이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가로등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지역적으로 넓게 분포되어 설치되는 여러개의 태양광 가로등을 관리자가 원격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을 이용한 태양광 가로등 관리 시스템도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1352호(2009.03.25)에는, 각기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솔라 가로등 시스템이 이벤트 발생을 유비쿼터스 망을 통해 관리 단말로 알리고, 이벤트 신호에 위치별 고장 정보 및 솔라 가로등 시스템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 관리자가 용이하게 솔라 가로등 시스템을 유지 보수할 수 있으며, 관리자가 원격지에서 유비쿼터스 망을 통해 각 솔라 가로등 시스템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를 통한 솔라 가로등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유비쿼터스를 통해 솔라 가로등 관리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기술에 따른 솔라 가로등 시스템(100)은, 다수의 솔라 가로등 시스템(100)이 각기 설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각 솔라 가로등 시스템(100)이 태양광을 집광하여 조명 램프(140)의 구동 전원으로 사용하므로, 각기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솔라 가로등 시스템(100)은 유비쿼터스(Ubiquitous) 망을 통해 신호를 교환할 수 있으며, 각 솔라가로등 시스템(100)을 중앙에서 관리하는 관리소에 위치하는 관리 단말은 유비쿼터스 망을 통해 신호를 교환할 수 있는 근거리에 위치하는 솔라 가로등 시스템(100)과 신호를 교환한다. 이때, 솔라 가로등 시스템(100)은 고장 발생 신호를 유니쿼터스 망을 통해 관리 단말(200)로 전송하고, 관리 단말(200)은 관리자가 설정하는 제어 신호를 유비쿼터스 망을 통해 해당 솔라 가로등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USN의 기술발전으로 인하여 군사, 과학, 공공사업, 산업현장 등에 해당 기술의 적용이 점점 확대되고 있으나, 센서노드의 전력 공급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USN을 실용화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산업현장에서 건물 외부나 규모가 큰 기계 및 장비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노드들의 전력을 공급하고 관리하는 문제는 간단하지가 않다. 즉, 배선 작업의 까다로움은 물론 전력소모에 따른 배터리를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센서노드 혹은 센서네트워크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물리계층, MAC 계층, 네트워크 계층에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1352호(2009.03.25)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솔라셀의 전력 공급량과 센서 MAC 프로토콜의 액티브 모드 및 슬립 모드를 고려하여 입력 전원을 스위칭시킴으로써 태양광 가로등 센서노드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USN 태양광 가로등의 전력공급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다수의 태양광 가로등의 점등 상태를 USN 통신으로 연계하여 제어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면서 도로를 효과적으로 조명할 수 있도록 하는 USN 태양광 가로등의 전력공급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솔라셀부; 상기 솔라셀부의 출력전압을 감지하는 전압 감지부; 상기 솔라셀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충전되는 재충전 배터리부; 상기 전원을 공급받아서 발광하는 램프; 상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인접한 다른 가로등의 통신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와 램프의 구동상태에 따른 액티브(Active)모드 또는 슬립(Sleep)모드를 판단하여 각각의 상태신호를 릴레이 회로부에 전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압 감지부에서 감지된 솔라셀부의 출력전압과 상기 제어부의 상태(Sleep/Active)신호에 따라 상기 솔라셀부 또는 재충전 배터리부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전력공급원을 결정하여 상기 통신부 또는 램프에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릴레이 회로부를 포함하는 USN 태양광 가로등의 전력공급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릴레이 회로부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 상기 A/D변환부로부터 변환된 디지털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부와 램프의 구동상태에 따른 액티브모드 또는 슬립모드를 판단하여 각각의 상태신호를 릴레이 회로부에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램프의 점등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터; 및 상기 카운터에서 카운트된 램프의 점등시간 및 상기 통신부의 송수신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릴레이 회로부는; 상기 솔라셀부의 출력전압이 기준전압 이상이고, 상기 제어부의 상태신호가 액티브모드일 경우, 상기 솔라셀부의 출력전압을 상기 램프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릴레이 회로부는; 상기 솔라셀부의 출력전압이 기준전압 이상이고, 상기 제어부의 상태신호가 슬립모드일 경우, 상기 솔라셀부의 출력전압을 상기 재충전 배터리부에 공급하여 충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재충전 배터리부에 충전된 전압을 상기 통신부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릴레이 회로부는; 상기 솔라셀부의 출력전압이 기준전압 미만이고, 상기 제어부의 상태신호가 액티브모드일 경우, 상기 재충전 배터리부에 충전된 전압을 상기 램프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릴레이 회로부는; 상기 솔라셀부의 출력전압이 기준전압 미만이고, 상기 제어부의 상태신호가 슬립모드일 경우, 상기 재충전 배터리부에 충전된 전압을 상기 통신부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USN 태양광 가로등의 전력공급 제어장치에 의하면, 솔라셀의 전력 공급량과 센서 MAC 프로토콜의 액티브 모드 및 슬립 모드를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입력 전원을 스위칭하여 태양광 가로등 센서노드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태양광 가로등의 점등 상태를 USN을 통하여 연계하여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이동속도와 거리를 판단하여 차량이 특정 가로등을 지나가는 시점을 예측하여 해당 가로등과 인접한 가로등 그룹의 램프를 함께 점등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면서 도로를 더욱 효과적으로 조명할 수 있다.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유비쿼터스를 통해 솔라 가로등 관리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USN 태양광 가로등의 전력공급 제어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제어부를 더욱 상세히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4는 도 2의 솔라셀의 출력전압이 기준전압 이상이고, 센서노드가 액티브 모드인 경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5는 도 2의 솔라셀의 출력전압이 기준전압 이상이고, 센서노드가 슬립 모드인 경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6은 도 2의 솔라셀의 출력전압이 기준전압 미만이고, 센서노드가 액티브 모드인 경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7은 도 2의 솔라셀의 출력전압이 기준전압 미만이고, 센서노드가 슬립 모드인 경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인접 가로등과의 USN 연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USN 태양광 가로등의 전력공급 제어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솔라셀부(300); 상기 솔라셀부(300)의 출력전압을 감지하는 전압 감지부(310); 상기 솔라셀부(300)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충전되는 재충전 배터리부(320); 상기 전원을 공급받아서 발광하는 램프(360); 상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인접한 다른 가로등의 통신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340); 상기 통신부(340)와 램프(360)의 구동상태에 따른 액티브(Active)모드 또는 슬립(Sleep)모드를 판단하여 각각의 상태신호를 릴레이 회로부(330)에 전달하는 제어부(350); 및 상기 전압 감지부(310)에서 감지된 솔라셀부(300)의 출력전압과 상기 제어부(350)의 상태(Sleep/Active)신호에 따라 상기 솔라셀부(300) 또는 재충전 배터리부(320)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전력공급원을 결정하여 상기 통신부(340) 또는 램프(360)에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릴레이 회로부(330)를 포함한다.
보통 태양광 가로등은 3(A/h)의 전류가 소모되는데, 예컨대 하루에 8시간 정도 발광한다고 하면 24(A)의 전류가 소모되고, 24(A)의 전류 공급을 위해서는 축전지(14)(12V 전압을 유지하는 경우)가 288(W)의 전력 공급이 있어야 가능하므로, 하루에 8시간 정도의 램프 발광을 위해서는 288(W) 정도의 많은 전력 공급이 있어야 한다. 상기 솔라셀부(300)는 여러 태양전지를 직,병렬로 연결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장치로서, 셀은 전기를 일으키는 최소 단위이며, 모듈은 전기를 꺼내는 최소 단위이고 일반적으로 현관문의 반만한 크기로 제작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램프(160)의 점등시간을 특정 조건별로 제어하여 차량이 통과하지 않는 시간에는 조명을 소등시켜 불필요한 하여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350)는 차량이 통과하는 시점에는 램프(360)를 점등하여 액티브(Active)모드로 동작시키고, 차량이 없는 시점에는 램프(360)를 소등하고 통신부(340)만 대기상태로 유지하는 슬립(Sleep)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솔라셀부(300)는 햇빛이 충분할 경우 재충전 배터리부(320), 통신부(340), 램프(360)에 전력을 공급하며, 릴레이 회로부(330)는 상기 전압 감지부(310)에서 감지된 솔라셀부(300)의 출력전압과 상기 제어부(350)의 상태(Sleep/Active)신호에 따라 상기 솔라셀부(300) 또는 재충전 배터리부(320)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전력공급원을 결정하여 상기 통신부(340) 또는 램프(360)에 선택적으로 스위칭한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를 더욱 상세히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릴레이 회로부(33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351); 상기 A/D변환부(351)로부터 변환된 디지털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부(340)와 램프(360)의 구동상태에 따른 액티브(Active)모드 또는 슬립(Sleep)모드를 판단하여 각각의 상태신호를 릴레이 회로부(330)에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52; 상기 램프(360)의 점등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터(354); 및 상기 카운터(354)에서 카운트된 램프(360)의 점등시간 및 상기 통신부(340)의 송수신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353)를 포함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60)는 통상의 연산, 처리, 판단 기능을 갖는 CPU 또는 MPU가 사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60)는 액티브(Active)모드 일 경우 하이(high)신호를, 슬립(Sleep)모드 일 경우 로우(Low)신호를 상기 릴레이 회로부(330)로 보내 적절하게 전력공급원을 스위칭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도 2의 솔라셀의 출력전압이 기준전압 이상이고, 센서노드가 액티브 모드인 경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릴레이 회로부(330)는, 상기 솔라셀부(300)의 출력전압이 기준전압 이상이고, 상기 제어부(350)의 상태신호가 액티브모드일 경우, 상기 솔라셀부(300)의 출력전압을 상기 램프(36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솔라셀부(300)에 햇빛이 충분히 공급되어 충분한 전력이 생산되므로, 상기 램프(360)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잉여 전력은 재충전 배터리부(20)에 공급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솔라셀의 출력전압이 기준전압 이상이고, 센서노드가 슬립 모드인 경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릴레이 회로부(330)는, 상기 솔라셀부(300)의 출력전압이 기준전압 이상이고, 상기 제어부(350)의 상태신호가 슬립모드일 경우, 상기 솔라셀부(300)의 출력전압을 상기 재충전 배터리부(320)에 공급하여 충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재충전 배터리부(320)에 충전된 전압을 상기 통신부(340)에 공급할 수 있다.
슬립모드에서는 램프(360)를 소등하고 통신부(340)만 대기상태로 유지하므로 저전력으로 운영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솔라셀의 출력전압이 기준전압 미만이고, 센서노드가 액티브 모드인 경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릴레이 회로부(330)는, 상기 솔라셀부(300)의 출력전압이 기준전압 미만이고, 상기 제어부(350)의 상태신호가 액티브모드일 경우, 상기 재충전 배터리부(320)에 충전된 전압을 상기 램프(36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솔라셀부(300)의 출력전압이 기준전압 미만이므로, 상기 재충전 배터리부(320)에는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도 7은 도 2의 솔라셀의 출력전압이 기준전압 미만이고, 센서노드가 슬립 모드인 경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릴레이 회로부(330)는, 상기 솔라셀부(300)의 출력전압이 기준전압 미만이고, 상기 제어부(350)의 상태신호가 슬립모드일 경우, 상기 재충전 배터리부(320)에 충전된 전압을 상기 통신부(364)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에도, 상기 솔라셀부(300)의 출력전압이 기준전압 미만이므로, 상기 재충전 배터리부(320)에는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슬립모드에서는 램프(360)를 소등하고 통신부(340)만 대기상태로 유지하므로 저전력으로 운영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인접 가로등과의 USN 연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통신부(340)는 메모리(353)에 저장된 데이터, 즉 램프(360)의 점등시간 및 제어부(350)에 의하여 제어되는 각종 데이터를 인접한 다른 가로등의 통신부와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40)는 통상의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통신부(340)를 통하여 송수신된 인접한 다른 가로등의 출력을 받아서 램프의 점등시간 및 유지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램프(360)의 공급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각각의 가로등의 고유번호와 인접한 가로등 간의 간격 거리를 각각의 메모리(353)에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통신부(340)를 통하여 송수신된 인접한 다른 가로등의 출력을 상호 연계하여 상기 램프(360)의 점등시간 및 유지시간을 계산하고 인접한 가로등을 그룹별로 묶어서 상기 램프(360)의 공급전원을 함께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다수의 가로등의 램프(360)를 그룹화하여 함께 점등 제어할 경우 차량의 조명 범위를 넓힐 수 있고, 차량의 통과하는 구간별로 조명 제어를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고,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포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권리범위 내에 있게 된다.
300 : 솔라셀부 310 : 전압감지부
320 : 재충전 배터리부 330 : 릴레이 회로부
340 : 통신부 350 : 제어부
351 : A/D변환부 352 : 마이크로 프로세서
353 : 메모리 354 : 타이머
360 : 램프

Claims (6)

  1.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솔라셀부;
    상기 솔라셀부의 출력전압을 감지하는 전압 감지부;
    상기 솔라셀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충전되는 재충전 배터리부;
    상기 전원을 공급받아서 발광하는 램프;
    상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인접한 다른 가로등의 통신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와 램프의 구동상태에 따른 액티브(Active)모드 또는 슬립(Sleep)모드를 판단하여 각각의 상태신호를 릴레이 회로부에 전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압 감지부에서 감지된 솔라셀부의 출력전압과 상기 제어부의 상태(Sleep/Active)신호에 따라 상기 솔라셀부 또는 재충전 배터리부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전력공급원을 결정하여 상기 통신부 또는 램프에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릴레이 회로부;를 포함하는 USN 태양광 가로등의 전력공급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릴레이 회로부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
    상기 A/D변환부로부터 변환된 디지털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부와 램프의 구동상태에 따른 액티브모드 또는 슬립모드를 판단하여 각각의 상태신호를 릴레이 회로부에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램프의 점등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터; 및
    상기 카운터에서 카운트된 램프의 점등시간 및 상기 통신부의 송수신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 태양광 가로등의 전력공급 제어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회로부는;
    상기 솔라셀부의 출력전압이 기준전압 이상이고, 상기 제어부의 상태신호가 액티브모드일 경우,
    상기 솔라셀부의 출력전압을 상기 램프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 태양광 가로등의 전력공급 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회로부는;
    상기 솔라셀부의 출력전압이 기준전압 이상이고, 상기 제어부의 상태신호가 슬립모드일 경우,
    상기 솔라셀부의 출력전압을 상기 재충전 배터리부에 공급하여 충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재충전 배터리부에 충전된 전압을 상기 통신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 태양광 가로등의 전력공급 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회로부는;
    상기 솔라셀부의 출력전압이 기준전압 미만이고, 상기 제어부의 상태신호가 액티브모드일 경우,
    상기 재충전 배터리부에 충전된 전압을 상기 램프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 태양광 가로등의 전력공급 제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회로부는;
    상기 솔라셀부의 출력전압이 기준전압 미만이고, 상기 제어부의 상태신호가 슬립모드일 경우,
    상기 재충전 배터리부에 충전된 전압을 상기 통신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N 태양광 가로등의 전력공급 제어장치.
KR1020120008882A 2012-01-30 2012-01-30 유에스엔 태양광 가로등의 전력공급 제어장치 KR101268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882A KR101268426B1 (ko) 2012-01-30 2012-01-30 유에스엔 태양광 가로등의 전력공급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882A KR101268426B1 (ko) 2012-01-30 2012-01-30 유에스엔 태양광 가로등의 전력공급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8426B1 true KR101268426B1 (ko) 2013-07-04

Family

ID=48996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8882A KR101268426B1 (ko) 2012-01-30 2012-01-30 유에스엔 태양광 가로등의 전력공급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4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323B1 (ko) * 2015-07-09 2017-07-07 주식회사 위즈노바 적응형 가로등 조도 제어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1803A (ko) * 2005-11-29 2006-02-03 추건국 엘이디 태양광 조명 시스템 및 이의 점등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1803A (ko) * 2005-11-29 2006-02-03 추건국 엘이디 태양광 조명 시스템 및 이의 점등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323B1 (ko) * 2015-07-09 2017-07-07 주식회사 위즈노바 적응형 가로등 조도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423B1 (ko) 태양광 가로등의 점등제어장치
KR101863838B1 (ko) 지능형 도로조명 및 디밍관리 시스템
Leccese et al. Intelligent wireless street lighting system
US9210759B2 (en) Luminaire with ambient sensing and autonomous control capabilities
CN204442798U (zh) 一种受云端控制的智能化路灯监控系统
KR101829040B1 (ko) 모듈형 시설장치에 부착된 모듈형 기기들을 원격으로 진단 제어하는 지능형 시스템
Parekar et al. An intelligent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of street light using GSM technology
WO2013019135A2 (en) Multisensor intelligent street light with complete system
Khalil et al. Intelligent street light system in context of smart grid
KR101279166B1 (ko) 유에스엔 태양광 가로등의 점등제어장치
CN103763821A (zh) 一种led路灯远程监控系统
CN104619079A (zh) 一种led照明灯自组网控制系统
JP7166520B2 (ja) 太陽光発電モニタリングのためのIoT制御及び街路灯点灯制御システム
CN102236345A (zh) 城市路led灯无线分组远程监控系统
KR101374830B1 (ko) 센서노드의 전력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268426B1 (ko) 유에스엔 태양광 가로등의 전력공급 제어장치
KR100690448B1 (ko) 유 무선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한 가로등 전력제어 시스템
Abhishek et al. Design of smart street lighting system
CN203492225U (zh) 照明电路控制系统
KR102239580B1 (ko) 재난대응형 지능형 무선태양광조명등 관제 시스템
KR101398646B1 (ko)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 절전형 보안등 시스템
KR20120025936A (ko) 무선센서네트워크 기반 조명시스템 및 조명제어방법
US11149926B2 (en) Luminaire control device with universal power supply
KR20140130606A (ko) 외부제어모듈 착탈형 가로등 제어장치
CN203671453U (zh) 分布式太阳能离/并网电源路灯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