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8151B1 -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 무선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 무선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8151B1
KR101078151B1 KR1020090122600A KR20090122600A KR101078151B1 KR 101078151 B1 KR101078151 B1 KR 101078151B1 KR 1020090122600 A KR1020090122600 A KR 1020090122600A KR 20090122600 A KR20090122600 A KR 20090122600A KR 101078151 B1 KR101078151 B1 KR 101078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relay
terminal
signal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2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5910A (ko
Inventor
김민석
이병철
최화림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22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8151B1/ko
Publication of KR20110065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센서데이터 전송요청에 관한 제1 무선신호를 수신 함에 따라, 연결된 서브 시스템과 관련하여 생성되는 센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무선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무선단말기, 및 상기 제1 무선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무선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제2 무선신호에 포함되는 센서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에 연결된 서브 시스템에 대한 이상 발생을 감시하는 중앙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 무선 감시 시스템이 개시된다.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 무선 감시 장치, 무선신호, FSK 송수신회로

Description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 무선 감시 시스템{WIRELESS SURVEILLANCE SYSTEM FOR HIGH CURRENT ELECTRON BEAM GENERATO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개의 서브 시스템(sub-system)으로 분산 설치된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를 무선 감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브 시스템과 연결된 무선단말기를 통해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센서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브 시스템에 대한 이상 발생을 감시하고, 이상 발생 시 또는 이상이 예상되는 경우 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는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 무선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서브 시스템(sub-system)들은 분산되어 배치된다. 각 서브 시스템은 전체 장치의 정상 동작을 위해 적정 온도, 적정 습도와 같은 조건들을 유지해야 하며, 각 서브 시스템은 대기 중인 경우에도 적정 레벨이 유지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관리자가 각 서브 시스템과 관련되어 생성되는 센서데이터를 수시로 확인하거나, 또는 자동으로 기록된 센서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브 시스템을 감시하였으나, 이 경우, 24시간 감시가 어렵기 때문에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에 문제 가 발생될 위험이 있다.
또한, 유선 센서를 이용한 서브 시스템의 감시 장치는 정전 시에도 정상 동작해야 하고, 설치가 용이해야 하며, 고전압에 의한 영향이 적어야 한다는 조건을 만족해야 하므로, 센서 통신라인이 손상될 위험성이 큰 고전압시설에 추가적인 라인 설치가 용이하지 않고, 배치 변화 시 재구성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분산 설치된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의 각 서브 시스템과 관련하여 생성되는 센서데이터를, 필요 시 서브 시스템과 연결된 무선단말기로 요청하고, 센서데이터가 포함된 무선신호를 전파장애 없이 수신하여, 서브 시스템에 대한 이상 발생을 용이하게 감시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분산 설치된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의 각 서브 시스템과 연결된 무선단말기를 통해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센서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브 시스템에 대한 이상 발생을 감시하고, 이상 발생 시 또는 이상이 예상되는 경우 관리자에게 통보 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 무선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무선단말기와 중앙제어장치 간의 이격 거리가 큰 경우, 사이에 위치한 다른 무선단말기를 통해 무선신호를 중계 송신 함으로써, 원거리의 무선단말기와 중앙제어장치 간에 용이하게 통신이 이루어지게 하는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 무선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분산 설치된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의 각 서브 시스템과 관련하여 생성되는 센서데이터를, 필요 시 서브 시스템과 연결된 무선단말기로 요청하고, 센서데이터가 포함된 무선신호를 전파장애 없이 수신하여, 이상 발생을 용이하게 감시할 수 있는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 무선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 무선 감시 시스템은, 센서데이터 전송요청에 관한 제1 무선신호를 수신 함에 따라, 연결된 서브 시스템과 관련하여 생성되는 센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무선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무 선단말기, 및 상기 제1 무선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무선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제2 무선신호에 포함되는 센서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에 연결된 서브 시스템에 대한 이상 발생을 감시하는 중앙제어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의 분산 배치된 서브 시스템들의 상태를 무선 감시하여 이상 발생 시 또는 이상 예상되는 경우, 관리자에게 경고 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시스템의 추가 또는 배치 변화에도 재구성이 간편하고, 무선단말기 간 중계를 통해 이격 거리가 큰 중앙제어장치와 무선단말기 간에 송수신되는 무선신호의 전파 크기가 약해지지 않도록 하여, 원활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 무선 감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 무선 감시 시스템(100)은 중앙제어장치(110) 및 복수의 무선단말기(120)를 포함하여 구 성될 수 있다.
중앙제어장치(110)는 센서데이터 전송요청에 관한 제1 무선신호를 생성하고,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서브 시스템(sub-system, 130)과 연결된 무선단말기(120)로 상기 생성된 제1 무선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중앙제어장치(110)는 상기 생성된 제1 무선신호가 도달해야 할 목적지 무선단말기와, 상기 목적지 무선단말기 사이에 위치하는 중계 무선단말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목적지 무선단말기에 할당된 수신채널(예컨대, 채널 10번)과, 상기 결정된 중계 무선단말기에 할당된 중계채널(예컨대, 채널 5번)을 포함하는 제1 무선신호를 생성하여 송신 함으로써, 상기 제1 무선신호가 상기 중계채널이 할당된 중계 무선단말기를 경유하여, 상기 수신채널이 할당된 목적지 무선단말기로 중계 송신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무선신호를 수신한 무선단말기(120)에 할당된 채널(예컨대, 채널 3번)과, 상기 제1 무선신호에 포함되는 중계채널(예컨대, 채널 5번)이 서로 상이한 경우, 무선단말기(120)는 상기 제1 무선신호를 상기 중계채널이 할당된 중계 무선단말기로 전달하여, 상기 제1 무선신호가 상기 중계 무선단말기를 통해 목적지 무선단말기로 중계 송신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무선신호를 수신한 무선단말기(120)에 할당된 채널(예컨대, 채널 8번)과, 상기 제1 무선신호에 포함되는 수신채널(예컨대, 채널 10번)이 서로 상이한 경우, 무선단말기(120)는 상기 제1 무선신호를 상기 수신채널이 할당된 목적지 무선단말기로 전달하여, 상기 제1 무선신호가 목적지 무선단말기로 중계 송신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단말기(120) 간 중계를 통해 제1 무선신호가 송신되도록 함으로써, 중앙제어장치(110)로부터 원거리(예컨대, 기 설정된 무선신호 송신 범위)에 위치한 무선단말기(120)에 수신되는 제1 무선신호의 전파크기가 약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중앙제어장치(110)는 원거리에 위치한 서브 시스템과 관련된 센서데이터를 용이하게 전송 요청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앙제어장치(110)는 중계 여부, 및 재전송 여부에 관한 표시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무선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할 수 있다. 예컨대, 중앙제어장치(110)는 제1 무선신호를 중계 무선단말기를 경유하여, 원거리에 위치한 목적지 무선단말기로 중계 송신하려는 경우, 목적지 무선단말기에 할당된 수신채널, 및 중계 무선단말기에 할당된 중계채널과 함께, 중계 여부를 온(on)으로, 재전송 여부를 오프(off)로 설정한 표시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무선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앙제어장치(110)에서 중계 여부가 온(on)으로, 재전송 여부가 오프(off)로 설정된 제1 무선신호가 송신될 경우, 상기 중계 무선단말기로 결정된 무선단말기(120)는, 상기 제1 무선신호를 수신한 뒤, 상기 재전송 여부를 온(on)으로 변경한 제1 무선신호를, 상기 수신채널이 할당된 목적지 무선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지 무선단말기는 상기 중계 여부가 온(on)이면서, 상기 재전송 여부가 오프(off)로 설정된 제1 무선신호를 수신할 경우에는, 센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무선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대기하다가, 상기 재전송 여부가 온(on)으 로 변경된 제1 무선신호를 수신할 경우에, 상기 제2 무선신호를 생성하여 중앙제어장치(110)로 송신할 수 있다. 즉, 상기 목적지 무선단말기는 수신된 제1 무선신호에 포함된 표시데이터에서 중계 여부가 온(on)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표시데이터에서 재전송 여부가 온(on)으로 설정되는지를 확인 함으로써, 상기 제1 무선신호가 정상적으로 상기 중계 무선단말기를 경유하여 수신된 신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제1 무선신호가 정상적으로 상기 중계 무선단말기를 경유하여 수신된 신호로 판단될 경우에, 상기 제2 무선신호는 중앙제어장치(110)로 송신될 수 있다.
무선단말기(120)는 센서데이터 전송요청에 관한 상기 제1 무선신호를 수신 함에 따라, 무선단말기(120)와 연결된 서브 시스템(130)과 관련하여 센서에서 생성되는 센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무선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된 제1 무선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생성된 제2 무선신호를 중앙제어장치(110)로 송신한다.
중앙제어장치(110)는 무선단말기(120)로부터 상기 제2 무선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제2 무선신호에 포함되는 센서데이터를 이용하여, 무선단말기(120)에 연결된 서브 시스템(130)에 대한 이상 발생을 감시한다.
예컨대, 중앙제어장치(110)는 상기 센서데이터를 LCD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센서데이터가 설정된 알람레벨을 만족할 경우, 서브 시스템(130)에 대해, 이상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람레벨은 LCD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 센서데이터를 확인한 관리자로부터, 터치스크린 기능을 갖는 상기 LCD 디스플레이를 통해 입력되어 설정되거나, 또는 사전에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중앙제어장치(110)는 서브 시스템(130)에 대해 이상 발생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LCD 디스플레이를 통해 이상 발생을 표시하고, FSK 송신기를 이용하여 무선사이렌(140)을 동작시키고, PSTN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자에게 이상 발생을 통보할 수 있다.
또한, 중앙제어장치(110)는 상기 센서데이터를 서브 시스템(130)과 연관하여 메모리에 저장 함으로써, 서브 시스템(130)에 대한 이상 발생시, 상기 메모리로의 관리자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이상 발생 전/후에 저장된 센서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서 확인하여, 서브 시스템(130)에서 발생한 장애를 용이하게 복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중앙제어장치(110) 및 무선단말기(120)는 평상 시에는 아답터 전원(즉, 아답터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며, 정전 발생 시에는 구비된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정상 동작을 유지하고, PSTN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자에게 정전 발생을 통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의 분산 배치된 서브 시스템들의 상태를 무선 감시하여 이상 발생 시 또는 이상 예상되는 경우, 관리자에게 경고 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시스템의 추가 또는 배치 변화에도 재구성이 간편하면서, 원거리에 설치되어 전파가 약할 경우에도 무선단말기 간 중계를 통해 원활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측에 있어서, 중앙제어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제어장치(1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210), FSK 송신기(220), 안테나(230), 안테나 매칭회로(240), FSK 수신기(250), 아답터 전원(260), 배터리 전원(270), PSTN 인터페이스(280), LCD 디스플레이(290), 및 메모리(29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의 분산 배치된 서브 시스템(130)들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해, 센서데이터 전송요청에 관한 제1 무선신호를 생성하고, FSK 송신기(220)와 안테나(230), 및 안테나 매칭회로(240)를 통해 상기 생성된 제1 무선신호를 상기 서브 시스템에 연결된 무선단말기(120)로 송신할 수 있다.
일례로,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상기 제1 무선신호가 상기 중계채널이 할당된 중계 무선단말기를 경유하여, 상기 수신채널이 할당된 목적지 무선단말기로 중계 송신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제1 무선신호가 도달해야 할 목적지 무선단말기에 할당된 수신채널(예컨대, 채널 10번)과, 상기 목적지 무선단말기 사이에 위치하는 중계 무선단말기에 할당된 중계채널(예컨대, 채널 5번)과, 중계 여부를 온(on)으로, 재전송 여부를 오프(off)로 설정한 표시데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무선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중계 무선단말기로 결정된 무선단말기(120)는, 상기 제1 무선신호를 수신한 뒤, 상기 재전송 여부를 온(on)으로 변경한 제1 무선신호를, 상기 수신채널이 할당된 목적지 무선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단말기(120) 간 중계를 통해 제1 무선신호가 송신되도록 함으로써, 중앙제어장치(110)로부터 원거리(예컨대, 기 설정된 무선신호 송신 범위)에 위치한 무선단말기(120)에 수신되는 제1 무선신호의 전파크기가 약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중앙제어장치(110)는 원거리에 위치한 서브 시스템과 관련된 센서데이터를 용이하게 전송 요청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무선단말기(120)에서 송신하는 제2 무선신호를 FSK 수신기(250)를 통해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제2 무선신호에 포함되는 센서데이터를 처리하여, 무선단말기(120)에 연결된 서브 시스템(130)에 대한 이상 발생을 감시할 수 있다.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상기 센서데이터를 LCD 디스플레이(290)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센서데이터가 설정된 알람레벨을 만족할 경우, 서브 시스템(130)에 대해, 이상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람레벨은 LCD 디스플레이(290)를 통해 표시된 센서데이터를 확인한 관리자로부터, 터치스크린 기능을 갖는 LCD 디스플레이(290)를 통해 입력되어 설정되거나, 또는 사전에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서브 시스템(130)에 대해 이상 발생으로 판단하는 경우, LCD 디스플레이(290)를 통해 이상 발생을 표시하고, FSK 송신기(220)를 이용하여 무선사이렌(140)을 동작시키고, PSTN 인터페이스(280)를 통해 관리자에게 이상 발생을 통보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상기 센서데이터를 서브 시스템(130)과 연관 하여 메모리(295)에 저장 함으로써, 서브 시스템(130)에 대한 이상 발생시, 메모리(295)로의 관리자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이상 발생 전/후에 저장된 센서데이터를 메모리(295)에서 확인하여, 서브 시스템(130)에서 발생한 장애를 용이하게 복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앙제어장치(110)는 아답터 전원(260)과 배터리 전원(270)을 구비하며, 평상 시에는 아답터 전원(260)을 이용하여 동작하되, 정전 발생 시에는 배터리 전원(270)을 이용하여 정상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PSTN 인터페이스(280)를 통해 관리자에게 정전 발생을 통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앙제어장치(110)는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의 분산 배치된 서브 시스템들의 상태를 무선 감시하여 이상 발생 시 또는 이상 예상되는 경우, 관리자에게 경고 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중앙제어장치(110)는 상기 제1 무선신호를 송신하려는 무선단말기가 원거리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무선신호의 전파크기가 약할 경우에도, 무선단말기 간 중계를 통해 원활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측에 있어서, 무선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120)는 마이크로프로세서(310), FSK 송신기(320), 안테나(330), 안테나 매칭회로(340), FSK 수신기(350), 아답터 전원(360), 및 배터리 전원(3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310)는 중앙제어장치(110)에서 전송되는 센서데이터 전송 요청에 관한 제1 무선신호를, FSK 수신기(35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310)는 중계 무선단말기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상기 제1 무선신호를, FSK 수신기(350)를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수신된 제1 무선신호에 포함된 표시데이터에서, 중계 여부가 오프(off)로, 재전송 여부가 오프(off)로 설정된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310)는 상기 제1 무선신호를, 중계 무선단말기를 경유하지 않고 중앙제어장치(110)에서 바로 수신된 신호로 판단하고, 무선단말기(120)와 연결된 서브 시스템(130)에 관해 센서에서 생성되는 센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무선신호를 생성하여, FSK 송신기(320)와, 안테나(330), 및 안테나 매칭회로(340)를 통해 중앙제어장치(110)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상기 수신된 제1 무선신호에 포함된 표시데이터에서, 중계 여부가 온(on)으로, 재전송 여부가 온(on)로 설정된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310)는 상기 제1 무선신호를, 정상적으로 중계 무선단말기를 경유하여 수신된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310)는 중계 무선단말기에 할당된 중계채널과, 중계 여부(on) 및 재전송 여부(off)에 관한 표시데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제2 무선신호를 송신 함으로써, 상기 제2 무선신호도 상기 중계채널이 할당된 중계 무선단말기를 경유하여 중앙제어장치(110)로 중계 송신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계채널이 할당된 중계 무선단말기는, 상기 제2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재전송 여부를 온(on)으로 변경한 제2 무선신호를 중앙제어장치(11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무선신호에 포함되는 중계채널은 상기 제1 무선신호에 포 함된 중계채널과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단말기(120) 간 중계를 통해 제2 무선신호가 송신되도록 함으로써, 중앙제어장치(110)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무선단말기(120)에서 송신하는 제2 무선신호의 전파크기가 약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중앙제어장치(110)는 원거리에 위치한 서브 시스템과 관련된 센서데이터를 용이하게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수신된 제1 무선신호에 포함된 표시데이터에서, 중계 여부가 온(on)으로, 재전송 여부가 오프(off)로 설정된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310)는 상기 제1 무선신호를, 정상적으로 상기 중계 무선단말기를 경유하여 수신된 신호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2 무선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대기할 수 있다.
또한, 무선단말기(120)는 아답터 전원(360)과 배터리 전원(370)을 구비하며, 평상 시에는 아답터 전원(360)을 이용하여 동작하되, 정전 발생 시에는 배터리 전원(370)을 이용하여 정상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정전 발생에 관한 센서데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제2 무선신호를 중앙제어장치(110)로 송신 함으로써, 무선단말기(120)에서의 정전 발생이 관리자에게 통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측에 있어서, 제1 무선신호에 포함되는 표시데이터와, 중계채널, 및 수신채널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중앙제어장치(110)와 무선단말기(120) 간에 송수신되는 제 1 무선신호 또는 제2 무선신호에는, 중계 여부 및 재전송 여부에 관한 표시데이터(410)와, 중계채널(420), 또는 수신채널(430)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제어장치(110)는 제1 무선신호를, 중계 무선단말기를 경유하여 목적지 무선단말기로 중계 송신하려는 경우, 중계 여부를 온(on)으로, 재전송 여부를 오프(off)로 설정한 표시데이터(410)와, 중계 무선단말기에 할당된 중계채널(예컨대, 채널 5번), 및 목적지 무선단말기에 할당된 수신채널(예컨대, 채널 10번)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무선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무선신호를 수신한 중계 무선단말기는, 상기 재전송 여부를 온(on)로 변경한 제1 무선신호를, 상기 수신채널이 할당된 목적지 무선단말기로 중계 송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선단말기(120)는 제2 무선신호를, 중계 무선단말기를 경유하여 중앙제어장치(110)로 중계 송신하려는 경우, 중계 여부를 온(on)으로, 재전송 여부를 오프(off)로 설정한 표시데이터(410)와, 중계 무선단말기에 할당된 중계채널(예컨대, 채널 5번), 및 중앙제어장치(110)에 할당된 수신채널(예컨대, 채널 0번)을 포함하여 상기 제2 무선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무선신호를 수신한 중계 무선단말기는, 상기 재전송 여부를 온(on)로 변경한 제2 무선신호를, 중앙제어장치(110)로 중계 송신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측에 있어서, 제1 무선신호가 중계 무선단말기를 경유하여 목적지 무선단말기로 중계 송신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 무선 감시 시스템은 중앙제어장치(510)와, 서브 시스템(521)과 연결된 목적지 무선단말기(520), 및 서브 시스템(531)와 연결된 중계 무선단말기(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시스템(521)과 서브 시스템(531)은 분산 설치된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중앙제어장치(510)에서 중계 여부를 온(on)으로, 재전송 여부를 오프(off)로 설정한 표시데이터와, 중계채널을 채널 5번으로, 수신채널을 채널 10번으로 포함하는 제1 무선신호를 송신 함에 따라, 상기 중계채널이 할당된 중계 무선단말기(530)는 상기 제1 무선신호를 수신한 뒤, 상기 재전송 여부를 온(on)으로 변경한 제1 무선신호를, 상기 수신채널이 할당된 목적지 무선단말기(520)로 전송할 수 있다.
목적지 무선단말기(520)는 상기 제1 무선신호를 중계 무선단말기(53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제1 무선신호에 포함된 표시데이터에서 재전송 여부를 온(on)으로 확인 함에 따라, 상기 제1 무선신호를 정상적으로 중계 무선단말기(530)를 경유하여 수신된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목적지 무선단말기(520)는 연결된 서브 시스템(521)에 관해 생성되는 센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무선신호를, 중계 무선단말기(530)를 경유하여 중앙제어장치(510)로 중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목적지 무선단말기(520)는 중계 여부가 온(on)이면서, 상기 재전송 여부가 오프(off)로 설정된 제1 무선신호를 수신할 경우에는, 상기 제2 무선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대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단말기 간 중계를 통해 제1 무선신호 또는 제2 무선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함으로써, 중앙제어장치(510)와 목적지 무선단말기(520) 간의 이격 거리가 큰 경우에도, 송수신되는 제1 무선신호 또는 제2 무선신호의 전파크기가 약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중앙제어장치(510)는 분산 설치된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의 서브 시스템과 관련된 센서데이터를, 필요 시 전송 요청하여 수신 함으로써, 상기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에 대한 이상 발생 여부를 용이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 무선 감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측에 있어서, 중앙제어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측에 있어서, 무선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측에 있어서, 제1 무선신호에 포함되는 표시데이터와, 중계채널, 및 수신채널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측에 있어서, 제1 무선신호가 중계 무선단말기를 경유하여 목적지 무선단말기로 중계 송신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 무선 감시 시스템
110: 중앙제어장치 120: 무선단말기
130: 서브 시스템 140: 무선사이렌
210, 310: 마이크로프로세서 220, 320: FSK 송신기
230, 330: 안테나 240, 340: 안테나 매칭회로
250, 350: FSK 수신기 260, 360: 아답터 전원
270, 370: 배터리 전원 280: PSTN 인터페이스
290: LCD 디스플레이 295: 메모리

Claims (11)

  1. 센서데이터 전송요청에 관한 제1 무선신호를 수신 함에 따라, 연결된 서브 시스템과 관련하여 생성되는 센서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무선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무선단말기; 및
    상기 제1 무선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무선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제2 무선신호에 포함되는 센서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에 연결된 서브 시스템에 대한 이상 발생을 감시하는 중앙제어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상기 생성된 제1 무선신호가 도달해야 할 목적지 무선단말기와, 상기 목적지 무선단말기 사이에 위치하는 중계 무선단말기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무선신호가 상기 중계 무선단말기를 경유하여, 상기 목적지 무선단말기로 중계 송신되도록 하는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 무선 감시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상기 목적지 무선단말기에 할당된 수신채널과, 상기 중계 무선단말기에 할당된 중계채널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무선신호를 생성하는,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 무선 감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신호를 수신한 상기 무선단말기는,
    상기 제1 무선신호에 포함되는 중계채널과, 사전에 할당된 채널이 서로 상이한 경우, 상기 제1 무선신호를, 상기 중계채널이 할당된 중계 무선단말기로 전송하는,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 무선 감시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중계 여부 및 재전송 여부에 관한 표시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무선신호를 생성하는,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 무선 감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여부가 온(on)으로, 상기 재전송 여부가 오프(off)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중계 무선단말기로 결정된 무선단말기는,
    상기 제1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재전송 여부를 온(on)으로 변경한 제1 무선신호를, 상기 수신채널이 할당된 목적지 무선단말기로 전송하는, 대전류 전자 빔 발생 장치 무선 감시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상기 센서데이터를 상기 서브 시스템과 연관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서브 시스템에 대한 이상 발생시, 상기 메모리로의 관리자 접근을 허용하는,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 무선 감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상기 센서데이터를 LCD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서브 시스템에 대한 이상 발생 시, 상기 LCD 디스플레이를 통해 이상 발생을 표시하는,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 무선 감시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상기 센서데이터가 설정된 알람레벨을 만족할 경우, 상기 서브 시스템에 대해, 이상 발생으로 판단하는,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 무선 감시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시스템에 대해 이상 발생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FSK 송신기를 이용하여 무선사이렌을 동작시키고, PSTN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자에게 이상 발생을 통보하는,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 무선 감시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장치 및 상기 무선단말기는,
    아답터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되, 정전 발생 시,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정상 동작을 유지하고, 정전 발생을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 무선 감시 시스템.
KR1020090122600A 2009-12-10 2009-12-10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 무선 감시 시스템 KR101078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600A KR101078151B1 (ko) 2009-12-10 2009-12-10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 무선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600A KR101078151B1 (ko) 2009-12-10 2009-12-10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 무선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910A KR20110065910A (ko) 2011-06-16
KR101078151B1 true KR101078151B1 (ko) 2011-10-28

Family

ID=44398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600A KR101078151B1 (ko) 2009-12-10 2009-12-10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 무선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815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910A (ko)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4827B1 (ko) 공기조화기의 통신이상 진단시스템 및 그 방법
US9659415B2 (en) Apparatus for warning of occurrence of error of device
JP2013502865A (ja) 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EP1837763A2 (en) Protection of devices in a redundant configuration
JPH10326384A (ja) 警備システム
JP4642442B2 (ja) 避雷器監視システム
KR101078151B1 (ko) 대전류 전자빔 발생 장치 무선 감시 시스템
KR101297024B1 (ko) 캔통신을이용한 자동차 고장진단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JP2008020969A (ja) 監視制御システムの異常・故障通報方式および方法
KR101937244B1 (ko) 포괄적 유지보수 전용 시스템
KR20160020748A (ko) Cctv 관리 시스템
US20130054676A1 (en) Computer network based hazardous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nd server
JP4463119B2 (ja) プロジェクタ管理システム
JP6474480B1 (ja) 監視システム
JP6087562B2 (ja) 警備システム
JP2004088236A (ja) 無線基地局監視システム
JP2009193317A (ja) 電子機器
JP6381059B1 (ja) 警備装置、警備システム、通報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70441B1 (ja) 遠隔監視システム
JP2007122196A (ja) 監視システム
KR100853521B1 (ko) 영상 광전송장치의 광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0379120B1 (ko) 객차에 설치된 멀티미디어 장치의 고장 진단 시스템
CN115333926A (zh) 一种路侧单元的故障处理方法、rsu及车联网系统
KR20230146728A (ko) 설비의 경보 신호 송수신 시스템
GB2552783A (en) Communications method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