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6771B1 - 차량 연료변화량 기록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연료변화량 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6771B1
KR101076771B1 KR1020100014700A KR20100014700A KR101076771B1 KR 101076771 B1 KR101076771 B1 KR 101076771B1 KR 1020100014700 A KR1020100014700 A KR 1020100014700A KR 20100014700 A KR20100014700 A KR 20100014700A KR 101076771 B1 KR101076771 B1 KR 101076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unit
vehicle
amoun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4952A (ko
Inventor
김동환
문희승
박용승
Original Assignee
김동환
박용승
문희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환, 박용승, 문희승 filed Critical 김동환
Priority to KR1020100014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6771B1/ko
Publication of KR20110094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80Arrangements for signal processing
    • G01F23/802Particular electronic circuits for digital process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parameters of the vehicle itself, e.g. tyre mode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연료 변화량 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연료탱크내의 연료량을 검출하는 연료량 검출부, 상기 연료량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연료량이 설정 기록간격마다 기록되는 저장부, 이상 상황 발생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 출력부, 상기 연료량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연료량을 일정 시간마다 측정한 후 설정 기록간격 동안의 평균값을 시각정보와 함께 상기 저장부에 기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저장부에 기록된 시각별 연료량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체계적인 연료관리가 가능하고 정확한 연료비 정산이 가능하여 화물 차량의 관리가 용이할 뿐 아니라, 냉장(동)차량의 경우 온도기록장치 내에 본 발명의 연료 변화량 기록장치를 통합함으로써 차량의 관리가 현저하게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연료변화량 기록장치{An Apparatus For Recording Variation of Fuel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연료변화량 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을 일정 시간마다 측정 및 기록하여 연료관리가 용이하고, 연료변화량이 설정 기준치보다 큰 경우 도유 또는 이상상황 발생으로 간주하여 경보를 출력하고, 경보신호를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운행하는 중에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의 량을 인지하는 것은 안전운전을 위해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연료탱크에 남은 연료의 양은 연료탱크와 연결된 연료센더(fuel sender)를 통해 감지되고, 이 연료센더에서는 연료 유면의 높이에 따라 출력 저항값이 다르게 나타내어지게 되며, 상기 연료센더의 출력 저항값에 따라 연료 미터(게이지)에 해당 연료량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차량의 연료 측정 및 표시장치는 단순히 현재의 연료 잔량을 디스플레이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연료의 량을 인지하도록 하여 연료 부족으로 인한 차량의 정지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만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서, 연료의 양을 수시로 체크하고 기록 보관하여 체계적인 연료 관리를 하거나 도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근래 고유가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화물 운송 차량의 연료 도난 및 도유가 자주 발생하고 있고, 물류차량의 운송 관리에 있어 연료 정산이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인데, 종래 연료 측정 및 표시장치는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전혀 제공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연료탱크의 연료의 변화량을 수시로 체크하고 기록 보관하여 체계적으로 연료관리를 할 수 있고 연료비 정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급격한 연료량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경보음을 출력하고 관리자에게 이를 통보함으로써 연료 도난을 방지하고 이상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장치 설치시에 차량에 장착된 기본 부품(연료 센더)을 이용하여 설치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호환성이 우수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장(동)차량 등에 장착되는 온도기록장치의 기능을 병합하여 설정 기록 시간별로 차량의 연료 잔량과 냉장고(냉동고)의 온도를 기록하여 기능을 컨버전스화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변화량을 기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내의 연료량을 검출하는 연료량 검출부, 상기 연료량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연료량이 설정 기록간격마다 기록되는 저장부, 이상 상황 발생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 출력부, 상기 연료량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연료량을 일정 시간마다 측정한 후 설정 기록간격 동안의 평균값을 시각정보와 함께 상기 저장부에 기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저장부에 기록된 시각별 연료량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료변화량 기록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차량 연료변화량 기록장치는 연료측정 대상 차량의 차종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료량 검출부는 차량의 연료센더에 연결되어 상기 연료센더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센서 케이블, 상기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및 상기 증폭된 출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량 검출부에서 검출된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연료센더의 저항값을 산출하는 저항 측정부, 상기 연료센더의 저항값 및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차종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을 산출하는 연료량 산출부, 상기 산출된 연료량을 시각정보와 함께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 및 설정된 기록시간 동안의 연료 변화량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경보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경보 출력부로 전송하는 경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연료변화량 기록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PC 또는 관리자 단말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연료 변화량을 실시간으로 상기 PC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경보 발생 시 경보 신호를 상기 PC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연료변화량 기록장치는 상기 차량 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기록간격 동안의 연료량 평균값과 검출된 온도값을 시각정보와 함께 상기 저장부에 기록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저장부에 기록된 시각별 연료량 및 시각별 온도값을 출력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체계적인 연료관리가 가능하고 정확한 연료비 정산이 가능하여 화물 차량의 관리가 용이할 뿐 아니라, 냉장(동)차량의 경우 온도기록장치 내에 본 발명의 연료 변화량 기록장치를 통합함으로써 차량의 관리가 현저하게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료 도난 범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이상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상상황으로 인한 재산적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록장치 설치시에 차량에 장착된 기본 부품(연료 센더)을 이용함으로써 설치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호환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연료변화량 기록장치를 이용한 연료변화량 기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료변화량 기록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세부 구성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연료변화량 기록장치의 동작을 순서도로 나타낸것이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의할 경우 출력부에 의해 출력되는 출력물의 형식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료변화량 기록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7은 제 2 실시예에 의할 경우 출력부에 의해 출력되는 출력물의 형식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연료변화량 기록장치를 이용한 연료변화량 기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료변화량 기록 시스템에서 연료 센더(1)와 연료 미터(2)는 차량에 기 장착되어 있는 구성으로서, 이들 구성과 본 발명의 연료 변화량 기록장치(3) 간을 센서 케이블(4)로 연결하여 센서 케이블(4)을 통해 연료 센더(1)의 출력신호를 검출하도록 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즉,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료센더(1)에서는 연료 유면의 높이에 따라 출력 저항값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연료센더(1)에서 연료 미터(2)로 전송되는 출력신호를 센서 케이블(4)로 검출하여 연료 변화량 기록장치(3)에서 출력 저항값을 연료량으로 환산하여 기록 및 보관하게 된다.
연료 변화량 기록장치(3)는 산출된 연료량을 USB 케이블 등의 유선 케이블을 통해 PC(5)로 전송하거나 GPS, CDMA 망 등의 무선망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6)로 전송할 수 있고, 연료 도난이나 이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자체 경보음을 출력하는 한편, 경보 신호를 PC(5) 또는 관리자 단말기(6)로 통보한다. 여기서, 관리자 단말기(6)는 휴대폰, PDA 등일 수 있다.
연료 변화량 기록장치(3)의 세부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 도 2 및 도 3을 통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료변화량 기록장치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세부 구성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료변화량 기록장치(3)는 입력부(10), 표시부(20), 연료량 검출부(30), 시계부(40), 출력부(50), 경보 출력부(60), 통신부(70), 저장부(80) 및 제어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10)는 기기 조작을 위한 키 입력을 위한 입력장치로서, 키패드나 터치 스크린 등의 입력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입력부(10)를 통해서 사용자가 차종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차종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표시부(20)는 기기 조작을 위한 안내 문구, 기기의 동작 상태, 측정값 등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CRT, LED, OLED 등의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연료량 검출부(30)는 연료탱크의 연료량을 검출하여 제어부(90)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연료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연료량에 상응하는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31), 센서부(31)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33) 및 증폭된 감지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90)로 전달하는 A/D 변환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센서부(31)는 수위측정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도 1과 같이, 센서 케이블(4)이 연료 센더(1)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센서부(31)가 필요하지 않고, 센서 케이블(4)이 바로 증폭부(33)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센서부(31)는 연료 센더(1)가 장착되어 있는 않은 차종에서만 필요한 구성이다.
시계부(40)는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시계부(40)에서 제공되는 시각 정보에 의거하여 주기적으로 연료량을 측정하여 설정 기록시간마다 측정된 연료량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해당 시각정보와 함께 기록된다.
출력부(50)는 산출된 시각별 연료량 정보를 출력포트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 포트이거나 산출된 시각별 연료량 정보를 인쇄지에 출력하는 프린트 장치일 수 있다.
경보 출력부(60)는 연료 도난이나 이상상황 경보 발생시에 경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일 수 있다.
통신부(70)는 통신망을 통해 PC(5) 또는 관리자 단말기(6)와 연결되고, 후술하는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연료 변화량을 실시간으로 PC(5) 또는 관리자 단말기(6)로 전송하고, 경보 발생 시 경보 신호를 PC(5) 또는 관리자 단말기(6)로 전송한다.
저장부(80)는 산출된 연료량이 설정 기록간격마다 기록되는 메모리로서, 설정 기록간격(예를 들면 10분) 내의 일정시간(예를 들면 10초)마다 측정된 연료량을 임시 저장하는 임시 저장영역과, 이전 설정 기록시간과 현재 설정 기록시간 동안 임시 저장영역에 기록된 값을 평균값을 현재 설정 기록시간의 연료량으로 저장하는 일반 저장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기록간격은 1분 ~ 99분 내에서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어부(90)는 연료량 검출부(30)에서 검출되는 연료량을 일정 시간마다 측정한 후 설정 기록간격 동안의 평균값을 시각정보와 함께 저장부(80)에 기록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 측정부(91), 연료량 산출부(93), 출력 제어부(95) 및 경보 제어부(9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항 측정부(91)는 연료량 검출부(30)에서 검출된 출력신호로부터 연료센더(1)의 저항값을 산출하는 것이다.
연료량 산출부(93)는 연료센더(1)의 저항값 및 입력부(10)에서 입력된 차종정보에 기초하여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을 산출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기아자동차 B 차종의 경우 하기 표 1과 같이 연료의 유량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되므로 모든 차종에 대하여 연료의 유량과 저항의 관계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입력부(10)를 통해 차종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차종에 상응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현재 저항값에 상응하는 연료량을 산출하게 된다.
유량(L) 10 12 36 54 72
저항값(Ω) 110 83 32.5 18.5 1
출력 제어부(95)는 산출된 연료량을 시각정보와 함께 출력하도록 출력부(50)를 제어하는 것이다.
경보 제어부(97)는 설정된 기록시간 또는 사용자가 설정된 특정 시간 동안의 연료 변화량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경보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경보 출력부(60)로 전송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10분 이내에 연료가 10ℓ 이상 변화되면 이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경보 출력을 위한 시간 설정이나 연료 변화량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연료변화량 기록장치의 동작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의 시동이 ON되면(S400), 본 발명의 차량 연료변화량 기록장치(3)의 전원이 ON된다(S410).
차량 연료변화량 기록장치(3)의 전원이 켜지면 일정 시간동안 감지대기한다(S420). 감지대기는 시동 후에 연료탱크내의 연료량이 평준화되는 시간을 고려한 것으로서, 감지대기 시간은 약 30초 정도가 적당하다.
연료량이 평준화되면, 일정시간(예를 들면, 10초)에 한 번씩 연료량을 측정하여 저장부(80)의 임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S430).
설정된 기록간격(예를 들면 10분)에 도달하면, 그 동안 임시 저장영역에 기록된 연료량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계산된 평균값을 해당 기록 시각의 연료량으로 저장부(80)의 일반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임시 저장영역에 저장된 값들을 삭제한다(S440). 연료량을 설정된 기록 시각에만 측정하는 경우 차량의 이동상태나 경사도에 따라 측정되는 연료량이 상이하여 연료량의 측정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와 같이, 10초마다 지속적으로 연료량을 체크하고, 10분 마다 그 평균값을 기록함으로써 측정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기록 시각의 연료량이 산출되면, 설정된 시간 동안의 연료 변화량을 산출한다(S450).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기본 설정에 의해 10분 동안의 연료 변화량을 산출하게 된다.
10분 동안의 연료 변화량이 기준값(예를 들면, 10ℓ)을 초과하는 경우 연료 도난 또는 이상상황 발생으로 간주하여 경보를 출력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통보하게 된다(S460).
차량 연료변화량 기록장치(3)가 동작중인 상태에서,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차량 연료변화량 기록장치(3)의 전원이 OFF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연속적인 연료 변화량 검출을 위해 차량의 시동이 꺼지더라도 차량 연료변화량 기록장치(3)의 전원이 계속 ON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 차량 연료변화량 기록장치(3)가 차량의 배터리에 직접 연결되거나 별도의 배터리에 연결되어 차량의 시동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ON되어 지속적으로 차량의 연료 변화량을 체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차량의 주차 후 운전자 부재시에 발생하는 연료 도난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의할 경우 출력부에 의해 출력되는 출력물의 형식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물에는 차량번호, 연료량 기록 간격, 연월일 정보 외에 해당 기록 간격마다 연료량이 표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료 변화량 기록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제 2 실시예는 온도센서(100)가 부착되어 온도기록장치와 연료 변화량 기록장치가 통합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냉장차량이나 냉동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의 기본 구성에 차량의 냉장고(냉동고)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냉장고(냉동고)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100)와 온도센서(100)에서 검출된 온도 센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90)로 전송하는 A/D 변환부(110)가 더 포함된다.
따라서, 제어부(90)는 설정 기록 시간별로 차량의 연료 잔량과 냉장고(냉동고)의 온도를 저장부(80)에 기록하고, 출력부(50)를 통해 이를 출력함으로써 냉동차량용 온도기록장치와 차량용 연료 변화량 기록장치를 1개의 기기로 통합할 수 있게 되어 차량의 운행 관리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도 7은 제 2 실시예에 의할 경우 출력부에 의해 출력되는 출력물의 형식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의할 경우 출력물에는 해당 기록 간격마다 냉장고(냉동고)의 측정온도값과 현재 연료탱크의 연료 잔량이 표시된다. 도 7에서는 2개의 온도센서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며, 온도센서의 개수는 냉장(냉동) 공간이 크기 등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1 : 연료 센더 2 : 연료 미터
3 : 연료 변화량 기록장치 4 : 센서 케이블
5 : PC 6 : 관리자 단말기
10 : 입력부 20 : 표시부
30 : 연료량 검출부 40 : 시계부
50 : 출력부 60 : 경보 출력부
70 : 통신부 80 : 저장부
90 : 제어부 100 : 온도센서
110 : A/D 변환부 120 : 배터리

Claims (6)

  1.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변화량을 기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내의 연료량을 검출하는 것으로서, 차량의 연료센더에 연결되어 상기 연료센더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센서 케이블;
    상기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된 출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를 포함하는 연료량 검출부;
    상기 연료량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연료량이 설정 기록간격마다 기록되는 저장부;
    이상 상황 발생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 출력부;
    상기 연료량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연료량을 일정 시간마다 측정한 후 설정 기록간격 동안의 평균값을 시각정보와 함께 상기 저장부에 기록하는 제어부;
    상기 저장부에 기록된 시각별 연료량을 출력하는 출력부;
    연료측정 대상 차량의 차종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량 검출부에서 검출된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연료센더의 저항값을 산출하는 저항 측정부;
    상기 연료센더의 저항값 및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차종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을 산출하는 연료량 산출부;
    상기 산출된 연료량을 시각정보와 함께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 및
    설정된 기록시간 동안의 연료 변화량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경보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경보 출력부로 전송하는 경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료변화량 기록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PC 또는 관리자 단말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연료 변화량을 실시간으로 상기 PC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경보 발생 시 경보 신호를 상기 PC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료변화량 기록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기록간격 동안의 연료량 평균값과 검출된 온도값을 시각정보와 함께 상기 저장부에 기록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저장부에 기록된 시각별 연료량 및 시각별 온도값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료변화량 기록장치.
KR1020100014700A 2010-02-18 2010-02-18 차량 연료변화량 기록장치 KR101076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700A KR101076771B1 (ko) 2010-02-18 2010-02-18 차량 연료변화량 기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700A KR101076771B1 (ko) 2010-02-18 2010-02-18 차량 연료변화량 기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952A KR20110094952A (ko) 2011-08-24
KR101076771B1 true KR101076771B1 (ko) 2011-10-26

Family

ID=44930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700A KR101076771B1 (ko) 2010-02-18 2010-02-18 차량 연료변화량 기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67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053B1 (ko) * 2013-10-21 2015-03-19 신흥콘트롤(주)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모니터링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정전용량식 연료 센더
KR101479072B1 (ko) * 2013-10-21 2015-01-07 신흥콘트롤(주)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331Y1 (ko) * 2000-04-27 2000-10-02 우리산업주식회사 연료량 측정장치
KR100647496B1 (ko) * 2005-08-19 2006-11-23 문병영 차량의 연료량 변화 감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331Y1 (ko) * 2000-04-27 2000-10-02 우리산업주식회사 연료량 측정장치
KR100647496B1 (ko) * 2005-08-19 2006-11-23 문병영 차량의 연료량 변화 감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952A (ko) 201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11851A1 (en) Fuel thef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20110128160A1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well service rig
US20070078528A1 (en) Predictive fault determination for a non-stationary device
RU2009139055A (ru) Способ мониторинга и/или определения состояния силоизмер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 силоизмер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20160209259A1 (en) Measurement device, measurement system, canister and measurement method
WO2018140439A1 (en) Pressure based load sensing system
JPWO2005045778A1 (ja) 作業機械の燃料管理システム及び燃料管理方法
KR101721822B1 (ko) 교체 자동알림 기능을 이용한 소화기의 관리 통제 시스템
KR101076771B1 (ko) 차량 연료변화량 기록장치
EP39679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fuel tank and server
KR101025538B1 (ko) 열배관 리크 감시 장치
KR100595701B1 (ko) 이중 온도센서를 이용한 온도기록장치
KR102076749B1 (ko) 건물 붕괴 전조 감지 시스템
CN105473992A (zh) 具有集成传感器的测试泄漏装置
WO2014085755A1 (en) Method for temperature-based battery conservation in a wireless sensor device
US11054296B2 (en) Level sensor kit for use with a liquid storage tank, system incorporating same,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1342691B1 (ko) 유량계 원격 검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량계 고장 판단장치 및 방법
JP4152835B2 (ja) 給油所の盗難監視システム
US20120203498A1 (en) Tamper detection with tilt sensors
KR100796328B1 (ko) 순간 상승압력 경보 압력계
KR101766346B1 (ko) 연료 잔량 검출이 가능한 연료 드레인 플러그 및 그를 포함하는 연료 잔량 검출 시스템
KR20080069294A (ko) 운행 거리 측정 기능을 갖는 온도기록장치
KR101738960B1 (ko) 연료 잔량 계산기 및 연료 잔량 계산방법
CN111505499A (zh) 用于监测发电机组使用时间的自主装置及相应的发电机组
JPH0977198A (ja) 給油所設備における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