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6145B1 - 절첩대 및 조리 세트 - Google Patents

절첩대 및 조리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6145B1
KR101076145B1 KR1020090007349A KR20090007349A KR101076145B1 KR 101076145 B1 KR101076145 B1 KR 101076145B1 KR 1020090007349 A KR1020090007349 A KR 1020090007349A KR 20090007349 A KR20090007349 A KR 20090007349A KR 101076145 B1 KR101076145 B1 KR 101076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tula
rod
plane
food
shape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1241A (ko
Inventor
나미꼬 이시이
료오 다니와끼
유까 다나까
가즈히로 가와시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ublication of KR20090131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1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0Shapes for preparing foodstuffs, e.g. meat-patty moulding devices, pudding mould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40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type, form or use
    • A21D13/44Pancakes or crêp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1Vessels uniquely adapted for bak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8Spatulas; Scrapers; Multi-purpose hand imp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피 식품의 접는 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절첩대 및 조리 세트를 제공한다.
절첩대(10)는 박피 식품을 접기 위한 대이며, 고정판(12)과, 가동판(13 내지 15)과, 돌출편(17)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판(12)은 박피 식품이 적재되는 제1 평면(12a)을 갖고 있다. 가동판(13 내지 15)은, 고정판(12)의 제1 평면(12a)과 동일 평면 상태로 배치되어 박피 식품이 적재되는 제2 평면(13a 내지 15a)을 갖고, 고정판(12)에 힌지(16)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돌출편(17)은 힌지(16)를 지지점으로 하여, 제2 평면(13a 내지 15a)이 제1 평면(12a)에 면 접촉하는 방향으로 가동판(13 내지 15)을 회전시키는 조작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Figure R1020090007349
절첩대, 고정판, 가동판, 돌출편, 힌지

Description

절첩대 및 조리 세트{Folded Die and Cookware set}
본 발명은 절첩대 및 조리 세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팬 등의 구운 과자를 제작하기 위한 소형(燒型)이 알려져 있다. 또한, 소형에는 저벽과, 저벽의 전체 둘레 모서리로부터 수직 상승하는 측벽을 갖고, 측벽의 일방측을 측벽의 타방측에 비해 외측으로 경사지게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소형에 따르면, 측벽의 일방측이 측벽의 타방측에 비해 외측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일방측으로부터 구운 과자가 제거되기 쉬워져, 구운 과자의 회수 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65141호 공보
그러나, 종래 소형 등을 사용했다고 해도, 조리가 숙련되지 않은 자(특히 여아를 중심으로 한 아이)에 있어서는, 조리 자체는 용이한 것으로 되지 않는다. 특히, 크레이프 생지(生地), 오므라이스의 계란 부분, 교자의 피 및 생춘권의 피(皮) 등을 포함하는 박피(薄皮) 식품에 관해서는, 박피 식품을 깨끗하게 접을 수 없으면, 완성품의 외관이 저하되어 버리나, 이 깨끗하게 접는 작업이, 조리가 숙련되지 않은 자에 있어서는 곤란한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박피 식품의 접는 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절첩대 및 조리 세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절첩대는, 박피 식품을 접는 절첩대이며, 박피 식품이 적재되는 제1 평면을 갖는 고정판과, 고정판의 제1 평면과 동일 평면 상태로 배치되어 박피 식품이 적재되는 제2 평면을 갖고, 고정판 상으로 접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가동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판을 고정하는 받침대를 더 구비하고, 가동판은 받침대 및 고정판의 적어도 한쪽에 힌지를 통해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힌지를 지지점으로 하여, 제2 평면이 제1 평면에 면 접촉하는 방향으로 가동판을 회전시키는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동판을 복수 구비하고, 조작부는 복수의 가동판 각각에 장착되어, 각 가동판을 회전시키는 인력을 가하기 위한 돌출편이며, 돌출편의 표면에는, 복수의 가동판을 회전시키는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 기호가 부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조리 세트는, 상기 기재된 절첩대와, 절첩대의 받침대 중 고정판 및 가동판의 설치측과 반대측에 있어서, 제1 평면 및 제2 평면과 평행하게, 받침대째 고정판 및 가동판을 회전시키는 회전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박피 식품의 바탕으로 되는 액상(液狀)의 박피종(薄皮種)이 유입되는 오목부를 갖고, 오목부에 유입된 박피종과 함께 가열됨으로써 박피 식품을 제작하기 위한 형 부품을 구비하고, 형 부품은 오목부 저면에 모양으로 되는 오목 또는 볼록의 적어도 한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박피종을 오목부 내에 있어서 대략 균일 두께로 하기 위한 톰보(박피종의 두께를 균일하게 하는 도구를 이하 "톰보"라 한다)를 더 구비하고, 오목부의 저면 형상은 원형으로 되어 있고, 톰보는 막대 형상의 막대 형상 부재와, 막대 형상 부재의 선단부측에 있어서 막대 형상 부재의 축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신장하는 긴 생지 두께 형성부로 이루어지고, 생지 두께 형성부는, 막대 형상 부재를 막대의 축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박피종이 유입된 오목부 내에 있어서 회전하여, 박피종을 대략 균일 두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막대 형상 부재와 형 부품은, 막대 형상 부재를 막대의 축 둘레로 회 전시키는데 있어서, 막대 형상 부재의 선단부가 원형의 오목부의 중심 위치에 위치시키는 위치 맞춤 기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생지 두께 형성부 중 막대 형상 부재의 선단부측에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형 부품과 함께 가열되어 제작된 박피 식품을 형 부품의 오목부로부터 제거하는 주걱 부품을 더 구비하고, 주걱 부품은, 기부측에 있어서 서로 접속된 긴 판 형상의 제1 주걱 및 제2 주걱을 갖고, 제1 주걱과 제2 주걱을 근접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제1 주걱과 제2 주걱으로 박피 식품을 사이에 끼우는 것이 가능하고, 제1 주걱은 제2 주걱보다도 길고, 선단부측이 제2 주걱보다도 박판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절첩대에 따르면, 박피 식품이 적재되는 고정판 및 가동판을 구비하고, 가동판은 고정판 상으로 접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조리자는 박피 식품을 고정판 및 가동판에 올린 후, 가동판을 고정판 상으로 접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박피 식품의 접는 것이 가능해져, 박피 식품의 접는 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고정판을 고정하는 받침대를 더 구비하고, 가동판은 받침대 및 고정판의 적어도 한쪽에 힌지를 통해 접속된다. 이로 인해, 고정판, 가동판 및 받침대는 일체적으로 되어, 각각의 배치 관계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되고, 접는데 있어서 배치 관계가 바뀌어 적절하게 접을 수 없게 되어 버리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힌지를 지지점으로 하여, 제2 평면이 제1 평면에 면 접촉하는 방향으로 가동판을 회전시키는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를 더 구비한다. 이로 인해, 조리자는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가동판을 회전할 수 있게 되어, 가동판에 직접 접촉할 필요가 없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박피 식품이 뜨거운 상태에 있어서 조리자는 가동판에 접촉하지 않고 접는 것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는 복수의 가동판 각각에 장착되어, 각 가동판을 회전시키는 인력을 가하기 위한 돌출편이며, 돌출편의 표면에는, 복수의 가동판을 회전시키는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 기호가 부여되어 있다. 이로 인해, 어떠한 순서로 가동판을 회전시켜 박피 식품을 접으면 좋을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어, 여아 등의 아이에 있어서도 순서에 틀리지 않고 박피 식품을 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조리 세트에 따르면, 받침대 중 고정판 및 가동판의 설치측과 반대측에 있어서, 제1 평면 및 제2 평면과 평행하게, 받침대째 고정판 및 가동판을 회전시키는 회전대를 더 구비한다. 이로 인해, 크레이프 생지에 원주 상에 생크림을 올린 경우 등, 박피 식품 상에 원주 상에 식품 재료를 올리는 경우에는, 회전대에 의해 절첩대를 회전시키면서 식품 재료를 올릴 수 있어,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형 부품은, 오목부 저면에 모양으로 되는 오목 또는 볼록의 적어도 한쪽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박피 식품의 한쪽 면에 무늬가 형성되게 되어, 완성품의 외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생지 두께 형성부는, 막대 형상 부재를 막대의 축 둘레로 회전시킴으 로써, 박피종이 유입된 오목부 내에 있어서 회전하여, 박피종을 대략 균일 두께로 한다. 이로 인해, 오목부에 유입된 박피종의 점성이 비교적 높은 경우 등이라도, 박피종을 대략 균일 두께로 하여, 대략 균일 두께의 박피 식품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막대 형상 부재와 형 부품은, 막대 형상 부재를 막대의 축 둘레로 회전시키는데 있어서, 막대 형상 부재의 선단부가 원형의 오목부의 중심 위치에 위치시키는 위치 맞춤 기구를 갖는다. 이로 인해, 막대 형상 부재가 오목부의 중심으로 위치하지 않고, 막대 형상 부재를 막대의 축 둘레로 회전시킬 때에, 생지 두께 형성부가 잘 회전하지 않게 되어 버리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생지 두께 형성부 중 막대 형상 부재의 선단부측에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막대 형상 부재를 막대의 축 둘레로 회전시키면, 박피종의 일부는 절결부로부터 통과하는 동시에, 박피종의 잔량부는 생지 두께 형성부에 의해 닦아 내도록 된다. 이에 의해, 절결부가 없고, 박피종의 대부분이 생지 두께 형성부에 의해 닦아 내어지고, 박피종을 대략 균일 두께로 할 때에 지장이 되어 버리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주걱은 제2 주걱보다도 길기 때문에, 제1 주걱에 의해 박피 식품을 아래서부터 지지하면서, 제2 주걱에 의해 사이에 끼울 수 있어, 박피 식품을 절첩대에 올리는 작업에 대해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제1 주걱은 선단부측이 제2 주걱보다도 박판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주걱을 박피 식품의 하측으로 삽입하기 쉬워져, 한층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절첩대를 포함하는 조리 세트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하는 조리 세트(1)는, 박피 식품에 관한 조리자의 조리를 용이화하는 것이며, 특히 손끝이 어른보다도 비교적 솜씨 없는 여아를 중심으로 한 아이들용의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크레이프 생지를 박피 식품의 일례로서 들지만, 박피 식품은 크레이프 생지에 한정되지 않고, 오므라이스의 계란 부분, 교자의 피 및 생춘권의 피 등이라도 좋다. 즉, 박피 식품이라 함은, 넓힌 상태에 있어서 먹는 일 없이, 접은 상태에 있어서 먹는 것을 말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 세트(1)는 절첩대(10)와, 회전대(20)와, 크레이프 팬(형 부품)(30)과, 톰보(40)와, 주걱 부품(50)을 구비하고 있다. 절첩대(10)는 크레이프 생지인 박피 식품을 접는 것이며, 받침대(11)와, 고정판(12)과, 복수의 가동판(13 내지 15)과, 복수의 힌지(16a 내지 16d)와, 복수의 돌출편(17a 내지 17c)과, 원형 돌기(18)로 이루어져 있다.
받침대(11)는 절첩대(10)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이다. 고정판(12)은 받침대(11)와 일체 성형되는 등에 의해, 받침대에 고정된 판 부재이다. 이 고정판(12)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각을 60°로 한 부채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 부채 형상의 상측 표면은 박피 식품이 적재되는 제1 평면(12a)으로 되어 있다.
복수의 가동판(13 내지 15)은 가동 가능하게 설치된 판 부재이다. 이들 복수의 가동판(13 내지 15)은 고정판(12)의 제1 평면(12a)과 동일 평면에 배치된 제2 평면(13a 내지 15a)을 갖고, 제2 평면(13a 내지 15a)에는 박피 식품이 적재 되도록 되어 있다. 복수의 힌지(16a 내지 16d)는 받침대(11) 또는 고정판(12)과 가동판(13 내지 15)을 접속하는 접속 부품이고, 자기의 위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가동판(13 내지 15)을 회전 가능하게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복수의 가동판(13 내지 15)은 제1 가동판(13)과, 제2 가동판(14)과, 제3 가동판(15)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가동판(13)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각을 180°로 한 반원 형상으로 되어 있고, 반원의 직선 부분에 있어서 제1 힌지(16a)와 제2 힌지(16b)가 접속되어 있다. 이들 제1 힌지(16a) 및 제2 힌지(16b)는 받침대(11)에도 고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1 가동판(13)은 제1 힌지(16a) 및 제2 힌지(16b)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고, 제1 가동판(13)의 제2 평면(13a)은 고정판(12)의 제1 평면(12a), 제2 가동판(14)의 제2 평면(14a) 및 제3 가동판(15)의 제2 평면(15a)에 면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 가동판(14)은 중심각을 60°로 한 부채 형상으로 되어 있고, 부채의 직선 부분에 있어서 제3 힌지(16c)가 접속되어 있다. 제3 힌지(16c)는, 고정판(12)에도 접속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2 가동판(14)은, 제3 힌지(16c)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고, 제2 가동판(14)의 제2 평면(14a)은, 고정판(12)의 제1 평면(12a)에 면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3 가동판(15)은 중심각을 60°로 한 부채 형상으로 되어 있고, 부채의 직선 부분에 있어서 제4 힌지(16d)가 접속되어 있다. 제4 힌지(16d)는 고정판(12)에도 접속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3 가동판(15)은 제4 힌지(16d)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고, 제3 가동판(15)의 제2 평면(15a)은 고정판(12)의 제1 평 면(12a)에 면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복수의 돌출편(17a 내지 17c)은, 각 힌지(16a 내지 16d)를 지지점으로 하여, 가동판(13 내지 15)의 제2 평면(13a 내지 15a)을, 고정판(12)의 제1 평면(12a)에 면 접촉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부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이들 복수의 돌출편(17)은, 각각이 가동판(13 내지 15)의 외주측에 1개씩 설치되어 있고, 조리자의 인력에 의해 힘을 작용시켜 각 가동판(13 내지 15)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돌출편(17a)은 제1 가동판(13)의 외주측에 설치되어 있고, 제2 돌출편(17b)은 제2 가동판(14)의 외주측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3 돌출편(17c)은 제3 가동판(15)의 외주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제1 내지 제3 돌출편(17a 내지 17c)은, 표면[상측이며 절첩대(10)를 테이블 등에 둔 상태에서 조리자에게 보여지는 측]에 복수의 가동판(13 내지 15)을 가동시키는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 기호(구체적으로는 번호)(17a1 내지 17c1)가 부여되어 있다. 이로 인해, 조리자는 박피 식품을 접을 때에, 어떠한 순서로 접으면 좋을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원형 돌기(18)는 받침대(11)의 하측에 형성된 돌기이다. 구체적으로 받침대(11)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원형 돌기(18)는 중공 형상의 저면부에 형성되어 있다. 절첩대(10)는, 이 원형 돌기(18)에 의해 회전대(20)와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회전대(20)는 절첩대(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며, 받침대(11) 중 고정판(12) 및 가동판(13 내지 15)의 설치측과 반대측(즉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 회전대(20)는 상측 부품(21)과, 하측 부품(22)과, 복수의 롤러(23a 내지 23c)를 구비하고 있다. 상측 부품(21)은 일단부가 폐색된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부재이며, 상측에 위치하는 평면부(21a)의 중심 위치에 원형 구멍(21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원형 구멍(21b)은, 절첩대(10)의 받침대(11)에 형성되는 원형 돌기(18)가 끼워 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측 부품(21)은,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대(11)의 중공 부분에 끼우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절첩대(10)와 상측 부품(21)은 중심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측 부품(22)은 상측 부품(21)의 하측에 설치된 원형의 고무 부품이다. 또한, 복수의 롤러(23a 내지 23c)는 상측 부품(21)의 평면부(21a)에 설치되는 회전 부품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원형 돌기(18)가 원형 구멍(21b)에 끼워 넣도록 하여, 절첩대(10)를 회전대(20)에 올림으로써, 제1 평면(12a)과 제2 평면(13a 내지 15a)과 평행하게, 받침대(11)째 절첩대(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크레이프 팬(30)은 박피 식품을 제작하기 위한 것이며, 형 본체(31)와, 손잡이부(32)와, 원형 돌기(33)를 구비하고 있다. 형 본체(31)는 상측에 원형의 오목부(31a)를 갖고, 박피 식품의 바탕으로 되는 액상의 박피종이 유입되는 것이다. 크레이프의 박피종은 소맥분, 우유, 계란 및 물 등으로 제작되는 액상의 것이다. 조리자는 오목부(31a)로 박피종을 유입시키고, 크레이프 팬(30)째 가열함으로써, 박피 식품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크레이프(30)는 직접 불에 의해 가열할 수 있도록 철제 등이라도 좋으나, 여아 등 아이가 조리하는 것을 고려하면, 수지에 의해 구성되고, 직접 불에 의해 가열하지 않는 전자레인지 등의 기기에 의해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형 본체(31)는 오목부(31a)의 저면에 모양(31b)이 형성되어 있다. 이 모양(31b)은 꽃형이나 하트형 등, 박피 식품의 표면의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된 오목 또는 볼록이다. 또한, 모양(31b)이 볼록에 의해 형성되면, 모양(31b)에 의해 형성되는 무늬 부분에 있어서 박피 식품이 얇아지고, 박피 식품이 찢어져 버릴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로 인해, 모양(31b)은 오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형 본체(31)는, 오목부(31a)의 저면 중심 위치에 원 구멍(31c)이 형성되어 있다. 이 원 구멍(31c)은, 후술하는 톰보(40)의 선단부(42a)가 끼워 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부가하여, 형 본체(31)는 하측에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대(31d)를 구비하고 있다. 손잡이부(32)는 크레이프 팬(30)의 손잡이 부분이고, 가열 후의 크레이프 팬(30)이 조리자에 의해 들어질 때에, 뜨거움이 조리자의 손에 전달되기 어려워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원형 돌기(33)는 절첩대(10)의 원형 돌기(18)와 마찬가지로, 회전대(20)의 원형 구멍(21b)에 끼우는 돌기이며, 받침대(31d)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절첩대(10)뿐만 아니라, 크레이프 팬(30)에 대해서도 오목부(31a)의 저면과 평행하게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톰보(40)는, 오목부(31)에 유입된 박피종의 두께를 대략 균일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파지부(41)와, 막대 형상 부재(42)와, 생지 두께 형성부(43)를 갖고 있다. 파지부(41)는 조리자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이다.
막대 형상 부재(42)는, 일단부가 파지부(41)에 접속된 긴 막대 형상의 부재이다. 막대 형상 부재(42)의 선단부(42a)는, 약간 끝이 가늘게 되어 있고, 크레이프 팬(30)에 형성되는 원 구멍(31c)에 끼우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생지 두께 형성부(43)는, 막대 형상 부재(42)의 선단부측에 있어서 막대 형상 부재(42)의 축에 대해, 대략 수직 방향으로 신장하는 긴 형상[오목부(31a)의 내주 직경 정도의 길이]의 부재이다. 이 생지 두께 형성부(43)는, 조리자가 파지부(41)를 조작하여, 막대 형상 부재(42)를 축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박피종이 유입된 오목부(31a) 내에 있어서 회전하여, 박피종을 대략 균일 두께로 하게 된다.
특히, 막대 형상 부재(42)의 선단부(42a)와 크레이프 팬(30)의 원 구멍(31c)은, 막대 형상 부재(42)의 선단부(42a)를 오목부(31a)의 중심 위치에 위치시키는 위치 맞춤 기구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생지 두께 형성부(43)를 회전시킬 때에, 생지 두께 형성부(43)의 양단부가 오목부(31)의 내벽에 접촉하고, 회전시키기 어려워지는 사태를 방지하고 있다.
또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지 두께 형성부(43) 중 막대 형상 부재(42)의 선단부(42a)측에는 복수의 절결부(43a)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오목부(31a) 내에서 생지 두께 형성부(43)를 회전시킬 때, 박피종의 일부는 절결부(43a)를 통과하는 동시에, 박피종의 잔량부는 생지 두께 형성부(43)에 의해 닦아 내어지도록 된다. 한편, 절결부(43a)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박피종의 대부분이 닦아 내어지고, 박피종을 대략 균일 두께로 하는 것에 지장을 초래할 가능성 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생지 두께 형성부(43)는 절결부(43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박피종을 대략 균일 두께로 할 때에 지장이 되어 버리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주걱 부품(50)은, 크레이프 팬(30)과 함께 가열되어 제작된 박피 식품을, 크레이프 팬(30)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이며, 제1 주걱(52)과 제2 주걱(51)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주걱(51, 52)은, 기부측에 있어서 서로 접속된 긴 판 형상의 부재이며, 제1 주걱(52)과 제2 주걱(51)을 근접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박피 식품을 사이에 끼우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2는 도1에 도시한 주걱 부품(50)을 도시하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주걱(52)은 제2 주걱(51)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박피 식품을 아래서부터 지지하면서 박피 식품을 사이에 끼울 수 있어, 박피 식품을 절첩대(10)에 올리는 작업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주걱(52)의 선단부(52a)는 제2 주걱(51)의 선단부(51a)보다도 박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1 주걱(52)을 박피 식품의 하측으로 삽입하기 쉽게 되어 있어, 한층 편리성을 높이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주걱(51)의 선단부측(51a)은 라운딩을 띠고 있고, 박피 식품을 사이에 끼운 상태에 있어서, 박피 식품을 손상시키기 어렵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 주걱(52)의 선단부측(52a)은 주걱 부품(50)의 외측을 향해 끝이 가늘게 되는 경사 구조로 되어 있고, 내측을 향해 끝이 가늘게 되는 경사 구조의 경우와 비교하여 박피 식품을 손상시키기 어렵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조리 세트(1)를 사용한 조리 방법에 대해 도3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3 내지 도6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조리 세트(1)를 사용한 조리 방법에 대해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우선, 조리자는 박피 식품의 바탕으로 되는 액상의 박피종을 크레이프 팬(30)의 오목부(31a)에 유입시킨다. 그 후, 조리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톰보(40)의 막대 형상 부재(42)의 선단부(42a)를, 크레이프 팬(30)의 원 구멍(31c)에 끼워 넣는다. 그리고, 조리자는 파지부(41)를 조작하여, 생지 두께 형성부(43)를 오목부(31a) 내에 있어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박피종은 대략 균일 두께로 된다.
또한, 크레이프 팬(30)은 회전대(2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대(20)를 크레이프 팬(30)의 하측에 적재하고, 톰보(40)를 고정한 상태에서, 크레이프 팬(30)의 손잡이부(32) 등을 파지하여 회전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어른보다도 손끝이 솜씨 없는 아이라도, 비교적 용이하게 박피종의 두께를 대략 균일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에, 조리자는 박피종을 크레이프 팬(30)째 전자레인지 등에 넣어, 소정 시간 가열한다. 이에 의해, 크레이프 생지, 즉 박피 식품이 제작된다. 이 박피 식품은, 오목부(31)의 저면의 모양(31b)에 의해 일면에 무늬가 형성된 것으로 된다.
그리고, 조리자는 주걱 부품(50)을 사용하여 박피 식품을 크레이프 팬(30)으로부터 제거한다. 이때, 조리자는 제1 주걱(52)을 박피 식품의 하측으로 삽입한 다. 그리고, 조리자는 제1 주걱(52)과 제2 주걱(51)을 근접하도록 힘을 가하여, 박피 식품을 끼워 넣고, 박피 식품을 크레이프 팬(30)으로부터 제거한다.
이어서, 조리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피 식품을 뒤집지 않도록 절첩대(10)의 고정판(12) 및 가동판(13 내지 15) 상에 적재한다. 다음에, 조리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이프의 제작에 필요하게 되는 생크림이나 과일을 박피 식품 상에 적재한다. 이때, 조리자는 절첩대(10)의 하측에 회전대(20)를 적재해 둔다. 이에 의해, 생크림 등 박피 식품 위에 원주 상에 식품 재료를 올리는 경우에는, 회전대(20)에 의해 절첩대(10)를 회전시키면서 식품 재료를 올릴 수 있다.
다음에, 도6을 참조한다. 또한, 도6에 있어서는, 생크림이나 과일 등의 도시를 생략한다. 조리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돌출편(17a 내지 17c)의 표면에 기재되는 순서 기호(17a1 내지 17c1)에 따라서 가동판(13 내지 15)을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조리자는 제1 돌출편(17a)을 갖고, 제1 가동판(13)의 제2 평면(13a)을, 고정판(12)의 제1 평면(12a)에 면 접촉시키도록 제1 가동판(13)을 회전시킨다[도6의 (a) 참조]. 이에 의해, 원형의 박피 식품이 반원 형상으로 접힌다.
그 후, 조리자는 제2 돌출편(17b)을 갖고, 제2 가동판(14)의 제2 평면(14a)을, 고정판(12)의 제1 평면(12a)에 면 접촉시키도록 제2 가동판(14)을 회전시킨다[도6의 (b) 참조]. 이에 의해, 반원형의 박피 식품이 중심각 120°의 부채형으로 접힌다. 이어서, 조리자는 제3 돌출편(17c)을 갖고, 제3 가동판(15)의 제2 평면(15a)을, 고정판(12)의 제1 평면(12a)에 면 접촉시키도록 제3 가동판(15)을 회전시킨다[도6의 (c) 참조]. 이에 의해, 중심각 120°의 부채형으로 된 박피 식품이 중심각 60°의 부채형으로 접힌다.
이상에 의해, 조리가 숙련되지 않은 자(특히 여아를 중심으로 한 아이)라도, 박피 식품을 깔끔하게 접을 수 있어, 외관이 좋은 크레이프를 제작할 수는 있다. 특히, 크레이프의 표면에는, 모양(31b)에 의해 무늬가 그려지고 있어, 한층 외관이 좋은 크레이프를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절첩대(10)에 따르면, 박피 식품이 적재되는 고정판(12) 및 가동판(13 내지 15)을 구비하고, 가동판(13 내지 15)은 고정판(12) 상으로 접는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조리자는 박피 식품을 고정판(12) 및 가동판(13 내지 15)에 올린 후에, 가동판(13 내지 15)을 고정판(12) 상으로 접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접을 수 있어, 박피 식품의 접는 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고정판(12)을 고정하는 받침대(11)를 더 구비하고, 가동판(13 내지 15), 받침대(11) 및 고정판(12)의 적어도 한쪽에 힌지(16a 내지 16d)를 통해 접속된다. 이로 인해, 고정판(12), 가동판(13 내지 15) 및 받침대(11)는 일체적으로 되어, 각각의 배치 관계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되어, 접을 때에 배치 관계가 바뀌어 적절하게 접을 수 없게 되어 버리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힌지(16a 내지 16d)를 지지점으로 하여, 제2 평면(13a 내지 15a)이 제1 평면(12a)에 면 접촉하는 방향으로 가동판(13 내지 15)을 회전시키는 조작을 행하는 돌출편(17a 내지 17c)을 더 구비한다. 이로 인해, 조리자는 돌출편(17a 내지 17c)을 조작함으로써 가동판(13 내지 15)을 회전할 수 있게 되어, 가동판(13 내지 15)에 직접 접촉할 필요가 없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박피 식품이 뜨거운 상태에 있어서 조리자는 가동판(13 내지 15)에 접촉하지 않고 접을 수 있다.
또한, 돌출편(17a 내지 17c)은 복수의 가동판(13 내지 15) 각각에 장착되어, 각 가동판(13 내지 15)을 회전시키는 인력을 가하기 위한 것이며, 돌출편(17a 내지 17c)의 표면에는, 복수의 가동판(13 내지 15)을 회전시키는 순서를 나타내는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이로 인해, 어떠한 순서로 가동판(13 내지 15)을 회전시켜 박피 식품을 접으면 좋을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어, 여아 등의 아이에 있어서도 순서에 틀리지 않고 박피 식품을 접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조리 세트(1)에 따르면, 받침대(11) 중 고정판(12) 및 가동판(13 내지 15)의 설치측과 반대측에 있어서, 제1 평면(12a) 및 제2 평면(13a 내지 15a)과 평행하게, 받침대(11)째 고정판(12) 및 가동판(13 내지 15)을 회전시키는 회전대(20)를 더 구비한다. 이로 인해, 크레이프 생지에 원주 상에 생크림을 올리는 경우 등, 박피 식품 위에 원주 상에 식품 재료를 올리는 경우에는, 회전대(20)에 의해 절첩대를 회전시키면서 식품 재료를 올릴 수 있어,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크레이프 팬(30)은, 오목부(31a)의 저면에 모양(31b)으로 되는 오목 또는 볼록의 적어도 한쪽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박피 식품의 한쪽 면에 무늬가 형성되게 되어, 완성품의 외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생지 두께 형성부(43)는, 막대 형상 부재(42)를 막대의 축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박피종이 유입된 오목부(31a) 내에 있어서 회전하여, 박피종을 대략 균일 두께로 한다. 이로 인해, 오목부(31a)에 유입된 박피종의 점성이 비교적 높은 경우 등이라도, 박피종을 대략 균일 두께로 하여, 대략 균일 두께가 박피 식품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막대 형상 부재(42)와 크레이프 팬(30)은, 막대 형상 부재(42)를 막대의 축 둘레로 회전시키는데 있어서, 막대 형상 부재(42)의 선단부(42a)가 원형의 오목부(31a)의 중심 위치에 위치시키는 위치 맞춤 기구[선단부(42a)와 원 구멍(31c)]를 갖는다. 이로 인해, 막대 형상 부재(42)가 오목부(31a)의 중심에 위치하지 않고, 막대 형상 부재(42)를 막대의 축 둘레로 회전시킬 때에, 생지 두께 형성부(43)가 잘 회전하지 않게 되어 버리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생지 두께 형성부(43) 중 막대 형상 부재(42)의 선단부측에는 절결부(43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막대 형상 부재(42)를 막대의 축 둘레로 회전시키면, 박피종의 일부는 절결부(43a)로부터 통과하는 동시에, 박피종의 잔량부는 생지 두께 형성부(43)에 의해 닦아 내어지도록 된다. 이에 의해, 절결부(43a)가 없고, 박피종의 대부분이 생지 두께 형성부(43)에 의해 닦아 내어져, 박피종을 대략 균일 두께로 할 때에 지장이 되어 버리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주걱(52)은 제2 주걱(51)보다도 길기 때문에, 제1 주걱(52)에 의해 박피 식품을 아래서부터 지지하면서, 제2 주걱(51)에 의해 사이에 끼울 수 있어, 박피 식품을 절첩대(10)에 올리는 작업에 대해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제1 주걱(52)은 선단부(52a)측이 제2 주걱(51)보다도 박판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주걱(52)을 박피 식품의 하측으로 삽입하기 쉽게 되어 있어, 한층 편리 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절첩대 및 조리 세트를 실시 형태를 기초로 하여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을 가해도 좋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절첩대(10)는 돌출편(17a 내지 17c)을 조작하여 박피 식품을 접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조작 핸들 등을 구비하고, 조작 핸들 등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복수의 가동판(13 내지 15)이 순차 회전하여, 박피 식품을 접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조작 스위치를 구비하고, 전동에 의해 복수의 가동판(13 내지 15)이 순차 회전하여, 박피 식품을 접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톰보(40)의 생지 두께 형성부(43)는 크레이프 팬(30)의 오목부(31a)의 직경 정도의 길이를 갖고 있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막대 형상 부재(42)로부터 양측을 향해 신장하는 생지 두께 형성부(43) 중 일측을 잘라내어, 크레이프 팬(30)의 오목부(31a)의 반경 정도의 길이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서도, 박피종을 대략 균일 두께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생지 두께 형성부(43)의 절결부(43a)의 형상 및 개수는, 도1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 및 다른 개수라도 좋다. 또한, 힌지(16a 내지 16d)는, 도1에 도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박육 힌지라도 좋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절첩대를 포함하는 조리 세트의 외관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한 주걱 부품을 도시하는 확대 측면도.
도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조리 세트를 사용한 조리 방법에 대해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톰보의 사용 방법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조리 세트를 사용한 조리 방법에 대해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주걱 부품의 사용 방법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조리 세트를 사용한 조리 방법에 대해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절첩대의 제1 사용 방법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6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조리 세트를 사용한 조리 방법에 대해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절첩대의 제2 사용 방법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리 세트
10 : 절첩대
11 : 받침대
12 : 고정판
12a : 제1 평면
13 내지 15 : 가동판
13a 내지 15a : 제2 평면
16a 내지 16d : 힌지
17a 내지 17c : 돌출편
18 : 원형 돌기
20 : 회전대
21 : 상측 부품
22 : 하측 부품
23 : 롤러
30 : 크레이프 팬
31 : 형 본체
31a : 오목부
31b : 모양
31c : 원 구멍
32 : 손잡이부
33 : 원형 돌기
40 : 톰보
41 : 파지부
42 : 막대 형상 부재
43 : 생지 두께 형성부
43a : 절결부
50 : 주걱 부품
51 : 제2 주걱
52 : 제1 주걱

Claims (10)

  1. 박피 식품을 접는 절첩대로서, 박피 식품이 적재되는 제1 평면을 갖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제1 평면과 동일 평면 상태로 배치되어 박피 식품이 적재되는 제2 평면을 갖고 상기 고정판 상으로 접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가동판과, 상기 고정판을 고정하는 받침대를 갖는 절첩대와,
    상기 절첩대의 상기 받침대 중 상기 고정판 및 상기 가동판의 설치측과 반대측에 있어서, 상기 제1 평면 및 상기 제2 평면과 평행하게, 상기 받침대째 상기 고정판 및 상기 가동판을 회전시키는 회전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판은, 상기 받침대 및 상기 고정판의 적어도 한쪽에 힌지를 통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세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제2 평면이 상기 제1 평면에 면 접촉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판을 회전시키는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세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판을 복수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는 복수의 가동판 각각에 장착되어, 각 가동판을 회전시키는 인력을 가하기 위한 돌출편이며,
    상기 돌출편의 표면에는, 복수의 가동판을 회전시키는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 기호가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세트.
  5. 제1항에 있어서, 박피 식품의 바탕으로 되는 액상의 박피종이 유입되며, 저면에 모양으로 되는 오목 또는 볼록의 적어도 한쪽이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를 갖고, 상기 오목부에 유입된 박피종과 함께 가열됨으로써 박피 식품을 제작하기 위한 형 부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절첩대 뿐만 아니라 상기 형 부품은, 상기 회전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세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형 부품에 고정되며, 상기 박피종을 상기 오목부 내에 있어서 대략 균일 두께로 하기 위한 톰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의 저면 형상은 원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톰보는, 막대 형상의 막대 형상 부재와, 상기 막대 형상 부재의 선단부측에 있어서 상기 막대 형상 부재의 축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신장하는 긴 생지 두께 형성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생지 두께 형성부는, 상기 막대 형상 부재를 막대의 축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박피종이 유입된 상기 오목부 내에 있어서 회전하여, 상기 박피종을 대략 균일 두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세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 형상 부재와 상기 형 부품은, 상기 막대 형상 부재를 막대의 축 둘레로 회전시키는데 있어서, 상기 막대 형상 부재의 선단부가 원형의 상기 오목부의 중심 위치에 위치시키는 위치 맞춤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세트.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생지 두께 형성부 중 막대 형상 부재의 선단부측에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세트.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형 부품과 함께 가열되어 제작된 박피 식품을 상기 형 부품의 오목부로부터 제거하는 주걱 부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주걱 부품은, 기부측에 있어서 서로 접속된 긴 판 형상의 제1 주걱 및 제2 주걱을 갖고, 상기 제1 주걱과 상기 제2 주걱을 근접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제1 주걱과 상기 제2 주걱으로 박피 식품을 사이에 끼우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1 주걱은 상기 제2 주걱보다도 길고, 선단부측이 상기 제2 주걱보다도 박판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세트.
  10. 삭제
KR1020090007349A 2008-06-17 2009-01-30 절첩대 및 조리 세트 KR1010761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57424 2008-06-17
JP2008157424A JP4231543B1 (ja) 2008-06-17 2008-06-17 調理セ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241A KR20090131241A (ko) 2009-12-28
KR101076145B1 true KR101076145B1 (ko) 2011-10-21

Family

ID=40506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349A KR101076145B1 (ko) 2008-06-17 2009-01-30 절첩대 및 조리 세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231543B1 (ko)
KR (1) KR101076145B1 (ko)
CN (1) CN10160654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54033A (ja) * 2011-06-08 2012-12-27 Toichi Kawakami クレープ生地を伸ばすための器具及び方法
CN104545545B (zh) * 2014-12-30 2017-04-05 倪德帅 一种对模式饺子包合成型机构
CN106037445A (zh) * 2016-07-19 2016-10-26 天津市康利厨具制造有限公司 一种专门制作蛋包饭的锅具
CN110111494B (zh) * 2019-06-05 2024-05-24 北京味粒子餐饮科技有限公司 煎饼折叠装置及煎饼自动售卖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297374A (ja) 2009-12-24
CN101606542A (zh) 2009-12-23
JP4231543B1 (ja) 2009-03-04
KR20090131241A (ko) 2009-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11791B1 (en) Baking sheet
KR101076145B1 (ko) 절첩대 및 조리 세트
US20080105137A1 (en) Removable mold for a grill
US9554670B2 (en) Waffle-iron type cooking apparatus for cooking and forming rounded bun shaped waffles
US20080220132A1 (en) Cone-shaped tortilla molds and method of cooking conical tortilla shells
US20180236801A1 (en) Method for Printing and Transfer Onto a Food Item
CA2896524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 waffle sandwich press
US20130224350A1 (en) Cupcake secret
US201801326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king and flipping
US9999228B2 (en) Pans for baking and/or cooking pizza pies, bread, other dough related products, and/or like food product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20170265686A1 (en) Cooking Mat for Producing Shaped Food Items
JP5428084B2 (ja) ピザ台成形器具及びピザ台成形方法
US20080251688A1 (en) Foldable baking pan
CN105856474A (zh) 一种儿童硅胶碗的制作方法
GB2538489A (en) Foldable cooking sheets and methods of folding food whilst cooking
JP3160510U (ja) 食品切断具
CN211862574U (zh) 一种便于装配的煎烤器
US20170065123A1 (en) Multi-part cooking ring for use with a substantially planar food item
KR20240088045A (ko) 계란말이 성형용 기구
CN208541158U (zh) 一种便于取出饼体的华夫饼机
WO1998014063A1 (en) A baking mould
CN207627141U (zh) 多士炉
KR20100113921A (ko) 누룽지 구이팬
JP6028209B1 (ja) ケーキを焼成する際に使用する焼き型具とその製造方法
JP6382422B1 (ja) 調理器具、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