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4436B1 - 카드 판독기능을 갖는 유에스비 장치 - Google Patents

카드 판독기능을 갖는 유에스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4436B1
KR101074436B1 KR1020090076601A KR20090076601A KR101074436B1 KR 101074436 B1 KR101074436 B1 KR 101074436B1 KR 1020090076601 A KR1020090076601 A KR 1020090076601A KR 20090076601 A KR20090076601 A KR 20090076601A KR 101074436 B1 KR101074436 B1 KR 101074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ase
cover
card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6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9048A (ko
Inventor
정현조
오상언
Original Assignee
(주) 큐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큐인테크 filed Critical (주) 큐인테크
Priority to KR1020090076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436B1/ko
Publication of KR20110019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1Employing a record carrier using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06F2212/214Solid state disk
    • G06F2212/2146Solid state disk being detachable, e.g.. USB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카드 판독기능을 갖는 유에스비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장치는, 내부에 메모리와 판독모듈이 내장되고 전면에 입출력 단자가 노출된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본체와 일정 간극의 삽입 슬롯을 형성하는 베이스; 및 상기 본체/베이스의 결합체를 내부에 수납하되, 상기 전면이 상기 내부에 수납되거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결합체가 피벗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USB, 스마트 카드, 슬롯, 간극, 커버, 소형화, 휴대형, 리더

Description

카드 판독기능을 갖는 유에스비 장치{USB DEVICE CAPABLE FOR READING CARD}
본 발명은 카드 판독기능을 갖는 유에스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면서 개인도 개인용 컴퓨터 단말기를 이용하여 정보 통신망에 접속하여 홈 쇼핑 등 전자상거래를 하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전자상거래의 지불 수단으로 집적회로 칩 카드를 매체로 이용한 선불카드가 각광받고 있다.
집적회로 칩 카드(Integrated Circuit Chip Card)는 스마트카드, 전자카드, IC 카드, 칩 카드, 마이크로프로세서 카드, CPU 카드 등 다양한 명칭으로 호칭되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운영체계 및 메모리소자(예컨대,'EEP ROM' 등)를 단일 칩(Chip)으로 집적한 집적회로 칩을 내장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집적 회로 칩 카드를 스마트카드로 명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스마트카드는 데이터 통신 방식에 따라 접촉식 카드와 비접촉식 카드로 분류되며, 접촉식 카드는 카드의 외측에 설치된 접촉 단자를 통해 카드 리더기와 접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비접촉식 카드는 카드 내에 내장된 안테나와 RF(Radio Frequency) 통신 모듈에 의해 RF 신호로 카드 리더기와 데이터를 송수신 한다.
이러한 스마트카드를 판독하기 위해서는 집적회로 칩 카드리더기가 개인용 컴퓨터 단말기에 연결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별도의 카드리더기를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적인 측면에서 부담이 되고, 특히 휴대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공개특허공보 제2006-14914호에서는 MP3 플레이어 하우징에 카드리더 슬롯을 구비한 스마트카드리더기 겸용 MP3 플레이어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구조에 의하면, MP3 플레이어가 카드리더 슬롯을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적어도 그 길이가 스마트카드의 폭보다 길어야 하므로 MP3 플레이어를 소형화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카드의 폭보다 작은 사이즈를 구비하면서 스마트카드의 판독기능을 갖는 유에스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내부에 메모리와 판독모듈이 내장되고 전면에 입출력 단자가 노출된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본체와 일정 간극의 삽입 슬롯을 형성하는 베이스; 및 상기 본체/베이스의 결합체를 내부에 수납하되, 상기 전면이 상기 내부에 수납되거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결합체가 피벗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카드 판독기능을 갖는 유에스비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에서 상기 커버에 수납되지 않는 측면의 한 부분과 이에 대응하는 베이스 부분에 각각 스토퍼가 상방과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돌출된 스토퍼에 대응하는 상기 커버의 부분에는 걸림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전면과 상기 측면에 대응하는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 걸림 턱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의 대향하는 상하면 내측에 각각 지지 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지지 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와 베이스에 각각 지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와 베이스에 상기 지지 홈을 감싸는 형태로 안내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는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커버와 피벗 가능하게 결합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은, 내부에 메모리와 판독모듈이 내장되고 전면에 입출력 단자가 노출된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본체와 일정 간극의 제 1 삽입 슬롯을 형성하는 베이스; 및 상기 본체/베이스의 결합체가 슬라이드 되어 내부에 수납되거나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삽입 슬롯이 형성된 측면에 대응하는 상기 커버의 측면에 제 2 삽입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삽입 슬롯이 합쳐져 카드가 삽입되는 슬롯을 형성하는 카드 판독기능을 갖는 유에스비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는 탄성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돌기의 단부에는 스토퍼가 돌출되며,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 대응하는 상기 커버의 측면에는 상기 탄성 돌기의 슬라이드를 안내하는 안내 홈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스토퍼가 끼워지는 걸림 홈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는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구조에 의하면, 휴대형이면서 스마트카드의 사이즈보다 작게 구현하여도 스마트카드를 삽입하여 판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에스비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 도이고, 도 2는 베이스(10)를 나타내고, 도 3은 본체(20)를 나타내며, 도 4는 커버(30)를 나타낸다.
베이스(10)
베이스(10)는 본체(20)와 결합하여 본체(20)와 함께 스마트카드(도 5의 100)가 삽입되는 삽입 슬롯(도 5의 25)을 형성한다.
베이스(10)는 단일의 몸체(12)로 이루어지며, 삽입 슬롯(25)이 형성되는 측면(12a)과 이에 인접하는 측면(12b)에 대향하는 측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걸림 턱(14)이 일체로 돌출된다. 걸림 턱(14)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마트 카드(100)가 삽입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걸림 턱(14)의 상면을 따라 본체(2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 돌기(15)가 형성되며, 이 결합 돌기(15)는 본체(20)의 하면에 형성된 결합 그루우브(미도시)에 끼워진다. 여기서, 베이스(10)와 본체(20)의 결합은 이 실시 예에 의한 방법 이외에 다른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걸림 턱(14)이 형성된 베이스(10)의 측면에는 하방으로 스토퍼(16)가 연장되는데, 이는 후술하는 본체(20)의 스토퍼(26)와 함께 베이스(10) 및 본체(20)의 커버(30)에의 삽입 정도를 제한함과 동시에 베이스(10) 및 본체(20)를 커버(30)로부터 인출할 때 파지부 역할을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10)의 이면에는 지지 홈(17), 보조 홈(19) 및 안내 홈(18)이 형성되는데, 안내 홈(18)은 지지 홈(17)을 감싸는 형태로 길게 형성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버(30)의 지지 돌기(37)는 지지 홈(17)에 끼워지고 보조 돌기(39)는 보조 홈(19)에 끼워져 있다가 베이스(10)가 회전할 때 안내 홈(18)을 따라 안내된다.
본체(20)
본체(20)는 유에스비 장치의 고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단일의 몸체(22)로 이루어지며, 몸체(22)의 전면에는 컴퓨터와의 연결을 위한 입출력 단자(21)가 노출된다.
몸체(22)의 내부에는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스마트카드(100)의 단자(102)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모듈이 내장되어 있다. 유에스비 장치에 적용되는 메모리와 스마트카드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모듈에 관련된 기술을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이스(10)에서 스토퍼(16)가 형성된 측면에 대응하는 몸체(22)의 측면에는 스토퍼(26)가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몸체(22)의 상면에는 베이스(10)의 이면에 형성된 지지 홈(17), 보조 홈(19) 및 안내 홈(18)과 동일한 형상의 지지 홈(27), 보조 홈(29) 및 안내 홈(28)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몸체(22)의 후면의 양측 모서리는 챔퍼(chamfer)를 형성하여 회전시 커버(30)와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커버(30)
커버(30)는 상하면과 인접하는 한 쌍의 측면으로 구성된 단일의 몸체(32)로 이루어져서, 베이스(10)와 본체(20)의 결합체를 수용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측면이 형성되지 않은 개구 부분을 통하여 이 결합체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도 4를 참조하면, 몸체(32)의 상면과 하면 내측에는 각각 지지 돌기(37)와 그 양쪽에 보조 돌기(39)가 돌출된다.
또한, 몸체(32)의 상면과 하면의 가장자리 중 개구 부분의 소정의 위치에는 걸림 홈(35, 36)이 형성되어 상기한 스토퍼(16, 26)가 끼워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30)의 몸체(32)의 사이즈는 스마트카드의 사이즈보다 작게 형성해도 된다. 그 이유는 스마트카드가 삽입되는 삽입 슬롯(25)은 커버(30)로만 형성되지 않고 커버(30)와 베이스(10)/본체(20)의 결합체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유에스비 장치의 조립과 동작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에스비 장치를 이용하여 스마트카드를 판독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먼저, 본체(20)의 이면에 베이스(10)를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의 실시 예와 같이, 베이스(10)의 걸림 턱(14) 위에 돌출된 결합 돌기(15)를 본체(20)의 이면에 형성된 결합 그루우브에 끼워 고정할 수 있다.
이어, 서로 결합한 베이스(10)와 본체(20)의 결합체를 커버(30)의 개구 부분을 통하여 삽입한 다음, 커버(30)의 하면 내측에 돌출된 지지 돌기(37)와 보조 돌 기(39)를 각각 베이스(10)의 이면에 형성된 지지 홈(17)과 보조 홈(19)에 끼우고, 커버(30)의 상면 내측에 돌출된 지지 돌기(37)와 보조 돌기(39)를 각각 본체(20)의 상면에 형성된 지지 홈(27)과 보조 홈(29)에 끼워 조립을 완료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이스(10)와 본체(20)의 스토퍼(16, 26)가 커버(30)의 걸림 홈(35, 36)에 삽입되어 걸리기 때문에 베이스(10)/본체(20)의 결합체는 더 이상 커버(30)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지 않는다.
이와 같이 조립된 유에스비 장치를 이용하여 스마트카드를 판독하고자 하는 경우, 손가락으로 베이스(10)와 본체(20)의 스토퍼(16, 26)를 잡고 회전시키면, 커버(30)의 상면과 하면 내측에 형성된 보조 돌기(39)가 각각 안내 홈(18, 28)에 삽입된 채 베이스(10)/본체(20)의 결합체가 안정적으로 회전한다.
이어, 베이스(10)/본체(20)의 결합체의 측면이 커버(30)의 측면과 접촉하면, 회전이 정지되어 베이스(10)와 본체(20)에 의해 형성된 삽입 슬롯(25)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커버(30) 내부의 수납공간과 삽입 슬롯(25)에 의해 형성되는 길이는 스마트카드(100)의 폭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스마트카드(100)를 삽입 슬롯(25)에 삽입하면, 본체(20)에 내장된 판독모듈은 스마트카드(100)의 단자(102)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판독하게 된다.
여기서, 스마트카드가 접촉식이면, 본체(20)의 이면에 접촉단자를 노출하면되고, 비접촉식이면 본체(20)에 접촉단자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본체(20)의 판독모듈의 제어부는, 가령, 스마트카드 삽입 여부를 판단하고 스마트카드가 삽입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판독부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여 스마트카드로부터 저장된 카드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판독이 완료된 경우에는, 스마트카드를 유에스비 장치로부터 뺀 다음, 베이스(10)/본체(20)의 결합체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커버(30)에 수납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이스(10)/본체(20)의 스토퍼(16, 26)가 커버(30)의 걸림 홈(35, 36)에 걸림으로써, 더 이상 삽입되지 않기 때문에 삽입 슬롯(25)이 커버(30) 내부의 측면에 접촉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에스비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a와 7b는 각각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의 일 실시 예와 차이가 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베이스(110)
베이스(110)는 본체(120)와 결합하여 본체(120)와 함께 스마트카드(도 5의 100)가 삽입되는 삽입 슬롯(도 7b의 125)을 형성한다.
베이스(110)는 단일의 몸체(112)로 이루어지며, 삽입 슬롯(125)이 형성되는 측면과 이에 인접하는 측면에 대향하는 측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걸림 턱(114)이 일체로 돌출된다. 걸림 턱(114)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마트 카드(100)가 삽입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걸림 턱(114)의 상면을 따라 본체(12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 돌기(115)가 형성되며, 이 결합 돌기(115)는 본체(120)의 하면에 형성된 결합 그루우브(미도시) 에 끼워진다. 여기서, 베이스(110)와 본체(120)의 결합은 이 실시 예에 의한 방법 이외에 다른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음은 상기의 일 실시 예와 동일하다.
본체(120)
본체(120)는 유에스비 장치의 고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단일의 몸체(122)로 이루어지며, 몸체(122)의 전면에는 컴퓨터와의 연결을 위한 입출력 단자가 노출된다.
상기의 일 실시 예와 같이, 몸체(122)의 내부에는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스마트카드(100)의 단자(102)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모듈이 내장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몸체(122)의 후면의 양측 모서리는 챔퍼(chamfer)를 형성하여 회전시 커버(130)와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몸체(122)의 측면에는 몸체(122)와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ㄱ"자 형상의 탄성 돌기(123)가 형성되고, 탄성 돌기(123)의 단부에는 스토퍼(124)가 상하로 연장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탄성 돌기(123)는 이격 공간에 의해 탄성을 가지며, 스토퍼(12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버(130)의 걸림 홈(137, 138)에 끼워져 본체(120)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한다.
커버(130)
커버(130)는 일 측면이 개구된 사각 통 형상의 단일의 몸체(132)로 이루어져 서, 베이스(110)와 본체(120)의 결합체를 수용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다.
커버(130)의 개구(131)가 형성된 측면에 인접하는 측면에는 각각 안내 홈(136)과 삽입 슬롯(135)이 형성된다.
안내 홈(136)은 상기의 탄성 돌기(123)가 끼워져 슬라이드 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일단과 타단 인접 위치에 각각 걸림 홈(137, 138)이 형성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120)의 탄성 돌기(123)에 형성된 스토퍼(124)가 끼워진다.
또한, 도 7a에 나타낸 것처럼, 삽입 슬롯(135)은 일단이 개구(131)에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130)의 몸체(132)의 사이즈는 스마트카드의 사이즈보다 작게 형성해도 된다. 그 이유는 스마트카드가 삽입되는 슬롯은 커버(130)의 삽입 슬롯(135)으로만 형성되지 않고 베이스(110)/본체(120)의 결합체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 슬롯(125)이 추가로 연장됨으로써 실제적인 슬롯의 길이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유에스비 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 7a와 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체(120)의 이면에 베이스(110)를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의 일 실시 예와 같이, 베이스(110)의 걸림 턱(114) 위에 돌출된 결합 돌기(115)를 본체(120)의 이면에 형성된 결합 그루우브에 끼워 고정할 수 있다.
이어, 서로 결합한 베이스(110)와 본체(120)의 결합체를 커버(130)의 개구(131)를 통하여 삽입한 다음, 본체(120)의 탄성 돌기(123)가 커버(130)의 내부로 부터 커버(130)의 안내 홈(136)을 통하여 돌출되도록 한다. 이때, 탄성 돌기(123)의 스토퍼(124)는 안내 홈(136)에 걸리기 때문에, 도 8과 같이 스토퍼(124)는 걸림 홈(137)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8과 같이 조립된 유에스비 장치를 이용하여 스마트카드를 판독하고자 하는 경우, 손가락으로 본체(120)의 탄성 돌기(123)를 누르면, 스토퍼(124)가 안쪽으로 탄성적으로 눌리면서 걸림 홈(137)을 벗어나게 되고, 이어 탄성 돌기(123)를 앞으로 밀면 안내 홈(136)을 따라 슬라이드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본체(120)와 베이스(110)의 조립체의 일부분이 커버(130)의 개구(131)로부터 외부로 돌출된다. 여기서, 탄성 돌기(123)의 스토퍼(124)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걸림 홈(138)에 다시 끼워짐으로써 돌출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이때, 도 7b에 나타낸 것처럼, 커버(130) 자체에 형성된 삽입 슬롯(135)과 본체(120)와 베이스(110)에 의해 형성된 삽입 슬롯(125)의 합해져 실제의 슬롯이 형성되기 때문에 스마트카드(100)의 폭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스마트카드(100)를 슬롯(125, 135)에 삽입하면, 본체(120)에 내장된 판독모듈은 스마트카드(100)의 단자(102)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판독하게 된다.
판독이 완료된 경우에는, 스마트카드를 유에스비 장치로부터 뺀 다음, 손가락으로 본체(120)의 탄성 돌기(123)를 누르면, 스토퍼(124)가 안쪽으로 탄성적으로 눌리면서 걸림 홈(138)을 벗어나게 되고, 이어 탄성 돌기(123)를 뒤로 밀면 안내 홈(136)을 따라 슬라이드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본체(120)와 베이스(110)의 조립체는 커버(130)의 내부에 완전히 수납된다. 여기서, 탄성 돌기(123)의 스토퍼(124)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걸림 홈(137)에 다시 끼워짐으로써 수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베이스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본체와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커버의 하면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부분만 본체와 일정한 간극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하고 나머지 부분은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에스비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베이스(10)를 나타내고, 도 3은 본체(20)를 나타내며, 도 4는 커버(30)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에스비 장치를 이용하여 스마트카드를 판독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에스비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a와 7b는 각각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Claims (9)

  1. 내부에 메모리와 판독모듈이 내장되고 전면에 입출력 단자가 노출된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본체와 일정 간극의 슬롯을 형성하는 베이스; 및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와 상기 베이스가 결합하여 구성된 결합체가 피벗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슬롯과 상기 수납공간이 연속하게 이어져 카드가 삽입되는 삽입 슬롯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판독기능을 갖는 유에스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서 상기 커버에 수납되지 않는 측면의 한 부분과 이에 대응하는 베이스 부분에 각각 스토퍼가 상방과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돌출된 스토퍼에 대응하는 상기 커버의 부분에는 걸림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판독기능을 갖는 유에스비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면과 상기 측면에 대응하는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 걸림 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판독기능을 갖는 유에스비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하면 내측에 각각 지지 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지지 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와 베이스에 각각 지지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판독기능을 갖는 유에스비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베이스에 상기 지지 홈을 감싸는 형태로 안내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판독기능을 갖는 유에스비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커버와 피벗 가능하게 결합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판독기능을 갖는 유에스비 장치.
  7. 내부에 메모리와 판독모듈이 내장되고 전면에 입출력 단자가 노출된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본체와 일정 간극의 제 1 삽입 슬롯을 형성하는 베이스; 및
    상기 본체/베이스의 결합체가 슬라이드 되어 내부에 수납되거나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삽입 슬롯이 형성된 측면에 대응하는 상기 커버의 측면에 제 2 삽입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삽입 슬롯이 합쳐져 카드가 삽입되는 슬롯 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판독기능을 갖는 유에스비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는 탄성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돌기의 단부에는 스토퍼가 돌출되며,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 대응하는 상기 커버의 측면에는 상기 탄성 돌기의 슬라이드를 안내하는 안내 홈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스토퍼가 끼워지는 걸림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판독기능을 갖는 유에스비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판독기능을 갖는 유에스비 장치.
KR1020090076601A 2009-08-19 2009-08-19 카드 판독기능을 갖는 유에스비 장치 KR101074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601A KR101074436B1 (ko) 2009-08-19 2009-08-19 카드 판독기능을 갖는 유에스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601A KR101074436B1 (ko) 2009-08-19 2009-08-19 카드 판독기능을 갖는 유에스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048A KR20110019048A (ko) 2011-02-25
KR101074436B1 true KR101074436B1 (ko) 2011-10-17

Family

ID=43776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6601A KR101074436B1 (ko) 2009-08-19 2009-08-19 카드 판독기능을 갖는 유에스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44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847Y1 (ko) 2003-07-21 2003-10-10 씽크텔코리아(주) 스마트카드리드기 겸용 유에스비 드라이브 장치
JP2006324191A (ja) 2005-05-20 2006-11-30 Smart Wireless Kk カードホルダ
US20070108279A1 (en) 2005-11-14 2007-05-17 A-Men Technology Corporation Unfold smart-card card reader
KR100842484B1 (ko) 2006-10-30 2008-07-01 탁승호 접촉 및 비접촉식 스마트카드용 단말기와 그 단말기 회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847Y1 (ko) 2003-07-21 2003-10-10 씽크텔코리아(주) 스마트카드리드기 겸용 유에스비 드라이브 장치
JP2006324191A (ja) 2005-05-20 2006-11-30 Smart Wireless Kk カードホルダ
US20070108279A1 (en) 2005-11-14 2007-05-17 A-Men Technology Corporation Unfold smart-card card reader
KR100842484B1 (ko) 2006-10-30 2008-07-01 탁승호 접촉 및 비접촉식 스마트카드용 단말기와 그 단말기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048A (ko) 201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7488A (en) Combination chip card reader
JP5366401B2 (ja) 位置決め性能を改善したマルチプラグsimカード
US7427206B2 (en) Card connector
US6234844B1 (en) Electronic card connector
US7703692B2 (en) Memory card
US7659606B2 (en) Contacting unit
US6443361B1 (en) PC-card chip-card reader
JP2004086859A (ja) 多種のフラッシュメモリカードが挿入できる汎用スロット
KR20070012404A (ko) 접촉들의 2가지 표준 세트들을 갖는 메모리 카드들
KR100717739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
US20020064023A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US20050247784A1 (en) Chipcard reader in pc-card format
WO2006121071A1 (ja)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US6390855B1 (en) Expansion slot adapter for a palm held computer
CN111697399A (zh) 用于移动通信终端的多卡插座及包括其的多卡连接器
JP4530318B2 (ja) プラグイン型icカード用アダプタ
KR101074436B1 (ko) 카드 판독기능을 갖는 유에스비 장치
KR101057236B1 (ko) 카드 커넥터
KR100675415B1 (ko) Ic 칩에 접속되는 휴대 단말 장치
JP3768171B2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のイジェクト機構
KR200378095Y1 (ko) Usb 단자를 구비한 카드
TWI421779B (zh) 讀卡裝置
JP6855031B2 (ja) Icカード、および、icカード充電用コネクタ
KR100881327B1 (ko)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sim 카드
KR100625513B1 (ko) 지갑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