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5609B1 -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 케이싱 - Google Patents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 케이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5609B1
KR101075609B1 KR1020090071794A KR20090071794A KR101075609B1 KR 101075609 B1 KR101075609 B1 KR 101075609B1 KR 1020090071794 A KR1020090071794 A KR 1020090071794A KR 20090071794 A KR20090071794 A KR 20090071794A KR 101075609 B1 KR101075609 B1 KR 101075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oler
coating layer
antimicrobial
casing
antimicrobial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4038A (ko
Inventor
김재한
Original Assignee
동화윈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화윈 (주) filed Critical 동화윈 (주)
Priority to KR1020090071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609B1/ko
Publication of KR20110014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4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3Powdery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 케이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냉동 및 냉장 설비의 유니트 쿨러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쿨러의 케이싱 표면에 분체도장으로 형성한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 케이싱에 따르면, 냉동 및 냉장 설비의 유니트 쿨러 케이싱에 분체도장으로 형성한 항균 코팅층을 구비함으로써, 케이싱의 부식을 방지하고,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며,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도 장시간에 걸친 항균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유니트 쿨러, 케이싱, 분체도장, 항균 코팅층

Description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 케이싱{UNIT COOLER CASING WITH ANTIMICROBIAL COATING LAYER}
본 발명은 유니트 쿨러 케이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 케이싱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청결성에 대한 요구는 날로 높아져 건축용 자재, 식품 관련 제품, 가전제품 등 여러 분야에서 항균 가공이 시행되고 있다. 항균 제품의 보급은 내성이 강해진 황색 포도상구균의 병원 내 감염 문제와 병원성 대장균에 의한 O-157 발병으로 더욱 확대되었다. 그 후에도 병원성 미생물이 문제가 되는 병원과 식품공장 등 관련업계에서 항균 가공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냉동 및 냉장 설비에서 냉동 및 냉장에 필요한 온도로 열 교환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유니트 쿨러는, 케이싱 내부에 제상 히터가 부착된 증발기가 설치되고, 케이싱 앞쪽에는 팬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증발기는 냉매가 순환하는 냉매관 외주에 부설된 냉각핀에 의하여 주위의 공기 중에서 열을 흡수하여 공기를 냉각시키는 장치이다. 증발기의 열 교환 작용이 계속됨에 따라 주위 공 기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냉각핀 표면에 얼어붙어서 성에, 서리 등이 발생하게 된다. 냉각핀 표면에 성에 등이 쌓이게 되면 조밀하게 배치된 냉각핀 사이로 공기의 원활한 유동을 방해하여 냉각핀의 열 교환 효율을 저하시키게 되고, 결국 증발기의 냉각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증발기의 열교환 작용이 계속됨에 따라 유니트 쿨러 내부는 습기가 찬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증발기를 포함한 케이싱 내부는 부식하기 쉬운 상태가 되고, 그 결과 세균, 곰팡이 등의 미생물이 서식하기 쉬운 환경이 된다. 이와 같이 유니트 쿨러 내부가 미생물로 오염된 상태에서 냉동 및 냉장 운전을 하게 되면, 유니트 쿨러 내부에서 서식하는 세균, 곰팡이 등의 미생물을 포함한 냉각 공기가 냉동 및 냉장설비 내에 공급되어 위생상의 문제가 될 뿐만 아니라, 여기에 보관된 식음료를 섭취하게 되는 경우에 오염된 음식으로 인한 질병의 발생 위험 또한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냉동 및 냉장 설비의 유니트 쿨러 케이싱에 분체도장으로 형성한 항균 코팅층을 구비함으로써,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고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도 장시간에 걸친 항균 효과를 유지하는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 케이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 케이싱은, 냉동 및 냉장 설비의 유니트 쿨러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쿨러의 케이싱 표면에 분체도장으로 형성한 항균 코팅층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싱은,
내식성을 가지는 알루미늄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균 코팅층은,
정전 도장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균 코팅층의 두께를 조절하기 위하여,
분체도료의 입자 크기, 전위차, 스프레이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균 코팅층의 도료는,
베이스 수지 50∼60중량%,
경화제 3∼7중량%,
백색 안료 30∼40중량%,
체질 안료 1∼5중량%, 및
기타 첨가제 1∼10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수지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화제에는, TGIC(Triglycidyl Isocyanurate)가 포함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백색 안료에는, 이산화티타늄(TiO2)이 포함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질 안료로는, 황산바륨(BaSO4)이 포함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타 첨가제에는, 항균 지속력이 우수한 항균제 및 기포제거제, 흐름 조절제, 왁스 및 UV 안정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 케이싱에 따르면, 냉동 및 냉장 설비의 유니트 쿨러 케이싱에 분체도장으로 형성한 항균 코팅층을 구비함으로써, 케이싱의 부식을 방지하고,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며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도 장시간에 걸친 항균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10)는, 표면에 분체도장으로 형성한 항균 코팅층이 구비 된 케이싱(100), 케이싱(100) 내부에 설치되어 외기와의 열 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수단인 증발기(110), 증발기 앞쪽에 설치되어 증발기(100)와 열교환작용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강제 송풍시켜 주는 팬(120), 팬을 구동하는 모터(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된다. 또한, 증발기(110)의 열 교환 작용이 계속됨에 따라 발생하는 성에 및 제상수를 제거하기 위하여 증발기(110)에는 제상히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팬(120)과 팬 가이드의 제상을 위한 히터(도시하지 않음)와 제상수의 동결을 막기 위한 드레인 히터(도시하지 않음)와 제상 시 과열 방지를 위한 온도 스위치(130) 등이 부착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10)에서, 증발기(110)는 냉매가 순환하는 냉매관 외주에 부설된 냉각핀에 의하여 주위의 공기 중에서 열을 흡수하여 공기를 냉각시키게 된다. 증발기(110)의 성능은 냉각핀의 재질과 접열 면적에 따라 결정되므로, 냉각핀은 열전달 계수가 높은 금속으로 제작하고 접열 면적을 최대로 형성하여 주위 공기로부터 최대한 많은 열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증발기(110)의 냉각핀 표면의 온도는 저온 상태이므로 주위 공기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냉각핀 표면에 얼어붙어서 성에, 서리 등이 발생하게 된다. 냉각핀 표면에 성에 등이 쌓이게 되면 조밀하게 배치된 냉각핀 사이로 공기의 원활한 유동을 방해하여 냉각핀의 열 교환 효율을 저하시키게 되고, 결국 증발기(110)의 냉각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냉각핀 표면에 발생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除霜) 히터를 설치하게 된다. 제상 히터에 의해 성에가 녹은 물(제상수)은 유니트 쿨러(10) 하부의 드레인 패널(140)에 집수되어 드레인 호스(150)를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증발기(110)의 열 교환 작용이 계속됨에 따라 유니트 쿨러(10) 내부는 습기가 찬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증발기(110)를 포함한 케이싱(100) 내부는 부식되기 쉬운 상태가 된다. 또한, 곰팡이 등의 미생물이 서식하기 쉬운 환경이 된다. 유니트 쿨러(10)에서는 팬(120)이 회전 구동하면 공기 흡입구(160)로부터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 이때, 공기와 함께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곰팡이 등의 포자도 유니트 쿨러(10) 내부로 들어오게 되고, 유니트 쿨러(10)를 구성하는 부품 표면에 정전기에 의해 먼지 등의 오염물질과 함께 부착된다. 유니트 쿨러(10) 내부에서 생장하기 쉬운 곰팡이는, 통상 실내에 널리 존재하는 호습성(好濕性) 곰팡이다. 곰팡이의 생장 속도는 온도나 습도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20∼30℃ 범위의 온도와 70%RH 이상의 습도일 때 생장 속도가 빨라진다. 일반적으로 냉동 및 냉장 설비의 운전 중에는 유니트 쿨러(10)의 내부 습도는 거의 100%RH로 되고, 운전 정지 중에도 습도가 90%RH 이상을 장기간 유지한다. 따라서 유니트 쿨러(10) 내부에 곰팡이 포자가 부착된 상태에서 냉동 및 냉장 운전을 하게 되면, 곰팡이가 급속히 생장하게 되고, 유니트 쿨러 케이싱(100) 내부는 곰팡이로 오염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 케이싱의 항균 코팅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니트 쿨러 케이싱(100)은, 알루미늄(200) 양면에 분체도장으로 항균 코팅층(300)을 형성하여 케이싱(100)의 부식을 방지하고, 세균, 곰팡이 등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며,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도 장시간에 걸친 항균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 케이싱(100)은, 내식성을 가지는 알루미늄(200)을 사용하여 경량이며, 그 결과 취급 및 설치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균 코팅층(300)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 케이싱(100)의 분체도장의 도료는, 예컨대 열경화성 분체도료로 베이스 수지 50∼60중량%, 경화제 3∼7중량%, 백색 안료 30∼40중량%, 체질 안료 1∼5중량% 및 기타 첨가제 1∼10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체도료(粉體塗料)란 유기용제 또는 물 등의 용매를 사용하지 않은 100% 고형분의 분말로서, 피도장물의 표면에 도장을 하고 가열, 용융, 경화시켜서 균일하고 연속된 도막을 형성시키는 도료이다. 분체도료는 용제에 의한 악취, 독성 등의 중독이나 화재위험이 거의 없고 대기오염 및 수질오염 등 공해가 없으며, 분말형태이므로 운반이나 저장이 용이하다. 주름, 흐름, 핀 홀 현상 등 용제로 인한 도막 결함이 일어나지 않아 하부도장이 필요 없고, 1회의 도장으로 용제형 도료에 비해 두꺼운 도막 두께와 우수한 도막 성능을 얻을 수 있다. 경화 시 휘발분이 없어 피도물에 도착된 도료가 100% 도막으로 형성되고, 부착되지 않은 도료는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분체도료로 사용되는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와 열경화성 수지로 구분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는 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 불소 수지 등이 사용된다. 열경화성 수지로는 분자량이 낮은 에폭시, 아크릴,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수지에 경화제, 안료 및 첨가제 등을 연속으로 믹서 내에서 가열용융, 혼합한 다음 압출성형하고 이것을 분쇄시켜 일정한 입자크기의 분체도료를 얻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 케이싱의 도장 방법으로는 정전 도장법, 유동 침적법, 정전 유동 침적법, 용사법 등이 있으며, 그 중에서 정전 도장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4는 정전 도장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정전 도장법은 정전 스프레이 도장법이라고 하며, 분체도료 입자에 전기적으로 전하를 갖도록 하여 도장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40∼80㎸의 고전압 하에서 분체도료가 스프레이 건(spray gun)을 통해 분사되면서 음이온(-)으로 대전되고, 양이온(+)으로 접지된 피도물에 전기적 인력에 의해 부착된다. 분체도료가 일정 두께로 부착되면 가열 및 용해하여 도막을 형성시킨다. 그 원리로 보면 용제형의 정전 도장과 크게 다르지 않으나, 한번 부착된 분체도료는 일반적으로 전기 저항이 높아 방전되기 어렵기 때문에 세팅(setting) 중에 피도물에서 떨어지는 경우가 없다. 또한 분체도료의 도막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피도체가 절연체가 되면서 후속으로 분사된 분체도료는 이미 부착된 도료입자와의 정전반발로 더 이상 부착하지 않게 된다. 이를 정전 평형 현 상이라고 하며, 이 원리에 의해 일정 두께 이상으로 분체도료의 도막이 두꺼워지지 않고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정전도장의 도막 두께는 분체도료의 입자 크기, 전위차, 스프레이 시간 등에 따라 조정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의 케이싱에 형성되는 분체도장의 도료 중 베이스 수지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 중 용도에 따라 적합한 타입으로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그중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열경화성 분체도료를 구성하는 주요 수지로서 에폭시 수지 다음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그 일반적 특성에 있어서 에폭시 분체도료와 아크릴 분체도료 사이에 해당되며, 다양한 색으로 착색이 가능해 우수한 미적, 장식적인 성질을 가진다. 내식성 및 내화학성은 에폭시 수지에 비해 다소 열등하나 내열성과 내오존성 및 내후성이 우수하여 그 사용량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의 케이싱에 형성되는 항균 코팅층의 도료 중 경화제로는, TGIC(Triglycidyl Isocyanurate)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배합비율은 3∼7중량%로 조정할 수 있다. 경화제는 도료의 베이스 수지와 가교 반응을 일으켜 경화시키는 작용을 하며, TGIC는 반응성이 우수하고 가교 밀도가 높기 때문에 폴리에스테르 분체도료의 경화제로 많이 사용된다. 폴리에스테르-TGIC 분체도료는 내열성, 내후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 광범위하 게 사용되고 있으며, 경화과정 중 젤화 시간이 오래 지속되어 그에 상응하는 점도가 증가되기 때문에 다른 경화제에 비해 경화속도 조절이 비교적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의 케이싱의 에 형성되는 항균 코팅층의 도료 중 백색 안료로는, 이산화티타늄(TiO2)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배합비율은 30∼40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안료는 도막에 색채와 은폐력을 부여하고 기계적 강도와 내구력을 보강하며 도료에 유동성을 주어 도장하는데 적당한 점도를 갖도록 한다. 안료를 특성에 따라 분류하면 착색안료, 체질안료, 방청안료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착색안료 중에서 대표적인 무기안료로는 티탄, 납, 철, 동, 크롬, 카본블랙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이산화티타늄은 대표적인 백색안료로 많이 사용된다. 백색안료는 백색으로 착색하기 위해 사용할 뿐만 아니라 다른 유색 안료와 섞어서 사용하며 투명성 안료에 은폐력을 부여하기 위해서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의 케이싱에 형성되는 항균 코팅층의 도료 중 체질 안료로는, 황산바륨(BaSO4)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배합비율은 1∼5중량%로 조정할 수 있다. 체질안료란 투명성 백색 안료로서, 공기 중에서는 백색이지만 수지와 섞이면 투명하게 되는 은폐력이 적은 안료이 다. 체질안료는 다른 안료의 증량제로 많이 쓰이며 도료 내에서 충전제의 기능을 하여 벌크 밀도(bulk density)를 높인다. 또한, 도료막의 살 오름을 좋게 하여 평활성을 주고, 도료막을 보호하여 강한 성질을 부여하며, 마감상태에서 광택손실 효과를 주거나 점성을 조성하고, 중량에 의해 가격을 낮추는 효과를 주는 등의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 케이싱에 형성되는 항균 코팅층의 도료 중 기타 첨가제로는, 항균 지속력이 우수한 항균제 및 기포제거제, 흐름 조절제, 왁스 및 UV 안정제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사용될 수 있으며, 그 배합비율은 1∼10중량%로 조정할 수 있다. 항균제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균을 사멸 또는 번식시키지 못하게 하는 기능을 가진 첨가제로, 무기계 항균제, 금속계 항균제, 암모늄염계 항균제, 구아니딘계 항균제, 구리 화합물계 항균제, 유기계 항균제, 서방성 고분자 항균제 및 천연물계 항균제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균 물질을 선택한다. 유기 항균제는 주로 액상 상태로 되어 있으며, 단시간에 항균력을 필요로 하는 제품에 첨가된다. 유기 항균제는 일시적으로는 항균력이 무기 항균제에 비해 높으나 항균력 지속성은 매우 짧고, 내성균을 발생시킬 우려와 함께 높은 독성으로 인해 그 사용 영역이 축소되고 있다. 무기 항균제는 주로 제올라이트, 인산칼슘, 인산지르코늄, 실리카겔 등과 같은 무기물에 항균작용을 하는 금속이온인 은, 아연, 구리 등을 치환시켜 만든 제품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무기 항균제는 일시적인 항균력은 유기 항균제보다는 낮지만 인체 안전성이 높고, 내성균이 나타나지 않으며, 항균 지속기간도 거의 반영구적이어서 그 사용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분체도료에 있어서 기포제거제, 흐름 조절제, 왁스 및 UV 안정제 등과 같은 첨가제의 기능으로는 정전기 조절, 외관 조절, 특수무늬 형성, 저온 경화, 전도성 조절, 재도장성 향상, 도막 경도 향상 등을 들 수 있으며, 베이스 수지 및 경화제, 안료에 적합하도록 선택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 케이싱의 항균 코팅층에 대한 항균성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메탈실린 내성의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cus aureus ATTC 6538)에 대한 항균성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대장균(Escherichia coli ATTC 8739)에 대한 항균성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 케이싱(100)의 항균 코팅층의 성능을 검사하기 위하여 항균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항균성 시험 방법으로는 JIS Z 2801 표준에 따라, 항균 코팅층(300)이 형성된 케이싱 판을 시편으로 만들어, 시편 표면에 균이 배양된 액을 접종하고 필름으로 덮어 부착시킨 후 생균수를 측정한다. 일반적으로 습한 곳에서는 검은 곰팡이, 대장균, 황색 포도상구균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균주로서 황색 포도상구균과 대장균을 사용하였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 케이싱의 항균 코팅층은, 코팅층이 없는 대조군에 비해 황색 포도상구균과 대장균에 모두 항균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 케이싱의 항균 코팅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정전 분체 도장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 케이싱의 항균 코팅층에 대한 항균성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유니트 쿨러
100: 케이싱
110: 증발기
120: 팬
130: 온도 스위치
140: 드레인 패널
150: 드레인 호스
200: 알루미늄 판
300: 항균 코팅층

Claims (10)

  1. 냉동 및 냉장 설비의 유니트 쿨러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쿨러의 케이싱 표면에 분체도장으로 형성한 항균 코팅층이 구비되며,
    상기 항균 코팅층의 도료는,
    베이스 수지 50∼60중량%,
    경화제 3∼7중량%,
    백색 안료 30∼40중량%,
    체질 안료 1∼5중량%, 및
    기타 첨가제 1∼10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 케이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내식성을 가지는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 케이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코팅층은,
    정전 도장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 케이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코팅층의 두께를 조절하기 위하여,
    분체도료의 입자 크기, 전위차, 스프레이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 케이싱.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수지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 케이싱.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에는, TGIC(Triglycidyl Isocyanurate)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 케이싱.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안료에는, 이산화티타늄(TiO2)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 케이싱.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질 안료에는, 황산바륨(BaSO4)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 케이싱.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 첨가제에는, 항균지속력이 우수한 항균제 및 기포제거제, 흐름조절제, 왁스 및 UV 안정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 케이싱.
KR1020090071794A 2009-08-04 2009-08-04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 케이싱 KR101075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794A KR101075609B1 (ko) 2009-08-04 2009-08-04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 케이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794A KR101075609B1 (ko) 2009-08-04 2009-08-04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 케이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038A KR20110014038A (ko) 2011-02-10
KR101075609B1 true KR101075609B1 (ko) 2011-10-21

Family

ID=43773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794A KR101075609B1 (ko) 2009-08-04 2009-08-04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 케이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56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13487B (zh) * 2022-03-16 2023-06-20 佛山电器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光触媒材料的喷涂工艺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038A (ko) 201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0620A (en) Inhibition of bacterial growth
US6093407A (en) Anti-microbial powder coatings
US6432416B1 (en) Anti-microbial power coating
US20200017694A1 (en) Ultra low cure powder coatings
KR101075609B1 (ko) 항균 코팅층이 구비된 유니트 쿨러 케이싱
CN113248957B (zh) 高性能建筑镶板涂层
CN100526395C (zh) 提高了远红外辐射性、抗菌性和耐溶剂性的油漆组合物,涂覆该组合物的预涂金属板
CA2410344A1 (en) Polyamide based antibacterial powder paint composition
WO2012034507A1 (en) Superdurable powder coating composition
US20040131785A1 (en) Heat dissipating coating and method for decreasing the inner temperature of buildings and similar constructions
RU2700876C2 (ru) Биоцидная порошковая композиция
US7534826B2 (en) Paint composition having improved far-infrared emissivity, antibiosis and solvent resistance, and precoated metal sheet coated the same
MXPA05000321A (es) Polvo de revestimiento que contiene antimicrobiano y metodo.
CN103952045A (zh) 抗菌亲水涂料
KR100673737B1 (ko) 무독성 나노항균 가전칼라 강판의 제조방법
JP7196723B2 (ja) 塗装金属板、防虫塗装金属板および外装建材
KR100748845B1 (ko) 코일코팅도장강판용 항균 및 탈취기능이 있는 도료의조성물 및 그 도장 강판
WO2023079488A1 (en) An antimicrobial polymer coating
JP2004250628A (ja) 粉体塗料組成物および金属塗装物
JP2000136107A (ja) 抗菌性組成物
KR20220040574A (ko) 향균 기능을 가지는 스테인리스 강판 제조방법
JPH08257493A (ja) 抗菌剤入り塗装鋼板および塗料
CN115141536A (zh) 一种抗菌彩色钢板及其生产工艺
JP2001300407A (ja) 線材組立体の塗装方法
JP2010112645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