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6150B1 - 스플라인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스플라인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6150B1
KR101076150B1 KR1020090016412A KR20090016412A KR101076150B1 KR 101076150 B1 KR101076150 B1 KR 101076150B1 KR 1020090016412 A KR1020090016412 A KR 1020090016412A KR 20090016412 A KR20090016412 A KR 20090016412A KR 101076150 B1 KR101076150 B1 KR 101076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line
connection device
present
circumferential surfac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7463A (ko
Inventor
유일훈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6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6150B1/ko
Publication of KR20100097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스플라인치를 S자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조립 초기에는 외측 스플라인과 내측 스플라인의 사이의 유격을 크게 하여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 조립후에는 스플라인치의 틈새각을 최소화시켜서 차량의 가속 및 감속시 차량 안정성 및 승차감을 높일 수 있는, 스플라인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주면에 스플라인치가 형성되어 있는 외측 스플라인과, 외주면에 상기한 스플라인치와 대응되는 스플라인치가 형성되어 있는 내측 스플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스플라인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외측 스플라인의 스플라인치는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외측 스플라인의 스플라인치와 대응되는 내측 스플라인의 스플라인치는 S자형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스플라인, 스플라인치, 틈새각, 유격, S자 형태

Description

스플라인 연결 장치{Spline shaft joint}
이 발명은 스플라인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스플라인치를 S자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조립 초기에는 외측 스플라인과 내측 스플라인의 사이의 유격을 크게 하여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 조립후에는 스플라인치의 틈새각을 최소화시켜서 차량의 가속 및 감속시 차량 안정성 및 승차감을 높일 수 있는, 스플라인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구동계의 축간 연결에는, 절각이 필요한 경우에는 조인트 연결이 많이 사용되지만, 절각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플라인 연결 장치가 많이 사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플라인 연결 장치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의 일부단면 사시 구성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스플라인 연결 장치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의 일부단면 측면도이고, 도 3은 일반적인 스플라인 연결 장치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일부단면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스플라인 연결 장치의 구성은, 내주면에 스플라인치(11)가 형성되어 있는 외측 스플라인(1)과, 외주면에 상기한 스플라인치(11)와 대응되는 스플라인치(21)가 형성되어 있는 내측 스플라인(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스플라인치(11)는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스플라인치(11)와 대응되는 스플라인치(21)도 직선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일반적인 스플라인 연결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내측 스플라인(2)에 외측 스플라인(1)을 압입하면, 내측 스플라인(2)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스플라인치(21)와 외측 스플라인(1)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스플라인치(11)가 결합되면서 내측 스플라인(2)과 외측 스플라인(1)이 서로 스플라인 결합된다.
이 경우에, 상기한 내측 스플라인(2)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스플라인치(21)와, 상기한 외측 스플라인(1)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스플라인치(11)는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쉽게 결합이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스플라인 연결 장치는, 상기한 내측 스플라인(2)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스플라인치(21)와 외측 스플라인(1)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스플라인치(11)가 서로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쉽게 결합이 되기는 하지만, 틈새각(backlash)이 상대적으로 크게 됨으로써 차량의 가속 및 감속시 차량 안정성 및 승차감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 스플라인치를 S자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조립 초기에는 외측 스플라인과 내측 스플라인의 사이의 유격을 크게 하여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 조립후에는 스플라인치의 틈새각을 최소화시켜서 차량의 가속 및 감속시 차량 안정성 및 승차감을 높일 수 있는, 스플라인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내주면에 스플라인치가 형성되어 있는 외측 스플라인과, 외주면에 상기한 스플라인치와 대응되는 스플라인치가 형성되어 있는 내측 스플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스플라인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외측 스플라인의 스플라인치는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외측 스플라인의 스플라인치와 대응되는 내측 스플라인의 스플라인치는 S자형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내측 스플라인의 스플라인치는 양쪽 끝부분에서 외측 스플라인의 스플라인치와 밀접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내측 스플라인의 스플라인치는 양쪽 끝부분의 사이의 중간부분은 경사도가 1도 이하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은, 스플라인치를 S자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조립 초기에는 외측 스플라인과 내측 스플라인의 사이의 유격을 크게 하여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 조립후에는 스플라인치의 틈새각을 최소화시켜서 차량의 가속 및 감속시 차량 안정성 및 승차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4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인 연결 장치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의 일부단면 사시 구성도이고, 도 5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인 연결 장치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의 일부단면 측면도이고, 도 6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인 연결 장치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일부단면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인 연결 장치의 구성은, 내주면에 스플라인치(11)가 형성되어 있는 외측 스플라인(1)과, 외주면에 상기한 스플라인치(11)와 대응되는 스플라인치(31)가 형성되어 있는 내측 스플라인(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스플라인치(11)는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스플라인치(11)와 대응 되는 스플라인치(31)는 S자형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S자형 스플라인치(31)는 양쪽 끝부분(31a, 31b)에서 스플라인치(11)와 밀접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S자형 스플라인치(31)는 양쪽 끝부분(31a, 31b)의 사이의 중간부분은 경사도가 1도 이하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인 연결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내측 스플라인(3)에 외측 스플라인(1)을 압입하면, 내측 스플라인(3)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스플라인치(31)와 외측 스플라인(1)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스플라인치(11)가 결합되면서 내측 스플라인(3)과 외측 스플라인(1)이 서로 스플라인 결합된다.
이 경우에, 상기한 내측 스플라인(3)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스플라인치(21)는 S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상기한 외측 스플라인(1)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스플라인치(11)는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조립 초기에는 내측 스플라인(3)의 스플라인치(31)와 외측 스플라인(1)의 스플라인치(11)의 사이의 유격이 크고 스플라인치(31, 11)의 방향이 같기 때문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조립후에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측 스플라인(3)의 스플라인치(31)의 양쪽 끝부분(31a, 31b)에서의 스플라인치(11)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서 틈새각(backlash)을 최소화시키기 때문에 응력발생이 낮아서 스플라인치(31, 11)의 강도 및 내구 수명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상기한 S자형 스플라인치(31)의 양쪽 끝부분(31a, 31b)의 사이의 중간부분은 경사도가 1도 이하로 이루어지지만, 도면에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1도 이상으로 과장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플라인 연결 장치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의 일부단면 사시 구성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스플라인 연결 장치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의 일부단면 측면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스플라인 연결 장치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일부단면 평면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인 연결 장치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의 일부단면 사시 구성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인 연결 장치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의 일부단면 측면도이다.
도 6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인 연결 장치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일부단면 평면도이다.
도 7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인 연결 장치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스플라인치 결합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외측 스플라인 2, 3 : 내측 스플라인
11, 21, 31 : 스플라인치

Claims (3)

  1. 내주면에 스플라인치가 형성되어 있는 외측 스플라인과, 외주면에 상기한 스플라인치와 대응되는 스플라인치가 형성되어 있는 내측 스플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스플라인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외측 스플라인의 스플라인치는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외측 스플라인의 스플라인치와 대응되는 내측 스플라인의 스플라인치는 S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내측 스플라인의 스플라인치는 양쪽 끝부분에서 외측 스플라인의 스플라인치와 밀접됨으로써 양쪽 끝부분에서의 틈새각(backlash)을 최소화시키며,
    상기한 내측 스플라인의 스플라인치는 양쪽 끝부분의 사이의 중간부분은 경사도가 1도 이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인 연결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090016412A 2009-02-26 2009-02-26 스플라인 연결 장치 KR101076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412A KR101076150B1 (ko) 2009-02-26 2009-02-26 스플라인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412A KR101076150B1 (ko) 2009-02-26 2009-02-26 스플라인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463A KR20100097463A (ko) 2010-09-03
KR101076150B1 true KR101076150B1 (ko) 2011-10-21

Family

ID=43004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412A KR101076150B1 (ko) 2009-02-26 2009-02-26 스플라인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61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74235B (zh) * 2017-05-30 2021-03-09 株式会社岛野 自行车后链轮组件
KR102177597B1 (ko) 2018-10-25 2020-11-11 현대위아(주) 등속조인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3049A (ja) * 2006-06-14 2007-12-27 Toyota Motor Corp スプライン連結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3049A (ja) * 2006-06-14 2007-12-27 Toyota Motor Corp スプライン連結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463A (ko) 201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00995A1 (en) Composite Brake Disc
JP5972590B2 (ja) 回転伝達部材、軸直結型カップリングおよび軸連結機構
US10197153B2 (en) Device for positioning meshing teeth of a gear drive without any play
KR101076150B1 (ko) 스플라인 연결 장치
US20110092326A1 (en) Pulley for use with toothed belt
US6705949B2 (en) Shaft spline having a straight side tooth profile
JP6903757B2 (ja) 少なくとも1つの補強フィンを含むローリングブーツ
KR101417513B1 (ko) 차량용 인너샤프트의 조립장치
JP2007154984A (ja) 動力伝達機構
US20090186709A1 (en) Mechanism for Transmitting Power Between Shaft and Hub
WO2017179499A1 (ja) 送風機
CN109210144B (zh) 预加载部件,预加载组件,双质量飞轮和机动车辆
US8443952B2 (en) Transmission
US10788080B2 (en) Dog clutch
JP2007112318A (ja) スタビライザブッシュ
JP2020085189A (ja) 軸部材の嵌合構造
JP2008039081A (ja) 動力伝達機構
TWI513921B (zh) Shaft coupler
JP2013061004A (ja) ウォームホイール
JP2005104427A (ja) エキゾーストマウントラバー
JP2008032160A (ja) 動力伝達機構
JP2006349324A (ja) ダクト連結構造
JPH07280013A (ja) 防振ブッシュ
JP2005143198A (ja) 可変オフセットクリップ
JP3825625B2 (ja) 車両用軸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