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9110B1 - 광 살균 공기 정화 살균기 - Google Patents

광 살균 공기 정화 살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9110B1
KR101079110B1 KR1020110088332A KR20110088332A KR101079110B1 KR 101079110 B1 KR101079110 B1 KR 101079110B1 KR 1020110088332 A KR1020110088332 A KR 1020110088332A KR 20110088332 A KR20110088332 A KR 20110088332A KR 101079110 B1 KR101079110 B1 KR 101079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unit
guide
sterilization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범
이진경
Original Assignee
(주)동양테크놀로지
이진경
강신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양테크놀로지, 이진경, 강신범 filed Critical (주)동양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10088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91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2Use of ozone, e.g. generated by UV radiation or electrical dis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살균 공기 정화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면이 은으로 코팅된 발포체 필터와 살균 램프를 이용하여 공기 정화 및 살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중요 부품의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여 유지 보수가 쉽고, 공기의 흡입부터 배출까지의 경로가 직선상에 위치하여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광 살균 공기 정화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광 살균 폼 필터 유닛과 송풍팬이 하나의 지지체의 상하면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장치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이와 같이 설치된 광 살균 폼 필터 유닛과 송풍팬의 연결성이 좋아서 상기 살균 폼 필터 유닛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동성을 향상시키고 공기 정화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 살균 공기 정화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 살균 공기 정화 살균기{APPARATUS FOR AIR CLEANING AND STERILIZING}
본 발명은 광 살균 공기 정화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면이 은으로 코팅된 발포체 필터와 살균 램프를 이용하여 공기 정화 및 살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중요 부품의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여 유지 보수가 쉽고, 공기의 흡입부터 배출까지의 경로가 직선상에 위치하여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광 살균 공기 정화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광 살균 폼 필터 유닛과 송풍팬이 하나의 지지체의 상하면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장치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이와 같이 설치된 광 살균 폼 필터 유닛과 송풍팬의 연결성이 좋아서 상기 살균 폼 필터 유닛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동성을 향상시키고 공기 정화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 살균 공기 정화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흡인하여 각종 기기 또는 실내에 송풍하는 것으로서, 식품회사, 크린룸, 제약회사 등 강력한 멸균력과, 정밀한 온도 및 습도 관리가 요구되는 곳에 설치되어 냉난, 난방, 제습 및 청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조화기나 살균기들은 대체적으로 다수의 필터층에 의한 먼지 제거와 적정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하는 환경조건에 중점을 두어 제작되어 왔기 때문에, 필터층에서의 세균 번식 등으로 인한 위생상 많은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에, 본 출원인이 특허출원한 제2010-0056347호 '광 살균 공기 정화 살균기'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11)와 배출구(17)를 구비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흡입구(11) 측에 순차적으로 설치된 프리필터(12), 광촉매 필터(14) 및 살균 폼 필터(16)와, 상기 본체(10) 중심측에 설치된 광 살균 폼 필터 유닛(20) 및 송풍팬(30)을 포함하여, 표면이 은으로 코팅된 발포체 필터와 살균 램프를 갖는 상기 광 살균 폼 필터 유닛(20)에 의해 공기 정화 및 살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전기 제품의 특성상 장시간 가동시 고장 발생 확률이 높음은 물론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 먼지 등이 쌓여 자주 청소를 해야하는 송풍팬(30)이 본체(10) 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서 유지 보수가 어려웠다.
또한, 프리필터(12), 광촉매 필터(14), 살균 폼 필터(16) 및 광 살균 폼 필터 유닛(20)을 장시간 사용할 경우 오염되는 것을 피할 수 없으므로 주기적으로 교체하거나 청소를 해야하는데 이 역시 본체(10) 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서 유지 보수가 어려웠다.
또한,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1)와 정화된 공기를 토출 그릴(18)을 통해 배출하는 배출구(17)는 본체(10)의 정면에 배치되어 있는데, 이때 외기는 정면에 배치된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된 후 상측으로 꺽여 유동하게 되므로 공기의 흡입시 소음이 심하고, 마찬가지로 상측으로 상승한 공기가 배출구(17)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도 소음이 심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광 살균 폼 필터 유닛(20)과 송풍팬(30)이 별도의 브라켓에 의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어서, 장치의 전체 사이즈가 커지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광 살균 폼 필터 유닛(20)과 송풍팬(30)의 연결성이 나빠서 광 살균 폼 필터 유닛(20)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성 역시 나쁘고 그에 따라 공기 정화 특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광 살균 공기 정화 살균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표면이 은으로 코팅된 발포체 필터와 살균 램프를 이용하여 공기 정화 및 살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중요 부품의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여 유지 보수가 쉽고, 공기의 흡입부터 배출까지의 경로가 직선상에 위치하여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광 살균 공기 정화 살균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 살균 폼 필터 유닛과 송풍팬이 하나의 지지체의 상하면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장치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이와 같이 설치된 광 살균 폼 필터 유닛과 송풍팬의 연결성이 좋아서 상기 살균 폼 필터 유닛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동성을 향상시키고 공기 정화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 살균 공기 정화 살균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 살균 공기 정화 살균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판에 설치되며,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직선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판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구와; 상기 본체 내부에 수평하게 고정되며 상면에는 제1가이드가 구비되어 있고, 하면에는 제2가이드가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부에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블로워 판넬과; 상기 제1가이드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립되며, 표면이 은으로 코팅된 다공성 발포체인 살균 폼 필터 및 살균 램프를 포함하여 공기 중 부유물질을 포집 및 살균하는 광 살균 폼 필터 유닛과; 상기 제2가이드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립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광 살균 폼 필터 유닛을 통과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고정된 제3가이드; 및 상기 제3가이드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조립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보조 필터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광 살균 폼 필터 유닛은, 상부와 하부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개방되어 있고, 양측부에는 각각 복수개의 설치공이 형성되어 있는 필터 유닛 케이스와; 상기 개방된 필터 유닛 케이스의 전방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필터 유닛 케이스 내부에 끼워지되 공기가 통과하도록 메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살균기 폼 가이드와; 서로 인접한 상기 살균기 폼 가이드들 사이에 끼워져 조립되는 판상의 살균 폼 필터와; 상기 필터 유닛 케이스의 양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설치공에 양단부가 끼워져 조립되는 살균 램프; 및 상기 필터 유닛 케이스의 전방부를 막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조 필터 유닛은, 일측면은 개방되어 있고 상면과 하면은 상기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 유동부가 형성되어 있는 사각 블럭 형상의 보조 필터 케이스 및 상기 보조 필터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면을 통해 삽입되는 판 상의 보조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하부 일측면에는 자석이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보조 필터 케이스가 상기 제3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면, 상기 자석에 의해 정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입구와 배출구는 각각 복수개의 그릴(grille)로 이루어지되, 상기 흡입구의 그릴들은 상기 흡입구의 중심측을 향해 외기를 모으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배출구의 그릴은 정화된 공기를 상기 배출구의 외측을 향해 분산시키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팬의 공기 배출측 단부 테두리에는 팬용 브라켓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팬용 브라켓은 외측을 향해 연장된 안내편을 구비하고, 상기 안내편은 상기 블로워 판넬의 제2가이드에 맞물려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립되며,
또한, 상기 안내편에 의해 조립된 상기 송풍팬의 공기 배출구는 상기 블로워 판넬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광 살균 폼 필터 유닛의 공기 흡입측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이 은으로 코팅된 발포체 필터와 살균 램프를 이용하여 공기 정화 및 살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부품의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여 유지 보수가 쉽고, 공기의 흡입부터 배출까지의 경로가 직선상에 위치하여 소음을 저감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광 살균 폼 필터 유닛과 송풍팬이 하나의 지지체의 상하면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장치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게 한다.
또한, 광 살균 폼 필터 유닛과 송풍팬의 연결성이 좋아서 살균 폼 필터 유닛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동성을 향상시키고 공기 정화 특성을 향상시킨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광 살균 공기 정화 살균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살균 공기 정화 살균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살균 공기 정화 살균기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살균 공기 정화 살균기의 흡입구와 배출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살균 공기 정화 살균기의 블로워 판넬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살균 공기 정화 살균기의 필터 유닛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살균 공기 정화 살균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 살균 공기 정화 살균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살균 공기 정화 살균기(100)는 일 예로서 전면판(111), 후면판(112), 측면판(113), 하부판(114) 및 상부판(116)을 포함하여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본체(110) 내에 각종 필터 및 송풍팬 등(도 3 참조)을 구비하고 있어서 스탠드 형으로 설치된 상태로 공기를 정화할 수 있고, 하부판(114)의 저면에는 캐스터(C) 등과 같은 바퀴가 장착되어 있어서 이동성을 보장하며, 전방에는 제어판(111a)이 구비되어 있어서 동작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체(110)의 하부판(114)과 상부판(116)은 상하 방향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이때 하부판(114)에는 흡입구(115)가 설치되고 상부판(116)에는 배출구(117)가 설치되어 있어서, 송풍팬에 의해 강제 순환되는 공기가 본체(110)의 하부를 통해 유입된 다음 각종 필터를 통과한 후 배출구(117)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정화되게 하고, 이때 공기는 하측에서 상측을 향해 직상 방향으로만 유동하므로 종래와는 다르게 소음 발생을 월등히 줄인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살균 공기 정화 살균기(100)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1차적으로 정화시키는 보조 필터 유닛(120)과, 본체(110) 내부에 고정되어 지지판 역할을 하는 블로워 판넬(130)과, 상기 블로워 판넬(130)의 하면에 조립되며 공기를 강제순환시키는 송풍팬(140)과, 상기 블로워 판넬(130)의 상면에 조립되며 공기 정화 및 살균 역할을 하는 광 살균 폼 필터 유닛(150)을 포함한다.
이때, 본체(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판(111), 후면판(112), 측면판(113), 하부판(114) 및 상부판(116)을 포함하여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타워형으로 세워 설치되고 또한 벽면 등에 밀착하여 설치된다.
다만, 본체(110)는 그 내부에 후술하는 구성요소들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라면 그 형상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는 않으며, 타워형 대신 벽걸이형 등도 사용 가능하며, 특히 하부판(114)과 상부판(116)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하나의 금형으로 하부판(114) 및 상부판(116)을 모두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체(110)의 하부판(114) 저면에는 이동성을 위해 캐스터(C)가 설치되어 있고, 외부에 노출되는 전면판(111)의 앞면에는 각종 누름 버튼 등을 갖는 제어판(111a)이 설치되어 있고 뒷면에는 상기 제어판(111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회로기판(111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110)가 직육면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하부판(114)과 상부판(116)은 당연히 상하측에 나란히 배치되고, 하부판(114)과 상부판(116)에는 각각 공기 흡입구(115)와 배출구(117)가 설치되어 있어서 오염된 외기는 본체(110)의 하측으로 유입되고 정화된 공기는 본체(110)의 상측으로 배출된다. 즉, 공기가 직하에서 직상 방향으로 수직 상승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흡입구(도 1의 11)와 배출구(도 1의 17)가 본체(10)의 전면판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있어서 흡입구(11)에서 흡입된 후 배출구(17)를 향해 상승하는 과정에서 공기가 수평(유입시)에서 수직 방향(상승시)으로 방향이 바뀌므로 소음이 심하였고, 마찬가지로 배출구(17)를 통해 배출시에도 소음이 심하다는 문제점이 있었음에 비해, 본 발명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직선 방향으로 상승하므로 소음이 현저히 저감된다.
또한, 도 4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115)는 복수개의 경사진 날개들이 일정 간격마다 배치된 그릴(grille)(115a, 115b, 115c)들로 이루어지고, 일 예로 3개의 그릴(115a, 115b, 115c)들을 일렬로 나란히 배열하여 흡입구(115)를 구성하는 경우, 양측에 배치된 그릴(115a, 115c)의 날개는 상측으로 갈수록 중심을 향해 경사진 것을 사용함으로써 흡입된 공기가 중심측으로 모여 흡입 및 상승되게 한다.
그와 동시에, 가운데에 배치된 그릴(115b)은 유입된 공기가 블로워 판넬(130)에 형성된 관통공(130a) 측을 향하도록 그 날개의 방향 및 경사각이 조정되어 있어서, 양측 그릴(115a, 115c)에 의해 중심측을 향해 모여진 외기가 블로워 판넬(130)의 관통공(130a)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공기 유동이 일어나도록 한다.
반면, 배출구(117) 역시 3개의 그릴(117a, 117b, 117c)들로 이루어지지만 양측에 배치된 그릴(117a, 117c)의 날개는 상측으로 갈수록 외측을 향해 경사진 것을 사용함으로써 공기 정화를 마치고 배출되는 공기가 사방으로 분산되도록 하고, 그 중심에 배치된 그릴(117b)은 벽이 아닌 공조 공간측을 향하도록 그 날개의 방향 및 경사각이 조정되어 있어서 효율적인 공조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하부판(114)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캐스터(C)가 장착되는 체결구(114a)가 형성되어 있는데, 체결구(114a) 중심에는 나사공이 관통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공 주변에는 너트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는 고정편이 돌출되어 있으며, 고정편은 너트의 외주면 형상과 같이 다각형의 패턴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체결구(114a) 내에 금속 재질의 너트가 견고하게 끼워지면 하부판(114)의 분리 없이도 캐스터(C)를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한다.
즉, 캐스터(C)는 자체에 구비된 볼트를 통해 체결구(114a)의 나사공에 결합되는데, 고정편을 갖는 체결구(114a)가 없는 경우에는 하부판(114)을 분리한 상태에서 캐스터(C)의 볼트를 나사공에 결합 후 너트를 체결해야 하지만, 본 발명은 너트가 체결구(114a) 내에 견고히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므로 하부판(114)을 분리할 필요없이 캐스터(C)를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한다.
다음, 보조 필터 유닛(120)은 그 상부에 놓인 광 살균 폼 필터 유닛(150)에 의해 공기를 정화하고 살균하기 이전에 1차적으로 크기가 큰 먼지 등을 포집하고 공기를 정화하는 것으로, 보조 필터 케이스(121) 및 상기 보조 필터 케이스(121) 내부에 삽입되는 판 형상의 보조 필터(122)를 포함한다.
이때, 보조 필터 케이스(121)의 일측면은 개방되어 있어서 그 개방부를 통해 보조 필터(122)를 삽입하고, 상면과 하면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 유동부(121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 유동부(121a)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그 내부에 삽입된 보조 필터(122)에 의해 공기를 정화한다. 본체(110)의 후면판(112) 측을 바라보는 보조 필터 케이스(121)의 측면에는 손잡이(121b)가 구비되어 있다.
보조 필터(122)는 복수개의 필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7(팬용 브라켓(141)은 도시 생략되어 있음)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 예로서 하측부터 순차적으로 염화비닐필터(122a), 은 폼 필터(122b) 및 카본 필터(122c)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어서 3 단계에 걸쳐 먼지 등을 포집하고 공기를 정화한다.
이러한 보조 필터 유닛(120)은 본체(110) 내부에 조립식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미끄러져 삽입되고, 반대로 유지 보수시에도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본체(110)의 하부에는 한 쌍의 제3가이드(123)가 보조 필터 케이스(121)의 폭 만큼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보조 필터 유닛(120)의 삽입시 당해 보조 필터 유닛(120)이 끝까지 삽입되어 정위치에 도달하면 더 이상 내측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면판(111)의 내측면에는 정지 브라켓(124)이 설치되어 있고, 보조 필터 유닛(120)을 바라보는 정지 브라켓(124)의 일측면에는 자석(M)이 부착되어 있다. 물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조 필터 유닛(120)을 자력으로 잡아줄 수만 있으면 자석(M)을 정지 브라켓(124)의 옆에 별도로 부착(점선으로 표시)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보조 필터 유닛(120)이 제3가이드(123)를 따라 좌우로 흔들림 없이 삽입되다가 자석(M)에 근접하면 그 전부나 일부가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거나 혹은 일측에 상기 자석(M)과의 결합을 위한 금속편이 부착되어 있는 보조 필터 케이스(121)가 자력에 의해 달라붙게 되므로, 당해 보조 필터 유닛(120)이 정위치에 놓이게 된다.
만약, 이러한 자석(M)이 없으면 보조 필터 유닛(120)을 끝까지 삽입하기가 어렵고, 끝까지 삽입을 함에 따라 정위치에 놓이게 되었는지 확인도 어려우며, 보조 필터 유닛(120)의 고정을 위해 나사 체결 등을 해야하므로 조립이나 분해를 번거롭게 한다.
한편, 블로워 판넬(130)은 송풍팬(140)과 광 살균 폼 필터 유닛(150)을 서로 연결하고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10) 내부에 수평하게 고정되며, 도 5를 통해 좀더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측에는 공기가 상승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관통공(130a)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광 살균 폼 필터 유닛(150)을 지지하는 제1가이드(131)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면에는 송풍팬(140)을 지지하는 제2가이드(132)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흡입구(115)를 통해 흡입된 외기가 송풍팬(140)에 의해 강제 배출되면 상기 송풍팬(140)의 배출측과 연통하는 블로워 판넬(130)의 관통공(130a)을 통해 광 살균 폼 필터 유닛(150)의 입력측으로 외기가 제공되므로, 이와 같이 제공된 공기가 광 살균 폼 필터 유닛(150)에서 정화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하나의 블로워 판넬(130) 상하면에 각각 광 살균 폼 필터와 송풍팬(140)을 모두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장치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임은 물론, 송풍팬(140)에서 배출된 공기가 직접 광 살균 폼 필터 유닛(150)으로 공급되어 공기의 공급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제1가이드(131)는 광 살균 폼 필터 유닛(150)의 인입 측을 제외한 나머지 3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해당 광 살균 폼 필터 유닛(150)이 좌우로 흔들림 없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고, 끝까지 밀어넣으면 자동으로 정위치에 배치되게 한다.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립된 이후에는 고정을 위해 볼트 결합을 한다.
또한, 제2가이드(132)는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들이 서로 이격하여 나란히 배치되어 있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송풍팬(140)의 배출측 단부에 구비된 팬용 브라켓(141)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립되고, 상기 팬용 브라켓(141)이 제2가이드(132)에 걸려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송풍팬(140)은 팬용 브라켓(141)을 통해 블로워 판넬(130)의 제2가이드(132)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립되며, 흡입구(115)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광 살균 폼 필터 유닛(150)을 거친 다음 배출구(117)를 통해 배출되도록, 양측면에는 각각 공기 유입부(140a)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배출부(140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송풍팬(140)의 공기 배출측 단부 테두리에는 팬용 브라켓(141)이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팬용 브라켓(141)은 외측을 향해 연장된 안내편(141a)을 구비하고 있어서, 안내편(141a)은 블로워 판넬(130)의 제2가이드(132)에 맞물려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립된다.
송풍팬(140)은 전기구동장치의 일종이며 오염된 공기가 통과하는 부분이므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이 가능해야만 고장시나 정기적인 유지 보수시 분리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송풍팬(140)의 공기 배출부(140b)는 블로워 판넬(130)의 관통공(130a)을 통해 광 살균 폼 필터 유닛(150)의 공기 흡입측과 직접 연결되어 있으므로, 송풍팬(140)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공기가 광 살균 폼 필터 유닛(150)으로 자연스럽게 공급된다.
광 살균 폼 필터 유닛(150)은 유지 보수에 용이하도록 블로워 판넬(130)의 제1가이드(131)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립되며, 살균을 위한 살균 램프(152) 및 표면이 은으로 코팅된 다공성 발포체인 살균 폼 필터(153)를 포함한다. 살균 램프(152)와 살균 폼 필터(153)는 필터 유닛 케이스(151)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 중 부유물질을 포집 및 살균한다.
필터 유닛 케이스(151)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어 있고, 전방부는 덮개(151d)에 의해 막혀 있다. 또한, 도 6을 통해 좀더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양측부에는 각각 복수개의 설치공(151c)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케이스 스페이서(151a)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메쉬(mesh) 형상의 살균기 폼 가이드(151b)들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필터 유닛 케이스(151)의 전방부를 막고 있는 덮개(151d)를 제거한 후 양측부에 각각 형성된 설치공(151c)에 살균 램프(152)의 양단부가 끼워지도록 조립하고, 살균기 폼 가이드(151b)들 사이에는 판 상의 살균 폼 필터(153)를 삽입하여 조립할 수 있게 한다.
살균 폼 필터(153)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수지 발포체(foam) 표면을 은(Ag)으로 도금한 후, 내부의 다공성 수지 발포체를 열처리를 통해 제거하여 제조된 것으로, 대체로 판 상으로 구성되며 표면에 발포체 특유의 기공이 다수 형성된다.
살균 폼 필터(153)는 다공성 발포체로서 표면에 수많은 기공이 형성되므로 미세 부유물질이 상기 기공에 침투하여 포집됨으로써 공기 정화 능력이 우수하며, 표면에 코팅된 은 성분은 SH 그룹과 결합하여 단백질과 반응함으로써 단백질을 비활성화시키므로 단백질로 구성된 각종 세균을 살균한다.
또한, 산소 전하 수용액에서 미생물의 산화를 촉진시키고, 은이온이 단백질의 Thiol 계통과 반응하여 세균성 단백질의 비활성화를 유도하며, 은 이온이 세균 주변 및 내부의 산소를 빼앗아 결합함으로서 산소 결핍으로 세균의 호흡이 억제되어 죽거나 생식기관 파괴로 번식을 방해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은 이온은 인체에 작용하여, 혈액 정화 및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며, 면역력을 증진시키고, 피로 회복, 자율신경 안정 효과 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서, 이와 같은 효능을 갖는 은 성분을 발포폼 형태로 구성하여 필터로 사용함으로써, 부유물 포집, 공기 정화 및 살균 효과가 극대화시키는 것이다.
살균 램프(152)는 광 살균 효과를 발휘토록 하여 살균 효과를 극대화하는 수단으로, UV A 및 C 램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각각 필터 유닛 케이스(151)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설치공(151c)에 끼워져 조립된다.
이러한 살균 램프(152)는 보통 설치공(151c)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된 단자에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되는데, 전원공급은 일 예로서 필터 유닛 케이스(151)의 전방부를 막는 덮개(151d)에 결합된 기판(154) 상에 안정기 등을 포함한 전원공급부(15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그 제어는 제어판(111a)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광 살균 폼 필터 유닛(150)으로 유입된 공기는 살균 램프(152)에 의해 살균되고, 살균 폼 필터(153)에는 부유물이 포집되며, 포집된 부유물은 다시 살균 램프(152)에 의해 살균됨으로써, 공기 정화 및 살균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게 한다.
다만,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 램프(152)는 살균 폼 필터(153) 사이에 배치되되, 복수개의 층상에 나열되어 있는데, 이때 각 층에 나열된 살균 램프(152)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서,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살균 폼 필터(153) 전면을 고르게 광 살균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이상과 같은 광 살균 폼 필터 유닛(150)의 상면과 상부판(116) 사이에는 탑 메쉬(156)를 삽입 설치할 수 있는데, 탑 메쉬(156)는 본체(110)의 상부판(116)에 구비된 그릴(117)과 동일 혹은 유사한 패턴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살균 폼 필터(153) 유닛에서 정화된 공기가 상부판(116)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탑 메쉬(156)는 일 예로서 일단에 구비된 'ㄱ' 형상의 고정 브라켓이 광 살균 폼 필터 유닛(150)의 전방 상단에 구비된 결합판(154a)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설치되어 배출중인 공기에 의해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10: 본체 111: 전면판
112: 후면판 113: 측면판
114: 하부판 115: 그릴(하부판용)
116: 상부판 117: 그릴(상부판용)
120: 보조 필터 유닛 121: 보조 필터 케이스
122: 보조 필터 130: 블로워 판넬
131: 제1가이드 132: 제2가이드
140: 송풍팬 141: 팬용 브라켓
150: 광 살균 폼 필터 유닛 151: 필터 유닛 케이스
152: 살균 램프 153: 살균 폼 필터

Claims (5)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판에 설치되며,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직선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판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구와; 상기 본체 내부에 수평하게 고정되며 상면에는 제1가이드가 구비되어 있고, 하면에는 제2가이드가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부에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블로워 판넬과; 상기 제1가이드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립되며, 표면이 은으로 코팅된 다공성 발포체인 살균 폼 필터 및 살균 램프를 포함하여 공기 중 부유물질을 포집 및 살균하는 광 살균 폼 필터 유닛과; 상기 제2가이드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립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광 살균 폼 필터 유닛을 통과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고정된 제3가이드; 및 상기 제3가이드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조립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보조 필터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광 살균 폼 필터 유닛은, 상부와 하부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개방되어 있고, 양측부에는 각각 복수개의 설치공이 형성되어 있는 필터 유닛 케이스와; 상기 개방된 필터 유닛 케이스의 전방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필터 유닛 케이스 내부에 끼워지되 공기가 통과하도록 메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살균기 폼 가이드와; 서로 인접한 상기 살균기 폼 가이드들 사이에 끼워져 조립되는 판상의 살균 폼 필터와; 상기 필터 유닛 케이스의 양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설치공에 양단부가 끼워져 조립되는 살균 램프; 및 상기 필터 유닛 케이스의 전방부를 막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살균 공기 정화 살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필터 유닛은,
    일측면은 개방되어 있고 상면과 하면은 상기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 유동부가 형성되어 있는 사각 블럭 형상의 보조 필터 케이스 및 상기 보조 필터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면을 통해 삽입되는 판 상의 보조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살균 공기 정화 살균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 일측면에는 자석이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보조 필터 케이스가 상기 제3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면, 상기 자석에 의해 정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살균 공기 정화 살균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와 배출구는 각각 복수개의 그릴(grille)로 이루어지되, 상기 흡입구의 그릴들은 상기 흡입구의 중심측을 향해 외기를 모으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배출구의 그릴은 정화된 공기를 상기 배출구의 외측을 향해 분산시키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살균 공기 정화 살균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의 공기 배출측 단부 테두리에는 팬용 브라켓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팬용 브라켓은 외측을 향해 연장된 안내편을 구비하고, 상기 안내편은 상기 블로워 판넬의 제2가이드에 맞물려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립되며,
    상기 안내편에 의해 조립된 상기 송풍팬의 공기 배출구는 상기 블로워 판넬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광 살균 폼 필터 유닛의 공기 흡입측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살균 공기 정화 살균기.



KR1020110088332A 2011-09-01 2011-09-01 광 살균 공기 정화 살균기 KR101079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332A KR101079110B1 (ko) 2011-09-01 2011-09-01 광 살균 공기 정화 살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332A KR101079110B1 (ko) 2011-09-01 2011-09-01 광 살균 공기 정화 살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9110B1 true KR101079110B1 (ko) 2011-11-02

Family

ID=45397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332A KR101079110B1 (ko) 2011-09-01 2011-09-01 광 살균 공기 정화 살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91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40946A (zh) * 2015-01-05 2015-07-01 中山市兆美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空气过滤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5037A (ja) 2006-03-17 2007-09-27 Ricotech:Kk 抗菌、脱臭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5037A (ja) 2006-03-17 2007-09-27 Ricotech:Kk 抗菌、脱臭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40946A (zh) * 2015-01-05 2015-07-01 中山市兆美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空气过滤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50697A1 (en) Method for purifying inside of room
KR102446938B1 (ko) 복합살균식 공기 살균기
KR200439228Y1 (ko) 광 플라즈마 살균부가 구비된 공기조화기
CN209916788U (zh) 一种新生儿重症监护室用空气消毒装置
US20220176287A1 (en) Wall-mounted air purifier
KR101249507B1 (ko) 자외선 램프를 구비한 가습 공기청정기
KR101079110B1 (ko) 광 살균 공기 정화 살균기
KR102251233B1 (ko) 흡기 범위 확장형 기능성 음압장치
KR100903404B1 (ko) 엘리베이터용 공기청정기
KR20210151666A (ko) 멸균 기능을 갖는 전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환기방법
KR102110122B1 (ko) 공기 청정기
KR101999794B1 (ko) 실내공기 환기시스템
KR20110012627A (ko) 살균장치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KR20170055689A (ko) 공기살균 청정기
CN214276060U (zh) 壁挂式空气净化机
CN201885317U (zh) 一种壁挂式多功能层流杀菌机
CN213429042U (zh) 衣柜
WO2010053228A1 (en) Air conditioner
CN211451218U (zh) 一种柜式空气消毒净化器
KR100654734B1 (ko) 자외선 램프를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 내부 배치구조
KR20220151318A (ko) 헤파필터용 회전형 자외선 살균유닛
JP2004044823A (ja) 簡易クリーンブース
CN111765552A (zh) 除霾机
JP2014185590A (ja) 送風装置及びこの送風装置を備えた居室
CN216346866U (zh) 空气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