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000B1 - 로봇청소기의 먼지통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로봇청소기의 먼지통 장착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80000B1 KR101080000B1 KR1020110032757A KR20110032757A KR101080000B1 KR 101080000 B1 KR101080000 B1 KR 101080000B1 KR 1020110032757 A KR1020110032757 A KR 1020110032757A KR 20110032757 A KR20110032757 A KR 20110032757A KR 101080000 B1 KR101080000 B1 KR 1010800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st
- mounting
- dust container
- magnetic
- magnetic for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6—Control of the cleaning action for autonomous devices; Automatic detection of the surface condition before, during or after 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청소기의 먼지통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먼지통의 장착과 함께 로봇청소기가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로봇청소기의 먼지통 장착구조에 있어서, 먼지통의 장착이 자력장착되게 함과 더불어 자력감지되게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먼지통이 자력장착되고 자력감지되게 함으로써 그 구성이 단순화되고 생산원가가 절감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로봇청소기의 먼지통 장착구조에 있어서, 먼지통의 장착이 자력장착되게 함과 더불어 자력감지되게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먼지통이 자력장착되고 자력감지되게 함으로써 그 구성이 단순화되고 생산원가가 절감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로봇청소기의 먼지통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로봇청소기의 먼지통 장착구조에 있어서, 먼지통의 장착이 자력장착되게 함과 더불어 자력감지되게 구성하여서, 먼지통의 장착과 함께 로봇청소기가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봇청소기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자동으로 청소구역과 같은 작업구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작업을 수행한다.
이상과 같은 로봇청소기는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미리 설정된 작업 경로 또는 최적의 작업 경로를 주행하면서 브러시를 이용하여 먼지를 쓸어 담거나, 진공흡입력에 의하여 먼지를 흡입하여서 구비된 먼지통에 먼지를 저장하여 청소작업을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로봇청소기는 먼지통의 먼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먼지통을 장착 가능하게 구성하여 실시하고 있으며, 먼지통이 장착되면 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구비하여서 먼지통의 장착 유무를 로봇청소기가 인지할 수 있도록 실시하고 있다.
또한, 로봇청소기에는 먼지통의 장착시 이탈되지 않게 먼지통 록킹구를 구비하여서 장착된 먼지통이 이탈되지 않게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로봇청소기는 먼지통의 장착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먼지통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먼지통 록킹수단이 별도 구비되어 있어 그 구조가 복잡하고 생산원가가 고가로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로봇청소기가 먼지통의 장착감지수단과, 먼지통 록킹수단이 별도 구비되어 있어 그 구조가 복잡하고 생산원가가 고가로 형성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로봇청소기의 먼지통 장착구조에 있어서, 먼지통의 장착이 자력장착되게 함과 더불어 자력감지되게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먼지통이 자력장착되고 자력감지되게 함으로써 그 구성이 단순화되고 생산원가가 절감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부분 단면 측면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부분 단면 평면 예시도.
도 4 는 도 3 에 따른 먼지통의 분리상태 부분 단면 평면 예시도.
도 5 는 도 3 에 따른 먼지통의 예시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부분 단면 평면 예시도.
도 7 은 도 6 에 따른 먼지통의 분리상태 부분 단면 평면 예시도.
도 8 은 도 6 에 따른 먼지통의 먼지뚜껑 분리상태 예시 사시도.
도 9 는 도 6 에 따른 먼지통의 먼지뚜껑 결합상태 예시 사시도.
도 10은 도 6 에 따른 상세 측면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요 제어 구성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부분 단면 측면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부분 단면 평면 예시도.
도 4 는 도 3 에 따른 먼지통의 분리상태 부분 단면 평면 예시도.
도 5 는 도 3 에 따른 먼지통의 예시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부분 단면 평면 예시도.
도 7 은 도 6 에 따른 먼지통의 분리상태 부분 단면 평면 예시도.
도 8 은 도 6 에 따른 먼지통의 먼지뚜껑 분리상태 예시 사시도.
도 9 는 도 6 에 따른 먼지통의 먼지뚜껑 결합상태 예시 사시도.
도 10은 도 6 에 따른 상세 측면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요 제어 구성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먼지통의 장착과 감지가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구성을 단순화하며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도 1 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을 위한 구동륜(20)과 먼지의 흡입 청소를 위한 청소부(30)와 흡입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50) 및 구동륜(20)과 청소부(30)의 동작을 제어하는 로봇제어부(40)로 이루어진 로봇청소기에 있어서, 먼지통(50)의 장착 유지 및 장착 감지가 자력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자력장착결속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자력장착감지수단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몸체(10)에 먼지통(50)이 후방에서 서랍 식으로 결합될 수 있게 먼지통 결합부(11)를 형성하고, 상기 먼지통 결합부(11)의 내벽에 먼지통(50)의 결합을 감지하는 장착감지스위치(110)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감지스위치(110)의 일 측에는 결합된 먼지통(50)의 결합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먼지통 자성 결속판(120)을 구비하며, 상기 먼지통 결합부(11)의 내벽에 대응되는 먼지통(50)의 내측 벽에 장착유지자석(210)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장착유지자석(210)에 의하여 먼지통 뚜껑(51)을 자력 결속할 수 있게 장착유지자석(210)이 내측 벽의 상부 측으로 편향되어 구비되게 구비하거나 상부에서 후방을 절곡 연장되게 실시하며, 상기 장착유지자석(210)에 대응되는 먼지통 뚜껑(51)에 뚜껑 자성 결속판(310)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먼지통 뚜껑(51)의 결속을 위한 장착유지자석(210)은 별도 분리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있어서, 도5 내지 도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 유입구(52) 측에 상단이 결속된 자성전달 먼지차단막(410)을 구비하고, 상기 자성전달 먼지차단막(410)이 부분 개방된 위치의 먼지 유입구(52) 측면에 자력이 발생되는 먼지만충자력발생판(420)을 구비하며, 상기 먼지만충자력발생판(420)의 반대 측에 상기 먼지차단막(410)이 먼지통(50)에 먼지가 가득 차 부분 개방되었을 때 먼지차단막(410)을 통하여 전달된 자력을 감지할 수 있게 먼지만충감지센서(43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먼지만충자력발생판(420)은 일단이 장착유지자석(210)이 접속되어 일체로 형성한 것과, 장착유지자석(210)과 분리되어 형성한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로봇청소기에 있어서, 먼지통(50)의 장착 유지 및 장착 감지가 자력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자력장착결속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자력장착감지수단은 로봇몸체(10)에 먼지통(50)이 후방에서 서랍 식으로 결합될 수 있게 먼지통 결합부(11)를 형성하고, 상기 먼지통 결합부(11)의 내벽에 먼지통(50)의 결합을 감지하는 장착감지스위치(110)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감지스위치(110)의 일 측에는 결합된 먼지통(50)의 결합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먼지통 자성 결속판(120)을 구비하며, 상기 먼지통 결합부(11)의 내벽에 대응되는 먼지통(50)의 내측 벽에 장착유지자석(210)을 구비하여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상기 먼지통(50)이 자력장착되고 자력감지되어 로봇 청속기의 구성이 단순화되고 생산원가가 절감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와 같이 먼지 유입구(52) 측에 상단이 결속된 자성전달 먼지차단막(410)을 구비하고, 상기 자성전달 먼지차단막(410)이 부분 개방된 위치의 먼지 유입구(52) 측면에 자력이 발생되는 먼지만충자력발생판(420)을 구비하며, 상기 먼지만충자력발생판(420)의 반대 측에 상기 먼지차단막(410)이 먼지통(50)에 먼지가 가득 차 부분 개방되었을 때 먼지차단막(410)을 통하여 전달된 자력을 감지할 수 있게 먼지만충감지센서(430)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먼지통(50)에 먼지가 가득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차단막(410)이 완전히 닫히지 않은 부분 개방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이때, 먼지차단막(410)의 측면에 구비된 먼지만충자력발생판(420)에 의하여 상기 먼지차단막(410)에 자력이 전달되어서, 먼지만충감지센서(430)에서 감지되게 되어 로봇제어부(40)로 전달되게 되고, 로봇제어부(40)는 도시되지 않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도시하여 사용자가 먼지통(50)을 비워 효율적인 청소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10 : 로봇몸체 11 : 먼지통 결합부
20 : 구동륜
30 : 청소부 40 : 로봇제어부
50 : 먼지통 51 : 먼지통 뚜껑
52 : 먼지 유입구
110 : 장착감지스위치
120 : 먼지통 자성 결속판
210 : 장착유지자석
310 : 뚜껑 자성 결속판
410 : 먼지차단막
420 : 먼지만충자력발생판
430 : 먼지만충감지센서
20 : 구동륜
30 : 청소부 40 : 로봇제어부
50 : 먼지통 51 : 먼지통 뚜껑
52 : 먼지 유입구
110 : 장착감지스위치
120 : 먼지통 자성 결속판
210 : 장착유지자석
310 : 뚜껑 자성 결속판
410 : 먼지차단막
420 : 먼지만충자력발생판
430 : 먼지만충감지센서
Claims (4)
- 주행을 위한 구동륜(20)과 먼지의 흡입 청소를 위한 청소부(30)와 흡입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50) 및 구동륜(20)과 청소부(30)의 동작을 제어하는 로봇제어부(40)로 이루어진 로봇청소기에 있어서;
먼지통(50)의 장착 유지 및 장착 감지가 자력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자력장착결속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자력장착감지수단은 로봇몸체(10)에 먼지통(50)이 후방에서 서랍 식으로 결합될 수 있게 먼지통 결합부(11)를 형성하고, 상기 먼지통 결합부(11)의 내벽에 먼지통(50)의 결합을 감지하는 장착감지스위치(110)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감지스위치(110)의 일 측에는 결합된 먼지통(50)의 결합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먼지통 자성 결속판(120)을 구비하며, 상기 먼지통 결합부(11)의 내벽에 대응되는 먼지통(50)의 내측 벽에 장착유지자석(210)을 구비하여 구성하며,
상기 장착유지자석(210)에 의하여 먼지통 뚜껑(51)을 자력 결속할 수 있게 장착유지자석(210)이 내측 벽의 상부 측으로 편향되어 구비되게 하고, 상기 장착유지자석(210)에 대응되는 먼지통 뚜껑(51)에 뚜껑 자성 결속판(31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의 먼지통 장착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먼지 유입구(52) 측에 상단이 결속된 자성전달 먼지차단막(410)을 구비하고, 상기 자성전달 먼지차단막(410)이 부분 개방된 위치의 먼지 유입구(52) 측면에 자력이 발생되는 먼지만충자력발생판(420)을 구비하며, 상기 먼지만충자력발생판(420)의 반대 측에 상기 먼지차단막(410)이 먼지통(50)에 먼지가 가득 차 부분 개방되었을 때 먼지차단막(410)을 통하여 전달된 자력을 감지할 수 있게 먼지만충감지센서(430)를 구비하되,
상기 먼지만충자력발생판(420)은 일단이 장착유지자석(210)이 접속되어 일체로 형성한 것과, 장착유지자석(210)과 분리되어 형성한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의 먼지통 장착구조.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2757A KR101080000B1 (ko) | 2011-04-08 | 2011-04-08 | 로봇청소기의 먼지통 장착구조 |
JP2013509013A JP5535400B2 (ja) | 2011-04-08 | 2012-04-09 | ロボット掃除機 |
PCT/KR2012/002686 WO2012138204A2 (ko) | 2011-04-08 | 2012-04-09 | 로봇청소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2757A KR101080000B1 (ko) | 2011-04-08 | 2011-04-08 | 로봇청소기의 먼지통 장착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80000B1 true KR101080000B1 (ko) | 2011-11-04 |
Family
ID=45397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2757A KR101080000B1 (ko) | 2011-04-08 | 2011-04-08 | 로봇청소기의 먼지통 장착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8000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9253B1 (ko) * | 2021-01-30 | 2022-03-14 | 노블웍스 주식회사 | 로봇청소기용 살균 장치 |
-
2011
- 2011-04-08 KR KR1020110032757A patent/KR10108000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9253B1 (ko) * | 2021-01-30 | 2022-03-14 | 노블웍스 주식회사 | 로봇청소기용 살균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874268B2 (en) | Robot cleaner | |
EP2417893B1 (en) | Robot cleaner | |
US20200298415A1 (en) | Autonomous cleaning robot | |
AU2017227351B2 (en) | Vacuum cleaner | |
US9549649B2 (en) | Robot cleaner | |
US8584313B2 (en) | Vacuum cleaner | |
TW202108065A (zh) | 清掃機器人及其維護裝置 | |
JP2007044533A (ja) | ダストタンク分離感知機能を有するロボット掃除機及びその制御方法 | |
ITBS20040028U1 (it) | Apparecchio per formare il vuoto in contenitori per conservare prodotti con vassoio di recupero liquidi separabile e lavabile | |
JP2008155041A (ja) | 自走式掃除機用充電装置 | |
US11219346B2 (en) | Robot cleaner | |
KR101080000B1 (ko) | 로봇청소기의 먼지통 장착구조 | |
JP5535400B2 (ja) | ロボット掃除機 | |
CN101548862B (zh) | 电动吸尘器 | |
KR100849554B1 (ko) | 로봇 청소기의 먼지 비움 시스템 | |
KR102014760B1 (ko) | 진공청소부 분리형 복합 청소기 | |
CN216417088U (zh) | 维护基站及机器人系统 | |
WO2009008799A1 (en) | Vacuum cleaner | |
US20240118708A1 (en) | Cleaner station and cleaner system including the same | |
KR101648485B1 (ko) | 매립형 진공 포장기 | |
KR100947363B1 (ko) | 진공 청소기 | |
KR101025984B1 (ko) | 진공 청소기 | |
JP2005218477A (ja) | 電気掃除機 | |
JP5176931B2 (ja) | 電気掃除機 | |
JP5486982B2 (ja) | 電気掃除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