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7183B1 - 냉동장치를 이용한 건조기 - Google Patents

냉동장치를 이용한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7183B1
KR101077183B1 KR1020090019663A KR20090019663A KR101077183B1 KR 101077183 B1 KR101077183 B1 KR 101077183B1 KR 1020090019663 A KR1020090019663 A KR 1020090019663A KR 20090019663 A KR20090019663 A KR 20090019663A KR 101077183 B1 KR101077183 B1 KR 101077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dryer
air supply
hot air
pre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1266A (ko
Inventor
김봉석
Original Assignee
김봉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석 filed Critical 김봉석
Priority to KR1020090019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7183B1/ko
Publication of KR20100101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1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 F26B17/2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the axis of rotation being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3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ry or oscillating containers;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ry floors
    • F26B17/3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ry or oscillating containers;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ry floors the movement being in a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6Humidity by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drying medium, which may be recycled, e.g. using a heat pump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10Heating arrangements using tubes or passages containing heated fluids, e.g. acting as radiative elements; Closed-loop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4Agitating, stirring, or scrap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6Grains, e.g. cereals, wheat, rice, corn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장치를 이용한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피건조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로 이송된 피건조물을 건조하는 건조실이 구비되어 있는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는 투입구가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온풍공급덕트와; 상기 온풍공급덕트와 마주하도록 일정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있는 공기배출덕트와; 상기 온풍공급덕트 및 공기배출덕트에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 연결부 각각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내면에는 상기 이송장치로부터 건조실 내부로 이송되는 피건조물을 혼합 및 교반시키기 위해 회전방향으로 상승 이동시키면서 떨어뜨리는 복수의 교반날개들이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회전건조드럼과; 상기 회전건조드럼의 건조실 내부 일측에는 상기 이송장치보다 높게 위치하여 회전건조드럼의 축방향을 향해 길게 형성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건조드럼의 내면에 형성된 복수의 교반날개들에 의해 상승 이동되어 자유낙하하는 피건조물이 상기 이송장치쪽으로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회전비산장치와; 상기 공기배출덕트의 상단에 형성된 공기배출구와 상기 온풍공급덕트의 상단에 형성된 온풍공급구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건조기와는 별개로 형성된 냉동장치의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의 순환작용으로 공기를 가열하는 작용을 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가열용 응축기와 상기 가열용 응축기를 거친 냉매의 순환작용으로 공기를 예열하는 작용을 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예열용 응축기 및 상기 가열용 응축기와 예열용 응축기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냉동장치의 팽창밸브에 의해 급속히 팽창된 냉매의 순환작용으로 상기 예열용 응축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예열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작용으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냉각제습용 증발기로 구성된 열교환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냉동장치, 건조기, 온풍공급덕트, 공기배출덕트, 회전건조드럼, 열교환장치,가열용 응축기, 예열용 응축기, 냉각제습용 증발기, 이송장치, 회전비산장치, 물받이판, 정·역모터, 감속모터

Description

냉동장치를 이용한 건조기{Dryer using freez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곡물류 또는 음식물쓰레기 등을 건조하기 위한 냉동장치를 이용한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동장치의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 및 냉각시키는 작용으로 곡물류 또는 음식물쓰레기 등을 건조하는데 이용되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집이나 음식점 등에서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는 별도로 수거하고 압착처리하여 부피를 최소화시킨 상태로 매립하거나 또는 소각처리하여 왔었으나, 요즈음에 와서는 음식물쓰레기를 발효처리하여 퇴비화하거나 또는 건조처리하여 유기질비료화하여 재활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음식물쓰레기를 퇴비화하거나 유기질비료화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하여야 하는데, 종래 기술에서는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시키기 위한 열원으로서 유류나 가스와 같은 연료를 사용하는 건조장치 또는 전기히터를 사용하는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하여 왔다.
그러나 요즘과 같은 국제 유가의 고유가 시대에서는 에너지 효율면에서 볼 때 고가의 연료를 사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하여 얻게 되는 퇴비 또는 유기질비료에 비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할 때 소비되는 연료의 비용이 더 비싸게 소요되므로 비효율적이라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또한 근래에 와서는 연료를 태울 때 발생되는 배출가스(CO2 등)가 지구표면의 온도를 높여 지구온난화현상을 유발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기 때문에 국제사회에서는 지구온난화현상의 요인이되는 배출가스를 규제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제로 제안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냉동장치 작동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를 이용하여 건조기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는 가열하고 건조기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냉각시키는 작용을 반복 되풀이하여 건조기 내부에 투입된 피건조물을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피건조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로 이송된 피건조물을 건조하는 건조실이 구비되어 있는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는 투입구가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온풍공급덕트와;
상기 온풍공급덕트와 마주하도록 일정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있는 공기배출덕트와;
상기 온풍공급덕트 및 공기배출덕트에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 연결부 각각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내면에는 상기 이송장치로부터 건조실 내부로 이송되는 피건조물을 혼합 및 교반시키기 위해 회전방향으로 상승 이동시키면서 떨어뜨리는 복수의 교반날개들이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회전건조드럼과;
상기 회전건조드럼의 건조실 내부 일측에는 상기 이송장치보다 높게 위치하여 회전건조드럼의 축방향을 향해 길게 형성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건조드럼의 내면에 형성된 복수의 교반날개들에 의해 상승 이동되어 자유낙하하는 피건조물이 상기 이송장치쪽으로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회전비산장치와;
상기 공기배출덕트의 상단에 형성된 공기배출구와 상기 온풍공급덕트의 상단에 형성된 온풍공급구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건조기와는 별개로 형성된 냉동장치의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의 순환작용으로 공기를 가열하는 작용을 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가열용 응축기와 상기 가열용 응축기를 거친 냉매의 순환작용으로 공기를 예열하는 작용을 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예열용 응축기 및 상기 가열용 응축기와 예열용 응축기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냉동장치의 팽창밸브에 의해 급속히 팽창된 냉매의 순환작용으로 상기 예열용 응축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예열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작용으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냉각제습용 증발기로 구성된 열교환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비산장치는 회전축의 외주면에 복수의 비산날개가 등각도상으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각 비산날개들은 공기배출덕트에 인접하는 우측단부에서부터 온풍공급덕트에 인접하는 좌측단부를 향해 회전비산장치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45∼120°나선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교환장치의 하부에는 냉각제습용 증발기에서 응축된 물방울을 포집하여 배출처리하는 물받이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동장치를 순환하는 냉매가스의 열량을 이용하여 회전건조드럼의 건조실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 및 두부제조시 발생되는 비지 등과 같이 수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피건조물이나 또는 농가에서 수확한 쌀이나 콩 등과 같은 곡물을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고가의 유류나 가스 등의 연료보다 싼 전기에너지를 이용하는 냉동장치의 냉매가스를 열원으로 하여 피건조물을 건조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연료를 직접 연소시켜서 얻은 열량을 가지고 피건조물을 건조하는 것에 비하여 온실가스의 발생율을 많이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냉동장치를 이용한 건조기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건조기의 전체 구성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2은 본 발명의 건조기의 조립상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건조기 상부에 장착되는 열교환장치와 냉동장치의 회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건조기의 건조실에 설치되는 회전비산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은 건조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건조기(1)는 크게 구분하여 볼 때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온풍공급덕트(2)와 공기배출덕트(3), 그리고 상기 온풍공급덕트(2) 및 공기배출덕트(3) 각각에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 연결부(21)(31)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건조드럼(4) 및 상기 온풍공급덕트(2)와 공기배출덕트(3) 및 회전건조드럼(4) 각각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열교환장치(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온풍공급덕트(2)의 전면에는 외부로부터 이송되는 피건조물이 투입되는 투입구(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구(22)의 상부에는 피건조물의 투입을 안내하는 투입슈트(23)의 선단부분이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투입구(22)의 하부에는 건조가 완료된 피건조물을 받아주는 배출슈트(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건조기(1)의 내부 즉, 온풍공급덕트(2)의 투입구(22)에서부터 상기 회전건조드럼(4)의 내측 건조실(41)의 후측부분에 이르기까지 피건조물의 이송을 안내하는 이송장치(6)가 수평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장치(6)는 투입구(22)의 상단에 장착된 정·역 모터(61)의 구동체인기어(62)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연동체인기어(63)의 회전축(64)에 연결되어 회전작동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이송장치(6)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콘베이어(65)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다수의 안내롤러(6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으며, 또는 도면에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상기 이송장치(6)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피건조물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피건조물이 곡물 종류일 경우에는 이송장치(6)를 콘베이어로 구성하며, 피건조물이 수분함량이 많은 음식물 쓰레이와 같은 종류일 경우에는 이송장치(6)를 스크류로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건조드럼(4)의 내면에는 이송장치(6)에 의해 건조실(41)로 이송되어 떨어지는 피건조물을 회전방향을 향해 상측으로 이송시킨 후 피건조물이 자중으로 떨어지게 하는 복수의 교반날개(42)들이 일정간격으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한 복수의 교반날개(42)들 각각은 회전건조드럼(4)의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회전건조드럼(4)의 양단은 온풍공급덕트(2) 및 공기배출덕트(3)에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 연결구(21)(31)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건조드럼(4)은 외주면 양단에 부착된 양측 회전안내링(43)(44)이 상기 건조기(1)의 외부에 고정 설치된 지지대(8)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된 양측 지지축(81) 각각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축착된 복수의 지지바퀴(82)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회전건조드럼(4)은 온풍공급덕트(2)의 일측에 설치된 감속모터(8a)에 의해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일측 지지축(81)의 양단에 축착된 복수의 지지바퀴(82)의 회전작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감속모터(8a)는 감속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모터로서, 그 출력축에 축착된 구동체인기어(83)과 일측 지지축(81)의 일측 단부에 축착되어 있는 연동체인기어(84)은 체인(85)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회전건조드럼(4)의 건조실(41) 일측 상부에는 교반날개(42)에 의해 상향으로 이송되어 자중으로 떨어지는 피건조물을 분쇄 또는 비산시키기 위한 회전비산장치(7)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비산장치(7)는 이송장치(6)보다 높은 위치(도 3 참조)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회전건조드럼(4)의 건조실(41) 내면에 형성된 복수의 교반날개(42)에 의해 상측으로 이송된 후 자중에 의해 떨어지는 피건조물이 이송장치(6) 위로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복수의 비산날개(71)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복수의 비산날개(71)들은 도 2 및 도 5의 도시를 기준하여 볼 때 도면상 우측단부에서부터 좌측단부로 갈수록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나선상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한 복수의 비산날개(71)들 각각은 도면상으로 볼 때 우측단부와 좌측단부는 45∼120°의 각도로 비틀어지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비산장치(7)는 건조기(1) 외부 예를 들면, 공기배출덕트(3)의 일측에 설치된 감속모터(8b)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회전비산장치(7)는 회전건조드럼(4)보다 빠르게 회전하면서 교반날개(42)에 의해 상측으로 이송되어 자중으로 떨어지는 피건조물을 이송장치(6) 위로 분산시켜서 떨어뜨리게 되는데, 상기 회전비산장치(7)에 형성된 복수의 비산날개(71)들은 음식물 쓰레기 등의 피건조물이 덩어리상태로 뭉쳐진 상태일 때에는 뭉쳐있는 피건조물을 부서뜨려 잘게 분쇄시키는 작용도 가지고 있다.
상기 감속모터(8b) 역시 전기한 감속모터(8a)와 마찬가지로 감속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감속모터(8b)의 출력축에 축착된 구동체인기어(86)과 상기 공기배출덕트(3)의 외부로 돌출하는 회전비산장치(7)의 축 일단에 축착된 연동체인기어(87)이 체인(88)으로 연결되는 구조로서, 상기 감속모터(8b)의 회전동력으로 회전비산장치(7)를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열교환장치(5)는 건조기(1)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열교환장치(5)는 냉동장치(9)의 압축기(91)에서 압축된 냉매가 순환하는 가열용 응축기(92)와 예열용 응축기(93) 및 팽창밸브(94)에 의해 급속히 팽창된 무화상태의 냉매가 순환하는 냉각제습용 증발기(95)가 장착된 케이스(51)와, 상기 공기배출덕트(3)의 상단에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공기배출구(32)에 연결되는 공기유입부(52) 및 상기 온풍공급덕트(2)의 상단에 돌출하는 온풍공급구(25)에 연결되는 공기유출부(53)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배출구(32)와 공기유입부(52) 사이에는 필터(54)가 장설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유출부(53)의 내부에는 케이스(61)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흡입하여 온풍공급구(25)를 향해 송풍시키는 송풍팬(5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장치(5)의 하부에는 냉각제습용 증발기(95)에 의해 응축된 물방울을 포집하여 배출처리하는 물받이판(5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냉동장치(9)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증발기로부터 증발된 냉매증기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91)와, 상기 압축기에 의해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고온 고압의 가스냉매를 공기(또는 물)와의 열교환작용으로 공기는 가열시키고 가스냉매는 응축시키는 작용을 하는 가열용 응축기(92)와, 상기 가열용 응축기를 거친 가스냉매를 공기유입부(52)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시켜서 가스냉매를 재차 응축 시키는 예열용 응축기(93)와, 상기 예열용 응축기(93)를 거친 냉매를 급격히 팽창시켜서 저온 저압의 안개상태로 공급하는 팽창밸브(94)와, 상기 팽창밸브(94)에 의해 안개상태로 팽창된 냉매를 공기와의 열교환시켜서 공기로부터 열을 빼앗아 안개상태의 냉매는 증발시키고 공기를 냉각시켜서 공기 중에 있는 수분이 응축되어 물방울로 떨어지게 하는 냉각제습용 증발기(95)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냉각장치(9)는 예열용 응축기(93)를 거친 냉매를 열교환장치(5)와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액열기(96)의 수액기(96a)로 직접 보내거나 또는 실외응축기(97)를 거치도록 한 후 수액기(96a)로 보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 상기 냉각제습용 증발기(95)를 거친 냉매는 액열기(96)의 액분리기(96b)에서 수액기(96a)에 저장된 냉매와 열교환작용을 한 다음 압축기(91)로 보내지는 순환작용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5)의 케이스(51)에는 공기유입부(52)측에서부터 예열용 응축기(93), 냉각제습용 증발기(95), 가열용 응축기(92)의 순서로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예열용 응축기(93), 냉각제습용 증발기(95), 가열용 응축기(92) 각각에 배설되는 냉매순환파이프는 상기 공기유입구(52)를 통해 유입되어 공기유출부(53)측으로 흐르는 공기와의 열교환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밀하게 지그재그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 냉매순환파이프에는 공기와의 열교환작용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열핀들이 부착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건조기(1)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건조기(1)로 음식물 쓰레기나 비지 등과 같이 수분함량이 많은 피건조물이나 또는 쌀, 콩 등의 곡물과 같은 피건조물을 건조하고자 할 때에는 건조기(1)의 투입구(22)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정·역 모터(61)를 정방향 즉, 상기 건조기(1)의 내부에 설치된 이송장치(6)의 콘베이어(65)가 피건조물을 회전건조드럼(4)의 건조실(41)로 이송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스위치를 작동시키며, 또한 상기 건조기(1)의 외부에 설치되는 있는 감속모터(8a)(8b)를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건조기(1)의 회전건조드럼(4)이 감속된 상태로 회전(도면상 시계방향)하게 됨과 동시 상기 회전건조드럼(4)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비상장치(7)가 회전(도면상 시계방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건조기(1)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투입슈트(23)을 통해 건조하고자 하는 피건조물을 건조기(1)의 투입구(22)로 투입시키게 되면 피건조물은 이송장치(6)에 의해 건조기(1)의 내부로 이송되면서 회전건조드럼(4)의 건조실(41) 후단부분으로 떨어지게 되며, 이렇게 떨어진 피건조물은 회전건조드럼(4)의 내면에 형성된 복수의 교반날개(42)에 의해 회전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이송된 후 자중에 의해 밑으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복수의 교반날개(42)에 의해 상측으로 이송되어 자중으로 떨어지는 피건조물은 회전비산장치(7) 위로 떨어지게 되며, 상기 회전비산장치(7)는 그 위에서 떨어지는 피건조물을 이송장치(6)의 콘베이어(65) 위로 떨어지게 하되, 상기 회전비산장치(7)에 형성된 복수의 비산날개(71)들이 피건조물을 건조실(41)의 선단부분을 향해 비산시키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복수의 교반날개(42)에 의해 상측으로 이송된 후 자중으로 떨어지는 피건조물들의 대부분은 이송장치(6)의 콘베이어(65) 위에 떨어져 건조실(41)의 후단부분으로 이송되어 떨어지는 한편, 상기 이송장치(6) 위에 떨어지지 아니한 나머지 피건조물들은 건조실(41)의 선단부분으로 분산되어 떨어지게 되므로써 상기 회전건조드럼(4)의 내면에는 피건조물이 골고루 분산된 상태로 교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건조기(1)에 피건조물이 투입됨과 동시에 냉동장치(9)를 가동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열교환장치(5)의 공기유출부(53)에 있는 송풍팬(55)이 작동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온풍공급구(25)로 송풍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냉동장치(9)의 압축기(91)에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가스냉매가 가열용 응축기(92)의 냉매순환파이프로 공급되므로 상기 가열용 응축기(92)를 통과하는 공기는 고온 고압의 가스냉매와의 열교환작용에 의해 통상 50∼70℃ 정도의 온풍으로 가열되어 온풍공급구(25)로 공급되며, 이렇게 공급되는 온풍은 온풍공급덕트(2)를 통해 회전건조드럼(4)의 건조실(41)로 공급되어 건조실(41)에서 교반되는 피건조물에서 수분을 빼앗는 작용으로 건조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건조실(41)에서 피건조물과의 열교환작용으로 피건조물을 건조시킨 공기에는 수분이 다량 함유된 상태로 상기 공기배출덕트(2)를 통해 공기배출구(32)로 배출되어 필터(54)를 통과할 때 이물질은 여과되고 깨끗히 정화된 공기만 예열용 응축기(93)로 공급되는데, 이때 상기 예열용 응축기(93)에는 가열용 응축기(92)에서 공기와의 열교환작용을 했던 냉매가 다시 순환하는 상태이므로 상기 예열용 응축기(93)를 순환하는 냉매는 상기 가열용 응축기(92)를 순환하는 냉매보다 낮은 온도를 가지고 있다. 때문에 상기 예열용 응축기(93)를 통과하는 공기는 대략 35∼45℃의 온도로 예열되면서 냉각제습용 증발기(95)쪽으로 흐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예열용 응축기(93)를 거치면서 공기와 열교환작용을 했던 냉매는 액열기(96)의 수액기(96a)를 거친 후 팽창밸브(94)에 의해 급격히 팽창되어 저온 저압의 무화상태로 냉각제습용 증발기(95)를 순환하게 되며, 이와 같이 상기 냉각제습용 증발기(95)로 공급되는 무화상태의 냉매는 예열용 응축기(93)에서 예열된 공기와 열교환작용을 진행하게 되므로써 상기 냉각제습용 증발기(95)의 열교환작용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한편, 상기 냉각제습용 증발기(95)에서 열교환작용으로 냉각된 공기는 상기 가열용 응축기(92)를 순환하는 고온 고압의 가스냉매와의 열교환작용으로 대략 50∼70℃의 온도로 가열되어 온풍공급구(25)와 온풍공급덕트(2)를 통해 건조실(41) 내부로 공급되어 피건조물을 건조하는 작용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예열용 응축기(93)에서 예열되면서 냉각제습용 증발기(95)로 흐르는 공기에는 다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상태이다. 따라서 냉각제습용 증발기(95)에서 열교환작용으로 냉각될 때 공기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수분은 응축되면서 물방울로 물받이판(56)에 떨어져 배출호스(도시 없음)을 통해 외부로 배출처리되는 것이며, 상기 건조실(41) 내부로 투입되는 피건조물은 상기 열교환장치(5)의 가열용 응축기(92)에서 가열되어 온풍공급덕트(92)를 통해 건조실(41) 내부로 공급되는 가열공기에 의해 수분이 탈취되는 상태로 건조되는 것이며, 또 피건조물에서 수분을 탈취한 공기는 상기 열교환장치(5)의 예열용 응축기(93)를 거친 후 냉각제습용 증발기(95)에서 냉각되는 과정에서 수분이 응축되어 물방울로 떨어져 배출처리되는 과정이 반복 되풀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건조기(1)의 건조작동은 건조하고자 하는 피건조물을 건조실(41)에 투입하는 시간에서부터 피건조물의 투입이 완료된 후 피건조물의 건조가 이루어질 때까지 일정시간동안 계속해서 반복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건조기(1)에 투입시킨 피건조물의 건조작동이 완료된 상태가 되면, 그때에는 회전건조드럼(4)과 회전비산장치(7)는 피건조물을 건조할 때와 같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작동시키는 반면, 상기 이송장치(6)를 작동시키는 정·역 모터(61)는 역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되면 이송장치(6)의 콘베이어(65)는 건조실(41) 내측에서 투입구(22)측을 향해 역회전하는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건조드럼(4)에서 건조가 완료된 피건조물은 교반날개(42)에 의해 상측으로 이송된 후 회전비산장치(7) 위에서 자중으로 떨어질 때 상기 회전비산장치(7)의 비산날개(71)에 의해 이송장치(6)의 콘베이어(65) 위에 떨어져 투입구(22)쪽으로 이송되며, 상기 투입구(22)쪽으로 이송된 건조된 피건조물은 배출슈트(24)로 떨어져 회수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이송장치(6)를 역회전시켜서 건조가 완료된 피건조물을 회수하는 작업은 상기 건조기(1)의 건조실(41)에서 건조가 완료된 피건조물이 전량 회수될 때까지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건조기의 전체 구성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은 본 발명의 건조기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건조기 상부에 장착되는 열교환장치와 냉동장치의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건조기의 건조실에 설치되는 회전비산장치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건조기 2 : 온풍공급덕트
3 : 공기배출덕트 21,31 : 연결부
22 : 투입구 32 : 공기배출구
4 : 회전건조드럼 41 : 건조실
42 : 교반날개 43,44 : 회전안내링
5 : 열교환장치 51 : 케이스
52 : 공기유입부 53 : 공기유출부
54 : 필터 55 : 송풍팬
6 : 이송장치 61 : 정·역모터
62 : 구동체인기어 63 : 연동체인기어
64 : 회전축 65 : 콘베이어
66 : 안내롤러 7 : 회전비산장치
71 : 비산날개 8 : 지지대
8a,8b : 감속모터 81 : 지지축
82 : 지지바퀴 9 : 냉동장치
91 : 압축기 92 : 가열용 응축기
93 : 예열용 응축기 94 : 팽창밸브
95 : 냉각제습용 증발기 96 : 액열기
96a,96b : 수액기 및 액분리기 97 : 실외응축기

Claims (3)

  1.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피건조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로 이송된 피건조물을 건조하는 건조실이 구비되어 있는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는 투입구가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온풍공급덕트와;
    상기 온풍공급덕트와 마주하도록 일정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있는 공기배출덕트와;
    상기 온풍공급덕트 및 공기배출덕트에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 연결부 각각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내면에는 상기 이송장치로부터 건조실 내부로 이송되는 피건조물을 혼합 및 교반시키기 위해 회전방향으로 상승 이동시키면서 떨어뜨리는 복수의 교반날개들이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회전건조드럼과;
    상기 회전건조드럼의 건조실 내부 일측에는 상기 이송장치보다 높게 위치하여 회전건조드럼의 축방향을 향해 길게 형성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건조드럼의 내면에 형성된 복수의 교반날개들에 의해 상승 이동되어 자유낙하하는 피건조물이 상기 이송장치쪽으로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회전비산장치와;
    상기 공기배출덕트의 상단에 형성된 공기배출구와 상기 온풍공급덕트의 상단에 형성된 온풍공급구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건조기와는 별개로 형성된 냉동장치의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의 순환작용으로 공기를 가열하는 작용을 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가열용 응축기와 상기 가열용 응축기를 거친 냉매의 순환작용으로 공기를 예열하는 작용을 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예열용 응축기 및 상기 가열용 응축기와 예열용 응축기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냉동장치의 팽창밸브에 의해 급속히 팽창된 냉매의 순환작용으로 상기 예열용 응축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예열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작용으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냉각제습용 증발기로 구성된 열교환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를 이용한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비산장치는 회전축의 외주면에 복수의 비산날개가 등각도상으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각 비산날개들은 공기배출덕트에 인접하는 우측단부에서부터 온풍공급덕트에 인접하는 좌측단부를 향해 회전비산장치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45∼120°나선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를 이용한 건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장치의 하부에는 냉각제습용 증발기에서 응축된 물방울을 포집하여 배출처리하는 물받이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를 이용한 건조기.
KR1020090019663A 2009-03-09 2009-03-09 냉동장치를 이용한 건조기 KR101077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663A KR101077183B1 (ko) 2009-03-09 2009-03-09 냉동장치를 이용한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663A KR101077183B1 (ko) 2009-03-09 2009-03-09 냉동장치를 이용한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266A KR20100101266A (ko) 2010-09-17
KR101077183B1 true KR101077183B1 (ko) 2011-10-27

Family

ID=43006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663A KR101077183B1 (ko) 2009-03-09 2009-03-09 냉동장치를 이용한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71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76397A3 (de) * 2013-11-22 2015-10-07 Heutrocknung SR GmbH Luftentfeuchter zum Entfeuchten von Luft zur Trocknung von Heu
KR20190085067A (ko) * 2016-11-18 2019-07-17 게아 프로세스 엔지니어링 아/에스 에너지 효율 및 용량 제어가 개선된 건조 시스템
CN110328775B (zh) * 2019-07-18 2024-04-05 南京汇科高分子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生产玻璃包边用聚氨酯组合料的干燥箱
CN112082366A (zh) * 2020-09-07 2020-12-15 界首市粮食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采用天燃气进行烘干的粮食烘干塔
CN115532033A (zh) * 2022-11-08 2022-12-30 浙江盛尔气体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高温环境下运行的冷冻式压缩干燥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4509A (ja) 2002-03-28 2003-10-07 Shizuoka Prefecture 食品廃棄物の食品素材または飼料化方法及び装置
JP2004223495A (ja) 2003-01-21 2004-08-12 21 Kikaku:Kk 水産系廃棄物の残留カドミウム除去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4509A (ja) 2002-03-28 2003-10-07 Shizuoka Prefecture 食品廃棄物の食品素材または飼料化方法及び装置
JP2004223495A (ja) 2003-01-21 2004-08-12 21 Kikaku:Kk 水産系廃棄物の残留カドミウム除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266A (ko) 201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1587B1 (ko) 슬러지 건조장치
KR101077183B1 (ko) 냉동장치를 이용한 건조기
CN110127984B (zh) 一种污泥低温热泵干化设备
CN201527160U (zh) 热风循环微波带式干燥机
US9939199B2 (en) Multiple product belt drier for drying pasty and/or powdery materials, particularly for drying sludges from treatment plants or biomass
CN207987007U (zh) 一种具有两级热泵系统的污泥干化系统
JP2010169378A (ja)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を用いた多目的乾燥装置
US9021716B2 (en) Devices for air-drying sludge
CN210569818U (zh) 一种新型生物质或污泥颗粒干燥装置
CN111018299A (zh) 一种负压型热泵闭式污泥干化系统
KR101103053B1 (ko) 가공 폐기물 건조장치
NO343722B1 (en) System and process for drying loose bulk material, and a drying unit therefore
KR102315743B1 (ko) 농산물 쓰레기 건조장치
CN206940707U (zh) 一种污泥低温干化处理系统
CN102818424A (zh) 空气能节能系统
JP4138716B2 (ja) 乾燥装置及び乾燥方法
CN207498257U (zh) 一种全热回收箱
CN112696912A (zh) 饲料加工用热风蒸干机
KR20220020603A (ko) 하수 슬러지 건조장치용 수평회전 교반장치
JP7049635B1 (ja) 固液分離装置、燃料用原料の製造方法および食品材料の製造方法
CN207062127U (zh) 一种高效热泵污泥干化设备
CN114659349A (zh) 一种风干装置
CN207185841U (zh) 一种带有冷却功能的水果颗粒设备
CN212076808U (zh) 一种热量高效利用的干化机热泵机构
CN218155372U (zh) 一种内抽风式热回收粮食烘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