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5987B1 -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 및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 및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5987B1
KR101075987B1 KR1020090093426A KR20090093426A KR101075987B1 KR 101075987 B1 KR101075987 B1 KR 101075987B1 KR 1020090093426 A KR1020090093426 A KR 1020090093426A KR 20090093426 A KR20090093426 A KR 20090093426A KR 101075987 B1 KR101075987 B1 KR 101075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controller
automatic
control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3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5623A (ko
Inventor
김창규
조재희
임상채
Original Assignee
남성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성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성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3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987B1/ko
Publication of KR20110035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5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 및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는, 외부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외부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이더넷(ethernet)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이더넷, 허브, 제어기,

Description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 및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Device for automatic building control and automatic building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 및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더넷 확장기능을 갖는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 및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물에 사용되는 빌딩자동제어용 디바이스들은 일반적으로 EIA485(RS485)를 사용하여 시스템을 확장한다. RS485는 다른 통신 수단에 비하여 node의 회로 구성에 필요한 부품 수가 적고 구성 비용이 적어 많이 사용되고 있는 네트워크 수단이다. 특히, 현장제어기(Field Control Device, 빌딩자동제어 분야에서는 DDC-Direct Digital Controller-라고 부름) 사이에는 EIA485를 사용한다. EIA485는 버스형태의 토폴로지로 통신을 하는 네트워크 방법이다.
그러나 최근 국내에서는 이더넷(Ethernet)의 사용이 급격하게 늘면서 산업분야 및 빌딩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더넷(Ethernet)은 EIA485에 비하여 속도가 빠르며 전송거리가 100m까지 전송할 수 있으며 인터넷과의 연결도 용이하다. 또한 회로 구성이 필요한 비용도 상대적으로 많이 저렴해지고 있어 이를 사용한 제어 기들이 점차적으로 늘어가고 있다. 이더넷(Ethernet)은 여러 가지 통신 방식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허브(hub, 또는 switch)를 이용한 네트워크 구성이 일반화 되고 있으나 이는 기존의 EIA485 통신과 비교하면 몇 가지 불편한 요소를 가지고 있다.
먼저, 허브(hub)를 반듯이 필요로 한다는 점이다. 기존의 RS485는 타 장비없이 32개의 node를 버스 토폴로지의 네트워크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더넷(Ethernet)은 허브(hub)를 필요로 하며 이는 건물 전체에 흩어져 있는 제어기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는데 있어서 보다 많은 케이블을 필요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각 층마다 현장제어기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이더넷(Ethernet)은 허브(hub)와 연결하기 위하여 배선이 길어질 수 있고, 이는 현장 공사의 어려움을 야기 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허브(hub)가 제어기 근처에 위치하면 배선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으나, 이 경우 허브(hub)의 수가 증가하게 되고, 이를 위한 전원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 이 또한 현장에서는 공사를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빌딩 제어를 위해 이더넷(Ethernet)을 적용하되, 허브(hub)와 연결하기 위한 배선과 각 허브(hub)에 전원 공급 시 필요한 배선의 부담을 줄이고 설치 면적이 경감되는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를 이용한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는, 외부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외부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이더넷(ethernet)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은, 제1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와, 상기 제1 빌딩 자 동 제어용 디바이스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제2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와, 상기 제1 또는 제2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와 연결된 중앙 콘트롤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 각각은 외부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제어 신호를 포함한 제1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이더넷(ethernet)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빌딩 제어를 위해 이더넷(Ethernet)을 적용하되, 허브(hub)와 연결하기 위한 배선과 각 허브(hub)에 전원 공급 시 필요한 배선의 부담을 줄이고 설치 면적이 경감되는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 및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을 제공받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 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개략도인 평면도 및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 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 및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를 간략히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통신부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1)는 통신부(100)와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신부(100)는 이더넷(ethernet) 스위칭부(110)와 커넥터부(120)를 포함한다.
이더넷 스위칭부(110)는 제어부(200)와 연결된다. 또한 제어부(200)에 포함된 제어기(도 4의 210)로부터 제어 신호를 전송받는다. 또한,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외부 네트워크(미도시)로 전송한다.
외부 네트워크는 건물에 설치된 이더넷등을 의미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통신망이면 외부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한편, 이더넷 스위칭부(110)는 건물 공사 현장에서 이더넷 구축을 용이하게 하도록 기존의 EIA485대신 스위칭 기능을 가진 허브(hub) 회로이다.
또한, 이더넷 스위칭부(110)는 제어기(210)와 일반 로직 신호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더넷 스위칭부(110)와 제어기(210)는 트랜시버 등을 사용하지 않고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부(120)는 이더넷 스위칭부(110)와 외부 네트워크를 연결한다. 이에 의해, 이더넷 스위칭부(110)는 제어기로부터 수신한 제1 정보를 커넥터부(12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부(120)는 복수개의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커넥터에 의해 커넥터부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커넥터부(120)는 제1 커넥터(121)와 제2커넥터(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커넥터(121)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제1 커넥터부(121)는 수신된 상기 제2 정보를 이더넷 스위칭부(110)로 전송한다.
한편, 제2 커넥터(122)는 이더넷 스위칭부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정보를 외부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21) 및 제2 커넥터(122)가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도록, 제1 커넥터(121) 및 제2 커넥터(122)는 8핀(pin) 인터페이스(interface) 또는 4핀(pin)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인터페이스의 핀 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얼마든지 가능하다.
한편, 제1 커넥터(121) 및 제2 커넥터(122)와 이더넷 스위칭부(110)는 이너 넷 전용 트랜시버를 사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제어기(210),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20), 및 중계부(231, 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210)는 외부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제어기(210)는 센서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21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20)와 센서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도록 통신 및 입출력 회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210)는 이더넷 스위칭부(110)에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통신 및 입출력 회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00)는 중계부(231, 232)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20)는 제어기(210)와 연결되고, 외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센서 신호를 수신하여, 센서 신호를 제어기(210)로 송신한다. 또한, 제어기(210)에서 출력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 장치로 송신한다. 여기서, 외부 장치로는 예를 들어,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조작기(actuator)가 있다. 한편, 센서 신호 및 제어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이거나 디지털 신호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200)는 제어기(210)와 이더넷 스위칭부(110)간의 원활한 신호 흐름을 위해 중계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210)와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20) 간의 원활한 신호 흐름을 위해 중계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계부(231, 232)는 기본적으로 제어기(210)와 이더넷 스위칭부(110) 또는 입출력 인터 페이스부(220) 간의 통신기능을 한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기(210)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20)가 통신 및 입출력 회로부를 포함하는 경우라면, 중계부(231, 232)가 제어부(200)에 포함되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는 전원부(3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전원부(300)는 제어기(210)와 이더넷 스위칭부(11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300)가 제어기(210)와 이더넷 스위칭부(110)간에 전원을 공유하게 함으로써, 이더넷 스위칭부(110)를 위한 별도의 전원 공급부를 추가로 설치해야 하는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현장에서 이더넷 스위칭부(1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추가적인 배선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7은 제2 실시예에 의한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1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낸 장치와 동일 기능을 갖는 장치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따라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2 실시예의 제1 및 2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는 실시예 1의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의한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은 제1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1), 제2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2) 및 중앙 콘트롤러부(3)를 포함한다.
제1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1)는 예를 들어, 빌딩의 1층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1)는 예를 들어, 빌딩의 2층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2 실시예에 의한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이 설치된 빌딩이 2층 이상을 포함한다면, 각 층에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가 설치되도록 2개 이상의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2)와 제1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1)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2 빌딩 제어용 디바이스(2)는 통신부에 이더넷 스위칭부(110_2)와 제1 및 제2 커넥터(121_2, 122_2)를 포함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빌딩 제어용 디바이스(1)도 통신부에 이더넷 스위칭부(110_1)와 제1 및 제2 커넥터(121_1, 122_1)를 포함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한다. 이때, 제1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1)와 제2 빌딩 제어용 디바이스(2)는 각각에 포함된 커넥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즉, 제2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2)의 제2 커넥터(122_2)와 제1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1)의 제1 커넥터(121_1)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제2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2)와 제1 빌딩 자동 제여용 디바이스(1)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3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의 제2 커넥터는 제2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2)의 제1 커넥터(121_2)와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1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1)의 제2 커넥터(122_1)는 중앙 콘트롤러부(3)와 연결된다. 이에 의해, 제2 및 제1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1, 2)의 제어기(210_1, 210_2)에서 출력된 제어 신호가 중앙 콘트롤러부로 수집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중앙 콘트롤러(3)가 위치하는 빌딩을 관리하는 중앙 통제실(미도시)에서 빌딩 각 층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콘트롤러(3)에 의해 각 층의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적절한 대응 지시를 조작기(actuator)에 명령하는 신호를 송신하여 즉각적이고 적절한 조치가 가능해 질 것이다.
한편, 제1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1)가 외부 인터넷망(미도시)과 연결된 경우, 제2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2)는 제1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1)의 이더넷 스위칭부(110_1)에 의해 외부 인터넷망과 연결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만약 제3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가 제2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2)와 연결되어, 간접적으로 제1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1)와 제3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가 연결된다고 하면, 제3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도 제1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1)를 통해 외부 인터넷망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1)가 다른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를 외부 인터넷망과 연결하는 허브(hub)로써 기능한다.
한편, 제2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2)가 외부 인터넷망과 연결된다고 하면, 이에 연결된 제1 및 제3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도 제2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2)에 의해 외부 인터넷망과 연결된다. 이때에는, 제2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2)가 다른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를 외부 인터넷망과 연결하는 허 브(hub)로써 기능한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의 신호 흐름을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외부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센서 신호(S1)가 제2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2)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20_2)로 입력된다.
입력된 센서 신호(S1)는 제어기(210_2)로 전송된다. 제어기(210_2)는 수신한 센서 신호(S1)을 바탕으로 제어 신호(S2)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출력된 제어 신호(S2)는 이더넷 스위칭부(110_2)로 전달된다.
이더넷 스위칭부(110_2)는 제어 신호(S2)를 제2 커넥터(122_2)로 송신하고, 제2 커넥터(122_2)는 상기 제어 신호(S3)를 제1 건물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1)의 제1 커넥터(121_1)로 송신한다.
제1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1)의 제1 커넥터(121)1)는 제어 신호(S4)를 제1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1)의 상기 이더넷 스위칭부(110_1)로 전송한다.
이후, 제1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1)의 이더넷 스위칭부(110_1)는 제어 신호(S5)를 제1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1)의 제2 커넥터(122_1)로 전송한다.
이후, 제1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1)의 제2 커넥터(122_1)는 제어 신호(S6)를 중앙 콘트롤러부(3)로 전송한다. 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중앙 콘트롤러부(3)는 제2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2)가 설치된 제2 층의 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대응 신호를 제2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2)에 송신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종래의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를 간략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통신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의한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제1 및 2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 3: 중앙 콘트롤러부
100: 통신부 200: 제어부

Claims (12)

  1. 삭제
  2. 외부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외부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이더넷(ethernet) 스위칭부 및 상기 이더넷 스위칭부와 상기 외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제2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더넷 스위칭부로 전송하는 제1 커넥터와,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이더넷 스위칭부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외부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
  4. 외부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고,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센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센서 신호를 상기 제어기로 송신하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외부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이더넷(ethernet)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기 및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부와 연결되고, 상기 센서 신호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중계부를 더 포함하는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
  6. 외부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외부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이더넷(ethernet)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통신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
  7. 삭제
  8. 제1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
    상기 제1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제2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또는 제2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와 연결된 중앙 콘트롤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 각각은
    외부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제어 신호를 포함한 제1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이더넷 스위칭 부와 연결된 커넥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는 각각 포함된 상기 커넥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제1 및 제2 커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는 제2 커넥터에 의해 상기 제1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의 제1 커넥터와 연결되는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는 제2 커넥터에 의해 중앙 콘트롤러부와 연결되는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의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제2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의 상기 이더넷 스위칭부 및 상기 제2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제1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의 상기 제1 커넥터로 송신되고,
    상기 제1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의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의 상기 이더넷 스위칭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의 상기 이더넷 스위칭부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의 상기 제2 커넥터로 전송하며,
    상기 제1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의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중앙 콘트롤러부로 전송하는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
  12. 제1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
    상기 제1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제2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또는 제2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와 연결된 중앙 콘트롤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 각각은
    외부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제어 신호를 포함한 제1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이더넷(ethernet)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가 외부 인터넷망과 연결된 경우,
    상기 제2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의 상기 이더넷 스위칭부에 의해 상기 외부 인터넷망과 연결되는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
KR1020090093426A 2009-09-30 2009-09-30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 및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 KR101075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426A KR101075987B1 (ko) 2009-09-30 2009-09-30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 및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426A KR101075987B1 (ko) 2009-09-30 2009-09-30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 및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623A KR20110035623A (ko) 2011-04-06
KR101075987B1 true KR101075987B1 (ko) 2011-10-21

Family

ID=44043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3426A KR101075987B1 (ko) 2009-09-30 2009-09-30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 및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598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623A (ko)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4044B1 (ko) 통합형 감시 제어시스템
CN106607903B (zh) 具备经由网络连接的多个控制装置的机器人系统
KR20060099918A (ko) 빌딩관리시스템
CN108883891B (zh) 带有通过求和帧方法进行通信的多个现场设备和中央控制单元的电梯设备
WO2005111753A1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CN106482080A (zh) 一种继电器主从架构系统
CN107294816A (zh) 信息传输装置、通信网络及其方法
ITTV20070123A1 (it) Apparato per l'automazione delle funzionalita' operative di uno o piu' carichi di uno spazio ambientale.
KR101075987B1 (ko) 빌딩 자동 제어용 디바이스 및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
CN110300055A (zh) 异构现场总线用网关系统
CN108075569B (zh) 电力分配单元、电力分配系统及其中继连网方法
US10601608B2 (en) Centralized networked topology for motion related control system
CN104426752B (zh) 主逆变器与从逆变器之间的数据共享系统
CN207209640U (zh) 一种电梯远程监控系统
CN102566532A (zh) 一种基于knx总线设备的控制系统
JP5890521B2 (ja) モーションコントローラ装置と同装置における通信方法
JP5546891B2 (ja) 複数の近接センサとplcとの配線システムおよびこのシステムに用いる中継ボックス
KR20080049437A (ko) 무빙 게이트웨이를 사용하는 지그비 네트워크 시스템 및방법
KR102261417B1 (ko) 가상서버를 활용한 빌딩자동화 시스템
KR100632711B1 (ko) 모터 제어 시스템
KR20100117705A (ko) Usn을 이용한 plc제어 시스템
Schrom et al. Smallcan-a reliable, low-power and low-cost distributed embedded system for energy efficient building automation
KR20130113819A (ko) 다른 현장제어장치와 점대점 유선 방식으로 연결된 현장제어장치를 이용한 중앙집중형 빌딩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01756A (ko) 이중화 제어기 시스템
KR101990400B1 (ko) 빌딩 자동화 시스템, 그에 포함된 게이트웨이 및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