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109B1 - 트랙터용 써래장치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써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109B1
KR101080109B1 KR1020090004078A KR20090004078A KR101080109B1 KR 101080109 B1 KR101080109 B1 KR 101080109B1 KR 1020090004078 A KR1020090004078 A KR 1020090004078A KR 20090004078 A KR20090004078 A KR 20090004078A KR 101080109 B1 KR101080109 B1 KR 101080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mechanism
pair
tractor
harrow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4761A (ko
Inventor
박기혁
Original Assignee
박기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혁 filed Critical 박기혁
Priority to KR1020090004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109B1/ko
Publication of KR20100084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9/00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 A01B19/02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with tools rigidly or elastically attached to a tool-fram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02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 A01B35/04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drawn by animal or tractor or man-pow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14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drawn by animals or tractors
    • A01B63/24Tools or tool-holders adjustable relatively to the frame
    • A01B63/245Tools or tool-holders adjustable relatively to the frame laterally adjustab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을 통하여 무논의 가장자리가 곡선인 경우에도 무논의 가장자리를 무너뜨리지 않고, 그 내부까지 쉽고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이 향상될 수 있는 트랙터용 써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트랙터의 후방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각각의 일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실린더기구 및 상기 실린더기구의 좌우에 배치되는 한 쌍의 회동암과, 상기 실린더 기구 및 한 쌍의 회동암 각각의 타단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기구의 작동에 따라 승강하되 하강시 무논의 지면과 접촉하여 정지(整地)작업을 수행하는 써래판을 포함하는 트랙터용 써래장치에 있어서, 상기 써래판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좌우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기구 및 한 쌍의 회동암 각각의 양단이 좌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써래, 트랙터, 로터베이터, 경작, 선회

Description

트랙터용 써래장치{HARROW APPARATUS FOR TRACTOR}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을 통하여 무논의 가장자리가 곡선인 경우에도 무논의 가장자리를 무너뜨리지 않고, 그 내부까지 쉽고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이 향상될 수 있는 트랙터용 써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써래장치는 써래판을 지면에 접촉시켜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도록 하면서 토양을 평평하게 고르는 장치로, 유압실린더에 의해 지면에서 상하방향으로 들어올려져 작업과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트랙터용 써래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터(1)의 후방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과, 각각의 일단이 상기 지지프레임(2)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실린더기구(3) 및 상기 실린더기구(3)의 좌우에 배치되는 한 쌍의 회동암(4)과, 상기 실린더 기구(3) 및 한 쌍의 회동암(4) 각각의 타단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기구(3)의 작동에 따라 승강하되 하강시 무논의 지면과 접촉하여 정지(整地)작업을 수행하는 써래판(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써래판(5)의 정지작업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서브 써래판(6)이 구비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트랙터용 써래장치는, 무논의 정지작업을 수행할 때는 써래판(5)을 하강시키고, 이동 운전할 때는 써래판(5)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상기 써래판(5)이 지면에 대하여 상하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뿐이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의 가장자리가 언제나 직선일 수 없고, 대부분이 곡선인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지면의 가장자리 부근은 둔덕이 쌓여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지면의 가장자리 부근에서는 가장자리가 튀어나온 부분에 맞추어 써래판(5)의 좌 또는 우단이 올 수 있도록 운전에 신경을 써야한다. 이때, 작업자가 잘못하여 써래판(5)의 좌 또는 우단이 지면의 가장자리의 곡선보다 더 깊이 가도록 운전하면, 써래판(4)에 의해 둔덕이 무너지는 문제가 있다. 반대의 경우에는 지면의 가장자리 부근의 정지작업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을 통하여 무논의 가장자리가 곡선인 경우에도 무논의 가장자리를 무너뜨리지 않고, 그 내부까지 쉽고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이 향상될 수 있는 트랙터용 써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트랙터용 써래장치는, 트랙터의 후방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각각의 일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실린더기구 및 상기 실린더기구의 좌우에 배치되는 한 쌍의 회동암과, 상기 실린더 기구 및 한 쌍의 회동암 각각의 타단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기구의 작동에 따라 승강하되 하강시 무논의 지면과 접촉하여 정지(整地)작업을 수행하는 써래판을 포함하는 트랙터용 써래장치에 있어서, 상기 써래판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좌우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기구 및 한 쌍의 회동암 각각의 양단이 좌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기구 및 한 쌍의 회동암 각각의 양단이 상하 및 좌우로 회동할 수 있도록 유니버셜 조인트로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기구 및 한 쌍의 회동암 각각의 일단은 유니버셜 조인트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기구 및 한 쌍의 회동암 각각의 타단은 상기 써래판의 브라켓에 형성된 장공에 슬라이딩 및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각의 일단이 상기 실린더기구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이 상기 한 쌍의 회동암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링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써래판의 좌우 회동각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가이드봉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링에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봉의 슬라이딩을 구속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써래장치는, 써래판이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좌우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무논의 가장자리가 곡선인 경우에도 무논의 가장자리를 무너뜨리지 않고, 그 곡선의 내부까지 써래판이 쉽고 용이하게 정지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써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써래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및 5는 도 3의 실시예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써래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의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트랙터용 써래장치는, 도 3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터(10)의 후방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00),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설치 및 연결되는 실린더기구(200), 회동암(300) 및 써래판(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지프레임(100)은 도 3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각종 구성요소와 결합되어 지지하는 구조물로서, 소정의 형상을 가지고, 트랙터(10)의 후방에 설치된다. 지지프레임(100)의 재질은 강철 재질로 제작됨이 일반적이며, 트랙터(10)의 후방 횡축 또는 트랙터(10)의 후방에 설치되는 로터베이터(20)의 상단 횡축에 결합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100)은 트랙터(10)의 전방 이동과 함께 후술할 써래판(400)을 무논의 지면에 하강시킨채 정지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트랙터(10)와 써래판(400)을 연결 및 지지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트랙터(10)의 후방에 설치되는 위치나 써래판(400)의 형상 등 각종 구성요소와 트랙터(10)와의 결합 및 연결관계에 따라 그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실린더기구(200) 및 한 쌍의 회동암(300)은 도 3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00)과 후술할 써래판(400)을 연결하고, 써래판(400)을 지지프레임(100)에 대하여 상하 또는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작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 이다. 즉, 실린더기구(200) 및 한 쌍의 회동암(300)은 각각의 일단이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회동암(300)은 상기 실린더기구(200)의 좌우에 대칭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기구(200) 및 한 쌍의 회동암(300)은 후술할 써래판(400)에 각각의 타단이 상하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기구(200)의 작동에 따라 써래판(400)을 승강시킨다. 상기 실린더기구(200)는 일반적인 유압실린더이다.
써래판(400)은 상기 실린더기구(200) 및 한 쌍의 회동암(300)의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강시 무논의 지면과 접촉하여 정지작업을 수행한다. 써래판(400)은 무논의 정지 작업시 무논의 물이 잘 빠지고, 좌측 또는 우측으로 무논의 물이 쏠리지 않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된다. 그러나, 써래판(400)의 가장 중요한 역할인 무논의 지면과 접촉하여 정지작업을 수행하고, 가능한 넓은 면적을 포괄하기 위하여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블럭 또는 판상 형상으로 제작할 수 밖에 없다. 이때, 종래에는 단순히 써래판(400)의 좌우단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서브 써래판과 같은 여분의 써래판을 덧되기만 하였고, 결정된 써래판(400)의 좌우단의 길이만큼 무논의 정지작업을 수행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지면의 가장자리 부근에 써래판(400)의 좌우단이 맞닿도록 대어야 하지만, 지면의 가장자리 즉 둔덕이 트랙터(10)의 진행방향에 언제나 곧은 직선일 수 없고, 대부분이 곡선인 경우가 많아 종래의 트랙터용 써래장치로는 정지작업의 능률이 매우 떨어진다.
상기 문제로부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무논의 가장자리 즉 둔덕 부근이 곡선인 경우에도 쉽게 정지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써래판(400)의 좌우 이동이 용이 하도록 개선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도 3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써래판(400)이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대하여 좌우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기구(200) 및 한 쌍의 회동암(300) 각각의 양단이 좌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써래판(400)의 좌우단 중 어느 일단이 지면의 가장자리 둔덕에 닿는 경우 타단 방향으로 회동하여 지면의 가장자리 둔덕을 따라 정지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써래판(400)의 좌우단 중 어느 일단이 둔덕에 접촉하여 용이하게 타단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선단부에 라운드(round)를 형성하거나 소정의 각도를 주어 둔덕을 따라 타단 방향으로 밀릴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트랙터용 써래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기구(200) 및 한 쌍의 회동암(300) 각각의 양단은 써래판(400)을 상하로 회동시켜 승강되도록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야 하고, 특히 써래판(400)의 좌우 회동을 위하여 좌우 회동 가능하게도 설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하 및 좌우 회동을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 기구(200) 및 한 쌍의 회동암(300) 각각의 양단에 유니버셜 조인트(500)를 각각 연결 설치하는 것이다. 유니버셜 조인트(500)는 십자 형상의 연결 조인트로서, 부재와 부재 간의 회전 자유도를 다방향으로 보장하는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버셜 조인트(500) 대신에 상기 실린더기구(200) 및 한 쌍의 회동암(300) 각각의 타단에 회전축(420)을 연결하고, 상기 회전축(420)에 의해 각각의 타단이 상하 회동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회전축(420)을 써래판(400)의 브라켓(410)에 형성된 장공(415)에 슬라이 딩 및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장공(415)의 천공된 길이만큼 회전축(420)이 좌우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써래판(400)은 상기 장공(415)의 길이만큼 좌우로 회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써래판(400)의 좌우 회동시 써래판(400)의 지면에 대한 수직 및 수평 평형도를 보다 확실하게 보장하기 위하여, 도 3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봉(600) 및 가이드링(350)을 설치하는 것이다. 즉, 가이드봉(600)은 한 쌍이 구비되어 각각의 일단이 상기 실린더기구(200)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이 상기 한 쌍이 회동암(300)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링(35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써래판(400)의 좌우 회동을 고정시켜 주지 않으면, 작업시에는 물론 작업 후 이동 운전시에 써래판(400)이 임의적으로 좌우로 회동하여 지나가는 사람 또는 다른 차량에 피해를 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써래판(400)의 좌우 회동각을 제한하도록 스톱퍼(700)를 설치하는 것이다. 즉, 스톱퍼(700)는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봉(6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링(350)에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봉(600)의 슬라이딩을 구속한다. 즉, 가이드봉(600)의 타단은 회동암(30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가이드봉(600)의 슬라이딩이 구속되면, 회동암(300)의 회동 역시 구속되고, 그에 따라 회동암(300)의 회동과 함께 좌우 회동하는 써래판(400)의 좌우 회동 역시 구속되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 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트랙터용 써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써래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및 5는 도 3의 실시예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써래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의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트랙터
100 : 지지프레임
200 : 실린더기구
300 : 한 쌍의 회동암 350 : 가이드링
400 : 써래판
410 : 브라켓 415 : 장공
420 : 회전축
500 : 유니버셜 조인트
600 : 가이드봉
700 : 스톱퍼

Claims (5)

  1. 트랙터의 후방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각각의 일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실린더기구 및 상기 실린더기구의 좌우에 배치되는 한 쌍의 회동암과, 상기 실린더 기구 및 한 쌍의 회동암 각각의 타단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기구의 작동에 따라 승강하되 하강시 무논의 지면과 접촉하여 정지(整地)작업을 수행하는 써래판을 포함하는 트랙터용 써래장치에 있어서,
    상기 써래판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좌우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기구 및 한 쌍의 회동암 각각의 양단이 좌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각각의 일단이 상기 실린더기구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이 상기 한 쌍의 회동암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링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기구 및 한 쌍의 회동암 각각의 양단이 상하 및 좌우로 회동할 수 있도록 유니버셜 조인트로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기구 및 한 쌍의 회동암 각각의 일단은 유니버셜 조인트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기구 및 한 쌍의 회동암 각각의 타단은 상기 써래판의 브라켓에 형성된 장공에 슬라이딩 및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래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써래판의 좌우 회동각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가이드봉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링에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봉의 슬라이딩을 구속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래장치.
KR1020090004078A 2009-01-19 2009-01-19 트랙터용 써래장치 KR101080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078A KR101080109B1 (ko) 2009-01-19 2009-01-19 트랙터용 써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078A KR101080109B1 (ko) 2009-01-19 2009-01-19 트랙터용 써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761A KR20100084761A (ko) 2010-07-28
KR101080109B1 true KR101080109B1 (ko) 2011-11-07

Family

ID=42643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078A KR101080109B1 (ko) 2009-01-19 2009-01-19 트랙터용 써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1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922B1 (ko) * 2005-06-13 2007-03-30 김명수 완충기능을 갖는 유동식 트랙터용 써레
KR100742099B1 (ko) * 2006-04-13 2007-07-24 대호 (주) 트랙터용 써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922B1 (ko) * 2005-06-13 2007-03-30 김명수 완충기능을 갖는 유동식 트랙터용 써레
KR100742099B1 (ko) * 2006-04-13 2007-07-24 대호 (주) 트랙터용 써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761A (ko) 201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3401B1 (ko) 로터리용 배토기
KR101080109B1 (ko) 트랙터용 써래장치
JP4023392B2 (ja) ドーザ装置付き油圧ショベル
JP2015504991A (ja) 建設重機用パラレルリンケージタイプの作業装置
US9027264B2 (en) Ditch digger
CA2850643A1 (en) A support apparatus for securing a material moving wing plow relative to a vehicle
JPH08331961A (ja) 引きずり式草刈り機
JP2015139413A (ja) 樹木移植機
JP2009221770A (ja) 地盤改良機及び地盤改良方法
CN207314407U (zh) 一种应用于推土机上的铲刀结构
KR102034732B1 (ko) 트랙터용 써레
JP4326454B2 (ja) 杭打機
CN109653278A (zh) 一种土地规划用界桩定位器
KR200357364Y1 (ko) 트랙터용 두둑형성장치
KR20010100076A (ko) 트랙터용 써래
KR100424917B1 (ko) 트랙터용 써레
CN213586841U (zh) 带自动调平和防甩尾机构的履带式旋耕机
JP6481920B2 (ja) クレーンブーム先端の削孔機取り付け装置
KR100874222B1 (ko) 써래장치의 로터베이터 회전축에 대한 선회암과 써래부재의체결구조
KR20110083173A (ko) 트랙터용 써래
JPH052018Y2 (ko)
JP5615598B2 (ja) 杭打機
CN209260791U (zh) 一种具有防护装置的推土机
CN204703210U (zh) 一种新型用于公路施工的平地机刀片
JP2016050426A (ja) 建設機械の排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