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9840B1 -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9840B1
KR101079840B1 KR1020100029043A KR20100029043A KR101079840B1 KR 101079840 B1 KR101079840 B1 KR 101079840B1 KR 1020100029043 A KR1020100029043 A KR 1020100029043A KR 20100029043 A KR20100029043 A KR 20100029043A KR 101079840 B1 KR101079840 B1 KR 101079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wall
wiring
utp cable
duc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9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9354A (ko
Inventor
정우진
정갑진
정해웅
임종호
Original Assignee
(주)우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우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00029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9840B1/ko
Publication of KR20110109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87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with a non-circular cross-s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에 관한 것으로, 동주택의 외벽에 UTP 케이블을 외부와 밀폐하도록 배선하여 UTP 케이블에 의한 공동주택의 미관을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공동주택의 외벽에 손상을 주지 않아 공동주택 거주자의 민원을 방지할 수 있으며, UTP 케이블을 공동주택의 각 세대별로 용이하게 분기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는, 내부에 양측이 개방된 배선홀(11)이 형성되어 상기 배선홀에 다수의 UTP 케이블(3)이 배선되며 덮개(13)가 구비된 덕트 본체(10)와; 상기 덕트 본체를 연쇄적으로 이음하는 조인트(15)와; 상기 덕트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UTP 케이블을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 공급하기 위하여 분기하는 모듈러(30)와; 상기 덕트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인장재 배선부(14)에 상기 UTP 케이블과 이격되도록 배선되며 일측 이상이 인장되어 상기 덕트 본체에 상기 공동주택의 외벽을 향하는 압축력이 가해지도록 하여 상기 덕트 본체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인장재(20)와; 상기 덕트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덕트 본체가 상기 공동주택의 외벽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논슬립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UTP CABLE WIRING DUCT FOR OUTER WALL OF APARTMENT}
본 발명은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외벽에 UTP 케이블을 외부와 밀폐되도록 배선할 수 있는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용 케이블로서 이용되는 UTP 케이블(cable)은, 예를 들어 구리 등의 도체를 절연체로 피복하여 구성된 도선들을 나선형으로 꼬아 페어유닛(Pair Unit)을 만들고, 이러한 개개의 페어 유닛들을 복수 개 모아 다시 피복한 형태로 구성된다.
UTP 케이블은 예컨대, LAN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의 구축을 위해 널리 사용되는 비차폐 연선 케이블로서, 절연피복된 두 개의 도선이 서로 나선형으로 꼬인 도선의 페어유닛이 내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UTP 케이블은 최근 ATM 및 Ethernet 등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그 정보 전송능력 증대가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송능력 증대를 구현하는 방향으로 개발 보완되어 왔다.
한편,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은 예를 들어 동 별로 단자함을 설치하여 통신사로부터 회선을 인가받고, 상기 단자함에서 각 동별 세대에 UTP 케이블을 분기함으로써 전화, 인터넷 등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케이블들은 건물 각 층에 공급되기 때문에 정리되지 않을 경우 서로 얽히게 되어 건물 외관을 해치게 되고, 건물저층의 공급에는 별 문제가 없으나 고층의 공급에는 어려움이 있어 설치상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기존 고층건물의 각 층에 새로운 케이블을 배선할 때는 케이블 전체를 옥상으로 이동하여 옥상에서부터 하층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각 층에 케이블을 배선하였고, 또한 지하에 매설되는 케이블을 각 층으로 공급할 때는 케이블의 단부에 노끈을 연결하여 이 노끈을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각 층에 케이블을 배선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케이블 배선방법은 케이블이 정리되지 않아 배선된 여러 가닥의 케이블들이 건물 외벽 여러 곳에 방치되어 건물 외관을 해치게 되고, 케이블들을 고층으로 공급하기가 매우 까다로워 배선공수가 증가되어 배선능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하여 공동주택의 외벽에 손상을 주게 되어 공동주택 거주자의 민원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동주택의 외벽에 UTP 케이블을 외부와 밀폐하도록 배선하여 UTP 케이블에 의한 공동주택의 미관을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공동주택의 외벽에 손상을 주지 않아 공동주택 거주자의 민원을 방지할 수 있으며, UTP 케이블을 공동주택의 각 세대별로 용이하게 분기할 수 있는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는, 내부에 양측이 개방된 배선홀이 형성되어 상기 배선홀에 다수의 UTP 케이블이 배선되며 덮개가 구비된 덕트 본체와; 상기 덕트 본체를 연쇄적으로 이음하는 조인트와; 상기 덕트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UTP 케이블을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 공급하기 위하여 분기하는 모듈러와; 상기 덕트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인장재 배선부에 상기 UTP 케이블과 이격되도록 배선되며 일측 이상이 인장되어 상기 덕트 본체에 상기 공동주택의 외벽을 향하는 압축력이 가해지도록 하여 상기 덕트 본체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인장재와; 상기 덕트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덕트 본체가 상기 공동주택의 외벽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논슬립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에 의하면, 배선용 덕트가 외부 밀폐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배선된 다수의 UTP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공동주택의 수려한 미관을 유지할 수 있고, 논슬립수단인 논슬립 핀과 논슬립패드는 공동주택의 외벽에 손상을 주지 않기 때문에 거주자로부터 민원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인장재를 일측 이상에서 인장하는 작업에 의해 배선용 덕트가 외벽에 지지되어 UTP 케이블의 배선 작업이 매우 용이해지고 작업 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실시예 2,3의 경우 모듈러의 위치를 자유롭게 셋팅하여 세대별 층고가 다른 공동주택에서도 별도의 추가 비용없이 UTP 케이블을 각 세대에 분기 공급할 수 있으므로 UTP 케이블의 배선장치로서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의 설치 상태 측면도와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에 적용된 논슬립수단인 논슬립 핀의 다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에 적용된 다른 논슬립수단인 논슬립패드의 적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의 구성도.
도 9a와 도 9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의 사용 상태도.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100)는, 공동주택 예를 들어 아파트(1)의 외벽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단자함(2)에 연결된 다수의 UTP케이블(이하 '케이블'이라 약칭함)(2)이 외부와 밀폐되도록 배선되고 다수의 케이블(3)을 각각 개별적으로 아파트(1)의 각 세대에 분기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10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도 3과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100)는, 내부에 케이블(3)이 배선되는 덕트 본체(10), 덕트 본체(10)를 아파트(1)(도 1과 도 2 참고)의 외벽에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도면에는 2개로 도시됨)의 인장재(20), 인장재(20)의 인장시 아파트(1)의 외벽에 전방향으로 슬립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덕트 본체(10)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논슬립수단을 포함한다.
덕트 본체(10)는 내부에 중공의 배선홀(11)이 형성된 박스(원형, 삼각, 다각 등)형태이며 최하부와 최상부의 개구부에는 마감캡이 결합되어 밀폐될 수 있다.
덕트 본체(10)는 케이블(3)을 각 세대에 배선하기 위한 모듈러(30)가 일정 높이를 두고 장착된다. 즉, 덕트 본체(10) 내부에 배선된 케이블(3)은 모듈러(30)를 통해 분기되어 각 세대에 공급되는 것이다. 케이블(3)이 모듈러(30)를 통해 덕트 본체(10)의 외부로 인출되는 부분을 통해서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덕트 본체(10)와 케이블(3)에는 방수 조임너트(12)가 적용될 수 있다.
덕트 본체(10)는 케이블(3)을 모듈러(30)를 통해 분기할 수 있도록 덮개(13)가 구비된다. 덮개(13)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모듈러(30)가 배치된 부분에 설치되며 예를 들어 일측이 힌지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식, 요철에 의한 끼움식, 볼트식, 레일에 의한 슬라이드식 등이 가능하다.
덕트 본체(10)는 인장재(20)가 내부에 배선될 때 케이블(3)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별도의 인장재 배선부(14)가 갖추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장재 배선부(14)는 케이블(3)이 덕트 본체(10)의 바닥부(아파트(1)의 외벽에 근접되는 바닥부)에 배선될 때 상기 바닥부보다 높은 블록 형태로 형성되어 인장재(20)와 케이블(3)이 간섭되지 않도록 하며, 또한, 인장재(20)가 이탈하지 않도록 안착홈(14a)이 형성된다.
인장재 배선부(14)는 덕트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덕트 본체(10)와 별개의 단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단품의 경우 덕트 본체(10)의 양측 모서리부에 접착제 등을 통해 고정 또는 체결구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안착홈(14a)은 도면에서 보이는 것처럼, 인장재(20)의 배선을 위하여 일측이 개방되어 있지만, 인장재(20)가 개방부와 반대방향인 아파트(1)의 외벽쪽으로 인장되기 때문에 인장재(20)의 이탈을 막을 수 있다.
덕트 본체(10)는 일정 길이로 제작되어 아파트(1)의 높이에 맞도록 다수개가 연결되어 설치되며, 이는 조인트(15)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조인트(15)는 마주하는 2개의 덕트 본체(10)가 예를 들어 각각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양측 개방형 통구조이며, 덕트 본체(10)와의 결속력을 증대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조임볼트가 적용될 수 있다.
인장재(20)는 신축이 없거나 신축력이 약한 유연성 있는 와이어이며, 덕트 본체(10)의 인장재 배선부(14)의 안착홈(14a)에 안착되며 상하 양측 중 일측 이상을 인장단으로 하여 인장함으로써 덕트 본체(10)가 아파트(1)의 외벽에 고정되도록 한다. 인장단이 일측에 형성되면 타측은 고정단이다.
인장재(20)를 이용하여 덕트 본체(10)를 아파트(1) 외벽에 설치할 때 인장재(20)와 덕트 본체(10)가 분리 상태이면 덕트 본체(10)를 설치할 때 덕트 본체(10)가 하부로 흘러 내려갈 수 있기 때문에 덕트 본체(10)를 잡은 상태에서 인장재(20)를 인장재(20)를 인장하여야 하며,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장재(20)의 일측을 덕트 본체(10)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장재(20)의 고정 방법으로는 인장재(20)의 하단부를 최하단의 덕트 본체(10)에 묶거나 덕트 본체(10) 보다 큰 단면적의 지지판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장재(20)의 인장단은 상단부와 하단부 모두가 가능하며, 예를 들어 인장단을 상단부로 하여 아파트(1)의 옥상에서 인장할 수 있다. 상기 인장단은 유지보수를 위하여 해체가 가능하여야 할 것이며 옥상에 설치된 구조물 예를 들어 앵커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논슬립수단은 다수의 논슬립 핀(40)일 수 있다.
논슬립 핀(40)은 덕트 본체(10)의 일측면(아파트(1)의 외벽과 대응되는 면)에 다수개가 장착되며 인장재(20)의 인장시 아파트(1)의 외벽에 점 형태로 지지됨으로써 덕트 본체(10)를 지지하고 아파트(1)의 외벽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논슬립 핀(40)은 못 등이 사용 가능하다.
논슬립 핀(40)은 덕트 본체(10)의 일측면에 등간격으로 장착될 수도 있고, 다수개를 셋트로 하여 상기 셋트가 일정 간격을 두고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논슬립 핀(40)은 덕트 본체(10)의 일측면에 접착되는 접착패드(41)를 통해 덕트 본체(10)의 일측면에 교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위치의 제한없이 필요한 곳에 장착될 수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논슬립수단의 다른 예로서 논슬립패드(50)가 사용될 수 있다. 논슬립패드(50)는 접착제, 접착시트 등을 통해 덕트 본체(10)의 일측면에 부착되며 논슬립의 특성에 따라 아파트(1)의 외벽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아파트(1)의 외벽에 케이블(3)을 배선할 때, 아파트(1)의 높이에 맞도록 다수의 덕트 본체(10)를 조인트(15)로 연결한다.
덕트 본체(10)의 내부에 케이블(3)을 삽입하여 배선하며, 케이블(3)을 하나 씩을 모듈러(30)를 통해 덕트 본체(10) 외부로 분기한다. 덕트 본체(10)의 덮개(13)를 열어 모듈러(30)를 개방함으로써 케이블(3)의 분기 작업은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덕트 본체(10)의 인장재 배선부(14)의 안착홈(14a)에 인장재(20)를 삽입 배선하고 인장재(20)의 일측 예를 들어 하부를 아파트(1)의 지면측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부를 옥상에서 인장한다.
인장재(20)의 인장에 의해 덕트 본체(10)에는 아파트(1)의 외벽을 향하는 압축력이 발생되며, 따라서, 논슬립 핀(40), 논슬립패드(50)가 아파트(1)의 외벽에 고정된다. 인장재(20)의 인장시 인장재(20)는 인장재 배선부(14)에서 빠지지 않기 때문에 인장재(20)에 의한 케이블(3)의 손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논슬립 핀(40)은 점 형태로 아파트(1)의 외벽에 지지되고 논슬립패드(50)는 재질의 특성으로 아파트(1)의 외벽에 지지되므로 아파트(1)의 외벽에는 배선용 덕트(100)에 의한 손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실시예 2>
도 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100)는, 케이블(3)이 서로 다른 층의 세대에 분기되는 점에 착안한 것으로, 케이블(3)의 분기를 위한 모듈러(30)를 별도의 모듈러 유닛(31)으로 구성하고, 모듈러 유닛(31)을 덕트 본체(10)와 연쇄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듈러 유닛(31)은 양측이 개방된 통 구조이며 내부에 모듈러(30)가 장착되며, 케이블(3)의 분기 및 모듈러(30)의 보수 등을 위하여 덮개(32)가 갖추어진다.
덮개(32)는 전술한 덮개(13)처럼 회동식, 끼움식, 볼트식, 슬라이드식 등 모든 구조가 가능하다.
덕트 본체(10)와 모듈러 유닛(31)은 교대로 반복하여 결합되어 배선용 덕트(100)를 구성하며, 요철에 의한 끼움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덕트 본체(10)의 양측에는 홈부(16)를 각각 형성하고, 모듈러 유닛(31)의 양측에는 홈부(16)에 결합되는 돌부(33)를 형성하여 홈부(16)와 돌부(33)의 결합에 의해 덕트 본체(10)와 모듈러 유닛(31)이 연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홈부(16)와 돌부(33)에는 각각 요철이 형성되어 덕트 본체(10)와 모듈러 유닛(31)이 탄력적으로 끼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덕트 본체(10)와 모듈러 유닛(31)의 이음부를 통해 물이 침투할 수 있으며, 물의 침투를 막기 위하여 설치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덕트 본체(10)와 모듈러 유닛(31) 중 위쪽에 배치되는 모듈러 유닛(31)의 하단부에 덕트 본체(10)를 덮는 침수방지 스커트(34)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지 않은 인장재(20) 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3>
도 8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100)는, 실시예 2처럼 덕트 본체(10)와 모듈러 유닛(31)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은 동일하며, 단, 덕트 본체(10)의 양측에 요부(17)와 철구(18)가 하나씩 형성되고 모듈러 유닛(31)의 양측에 철부(35)와 요부(36)가 하나씩 형성된다.
따라서, 덕트 본체(10)와 모듈러 유닛(31)이 요철부(17,35)(18,36)에 의해 결합된다.
실시예 2는 덕트 본체(10)와 모듈러 유닛(31)이 반드시 교대로 반복되어야 하지만, 도 9a에서처럼, 본 실시예에는 덕트 본체(10)와 모듈러 유닛(31)의 요부와 철부의 구조상 2개 이상의 덕트 본체(10)들을 연결할 수 있으므로 모듈러 유닛(31)을 세대의 위치에 맞도록 셋팅하는 것이 자유롭고, 또한, 도 9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모듈러 유닛(31)들을 연결할 수 있으므로 2개 이상의 케이블(3)을 근접되는 곳에 분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덕트 본체(10), 모듈러 유닛(31)의 재질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았으며, 이는 합성수지 등 모든 재질의 사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실시예 1,2에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모듈러 유닛(31)의 내부에는 인장재(20)가 배선되는 배선부가 덕트 본체(10)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 1,2에서 논슬립수단(논슬립 핀, 논슬립패드)은 덕트 본체(10)와 모듈러 유닛(31)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1 : 아파트, 2 : 단자함
3 : UTP 케이블, 10 : 덕트 본체
13, 32 : 덮개, 14 : 인장재 배선부
14a : 안착홈, 20 : 인장재
30 : 모듈러, 31 : 모듈러 유닛

Claims (8)

  1. 내부에 양측이 개방된 배선홀(11)이 형성되어 상기 배선홀에 다수의 UTP 케이블(3)이 배선되며 덮개(13)가 구비된 덕트 본체(10)와;
    상기 덕트 본체를 연쇄적으로 이음하는 조인트(15)와;
    상기 덕트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UTP 케이블을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 공급하기 위하여 분기하는 모듈러(30)와;
    상기 덕트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인장재 배선부(14)에 상기 UTP 케이블과 이격되도록 배선되며 일측 이상이 인장되어 상기 덕트 본체에 상기 공동주택의 외벽을 향하는 압축력이 가해지도록 하여 상기 덕트 본체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인장재(20)와;
    상기 덕트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덕트 본체가 상기 공동주택의 외벽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논슬립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
  2. 내부에 양측이 개방된 배선홀(11)이 형성되어 상기 배선홀에 다수의 UTP 케이블(3)이 배선되는 덕트 본체(10)와;
    내부에 양측이 개방된 중공부가 구비되면서 덮개(32)가 구비된 박스 형태이며 내부에 상기 UTP 케이블을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 공급하기 위한 모듈러(30)가 장착되고 상기 덕트 본체에 연결되는 모듈러 유닛(31)과;
    상기 덕트 본체와 모듈러 유닛의 내부에 형성된 인장재 배선부에 상기 UTP 케이블과 이격되도록 배선되며 일측 이상이 인장되어 상기 덕트 본체에 상기 공동주택의 외벽을 향하는 압축력이 가해지도록 하여 상기 덕트 본체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인장재(20)와;
    상기 덕트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덕트 본체가 상기 공동주택의 외벽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논슬립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수단은, 상기 덕트 본체 또는 모듈러 유닛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논슬립 핀(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 핀은 접착패드(41)를 통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수단은, 상기 덕트 본체 또는 모듈러 유닛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논슬립패드(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덕트 본체와 모듈러 유닛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요철부가 형성되어 끼움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덕트 본체와 모듈러 유닛은 각각 양측 단부에 요부와 철부가 하나씩 형성되어, 상기 덕트 본체 또는 모듈러 유닛이 연쇄적으로 2개 이상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유닛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덕트 본체를 덮어 상기 모듈러 유닛을 따라 흐르는 물이 상기 모듈러 유닛과 덕트 본체의 이음부를 통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침수방지 스커트(34)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
KR1020100029043A 2010-03-31 2010-03-31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 KR101079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043A KR101079840B1 (ko) 2010-03-31 2010-03-31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043A KR101079840B1 (ko) 2010-03-31 2010-03-31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354A KR20110109354A (ko) 2011-10-06
KR101079840B1 true KR101079840B1 (ko) 2011-11-03

Family

ID=45026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9043A KR101079840B1 (ko) 2010-03-31 2010-03-31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98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158B1 (ko) 2018-01-11 2018-06-08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용 외벽 전기 케이블 안전장치
KR102225875B1 (ko) 2020-07-15 2021-03-11 (주)이음엔지니어링 건축용 통신케이블 배선용 덕트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358B1 (ko) * 2013-11-28 2015-04-09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가입자 분배를 위한 케이블 층간 분기부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75725B1 (ko) * 2020-05-14 2020-11-06 주식회사 지성설계컨설턴트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
KR102190049B1 (ko) * 2020-06-03 2020-12-11 (주)유원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외벽 케이블 배선용 덕트
KR102450984B1 (ko) * 2022-02-25 2022-10-06 주식회사 조양산전 배선 덕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249Y1 (ko) 2000-07-04 2001-02-15 주식회사동아판매상사 트렁킹 닥트
KR100709571B1 (ko) 2007-01-15 2007-04-20 동양컨설턴트주식회사 공동 주택 외벽 전기 케이블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249Y1 (ko) 2000-07-04 2001-02-15 주식회사동아판매상사 트렁킹 닥트
KR100709571B1 (ko) 2007-01-15 2007-04-20 동양컨설턴트주식회사 공동 주택 외벽 전기 케이블 안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158B1 (ko) 2018-01-11 2018-06-08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용 외벽 전기 케이블 안전장치
KR102225875B1 (ko) 2020-07-15 2021-03-11 (주)이음엔지니어링 건축용 통신케이블 배선용 덕트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354A (ko)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9840B1 (ko)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
US7285733B2 (en) Recessed poke-thru fitting
CN206360298U (zh) 建筑室内线缆系统
US8397451B2 (en) Ceiling wiring access point device
CN103414130A (zh) 一种线槽及其布设结构
KR100596461B1 (ko) 공동주택용 벽면 매립형 조립식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1396033B1 (ko) 케이블 배선용 입상트레이 슬리브
KR102178966B1 (ko)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구조
KR101930368B1 (ko) 입상 케이블 트레이용 슬리브의 무볼트 조인트 커넥터 장치
CN206517009U (zh) 平面布线装置
KR200473979Y1 (ko) 고강도 천을 이용한 케이블 정리장치
CN110730853A (zh) 一种管线与主体结构分离的住宅的施工方法
JP2001258140A (ja) ケーブル架設工法
CN109256730B (zh) 一种线缆桥架
CN207884230U (zh) 一种多功能信息盒
CN213903890U (zh) 一种通信光缆铺设用定位卡紧装置
CN218897041U (zh) 一种建筑工地线路保护装置
CN217334849U (zh) 电缆敷设转角工具
KR102447403B1 (ko) 구조개선형 레이스웨이 조이너
CN218714085U (zh) 一种装配式墙体
CN108957672A (zh) 一种光缆固定金具
JP3006436B2 (ja) 集合同軸ケーブル
CN216289974U (zh) 一种建筑工程管理电气线缆支撑装置
CN210111565U (zh) 一种设置在地下室上方的箱变的出线结构
KR20110039837A (ko) 광섬유 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