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5927B1 - Paper sheet receiv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Paper sheet receiv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5927B1
KR101075927B1 KR1020090095805A KR20090095805A KR101075927B1 KR 101075927 B1 KR101075927 B1 KR 101075927B1 KR 1020090095805 A KR1020090095805 A KR 1020090095805A KR 20090095805 A KR20090095805 A KR 20090095805A KR 101075927 B1 KR101075927 B1 KR 101075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heet
banknote
paper
unit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8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98274A (en
Inventor
데츠야 오다카
하야토 미나미신
Original Assignee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8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2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9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08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 B65H31/10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and applied at the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지엽류 수납 시의 부정렬을 경감할 수 있는 지엽류 수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per sheet storage device that can reduce misalignment during paper sheet storage.

1차 보류 장치(30)에 있어서는, 반입 루트(L6)로부터 1차 보류 장치(30)의 내부로 지폐를 반입하고, 스테이지(41)와 가동식 수납벽(45)으로 지폐를 지지하여 수납한다. 스테이지(41)는, 적재부(41a)에서 적층 지폐(44)를 적재할 수 있으며, 벨트(39)의 구동력을 받아 전진(상승), 후퇴(하강)한다. 가동식 수납벽(45)은 지폐의 하단을 지지하고, 바닥면 가이드(46)를 따라 전진 방향으로 압박되도록 형성된다. 스테이지(41)의 초기 위치로부터의 후퇴가 미리 정해진 양에 도달했을 때, 스테이지(41)의 배면측 하단부는 가동식 수납벽(45)과 맞닿고, 스테이지(41)의 초기 위치로부터의 후퇴가 미리 정해진 양을 초과했을 때, 스테이지(41)의 배면측 하단부는 가동식 수납벽(45)과 맞닿으면서 가동식 수납벽(45)을 후퇴시킨다.In the primary holding device 30, a banknote is carried into the inside of the primary holding device 30 from the carry-in route L6, and the banknote is supported and stored by the stage 41 and the movable storage wall 45. The stage 41 can load the laminated banknote 44 in the loading part 41a, and moves forward (rising) and backwards (falling) under the driving force of the belt 39. The movable storage wall 45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banknote and is formed to be pressed in the forward direction along the bottom guide 46. When the retreat from the initial position of the stage 41 reaches a predetermined amount, the rear lower end of the stage 41 abuts the movable storage wall 45, and the retreat from the initial position of the stage 41 is previously When the predetermined amount is exceeded, the rear lower end portion of the stage 41 retracts the movable storage wall 45 while contacting the movable storage wall 45.

Description

지엽류 수납 장치{PAPER SHEET RECEIVING APPARATUS}Paper sheet storage device {PAPER SHEET RECEIV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지엽류 수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이한 사이즈의 지폐를 함께 수납하는 지엽류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per sheet storag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per sheet storage device for storing bills of different sizes together.

ATM(자동 거래 장치)이나 BRU(지폐 리사이클 유닛)에 탑재되는 지엽류 수납 장치에 있어서는, 다양한 종이의 취급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복수 종류의 종이가 유통되고 있고, 또한 그 종이의 사이즈가 일정하지는 않기 때문에, 지엽류 수납 장치는 다양한 사이즈에 대응하여 지엽류를 수납할 것이 요구된다.In the paper sheet storage apparatus mounted in ATM (automatic transaction apparatus) or BRU (paper recycling unit), handling of various paper is calculated | required. In general, since a plurality of types of paper are circulated and the size of the paper is not constant, the paper sheet storage device is required to accommodate the paper sheets corresponding to various sizes.

특히, 해외의 지엽류를 취급하는 경우에는, 한 지역에서 길이나 폭의 사이즈가 다양한 지엽류가 함께 사용되므로(예를 들어, 유로나 중국 위엔 등), 다양한 사이즈에 대응하여 지엽류를 수납하는 지엽류 수납 장치의 필요성이 높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handling paper sheets overseas, paper sheets of various lengths and widths are used together in one region (for example, Euro or Chinese yuan). The need for a paper sheet storage device is high.

이러한 요청에 응하여, 지엽류 퇴적 장치의 퇴적 수납부 바닥면을, 종이 반입측에서 멀어질수록 낮아지게 경사지게 구성하고, 반입되는 지폐를 퇴적시켜 좌우로 이동시키는 동작이 가능한 누름판을 포함하는 기술이 있다. 이러한 지엽류 퇴적 장치에 의하면, 높이 방향으로 상이한 사이즈의 종이가 반입되더라도, 종이의 하단이 정렬된다. 또한, 이러한 지엽류 퇴적 장치에 의하면, 종이는 자중에 의해 반입 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퇴적 수납부의 바닥면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지엽류 퇴적 장치는, 종이 자신의 압입에 의해 수납 매수를 늘릴 수 있고, 또 반입되는 지폐와 퇴적된 종이가 간섭하지 않도록 제어할 필요가 없다.In response to such a request, there is a technique including a pressing plate which is configured to incline the bottom surface of the deposition storage portion of the paper sheet deposition apparatus so as to be farther away from the paper carrying side, and to move the left and right banks by depositing the carried bills. . According to this paper sheet deposition apparatus, even if papers of different sizes are loaded in the height direction, the lower ends of the papers are aligned. In addition, according to such a paper sheet deposition apparatus, the paper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loading hole by its own weight and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eposition storage portion. For this reason, the paper sheet stacking device can increase the number of sheets by press-in of the paper itself, and it is not necessary to control the paper sheet to be carried i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tacked paper.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7-62918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62918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대량으로 수납을 행하는 경우에, 종이를 받는 누름판이 하강함에 따라, 종이가 경사진 벽에 기대어 원활하게 강하되지 않아, 잼(종이끼리의 간섭)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정전기나 진동 등이 원인이 되어, 종이의 정렬 상태에 있어서, 종이 간의 간극의 증가나 전도 등의 흐트러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In this method, however, when the storage is carried out in large quantities, as the pressing plate receiving the paper descends, the paper does not fall smoothly against the inclined wall, which may cause jams (interference between papers). In addition, static electricity, vibration, or the like may be the cause, and in the alignment state of the paper, there may be a disturbance such as an increase in the gap between the papers or conduction.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지엽류 수납 시의 부정렬을 경감할 수 있는 지엽류 수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such a point, and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the paper sheet storage apparatus which can reduce the misalignment at the time of paper sheet storag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사진 바닥면에서 지엽류의 하단을 지지하면서, 상기 지엽류를 적층하여 수납하는 지엽류 수납 장치가 제공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paper sheet storage device for laminating and storing the paper sheets is provided while supporting the lower ends of the paper sheets on the inclined bottom surface.

지엽류 수납 장치는, 수용부와, 수납부와, 지엽류 적재부와, 지엽류 하단 지지부를 포함한다. 수용부는 지엽류를 수용한다. 수납부는 수용부가 수용한 지엽류를 수납한다. 지엽류 적재부는 지엽류를 적재한다. 또한, 지엽류 적재부는, 지엽류의 적층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수납부 내를 이동할 수 있다. 지엽류 하단 지지부는 지엽류의 하단을 지지한다. 또한, 지엽류 하단 지지부는, 지엽류 하단의 지지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수납부 내를 이동할 수 있다. The paper sheet storage device includes a storage portion, a storage portion, a paper sheet stacking portion, and a paper sheet lower end support portion. Receptacles receive paper sheets. The housing part accommodates the paper sheets accommodated by the housing part. The paper sheet loading section loads paper sheets. In addition, the paper sheet stacking unit may move in the storage unit to adjust the stacking position of the paper sheets. The paper sheet bottom support supports the bottom of the paper sheet. In addition, the paper sheet bottom support portion can move in the receiving portion to adjust the support position of the paper sheet bottom.

상기 지엽류 수납 장치에 의하면, 지엽류 수납 시의 부정렬을 경감할 수 있 다. According to the paper sheet storage device, misalignment during paper sheet storage can be reduced.

이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도 1은, 자동 거래 장치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자동 거래 장치(1)는, 지폐의 입출금 거래를 수행하고, 이 때에 지폐를 1차 보류하는 1차 보류부(160)(도 2)를 포함한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line of an automatic trading device. The automatic trading device 1 includes a primary holding part 160 (FIG. 2) which performs a deposit and withdrawal transaction of a banknote, and holds a banknote at this time.

자동 거래 장치(1)는, 주제어부(11)와, 기억부(12)와, 조작부(13)와, 표시 제어부(14)와, 음성 출력부(15)와, 기장 처리부(16)와, 카드 처리부(17)와, 영수증 발행부(18)와, 통신 처리부(19)와, 입출금 처리부(100)를 포함하며, 각각은 통신선(20)에 의해 접속된다. The automatic transaction apparatus 1 includes a main control unit 11, a storage unit 12, an operation unit 13, a display control unit 14, an audio output unit 15, a badge processing unit 16, It includes a card processing unit 17, a receipt issuing unit 18, a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9, and a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unit 100, each of which is connected by a communication line 20.

주제어부(1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으로 이루어지며, 기억부(12)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에 따라서 자동 거래 장치(1)의 각 부분을 제어한다. The main control unit 11 is composed of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r the like, and controls each part of the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1 in accordance with a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 and various data.

기억부(12)는, 각종 데이터나 입출금 거래 등의 각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기억부(12)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 Hard Disk Drive)로 구성된다. RAM에는, 주제어부(11)에 실행시키는 OS(Operating System)의 프로그램이나 자동 거래 장치(1)로서 기능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또한, RAM에는, 주제어부(11)에 의한 처리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HDD에는, OS나 자동 거래 장치(1)로서 기능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The storage unit 12 stores a program for performing each process such as various data and deposit and withdrawal transactions. The storage unit 12 is composed of a RAM (Random Access Memory) and a hard disk drive (HDD: Hard Disk Drive). In the RAM, at least a part of a program of an operating system (OS) to be executed by the main control unit 11 or a program for functioning as the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1 is temporarily stored. The RAM also stores various data necessary for the processing by the main controller 11. The HDD stores a program for functioning as an OS or an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1.

조작부(13)는, 예를 들어, 자동 거래 장치(1)의 전면측의 조작 화면 상에 배치된 터치 패널 등에 의한, 이용자의 조작에 기초한 거래 내용의 입력을 접수한다.The operation unit 13 receives an input of transaction contents based on a user's operation, for example, by a touch panel or the like arranged on an operation screen on the front side of the automatic transaction apparatus 1.

표시 제어부(14)는, 주제어부(11)의 묘화(描畵) 명령에 따라 조작 화면 상에 거래의 내용을 나타내는 화상이나 이용자를 안내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화상 등을 표시시킨다. The display control part 14 displays the image which shows the content of a transaction, the image containing the message which guides a user, etc. on the operation screen according to the drawing command of the main control part 11. FIG.

음성 출력부(15)는, 스피커를 통해, 이용자에게 거래의 상황이나 조작을 안내하는 음성 안내나 경고음을 출력한다. The audio output unit 15 outputs a voice guidance or a warning sound for guiding the situation or operation of the transaction to the user through the speaker.

기장 처리부(16)는, 통장 접수부에 삽입된 통장에 대하여, 기장 처리를 수행하고 통장 접수부를 통해 배출한다. The badge processing unit 16 performs the badge processing on the bankbook inserted into the bankbook accepting unit and discharges it through the bankbook accepting unit.

카드 처리부(17)는, 카드 접수구를 통해 삽입된 카드의 자기 스트라이프를 판독함으로써, 또는 IC 칩과 통신함으로써 카드 정보을 판독한다. 또한, 카드 처리부는, 거래 종료 시에 삽입된 카드를 배출한다. The card processing unit 17 reads the card information by reading the magnetic stripe of the card inserted through the card receiving port or by communicating with the IC chip. The card processing unit also discharges the card inserted at the end of the transaction.

영수증 발행부(18)는, 거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거래 명세가 인쇄된 영수증을 발행하여, 영수증 발행구를 통해 배출한다. The receipt issuing unit 18 issues a receipt printed with a transaction specification for confirming the transaction result and discharges it through the receipt issuing port.

이들 기장 처리부(16), 카드 처리부(17) 및 영수증 발행부(18)는 유닛화되어 있고, 각 부분을 동작시키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MPU(Micro Processing Unit)를 포함하고 있다. 주제어부(11)의 지시를 기초로 하여, MPU가 펌에 기초하여 동작하여 각 부분을 제어한다. These badge processing unit 16, card processing unit 17, and receipt issuing unit 18 are unitized, and include an MPU (Micro Processing Unit) (not shown) for operating each part. Based on the instruction of the main control unit 11, the MPU operates based on the firm to control each part.

통신 처리부(19)는, 네트워크(10)를 통해 관리 센터에 배치된 금융기관의 호스트 컴퓨터와 접속한다.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9 connects with a host computer of a financial institution arranged in a management center via the network 10.

입출금 처리부(100)는,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되며, 그 중의 하나로서 지폐를 1차 보류하는 1차 보류부(160)를 포함한다. 또한, 입출금 처리부(100)는, 각 부분을 동작시키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MPU를 포함하고 있다. 주제어부(11)의 지시에 기초하여, MPU가 펌(펌웨어)에 기초하여 동작하여 각 부분을 제어하고, 투입된 현금을 계수하여 저장한다. 또한, 저장되어 있는 현금을 계수하여 꺼내어 배출한다.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unit 10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units, and includes one primary holding unit 160 for holding a banknote as one of them.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unit 100 includes an MPU not shown for operating each part. Based on the instruction of the main control unit 11, the MPU operates based on the firmware (firmware) to control each part, and counts and stores the cash input. In addition, the stored cash is counted and discharged.

다음으로, 입출금 처리부(입출금 처리 장치; 100)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입출금 처리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입출금 처리부의 개관도이다. 입출금 처리부(100)는,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와, 투출부(投出部)(120)와, 불명권 보류부(130)와, 반송부(140)와, 리젝트부(150)와, 1차 보류부(160)와, 수납부(170)와, 감별부(180)를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통신선(190)에 의해 접속된다. Next,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unit (withdrawal and withdrawal processing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unit. 3 is an overview diagram of a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unit.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unit 100 includes a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a discharge unit 120, an unknown ticket holding unit 130, a transfer unit 140, a reject unit 150, And a primary holding unit 160, a receiving unit 170, and a discriminating unit 180, each of which is connected by a communication line 190.

입출금 제어부(110)는, 통신선(20)을 통해 주제어부(11)와 통신하고, 주제어부(11)의 지시에 기초하여, 입출금 처리부(100)를 구성하는 각 유닛[투출부(120), 불명권 보류부(130), 반송부(140), 리젝트부(150), 1차 보류부(160), 수납부(170), 감별부(180)]을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The deposit and withdrawal control unit 110 communicates with the main control unit 11 via the communication line 20 and, based on the instruction of the main control unit 11, constitutes each unit (exit unit 120, Unknown right holding unit 130, conveying unit 140, reject unit 150, primary holding unit 160, storage unit 170, discrimination unit 180] are collectively controlled.

투출부(120)는, 지폐의 투입과 투출을 수행하는 유닛이다. 투출부(120)에 있어서는, 셔터를 열어 복수 매의 투입 지폐를 수용하고, 셔터를 닫고 나서 반출부(121)를 통해 반송부(140)에 투입된 지폐를 1장씩 반출한다. 또한, 투출부(120)는, 반출부(121)를 통해 반송부(140)로부터 지폐를 1장씩 반입하고, 셔터를 열어 복수 매의 지폐를 투출한다. 따라서, 투출부(120)는, 일시적으로 지폐를 수납하는 일시 수납부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The dispensing unit 120 is a unit for inputting and dispensing banknotes. In the dispensing part 120, a shutter is opened, a plurality of sheets of inserted banknotes are accommodated, and after closing a shutter, the banknotes put into the conveying part 140 through the carrying out part 121 are carried out one by one. Moreover, the dispensing part 120 carries in one sheet of bank notes from the conveyance part 140 via the carrying out part 121, and opens a shutter and ejects a plurality of bank notes. Therefore, the delivery part 120 has a function as a temporary storage part which temporarily stores a banknote.

불명권 보류부(130)는, 감별부(180)가 감별한 지폐가 불명권인 경우에 불명권을 보류한다. 불명권 보류부(130)는, 일시적으로 지폐를 수납하는 일시 수납부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The unknown right holding unit 130 holds the unknown right when the banknote discriminated by the discriminating unit 180 is unknown. The unknown right hold part 130 has a function as a temporary storage part which temporarily stores a banknote.

반송부(140)는, 각 유닛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한다. 반송부(140)는, 복수의 반송로(140a, 140b, 140c)를 가지며, 반송로 전환 기구에 의해 반송하는 지폐의 반송 방향을 전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The conveyance part 140 conveys a banknote between each unit. The conveyance part 140 has a some conveyance path 140a, 140b, 140c, and is able to switch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banknote conveyed by a conveyance path switching mechanism.

리젝트부(150)는, 재이용에 적합하지 않은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 수납고이다. 재이용에 적합하지 않은 지폐가 대량으로 투입된 경우에도, 운용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주(主)리젝트고(150a)와 종(從)리젝트고(150b)를 구비한다. The reject unit 150 is a bill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bills not suitable for reuse. The main reject height 150a and the vertical reject height 150b are provided so that even when a large amount of banknotes which are not suitable for reuse are put in a large amount, the main reject height 150a and the vertical reject height 150b are provid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1차 보류부(160)는, 감별부(180)가 감별한 지폐를 일시적으로 보류하는 지폐 수납고이다. 1차 보류부(160)는, 반출부(수용부; 161)를 통해 일시 보류부 내로의 지폐의 반출 및 반입을 수행한다. 1차 보류부(160)가 보류하는 지폐에 대해서는, 조작자(고객)가 입금 조작을 취소한 경우에는 지폐를 반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1차 보류부(160)에 있어서는, 조작자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않도록, 지폐의 고속 반입과 반출이 요구된다. The primary holding unit 160 is a banknote storage for temporarily holding a banknote discriminated by the discriminating unit 180. The primary hold unit 160 carries out and carries out the bills into the temporary hold unit through the carry out unit (receiving unit) 161. Regarding the banknotes held by the primary holding unit 160, when the operator (customer) cancels the deposit operation, the banknotes can be returned. Therefore, in the primary holding part 160, high-speed carrying in and taking out of a banknote are calculated | required so as not to stress an operator.

수납부(170)는, 복수의 수납고(170a, 170b, 170c, 170d, 170e, 170f)를 구비한다. 수납부(170)는, 입금된 지폐의 수납과, 출금할 지폐의 수납을 행한다. 각 수납고(170a, 170b, 170c, 170d, 170e, 170f)는 수납고마다 수납하는 권종이 정해져 있다. The storage part 170 is equipped with the some storage 170a, 170b, 170c, 170d, 170e, 170f. The storage part 170 stores the banknotes received and the banknotes to be withdrawn. Each cabinet 170a, 170b, 170c, 170d, 170e, 170f has a winding type to be stored for each cabinet.

감별부(180)는, 투입된 지폐 또는 투출할 지폐의 권종 및 진위를 감별한다.The discrimination unit 180 discriminates the kind and authenticity of the inserted banknote or the banknote to be sent.

다음으로, 입출금 처리부(입출금 처리 장치; 100)에서의 지폐의 반송 개요에 관해, 입금 처리, 입금 2차 처리 및 출금 처리를 들어 설명한다. 우선, 입출금 처리부(100)의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가 행하는 입금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입금 처리의 흐름도이다. 입금 처리는, 조작자가 입금 처리를 선택함으로써 개시된다. Next, the outline of the conveyance of banknotes in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unit (withdrawal and withdrawal processing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eposit processing, the deposit secondary processing, and the withdrawal processing. First, the deposit processing performed by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of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unit 100 will be described. 4 is a flowchart of the deposit processing. The deposit processing is started by the operator selecting the deposit processing.

[단계 S11]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입금 처리의 개시에 따라, 투출부(120)의 셔터를 열어 지폐 삽입을 대기한다. 그리고,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투출부(120)로의 지폐 삽입을 검출하면 셔터를 닫는다. [Step S11]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opens the shutter of the dispensing unit 120 and waits for insertion of a banknote in accordance with the start of the deposit processing.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closes the shutter when detecting the insertion of the banknote into the ejecting unit 120.

[단계 S12]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투출부(120)에 투입된 지폐의 사이즈(가로 방향 길이, 세로 방향 길이)를 체크한다.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투입된 지폐의 사이즈가 정상이면, 단계 S13으로 진행하고, 투입된 지폐의 사이즈가 이상이면, 단계 S19로 진행한다. [Step S12]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checks the size (horizontal direction length and vertical length) of the banknote put into the delivery unit 120. The deposit /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proceeds to step S13 if the size of the inserted banknote is normal, and proceeds to step S19 if the size of the inserted banknote is equal to or larger.

[단계 S13]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투출부(120)에 투입된 지폐를 반출부(121)까지 넣는다. [Step S13]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part 110 puts the banknote put into the discharge part 120 to the export part 121. FIG.

[단계 S14]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투출부(120)로부터 감별부(180)에 이르는 반송로(140a)에 조출부(121)를 통해 지폐를 1장씩 반출한다. [Step S14]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carries out banknotes one by one through the feeding unit 121 on the conveying path 140a from the dispensing unit 120 to the discriminating unit 180.

[단계 S15]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반송로(140a)를 통과하여 감별부(180)에 이른 지폐의 감별 결과를 감별부(180)로부터 통지받는다.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감별부(180)로부터 정상 지폐라는 통지를 받은 경우, 반송로(140b)를 통해 1차 보류부(160)에 지폐를 반송한다. 한편,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감별부(180)로부터 이상 지폐라는 통지를 받은 경우, 반송로(140b)를 통해 불명권 보류부(130)에 지폐를 반송한다. 그리고,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투입된 지폐가 모두 정상인 경우, 단계 S16으로 진행하고, 투입된 지폐에 이상 지폐가 포함된 경우, 단계 S20으로 진행한다. [Step S15]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is notified from the discriminating unit 180 of the discrimination result of the banknot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ransport path 140a and reached the discriminating unit 180. When the receip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part 110 receives the notification that it is a normal banknote from the discrimination part 180, it transfers a banknote to the primary holding part 160 via the conveyance path 140b.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ceip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part 110 receives the notification that it is an abnormal banknote from the discrimination part 180, it transfers a banknote to the unknown-hold holding part 130 via the conveyance path 140b. And the deposit /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proceeds to step S16 when all the inserted bank notes are normal, and proceeds to step S20 when abnormal banknotes are included in the inserted bank notes.

[단계 S16]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투입된 지폐를 모두 1차 보류부(160)에 수납한다. [Step S16]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stores all the inserted banknotes in the primary holding unit 160.

[단계 S17]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1차 보류부(160)에 수납한 지폐의 합계 금액을 산출하여 확인한다. [Step S17]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calculates and confirms the total amount of the bills stored in the primary holding unit 160.

[단계 S18]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수납한 지폐의 합계 금액을 주제어부(11)에 통지한다. 주제어부(11)는, 표시 제어부(14)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표시 장치에 합계 금액을 표시시키고, 조작자의 확인 조작을 조작부(13)로부터 접수한다.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주제어부(11)로부터 확인 조작의 결과를 통지받아, OK이면 입금 2차 처리로 진행한다.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주제어부(11)로부터 확인 조작의 결과를 통지받아, NG이면 단계 S23으로 진행한다. [Step S18]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notifies the main control unit 11 of the total amount of bills stored. The main control unit 11 displays the total amount of money on the display device (not shown) by the display control unit 14, and accepts the operator's confirmation operation from the operation unit 13.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part 110 is notified of the result of a confirmation operation from the main control part 11, and if it is OK, it progresses to deposit secondary processing.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part 110 is notified of the result of a confirmation operation from the main control part 11, and if it is NG, it progresses to step S23.

[단계 S19]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투출부(120)의 셔터를 열어 이상 지폐를 반환하고, 입금 처리를 종료한다. [Step S19]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opens the shutter of the dispensing unit 120, returns the abnormal banknote, and ends the deposit processing.

[단계 S20]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불명권 보류부(130)로부터 투출부(120)로 지폐를 이동시킨 후, 투출부(120)의 셔터를 열어 이상 지폐를 반환한다.[Step S20]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moves the banknote from the unknown right holding unit 130 to the dispensing unit 120, then opens the shutter of the dispensing unit 120 and returns the abnormal banknote.

[단계 S21]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이상 지폐의 반환에 의해 입금 처리가 중단된 것을 주제어부(11)에 통지한다. 주제어부(11)는, 표시 제어부(14)에 의 해 표시 장치(도시 생략)에 입금 처리 계속에 대한 의사를 조작자에게 묻는 표시를 하여, 조작자의 확인 조작을 조작부(13)로부터 접수한다.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주제어부(11)로부터 확인 조작의 결과를 통지받아, YES이면 단계 S22로 진행한다.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주제어부(11)로부터 확인 조작의 결과를 통지받아, NO이면 단계 S23으로 진행한다. [Step S21]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notifies the main control unit 11 that the deposit processing is interrupted by the return of the abnormal banknote. The main control unit 11 displays the display device (not shown) by the display control unit 14 to inquire the operator of the intention to continue the deposit processing, and receives the operator's confirmation operation from the operation unit 13.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part 110 is notified of the result of a confirmation operation from the main control part 11, and if it is YES, it progresses to step S22.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receives the result of the confirmation operation from the main control unit 11, and if NO, proceeds to step S23.

[단계 S22]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정상 지폐에 대한 입금 처리의 계속을 확인하여, 다시 단계 S12로 진행한다. [Step S22]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confirms the continuation of the deposit processing for the normal banknote, and then proceeds to step S12 again.

[단계 S23]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1차 보류부(160)로부터 투출부(120)로 지폐를 이동시킨 후, 투출부(120)의 셔터를 열어 이상 지폐를 반환하고, 입금 처리를 종료한다. [Step S23]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moves the banknote from the primary holding unit 160 to the dispensing unit 120, opens the shutter of the dispensing unit 120, returns the abnormal banknote, and executes the deposit processing. Quit.

따라서, 조작자에게 있어서 입금 처리 시간은 대기 시간이 된다. 그리고, 1차 보류부(160)는, 이 대기 시간 동안 입금 지폐의 수납을 수행하기 때문에, 신속하고 확실한 수납 처리가 요구된다. Therefore, the deposit processing time becomes the waiting time for the operator. And since the primary holding part 160 stores a banknote during this waiting time, a prompt and reliable storing process is calculated | required.

다음으로, 입출금 처리부(100)의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가 수행하는 입금 2차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입금 2차 처리의 흐름도이다. 입금 2차 처리는, 조작자에 의한 입금 금액의 확인에 의해 개시된다. Next, the deposit secondary processing performed by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of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unit 100 will be described. 5 is a flowchart of the deposit secondary process. Deposit secondary processing is started by confirmation of the deposit amount of money by an operator.

[단계 S31]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1차 보류부(160)에 수납된 지폐를 조출부(161)까지 이동시킨다. [Step S31]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moves the banknote stored in the primary holding unit 160 to the feeding unit 161.

[단계 S32]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1차 보류부(160)로부터 지폐를 1장씩 반출한다. [Step S32]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carries out banknotes from the primary holding unit 160 one by one.

[단계 S33]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반출한 지폐에 대하여 리사이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리사이클이란, 입금된 지폐를 출금을 위한 지폐로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반출된 지폐에 대해서는, 권종, 오손(汚損) 등과 같이 미리 정해진 판단 기준에 따라 리사이클 가능한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반출한 지폐가 리사이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반송로(140b)를 통해 대응하는 각종 금액의 카세트[수납고(170a) 내지 수납고(170f) 중 어느 것]에 반송하여 수납한다(단계 S34). 한편,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반출한 지폐가 리사이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반송로(140b, 140c)를 통해 주리젝트고(150a) 또는 종리젝트고(150b)에 반송하여 수납한다(단계 S35).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입금된 지폐를 수납고(170a) 내지 수납고(170f), 주리젝트고(150a) 또는 종리젝트고(150b) 중 임의의 것에 수납함으로써, 입금 2차 처리를 종료한다. [Step S33]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determines whether the banknotes carried out can be recycled. Recycling means using the deposited banknote as a banknote for withdrawal. With respect to the banknotes carried out, it is judged whether or not it can be recycl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judgment standard such as winding paper, fouling, and the lik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anknotes carried out are recyclable,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transfers the cassettes (any one of the storage 170a to the storage 170f) corresponding to the various amounts of money through the transport path 140b. It conveys and accommodates (step S34).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anknotes carried out are not recyclable,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conveys the main bank 150a or the vertical reject 150b via the transport paths 140b and 140c to store them (step S35). ).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ends the deposit secondary processing by storing the deposited banknote in any of the storage 170a to the storage 170f, the main reject 150a, or the vertical reject 150b. do.

그리고,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입금 2차 처리가 종료된 것을 주제어부(11)에 통지한다. 주제어부(11)는, 입금 2차 처리 종료를 통지받아, 영수증 발행부(18)에 의한 영수증 발행, 카드 처리부(17)에 의한 카드 배출 등의 처리를 수행한다.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notifies the main control unit 11 that the deposit secondary processing is completed. The main control unit 11 is notified of the end of the deposit secondary processing, and performs processing such as receipt issuance by the receipt issuing unit 18 and card ejection by the card processing unit 17.

다음으로, 입출금 처리부(100)의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가 수행하는 출금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출금 처리의 흐름도이다. 출금 처리는, 조작자에 의한 출금 지시에 기초하여 개시된다. Next, the withdrawal processing performed by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of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unit 100 will be described. 6 is a flowchart of a withdrawal process. The withdrawal process is started based on the withdrawal instruction by the operator.

[단계 S41]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반송로(140c)를 통해 각종 금액 카세트[수납고(170a) 내지 수납고(170f)]로부터 감별부(180)에 지폐를 반송한다. [Step S41]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conveys the bills to the discriminating unit 180 from various money cassettes (storage 170a to storage 170f) via the conveyance path 140c.

[단계 S42]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감별부(180)에서 지폐의 진위를 감별하여, 정상 지폐로 감별한 경우는 지폐를 투출부(120)에 수납한다(단계 S43). 한편,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감별부(180)에서 지폐의 진위를 감별하여, 정상 지폐로 감별하지 않은 경우(불명 지폐인 경우)는 지폐를 리젝트고에 수납하고(단계 S46), 다른 지폐를 출금하기 위해 단계 S41로 진행한다. [Step S42]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discriminates the authenticity of the bills by the discriminating unit 180, and stores the bills in the ejecting unit 120 when discriminating them with normal bills (step S43). On the other hand,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discriminates the authenticity of banknotes by the discriminating unit 180, and stores the banknotes in the reject store when the banknotes are not discriminated as normal banknotes (step S46),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1 to withdraw another banknote.

[단계 S44]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투출부(120)의 셔터를 연다. [Step S44]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opens the shutter of the discharge unit 120.

[단계 S45]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지폐가 빠져나가는 것을 기다린다. 그리고,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투출부(120)로부터 지폐가 빠져나가는 것을 검출하면 셔터를 닫고 출금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투출부(120)로부터 지폐가 빠져나가는 것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검출하지 않으면 셔터를 닫아 지폐를 넣고(단계 S47), 출금 처리를 종료한다.[Step S45]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waits for the banknote to exit. And the deposit /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part 110 closes a shutter and complete | finishes a withdrawal process, if it detects that a banknote escapes from the delivery part 120. FIG. On the other hand,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closes the shutter and inserts the banknote if the banknote does not detect that the banknote is withdrawn from the dispensing unit 120 within a predetermined time (step S47), and ends the withdrawal processing.

다음으로, 1차 보류 장치(1차 보류부; 30)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1차 보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1차 보류 장치(30)는,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 수납 장치로서, 특히 일시적으로 지폐를 보류하기 때문에 지폐의 반입과 반출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폐 수납 장치이다. 1차 보류 장치(30)는, 투출부(120)와 동일한 수납 용량을 가지며, 예를 들어 일본 은행권의 경우 적어도 200장을 수납할 수 있다. Next, the primary holding device (primary holding unit) 30 will be described.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imary ret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primary holding device 30 is a banknote storing device that stores banknotes. In particular, the primary holding device 30 is a banknote storing apparatus in which imports and exports of banknotes frequently occur because the banknotes are temporarily held. The primary holding device 30 has the same storage capacity as the discharge unit 120, and can store at least 200 sheets in the case of a Japanese bank note, for example.

1차 보류 장치(30)는, 스테이지(41)와 가동식 수납벽(45)으로 지폐를 지지하여 수납한다. 스테이지(41)는, 적재부(41a)와, 현수 지지부(41b)와, 가이드 롤러(34, 35)로 이루어진다. 적재부(41a)는, 수납하는 지폐보다 큰 판형의 부재이며, 적층 지폐(44; 스테이지 위에 적층되어 적재된 지폐)의 바닥면을 면으로 지지하여 적층 지폐(44)를 적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현수 지지부(41b)는, 스테이지(41)를 케이스(36)로부터 현수 지지한다. 현수 지지부(41b)는 벨트(39)와 접속되고, 벨트(39)의 구동력을 받아 전진(상승), 후퇴(하강)한다(도면 중 화살표 방향). 따라서, 수납 공간(42)은, 전진에 의해 축소되고, 후퇴에 의해 확대된다. 가이드 롤러(34, 35)는, 스테이지(41)의 이동을 안내하는 롤러이다. 또, 가이드 롤러(34, 35)는, 각각 현수 지지부(41b)의 좌우에 한 쌍(34a, 34b, 35a, 35b : 도 11 참조)이 구비된다. 벨트(39)는, 종동 롤러(31)와 종동 롤러(38) 사이에 걸쳐 있다. 벨트(32)는, 종동 롤러(31)와 구동 롤러(33) 사이에 걸쳐 있다. 구동 롤러(33)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장치(모터)의 출력축에 장착된다. 구동 장치, 벨트(32, 39), 종동 롤러(31, 38) 및 구동 롤러(33)는, 스테이지(41)로의 구동력 전달 기구를 구성한다. 구동 장치는, 정회전, 역회전으로 제어 가능하고, 스테이지(41)의 이동 방향을 제어한다. 구동 장치는, 지폐 검지 센서(포토 센서 수광부; 37)와 지폐 검지 센서(포토 센서 발광부; 50)의 센싱부를 연결하는 지폐 검지 라인(L5)의 차광 상태와 투광 상태를 검지하여 제어된다. 또한, 구동 장치는, 도시하지 않은 위치 검출 센서에 의해 스테이지(41)의 이동 한계를 검출하여 제어된다. 구동 장치는, 그 구동량 또는 구동 시간에 따라 스테이지(41)의 이동량을 제어할 수도 있다.The primary holding device 30 supports and holds a bill with the stage 41 and the movable storage wall 45. The stage 41 consists of a mounting part 41a, the suspension support part 41b, and the guide rollers 34 and 35. As shown in FIG. The stacking portion 41a is a plate-shaped member that is larger than the bills to be stored, and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stacked bills 44 (banknotes stacked and stacked on the stage) by the surface so that the stacked banknotes 44 can be stacked. . The suspension support part 41b suspension-supports the stage 41 from the case 36. The suspension support part 41b is connected with the belt 39, and moves forward (upward) and backwards (downward) in response to the driving force of the belt 39 (arrow direction in the drawing). Therefore, the storage space 42 is reduced by advancing and enlarged by retreating. The guide rollers 34 and 35 are rollers which guide the movement of the stage 41. In addition, the guide rollers 34 and 35 are provided with the pair 34a, 34b, 35a, 35b: FIG. 11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suspension support part 41b, respectively. The belt 39 is interposed between the driven roller 31 and the driven roller 38. The belt 32 spans between the driven roller 31 and the drive roller 33. The drive roller 33 is attach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drive device (motor)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The drive device, the belts 32 and 39, the driven rollers 31 and 38, and the drive roller 33 constitute a drive force transmission mechanism to the stage 41. The drive device can be controlled by forward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and control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tage 41. The drive device detects and controls the light-shielding state and the light-transmitting state of the banknote detecting line L5 connecting the sensing unit of the banknote detecting sensor (photo sensor light receiving unit) 37 and the banknote detecting sensor (photo sensor light emitting unit) 50. In addition, a drive apparatus detects and controls the movement limit of the stage 41 by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The drive device may control the movement amount of the stage 41 according to the drive amount or the drive time.

가동식 수납벽(45)은, 지폐 지지부(62a, 62b, 62c)(도 11)에 의해 지폐의 하단을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높이가 상이한 지폐가 함께 있더라도 지폐의 하단이 일치되어 정렬된다. 또한, 가동식 수납벽(45)은, 1차 보류 장치(30)의 바닥면을 구 성하는 바닥면 가이드(46)를 따라 전진(상승), 후퇴(하강)(도면 중 화살표 방향)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식 수납벽(45)은, 스프링 장착부(48)를 갖는 스프링 장착 보스(47)를 포함한다. 스프링 장착부(48)와 고정단이 되는 스프링 장착부(51) 사이에는, 가동식 수납벽(45)을 바닥면 가이드(46)를 따라 전진 방향으로 압박하도록 스프링(49)이 설치된다. 가동식 수납벽(45)은, 스프링(49)에 의해 전진 방향으로 압박되어 규제 부재(도시 생략)에 의해 전진 위치가 규제된 위치를 초기 위치(도 7)로 한다. 스프링(49)은 인장 스프링이지만, 가동식 수납벽(45)을 전진 방향으로 압박하는 압박 수단으로서 기능할 경우에는, 압축 스프링이나 판 스프링 외에, 고무 등의 탄성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The movable storage wall 45 supports the lower end of a banknote by the banknote support part 62a, 62b, 62c (FIG. 11). Thus, even if there are bills of different heights together, the bottoms of the bills are aligned and aligned. In addition, the movable storage wall 45 is capable of moving forward (rising) and retracting (falling)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the figure) along the floor guide 46 constitu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primary holding device 30. have. The movable storage wall 45 includes a spring mounting boss 47 having a spring mounting portion 48. Between the spring mounting part 48 and the spring mounting part 51 used as a fixed end, the spring 49 is provided so that the movable storage wall 45 may be pressed along the bottom guide 46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movable storage wall 45 is made into the initial position (FIG. 7) by which the spring 49 is urged in the advance direction and the advance position was regulated by the restricting member (not shown). Although the spring 49 is a tension spring, when it functions as a pressing means which presses the movable storage wall 45 to a forward direction, elastic bodies, such as rubber | gum, can also be used besides a compression spring and a leaf spring.

바닥면 가이드(46)의 연장선(L2)은, 수평선(L1)에 대하여 각도 R1을 갖는다. 이 때, 적재부(41a)의 연장선(L3)과 바닥면 가이드(46)의 연장선(L2)은 직교하고 있다. 이 때, 각도(바닥면 경사각) R1은 45도 미만이며, 연장선(L2)쪽이 연장선(L3)보다 수평선(L1) 방향으로 쓰러져 있다. 따라서, 지폐끼리 겹칠 때의 마찰력이 작아지고, 지폐 하단의 부정렬 등의 문제가 잘 발생하지 않는다. 1차 보류 장치(30)는, 각도 R1이 대략 20도 내지 40도의 각도를 이룰 때, 지폐의 바람직한 수납을 실현한다. The extension line L2 of the bottom guide 46 has an angle R1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line L1. At this time, the extension line L3 of the mounting part 41a and the extension line L2 of the bottom guide 46 are orthogonal. At this time, the angle (bottom angle of inclination) R1 is less than 45 degrees, and the extension line L2 is lowered in the horizontal line L1 direction than the extension line L3. Therefore, the frictional force at the time of stacking banknotes becomes small, and problems, such as misalignment of the bottom of a banknote, do not arise easily. The primary holding device 30 realizes desirable storage of bank notes when the angle R1 forms an angle of approximately 20 degrees to 40 degrees.

또한, 1차 보류 장치(30)에 있어서는, 반입 루트(L6)로부터 1차 보류 장치(30)의 내부로 지폐를 반입한다. 반입 지폐(43)는, 피드 롤러(56), 가속 롤러(54), 임펠러(52)에 의해 수납 공간(42)으로 안내된다. 이 때, 반입 지폐(43)의 연장선(L4)과 적재부(41a)의 연장선(L3)이 이루는 각도(지폐 진입각) R2가 대략 25 도 내지 35도의 각도를 이룰 때, 반입 지폐(43)의 바람직한 적층이 실현된다. 연장선(L4)을 따라 수납 공간(42)에 진입한 반입 지폐(43)는, 스테이지 천정부(40)와 지폐 충돌 위치(82)에서 충돌한다. 충돌한 반입 지폐(43)는, 튕겨져 적층 지폐(44)와 겹치는 위치로 적합하게 안내된다. 이 때문에, 스테이지 천정부(40)는, 반입 지폐(43) 및 스테이지 천정부(40)를 보호하기 위해 완충재로서 고무 시트가 접착되어 있다. 또한, 고무 시트는, 탄성체로서 반입 지폐(43)에 적당한 반발력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지폐 충돌 위치(82)는, 스테이지 천정부(40)와 지폐 검지 라인(L5)의 교차점(81)보다, 반입 지폐(43)의 진입 위치측(상측)에 설정된다. In the primary holding device 30, the banknote is carried into the primary holding device 30 from the carry-in route L6. The carried bill 43 is guided to the storage space 42 by the feed roller 56, the acceleration roller 54, and the impeller 52. At this time, when the angle (bank entry angle) R2 which the extension line L4 of the carry-on banknote 43 and the extension line L3 of the loading part 41a makes the angle of about 25 degree-35 degree, the carry-in banknote 43 is carried out. Preferred lamination is realized. The brought-in banknote 43 which entered the storage space 42 along the extension line L4 collides with the stage ceiling 40 at the banknote colliding position 82. The carried-in banknote 43 which collided is flipped and guided suitably to the position which overlaps with the laminated | stacked banknote 44. FIG. For this reason, the stage sheet | seat part 40 has the rubber sheet adhere | attached as a cushioning material in order to protect the carry-in banknote 43 and the stage ceiling part 4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rubber sheet has given the appropriate repulsion force to the carry-in banknote 43 as an elastic body. In addition, the banknote collision position 82 is set in the entry position side (upper side) of the carried banknote 43 rather than the intersection point 81 of the stage ceiling 40 and banknote detection line L5.

또한, 1차 보류 장치(30)는, 반출 루트(L7)로부터 1차 보류 장치(30)의 외부[반송로(140a, 140b)]로 지폐를 반출한다. 반출 지폐는, 픽 롤러(58), 피드 롤러(56) 및 가속 롤러(54)에 의해, 바닥면 테이퍼부(57) 및 반송 가이드(55)를 따라 1차 보류 장치(30)의 외부로 안내된다. 또한, 반출 지폐가 한번에 복수매가 되지 않도록, 세퍼레이터 롤러(53)가 겹쳐진 지폐를 분리한다. Moreover, the primary hold apparatus 30 carries out a banknote from the export route L7 to the exterior (conveyance path 140a, 140b) of the primary hold apparatus 30. As shown in FIG. The carry-out banknote is guided to the outside of the primary holding device 30 along the bottom taper portion 57 and the conveyance guide 55 by the pick roller 58, the feed roller 56, and the acceleration roller 54. do. Moreover, the banknote which the separator roller 53 overlapped is isolate | separated so that a carry-out banknote may not be plural sheets at one time.

또한, 반출 지폐의 유무는, 스테이지(41)의 전진 시에 지폐가 검지 레버(60)를 누름으로써, 검지 레버 지지부(59)가 지지하는 축(83)을 중심으로 검지 레버(60)가 회동하며, 센서(84)가 검지 레버(60)의 이러한 회동을 검출함으로써 판단한다. In additi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arry-out banknote is a banknote which presses the detection lever 60 at the time of the advancement of the stage 41, and the detection lever 60 rotates centering around the axis 83 which the detection lever support part 59 supports. Then, the sensor 84 judges by detecting this rotation of the detection lever 60.

다음으로, 1차 보류 장치(1차 보류부; 30)가 미리 정해진 양의 지폐를 수납한 상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1차 보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Next, the state where the primary holding device (primary holding unit) 30 has stored a predetermined amount of bills will be described.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imary ret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차 보류 장치(30)에 있어서는, 적층 지폐(44)가 증가함에 따라 스테이지(41)가 후퇴함으로써 수납 용량이 증대된다. 이 때, 스테이지(41)의 후퇴량은, 1차 보류 장치(30)의 내부로의 지폐의 반입 매수와, 지폐 검지 센서(포토 센서 수광부; 37)와 지폐 검지 센서(포토 센서 발광부; 50)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스테이지(41)의 후퇴는, 적층 지폐(44)의 최상면이 대략 미리 정해진 범위의 위치에 수용되도록 제어된다. 스테이지(41)의 초기 위치로부터의 후퇴가 미리 정해진 양에 미치지 않을 때, 가동식 수납벽(45)은, 바닥면 가이드(46)를 따라 전진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기 때문에, 스테이지(41)가 후퇴하더라도 움직이지 않는다. In the primary holding device 30, the storage capacity increases because the stage 41 retreats as the stack banknote 44 increases. At this time, the retreat amount of the stage 41 includes the number of bills carried in the inside of the primary holding device 30, the banknote detection sensor (photo sensor light receiving unit) 37 and the banknote detection sensor (photo sensor light emitting unit; 50). Is controlle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Retraction of the stage 41 is controlled so that the uppermost surface of the stacked banknote 44 is accommodated in a position of approximately a predetermined range. When the retreat from the initial position of the stage 41 does not reach a predetermined amount, since the movable storage wall 45 is pushed in the forward direction along the floor guide 46, even if the stage 41 retreats, not moving.

스테이지(41)의 초기 위치로부터의 후퇴가 미리 정해진 양에 도달했을 때, 스테이지(41)의 배면측 하단부는 가동식 수납벽(45)과 맞닿는다. 그리고, 스테이지(41)의 초기 위치로부터의 후퇴가 미리 정해진 양을 초과했을 때, 스테이지(41)의 배면측 하단부는 가동식 수납벽(45)과 맞닿으면서 가동식 수납벽(45)을 후퇴시킨다. 도 8은, 가동식 수납벽(45)이, 스프링(49)의 스프링 장착부(48a)로부터 스프링 장착부(48b)까지 후퇴한 모습을 나타낸다. When the retreat from the initial position of the stage 41 reaches a predetermined amount, the rear lower end of the stage 41 is in contact with the movable storage wall 45. Then, when the retreat from the initial position of the stage 41 exceeds a predetermined amount, the rear lower end of the stage 41 retracts the movable storage wall 45 while contacting the movable storage wall 45.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storage wall 45 has retracted from the spring mounting portion 48a of the spring 49 to the spring mounting portion 48b.

다음으로, 스테이지(41)와 가동식 수납벽(45)의 후퇴량에 관해,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스테이지와 가동식 수납벽의 관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면 중 화살표는 스테이지(41)와 가동식 수납벽(45)의 전진, 후퇴 방향을 나타낸다. Next, the retraction amount of the stage 41 and the movable storage wall 45 is demonstrated using FIG.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ge and the movable storage wall. Arrows in the figure indicate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stage 41 and the movable storage wall 45.

도 9의 (A)는 스테이지(41)의 초기 위치를 나타낸다. 스테이지(41)의 배면측 하단부와 가동식 수납벽(45)은 맞닿지 않은 상태이며, 가동식 수납벽(45)은 스프 링(49)에 의해 압박되어 전진측 규제 위치에 있다. 전진측 규제 위치에 있는 가동식 수납벽(45)은, 지폐 지지부(62a, 62b, 62c)(도 11)가 지폐 검지 라인(L5)보다 전진측에 있으므로, 반입 지폐(43)가 적층될 때 지폐의 하단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위치에 있다. L11은, 스테이지(41)의 적재면의 연장선을 나타낸다. 이 때, 대략 L5와 L11의 간격이 유효한 지폐 수납 공간(최소)으로 된다. 9A shows the initial position of the stage 41. The lower end of the back side of the stage 41 and the movable storage wall 45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movable storage wall 45 is pressed by the spring 49 to be in the forward-side regulating position. The movable storage wall 45 in the forward-side regulating position has the banknote support portions 62a, 62b, 62c (FIG. 11) on the forward side than the banknote detection line L5, so that when the carry-in banknotes 43 are stacked, It is in a position sufficient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L11 represents the extension line of the mounting surface of the stage 41. At this time, the space | interval of approximately L5 and L11 becomes an effective banknote storage space (minimum).

도 9의 (B)는, 스테이지(41)의 배면측 하단부와 가동식 수납벽(45)이 맞닿는 위치를 나타낸다. 가동식 수납벽(45)은 아직 전진측 규제 위치에 있다. 전진측 규제 위치에 있는 가동식 수납벽(45)은, 지폐 지지부(62a, 62b, 62c)(도 11)가 지폐 검지 라인(L5)보다 전진측에 있어, 반입 지폐(43)가 적층될 때 지폐의 하단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위치에 있다. 또한 L12는, 스테이지(41)의 적재면의 연장선을 나타낸다. 이 때, 대략 L5와 L12의 간격이 유효한 지폐 수납 공간으로 된다. FIG. 9B shows a position where the rear end face of the stage 41 and the movable storage wall 45 abut. The movable receiving wall 45 is still in the forward side regulating position. The movable storage wall 45 in the forward-side restricting position has a banknote support portion 62a, 62b, 62c (FIG. 11) located on the forward side of the banknote detection line L5, so that when the carry-in banknote 43 is stacked, It is in a position sufficient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In addition, L12 represents the extension line of the mounting surface of the stage 41. At this time, the space | interval of approximately L5 and L12 becomes an effective banknote storage space.

도 9의 (C)는, 스테이지(41)의 배면측 하단부와 가동식 수납벽(45)의 최대 후퇴 위치를 나타낸다. 가동식 수납벽(45)은, 후퇴하는 스테이지(41)와 함께 후퇴되어 있다. 가동식 수납벽(45)은, 지폐 지지부(62a, 62b, 62c)(도 11)의 선단이 지폐 검지 라인(L5) 상에 있어, 반입 지폐(43)가 적층될 때 지폐의 하단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위치에 있다. L13은, 스테이지(41)의 적재면의 연장선을 나타낸다. 이 때, 대략 L5와 L13의 간격이 유효한 지폐 수납 공간(최대)으로 된다. FIG. 9C shows the maximum retreat position of the rear side lower end of the stage 41 and the movable storage wall 45. The movable storage wall 45 is retracted together with the stage 41 which retreats. The movable storage wall 45 has the tip of the banknote support part 62a, 62b, 62c (FIG. 11) on the banknote detection line L5, so as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banknote when the imported banknotes 43 are stacked. It is in sufficient position. L13 represents the extension line of the mounting surface of the stage 41. At this time, the space | interval of substantially L5 and L13 becomes an effective banknote storage space (maximum).

이와 같이, 스테이지(41)의 전진, 후퇴에 의해 지폐 수납 공간을 가변으로 하더라도, 가동식 수납벽(45)이 지폐의 하단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위치에 있으므로, 지폐 수납시의 부정렬을 바람직하게 경감한다. In this way, even if the bill storage space is made variable by the advance and retreat of the stage 41, the movable storage wall 45 is in a position sufficient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bill, so that the misalignment during bill storage is preferably reduced. do.

이것은, 가동식 수납벽(45)의 후퇴량을 크게 하여 지폐 지지부(62a, 62b, 62c)(도 11)가 지폐 검지 라인(L5)에 닿지 않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지폐의 하단을 지지하지 않는 범위를 제한할 수 있으므로, 지폐 수납시의 부정렬의 경감에 대해 일정한 효과를 얻는다. This is similarly applicable to the case where the amount of retraction of the movable storage wall 45 is increased so that the banknote support portions 62a, 62b, 62c (FIG. 11) do not touch the banknote detection line L5. Also in this case, since the range which does not support the lower end of a banknote can be limited, a certain effect is obtained with respect to the reduction of the misalignment at the time of banknote storage.

다음으로, 스테이지(41)의 후퇴를 제어하는 지폐 수납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은, 지폐 수납 처리의 흐름도이다. 지폐 수납 처리는, 입출금 처리부(100)의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가 수행한다. 지폐 수납 처리는, 예를 들어, 입금 2차 처리가 실행될 때에 실행된다. Next, the banknote storing process which controls the retreat of the stage 41 is demonstrated. 10 is a flowchart of banknote storing processing. The banknote storing process is performed by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of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unit 100. The banknote storing process is executed, for example, when the deposit secondary process is executed.

[단계 S51]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스테이지(41)를 초기 위치로 이동시킨다. [Step S51]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moves the stage 41 to the initial position.

[단계 S52]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반입 지폐(43)를 세어, 10장을 수납할 때마다 단계 S53으로 진행시키고, 그 밖의 경우는 대기한다. [Step S52]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counts the loaded banknotes 43, and proceeds to step S53 each time ten sheets are stored, and otherwise waits.

[단계 S53]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지폐 검지 센서(포토 센서 수광부; 37)가 투광 상태를 검출하는 위치까지 스테이지(41)를 후퇴시키고, 단계 S52로 진행시킨다. [Step S53]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retreats the stage 41 to a position where the banknote detecting sensor (photo sensor light receiving unit) 37 detects the light projection state, and proceeds to step S52.

이와 같이, 스테이지(41)는, 반입 지폐(43) 10장을 수납할 때마다, 지폐 검지 센서(포토 센서 수광부; 37)가 투광 상태를 검출하는 위치까지 후퇴된다. 따라서, 주름이나 접힘, 또는 대전(정전기)에 의해 반입 지폐(43)의 사이가 벌어졌다 하더라도, 스테이지(41)의 후퇴량의 오차는, 적정값과 지폐 10장의 범위 내의 오차로 억제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stage 41 is retracted to the position where the banknote detection sensor (photo sensor light-receiving part) 37 detects a light-transmitting state every time 10 sheets of banknotes 43 are accommodated. Therefore, even if the gap between the carry-in banknotes 43 is increased due to wrinkles, folds, or charging (electrostatics), the error in the amount of retreat of the stage 41 can be suppressed by an error within an appropriate value and a range of ten banknotes. .

다음으로, 스테이지(41)와 가동식 수납벽(45)에 관해, 1차 보류 장치(30)의 천정측에서 본 모습을 설명한다. 도 11은, 스테이지와 가동식 수납벽을 1차 보류 장치의 천정측에서 본 개략도이다. Next, the state seen from the ceiling side of the primary hold-up device 30 about the stage 41 and the movable storage wall 45 is demonstrated. 11 is a schematic view of the stage and the movable storage wall viewed from the ceiling side of the primary retention device.

바닥면 가이드(46)는 1차 보류 장치(30)의 주된 바닥면을 형성하며, 테이퍼 경계(L8)를 경계로 지폐의 반입, 반출측에 바닥면 테이퍼부(57)를 갖는다. 바닥면 가이드(46)는, 스테이지(41)의 전진, 후퇴 방향을 따라 가이드 구멍(63a, 63b, 63c)을 갖는다. 가이드 구멍(63b)은 지폐의 길이 방향의 중심에, 가이드 구멍(63a, 63c)은 지폐의 길이 방향의 좌우 대칭 위치에 형성된다. 가이드 구멍(63a, 63b, 63c)의 지폐의 반입, 반출측 단부(61)를 지폐의 반입, 반출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쐐기형으로) 잘라, 바닥면 테이퍼부(57)에서의 지폐의 반송 저항을 저감하였다. 또한, 바닥면 가이드(46)는, 이면측에 지폐 검지 센서(포토 센서 발광부; 50a, 50b)를 갖는다. 지폐 검지 센서(포토 센서 발광부; 50a, 50b)는, 도시하지 않은 투광창을 통하여, 대향하는 지폐 검지 센서(포토 센서 수광부; 37)의 방향으로 발광한다. The bottom surface guide 46 forms the main bottom surface of the primary holding device 30, and has a bottom surface taper portion 57 at the side of carrying in and taking out the banknotes with the tapered boundary L8 as a boundary. The bottom guide 46 has guide holes 63a, 63b, 63c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stage 41. The guide hole 63b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anknote length direction, and the guide hole 63a, 63c is formed in the left-right symmetrical position of the banknote length direction. Carrying in and out of banknotes of the guide holes 63a, 63b, and 63c, cutting the end 61 of the banknotes diagonally (wedge-shaped)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carrying in and out of the banknotes and conveying the banknotes from the bottom tapered portion 57 Resistance was reduced. 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guide 46 has a banknote detection sensor (photo sensor light emitting part) 50a, 50b in the back surface side. The banknote detection sensor (photo sensor light-emitting part; 50a, 50b) emits light in the direction of the banknote detection sensor (photo sensor light-receiving part) 37 which opposes through the light transmission window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가동식 수납벽(45)은, 가이드 구멍(63a)에 가이드되는 지폐 지지부(62a)와, 가이드 구멍(63b)에 가이드되는 지폐 지지부(62b)와, 가이드 구멍(63c)에 가이드되는 지폐 지지부(62c)를 갖는다. 지폐 지지부(62a, 62b, 62c)는, 바닥면 가이드(46)의 바닥면보다 약간 튀어 나와 있어, 지폐의 하단을 지지한다. 가동식 수납벽(45)은, 지폐 지지부(62a, 62b)의 사이에서 스프링(49a)에 의해 압박되고, 지폐 지지부(62b, 62c)의 사이에서 스프링(49b)에 의해 압박되어 있다. 스프링(49a)은, 스프 링 장착부(51a)를 고정단으로 하고, 스프링 장착부(48a)를 자유단으로 하였다. 또한, 스프링(49b)은, 스프링 장착부(51b)를 고정단으로 하고, 스프링 장착부(48b)를 자유단으로 하였다. The movable storage wall 45 includes the banknote support part 62a guided by the guide hole 63a, the banknote support part 62b guided by the guide hole 63b, and the banknote support part 62c guided by the guide hole 63c. Has The banknote support parts 62a, 62b, 62c protrude slightl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guide 46, and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banknote. The movable storage wall 45 is pressed by the spring 49a between the banknote support parts 62a and 62b, and is pressed by the spring 49b between the banknote support parts 62b and 62c. The spring 49a made the spring attaching part 51a the fixed end, and made the spring attaching part 48a the free end. Moreover, the spring 49b made the spring mounting part 51b the fixed end, and made the spring mounting part 48b the free end.

스테이지(41)[스테이지 천정부(40)는 도시 생략]는, 가이드 롤러(34a, 34b, 35a, 35b)를 갖는다. The stage 41 (the stage ceiling 40 is not shown) has guide rollers 34a, 34b, 35a, 35b.

1차 보류 장치(30)에 있어서는, 피드 롤러축(64)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피드 롤러(56a∼56e)와 세퍼레이터 롤러축(65)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세퍼레이터 롤러(53a∼53d) 사이로부터 지폐가 반입되고, 또 지폐가 반출된다.In the primary holding device 30, between the feed rollers 56a to 56e that rotat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feed roller shaft 64, and the separator rollers 53a to 53d that rotat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eparator roller shaft 65. The bill is carried in from and the bill is carried out again.

다음으로, 가동식 수납벽(45)이 지폐를 지지하는 모습에 관해 설명한다. 도 12는, 가동식 수납벽 주변의 확대 단면도이다. Next, the state in which the movable storage wall 45 supports a banknote is demonstrated. 1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erimeter of the movable storage wall.

지폐 지지부(62)는, 고마찰 영역(66)과 저마찰 영역(67)을 갖는다. 고마찰 영역(66)은, 저마찰 영역(67)에 비하여, 적층 지폐(44)와의 마찰이 크게 되어 있다. 고마찰 영역(66)은 표면에 톱니 형상을 가져, 일단 정렬된 적층 지폐(44)의 지폐 간격이 벌어지는 방향으로의 지폐 하단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에 따라, 고마찰 영역(66)은, 진동이나 정전기 등으로 인한 지폐 간격의 벌어짐에 의한 부정렬을 경감한다. 저마찰 영역(67)은 표면이 평탄하여, 적층 지폐(44)를 1차 보류 장치(30)로부터 반출할 때에 저항으로 되지 않게 되어 있다. The banknote support part 62 has the high friction region 66 and the low friction region 67. The high friction region 66 has a greater friction with the laminated banknote 44 than the low friction region 67. The high friction region 66 has a sawtooth shape on the surface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bottom of the banknot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nknote intervals of the stacked banknotes 44 once aligned are opened. As a result, the high friction region 66 reduces misalignment due to the gap between bills due to vibration, static electricity, and the like. The low friction region 67 has a flat surface, and does not become a resistance when the laminated banknote 44 is carried out from the primary holding device 30.

다음으로, 지폐 지지부(62)의 고마찰 영역(66)과 저마찰 영역(67)에 관해 설명한다. 도 13은, 지폐 지지부의 개략도이다. Next, the high friction region 66 and the low friction region 67 of the banknote support part 62 are demonstrated. It is a schematic diagram of a banknote support part.

지폐 지지부(62)는, 스테이지(41)의 고마찰 영역(66)과 저마찰 영역(67)을 갖는다. 고마찰 영역(66)은, 지폐 지지부(62)의 적재부(41a)로부터 소정의 폭을 가지며, 저마찰 영역(67)은, 나머지 선단부측에 소정의 폭을 갖는다. The banknote support part 62 has the high friction region 66 and the low friction region 67 of the stage 41. The high friction region 66 has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stacking portion 41a of the banknote support portion 62, and the low friction region 67 has a predetermined width on the remaining tip side.

지폐 지지부(68)는 지폐 지지부(62)의 일 형태로서, 고마찰 영역(69)은 가동식 수납벽(45)의 이동 방향(도 13의 좌우 방향)으로 연속하는 요철 영역을 포함한다. 요철 영역은, 지폐의 반입측을 완경사로 하고, 지폐 지지부(62)의 적재부(41a)측(지폐의 반입측의 반대측)을 급경사로 한 비대칭 산형의 요철(톱니) 형상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적층 지폐(44)의 하단의 우측에서 좌측으로의 이동에 비하여, 적층 지폐(44)의 하단의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이동이 어렵다. 이에 의해, 고마찰 영역(69)은, 진동이나 정전기 등으로 인한 지폐 간격의 벌어짐에 의한 부정렬을 경감한다. 또한, 자동 거래 장치(1)의 설치 환경하에서, 1차 보류 장치(30) 내의 완경사부 지지면의 연장선(L9)은 수평이거나 좌측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연장선(L9)이 수평선과 이루는 각 R3은 각 R1보다 작게 설정된다. 이에 따라, 고마찰 영역(69)의 역경사에 의한 지폐 간격의 벌어짐에 따른 부정렬을 방지한다. 톱니의 높이는 약 1 mm, 톱니의 피치는 1.5 mm 정도로 설정하면 된다. The banknote support part 68 is one form of the banknote support part 62, and the high friction area | region 69 contains the uneven | corrugated area | region continuous in the moving direction (left-right direction of FIG. 13) of the movable storage wall 45. FIG. The uneven | corrugated area | region is asymmetrical uneven | corrugated (sawtooth) shape which made the carry-in side of banknote a gentle slope, and made the steep inclination the loading part 41a side (opposite side of the banknote side) of the banknote support part 62. Thereby, compared with the movement from the right side to the left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laminated banknote 44, the movement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laminated banknote 44 is difficult. As a result, the high friction region 69 reduces misalignment due to the gap between bills due to vibration, static electricity, and the like. In addition, under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automatic trading device 1, the extension line L9 of the mildly inclined portion supporting surface in the primary holding device 30 is horizontal or inclined to the lower left. Therefore, each R3 which the extension line L9 makes with a horizontal line is set smaller than each R1. This prevents misalignment due to the spread of the banknote interval due to the reverse inclination of the high friction region 69.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set the tooth height about 1 mm, and the tooth pitch about 1.5 mm.

지폐 지지부(70)는 지폐 지지부(62)의 일 형태로서, 고마찰 영역(71)은, 가동식 수납벽(45)의 이동 방향으로 연속하는 리브열 형성 영역을 포함한다. The banknote support part 70 is one form of the banknote support part 62, and the high friction region 71 includes the rib row formation area | region continuous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able storage wall 45. As shown in FIG.

지폐 지지부(72)는 지폐 지지부(62)의 일 형태로서, 고마찰 영역(73)은, 가동식 수납벽(45)의 이동 방향으로 연속하는 볼록 형상 리브열 형성 영역을 포함한다. The banknote support part 72 is one form of the banknote support part 62, and the high friction area 73 contains the convex rib row formation area | region continuous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able storage wall 45. As shown in FIG.

다음으로, 수납벽 구동 모터(85)를 사용하여 가동식 수납벽(45)을 구동하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14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1차 보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Next, 2nd Embodiment which drives the movable storage wall 45 using the storage wall drive motor 85 is demonstrated. 14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imary ret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가동식 수납벽(45)은 벨트(78)와 접속되며, 벨트의 구동력을 받아 전진(상승), 후퇴(하강)한다. 가이드 롤러(34, 35)는 스테이지(41)의 이동을 안내하는 롤러이다. 또한, 가이드 롤러(79, 80)는 각각 가동식 수납벽(45)의 좌우에 한쌍이 구비된다. 벨트(78)는, 종동 롤러(75)와 종동 롤러(76) 사이에 걸쳐 있다. 벨트(77)는, 종동 롤러(75)와 구동 롤러(74) 사이에 걸쳐 있다. 구동 롤러(74)는, 수납벽 구동 모터(85)의 출력축에 장착된다. 구동 장치, 벨트(77, 78), 종동 롤러(75, 76) 및 구동 롤러(74)는, 가동식 수납벽(45)으로의 구동력 전달 기구를 구성한다. 수납벽 구동 모터(85)는, 정회전, 역회전으로 제어 가능하고, 가동식 수납벽(45)의 이동 방향을 제어한다. 또한, 수납벽 구동 모터(85)는, 지폐 검지 센서(포토 센서 수광부; 37)와 지폐 검지 센서(포토 센서 발광부; 50)의 센싱부를 연결하는 지폐 검지 라인(L5)의 차광 상태와 투광 상태를 검지함으로써 제어된다. 또한, 수납벽 구동 모터(85)는, 도시하지 않은 위치 검출 센서에 의해 가동식 수납벽(45)의 이동 한계를 검출함으로써 제어된다. 수납벽 구동 모터(85)는, 그 구동량 또는 구동 시간에 의해 가동식 수납벽(45)의 이동량을 제어할 수도 있다. The movable storage wall 45 is connected to the belt 78 and moves forward (raises) and retracts (falls) under the driving force of the belt. The guide rollers 34 and 35 are rollers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tage 41. In addition, the pair of guide rollers 79 and 80 is provided in the left and right of the movable storage wall 45, respectively. The belt 78 is interposed between the driven roller 75 and the driven roller 76. The belt 77 is interposed between the driven roller 75 and the drive roller 74. The drive roller 74 is attach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accommodation wall drive motor 85. The drive device, the belts 77 and 78, the driven rollers 75 and 76, and the drive roller 74 constitute a drive force transmission mechanism to the movable storage wall 45. The storage wall drive motor 85 can be controlled by forward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and control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able storage wall 45. In addition, the storage wall drive motor 85 has a light shielding state and a light-transmitting state of the banknote detecting line L5 connecting the sensing unit of the banknote detecting sensor (photo sensor light receiving unit) 37 and the banknote detecting sensor (photo sensor light emitting unit) 50. It is controlled by detecting. In addition, the storage wall drive motor 85 is controlled by detecting the movement limit of the movable storage wall 45 by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The storage wall drive motor 85 can control the movement amount of the movable storage wall 45 by the drive amount or the drive time.

다음으로, 도 14의 수납벽 구동 모터(85)를 사용한 가동식 수납벽(45)의 제어예를 설명한다. 도 15는, 가동식 수납벽의 제어의 타이밍차트이다. Next, the control example of the movable storage wall 45 using the storage wall drive motor 85 of FIG. 14 is demonstrated. 15 is a timing chart of the control of the movable storage wall.

「지폐 수용」은, 지폐의 반입시에 지폐를 1차 보류 장치(30)에 수용할 때마다 발생하는 펄스 신호이다. 1펄스는 1장의 지폐를 수용했음을 의미한다. 「지폐 검지 센서」는 지폐 검지 센서(포토 센서 수광부; 37)의 검지 상태를 나타낸다. 「스테이지」는 스테이지(41)의 이동량을 나타내며, 초기 위치로부터의 후퇴량을 그래프화하고 있다. 「가동식 수납벽」은 가동식 수납벽(45)의 이동량을 나타내며, 초기 위치로부터의 후퇴량을 그래프화하고 있다. A "paper bill acceptance" is a pulse signal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every time a banknote is accommodated in the primary hold apparatus 30 at the time of carrying in a banknote. One pulse means that one bill is received. The "paper bill detection sensor" shows the detection state of a banknote detection sensor (photo sensor light-receiving part) 37. "Stage" shows the movement amount of the stage 41 and graphs the amount of retreat from the initial position. "Movable storage wall" shows the movement amount of the movable storage wall 45, and graphs the amount of retreat from the initial position.

[타이밍 T1]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반입 지폐(43)를 세어 10장을 수납함으로써, 스테이지(41) 및 가동식 수납벽(45)을 후퇴시킨다. [Timing T1]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retracts the stage 41 and the movable storage wall 45 by counting the loaded banknotes 43 and storing 10 sheets.

[타이밍 T2]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지폐 검지 센서(포토 센서 수광부; 37)에서의 투광 상태의 검출에 의해 스테이지(41)를 정지시킨다.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스테이지(41)의 정지후에도 미리 정해진 양만큼 가동식 수납벽(45)을 후퇴시키고 정지시킨다(타이밍 T3). [Timing T2]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stops the stage 41 by detecting the light projection state in the banknote detecting sensor (photo sensor light receiving unit) 37.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retracts and stops the movable storage wall 45 by a predetermined amount even after the stage 41 is stopped (timing T3).

[타이밍 T4] 입출금 처리 제어부(110)는, 스테이지(41)의 정지후에 미리 정해진 양만큼 후퇴한 가동식 수납벽(45)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전진시키고 정지시킨다.[Timing T4]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control unit 110 advances and stops the movable storage wall 45 that has retreated by a predetermined amount after the stop of the stage 41 by a predetermined amount.

이와 같이, 수납벽 구동 모터(85)를 사용하여 가동식 수납벽(45)의 구동함으로써, 스테이지(41)와 독립된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미리 정해진 양만큼 후퇴시킴으로써, 지폐 지지부(62)가 지지하고 있던 지폐의 하단이 부정렬(정렬되지 않은 상태, 지폐 간격에 간극이 있는 상태)이었던 경우라도, 지폐 지지부(62)가 지지하고 있던 지폐가 스테이지(41)에 밀려 정렬 상태로 고쳐진다. In this way, by operating the movable storage wall 45 using the storage wall drive motor 85, an operation independent of the stage 41 is possible. And by retreating by a predetermined amount, even if the lower end of the banknote which the banknote support part 62 supported was misaligned (the state which is not sorted and a gap exists in banknote space | interval), the banknote support part 62 supports it, The banknote which had existed is pushed by the stage 41, and is corrected in alignment.

수납벽 구동 모터(85)의 정회전, 역회전을 반복하여 지폐 지지부(62)를 진동시킴으로써, 지폐를 정렬 상태로 고치도록 해도 된다. 이 때, 지폐의 하단 이동 방 향을 후퇴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지폐 지지부(62)에, 지폐의 반입측을 완경사로 한 비대칭 산형 톱니 형상을 갖는 요철 영역을, 가동식 수납벽(45)의 이동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하면, 지폐를 정렬 상태로 적합하게 고칠 수 있다. The banknote support part 62 may be vibrated by repeating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storage wall drive motor 85 to fix the banknote in an aligned state. At this time, in order to guide the downward movement direction of a banknote to the retreat direction, the movable support wall 45 moves the uneven | corrugated area | region which has asymmetric mountain-tooth-shaped shape which made the banknote side carry-in side of the banknote a gentle slope. When formed continuously in the direction, the banknote can be suitably fixed in an aligned state.

지폐는 지엽류의 일 형태이며, 지엽류란, 지폐, 엽서 등의 직사각형의 종이 조각을 포함한다. 또한, 지엽류의 재질은 종이로 한정되지 않고, 수지 등이어도 된다. 따라서, 지엽류 수납 장치는, 자기 카드나 IC 카드와 같은 카드류에 적용한 카드류 수납 장치로 할 수도 있다. A bill is one form of paper sheets, and a paper sheet contains rectangular pieces of paper, such as a banknote and a postcard. In addition, the material of paper sheets is not limited to paper, Resin etc. may be sufficient. Therefore, the paper sheet storage device may be a card storage device applied to cards such as a magnetic card and an IC card.

실시형태의 1차 보류 장치(지엽류 수납 장치; 30)를 그 밖의 수납 장치[예를 들어, 수납고(170a∼170f)]나, 주리젝트고(150a)와 종리젝트고(150b)에도 적용할 수 있다. The primary holding device (paper storage device) 30 of the embodiment is also applied to other storage devices (for example, the storage 170a to 170f), the main reject height 150a and the vertical reject height 150b. can do.

상술한 실시형태는, 실시형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variously chang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embodiment.

또한,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다수의 변형, 변경을 행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설명한 정확한 구성 및 응용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Moreover, a person with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make many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cise configuration and application examples described.

도 1은 자동 거래 장치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outline of an automatic trading device.

도 2는 입출금 처리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unit.

도 3은 입출금 처리부의 개관도이다. 3 is an overview diagram of a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unit.

도 4는 입금 처리의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of the deposit processing.

도 5는 입금 2차 처리의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of the deposit secondary process.

도 6은 출금 처리의 흐름도이다. 6 is a flowchart of a withdrawal process.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1차 보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imary ret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1차 보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8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imary ret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9는 스테이지와 가동식 수납벽의 관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ge and the movable storage wall.

도 10은 지폐 수납 처리의 흐름도이다. 10 is a flowchart of banknote storing processing.

도 11은 스테이지와 가동식 수납벽을 1차 보류 장치의 천정측에서 본 개략도이다. 11 is a schematic view of the stage and the movable storage wall viewed from the ceiling side of the primary retention device.

도 12는 가동식 수납벽 주변의 확대 단면도이다. 1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around the movable storage wall.

도 13은 지폐 지지부의 개략도이다. 13 is a schematic view of a banknote support portion.

도 14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1차 보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14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imary ret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15는 가동식 수납벽 제어의 타이밍차트이다.15 is a timing chart of the movable storage wall control.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the sign)

30 : 1차 보류 장치30: primary hold device

36 : 케이스36 case

37 : 지폐 검지 센서(포토 센서 수광부)37: banknote detection sensor (photo sensor light receiving unit)

40 : 스테이지 천정부40: stage heaven

41 : 스테이지41: stage

41a : 적재부41a: loading section

41b : 현수 지지부41b: suspension support

42 : 수납 공간42: storage space

43 : 반입 지폐43: Bringing In Bills

44 : 적층 지폐44: stacked bills

45 : 가동식 수납벽45: movable storage wall

46 : 바닥면 가이드46: floor guide

47 : 스프링 장착 보스47: spring loaded boss

48 : 스프링 장착부48: spring mounting

49 : 스프링49: spring

50 : 지폐 검지 센서(포토 센서 발광부)50: banknote detection sensor (photo sensor light emitting unit)

51 : 스프링 장착부51: spring mounting

L6 : 반입 루트L6: Import Route

L7 : 반출 루트L7: Export Route

Claims (13)

경사진 바닥면에서 지엽류의 하단을 지지하면서, 상기 지엽류를 적층하여 수납하는 지엽류 수납 장치로서, A paper sheet storage device for laminating and storing the paper sheets while supporting a lower end of the paper sheets on an inclined bottom surface, 상기 지엽류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paper sheet, 상기 수용부가 수용한 상기 지엽류를 수납하는 수납부와, An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the paper sheet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상기 지엽류의 적층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상기 수납부 내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지엽류를 적재하는 지엽류 적재부와, A paper sheet stacking unit configured to move in the storage unit to adjust the stacking position of the paper sheets, and to stack the paper sheets; 상기 지엽류의 하단의 지지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상기 수납부 내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지엽류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엽류 하단 지지부The paper sheet bottom support part which can move in the said accommodating part so that the support position of the paper sheet bottom can be adjusted, and supports the bottom of the paper shee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수납 장치.The paper sheet storage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 하단 지지부는, 상기 지엽류 적재부가 상기 지엽류의 적층 위치를 상기 수용부로부터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양만큼 이동하면, 상기 지엽류 적재부에 추종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수납 장치.The paper sheet lower end support part follows the paper sheet stacking unit when the paper sheet stacking unit moves by a predetermined amoun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aper sheet stacking position is retracted from the container. Paper sheet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 하단 지지부는, 이동하는 상기 지엽류 적재부와 맞닿아 추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수납 장치.The paper sheet sto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paper sheet lower end support portion is in contact with and follows the moving paper sheet stacking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 하단 지지부는, 상기 지엽류 하단 지지부가 상기 수용부측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압박 수단에 의해 압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수납 장치.The paper sheet sto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paper sheet lower end support portion is pressed by the pressing mean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aper sheet lower end support portion is close to the receiving portion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 하단 지지부 및 상기 지엽류 적재부는 상기 지엽류의 적층 위치를 상기 수용부로부터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일단, 상기 지엽류 하단 지지부가 상기 지엽류 적재부의 이동량보다 크게 이동한 후에,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지엽류 적재부와 상기 이동량을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수납 장치.The paper sheet bottom support portion and the paper sheet stacking portion are moved in a direction to retreat the stacking position of the paper sheet from the receiving portion. The paper sheet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movement of the paper sheet stacking part and the movement amount after moving larg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 수납 장치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의 상기 지엽류의 적층 유무를 검출하는 적층 유무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 The paper sheet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per sheet storage device includes lamination presence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lamination of the paper sheet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상기 지엽류 적재부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양의 상기 지엽류를 수용할 때마다, 상기 적층 유무 검출 수단이 상기 지엽류의 적층을 검출하지 않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수납 장치.The paper sheet stacking unit moves to a position where the stacking presence detecting means does not detect stacking of the paper sheets each time the paper sheet stacking unit receives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paper sheets from the container.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 하단 지지부는,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으로부터 상기 수납부 내를 향하며, 상기 지엽류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per sheet lower end support portion comprises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paper sheet from the guide hol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in the storage portion,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과 상기 지엽류의 하단 사이의 마찰보다 상기 지지 부 재의 지지면과 상기 지엽류의 하단 사이의 마찰을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수납 장치.The paper sheet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iction between the support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bottom of the paper sheet is greater than the friction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section and the bottom of the paper shee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지지면은, 상기 지엽류 하단 지지부의 이동 방향으로 연속하는 요철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수납 장치.The paper sheet sto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support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n uneven region continuous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aper sheet lower end support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지지면은, 상기 수용부측의 단부에 상기 요철 영역을 갖지 않는 마찰 경감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수납 장치.The paper sheet sto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support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friction alleviation region that does not have the uneven region at the end portion on the receiving portion sid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영역은, 상기 수용부측을 완경사로 하고, 반대측을 급경사로 한 비대칭 산형의 요철이 상기 지엽류 하단 지지부의 이동 방향으로 연속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수납 장치.The paper sheet sto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uneven region is a region in which the asymmetrical mountain unevenness having the inclined side on the accommodating portion side and the steep side on the opposite side continues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aper sheet lower end support portion.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 하단 지지부는, 상기 지엽류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per sheet lower end support portion includes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paper sheet,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은, 상기 지지 부재를 안내하는 가이드 구멍과, 상기 수용부측에 테이퍼면을 포함하고, The bottom surface of the said accommodation part contains the guide hole which guides the said support member, and the taper surface in the said accommodating part side, 상기 가이드 구멍의 일단부는, 상기 테이퍼면에 있으며, 쐐기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수납 장치.One end of the guide hole is on the tapered surface and has a wedge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 적재부는, 상기 수납부의 천정으로부터 현수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수납 장치. The paper sheet sto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per sheet stacking portion is suspended from the ceiling of the storag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 적재부의 적재면과 상기 지엽류의 하단을 지지하는 상기 지엽류 하단 지지부의 지지면은 직교하며, 상기 지지면이 상기 적재면보다 수평선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수납 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acking surface of the paper sheet loading portion and the support surface of the paper sheet bottom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paper sheet is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surface is incli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n the loading surface Paper sheet storage device to say.
KR1020090095805A 2009-02-27 2009-10-08 Paper sheet receiving apparatus KR10107592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45683 2009-02-27
JP2009045683A JP5234795B2 (en) 2009-02-27 2009-02-27 Paper sheet storag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274A KR20100098274A (en) 2010-09-06
KR101075927B1 true KR101075927B1 (en) 2011-10-26

Family

ID=42652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805A KR101075927B1 (en) 2009-02-27 2009-10-08 Paper sheet receiving apparatu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234795B2 (en)
KR (1) KR101075927B1 (en)
CN (1) CN101817462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4233A (en) * 2013-04-16 2014-10-2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Medium stacking and extrac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31321B2 (en) * 2012-03-23 2015-12-0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Medium storing and feeding apparatus and medium transaction apparatus
CN104335254B (en) * 2012-10-03 2016-08-24 富士通先端科技株式会社 Bill handling device
JP5983334B2 (en) * 2012-11-13 2016-08-3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Position adjusting device and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JP6102487B2 (en) * 2013-05-10 2017-03-2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Medium storage apparatus and medium transaction apparatus
KR101671572B1 (en) * 2014-06-20 2016-11-01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Medium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financial device
CN104123785A (en) * 2014-07-18 2014-10-29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Sheet medium storing device
CN104794807A (en) 2015-05-12 2015-07-22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Paper money collecting and recycling box
CN105947764A (en) * 2016-07-06 2016-09-21 广州智清电子科技有限公司 Stacking device for sheet-shaped objects
CN106960506B (en) * 2017-03-30 2019-04-19 南通大学 With the double oscillating mode paper money arrangement collection device at random being accurately positioned
JP2018205821A (en) * 2017-05-30 2018-12-2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Medium processor
CN107481452A (en) * 2017-09-30 2017-12-15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The withdrawing device of self-service device and self-service device
CN111527527B (en) * 2018-01-30 2022-03-22 富士通先端科技株式会社 Sheet stack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7390A (en) 2007-08-01 2009-02-19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Bill processo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5061A (en) * 1984-08-27 1986-03-19 オムロン株式会社 Sheet housing device
JPH0511255Y2 (en) * 1985-03-19 1993-03-19
JPH0336157A (en) * 1989-06-30 1991-02-15 Tokyo Electric Co Ltd Ticket storing device
US5551834A (en) * 1995-08-02 1996-09-03 Pitney Bowes Inc. Pressure roller mechanism for stacking apparatus
JP3058150B2 (en) * 1998-08-28 2000-07-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Paper handling equipment
JP3183288B2 (en) * 1998-10-12 2001-07-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Bill receiving / dispensing device
CA2617971A1 (en) * 2005-08-05 2007-02-15 Glory Ltd. Paper-sheet storing and feed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7390A (en) 2007-08-01 2009-02-19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Bill process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4233A (en) * 2013-04-16 2014-10-2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Medium stacking and extrac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04614B1 (en) * 2013-04-16 2020-04-24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Medium stacking and extrac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34795B2 (en) 2013-07-10
CN101817462B (en) 2012-07-04
CN101817462A (en) 2010-09-01
JP2010195574A (en) 2010-09-09
KR20100098274A (en) 2010-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5927B1 (en) Paper sheet receiving apparatus
KR100984533B1 (en) Paper leaf accumulation apparatus
KR100492203B1 (en) Automated Teller Machine
JP6591787B2 (en) Automatic cash transaction equipment
KR101909021B1 (en) Financial device
JP2013088882A (en) Bill handling device
KR101471754B1 (en) Financi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4935216B2 (en) Media handling device
JP5898041B2 (en) Paper sheet handling device with transport unit
KR101631791B1 (en) Financial device
KR101834498B1 (en) Media process apparatus and financial apparatus thereof
KR101880453B1 (en) Financial device
JP2007091436A (en) Automatic teller machine with bill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JP2002053234A (en) Paper sheet feeder
RU2753960C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paper sheets
JP3120397B2 (en) Automatic transaction equipment
KR101628481B1 (en) Medium storage
AU2020343703B2 (en) Banknote deposit-withdrawal system and architecture
JP7205182B2 (en) Coin handling equipment and automatic transaction equipment
KR101289543B1 (en) Medium cassett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financial apparatus
KR101631806B1 (en) Financial device
KR101637698B1 (en) Medium storage
KR20170112336A (en) A banknote recieving/dispensing cassette with variable stopper
KR20160053040A (en) Medium storage
KR20160045986A (en) Medium sto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