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9573B1 - 고해상도의 펄스변조방식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고해상도의 펄스변조방식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9573B1
KR101079573B1 KR1020050051017A KR20050051017A KR101079573B1 KR 101079573 B1 KR101079573 B1 KR 101079573B1 KR 1020050051017 A KR1020050051017 A KR 1020050051017A KR 20050051017 A KR20050051017 A KR 20050051017A KR 101079573 B1 KR101079573 B1 KR 101079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signal
unit
pulse signal
logic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1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0376A (ko
Inventor
공정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1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9573B1/ko
Publication of KR20060130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0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4Electronic sequencing control
    • G03G21/145Electronic sequencing control wherein control pulses are generated by the mechanical movement of parts of the machine, e.g. the photoconduc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7/00Means for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51/00 - B65H2555/00
    • B65H2557/30Control systems architecture or components, e.g. electronic or pneumatic modules; Details thereof
    • B65H2557/33Control systems architecture or components, e.g. electronic or pneumatic modules; Details thereof for digital control, e.g. for generating, counting or comparing pul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펄스신호에 기초하여 프린팅을 수행하는 프린팅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팅될 화상을 형성할 도트의 크기 및 위치정보가 저장된 정보저장부; 상기 도트의 크기 및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의 소스인 이진데이터를 입력하여 단위 동작 당 2이상의 상기 도트에 해당하는 상기 이진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펄스신호의 특성을 결정하는 펄스정보신호를 생성하는 화상처리부; 상기 펄스정보신호에 기초하여, 논리상태가 상기 도트의 유무에 대응하도록 상기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펄스생성부; 및 상기 도트의 크기가 소정치 이하로 설정된 경우, 상기 2이상의 도트에 대응하여 논리상태가 연속하는 상기 펄스신호에 대하여 상기 연속되는 논리상태를 변화시키는 펄스조정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동작 속도를 증가시키지 않고 높은 해상도로 프린팅을 수행할 수 있다.
Figure R1020050051017
화상, 형성, 펄스, 해상도, 속도

Description

고해상도의 펄스변조방식 화상형성장치{PULSE MODULATION-TYPE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HIGH RESOLUTION}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각 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파형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각 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파형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화상형성장치 110: LUT
120: 화상처리부 130: 펄스생성부
140: 펄스조정부 142: 상태반전부
144: 신호선택부 150: 프린트엔진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동작 속도를 증가시키지 않고 높은 해상도로 프린팅을 수행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복합기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시스템과 같은 호스트 등으로부터 프린팅될 화상에 대한 프린팅데이터를 전송 받아 이에 기초하여 용지 등의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함으로써 프린팅을 수행한다. 특히 레이저프린터 등과 같은 전사사진(electrophotographic) 화상형성장치는 펄스변조방식을 이용하여 프린팅을 수행할 수 있는 바, 입력된 프린팅데이터인 이진데이터에 대하여 화상처리를 수행하여 형성될 도트의 폭 및 위치 등을 결정하는 펄스신호를 생성한 후 생성된 펄스신호에 기초하여 대전, 노광, 전사, 정착 등의 과정에 의하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 1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1의 화상형성장치(1)는 이진데이터를 입력하고 펄스정보를 생성하는 화상처리부(2), 프린티엔진의 특성에 따라 도트의 크기 및 위치 등의 정보가 설정되어 저장된 LUT(Look-Up Table, 3), 화상처리부(2)가 생성한 펄스정보에 기초하여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펄스변조부(4) 및 생성된 펄스신호에 기초하여 프린팅을 수행하는 프린팅엔진부(5)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화상형성장치(1)에 의해 생성되는 각 신호의 파형을 도 2a 내지 도 2c에 나타내었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1)는 수평방향으로 1200dpi의 해상도로 프린팅하는 경우, 예컨대 Real 1200dpi 또는 600dpi*2bit의 방식을 이용하여 프린팅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Real 1200dpi의 경우에는, 1200dpi의 이진데이터를 입력하고 600dpi의 경우에 비하여 2배의 속도로 구동클록(VCLK)을 인가함으로써 프린팅을 수행할 수 있다(도 2a 참조). 이에 대하여 600dpi*2bit의 경우에는, 구동클록(VCLK)은 600dpi와 동일한 속도로 인가되지만, 하나의 클록에 600dpi의 경우에 비하여 2배의 데이터, 즉 1200dpi인 경우와 동일한 양의 이진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프린팅을 수행할 수 있다(도 2b 참조).
그런데 Real 1200dpi의 경우, 구동클록(VCLK)을 600dpi인 경우보다 2배의 속도로 동작시켜야 하므로, 이와 관련된 내부 구성들의 동작의 속도가 모두 2배가 되어야 한다. 예컨대, 40ppm의 모노프린터라면, 600dpi*2bit의 경우에는 40MHz로 구동하면 되지만, Real 1200dpi의 경우에는 80MHz로 구동하여야 하므로 설계 시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거나 구현이 곤란할 수도 있다.
한편 600dpi*2bit의 경우에도, 구동클록(VCLK)의 속도는 600dpi의 경우와 동일하지만, 입력데이터가 2'b11인 경우에는, 하나의 구동클록 내에 두 개의 도트에 대응하는 펄스신호의 논리상태가 연속되기 때문에(도 2c의 a 참조), 완전한 크기의 도트(full dot)가 아니라 예컨대 완전한 크기의 80% 또는 90%와 같은 크기로 도트를 설정하여 인쇄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2개의 도트를 분리할 수가 없어서 Real 1200dpi와 같은 해상도로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작 속도를 증가시키지 않고 높은 해상도로 프린팅을 수행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펄스신호에 기초하여 프린팅을 수행하는 프린팅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프린팅될 화상을 형성할 도트의 크기 및 위치정보가 저장된 정보저장부; 상기 도트의 크기 및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의 소스인 이진데이터를 입력하여 단위 동작 당 2이상의 상기 도트에 해당하는 상기 이진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펄스신호의 특성을 결정하는 펄스정보신호를 생성하는 화상처리부; 상기 펄스정보신호에 기초하여, 논리상태가 상기 도트의 유무에 대응하도록 상기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펄스생성부; 및 상기 도트의 크기가 소정치 이하로 설정된 경우, 상기 2이상의 도트에 대응하여 논리상태가 연속하는 상기 펄스신호에 대하여 상기 연속되는 논리상태를 변화시키는 펄스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화상처리부는, 상기 펄스신호에 있어서 그 논리상태가 변화될 부분을 결정하는 선택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펄스조정부는, 상기 펄스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펄스신호의 논리상태를 반전하는 상태반전부; 및 상기 화상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선택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펄스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펄스신호 및 상기 상태반전부에 의해 논리상태가 반전된 펄스신호를 입력 받아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신호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펄스조정부는, 상기 신호선택부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펄스신호의 논리상태를 소정시간 지연시키는 지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00)는 컴퓨터시스템과 같은 호스트장치 등으로부터 프린팅될 화상에 대한 프린팅데이터를 입력 받아 이에 기초하여 용지 등의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함으로써 프린팅을 수행한다. 화상형성장치(100)는 프린터, 복합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00)는 펄스변조방식을 이용하여 프린팅을 수행하는 레이저프린터 등과 같은 전사사진(electrophotographic) 화상형성장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LUT(Look Up Table, 110), 화상처리부(120), 펄스생성부(130), 펄스조정부(140) 및 프린트엔진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LUT(110)는 형성될 도트의 크기 및 위치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참조테이블이다. LUT(110)에는 프린트엔진부(150)의 특성에 맞도록 미리 도트의 크기 및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LUT(110)는 본 발명의 정보저장부의 일례이다.
화상처리부(120)는 프린팅될 화상의 소스데이터로서 이진데이터를 입력하고 이에 대한 화상처리를 수행하여, LUT(110)의 도트의 크기 및 위치정보에 따라 펄스신호의 특성을 결정하는 펄스정보신호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의 펄스정보신호는 도트의 크기 및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도 4 참조).
펄스생성부(130)는 화상처리부(120)로부터 펄스정보신호를 입력 받아 이에 기초하여 펄스신호를 생성한다. 펄스생성부(130)는 입력되는 펄스정보와 구동클록(VCLK) 과의 오프셋값을 측정하여 구동클록(VCLK)에 동기되어 입력되는 이진데이터를 수평동기신호(nHsync)에 동기시켜 펄스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펄스생성부(130)는 하나의 구동클록(VCLK) 내에 2개의 도트에 해당하는 이진데이터에 대하여 대응하는 펄스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구동클록(VCLK)이 600dpi와 동일한 클록속도인 경우 처리되는 이진데이터의 데이터량은 real 1200dpi와 동일할 수 있다. 펄스생성부(130)는 펄스신호의 논리상태가 이에 의해 형성될 도트의 유무에 대응하도록 펄스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펄스조정부(140)는 형성될 도트의 크기가 소정치 이하로 설정된 경우, 2개의 도트에 대응하여 논리상태가 연속하는 펄스신호에 대하여 연속되는 논리상태를 변화시킨다. 펄스조정부(140)는 도트의 크기가 완전한 도트(full dot)가 아닌 예컨대 80%를 소정치 이하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펄스조정부(140)는 상태반전부(142) 및 신호선택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반전부(142)는 펄스생성부(130)의 펄스신호를 입력받아 그 논리상태가 반전된 펄스신호를 생성한다. 신호선택부(144)는 펄스생성부(130)로부터 정상적인 논리상태의 펄스신호 및 상태반전부(142)로부터 반전된 논리상태의 펄스신호를 입력 받아, 화상처리부(120)의 선택신호에 따라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처리부(120)는 통상적인 경우에는 정상적인 펄스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신호선택부(144)에 선택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화상처리부(120)는 입력되는 이진데이터가 하나의 구동클록 내에서 도트를 형성시킬 수 있는 논리상태가 연속되는 경우에는(예컨대 2'b11), 설정된 도트의 크기(예 컨대 80%)에 따라 반전된 펄스신호를 선택하여야 할 시점을 결정하는 선택신호를 신호선택부(144)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신호선택부(144)는 하나의 구동클록 내에서 논리상태가 연속되더라도 2개의 펄스신호로 분리시켜 출력할 수 있다(도 4의 c 참조).
프린트엔진부(150)는 펄스조정부(140)에 의해 출력되는 조정된 펄스신호에 기초하여 용지 등의 소정의 기록매체에 대하여 프린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프린트엔진부(150)는 대전, 노광, 전사 및 정착의 과정을 통하여 토너를 용지에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프린트엔진부(150)는 펄스신호에 대응하여 도트의 크기 및 위치를 적절하게 용지에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펄스조정부(140)는, 신호선택부(144)에 의해 출력되는 펄스신호의 논리상태를 소정시간 지연시키는 지연부(도시 안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연부는 논리상태의 반전에 의하여 본래의 펄스신호의 펄스의 크기가 감소한 경우 이를 보상하도록 도트가 형성되는 펄스신호의 논리상태를 소정시간 지연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당초 형성하고자 하는 화상에 가까워지므로 프린팅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동작 속도를 증가시키지 않고 높은 해상도로 프린팅을 수행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펄스신호에 기초하여 프린팅을 수행하는 프린팅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프린팅될 화상을 형성할 도트의 크기 및 위치정보가 저장된 정보저장부;
    상기 도트의 크기 및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의 소스인 이진데이터를 입력하고, 단위 동작 당 2이상의 상기 도트에 해당하는 상기 이진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펄스신호의 논리상태를 결정하는 펄스정보신호를 생성하는 화상처리부;
    상기 펄스정보신호에 기초하여, 논리상태가 상기 도트의 유무에 대응하도록 상기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펄스생성부; 및
    상기 도트의 크기가 소정치 이하로 설정된 경우, 상기 2이상의 도트에 대응하여 논리상태가 연속하는 상기 펄스신호에 대하여 상기 연속되는 논리상태를 변화시키는 펄스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부는, 상기 펄스신호에 있어서 그 논리상태가 변화될 부분을 결정하는 선택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펄스조정부는,
    상기 펄스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펄스신호의 논리상태를 반전하는 상태반전부; 및
    상기 화상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선택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펄스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펄스신호 및 상기 상태반전부에 의해 논리상태가 반전된 펄스신호를 입력 받아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신호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조정부는, 상기 신호선택부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펄스신호의 논리상태를 소정시간 지연시키는 지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50051017A 2005-06-14 2005-06-14 고해상도의 펄스변조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1079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017A KR101079573B1 (ko) 2005-06-14 2005-06-14 고해상도의 펄스변조방식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017A KR101079573B1 (ko) 2005-06-14 2005-06-14 고해상도의 펄스변조방식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0376A KR20060130376A (ko) 2006-12-19
KR101079573B1 true KR101079573B1 (ko) 2011-11-03

Family

ID=37810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1017A KR101079573B1 (ko) 2005-06-14 2005-06-14 고해상도의 펄스변조방식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95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21545A1 (en) * 2007-07-19 2009-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output signal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3522A (ja) * 1995-11-07 1997-05-13 Nec Corp 電子写真記録装置
JP2002113902A (ja) * 2000-10-06 2002-04-1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2283606A (ja) * 2001-03-28 2002-10-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形成方法及び装置
KR20050049144A (ko) * 2003-11-21 2005-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량편차보정 기능이 지원되는 인쇄 장치 및 그 인쇄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3522A (ja) * 1995-11-07 1997-05-13 Nec Corp 電子写真記録装置
JP2002113902A (ja) * 2000-10-06 2002-04-1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2283606A (ja) * 2001-03-28 2002-10-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形成方法及び装置
KR20050049144A (ko) * 2003-11-21 2005-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량편차보정 기능이 지원되는 인쇄 장치 및 그 인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0376A (ko) 200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8075B2 (en) Circuitry to support justification of PWM pixels
JP4322442B2 (ja) 画像形成装置
JP4271286B2 (ja) パルス幅変調回路
KR101079573B1 (ko) 고해상도의 펄스변조방식 화상형성장치
JP2007334416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5987218A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6825825B2 (en) Smoothing method, smoothing circui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isplay unit
JP5358992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方法
US699762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US2008024061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675049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2067383A (ja) 画像記録方法及び画像記録装置
JP2002369008A (ja) 2値画像データの処理方法及びそれを利用した画像形成装置
JP6658016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システム
JP3716674B2 (ja) プリンタの制御装置およびプリンタ並びにプリンタのデータ処理方法
JP2006262405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424954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09056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3348354A (ja) 情報処理装置
JP2005074965A (ja) 印刷装置
JP2006093898A (ja)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186376A (ja) 印刷装置
JPH058512A (ja) 記録装置
JP200508855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263841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