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9538B1 - 수분증발에 의해 주변을 냉각하는 빗물 저수장치 - Google Patents

수분증발에 의해 주변을 냉각하는 빗물 저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9538B1
KR101079538B1 KR1020080099263A KR20080099263A KR101079538B1 KR 101079538 B1 KR101079538 B1 KR 101079538B1 KR 1020080099263 A KR1020080099263 A KR 1020080099263A KR 20080099263 A KR20080099263 A KR 20080099263A KR 101079538 B1 KR101079538 B1 KR 101079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pitcher
reservoir
surrounding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9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0167A (ko
Inventor
이은정
Original Assignee
이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정 filed Critical 이은정
Priority to KR1020080099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9538B1/ko
Publication of KR20100040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6Insulating devices or arrangements in so far as the roof covering is concerned, e.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of the roof insulating material or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 E04D13/1687Insulating devices or arrangements in so far as the roof covering is concerned, e.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of the roof insulating material or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the insulating material having provisions for roof drainage
    • E04D13/1693Insulating devices or arrangements in so far as the roof covering is concerned, e.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of the roof insulating material or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the insulating material having provisions for roof drainage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material forming an inclin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6Insulating devices or arrangements in so far as the roof covering is concerned, e.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of the roof insulating material or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 E04D13/1606Insulation of the roof covering characterised by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증발에 의해 주변을 냉각하는 빗물 저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로 낙하하는 빗물을 흘려내릴 수 있게 경사지고 내측에서 증발된 빗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통기구가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를 따라 흘러내린 빗물을 내측으로 통과시키는 투수구로 이루어진 지붕부; 상기 지붕부를 지지하고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투수구로 유입된 빗물을 저수하는 저수통; 및 상기 투수구로 유입되는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상기 투수구에 설치되는 여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분리대용이나 버스정류장용으로 쉽게 저비용으로 제작 및 설치할 수 있어, 중앙분리대나 버스정류장을 제작 및 설치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최소한의 유지관리만으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빗물, 저수, 중앙분리대, 버스정류장, 증발

Description

수분증발에 의해 주변을 냉각하는 빗물 저수장치{A STORING AND UTILIZING DEVICE USING THE ROOF OF A STRUCTURE}
본 발명은 수분증발에 의해 주변을 냉각하는 빗물 저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의 중앙분리대용이나 버스정류장용으로 사용되어 빗물을 저수하고 저수된 빗물을 증발시켜 도로와 도로가 및 버스정류장에서 태양열에 의한 심한 열기의 발생을 방지하는 수분증발에 의해 주변을 냉각하는 빗물 저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로에는 특히 여름철에 태양으로부터의 복사열에 의해 심한 열기가 방출된다. 이러한 열기는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에 전해져 차량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차량의 냉방비용이 보다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도로가에는 가로수가 심어져 있어 그늘이 조성되기는 하지만, 도로로부터 발생된 열기로 인하여 도로가를 보행하는 보행자는 심한 더위를 느끼게 된다.
또한 도로에는 중앙분리대가 설치되는데, 중앙분리대는 보통 콘크리트로 제작되거나 하분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경우는 콘크리트 중앙분리대의 운반 및 설치가 어렵고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 라, 도로의 미관을 훼손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분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는, 미관상으로는 우수하지만, 화분에 심어진 식물에 일주일에 한두번씩 물을 공급해야 하므로, 관리유지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버스정류장은 버스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잠시 머무는 장소인데, 지붕은 나무 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 또는 콘크리트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나무 재질로 제작된 경우는 나무가 빗물에 약하므로 장기간 사용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플라스틱이나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경우는 태양열에 의한 열기를 차단할 수 없어 버스정류장에 머무리는 사람들에게 심한 더위를 느끼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현안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앙분리대용이나 버스정류장용으로 쉽게 저비용으로 제작 및 설치할 수 있는 수분증발에 의해 주변을 냉각하는 빗물 저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빗물을 저수하고 저수된 빗물을 증발시켜 주변의 열기를 완화시키는 수분증발에 의해 주변을 냉각하는 빗물 저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1발명은 수분증발에 의해 주변을 냉각하는 빗물 저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로 낙하하는 빗물을 흘려내릴 수 있게 경사지고 내측에서 증발된 빗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통기구가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를 따라 흘러내린 빗물을 내측으로 통과시키는 투수구로 이루어진 지붕부; 상기 지붕부를 지지하고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투수구로 유입된 빗물을 저수하는 저수통; 및 상기 투수구로 유입되는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상기 투수구에 설치되는 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부는,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이 투수구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게 다수개의 관통공이 설치되어 상기 투수구로부터 돌출되게 장착되는 제1여과기와, 내부에 빗물을 임시로 저수하게 마련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한 빗물에 포함된 상대적으로 작은 이물질을 침전시키는 방식으로 걸러낸 상태의 빗물을 통과시키는 유입공이 마련된 제2여과기를 포함한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저수통에는, 내측에 저수된 빗물이 일정 수위를 초과하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수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발명은, 제2발명에서, 상기 통기구 및 배수구에는, 빗물은 통과하되, 곤 충의 출입은 방지되도록 방충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제5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통기구의 상단에는 상기 경사부를 따라 흘러내리는 빗물이 통기구로 진입하지 않도록 돌출 형성되어 빗물을 유도하는 빗물유도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경사부에는 반사경 또는 안전지시표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발명은, 제2발명 또는 제3발명에서, 상기 저수통의 하부에는, 상기 저수통을 지면으로부터 설정된 높이로 이격시켜 지지하는 지지부가 장착되고, 상기 배수구에는 배수되는 빗물을 지면으로 인도하고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배수관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분증발에 의해 주변을 냉각하는 빗물 저수장치에 의하면, 중앙분리대용이나 버스정류장용으로 쉽게 저비용으로 제작 및 설치할 수 있어, 중앙분리대나 버스정류장을 제작 및 설치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최소한의 유지관리 만으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빗물을 저수하고 저수된 빗물을 증발시켜 주변의 열기를 완화시킬 수 있으므로, 에너지의 소비가 전혀 없이 도로와 도로가의 열기를 완화시켜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쾌적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결국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게 되므로, 에너지 소비에 따른 CO2 발생량을 줄여 결국 지구온난화 예방에 기여하는 잇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분증발에 의해 주변을 냉각하는 빗물 저수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분증발에 의해 주변을 냉각하는 빗물 저수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분증발에 의해 주변을 냉각하는 빗물 저수장치는, 크게 지붕부(10), 저수통(20) 및 여과부(30)로 구성되어 도로의 중앙분리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지붕부(10)는, 상부로 낙하하는 빗물을 흘려내리도록 경사지고 내측에서 증발된 빗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통기구(13)가 형성된 경사부(11) 와, 상기 통기구(13)의 상단에 상기 경사부(11)를 따라 흘러내리는 빗물이 통기구(13)로 진입하지 않도록 돌출 형성되어 빗물을 유도하는 빗물유도부(15)와, 상기 경사부(11)를 따라 흘러내린 빗물을 내측으로 통과시키는 투수구(17)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경사부(11)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반사경 또는 안전지시표시가 부착될 수 있다. 이는 본 실시예에 따른 빗물 저수장치가 중앙분리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도로를 주행하는 운전자에게 중앙분리대의 존재 및 도로의 여건을 주지시켜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통기구(13)에는, 증발된 빗물은 통과될 수 있으나, 모기와 같은 곤충은 출입할 수 없도록 방충망(13a)이 설치된다.
또한 빗물유도부(15)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볼록한 곡면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지붕부(10)의 상면은, 경사부(11)를 따라 흘러내린 빗물이 상기 투수구(17)로 유도될 수 있게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도 3에는 투수구(17)로 빗물이 유도되게 지붕부(10)의 상면이 경사지게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경사진 형태를 다소 과장되게 표현한 것이고, 실제로는 빗물이 유도될 수만 있으면 경사의 정도는 임의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붕부(10)의 외곽에는 상기 경사부(11)를 따라 흘러내린 빗물이 지붕부를 이탈하지 않게 하여 빗물을 상기 투수구(17)로 유도하는 차단벽(19)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저수통(20)은 상기 지붕부(10)를 지지하고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투수구(17)로 유입된 빗물이 저수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통(20)에는, 저수통(20)에 저수된 빗물이 일정 수위를 초과하면 외부로 빗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수구(21)가 마련된다. 이러한 배수구(21)는 상기 저수통(20)의 측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로 마련될 수도 있지만, 하나만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빗물 저수장치가 도로의 중앙분리대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배수구(21)가 도로를 향하는 측면에 형성되어 저수통(20)에 저수된 빗물이 배수되면 도로의 구배를 따라 배수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배수구(21)에도, 상기 통기구(13)와 마찬가지로, 빗물을 통과할 수 있지만, 곤충의 출입은 방지되도록 방충망(21a)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과부(30)는 상기 투수구(17)로 유입되는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상기 투수구(17)에 설치된다. 이러한 여과부(30)는 낙엽 등과 같은 큰 이물질과 먼지 등과 같은 작은 이물질을 걸러낸 후, 여과된 빗물만이 저수통(20)에 저수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는 저수통(20)에 저수되는 빗물에 이물질이 섞여 있는 경우, 저수된 빗물이 쉽게 부패하게 되어 악취를 유발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여과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이 투수구(17)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게 다수개의 관통공(31a)이 형성되어 상기 투수구(17)로부터 돌출되게 장착되는 제1여과기(31)와, 내부에 빗물을 임시로 저수하게 마련되어 상기 관통공(31a)를 통과한 빗물에 포함 된 상대적으로 작은 이물질을 침전시키는 방식으로 걸러낸 상태의 빗물을 통과시키는 유입공(33a)이 마련된 제2여과기(3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여과부(30)는 상기 지붕부(10)의 투수구(17)에 나사결합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여과부(30)는 지붕부(10)로부터 분리하여 청소한 후 재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여과기(31)와 제2여과기(33)는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고, 제1여과기와 제2여과기의 내부에 대한 청소를 용이하게 하도록 별도로 제작되어 서로 결합되어 사용되게 마련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수분증발에 의해 주변을 냉각하는 빗물 저수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빗물 저수장치를 도로의 중앙분리대용으로 설치하는 경우에, 비가 내리면 빗물은 지붕부(10)의 경사부(11)를 따라 흘러 내려 투수구(17)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경사부(11)에는 다수의 통기구(13)가 형성되어 있지만, 경사부(11)를 따라 흘러내리는 빗물은 빗물유도부(15)에 의해 상기 통기구(13)로 진입하지 않도록 유도된다. 다만, 떨어지는 빗물이 직접 통기구로 진입할 수는 있는데, 이때의 빗물은 이물질을 거의 포함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통기구(13)를 통하여 저수통(20)에 유입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경사부(11)를 따라 흘러내린 빗물은 상기 지붕부(10)의 외곽에 마련된 차단벽(19)에 의해 지붕부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어 상기 투수구(17)로 유도된 다.
또한 상기 투수구(17)에는 여과부(30)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빗물과 함께 투수구(17)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걸러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물질 중에서 낙엽과 같은 비교적 큰 이물질은 상기 여과부(30)의 제1여과기(31)에 형성된 관통공(31a)을 통과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관통공(31a)에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 관통공(31a)를 통과한 빗물은 일시적으로 여과부(30)의 제2여과기(33) 내부에 저수된다. 상기 제2여과기(33)에는 비교적 소량의 빗물이 저수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게 되므로, 제2여과기(33)에 저수된 빗물은 점점 차 올라 유입공(33a)을 통해 저수통(20)으로 유입된다. 이때 제2여과기(33) 내부에 빗물이 일시적으로 저수되면서 빗물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나 모래 등의 비교적 작은 이물질은 하부로 침전된다.
이와 같이 빗물이 여과부(30)에서 관통공(31a)과 유입공(33a)을 통과하면서 상기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크고 작은 이물질이 걸러지게 되므로, 상기 저수통(20)에는 비교적 깨끗한 빗물만이 저수된다. 따라서 저수통(20)에 장시간 빗물이 저수된다 하더라도, 이물질에 의한 부패가 최소화되어 저수통(20)에 저수된 빗물에서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가 해소된다.
한편, 저수통(20)에 저수되는 빗물의 양이 과도하게 많은 경우에는 상기 빗물은 저수통(20)의 측면에 형성된 배수구(21)를 통해 배수된다. 이때 배수구(21)는 도로를 향하는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수구(21)를 통해 배수되는 빗물은 도 로의 구배를 따라 도로가로 흘러 하수구로 배수된다.
또한 저수통(20)에 저수된 빗물은 자연적으로 증발되면서 통기구(13)와 배수구(21)를 통해 배출된다(도 2의 점선 화살표 참조). 이때 상기 통기구(13)와 배수구(21)에는 방충망(13a, 21a)이 설치되어 있어 증발된 빗물은 통과될 수 있지만, 모기 등의 곤충은 통과할 수 없다. 따라서 저수통(20)이 모기 등의 곤충 서식지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기구(13)와 배수구(21)로 빗물이 증발되면서 도로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한다. 따라서 도로와 도로가에 태양의 복사열로 인한 열기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어, 운전자와 보행자가 보다 쾌적하게 주행이나 보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붕부(10)는 상기 저수통(2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수통(20) 내부에 대한 정기적인 청소가 가능하다. 또한 여과부(30)도 상기 지붕부(10)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여과부를 분리하여 상기 여과부를 청소할 수도 있다.
아울러, 경사부(11)에 부착되는 반사경과 안전지시표시는 도로를 주행하는 운전자에게 중앙분리대의 존재 및 도로의 여건을 주지시켜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분증발에 의해 주변을 냉각하는 빗물 저수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 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분증발에 의해 주변을 냉각하는 빗물 저수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빗물 저수장치는, 저수통(20)의 저면에 지지부(50)가 장착되어 상기 저수통(20)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저수통(20)과 지붕부(10)가 지붕의 역할을 하고 상기 지지부(50)에 의해 상기 저수통(20)과 지붕부(10) 아래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빗물 저수장치는 도로가에 설치되는 버스정류장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도로가에 설치되는 버스정류장은 여름철에 태양으로부터 받은 열에 의해 뜨거워지게 되므로, 버스를 타려고 기다리는 사람들은 버스정류장에 의한 그늘에 위치하고 있더라도 지붕으로부터 전달되는 열기로 인해 심한 더위를 느끼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빗물 저수장치를 버스정류장용으로 사용하면, 저수통(20)에 저수된 빗물에 의해 심한 열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수된 빗물의 증발에 의해 지붕부(10)와 저수통(20)에 전해지는 태양열을 흡수하게 되므로, 태양열에 의한 열기를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50)에 의해 상기 저수통(20)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므로, 상기 저수통(20)에 형성된 배수구(21)로 유출되는 빗물은 배수관(60)에 의해 지면으로 유도된다. 이는 배수구(21)로 유출되는 빗물이 자유낙하하면서 지면에 떨어지면 낙차에 의해 지면이 패이거나 지면에서 토사를 튀겨서 행인의 옷을 더럽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배수관(60)은 상기 배수구(21)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50)를 따라 지면상까지 유도되는 것이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분증발에 의해 주변을 냉각하는 빗물 저수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분증발에 의해 주변을 냉각하는 빗물 저수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지붕부 11 : 경사부
13 : 통기구 15 : 빗물유도부
17 : 투수구 20 : 저수통
21 : 배수구 30 : 여과부
31 : 제1여과기 33 : 제2여과기
50 : 지지부 60 : 배수관

Claims (7)

  1. 상부로 낙하하는 빗물을 흘려내릴 수 있게 경사지고 내측에서 증발된 빗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통기구가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를 따라 흘러내린 빗물을 내측으로 통과시키는 투수구로 이루어진 지붕부;
    상기 지붕부를 지지하고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투수구로 유입된 빗물을 저수하는 저수통; 및
    상기 투수구로 유입되는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상기 투수구에 설치되는 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부는,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이 투수구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게 다수개의 관통공이 설치되어 상기 투수구로부터 돌출되게 장착되는 제1여과기와, 내부에 빗물을 임시로 저수하게 마련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한 빗물에 포함된 상대적으로 작은 이물질을 침전시키는 방식으로 걸러낸 상태의 빗물을 통과시키는 유입공이 마련된 제2여과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증발에 의해 주변을 냉각하는 빗물 저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통에는, 내측에 저수된 빗물이 일정 수위를 초과하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수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증발에 의해 주변을 냉각하는 빗물 저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 및 배수구에는, 빗물은 통과하되, 곤충의 출입은 방지되도록 방충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증발에 의해 주변을 냉각하는 빗물 저수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의 상단에는 상기 경사부를 따라 흘러내리는 빗물이 통기구로 진입하지 않도록 돌출 형성되어 빗물을 유도하는 빗물유도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증발에 의해 주변을 냉각하는 빗물 저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에는 반사경 또는 안전지시표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증발에 의해 주변을 냉각하는 빗물 저수장치.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통의 하부에는, 상기 저수통을 지면으로부터 설정된 높이로 이격시켜 지지하는 지지부가 장착되고, 상기 배수구에는 배수되는 빗물을 지면으로 인도하고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배수관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증발에 의해 주변을 냉각하는 빗물 저수장치.
KR1020080099263A 2008-10-09 2008-10-09 수분증발에 의해 주변을 냉각하는 빗물 저수장치 KR101079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263A KR101079538B1 (ko) 2008-10-09 2008-10-09 수분증발에 의해 주변을 냉각하는 빗물 저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263A KR101079538B1 (ko) 2008-10-09 2008-10-09 수분증발에 의해 주변을 냉각하는 빗물 저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167A KR20100040167A (ko) 2010-04-19
KR101079538B1 true KR101079538B1 (ko) 2011-11-02

Family

ID=42216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9263A KR101079538B1 (ko) 2008-10-09 2008-10-09 수분증발에 의해 주변을 냉각하는 빗물 저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953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7834A (ja) 2005-03-18 2006-09-28 Bridgestone Corp 路側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7834A (ja) 2005-03-18 2006-09-28 Bridgestone Corp 路側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167A (ko) 2010-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7401B2 (ja) 道路散水システム
KR101454016B1 (ko) 저관리형 도시녹화 조경모듈
KR101781334B1 (ko) L형 측구를 활용한 다기능 배수관
KR20090120986A (ko) 비점오염원의 처리를 위한 측구.
JP2011202472A (ja) 道路側溝用集水桝およびそれを備えた雨水流出抑制施設
KR20110054572A (ko) 커버가 장착된 그레이팅 및 이를 구비하는 집수조
KR101079538B1 (ko) 수분증발에 의해 주변을 냉각하는 빗물 저수장치
KR101246027B1 (ko) 녹화 벽면이 구비된 파고라
KR20130011103A (ko) 빗물관리시설장치
KR101230015B1 (ko) 빗물을 재활용하는 야외 화장실용 급수 시설
KR20160074294A (ko) 오물 유입방지기능과 야간 안전표시기능을 갖는 배수로 덮개
KR101400081B1 (ko) 경사 그레이팅을 구비한 배수모듈
KR100864236B1 (ko) 공간 투수블럭
KR20120006715A (ko) 배수가 용이한 비점오염원 처리 기능을 갖는 측구 및 초기우수 재활용 방법
KR100612080B1 (ko) 배수처리를 위한 도로용 경계석 구조
KR20090110542A (ko) 빗물저류탱크를 구비한 친환경 화분
KR102015523B1 (ko) 친환경 식생형 배수로 장치
KR20190121107A (ko)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
KR20090007430U (ko) 가로등 겸용 빗물 저장장치
JP5116709B2 (ja) 駐車場緑化システム
JP2011038295A (ja) 雨水排水構造
JP4948832B2 (ja) 側溝ブロック
KR101186881B1 (ko) 다공성 투수 경계석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시스템
KR100875951B1 (ko) 배수성 아스팔트의 노면 물고임 방지를 위한 우수 유도장치
KR101154026B1 (ko)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