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7996B1 - 횡력 보강재를 구비한 철골 구조물의 내력벽 - Google Patents

횡력 보강재를 구비한 철골 구조물의 내력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7996B1
KR101077996B1 KR1020090022019A KR20090022019A KR101077996B1 KR 101077996 B1 KR101077996 B1 KR 101077996B1 KR 1020090022019 A KR1020090022019 A KR 1020090022019A KR 20090022019 A KR20090022019 A KR 20090022019A KR 101077996 B1 KR101077996 B1 KR 101077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bearing wall
lateral force
vertical members
steel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3936A (ko
Inventor
김갑득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22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7996B1/ko
Publication of KR20100103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58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8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4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2Columns; Pillars; Strut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력벽의 두께 증가를 유발하지 않는 횡력 보강재를 구비한 철골 구조물의 내력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골 구조물의 내력벽은, ⅰ) 서로간 거리를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수직 부재들과, ⅱ) 수직 부재들의 하측 단부를 감싸며 수직 부재들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지지 부재와, ⅲ) 수직 부재들의 상측 단부를 감싸며 제1 지지 부재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지지 부재와, ⅳ) 수직 부재들의 적어도 일 측면에 고정되며,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의 횡력 보강재를 포함한다.
철골 구조물, 내력벽, 지지부재, 수직부재, 횡력, 보강재

Description

횡력 보강재를 구비한 철골 구조물의 내력벽 {LOAD BEARING WALL HAVING LATERAL REINFORCING MEMBER FOR STEEL FRAME BUILDING}
본 발명은 철골 구조물의 내력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력벽의 두께 증가를 유발하지 않는 횡력 보강재를 구비한 철골 구조물의 내력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력벽을 사용하여 건축 구조물을 제작하는 경우, 내력벽에 횡력 보강을 위한 횡력 보강재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철골 구조물의 내력벽에는 필수적으로 횡력 보강재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횡력 보강재로는 특수한 구조물을 제작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주로 기역(ㄱ)형강이나 디귿(ㄷ)형강 등 일반적인 강재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전술한 일반적인 강재를 횡력 보강재로 사용하는 경우, 횡력 보강재의 두께가 크기 때문에 횡력 보강재가 내력벽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외측으로 돌출된 횡력 보강재로 인해 내, 외부 마감재를 부착하기 전, 횡력 보강재 사이를 다른 물질로 채우는 등의 2차적인 바탕재 처리가 요구되므로 작업이 번거로워진다. 또한, 2차적인 바탕재 처리를 하여 내력벽에 내, 외부 마 감재를 부착하더라도 내력벽의 두께가 커지기 때문에 실내 면적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2차적인 바탕재 처리를 생략할 수 있고, 내력벽의 두께 증가를 유발하지 않는 횡력 보강재를 구비한 철골 구조물의 내력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골 구조물의 내력벽은, ⅰ) 서로간 거리를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수직 부재들과, ⅱ) 수직 부재들의 하측 단부를 감싸며 수직 부재들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지지 부재와, ⅲ) 수직 부재들의 상측 단부를 감싸며 제1 지지 부재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지지 부재와, ⅳ) 수직 부재들의 적어도 일 측면에 고정되며,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의 횡력 보강재를 포함한다.
제1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부재 각각은 디귿(ㄷ)형강으로 형성되며, 일정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수직 부재들은 디귿(ㄷ)형강과 미음(ㅁ)형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횡력 보강재는 사선 방향을 따라 수직 부재들을 가로지르며, 횡력 보강재의 일단은 제1 지지 부재에 고정되고, 횡력 보강재의 다른 일단은 제2 지지 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횡력 보강재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한 쌍의 횡력 보강재는 내력벽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횡력 보강재는 내력벽의 좌우 양측에 하나씩 구비되며,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와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횡력 보강재가 내력벽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내력벽에 마감재를 설치할 때 별도의 바탕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마감재 공사를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횡력 보강재가 내력벽의 두께 증가를 유발하지 않으므로 실내 면적을 축소시키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철골 구조물의 내력벽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철골 구조물의 내력벽(100)은 제1 지지 부재(12)와, 수직 부재들(14)과, 제2 지지 부재(16) 및 횡력 보강재(18)를 포함한다.
제1 지지 부재(12)는 디귿(ㄷ)형강으로 형성되며, 개방된 면이 상측을 향해 위치하도록 지면 위에 설치된다. 제1 지지 부재(12)는 제1 수평부(121)와, 제1 수평부(121)의 양 측면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굽어진 한 쌍의 제1 측벽(122)을 포함한다. 제1 수평부(121)와 한 쌍의 제1 측벽(122)은 동일한 두께를 가진다. 이와 같이 제1 지지 부재(12)는 그 내부로 상측을 향해 개방된 제1 수용부(123)를 형성하여 수직 부재들(14)의 하측 단부를 감싼다.
수직 부재들(14)은 하측 단부가 제1 수용부(123)에 끼워지도록 제1 지지 부재(12) 위에 조립된 후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제1 지지 부재(12)에 고정된다. 수직 부재들(14)은 제1 지지 부재(12)와 수직하게 배치되며, 제1 지지 부재(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간 거리를 두고 나란하게 위치한다.
수직 부재들(14)은 강도가 높은 디귿(ㄷ)형강 또는 미음(ㅁ)형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미음(ㅁ)형강으로 제작된 수직 부재(14)의 단면을 도시하였고, 도 5에 디귿(ㄷ)형강으로 제작된 수직 부재(14')의 단면을 도시하였다.
제2 지지 부재(16)는 디귿(ㄷ)형강으로 형성되며, 개방된 면이 하측을 향해 위치하도록 수직 부재들(14) 위에 설치된다. 제2 지지 부재(16)는 제2 수평부(161)와, 제2 수평부(161)의 양 측면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굽어진 한 쌍의 제2 측벽(162)을 포함한다. 제2 수평부(161)와 한 쌍의 제2 측벽(162)은 동일한 두께를 가진다. 이와 같이 제2 지지 부재(16)는 그 내부로 하측을 향해 개방된 제2 수용부(163)를 형성하여 수직 부재들(14)의 상측 단부를 감싼다.
여기서, 제1 지지 부재(12)와 제2 지지 부재(16)는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다.
횡력 보강재(18)는 수직 부재들(14)의 일측(내력벽의 내측 또는 외측)에서 수직 부재들(14)을 가로지르며 수직 부재들(14)에 고정되거나, 수직 부재들(14)의 양측(내력벽의 내측과 외측)에서 수직 부재들(14)을 가로지르며 수직 부재들(14)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서는 일례로 횡력 보강재(18)가 수직 부재들(14)의 일측에 위치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횡력 보강재(18)는 일반적인 강관이 아닌 일정한 두께를 가지 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된다. 특히 횡력 보강재(18)는 제1 지지 부재(12) 및 제2 지지 부재(16)와 동일한 두께를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지지 부재(12)와 제2 지지 부재(16)가 t1의 두께를 가질 때, 횡력 보강재(18) 또한 t1과 동일한 t2의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횡력 보강재(18)는 수직 부재들(14)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된 후 제1 지지 부재(12)와 제2 지지 부재(16)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횡력 보강재(18)의 외면은 수직 방향을 따라 제1 지지 부재(12)의 외면 및 제2 지지 부재(18)의 외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
그 결과, 본 실시예의 내력벽(100)은 내, 외부 마감재를 설치할 때 별도의 바탕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마감재 공사를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전술한 횡력 보강재(18)가 내력벽(100)의 두께 증가를 유발하지 않으므로 실내 면적을 축소시키지 않는다.
제1 실시예에서 횡력 보강재(18)는 길다란 브레이스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횡력 보강재(18)는 사선 방향을 따라 수직 부재들(14)을 가로지르며 그 일단이 제1 지지 부재(12)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이 제2 지지 부재(16)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횡력 보강재(18)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한 쌍의 횡력 보강재(18)가 내력벽(100)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내력벽(100)의 횡력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철골 구조물의 내력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제2 실시예에서 횡력 보강재(181)는 넓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력벽(101)의 좌우 양측에 하나씩 구비된다. 횡력 보강재(181)는 제1, 2 지지 부재(12, 16)와 밀착하도록 그 높이가 제1, 2 지지 부재(12, 16)간 거리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횡력 보강재(181)의 폭은 2개의 횡력 보강재(181)가 내력벽(101) 전체 면적의 1/3 내지 1/2 정도를 차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횡력 보강재(18, 181)의 모양과 배치 형상 및 설치 개수 등은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철골 구조물의 내력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내력벽 가운데 수직 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수직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철골 구조물의 내력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Claims (6)

  1. 서로간 거리를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수직 부재들(14);
    제1 수평부(121)와 한 쌍의 제1 측벽(122)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 부재들(14)의 하측 단부를 감싸며 상기 수직 부재들(14)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지지 부재(12);
    제2 수평부(161)와 한 쌍의 제2 측벽(162)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 부재들(14)의 상측 단부를 감싸며 상기 제1 지지 부재(12)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지지 부재(16); 및
    양 단부가 상기 제1 지지 부재(12)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16)와 접하면서 상기 수직 부재들(14)의 적어도 일 측면에 고정되는 횡력 보강재(18)를 포함하며,
    상기 횡력 보강재(18)는 상기 제1 측벽(122) 및 상기 제2 측벽(162)과 같은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횡력 보강재(18)의 외면과 상기 제1 및 제2 측벽(122, 162)의 외면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철골 구조물의 내력벽(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12)와 상기 제2 지지 부재(16) 각각은 디귿(ㄷ)형강으로 형성되며,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철골 구조물의 내력벽(1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부재들(14)은 디귿(ㄷ)형강과 미음(ㅁ)형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철골 구조물의 내력벽(10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력 보강재(18)는 사선 방향을 따라 상기 수직 부재들(14)을 가로지르며, 상기 횡력 보강재(18)의 일단은 상기 제1 지지 부재(12)에 고정되고, 상기 횡력 보강재(18)의 다른 일단은 상기 제2 지지 부재(16)에 고정되는 철골 구조물의 내력벽(10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횡력 보강재(18)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횡력 보강재(18)는 상기 내력벽(100)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는 철골 구조물의 내력벽(100).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력 보강재(181)는 상기 내력벽(101)의 좌우 양측에 하나씩 구비되며, 상기 제1 지지 부재(12)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16)와 밀착되는 철골 구조물의 내력벽(101).
KR1020090022019A 2009-03-16 2009-03-16 횡력 보강재를 구비한 철골 구조물의 내력벽 KR101077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019A KR101077996B1 (ko) 2009-03-16 2009-03-16 횡력 보강재를 구비한 철골 구조물의 내력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019A KR101077996B1 (ko) 2009-03-16 2009-03-16 횡력 보강재를 구비한 철골 구조물의 내력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936A KR20100103936A (ko) 2010-09-29
KR101077996B1 true KR101077996B1 (ko) 2011-10-28

Family

ID=43008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019A KR101077996B1 (ko) 2009-03-16 2009-03-16 횡력 보강재를 구비한 철골 구조물의 내력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799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989A (ja) * 1997-07-10 1999-02-02 Kenzai Kako Oroshi Kk 建物構築工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989A (ja) * 1997-07-10 1999-02-02 Kenzai Kako Oroshi Kk 建物構築工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936A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0979B2 (ja) 建築物の架構構造
KR101695413B1 (ko) 탄성힌지로 거동하는 공장제작형 소켓부재를 이용한 라멘교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KR20190012766A (ko) 탑u형 래티스 합성보
KR20120028765A (ko) 절곡강판형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KR101540649B1 (ko) 원터치 고정형 격자철선을 이용한 철근 일체형 합성구조
KR101746345B1 (ko) 강도가 보강된 금속재 사각파이프 및 그 성형방법
KR101077996B1 (ko) 횡력 보강재를 구비한 철골 구조물의 내력벽
KR101621770B1 (ko) 철근일체형 데크플레이트용 중공경량체 모듈
KR101132415B1 (ko) 다중강성의 지주를 갖는 방음벽
KR101833784B1 (ko) 상부플랜지를 구비한 원형고정브라켓을 이용한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773509B1 (ko) 각형강관을 이용한 장스팬 층고절감형 합성보 및 그 시공방법
KR101925578B1 (ko) 외부벽돌벽 지지장치
KR100878183B1 (ko) 물탱크용 기초 프레임
KR102436993B1 (ko) H형강을 활용한 층고절감형 합성보
JP7235192B2 (ja) 天井面材の支持構造及びユニット建物
JP2018040210A (ja) 建物の支持構造および建物の不同沈下の修正方法
KR100657593B1 (ko) 모듈러 건축물 연결구조
JP2017020208A (ja) ユニット式建物の構造
KR100904634B1 (ko) 상판 하부 지지점이 내측으로 이동된 복공판
EP1972736B1 (en) System comprising a beam, a corrugated sheet and a connector
KR101609616B1 (ko) 중공슬래브 형성을 위한 철골 수평 조립체
KR20150088125A (ko) 힌지형 대각부재를 이용한 건축물 개구부 보강 구조물
KR101621972B1 (ko) 철골구조용 시스템 에이치 형강
KR102429962B1 (ko) 폭변동부를 갖는 강판거푸집보 및 폭변동부를 갖는 강판거푸집보와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를 적용한 건식화 공법
US20190093360A1 (en) Construction metallic trapezoidal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