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791B1 - Financial device - Google Patents

Financia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791B1
KR101631791B1 KR1020150031429A KR20150031429A KR101631791B1 KR 101631791 B1 KR101631791 B1 KR 101631791B1 KR 1020150031429 A KR1020150031429 A KR 1020150031429A KR 20150031429 A KR20150031429 A KR 20150031429A KR 101631791 B1 KR101631791 B1 KR 101631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unit
printing
banknote
depos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14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32545A (en
Inventor
이수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50031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791B1/en
Publication of KR20150032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25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7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07D11/0006
    • G07D11/0021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2Depositing operations within AT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융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금융 기기는, 지폐와 수표가 번들 단위로 함께 투입될 수 있고, 지폐와 수표가 번들 단위로 함께 방출될 수 있는 단일의 매체 입출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통장이 입출될 수 있는 통장 입출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카드가 입출될 수 있는 카드 입출부; 상기 매체 입출부의 지폐 및 수표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가림부재; 상기 매체 입출부를 통하여 투입된 지폐 및 수표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감별부;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며, 출금을 위한 지폐가 저장되는 지폐 보관함;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며, 출금을 위한 수표가 저장되는 수표 보관함; 및 출금을 위한 수표 및 상기 매체 입출부로 투입된 입금을 위한 수표의 프린팅을 위한 프린팅 장치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ancial instrument. A financial instrument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single media input / output unit, wherein the bill and check can be fed together in a bundle unit and the bill and check can be discharged together in a bundle unit; A passbook entry / exit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entering and exiting a passbook; A card input / output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inputting / outputting a card; A cover member for opening / closing a banknote of the media input / output unit and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check can be stored; A discrimination unit which can detect the state of the bill and the check inserted through the medium entry / exit unit; A banknote storage box disposed in the main body and storing banknotes for withdrawal; A check box disposed in the main body and storing a check for withdrawal; And a printing device for printing a check for withdrawal and a check for depositing into the media input / output section.

Description

금융 기기{Financial device}Financial device

본 발명은 금융 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ancial instrument.

일반적으로 금융 기기는, 고객이 원하는 금융 업무를 처리하는 기기이다. 상기 금융기기는 매체를 입출금하거나 매체를 자동으로 이체할 수 있다. 일 례로, 상기 금융기기는 지폐 및 수표 등을 입금하거나 출금할 수 있다. Generally, a financial instrument is a device that processes a financial business desired by a customer. The financial instrument can deposit and withdraw the medium or automatically transfer the medium. For example, the financial instrument may deposit or withdraw bills and checks.

그런데, 종래의 금융 기기는, 지폐와 수표를 별도의 입출부를 통하여 입금하거나 출금하도록 구성되었다. 즉, 금융 기기에는 지폐 입출부와, 지폐 이송 경로와, 지폐 처리 모듈과 함께, 수표 입출부와, 수표 이송 경로와, 수표 처리 모듈이 구비된다. However, the conventional financial apparatuses are configured to deposit or withdraw bills and checks through separate inlet / outlet portions. That is, the financial instrument is provided with a bill input / output unit, a bill transfer path, and a bill processing module, a check input / output unit, a check transfer path, and a check processing module.

이와 같은 종래의 금융 기기에 의하면, 지폐와 수표를 별도로 처리하므로, 금융 기기가 복잡하고, 고객이 업무 처리하는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According to such a conventional financial instrument, banknotes and checks are processed separately, which complicates financial instruments and increases the time required for the customer to process the transactions.

특히, 종래의 금융 기기의 경우, 수표를 한 장씩 입금하도록 구성되므로, 수표 입금 시간이 상당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financial instrument, since a check is made to be deposited one by one, there is a problem that a check deposit time is considerably long.

본 발명의 목적은, 지폐와 수표를 단일의 입출부에서 입금하거나 출금할 수 있는 금융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nancial instrument capable of depositing or withdrawing bills and checks from a single input / output uni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번들 단위의 수표를 동시에 입금할 수 있는 금융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nancial instrument capable of simultaneously depositing checks in bundles.

일 측면에 따른 금융 기기는, 지폐와 수표가 공통적으로 입금될 수 있는 매체 입출부; 상기 매체 입출부를 통하여 인입된 지폐 또는 수표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별부; 수표의 입금 처리 전에 수표가 임시 집적되기 위한 수표 임시 집적부; 인입된 수표의 프린팅을 위한 프린팅 장치; 입금된 수표가 저장되기 위한 수표 입금함; 및 입금된 지폐가 저장되기 위한 지폐 보관함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nancial instrument comprising: a media input / output unit in which bills and checks can be commonly deposited; A discrimination unit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bill or the check entered through the medium entry / exit unit; A check temporary accumulation unit for temporarily accumulating checks before depositing the check; A printing device for printing an incoming check; A check deposit for storing the deposited check; And a banknote storage box for storing the deposited banknotes.

다른 측면에 따른 금융 기기는, 지폐와 수표가 공통적으로 출금될 수 있는 매체 입출부; 출금될 지폐 또는 수표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별부; 출금을 위한 수표가 저장되는 수표 보관함; 출금을 위한 지폐가 저장되는 지폐 보관함; 및 상기 수표 보관함에 저장된 수표를 프린팅하기 위한 프린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프린팅 장치에 의해서 프린팅된 수표가 횡방향으로 상기 감별부를 통과하고, 횡방향으로 상기 매체 입출부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nancial device comprising: a media input / output unit in which a bill and a check can be commonly withdrawn; A discrimination unit for detecting a state of a bill or a check to be withdrawn; A check deposit box where checks for withdrawals are stored; A banknote storage bin for storing banknotes for withdrawal; And a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a check stored in the check storage box, wherein the check printed by the printing apparatus passes through the discriminating unit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is transferred to the media input / output unit in the lateral direction.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금융 기기는, 지폐와 수표가 번들 단위로 함께 투입될 수 있고, 지폐와 수표가 번들 단위로 함께 방출될 수 있는 단일의 매체 입출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통장이 입출될 수 있는 통장 입출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카드가 입출될 수 있는 카드 입출부; 상기 매체 입출부의 지폐 및 수표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가림부재; 상기 매체 입출부를 통하여 투입된 지폐 및 수표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감별부;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며, 출금을 위한 지폐가 저장되는 지폐 보관함;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며, 출금을 위한 수표가 저장되는 수표 보관함; 및 출금을 위한 수표 및 상기 매체 입출부로 투입된 입금을 위한 수표의 프린팅을 위한 프린팅 장치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금융 기기는, 지폐와 수표가 번들 단위로 함께 투입될 수 있고, 지폐와 수표가 번들 단위로 함께 방출될 수 있는 단일의 매체 입출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통장이 입출될 수 있는 통장 입출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카드가 입출될 수 있는 카드 입출부; 상기 매체 입출부의 지폐 및 수표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가림부재; 상기 매체 입출부를 통하여 투입된 지폐 및 수표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감별부;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며, 출금을 위한 지폐가 보관될 수 있는 지폐 보관함;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며, 출금을 위한 수표가 보관될 수 있는 수표 보관함; 출금을 위한 수표 및 상기 매체 입출부로 투입된 입금을 위한 수표의 프린팅을 위한 프린팅 장치; 상기 감별부에 의해서 감별 완료된 수표가 일시 집적되는 수표 일시 집적부; 상기 매체 입출부와 상기 감별부를 연결하며, 상기 매체 입출부를 통하여 투입된 지폐와 수표가 공통적으로 이송되는 제1이송부; 및 상기 지폐 보관함과 수표 보관함에서 방출된 출금을 위한 지폐와 수표가 공통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상기 감별부를 지난 입금이 확정된 지폐와 수표가 공통적으로 이송될 수 있는 제2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 입출부로 투입되어 상기 감별부를 1회 지나면서 감별 완료된 수표 중 정상 수표는 상기 수표 일시 집적부로 이송되어 일시 집적되고, 비정상 수표는 상기 매체 입출부로 방출된다.
상기 감별부를 1회 지난 수표는 상기 프린팅 장치에 의한 프린팅 과정 없이 상기 수표 일시 집적부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 기기는, 번들 단위로 투입된 지폐와 수표의 감별이 완료된 상태에서 지폐와 수표의 입금 확정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financial instrumen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single media input / output unit, wherein the bill and check can be input together in bundles, and the bill and check can be discharged together in a bundle unit; A passbook entry / exit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entering and exiting a passbook; A card input / output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inputting / outputting a card; A cover member for opening / closing a banknote of the media input / output unit and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check can be stored; A discrimination unit which can detect the state of the bill and the check inserted through the medium entry / exit unit; A banknote storage box disposed in the main body and storing banknotes for withdrawal; A check box disposed in the main body and storing a check for withdrawal; And a printing device for printing a check for withdrawal and a check for depositing into the media input / output section.
A financial instrumen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single media input / output unit, wherein the bill and check can be input together in bundles, and the bill and check can be discharged together in a bundle unit; A passbook entry / exit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entering and exiting a passbook; A card input / output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inputting / outputting a card; A cover member for opening / closing a banknote of the media input / output unit and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check can be stored; A discrimination unit which can detect the state of the bill and the check inserted through the medium entry / exit unit; A banknote storage box disposed in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storing banknotes for withdrawal; A check box disposed in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storing a check for withdrawal; A printing device for printing a check for withdrawal and a check for depositing into the media input / output section; A check temporary accumulation unit for temporarily accumulating a check that has been discriminated by the discrimination unit; A first conveying unit that connects the media input / output unit and the discrimination unit, and in which a bill inserted through the media input / output unit and a check are commonly transported; And a second conveying unit capable of conveying bills and withdrawals for withdrawal from the banknote storage box and the check deposit box, and a second conveyance unit in which checks can be commonly transferred to the discriminating unit, The normal check of the check which has been inputted to the media entry / exit part and which has been discriminated once after passing through the discrimination part is transferred to the check temporary storage part and temporarily accumulated, and the abnormal check is discharged to the media input / output part.
The check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iscriminating unit once may be transferred to the check temporary accumulation unit without the printing process by the printing apparatus.
The financial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a deposit confirmation command for depositing the banknote and the check in a state in which the discrimination between the banknote and the check inserted in bundles is completed.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단일의 매체 입출부에서 번들 단위의 지폐 및/또는 수표를 입금하거나 출금할 수 있으므로, 입금 또는 출금에 소요되는 시간이 줄어들고 사용자의 편의성도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since a bundle of banknotes and / or checks can be deposited or withdrawn from a single medium input / output unit, the time required for depositing or withdrawing can be reduced and convenience for the user can be improved.

또한, 지폐와 수표가 공통 이송부에 의해서 감별부로 이송될 수 있으므로, 금융 기기 내부의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urther, since the bill and the check can be transferred to the distinguishing section by the common transfer sec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ructure inside the financial apparatus can be simplifi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금융 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금융 기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수표 보관함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금융 기기의 제어 블럭도.
도 5는 수표의 앞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수표의 입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수표의 출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수표가 출금될 때의 수표 보관함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금융 기기의 제어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금융 기기 내에서의 지폐와 수표의 이송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수표의 입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금융 기기의 제어 블럭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수표의 입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금융 기기의 제어 블럭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금융 기기의 제어 블럭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금융 기기 내에서의 지폐 및 수표의 이송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금융 기기의 제어 블럭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금융 기기 내에서의 지폐 및 수표의 이송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nancial instru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nancial instru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of a check depositor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financial instru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of a check;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eck deposit proc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eck withdrawal proc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heck deposit box when a check is withdraw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financial instrum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ransfer process of bills and checks in a financial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eck deposit proces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financial instrumen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eck deposit proces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financial instrumen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financial instrumen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ransfer process of bills and checks in a financial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financial instrumen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ransfer process of bills and checks in a financial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는 일 례로 지폐, 증권(수표를 포함), 지로, 동전,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 처리, 지로 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 및/또는 출금 처리, 지로 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처리와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 업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금융기기의 예로는 현금 방출기 (CD: 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 (Cash Recycling Device) 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금융기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FIS (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 업무를 자동화하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도 있다. A financi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financial device that obtains various media such as banknotes, securities (including checks), giro, coins, gift certificates, etc. and processes and / or withdraws such as deposits, Such as processing such as issuance of paper money, release of paper money, release of gift certificate, and the like. Examples of such financial instruments include an automated teller machine (ATM) such as a cash dispenser (CD), a cash recycling machine, and the like. However, the financial instru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may be various devices for automating the financial business such as FIS (Financial Information System).

이하에서는 금융기기가 금융자동화기기인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가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금융자동화기기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financial instrument is a financial automatic instrument. However, this assumption is on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금융 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금융 기기의 구성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nancial instru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nancial instru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기(1)는,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지폐와 수표를 함께 입금하거나 출금할 수 있는 매체 입출부(13)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a financial device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in which a plurality of parts are embedded. The main body 10 includes a media input / output unit 13 capable of depositing or withdrawing banknotes and checks together.

상기 매체 입출부(13)는, 고객에 의해 접근 가능한 매체 수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공간은 셔텨(Shutter) 또는 커버(cover) 등과 같은 가림부재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으며, 때로는 개폐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매체 입출부(13)에는 다수의 지폐와 다수의 수표가 동시에 투입될 수 있다. 즉, 상기 매체 입출부(13)는 지폐와 수표의 공통 입출부 역할을 하며, 낱장을 포함하는 번들 단위로 지폐 및 수표 중 한 종류 이상을 상기 매체 입출부(13)로 투입할 수 있다. 또한, 번들 단위로 지폐 및 수표 중 한 종류 이상이 상기 매체 입출부(13)로 방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폐와 수표는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매체 입출부(13)에 투입되거나 상기 매체 입출부(13)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폐와 수표의 앞뒤 방향에 무관하게 상기 지폐와 수표를 입금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매체 입출부(13)는 투입된 번들 단위의 지폐 또는 수표를 낱장 씩 분리하는 분리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폐와 수표가 동일한 방향으로 투입 또는 인출된다는 것은 상기 지폐와 수표가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투입 또는 인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방향 및 횡방향의 정의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지폐와 수표의 앞뒤 방향에 무관하다는 것은 상기 지폐와 수표의 앞면 또는 뒷면 중 어느 면이 위쪽을 향하더라도 무관한 것을 의미한다. The media input / output unit 13 includes a media storage space accessible by a customer, and the storage space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closure member such as a shutter or a cover, As shown in Fig. A plurality of banknotes and a plurality of checks may be simultaneously inserted into the media input / That is, the media input / output unit 13 serves as a common input / output unit for bill and check, and can input one or more kinds of banknotes and checks to the media input / output unit 13 in a bundle unit including a single sheet. Further, one or more kinds of banknotes and checks may be discharged to the media input / output unit 13 in units of bundles. The bill and the check may be input to the media input / output unit 13 in the same direction or may be extracted from the media input / output unit 13. Further, the bill and the check can be deposited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the front and back of the bill and the check. Of course, the media input / output unit 13 may include separating means for separating the inputted bundle of banknotes or checks in a sheet-by-sheet manner. Here, the fact that the bill and the check are inserted or extracted in the same direction means that the bill and the check are inserted or extracted in the lateral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Definition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ateral direction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act that the bills and the check are independent of the front and back directions of the check means that the bills and the check surface are irrelevant regardless of whether the front surface or the back surface faces upward.

또한, 상기 금융 기기(1)는 통장의 입출을 위한 통장 입출부(14)와, 카드의 입출을 위한 카드 입출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anking machine 1 may further include a bankbook input / output unit 14 for inputting / outputting a bankbook, and a card input / output unit 15 for inputting / outputting a card.

상기 금융 기기(1)는 감별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별부(20)는 매체를 수납하거나 인출할 때 매체의 종류를 식별하거나, 불량 매체를 판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감별부(20)는 지폐와 수표의 상태를 감별할 수 있다. 상기 매체 입출부(13)와 상기 감별부(20) 사이에는 상기 매체 입출부(13)를 통하여 투입된 지폐와 수표를 공통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1이송부(19)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금융 기기(1)는 매체 보관함(40)에서 방출된 수표와 지폐가 공통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상기 감별부(20)를 지난 입금이 확정된 지폐와 수표와 공통적으로 이송될 수 있는 제2이송부(19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nancial instrument 1 may further include a distinguishing unit 20. The distinguishing unit 20 can identify the type of medium or identify a defective medium when storing or withdrawing the medium.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criminating unit 20 can discriminate between the state of a bill and the state of a check. A first conveying unit 19 for conveying the bill inserted through the media input / output unit 13 and the check is disposed between the media input / output unit 13 and the discrimination unit 20. In addition, the financial instrument 1 may be configured such that checks and bills discharged from the media storage box 40 can be transported in common, and the banknotes can be transported commonly to the discriminating unit 20, And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ransfer unit 19a.

상기 금융 기기(1)는 지폐가 임시로 집적되는 지폐 임시 집적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폐 임시 집적부(30)는 고객이 지폐를 상기 금융 기기(1)에 입금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매체 입출부(13)를 통하여 수납된 지폐를 임시적으로 저장한다. 상기 지폐 임시 집적부(30)에 집적된 지폐는 고객이 지폐 수납을 최종적으로 결정한 때에 후술할 지폐 보관함(41, 42, 43)으로 이송된다. The financial instrument 1 may further include a paper currency temporary accumulation unit 30 in which bank notes are temporarily accumulated. The banknote temporary accumulation unit 30 temporarily stores the banknotes stored through the media input / output unit 13 when the customer intends to deposit banknotes into the financial instrument 1. [ The banknotes accumulated in the banknote temporary accumulation unit 30 are transferred to the banknote storage boxes 41, 42 and 43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customer finally decides to store banknotes.

상기 금융 기기(1)는, 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매체 보관함(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 보관함(40)은, 하나 이상의 지폐 보관함(41, 42, 43)과, 하나 이상의 수표 보관함(4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지폐 보관함(41, 42, 43) 및 수표 보관함(44)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The financial instrument 1 may further include a media storage box 40 for storing media. The media storage 40 may include one or more banknote storage boxes 41, 42, 43 and one or more check storage boxes 44. In this specification, it is noted that the number of the banknote storage boxes 41, 42, 43 and the check storage box 44 is not limited.

상기 지폐 보관함(41, 42, 43)에는, 이송된 지폐가 인입되기 위한 매체입구와, 상기 지폐 보관함(41, 42, 43) 내부에 집적된 지폐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하는 매체 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상기 지폐 보관함(41, 42, 43)의 외관을 구성하는 박스(box)의 상단에 상기 매체입구와 매체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The media bins 41, 42 and 43 are provided with media inlets for receiving the transported bills and media outlets for discharging the bills accumulated in the bins 41, . In general, the media inlet and the media outlet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a box constitut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banknote storage boxes 41, 42 and 43.

또한, 상기 지폐 보관함(41, 42, 43)의 내부에는 상기 지폐 보관함(41, 42, 43)의 외부로부터 이송된 지폐를 나란히 집적되도록 하는 매체 집적수단과, 집적된 지폐를 하나씩 분리하여 상기 지폐 보관함(41, 42, 43)의 외부로 이송하는 매체 픽업수단(Pick-up means)이 함께 구비된다. 즉, 상기 지폐 보관함(41, 42, 43)에 저장된 지폐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입금된 지폐가 상기 지폐 보관함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지폐 보관함(41, 42, 43)의 구체적인 구성은 이미 알려진 구성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지폐 보관함(41, 42, 43)의 구조, 지폐의 배출 가능 여부 및 지폐의 투입 가능 여부는 위에서 설명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In addition, in the inside of the banknote storage boxes 41, 42 and 43, media collecting means for collecting banknotes transferred from the outside of the banknote storage boxes 41, 42 and 43 side by side, And a pick-up means for transferring the media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boxes 41, 42 and 43. That is, the banknotes stored in the banknote storage boxes 41, 42 and 43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deposited banknotes can be stored in the banknote storage box. Specific configurations of the banknote storage boxes 41, 42, and 43 may be implemented with known configurations. In this specification, it is noted that the structure of the banknote storage boxes 41, 42 and 43, whether the banknotes can be discharged and whether or not the banknotes can be deposited are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상기 지폐 보관함(40)은 중력 방향으로 매체가 집적될 수 있도록 중력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금융 기기(1)의 내부에서 하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금융 기기(1)에 복수의 지폐 보관함(41, 42, 43)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지폐 보관함(41, 42, 43)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복수의 지폐 보관함(41, 42, 43)이 수직 방향으로도 배치될 수 있다. The banknote storage box 40 may be formed to be lo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avity direction so that the medium can be accumulated in the gravitational direction and may be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financial device 1. [ When a plurality of banknote storage boxes 41, 42 and 43 are provided in the financial instrument 1, a plurality of banknote storage boxes 41, 42 and 43 may b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s another example, the plurality of banknote storage boxes 41, 42 and 43 may b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수표 보관함(44)은 상기 복수의 지폐 보관함(41, 42, 43)과 함께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수표 보관함(44)은 상기 복수의 지폐 보관함(41, 42, 43)과 함께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수표 보관함(44)에는 출금을 위한 수표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수표 보관함(44)의 구조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지폐와 수표를 함께 출금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지폐 보관함(41, 42, 43)에서 지폐가 방출되고 상기 수표 보관함(44)에서 수표가 방출된 후, 방출된 지폐 및 수표가 상기 제2이송부(19a)를 지난 후에 상기 매체 입출부로 이송된다.
The check deposit box 44 may be disposed horizontally with the plurality of banknote storage boxes 41, 42 and 43. As another example, the check deposit box 44 may be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gether with the plurality of banknote storage boxes 41, 42, and 43. The check deposit box 44 may store a check for withdrawal. The structure of the check deposit box 44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process of withdrawing the banknotes and the check together, after the banknotes are discharged from the banknote storage boxes 41, 42 and 43 and the check is discharged from the check storage box 44, the discharged banknotes and checks are transferred to the second transferring unit 19a And then transferred to the media input / output unit.

상기 금융 기기(1)는 수표 입금함(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표 입금함(54)에는 정상적으로 입금된 수표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수표 입금함(54)과 상기 수표 보관함(44)는 분리된 별도의 모듈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수표 입금함(54)과 상기 수표 보관함(44)이 단일의 보관함 내에 구비되고, 다만, 단일의 보관함 내부의 공간이 입금을 위한 수표가 저장되는 공간(수표 입금부라고도 할 수 있음)과 출금을 위한 수표가 저장되는 공간(수표 출금부라고도 할 수 있음)으로 구획될 수 있다. The financial instrument 1 may further include a check deposit box 54. The checks deposited in the check deposit box 54 may be stored normally. The check deposit box 54 and the check deposit box 44 may be separate separate modules. As another example, the check deposit box 54 and the check deposit box 44 are provided in a single storage box, but a space inside a single storage box is a space in which a check for depositing is stored And a space in which a check for withdrawal is stored (which may be referred to as a check withdrawal portion).

상기 금융 기기(1)는, 입금 과정에서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는 지폐 또는 수표가 저장되는 제1회수함(50)과, 출금 과정에서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는 지폐 또는 수표가 저장되는 제2회수함(52)과, 회수 보충함(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수함(52) 및 상기 제2회수함(52)은 각각 다수 개로 구비되어, 수표 회수함과 지폐 회수함으로 각각 사용될 수 있다. The banknote 1 includes a first collection box 50 in which a banknote or check determined to be defective in the depositing process is stored and a second collection box 50 in which a banknote or check determined to be defective in the withdrawal process is stored 52), and a collecting replenishment (60). The first collecting box 52 and the second collecting box 52 are provided in a plurality of numbers, respectively, and can be used as a check collecting box and a paper money collecting box, respectively.

상기 회수 보충함(60)은 지폐 또는 수표를 상기 지폐 보관함(41, 42, 43) 또는 수표 보관함(44)에 보충하거나, 상기 지폐 보관함(41, 42, 43) 또는 수표 보관함(44)으로부터 지폐 또는 수표를 회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금융 기기(1)는 출금을 위하여 상기 매체 입출부(13)로 방출된 매체를 고객이 미수취한 경우에 미수취 매체가 회수되는 제3회수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covery replenishment unit 60 replenishes paper money or checks to the paper currency storage boxes 41, 42 and 43 or the check storage box 44 or replaces the paper currency notes or check from the paper currency storage boxes 41, 42 and 43 or the check storage box 44, Or withdraw the check. Alternatively, the financial instrument 1 may further include a third collection box (not shown) in which the non-receiving medium is collected when the customer has taken the medium discharged to the media input / output unit 13 for withdrawal .

본 발명의 금융 기기(1)에서, 상기 회수함(51, 52) 및 회수 보충함(60)은 생략 가능하다. 또한, 상기 회수함(51, 52) 및 회수 보충함(60)의 개수에도 제한이 없다. In the financial instru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lection boxes 51 and 52 and the collection box 60 may be omitted. Further,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number of the collection boxes 51, 52 and the collection box 60.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수표 보관함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heck deposit box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수표 보관함(44)에는 입금을 위한 수표(M1)가 임시 집적되고, 출금을 위한 수표(M2)가 저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수표 보관함(44)은 수표 임시 집적부의 기능을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3, a check M1 for depositing is temporarily accumulated in the check deposit box 44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heck M2 for withdrawal can be stored. That is, the check deposit box 44 functions as a check temporary accumulation unit.

상기 수표 보관함(44)은, 수표의 프린팅(printing)을 위한 프린팅 장치(Printing apparatus: 100)와, 수표의 이송을 위한 이송 롤러(roller: 112)와, 임시 집적된 수표(M1) 또는 출금을 위한 수표(M2)를 픽업하여 방출하기 위한 픽업 롤러(Pick-up roller: 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표 보관함(44)은, 출금을 위한 수표(M2)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부(121)와, 입금을 위한 수표(M1)를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heck deposit box 44 includes a printing apparatus 100 for printing checks, a conveying roller 112 for conveying checks, a temporary integrated check M1, And a pick-up roller 110 for picking up and discharging the check M2. The check deposit box 44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upport portion 121 for supporting the check M2 for withdrawal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122 for supporting the check M1 for deposit have.

상기 제1지지부(121)와 상기 제2지지부(122) 사이에 출금을 위한 수표(M2)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부(122)의 상측에 입금을 위한 수표(M1)가 놓일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121)와 상기 제2지지부(122)는 독립적인 구동부 들에 의해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1지지부(121)는 구동부에 의해서 상하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제2지지부(122)는 탄성 부재(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2지지부(122)가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탄성력을 상기 제2지지부(122)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지지부(122)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2지지부(122)는 도 3과 같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제1지지부(121)가 상승하면, 상기 제1지지부(121)의 상승력이 출금을 위한 수표(M2)에 의해서 상기 제2지지부(122)로 전달되어 상기 제2지지부(122)가 상승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2지지부(122)는 상기 픽업 롤러(110)과 간섭되지 않고, 후술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픽업 롤러(110)의 최저점 보다 높은 위치로 상승할 수 있다. A check M2 for withdrawal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ortion 121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2. A check M1 for deposit may be placed above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2. [ The first support part 121 and the second support part 122 can be moved up and down by independent driving parts.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support part 121 can be moved up and down by a driving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122 can be connected to an elastic member (not shown). The elastic member may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2 to move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2 downward. In this case,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122 can maintain the state as shown in FIG. 3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122, and when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121 rises, The lifting force of the supporting portion 121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122 by the check M2 for withdrawal so that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122 is raised. At this time,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2 can be raised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lowest point of the pick-up roller 110 as shown in FIG. 8,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pick-up roller 110.

물론, 상기 제2지지부(122)가 구동부에 의해서 동작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2지지부(122)는 상기 픽업 롤러(110)의 최저점 보다 높은 위치로 상승할 수 있다. Of course, even when the second support part 122 is operated by the driving part, the second support part 122 can be elevated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lowest point of the pick-up roller 110.

본 실시 예서 상기 수표 보관함(44) 내에서의 입금을 위한 수표와 출금을 위한 수표가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는 한 위에서 설명한 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As long as the check for depositing in the check deposit box 44 and the check for withdrawal can be separately stor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various structures may be applied.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수표 보관함(44)에 입금을 위한 수표가 임시 집적되므로, 별도의 수표 임시 집적부가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물론, 상기 수표 보관함(44)과 별도로 수표 임시 집적부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check for deposit is temporarily accumulated in the check deposit box 44, there is a merit that a separate check temporary deposit is unnecessary.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check temporary accumulation unit separately from the check storage box 44. [

상기 프린팅 장치(100)는 수표의 제1면을 프린팅하기 위한 제1프린팅 모듈(101: Printing module)과, 수표의 제2면을 프린팅하기 위한 제2프린팅 모듈(10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수표의 앞뒤 방향에 제한이 없이 수표를 입금하더라도, 인쇄가 필요한 수표의 특정 면에 프린팅을 할 수 있게 된다. The print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first printing module 101 for printing a first side of the check and a second printing module 102 for printing a second side of the check. Therefore, printing can be performed on a specific surface of a check requiring printing even if the check is deposited without limitation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check.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금융 기기의 제어 블럭도이다. 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financial instru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금융 기기는, 감별부(20)와, 제1프린팅 모듈(101) 및 제2프린팅 모듈(102)과, 상기 이송롤러(112)를 구동시키기 위한 이송롤러 구동부(113)와, 상기 수표 보관함(44) 내에서의 수표의 이송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수표 이송 감지부(114)와, 제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2 to 4, the financi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crimination unit 20, a first printing module 101 and a second printing module 102, And a control unit 70. 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conveyance roller driving unit 113 to drive the check conveying unit 112 to convey the check.

상기 감별부(20)는 매체의 제1면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제1상태 감지부(21)와, 매체의 제2면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제2상태 감지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상태 감지부(21) 및 상기 제2상태 감지부(22) 각각은 일 례로 광학식 문자 판독기(OCR: Optical character reader)일 수 있다. 상기 제1상태 감지부(21)는 매체의 이송 경로의 일 측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2상태 감지부(22)는 매체의 이송 경로의 타 측방에 위치한다. 상기 각 상태 감지부(21, 22)에서 감지된 정보는 상기 제어부(70)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부(70)는 지폐 또는 수표의 구분과 함께 지폐 또는 수표의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매체의 상태는, 매체의 종류, 매체의 금액, 매체의 앞/뒤 방향, 진권/위권 여부, 매체에 인쇄된 문자 또는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crimination unit 20 includes a first state sensing unit 21 for sensing the state of the first surface of the medium and a second state sensing unit 22 for sensing the state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medium . Each of the first state sensing unit 21 and the second state sensing unit 22 may be an optical character reader (OCR), for example. The first state sensing part 21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conveyance path of the medium and the second state sensing part 22 is positioned at the other side of the conveyance path of the medium. The information sensed by each of the state sensing units 21 and 22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70. The controller 70 determines the state of the banknote or check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of the banknote or check. In this specification, the state of the medium may include a type of medium, an amount of the medium, forward / backward direction of the medium, whether the medium is right or wrong, a character or image printed on the medium,

상기 제1프린팅 모듈(101)은, 프린팅을 위한 제1헤드(104: head)와, 상기 제1헤드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1헤드 이송부(103)를 포함한다. 상기 제2프린팅 모듈(102)은 프린팅을 위한 제2헤드(106)와, 상기 제2헤드(106)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2헤드 이송부(105)를 포함한다. 상기 제1헤드 및 상기 제2헤드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printing module 101 includes a first head 104 for printing and a first head conveying portion 103 for conveying the first head. The second printing module 102 includes a second head 106 for printing and a second head transfer part 105 for transferring the second head 106. A plurality of the first head and the second head may be provided.

상기 수표 이송 감지부(114)는 상기 수표 보관함(44) 내의 수표의 이송 위치를 감지한다. 상기 수표 이송 감지부(114)에서 수표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이송롤러 구동부(113)가 정지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수표가 정지하게 된다. 상기 수표의 일부분이 상기 제1프린팅 모듈(101)과 제2프린팅 모듈(102) 사이에 위치할 때에 상기 수표가 정지될 수 있다. The check conveyance sensing unit 114 senses the conveying position of the check in the check deposit box 44. [ When the check is sensed by the check conveyance sensing unit 114, the conveyance roller driving unit 113 is stopped and the check is stopped as a result. The check may be stopped when a portion of the check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printing module 101 and the second printing module 102.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수표가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헤드(104) 또는 상기 제2헤드(106)가 이송되면서, 프린팅을 수행하게 된다. 수표에 대한 상기 헤드의 이송 방향은 후술하기로 한다. In this embodiment, printing is performed while the first head 104 or the second head 106 is transported while the check is stopped.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head with respect to the check will be described later.

도 5는 수표의 앞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ure 5 is a front view of a check.

도 5에서는 본 명세서의 이해를 위하여 수표의 특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서는 수표의 형태를 보여주나 수표의 기본적인 형태에 대한 설명은 지폐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5, the features of the check will be described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ure 5 shows the form of the check, but the description of the basic form of the check applies equally to banknotes.

도 5를 참조하면, 매체, 일 례로 수표는 평행한 한 쌍의 제1변(X)과, 한 쌍의 제1변(X)과 수직하며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제2변(Y)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제1변(X)의 길이는 상기 한 쌍의 제2변(Y)의 길이보다 길다. 5, the check, for example, includes a pair of parallel first sides X and a pair of second sides Y perpendicular to the pair of first sides X and parallel to each other . The length of the pair of first sides (X)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pair of second sides (Y).

본 명세서에서 방향성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definition of the direction is as follows.

한 쌍의 제2변(Y)과 나란한 방향을 횡방향이라고 하고(화살표 S1 참조), 한 쌍의 제1변(X)과 나란한 방향을 종방향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수표 또는 지폐가 한 쌍의 제1변(X)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송되거나 또는 투입되는 경우를 종방향 이송 또는 종방향 투입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수표 또는 지폐가 한 쌍의 제2변(Y)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송 또는 투입되는 경우를 횡방향 이송 또는 횡방향 투입이라고 할 수 있다.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pair of second sides Y is referred to as a lateral direction (see arrow S1), and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pair of first sides X is referred to as a longitudinal direction. For example, a case in which a check or banknote is convey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pair of first sides X or inserted is referred to as a longitudinal conveyance or a longitudinal conveyan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check or banknote is fed or f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air of second sides (Y), it can be referred to as a lateral directional feed or a lateral directional feed.

본 명세서에서 종방향 및 횡방향은 수표를 기준으로 다른 부재가 움직일 때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린팅을 위한 헤드가 수표를 기준으로 한 쌍의 제1변(X)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송되는 경우를 상기 헤드가 수표에 대해서 종방향으로 이송한다고 할 수 있고, 한 쌍의 제2변(Y)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송되는 경우를 상기 헤드가 횡방향으로 이송한다고 할 수 있다.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herein are equally applicable when other members are moved relative to the check. For example, it can be said that the head transpor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heck when the head for printing is transpor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pair of first sides (X) with respect to the check, It can be said that the head is transported in the lateral direction when it is transported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side Y. [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는 수표와 지폐가 횡방향으로 상기 매체 입출부(13)로 투입될 수 있으며, 횡방향으로 상기 감별부(20)로 이송될 수 있다.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and banknotes may be fed into the media input / output section 13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may be transported to the discriminating section 20 in the lateral direction.

한편, 상기 수표의 앞면에는 상기 수표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 정보(A2)를 포함한다. 상기 고유 정보(A2)는 상기 감별부(20)에 의해서 인식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ront surface of the check includes unique information (A2) for identifying the check. The unique information (A2) can be recognized by the discriminating unit (20).

상기 수표가 상기 금융 기기(1)로 입금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표는 발행일 정보(A1)를 포함한다. 수표가 상기 금융 기기(1)에서 출금될 경우 상기 수표의 앞면에는 상기 프린팅 장치(100)에 의해서 발행 일이 인쇄된다. When the check is deposited in the financial instrument 1, the check includes the issue date information A1. When the check is withdrawn from the financial instrument 1, the date of issue is printed by the printing apparatus 100 on the front side of the check.

상기 수표가 상기 금융 기기(1)로 입금되는 경우에는 도시되지는 않으나, 상기 수표의 뒷면에 입금 확인을 위한 정보가 프린팅된다. When the check is deposited in the financial instrument 1, information for confirming the deposit is printed on the back of the check, though it is not shown.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수표의 입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eck deposit proc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수표의 입금 처리를 위하여 수표가 횡방향으로 입금된다(S1).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표는 낱장을 포함하는 번들 단위로 투입될 수 있고, 지폐와 함께 투입될 수 있다. 또는 지폐 만이 낱장을 포함하는 번들 단위로 투입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일 례로 수표의 입금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며, 지폐의 입금 과정은 공지된 종래의 과정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S. 2, 4 and 6, a check is deposited in the lateral direction for depositing a check (S1). As described above, the check can be input in a bundle unit including a sheet, and can be input with the bill. Or only a bill can be put in bundle units including a single sheet. In FIG. 6, for example, the process of depositing a check is described, and the process of depositing a bill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a known conventional process,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수표가 입금된 후에는 수표가 횡방향으로 상기 감별부(20)로 이송된다. 상기 감별부(20)에서는 입금된 수표의 상태가 감지된다(S2). After the check is deposited, the check is transferred to the discriminating portion 20 in the lateral direction. In the discrimination unit 20, the state of the deposited check is sensed (S2).

그 다음, 상기 제어부(70)에서는 입금된 수표가 정상 상태인지 여부가 판단된다(S3). 만약, 입금된 수표가 정상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수표가 수표 임시 집적부 즉, 상기 수표 보관함(44)에 임시 접적된다(S4). 반면, 입금된 수표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매체 입출부(13)로 수표가 방출된다(S6). Next, the control unit 70 determines whether the deposited checks are in a normal state (S3). If the deposited check is in a normal state, the check is temporarily attached to the check temporary storage unit, that is, the check depository 44 (S4). On the other hand, if the deposited check is in an abnormal state, the check is released to the media input / output unit 13 (S6).

그 다음, 고객에 의해서 수표의 입금 확정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5). 단계 S5에서 입금 취소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수표 보관함(44)에 임시 집적된 수표가 상기 매체 입출부(13)로 방출된다(S6). 이때, 입금 확정 명령 또는 입금 취소 명령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Then, it is judged whether or not a deposit confirmation command of the check has been inputted by the customer (S5). If a deposit cancel command is input in step S5, the check accumulated in the check deposit box 44 is discharged to the media input / output unit 13 (S6). At this time, the deposit settlement command or deposit cancel command can be input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단계 S5에서, 수표의 입금 확정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표 보관함(44)의 수표가 프린팅 위치로 이송된 후에 정지된다(S7). 상세히, 상기 수표 보관함(44)에 임시 집적된 수표는 상기 픽업 롤러(110) 및 상기 이송 롤러(112)에 의해서 상기 제1프린팅 모듈(101)과 상기 제2프린팅 모듈(102) 사이에 이송되고, 상기 수표 이송 감지부(114)가 상기 수표를 감지하면, 상기 수표는 정지하게 한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 that a confirmation command for depositing a check has been input, the check in the check deposit box 44 is stopped after being transferred to the printing position (S7). In detail, the check temporarily accumulated in the check deposit box 44 is transferred between the first printing module 101 and the second printing module 102 by the pick-up roller 110 and the conveying roller 112 , And when the check conveyance sensing unit 114 senses the check, the check is stopped.

그 다음, 상기 수표가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프린팅 장치(100)가 이동하면서 프린팅을 수행한다(S8). 수표를 입금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표의 뒷면에 프린팅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상기 수표의 뒷면과 마주보는 프린팅 모듈의 헤드가 헤드 이송부에 의해서 이송되면서 프린팅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수표의 뒷면과 마주보는 헤드는 상기 수표에 대해서 종방향으로 이송하면서 프린팅을 수행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수표의 프린팅 방향은 상기 헤드가 이송하는 방향인 종방향이고, 상기 수표가 상기 프린팅 장치로 이송되는 방향은 횡방향이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수표의 이송 방향과 상기 프린팅 장치에 의해서 프린팅 방향은 교차되는 것을 이해될 수 있다. Then, in a state where the check is stopped, the printing apparatus 100 moves and performs printing (S8). In the case of depositing a check, the printing is per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check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head of the printing module facing the back side of the check is conveyed by the head conveyance unit to perform printing. At this time, the head facing the back side of the check is convey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heck to perform printing. In this embodiment, the printing direction of the check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the head is conveyed,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check is conveyed to the printing apparatus is the lateral direction.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heck and the printing direction are crossed by the printing apparatus.

프린팅이 완료되면, 수표는 상기 감별부(20)를 재차 지나게 된다. 상기 감별부(20)는 프린팅된 수표의 상태를 감지한다(S9). 그리고, 상기 제어부(70)에서는 정상적으로 수표가 프린팅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10). 만약, 수표의 프린팅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표는 수표 입금함(54)에 저장된다(S11). 반면, 수표의 프린팅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표는 입금 회수함(제1회수함: 50)으로 이송된다(S12). When the printing is completed, the check passes again to the discrimination unit 20. [ The discrimination unit 20 senses the state of the printed check (S9). Then, the control unit 70 determines whether a check is normally printed (S10). If it is determined that printing of the check has been normally performed, the check is stored in the check deposit box 54 (S11).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printing of the check has not been normally performed, the check is transferred to the deposit and withdrawal box (first withdrawal box 50) (S12).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수표의 출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수표가 출금될 때의 수표 보관함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FIG. 7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check withdrawal proc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heck deposit box when a check is withdraw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수표의 출금을 위하여 수표 출금 명령이 입력된다(S21). 수표 출금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지지부(121)와 상기 제2지지부(122)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제2지지부(122)는 상기 픽업 롤러(110)의 최저점 보다 높은 위치로 상승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픽업 롤러(110)에 의해서 출금을 위한 수표(M2)가 픽업되고, 상기 이송 롤러(112)에 의해서 픽업된 수표가 이송된다. 7 and 8, a check withdrawal command is input for withdrawing a check (S21). When the check withdrawal command is input, the first support portion 121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2 are raised.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2 is raised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lowest point of the pick-up roller 110. In this state, the check M2 for withdrawal is picked up by the pick-up roller 110, and the pick-up picked up by the conveying roller 112 is conveyed.

상기 출금을 위한 수표가 상기 제1프린팅 모듈(101)과 제2프린팅 모듈(102) 사이로 이송되면, 상기 수표 이송 감지부(114)는 상기 수표를 감지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이송롤러 구동부(113)가 정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수표가 정지하게 된다. When the check for withdrawal is transferred between the first printing module 101 and the second printing module 102, the check conveyance sensing unit 114 senses the check. Then, the conveying roller driving unit 113 stops and the check is stopped accordingly.

그 다음, 상기 수표가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프린팅 장치(100)가 이동하면서 프린팅을 수행한다(S22). 수표를 출금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표의 앞면에 프린팅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상기 수표의 앞면과 마주보는 프린팅 모듈의 헤드가 헤드 이송부에 의해서 이송되면서 프린팅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수표의 앞면과 마주보는 헤드는 상기 수표에 대해서 종방향으로 이송하면서 프린팅을 수행하게 된다. Then, in a state where the check is stopped, the printing apparatus 100 moves and performs printing (S22). In the case of withdrawing a check, printing must be per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check, as described above, so that printing is performed while the head of the printing module facing the front side of the check is conveyed by the head conveying portion. At this time, the head facing the front surface of the check is convey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heck to perform printing.

프린팅이 완료되면, 수표는 상기 감별부(20)를 재차 지나게 된다. 상기 감별부(20)는 프린팅된 수표의 상태를 감지한다(S23). 그리고, 상기 제어부(70)에서는 정상적으로 수표가 프린팅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24). 만약, 수표의 프린팅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표는 출금을 위하여 상기 매체 입출부(13)로 이송된다. 반면, 수표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표는 출금 회수함(제2회수함: 52)으로 이송된다(S26). 상기 수표가 상기 출금 회수함으로 이송되는 경우 외부로 이상 상태 정보가 알려질 수 있다(S27).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표시부 또는 알림부에서 이상 상태 정보가 음성 또는 텍스트 등으로 알려질 수 있다. When the printing is completed, the check passes again to the discrimination unit 20. [ The discrimination unit 20 senses the state of the printed check (S23). Then, the control unit 70 determines whether a check is normally printed (S24). If it is determined that printing of the check has been normally performed, the check is transferred to the media input / output unit 13 for withdrawal.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heck has not been normally performed, the check is transferred to the withdrawal withdrawal box (second withdrawal box 52) (S26). If the check is transferred to the cash drawer, the abnormal state information may be informed to the outside (S27). For example, the abnormal state information may be known as voice, text, or the like in a display unit or a notification unit, not shown.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단일의 매체 입출부에서 번들 단위의 지폐 및/또는 수표를 입금하거나 출금할 수 있으므로, 입금 또는 출금에 소요되는 시간이 줄어들고 사용자의 편의성도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a single medium input / output unit can deposit or withdraw banknotes and / or checks in bundles, the time required for depositing or withdrawing can be reduced and convenience for the user can be improved.

또한, 지폐와 수표가 공통 이송부에 의해서 감별부로 이송될 수 있으므로, 금융 기기 내부의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urther, since the bill and the check can be transferred to the distinguishing section by the common transfer sec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ructure inside the financial apparatus can be simplified.

또한, 프린팅 장치가 수표 보관함에 배치되고, 입금을 위한 수표가 수표 보관함에 임시로 집적됨에 따라, 금융 기기 내부의 공간 활용도가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Al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pace utilization inside the financial apparatus is increased as the printing apparatus is disposed in the check deposit box and the check for deposit is temporarily accumulated in the check deposit box.

또한, 감별부로서 광학식 문자 판독기가 사용되므로, 지폐와 수표가 횡방향으로 이송되어도 지폐 및 수표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고, 프린팅 모듈을 구성하는 헤드가 헤드 이송부에 의해서 이송될 수 있으므로, 횡방향 이송되는 수표의 프린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Further, since the optical character reader is used as the discriminating portion, the state of the bill and the check can be detected even if the bill and the check are conveye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head constituting the printing module can be conveyed by the head conveyance por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printing of a check can be carried out.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금융 기기의 제어 블럭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금융 기기 내에서의 지폐와 수표의 이송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9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financial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ferring a bill and a check in the financial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금융 기기는, 지폐 및 수표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제1상태 감지부(21) 및 제2상태 감지부(22)와, 상기 각 상태 감지부(21, 22)를 지난 지폐의 이송을 위한 지폐 이송부(230)와, 상기 각 상태 감지부(21, 22)를 지난 수표의 이송을 위한 수표 이송부(240)와, 수표가 임시 집적되기 위한 수표 임시 집적부(250)와, 수표의 프린팅을 위한 제1프린팅 모듈(220) 및 제2프린팅 모듈(222)과, 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9 and 10, the financi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ate detecting unit 21 and a second state detecting unit 22 for detecting the state of a bill and a check, A check transferring unit 240 for transferring the checks past the respective state sensing units 21 and 22 and a check transferring unit 240 for transferring the checks past the state sensing units 21 and 22, A check temporary accumulation unit 250 for temporary accumulation, a first printing module 220 and a second printing module 222 for printing a check, and a control unit 200.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상태 감지부(21) 및 상기 제2상태 감지부(22)는 제1실시 예와 같이 광학식 문자 판독기일 수 있다. 상기 상태 감지부(21, 22)에 대한 설명은 제1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state sensing unit 21 and the second state sensing unit 22 may be optical character readers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description of the status sensing units 21 and 22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상기 프린팅 모듈(220, 222)는 제1실시 예의 프린팅 모듈과 달리 고정형이다. 즉, 상기 프린팅 모듈(220, 222)은 수표의 프린팅 과정에서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고, 수표가 이송되면서 프린팅이 수행된다. Unlike the printing modul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printing modules 220 and 222 are fixed. That is, the printing modules 220 and 222 remain in a stopped state during the check printing process, and printing is performed while the check is transferred.

상기 프린팅 모듈(220, 222) 각각은 복수의 헤드(223, 22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복수의 헤드에 의해서 수표의 앞/뒤 방향에 상관없이 수표를 처리할 수 있다. 즉, 프린팅이 필요한 위치에 수표의 프린팅이 가능하게 된다. Each of the printing modules 220 and 222 may include a plurality of heads 223 and 224.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 check can be processed regardless of the front / back direction of the check by a plurality of heads. That is, it is possible to print a check at a position where printing is required.

상기 지폐 이송부(230)는 횡방향으로 상기 상태 감지부(21, 22)를 지난 지폐(M3)가 횡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반면, 상기 수표 이송부(240)는 횡방향으로 상기 상태 감지부(21, 22)를 지난 수표(M1)의 방향을 전환시켜 종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수표 이송부(240)에 의해서 상기 수표의 이송 방향 전환은 상기 프린팅 모듈(220, 222)의 상류에서 수행된다. The banknote conveying part 230 allows the banknote M3 passing through the state sensing parts 21 and 22 to be transversely transferred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other hand, the check transferring unit 240 is adapted to transfer the check M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switching the direction of the check M 1 passing through the state sensing units 21 and 22 in the later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check transferring direction of the check is performed by the check transferring unit 240 on the upstream side of the printing module 220, 222.

상기 수표 임시 집적부(250)는 상기 프린팅 모듈(220, 222)의 상류에 위치하거나 하류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류는 이송 경로를 기준으로 특정 구성요소 이전의 경로를 의미하고, 하류는 특정 구성요소 이후의 경로를 의미한다. The check temporary accumulation unit 250 may be located upstream or downstream of the printing module 220, 22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stream means a path before a specific component on the basis of the conveyance path, and the downstream means a path after a specific component.

그리고, 상기 수표 임시 집적부(250)는 제1실시 예의 수표 보관함(44) 내부에 위치되거나 외부에 별도의 모듈로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프린팅 모듈(220, 222)은 제1실시 예의 수표 보관함(44) 내부에 위치되거나 외부에 별도의 모듈로 위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표 임시 집적부(250)가 별도의 모듈로 구비되고, 상기 수표 임시 집적부(250)에 상기 프린팅 모듈(220, 222)이 구비될 수 있다. The check temporary accumulation unit 250 may be located inside the check deposit box 44 of the first embodiment or may be disposed as a separate module on the outside. The printing modules 220 and 222 may be located inside the check deposit box 44 of the first embodiment or may be disposed as separate modules on the outside. Alternatively, the check temporary accumulation unit 250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module, and the check temporary accumulation unit 250 may include the printing modules 220 and 222.

상기 수표는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상기 수표 임시 집적부(250)에 집적될 수 있다. 상기 수표가 횡방향으로 상기 수표 임시 집적부(250)에 집적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표 임시 집적부(250)와 상기 프린팅 모듈(220, 222)의 사에 경로에서 상기 수표 이송부(240)에 의해서 수표의 이송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The checks may be integrated in the check temporary accumulation unit 250 in the transverse or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check is integrated in the check temporary accumulating unit 250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check temporary accumulating unit 250 and the printing module 220 or 222 are checked by the check conveying unit 240 Can be switched.

상기 수표가 종방향으로 상기 수표 임시 집적부(250)에 집적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표가 상기 수표 임시 집적부(250)에 집적되기 전에 이송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If the checks are integrated in the check temporary accumulation unit 2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veyance direction can be switched before the checks are integrated into the check temporary accumulation unit 250.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수표 이송부(240)에 의해서 수표의 이송 방향이 전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수표(M1)는 상기 수표 입금함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투입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수표 이송부(240)에 의해서 수표의 이송 방향 전환은 복수 회 가능할 수 있다. 일 례로, 입금을 위한 수표가 횡방향으로 입금된 후에 종방향으로 이송되면서 프린팅되고, 프린팅이 완료되면 횡방향으로 방향 전환되어 수표 입금함에 횡방향으로 투입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heck transport direction can be switched by the check transferring unit 240, so that the check Ml can be inserted in the check deposit box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heck transporting direction can be switched plural times by the check transporting unit 240. For example, a check for depositing may be printed while being transpo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fter being deposi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may be transversely shifted in the lateral direction when the printing is completed, to be inserted laterally into the check depository.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수표의 입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heck deposit proces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수표의 입금 처리를 위하여 수표가 횡방향으로 입금된다(S31). 도 11에서는 일 례로 수표의 입금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며, 지폐의 입금 과정은 공지된 종래의 과정과 동일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11, a check is deposited in the lateral direction to deposit the check (S31). In FIG. 11, for example, the process of depositing a check will be described, and the process of depositing the banknote can be the same as that of a known conventional process,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1에서는 일 례로 수표 임시 집적부에서 프린팅 모듈로 수표가 이송될 때 수표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이 설명된다. In Fig. 11, for example, it is explained that the check is redirected when the check is transferred from the check temporary accumulation unit to the printing module.

수표가 입금된 후에는 수표가 횡방향으로 상기 상태 감지부(21, 22)로 이송된다. 상기 상태 감지부(21, 22)에서는 입금된 수표의 상태가 감지된다(S32). After the check is deposited, the check is conveyed to the state sensing portions 21 and 22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state detection unit (21, 22) detects the state of the deposited check (S32).

그 다음, 상기 제어부(200)에서는 입금된 수표가 정상 상태인지 여부가 판단된다(S33). 만약, 입금된 수표가 정상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수표가 상기 수표 임시 집적부(250)에 임시 집적된다(S34). 반면, 입금된 수표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매체 입출부(13)로 수표가 방출된다(S36). Then, the control unit 200 determines whether the deposited check is in a normal state (S33). If the deposited check is in a normal state, the check is temporarily accumulated in the check temporary accumulation unit 250 (S34). On the other hand, when the deposited check is in an abnormal state, the check is released to the media input / output unit 13 (S36).

그 다음, 고객에 의해서 수표의 입금 확정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35). 단계 S35에서 입금 취소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수표 임시 집적부(250)에 임시 집적된 수표가 상기 매체 입출부(13)로 방출된다(S36). Then, it is judged whether or not a deposit confirmation command of the check has been inputted by the customer (S35). If a deposit cancel command is input in step S35, the check temporarily accumulated in the check temporary accumulation unit 250 is discharged to the media input / output unit 13 (S36).

단계 S35에서, 수표의 입금 확정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표 임시 집적부(250)에 집적된 수표가 상기 수표 이송부(240)에 의해서 방향 전환되어 종방향으로 상기 프린팅 모듈(220, 222)로 이송된다(S37). 그리고, 수표가 종방향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프린팅 모듈(220, 222)에 의해서 수표의 프린팅이 수행된다(S38). The check accumulated in the check temporary accumulating unit 250 is redirected by the check transferring unit 240 to be transferred to the printing module 220 or 2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37). Then,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check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inting of the check is performed by the printing modules 220 and 222 (S38).

수표를 입금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표의 뒷면에 프린팅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상기 수표의 뒷면과 마주보는 프린팅 모듈의 헤드에 의해서 수표의 프린팅이 수행된다. In the case of depositing a check, printing must be per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check as described above, so printing of the check is performed by the head of the printing module facing the back side of the check.

프린팅이 완료되면, 수표는 상기 상태 감지부(21, 22)를 재차 지나게 된다. 상기 상태 감지부(21, 22)는 프린팅된 수표의 상태를 감지한다(S39).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에서는 정상적으로 수표가 프린팅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40). 만약, 수표의 프린팅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표는 수표 입금함(54)에 저장된다(S41). 반면, 수표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표는 입금 회수함(제1회수함: 50)으로 이송된다(S42). When the printing is completed, the check passes again through the status sensing units 21 and 22. [ The state detecting units 21 and 22 detect the state of the printed check (S39). In step S40, the control unit 200 determines whether a check has been normally printed. If it is determined that printing of the check has been normally performed, the check is stored in the check deposit box 54 (S41).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heck has not been normally performed, the check is transferred to the deposit and withdrawal box (first withdrawal box 50) (S42).

이 때, 프린팅이 완료된 수표는 방향 전환되어 횡방향으로 상기 수표 입금함(54) 또는 입금 회수함으로 이송되거나, 종방향으로 상기 수표 입금함(54) 또는 입금 회수함으로 이송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rinted check may be redirected and transferred in the lateral direction to the check deposit box 54 or the deposit / withdrawal box, or to the check deposit box 54 or the deposit / withdrawal box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수표 이송부에 의해서 횡방향으로 이송되는 수표가 종방향으로 방향 전환되어 프린팅 모듈을 지나므로, 상기 프린팅 모듈이 고정된 상태에서도 상기 수표의 인쇄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check conveyed in the lateral direction by the check conveyance unit is div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asses the printing modu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heck can be printed even when the printing module is fixed.

한편, 수표의 출금의 경우, 제1실시 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하고, 다만, 프린팅 모듈로 이송되기 전에 출금을 위한 수표가 수표 이송부에 의해서 방향 전환되어 종방향으로 이송되고, 프린팅이 완료된 후에 다시 방향 전환되어 횡방향으로 이송되어 상기 매체 입출부로 방출되는 것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수표가 출금되는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withdrawal of a check, it is basically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a check for withdrawal is redirected and convey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check conveyance section before being conveyed to the printing module,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recording medium is changed to be transferre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discharged to the medium entry / exit portion.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ocess of withdrawing a check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omitted.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금융 기기의 제어 블럭도이다. 1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financial instrumen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금융 기기는, 지폐와 수표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제1상태 감지부(312)와, 이송되는 수표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수표 위치 감지부(318)와, 수표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제2상태 감지부(314)와, 상기 제2상태 감지부(314)를 이송시키기 위한 감지 이송부(316)와, 수표의 프린팅을 위한 제1프린팅 모듈(101) 및 제2프린팅 모듈(102)과,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the financi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ate detection unit 312 for detecting the state of a bill and a check, a check position A second state sensing unit 314 for sensing the state of the check, a sensing conveyance unit 316 for conveying the second state sensing unit 314, 1 printing module 101, a second printing module 102, and a control unit 300. [

또한, 상기 금융 기기는, 수표 보관함(54) 내부에 구비되는 이송롤러 구동부(113)와 수표 이송감지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nancial instrument may further include a conveyance roller driving unit 113 and a check conveyance sensing unit 114 provided in the check storage box 54.

수표 또는 지폐의 상태는 상기 제1상태 감지부(312)에 의해서 일차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상태 감지부(312)를 통과한 매체가 수표인 경우 상기 수표의 상태는 상기 제2상태 감지부(314)에 의해서 이차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The state of the check or banknote can be detected by the first state detection unit 312 first. If the medium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state sensing unit 312 is a check, the state of the check may be sensed by the second state sensing unit 314.

상기 제1상태 감지부(312)는 일 례로, 광학적 문자 판독기이거나, 접촉 이미지 센서, 자기저항센서 등 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상태 감지부(312)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상기 제1상태 감지부(312)는, 수표 또는 지폐의 구분, 수표 또는 지폐의 두께, 진위 여부 등의 감지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The first state sensing unit 312 may be, for example, an optical character reader, a contact image sensor, a magnetoresistive sensor, or the lik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type of the first state sensing unit 312, and the first state sensing unit 312 may sense the type of check or banknote, the thickness of a check or banknote, Can be used.

상기 제2상태 감지부(314)는, 일 례로, 자기잉크 문자 판독기(MICR: Magnetic Ink Character Reader)일 수 있다. The second state sensing unit 314 may be, for example, a magnetic ink character reader (MICR).

상기 수표 위치 감지부(318)는, 상기 제1상태 감지부(312)를 통과한 수표가 상기 제2상태 감지부(314)에 의해서 감지될 수 있는 위치에 정지하도록, 상기 수표를 감지한다. 상기 수표 위치 감지부(318)에서 상기 수표가 감지되면, 상기 수표의 이송은 정지될 수 있다. 상기 제2상태 감지부(314)는 상기 감지 이송부(316)에 의해서 상기 수표에 대해 종방향 이송되면서 정지된 수표의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The check position sensing unit 318 senses the check so that the check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state sensing unit 312 stops at a position where the second state sensing unit 314 can sense the check. If the check is detected by the check position sensing unit 318, the check may be stopped. The second state sensing unit 314 senses the state of the check that is stopped while the sensing conveyance unit 316 feeds the check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1프린팅 모듈(101)은, 제1헤드(104)와, 상기 제1헤드(104)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1헤드 이송부(103)를 포함한다. 상기 제2프린팅 모듈(102)은, 제2헤드(106)와, 상기 제2헤드(106)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2헤드 이송부(105)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의 프린팅 모듈(101, 102)은 제1실시 예의 프린팅 모듈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first printing module 101 includes a first head 104 and a first head conveyance portion 103 for conveying the first head 104. [ The second printing module 102 includes a second head 106 and a second head transporting part 105 for transporting the second head 106. Since the printing modules 101 and 102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printing module of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이송롤러 구동부(113) 및 상기 수표이송 감지부(114)의 구성은 제1실시 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conveyance roller driving unit 113 and the check conveyance sensing unit 114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수표의 입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eck deposit proces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수표의 입금 처리를 위하여 수표가 횡방향으로 입금된다(S51). 도 13에서는 일 례로 수표의 입금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며, 지폐의 입금 과정은 공지된 종래의 과정과 동일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12 and 13, a check is deposited in the lateral direction for the check deposit process (S51). In FIG. 13, for example, the process of depositing a check will be described, and the process of depositing a banknote may be the same as that of a known conventional process,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수표가 입금된 후에는 수표가 횡방향으로 상기 제1상태 감지부(312)로 이송되어, 상기 제1상태 감지부(312)에 의해서 입금된 수표의 상태가 감지된다(S52).After the check is deposited, the check is transferred to the first state sensing unit 312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state of the check deposited by the first state sensing unit 312 is sensed (S52).

그 다음, 상기 제1상태 감지부(312)를 지난 수표는 상기 제2상태 감지부(314)를 향하여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수표 위치 감지부(318)에서 상기 수표가 감지되면, 상기 수표는 정지하게 된다(S53). Then, a check past the first status sensing unit 312 is conveyed toward the second status sensing unit 314. When the check is detected by the check position sensing unit 318, the check is stopped (S53).

그 다음, 상기 제2상태 감지부(314)가 상기 감지 이송부(316)에 의해서 상기 수표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정지된 수표의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S54). Next, the second state sensing unit 314 senses the state of the checked check while the sensing and conveying unit 316 transports the check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54).

그 다음, 상기 제어부(300)에서는 입금된 수표가 정상 상태인지 여부가 판단된다(S55). 만약, 입금된 수표가 정상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수표가 수표 임시 집적부(일 례로 수표 보관함: 54)에 임시 집적된다(S56). 반면, 입금된 수표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매체 입출부(13)로 수표가 방출된다(S58). Then, the control unit 300 determines whether the deposited check is in a normal state (S55). If the deposited check is in a normal state, the check is temporarily accumulated in the check temporary accumulation unit (for example, the check depository 54) (S56). On the other hand, if the deposited check is in an abnormal state, the check is released to the media input / output unit 13 (S58).

그 다음, 고객에 의해서 수표의 입금 확정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57). 단계 S57에서 입금 취소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수표 임시 집적부에 임시 집적된 수표가 상기 매체 입출부(13)로 방출된다(S58). Then, it is judged whether or not a deposit confirmation command of the check has been inputted by the customer (S57). If a deposit cancel command is input in step S57, the check temporarily accumulated in the check temporary accumulation unit is discharged to the medium input / output unit 13 (S58).

단계 S57에서, 수표의 입금 확정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표가 상기 수표 임시 집적부에서 상기 제1프린팅 모듈(101)과 상기 제2프린팅 모듈(102) 사이에서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표가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프린팅 장치(100)가 이동하면서 프린팅을 수행한다(S59). 상기 수표가 프린팅 장치(100)에서 정지하는 방법과, 상기 프린팅 장치(100)의 작동은 제1실시 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7 that a confirmation command for depositing a check has been input, the check is stopped between the first printing module 101 and the second printing module 102 in the check temporary accumulation unit. Then, in a state where the check is stopped, the printing apparatus 100 moves while performing printing (S59). The method of stopping the check in the printing apparatus 100 and the operation of the printing apparatus 100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프린팅이 완료되면, 수표는 상기 제1상태 감지부(312)를 재차 지나게 된다. 상기 제1상태 감지부(312)는 프린팅된 수표의 상태를 감지한다(S60).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에서는 정상적으로 수표가 프린팅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61). 만약, 수표의 프린팅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표는 수표 입금함(54)에 저장된다(S62). 반면, 수표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표는 입금 회수함(제1회수함: 50)으로 이송된다(S63). When printing is completed, the check passes again through the first state detection unit 312. [ The first state sensing unit 312 senses the state of the printed check (S60). In step S61, the control unit 300 determines whether a check has been normally printed. If it is determined that printing of the check has been normally performed, the check is stored in the check deposit box 54 (S62).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heck has not been normally performed, the check is transferred to the deposit and withdrawal box (first withdrawal box 50) (S63).

한편, 수표의 출금의 경우, 제1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수표의 출금 과정에서는 제2상태 감지부는 정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withdrawing a check, since i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state sensing unit can be kept stationary during the check withdrawal process.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제2상태 감지부 및 프린팅 모듈의 헤드가 수표에 대해서 종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으므로, 지폐 및 수표가 함께 금융 기기 내에서 횡방향으로 이송되어 처리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heads of the second state sensing unit and the printing module can be transpo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heck, the bill and the check can be transported and processed toge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financial instrument.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금융 기기의 제어 블럭도이다. FIG. 1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financial instrumen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금융 기기는, 지폐와 수표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제1상태 감지부(312)와, 이송되는 수표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수표 위치 감지부(318)와, 수표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제2상태 감지부(314)와, 상기 제2상태 감지부(314)를 이송시키기 위한 감지 이송부(316)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the financial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ate detection unit 312 for detecting the state of a bill and a check, a check position A second state sensing unit 314 for sensing the state of the check, a sensing conveyance unit 316 for conveying the second state sensing unit 314, and a control unit .

또한, 상기 금융 기기는, 지폐의 이송을 위한 지폐 이송부(230)와, 수표의 이송을 위한 수표 이송부(240)와, 수표가 임시 집적되기 위한 수표 임시 집적부(250)와, 수표의 프린팅을 위한 제1프린팅 모듈(220) 및 제2프린팅 모듈(222)을 포함할 수 있다. Also, the financial instrument includes a bill transferring unit 230 for transferring bills, a check transferring unit 240 for transferring a check, a check temporary accumulation unit 250 for temporarily accumulating checks, A first printing module 220 and a second printing module 222 for printing.

수표 또는 지폐의 상태는 상기 제1상태 감지부(312)에 의해서 일차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상태 감지부(312)를 통과한 매체가 수표인 경우 상기 수표의 상태는 상기 제2상태 감지부(314)에 의해서 이차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상태 감지부 및 상기 제2상태 감지부는 제3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state of the check or banknote can be detected by the first state detection unit 312 first. If the medium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state sensing unit 312 is a check, the state of the check may be sensed by the second state sensing unit 314. Since the first state sensing unit and the second state sensing unit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thir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수표 이송부(240)는 상기 제2상태 감지부(314)를 지난 수표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즉, 횡방향으로 이송되는 수표의 이송 방향이 종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다. The check transferring unit 240 may switch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check past the second state sensing unit 314. [ That is,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heck conveyed in the lateral direction can be switched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1프린팅 모듈(220) 및 상기 제2프린팅 모듈(222)은 정지한 상태에서 종방향으로 이송되는 수표를 프린팅하게 된다. The first printing module 220 and the second printing module 222 print a check convey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the printing module 220 is stopped.

본 실시 예에서, 지폐 및 수표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 및 방법은 제3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수표 이송부(240)에 의해서 수표의 이송 방향이 전환되는 과정과 프린팅 모듈에 의해서 수표가 프린팅되는 과정은 제2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banknote and the check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third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process of switchi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heck by the check conveying unit 240 and the process of printing the check by the printing module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따라서, 본 실시 예의 수표 입금 과정을 정리하면, 제2상태 감지부(314)가 감지 이송부(316)에 의해서 수표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수표의 상태를 감지한다. 그 다음, 상기 제2상태 감지부(314)를 지난 수표의 이송 방향이 종방향으로 전환된 후에 상기 수표가 종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프린팅 모듈(220, 222)에 의해서 프린팅된다. Accordingly, when the check depositing process of this embodiment is summarized, the second state sensing unit 314 senses the state of the check while the sensing conveyance unit 316 transports the check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n, the check is transferred by the printing module 220, 222 while the check is convey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fter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heck past the second state sensing portion 314 is changed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금융 기기의 제어 블럭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금융 기기 내에서의 지폐 및 수표의 이송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15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financial instrumen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ransfer process of a bill and a check in the financi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금융 기기는, 지폐와 수표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제1상태 감지부(312)와, 상기 제1상태 감지부(312)를 지난 지폐(M3)를 이송하기 위한 지폐 이송부(230)와, 상기 제1상태 감지부(312)를 지난 수표(M1)를 이송하기 위한 제1수표 이송부(241)와, 상기 수표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제2상태 감지부(314)와, 상기 제2상태 감지부(314)를 지난 수표를 이송하기 위한 제2수표 이송부(242)와, 입금을 위한 수표가 임시 집적되는 수표 임시 집적부(250)와, 이송되면서 프린팅할 수 있는 제1프린팅 모듈(101) 및 제2프린팅 모듈(102)과,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15 and 16, the financi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ate detecting unit 312 for detecting the state of a bill and a check, A first check transfer unit 241 for transferring the check M 1 passing through the first state sensing unit 312 and a second check transfer unit 241 for transferring the check M 1, A second check transferring unit 242 for transferring a check past the second state detecting unit 314, a check transferring unit 242 for transferring a check for depositing, A first printing module 101 and a second printing module 102 that can be transferred while being transferred,

상기 제1상태 감지부(312)는 일 례로, 광학적 문자 판독기이거나, 접촉 이미지 센서, 자기저항센서 등 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상태 감지부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상기 제1상태 감지부(312)는, 수표 또는 지폐의 구분, 수표 또는 지폐의 두께, 진위 여부 등의 감지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The first state sensing unit 312 may be, for example, an optical character reader, a contact image sensor, a magnetoresistive sensor, or the lik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type of the first state sensing unit, and the first state sensing unit 312 can be used for sensing a check or a bill, a thickness of a check or bill, authenticity or the like.

상기 제2상태 감지부(314)는, 일 례로, 자기잉크 문자 판독기(MICR: Magnetic Ink Character Reader)일 수 있다. The second state sensing unit 314 may be, for example, a magnetic ink character reader (MICR).

상기 제1수표 이송부(241)는 상기 제1상태 감지부(312)를 지난 수표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킨다. 즉, 횡방향으로 이송되는 수표의 이송 방향을 종방향으로 전환시킨다. 상기 제2상태 감지부(314)는 종방향으로 이송되는 수표의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제2수표 이송부(241)는 상기 제2상태 감지부(314)를 지난 수표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킨다. 즉, 종방향으로 이송되는 수표의 이송 방향을 횡방향으로 전환시킨다. The first check conveying unit 241 switches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heck past the first state sensing unit 312. That is,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heck conveyed in the lateral direction is switched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state sensing unit 314 senses the state of the check being convey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check conveyance unit 241 switches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heck past the second state sensing unit 314. That is,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heck convey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witched to the lateral direction.

상기 제1프린팅 모듈(101)은 제1헤드(104)와, 제1헤드(104)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1헤드 이송부(103)를 포함한다. 상기 제2프린팅 모듈(102)는 제2헤드(106)와, 상기 제2헤드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2헤드 이송부(105)를 포함한다. The first printing module 101 includes a first head 104 and a first head conveying portion 103 for conveying the first head 104. The second printing module 102 includes a second head 106 and a second head transporting part 105 for transporting the second head.

횡방향으로 이송되는 수표는 상기 제1프린팅 모듈(101)과 상기 제2프린팅 모듈(102) 사이에서 정지하게 되고, 상기 프린팅 모듈(101, 102)은 상기 수표에 대해서 종방향 이송되면서 프린팅을 수행하게 된다. The check conveyed in the lateral direction is stopped between the first printing module 101 and the second printing module 102 and the printing modules 101 and 102 perform printing while conveying the check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수표 임시 집적부 및 상기 프린팅 모듈(101, 102)은 제1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수표 보관함(44) 내부에 배치되거나, 상기 수표 보관함과 별도의 모듈로 존재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heck temporary accumulation unit and the printing modules 101 and 102 may be disposed inside the check deposit box 44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or may exist as a separate module from the check deposit box .

본 실시 예에서, 수표가 프린팅되는 방법은 제1실시 예 또는 제3실시 예와 동일하다. 또한, 수표 입금 과정에서 대해서 본 실시 예에서 언급되는 설명 이외에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manner in which the check is printed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or the third embodiment. In addition, the process of depositing a check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the description referred to in this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7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금융 기기의 제어 블럭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금융 기기 내에서의 지폐 및 수표의 이송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17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financial instrumen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ransfer process of a note and a check in a financial instrumen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금융 기기는, 지폐와 수표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제1상태 감지부(312)와, 상기 제1상태 감지부(312)를 지난 지폐를 이송하기 위한 지폐 이송부(230)와, 상기 제1상태 감지부(312)를 지난 수표를 이송하기 위한 수표 이송부(240)와, 상기 수표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제2상태 감지부(314)와, 입금을 위한 수표가 임시 집적되는 수표 임시 집적부(250)와, 수표의 프린팅을 위한 제1프린팅 모듈(220) 및 제2프린팅 모듈(222)과,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17 and 18, the financi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ate detecting unit 312 for detecting the state of a bill and a check, A check transferring unit 240 for transferring a check past the first status sensing unit 312, a second status detection unit 250 for detecting the status of the check, A first printing module 220 and a second printing module 222 for printing a check, and a control unit 600. The first printing module 220 and the second printing module 222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600, .

상기 제1상태 감지부(312)는 일 례로, 광학적 문자 판독기이거나, 접촉 이미지 센서, 자기저항센서 등 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상태 감지부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상기 제1상태 감지부(312)는, 수표 또는 지폐의 구분, 수표 또는 지폐의 두께, 진위 여부 등의 감지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상태 감지부(314)는, 일 례로, 자기잉크 문자 판독기(MICR: Magnetic Ink Character Reader)일 수 있다. The first state sensing unit 312 may be, for example, an optical character reader, a contact image sensor, a magnetoresistive sensor, or the lik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type of the first state sensing unit, and the first state sensing unit 312 can be used for sensing a check or a bill, a thickness of a check or bill, authenticity or the like. The second state sensing unit 314 may be, for example, a magnetic ink character reader (MICR).

상기 수표 이송부(240)는 상기 제1상태 감지부(312)를 지난 수표(M1)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킨다. 즉, 횡방향으로 이송되는 수표의 이송 방향을 종방향으로 전환시킨다. 상기 제2상태 감지부(314)는 종방향으로 이송되는 수표의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제2상태 감지부(314)를 지난 수표는 종방향으로 상기 프린팅 모듈(202, 222)로 이송된다. 상기 각 프린팅 모듈(220, 222)은 복수의 헤드(223, 2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프린팅 모듈(220, 222)은 정지한 상태에서 종방향으로 이송되는 수표(M1)의 프린팅을 수행한다. The check transferring unit 240 switches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check M 1 passing through the first state sensing unit 312. That is,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heck conveyed in the lateral direction is switched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state sensing unit 314 senses the state of the check being convey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hecks passing through the second state sensing unit 314 are transferred to the printing modules 202 and 2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ach of the printing modules 220 and 222 may include a plurality of heads 223 and 224. Each of the printing modules 220 and 222 performs printing of the check M1 convey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stopped stat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수표 임시 집적부(250)는 상기 제2상태 감지부(314)와 상기 프린팅 모듈(220, 2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표 임시 집적부와 상기 프린팅 모듈(220, 222)이 단일의 모듈로 존재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heck temporary accumulation unit 2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state sensing unit 314 and the printing modules 220 and 222. Alternatively, the check temporary accumulation unit and the printing module 220, 222 may exist as a single modul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프린팅 모듈(220, 222)을 통과한 수표는 수표 입금함에 종방향으로 이송되거나 횡방향으로 방향 전환되어 이송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heck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rinting module 220, 222 can be conveyed in the check deposit box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본 실시 예에서, 수표의 입금 과정 중에서 횡방향으로 이송되는 수표가 종방향으로 이송 방향이 전환되어 제2상태 감지부 및 상기 프린팅 장치를 통과하는 것 외에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check conveyed in the lateral direction during the check depositing process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conveying direction is swi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asses through the second state sensing unit and the printing apparatus, It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고 하기되는 사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y further include the following ideas.

먼저, 지폐 및 수표가 종방향으로 매체 입출부로 입금되거나 출금될 수 있다. 이 경우, 수표가 종방향으로 감별부, 프린팅 장치를 통과할 수 있으며,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수표 입금함에 저장될 수 있다. 다만, 횡방향으로 수표 입금함에 수표가 저장되기 위해서는 수표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수표 이송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표는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수표 보관함에서 방출될 수 있다. 수표가 종방향으로 수표 보관함에서 방출되는 경우에는 수표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수표 이송부가 구비될 수 있다. First, bills and checks can be deposited or withdrawn into the media entry / exit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check can pass through the discriminating portion, the printing devi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an be stored in the check deposit box in the longitudinal or transverse direction. However, in order for a check to be stored in a check deposit in the lateral direction, a check transfer unit capable of switching the direction of the check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 check may be discharged in the check depository in the longitudinal or transverse direction. If the check is ejected from the check deposit box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heck transfer unit capable of redirecting the check may be provided.

다른 예로서, 상기 수표 임시 집적부가 상기 수표 보관함에 구비되지 않고, 상기 수표 입금함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프린팅 장치가 상기 수표 입금함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수표 보관함에서 출금을 위한 수표는 상기 수표 입금함 내에서 프린팅된 후에 매체 입출부로 방출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check temporary accumulation unit may not be provided in the check depository, but may be provided in the check depository. In this case, the printing apparatus may be provided in the check deposit box. And, checks for withdrawals in the check depository can be released into the media entry and exit after being printed in the check depository.

다른 예로서, 수표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제2상태 감지부가 수표에 대해서 종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상태를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제2상태 감지부는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송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표의 정지 위치가 정확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2상태 감지부는 횡방향으로 이송한 후에 종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수표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ile the second state sensing part for sensing the state of the check has been described as sensing the state while being transpo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heck, the second state sensing part may alternatively be longitudinally and laterally transportable . For example, if the stop position of the check is not correct, the second state sensing unit may sense the state of the check while being transpo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fter being transported in the lateral direction.

다른 예로서, 지폐 및 수표가 공통의 매체 입출부를 사용하되, 매체 입출부에서 매체의 종류가 판단되어 별도의 이송 경로에 의해서 지폐와 수표가 이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폐와 수표가 별도로 이송되더라도 위에서 언급한 수표의 감지 및 프린팅 방법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As another example, the bill and the check may be configured to use a common media input / output unit, but the type of the medium may be determined at the media input / output unit and the bill and check may be conveyed by a separate conveyance path. Even if the bill and the check are transferred separately, the above-mentioned method of detecting and printing the check may be applied equally.

다른 예로서, 수표 보관함 내에 프린팅 장치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상기 수표 보관함을 필요에 따라 지폐 보관함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수표 보관함이 지폐 보관함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프린팅 장치는 미동작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even when a printing apparatus is provided in the check deposit box, the check deposit box can be used as a bank deposit box as needed. When the check deposit box is used as a banknote storage box, the printing apparatus may not operate.

1: 금융 기기 20: 감별부
40: 매체 보관함
1: financial instrument 20:
40: Media storage box

Claims (10)

지폐와 수표가 번들 단위로 함께 투입될 수 있고, 지폐와 수표가 번들 단위로 함께 방출될 수 있는 단일의 매체 입출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통장이 입출될 수 있는 통장 입출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카드가 입출될 수 있는 카드 입출부;
상기 매체 입출부의 지폐 및 수표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가림부재;
상기 매체 입출부를 통하여 투입된 지폐 및 수표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감별부;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며, 출금을 위한 지폐가 보관될 수 있는 지폐 보관함;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며, 출금을 위한 수표가 보관될 수 있는 수표 보관함;
출금을 위한 수표 및 상기 매체 입출부로 투입된 입금을 위한 수표의 프린팅을 위한 프린팅 장치;
상기 감별부에 의해서 감별 완료된 수표가 일시 집적되는 수표 일시 집적부;
상기 매체 입출부와 상기 감별부를 연결하며, 상기 매체 입출부를 통하여 투입된 지폐와 수표가 공통적으로 이송되는 제1이송부; 및
상기 지폐 보관함과 수표 보관함에서 방출된 출금을 위한 지폐와 수표가 공통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상기 감별부를 지난 입금이 확정된 지폐와 수표가 공통적으로 이송될 수 있는 제2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 입출부로 투입되어 상기 감별부를 1회 지나면서 감별 완료된 수표 중 정상 수표는 상기 수표 일시 집적부로 이송되어 일시 집적되고, 비정상 수표는 상기 매체 입출부로 방출되고,
지폐와 수표를 함께 출금하기 위하여, 상기 지폐 보관함에서 지폐가 방출되고 상기 수표 보관함에서 수표가 방출된 후, 방출된 지폐 및 수표가 상기 제2이송부를 지난 후에 상기 매체 입출부로 이송되는 금융 기기.
A main body having a single media input / output unit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bundle unit of banknotes and checks, and which can be discharged together in bundle units;
A passbook entry / exit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entering and exiting a passbook;
A card input / output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inputting / outputting a card;
A cover member for opening / closing a banknote of the media input / output unit and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check can be stored;
A discrimination unit which can detect the state of the bill and the check inserted through the medium entry / exit unit;
A banknote storage box disposed in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storing banknotes for withdrawal;
A check box disposed in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storing a check for withdrawal;
A printing device for printing a check for withdrawal and a check for depositing into the media input / output section;
A check temporary accumulation unit for temporarily accumulating a check that has been discriminated by the discrimination unit;
A first conveying unit that connects the media input / output unit and the discrimination unit, and in which a bill inserted through the media input / output unit and a check are commonly transported; And
And a second conveyance unit capable of conveying a check and a check for dispensing discharged from the banknote storage box and the check deposit box, and a second conveyance unit in which the check and the check can be commonly transferred to the discrimination unit,
The normal check of the check which has been inputted to the media input / output unit and which has been discriminated once after passing through the discrimination unit is transferred to the check temporary accumulation unit and temporarily accumulated, the abnormal check is discharged to the medium input /
Wherein a banknote is discharged from the banknote storage box and the check is discharged from the check deposit box after the bill and the check are transferred to the media input / output section af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transfer s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별부는, 상기 제1이송부를 따라 이송된 지폐 및 수표 각각의 양면을 인식하여 지폐 및 수표의 권종 및 진위 파악을 하기 위한 광학식 문자 판독기를 포함하는 금융 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crimination unit comprises an optical character reader for recognizing the denomination and authenticity of the banknote and the check by recognizing both sides of the banknote and the check each carried along the first conveying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표 보관함의 내부에는, 상기 출금을 위한 수표가 저장되는 수표 출금부와, 상기 입금을 위한 수표가 저장되는 수표 입금부와, 상기 프린팅 장치가 구비되는 금융 기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heck deposit box includes a check withdrawal unit for storing the check for withdrawal, a check deposit unit for storing the check for the deposit, and the printing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금을 위한 수표가 저장되는 수표 입금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표 입금함은 상기 수표 보관함의 외부에서 상기 수표 보관함과 별도로 배치되고,
상기 수표 보관함과 상기 수표 입금함은 이송로에 의해서 연결되는 금융 기기.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check deposit box in which a check for the deposit is stored,
Wherein the check deposit box is disposed outside the check depository box separately from the check depository box,
And the check deposit box and the check deposit box are connected by a transfer path.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별부는, 입금을 위한 지폐와 입금을 위한 수표 각각의 앞뒤 방향과 무관하게 상기 매체 입출부로 투입된 입금을 위한 지폐와 입금을 위한 수표 각각의 양면을 감지할 수 있는 금융 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discriminating unit can sense both the banknote for depositing and the check for depositing into the media input / output unit regardless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banknote for depositing and the check for depositing.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 장치를 향한 수표의 이송방향과 상기 프린팅 장치에 의한 프린팅 방향은 교차되는 금융 기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heck toward the printing device is crossed with the printing direction by the printing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 장치에 의해서 프린팅 완료된 입금을 위한 수표 또는 상기 프린팅 장치에 의해서 프린팅 완료된 출금을 위한 수표는 상기 감별부를 재차 지날 수 있으며,
입금을 위한 수표 또는 출금을 위한 수표의 프린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정상적으로 프린팅이 이루어지지 않은 수표는 회수함으로 이송되는 금융 기기.
3. The method of claim 2,
A check for depositing completed by the printing apparatus or a check for withdrawal completed by the printing apparatus can be passed again to the discriminating unit,
Checks for deposits or withdrawals are not normally printed, and checks that are not normally printed are transferred to the withdraw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표 보관함으로 보충할 수표가 저장되거나 상기 수표 보관함으로부터 회수된 수표를 저장하는 회수보충함을 더 포함하는 금융 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ayout supplement for storing a check to be supplemented with the check depository or storing a check withdrawn from the check depositor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별부를 1회 지난 수표는 상기 프린팅 장치에 의한 프린팅 과정 없이 상기 수표 일시 집적부로 이송되는 금융 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heck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discriminating unit once is transferred to the check temporary accumulation unit without a printing process by the printing apparatus.
제 1 항에 있어서,
번들 단위로 투입된 지폐와 수표의 감별이 완료된 상태에서 지폐와 수표의 입금 확정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금융 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a deposit confirmation command for depositing the banknote and check in a state in which the discrimination between the bill and the check inserted in the bundle unit is completed.
KR1020150031429A 2015-03-06 2015-03-06 Financial device KR1016317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429A KR101631791B1 (en) 2015-03-06 2015-03-06 Financi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429A KR101631791B1 (en) 2015-03-06 2015-03-06 Financial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4064A Division KR101909021B1 (en) 2011-05-11 2011-05-11 Financial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545A KR20150032545A (en) 2015-03-26
KR101631791B1 true KR101631791B1 (en) 2016-06-20

Family

ID=53025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1429A KR101631791B1 (en) 2015-03-06 2015-03-06 Financial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79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31364B (en) * 2016-04-19 2019-02-26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A kind of split type bill delivery apparatus and financial self-service equipment
KR102130388B1 (en) 2019-05-02 2020-07-14 나혜영 Dual layer cooking contain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5448A (en) 2003-05-30 2004-12-16 Hitachi Ltd Automatic handling device for banknote and securities
KR100834460B1 (en) 2006-11-27 2008-06-05 엘지엔시스(주) Automatic teller machine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529B1 (en) * 2008-09-09 2013-01-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Bulk Check Accep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5448A (en) 2003-05-30 2004-12-16 Hitachi Ltd Automatic handling device for banknote and securities
KR100834460B1 (en) 2006-11-27 2008-06-05 엘지엔시스(주) Automatic teller machine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545A (en) 2015-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00196B2 (en) Banknote handling equipment
KR101909021B1 (en) Financial device
KR101527651B1 (en) Medium processing apparatus
KR101631791B1 (en) Financial device
KR20170031365A (en) Storing bill apparatus in cash transaction machine
KR101471754B1 (en) Financi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226348B1 (en) Medium cassette, financi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6398592B2 (en) Medium storage apparatus and medium transaction apparatus
JP5277757B2 (en) Banknote handling equipment
KR101631806B1 (en) Financial device
KR101880453B1 (en) Financial device
KR101409148B1 (en) Financial apparatus
JP2010231262A (en) Paper sheet handling device
KR101247080B1 (en) Financial device and medium cassette
EP2350990B1 (en) Handling of different classes of currency
KR101709093B1 (en)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check and paper money
KR101834498B1 (en) Media process apparatus and financial apparatus thereof
KR101628478B1 (en) Apparatus and Method to deposit and withdraw check and paper money
KR102573029B1 (en) Apparatus for bill receiving and dispensing
KR101587689B1 (en) Financial device
KR101498358B1 (en) Medium processing device and financial apparatus
KR101781304B1 (en) Media storage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JP2007213279A (en) Bank note processing device
KR101462339B1 (en) Financial apparatus
KR101799200B1 (en) Media guide apparatus and media storage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