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4190B1 -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에 대한 기록-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에 대한 기록-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4190B1
KR101074190B1 KR1020110012774A KR20110012774A KR101074190B1 KR 101074190 B1 KR101074190 B1 KR 101074190B1 KR 1020110012774 A KR1020110012774 A KR 1020110012774A KR 20110012774 A KR20110012774 A KR 20110012774A KR 101074190 B1 KR101074190 B1 KR 101074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hooting
processing unit
information processing
instrument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복겸
Original Assignee
김복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복겸 filed Critical 김복겸
Priority to KR1020110012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14Indirect aiming means
    • F41G3/16Sighting devices adapted for indirect laying of fi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에 대한 기록-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는 전차, 전함의 포탑 구조물을 포함하는 각종 전투용 구조물에 배치되는 각 사격임무 수행자의 포술 수행 동작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영상정보 처리유니트와; 각 사격임무 수행자의 포술 수행과 관련한 음성 소통 과정을 녹음하여 음성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음성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음성정보 처리유니트 및; 각종 사격용 조작기구에 설치되는 센서를 통해 각 사격임무 수행자의 사격용 조작기구 조작 동작을 감지하여 기구조작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기구조작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기구조작정보 처리유니트를 포함하여, 영상정보 처리유니트, 음성정보 처리유니트, 기구조작정보 처리유니트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정보, 음성정보, 기구조작정보를 통해 각 사격임무 수행자의 포술을 감시하고 평가하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포술 기록-감시 시스템은, 전차, 전함 등에 설치되는 포탑 구조물과 같은 각종 전투용 구조물에 인원배치되는 각 사격임무 수행자가 포술 훈련 또는 전투상황에서 포술을 수행하는 과정이 기록되는 시스템의 제공으로 각 사격임수 수행자의 포술 수행의 적절성이 감시되고 평가될 수 있어 포술 훈련시 각 사격임수 수행자의 고벽이 교정되고 포술 훈련의 교육효과가 증대될 수 있는 한편, 포술 훈련이나 전투상황에서 사격임무의 지휘 통제가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에 대한 기록-감시 시스템{Record and observation system for gunnery in combat structure}
본 발명은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에 대한 기록-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전차, 전함 등에 설치되는 포탑 구조물과 같은 각종 전투용 구조물에 인원배치되는 각 사격임무 수행자가 포술 훈련 또는 전투상황에서 포술을 수행하는 과정이 기록되는 시스템의 제공으로 각 사격임수 수행자의 포술 수행의 적절성과 안전사항 위반사항 등이 감시되고 평가될 수 있어 포술 훈련시 각 사격임수 수행자의 고벽이 교정되고 포술 훈련의 교육효과가 증대될 수 있는 한편, 포술 훈련이나 전투상황에서 사격임무의 지휘 통제가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에 대한 기록-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군대에서는 전쟁(war)이나 적의 국지적인 도발에 따른 전투(combat)에 대비한 다양한 훈련이 실시되고 있는데, 전차, 전함 등의 포탑 구조물을 운용하여 목표물이나 목표지역을 사격하는 포술의 경우 사격임무 수행자에 의해 목표물이나 목표지역의 조준이나 조준의 조정이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임에 따라, 포술 훈련의 반복적인 수행을 통해 사격임수 수행자의 조준 및 사격 능력 향상과, 사격임수 지휘/통제자의 지휘통제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전차{현재 우리나라에서는 K-1, K-1A1, K-2, K21, M48 계열의 전차가 운용되고 있음}는 철조망의 제거와 적의 기관총 공격에 대응할 목적으로 영국에 의해 제1차 세계대전 중에 개발되었는데, 기동성이 뛰어난 특성에 따라 기동전의 주력장비로 현재 운용되고 있어 전쟁이나 전투 상황에서 그 활용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전차는 이동하면서 조준 및 사격이 수행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사격임무 수행자나 사격임수 지휘/통제자의 포술 능력이 전쟁이나 전투 수행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군대에서는 전차 포술 훈련이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한편, 전차나 포탄, 탄약을 실제로 운용하는 전차 포술 훈련의 경우, 훈련에 따르는 훈련 비용, 훈련 시간, 훈련 인원의 확보에 번거로움이 많으므로, 이를 보완할 목적으로 전차 포술 훈련을 시뮬레이터를 통해 가상으로 수행하는 장치가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88202호 "모의 전차 포술 및 조종 훈련용 시물레이터의 제어방법,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4-0057458호 "K 1 전차 포술 훈련장치의 제어방법", 공개번호 제10-2004-0057460호 "K 1 전차 포술 훈련장치의 제어장치" 등이 안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차 포술 훈련용 시뮬레이터는 가상적으로 포술 훈련을 수행하는 것임에 따라, 긴장감이 떨어져 훈련 효과가 그리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으므로, 실제 전차 포술 훈련의 교육 효과를 극대화시켜 사격임무 수행자나 사격임수 지휘/통제자의 포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었다. 이와 같이 실제 전차 포술 훈련의 교육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전차장(tank commander), 포수(gunner), 탄약수(ammunition soldier)와 같은 각 사격임무 수행자가 규정된 절차나 규정된 기준에 맞추어 포술 수행을 하고 있는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고, 각 사격임무 수행자의 포술 수행 동작의 적절성과 각 사격임무 수행자 간 의사소통의 적절성 등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각 사격임무 수행자의 포술 수행 동작이 곧바로 판별/평가되고 교정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각 사격임무 수행자의 고벽(痼癖)도 고쳐질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격임무 지휘/통제자가 포술 훈련이나 실제 전투시의 사격 간에 사격임무 수행자가 인원배치된 장소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통해 사격임무 수행자를 적절하게 지휘하고 통제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포술 훈련 또는 전투상황에서 요구되고 있는 개선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영상정보 처리유니트, 음성정보 처리유니트, 기구조작정보 처리유니트를 구비하여 사격임수 수행자의 포술 수행 동작에 관한 영상정보, 포술 수행과 관련한 음성 소통 과정에 관한 음성정보, 사격용 조작기구의 조작 동작에 관한 기구조작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사격임무 수행자의 포술 관련 동작이나 조작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평가함으로써 포술 훈련의 교육효과나 전투시의 포술 능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에 대한 기록-감시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차 포술 훈련에 적용되어 포수와 탄약수의 포술 수행동작, 포수 직사 조준경의 조준위치와 정렬 상태, 전차장의 영상 조준경의 조준위치와 정렬 상태를 촬영하여 기록/평가/관리/통제 되도록 함에 따라, 포술 훈련시 각 사격임무 수행자의 임무수행 능력과 보완점이 정확하게 파악되어 교정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에 대한 기록-감시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수 전동손잡이에 배치되는 사거리측정용 스위치, 방위각 추적용 스위치, 팜 스위치에 센서가 설치되어 포수에 의한 포수 전동손잡이 조작절차의 적절성과 스위치 조작의 적절성이 파악되고 교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수의 사격임무 수행 능력과 동작 적절성이 정밀하고 정확하게 파악되고 평가될 수 있고, 포수의 고벽도 교정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에 대한 기록-감시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에 대한 기록-감시 시스템은, 전차, 전함의 포탑 구조물을 포함하는 각종 전투용 구조물에 배치되는 각 사격임무 수행자의 포술 수행 동작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영상정보 처리유니트와; 상기 각 사격임무 수행자의 포술 수행과 관련한 음성 소통 과정을 녹음하여 음성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음성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음성정보 처리유니트 및; 각종 사격용 조작기구에 설치되는 센서를 통해 상기 각 사격임무 수행자의 사격용 조작기구 조작 동작을 감지하여 기구조작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기구조작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기구조작정보 처리유니트를 포함하여, 상기 영상정보 처리유니트, 음성정보 처리유니트, 기구조작정보 처리유니트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영상정보, 음성정보, 기구조작정보를 통해 상기 각 사격임무 수행자의 포술을 감시하고 평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에 대한 기록-감시 시스템에서 상기 영상정보 처리유니트는 각 사격임무 수행자의 포술 수행 동작을 촬영하는 다수개의 촬영기구와; 상기 다수개의 촬영기구와 연결되어 영상정보를 생성하게 되는 영상정보 생성기구와; 상기 영상정보 생성기구와 연결되어 생성된 영상정보를 외부로 전달하게 되는 송신기구와; 상기 송신기구와 통신하여 영상정보를 수신하게 되는 수신기구와; 상기 수신기구와 연결되어 수신된 영상정보를 저장하게 되는 영상정보 저장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음성정보 처리유니트는 각 사격임무 수행자의 음성 소통 과정을 녹음하는 다수개의 녹음기구와; 상기 다수개의 녹음기구와 연결되어 음성정보를 생성하게 되는 음성정보 생성기구와; 상기 음성정보 생성기구와 연결되어 생성된 음성정보를 외부로 전달하게 되는 송신기구와; 상기 송신기구와 통신하여 음성정보를 수신하게 되는 수신기구와; 상기 수신기구와 연결되어 수신된 음성정보를 저장하게 되는 음성정보 저장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에 대한 기록-감시 시스템에서 상기 촬영기구는 포수의 포술 수행동작을 촬영하는 제1촬영기와; 탄약수의 포술 수행동작을 촬영하는 제2촬영기와; 포수 직사 조준경을 촬영하여 상기 포수 직사 조준경의 조준위치와 정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제3촬영기와; 상기 포수와 탄약수를 지휘하는 현장책임자(commander)의 영상 조준경을 촬영하여 상기 영상 조준경의 조준위치와 정렬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제4촬영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에 대한 기록-감시 시스템에서 상기 기구조작정보 처리유니트는 포수 전동손잡이에 설치되어 상기 포수의 포수 전동손잡이 조작 동작을 센싱하게 되는 센서와; 상기 센서와 연결되어 기구조작정보를 생성하게 되는 기구조작정보 생성기와; 상기 기구조작정보 생성기구와 연결되어 생성된 기구조작정보를 외부로 전달하게 되는 송신기구와; 상기 송신기구와 통신하여 기구조작정보를 수신하게 되는 수신기구와; 상기 수신기구와 연결되어 수신된 기구조작정보를 저장하게 되는 기구조작정보 저장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기구조작정보 생성기구와 기구조작정보 저장기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는 미리 설정된 포수 전동손잡이 조작 동작의 기구조작 기준정보와 생성된 기구조작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기구조작정보와 상기 기구조작 기준정보 간 변위값을 산출하는 연산기를 구비하여 상기 포수의 포수 전동손잡이 조작 동작의 적절성 유무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에 대한 기록-감시 시스템에서 상기 센서는 상기 포수 전동손잡이에 형성되는 사거리측정용 스위치, 방위각 추적용 스위치, 팜 스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포수의 사격간 스위치 조작 여부와, 스위치 누름시간의 적절성 여부가 판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에 대한 기록-감시 시스템은, 사격임수 수행자의 포술 수행에 관한 영상정보, 음성정보, 기구조작정보의 실시간 생성을 통해 포술 수행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됨에 따라, 포술 수행의 평가와 통제 및 교정, 안전사항 위반 유무의 판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포술 훈련의 교육효과나 전투시의 포술 능력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포수와 탄약수의 포술 수행동작, 포수 직사 조준경의 조준위치와 정렬 상태, 전차장의 영상 조준경의 조준위치와 정렬 상태가 실시간으로 파악되고 평가되어 전차 승무원의 임무수행 보완점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교정될 수 있으며, 이로써 전차 승무원의 임무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포수의 포수 전동손잡이 조작절차 적절성과 스위치 조작 적절성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되고 교정될 수 있어 포수의 고벽을 교정하여 포수의 임무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사격임수 수행자의 포술 수행에 관한 영상정보, 음성정보, 기구조작정보의 실시간 생성되어 사격임무 지휘/통제자에게 제공될 수 있음에 따라, 현장에서 떨어진 지휘/통제실이나 지휘/통제구역에 위치한 사격임무 지휘/통제자가 현장과 동일한 현실감을 가지며 사격 지휘/통제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격임무 지취/통제자의 지휘/통제 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사격임무 지휘/통제자는 훈련 종류나 전투 종류 후 사격임무에 관한 즉각적인 강평을 통해 포술 훈련이나 전투 시의 오류에 관한 교정을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술 훈련이나 전투 현장의 상황이 영상정보, 음성정보, 기구조작정보의 실시간 생성을 통해 사격임수 지휘/통제자에게 제공됨에 따라, 사격임수 지휘/통제자의 적절한 지휘/통제를 통해 각 사격임무 수행자는 포술 훈련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동시에 가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에 대한 기록-감시 시스템의 기술적 사상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에 대한 기록-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에 대한 기록-감시 시스템에서 포수의 포수 전동손잡이 조작동작의 적절성 유무를 판별하는 프로세스플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에 대한 기록-감시 시스템의 기술적 사상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에 대한 기록-감시 시스템(100)은 전차, 전함 등의 포탑(turnet) 구조물 내부에서 포사격을 수행하는 사격임무 수행자의 포술 수행 동작을 파악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전투용 구조물에 적용되어 포술 훈련이나 실제 전투에서 사격임무 수행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전차 포술 훈련에 적용되어 전차장, 포수, 탄약수와 같은 사격임무 수행자의 포술 수행 동작을 파악하고, 감시하며, 교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현재 우리나라에서 운용되고 있는 K-1, K-1A1, K-2, K21, M48 계열의 전차의 포술 훈련에 본 발명에 따른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에 대한 기록-감시 시스템(100)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에 대한 기록-감시 시스템(100)이 전차에 적용될 경우, 사격임무 수행자는 전차의 포탑 내부에 인원배치되는 전차장, 포수, 탄약수가 된다.
이와 같은 포술 기록-검사 시스템(100)은 영상정보 처리유니트(20), 음성정보 처리유니트(40), 기구조작정보 처리유니트(6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영상정보 처리유니트(20)는 각 사격임무 수행자의 포술 수행 동작{각 사격임무 수행자에 의해 조작되는 사격용 조작기구의 조작동작도 포함}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영상정보 처리유니트(20)는 촬영기구(21)를 구비한다. 여기서, 촬영기구(21)는 영상정보를 생성하여 기록하고 감시할 사격임무 수행자의 인원수와 사격임무 수행자에 의해 조작되는 사격용 조작기구에 대응하는 갯수로 구비된다.
영상정보 처리유니트(20)는 실시간으로 영상정보를 생성하여 각 사격임무 수행자의 포술 수행 동작을 실시간으로 기록하고 감시할 수 있다.
음성정보 처리유니트(40)는 각 사격임무 수행자의 포술 수행과 관련한 음성 소통 과정을 녹음하여 음성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음성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음성정보 처리유니트(40)는 녹음기구(41)를 구비하는데, 녹음기구(41)는 음성정보를 생성하여 기록하고 감시할 사격임무 수행자의 인원수에 대응하는 갯수로 구비된다.
음성정보 처리유니트(40)도 실시간으로 음성정보를 생성하여 각 사격임무 수행자 간 음성 소통 과정을 실시간으로 기록하고 감시할 수 있다.
기구조작정보 처리유니트(60)는 각 사격임무 수행자의 사격용 조작기구(1) 조작 동작을 감지하여 기구조작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기구조작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기구조작정보 처리유니트(60)는 각종 사격용 조작기구(1)에 설치되는 센서(61)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기구조작정보 처리유니트(60)도 실시간으로 기구조작정보를 생성하여 각 사격임무 수행자의 사격용 조작기구(1) 조작동작을 실시간으로 기록하고 감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영상정보 처리유니트(20), 음성정보 처리유니트(40), 기구조작정보 처리유니트(60)는 전원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에 대한 기록-감시 시스템(100)은 영상정보 처리유니트(20), 음성정보 처리유니트(40), 기구조작정보 처리유니트(60)를 통해 사격 훈련 현장이나 실제 전투상황의 사격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사격임무 수행자의 각종 포술 관련 영상정보, 음성정보, 기구조작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정보, 음성정보, 기구조작정보를 현장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의 지휘/통제실이나 지휘/통제구역에 위치한 사격임무 지휘/통제자에게 제공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사격임무 지휘/통제자는 각 사격임무 수행자의 해당임무 수행절차, 조준절차, 안전사항 위반 여부 등의 포술을 실시간으로 감시/감독/통제/평가할 수 있게 되고, 더불어 사격임무 수행자의 포술에 대한 교정도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사격임수 수행자의 포술에 대한 평가나 교정은 사격 훈련이나 실제 전투상황의 종료 후에 곧바로 수행될 수도 있고, 일정시간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각 사격임무 수행자의 포술 관련 동작이나 조작과 각 사격임무 수행자간 의사소통이 기록으로 저장됨에 따라, 각 사격임무 수행자나 사격임무 지휘/통제자는 언제 어디서나 기록으로 저장된 영상정보, 음성정보, 기구조작정보를 확인하여 각 사격임무 수행자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단점이나 고벽을 교정할 수 있게 되어 포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전차,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 영상 장치, 음성 장치, 통신 장치, 센서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에 대한 기록-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에 대한 기록-감시 시스템에서 포수의 포수 전동손잡이 조작동작의 적절성 유무를 판별하는 프로세스플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에 대한 기록-감시 시스템(100)은 전차(현재 우리나라에서 운용되고 있는 K-1, K-1A1, K-2, K21, M48 계열의 전차도 포함)의 포술 훈련에 적용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포술 기록-감시 시스템(100)의 영상정보 처리유니트(20)는 촬영기구(21), 영상정보 생성기구(22), 송신기구(23), 수신기구(24), 영상정보 저장기구(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촬영기구(21)는 각 사격임무 수행자의 포술 수행 동작을 촬영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촬영기구(21)는 포수의 포술 수행동작을 촬영하는 제1촬영기(211), 탄약수의 포술 수행동작을 촬영하는 제2촬영기(212), 포수 직사 조준경을 촬영하여 포수 직사 조준경의 조준위치와 정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제3촬영기(213), 포수와 탄약수를 지휘하는 현장책임자(commander:전차장)의 영상 조준경을 촬영하여 영상 조준경의 조준위치와 정렬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제4촬영기(214)를 포함하고, 별도의 예비 촬영기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차장의 영상 조준경을 촬영하는 제4촬영기(214)는 열영상장비가 사용될 수 있다.
영상정보 생성기구(22)는 다수개의 촬영기구(21)와 연결되어 영상정보를 생성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영상정보 생성기구(22)는 촬영기구(21)가 아날로그 방식일 경우에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시킨 후 영상신호를 정보화시킨 영상정보를 생성하게 되며, 촬영기구(21)가 디지털 방식일 경우에는 촬영기구(21)로부터 곧바로 디지털 영상신호를 전달받아 영상신호를 정보화시킨 영상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영상정보 생성기구(22)는 다수개의 촬영기구(21)로부터 전달되어 수집되는 영상정보를 통합하여 송신기구(23)로 전달하게 된다.
송신기구(23)는 영상정보 생성기구(22)와 연결되어 생성된 영상정보를 외부의 수신기구(24)로 전달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송신기구(23)는 무선송신기(231)를 구비하여 영상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게 된다.
수신기구(24)는 무선수신기(241)를 구비하여 송신기구(23)의 무선수신기(241)와 통신하여 영상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게 된다.
영상정보 저장기구(25)는 수신기구(24)와 연결되어 수신된 영상정보를 저장하게 되는 것으로, 영상정보 저장기구(25)로는 음성정보 저장기구(45)와 통합되어 DVR(Digital Video Recorder)(70)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촬영기구(21), 영상정보 생성기구(22), 송신기구(23)는 사격임무 수행자(전차장, 포수, 탄약수)가 위치하는 전차 포술 훈련 현장의 포탑 내부에 배치되고, 수신기구(24), 영상정보 저장기구(25)는 사격임무 지휘/통제실이나 사격임무 지휘/통제자가 위치하게 되는 지휘/통제 구역에 배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에 대한 기록-감시 시스템(100)의 음성정보 처리유니트(40)는 다수개의 녹음기구(41), 음성정보 생성기구(42), 송신기구(43), 수신기구(44), 음성정보 저장기구(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음성정보 생성기구와 연결되어 생성된 음성정보를 외부로 전달하게 되는 송신기구와; 상기 송신기구와 통신하여 음성정보를 수신하게 되는 수신기구와; 상기 수신기구와 연결되어 수신된 음성정보를 저장하게 되는 음성정보 저장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녹음기구(41)는 각 사격임무 수행자의 음성 소통 과정을 녹음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녹음기구(41)는 전차장이 사격임무 지휘/통제자나 포수, 탄약수와 음성으로 의사소통하는 과정을 녹음하는 제1녹음기(411), 포수의 음성 의사소통을 녹음하는 제2녹음기(412), 탄약수의 음성 의사소통을 녹음하는 제3녹음기(413)를 포함하고, 별도의 예비 녹음기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녹음기구(41)는 통제용 무전기나 사격지휘용 통신단말기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음성정보 생성기구(42)는 다수개의 녹음기구(41)와 연결되어 음성정보를 생성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음성정보 생성기구(42)는 녹음기구(41)가 아날로그 방식일 경우에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시킨 후 음성신호를 정보화시킨 음성정보를 생성하게 되며, 녹음기구(41)가 디지털 방식일 경우에는 녹음기구(41)로부터 곧바로 디지털 음성신호를 전달받아 음성신호를 정보화시킨 음성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음성정보 생성기구(42)는 다수개의 녹음기구(41)로부터 전달되어 수집되는 음성정보를 통합하여 송신기구(43)로 전달하게 된다.
송신기구(43)는 음성정보 생성기구(42)와 연결되어 생성된 음성정보를 외부의 수신기구(44)로 전달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송신기구(43)는 무선송신기(431)를 구비하여 음성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게 되고, 수신기구(44)는 무선수신기(441)를 구비하여 송신기구(43)의 무선수신기(441)와 통신하여 음성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게 된다.
음성정보 저장기구(45)는 수신기구(44)와 연결되어 수신된 음성정보를 저장하게 되는 것으로, 음성정보 저장기구(45)로는 영상정보 저장기구(25)와 통합되어 DVR(Digital Video Recorder)(70)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녹음기구(41), 음성정보 생성기구(42), 송신기구(43)는 사격임무 수행자(전차장, 포수, 탄약수)가 위치하는 전차 포술 훈련 현장의 포탑 내부에 배치되고, 수신기구(44), 음성정보 저장기구(45)는 사격임무 지휘/통제실이나 사격임무 지휘/통제자가 위치하게 되는 지휘/통제 구역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에 대한 기록-감시 시스템(100)의 기구조작정보 처리유니트(60)는 다수개의 센서(61), 기구조작정보 생성기구(62), 송신기구(63), 수신기구(64), 기구조작정보 저장기구(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센서(61)는 포수 전동손잡이(2)에 설치되어 포수의 포수 전동손잡이(2) 조작 동작을 센싱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센서(61)는 포수 전동손잡이(2)에 형성되는 사거리측정용 스위치(2a)에 설치되는 제1센서(611), 포수 전동손잡이(2)에 형성되는 방위각추적용 스위치(2b)에 설치되는 제2센서(612), 포수 전동손잡이(2)에 형성되는 팜 스위치(2c)에 설치되는 제3센서(613)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61)는 초박형 스트레인 센서를 사용하여 포수가 포수 전동손잡이(2)을 조작할 시 조작동작이 센서(61)에 의한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61)는 각 스위치(2a)(2b)(2c)를 누르는 포수의 조작동작에 따른 압력지속 시간을 감지하여 각 스위치(2a)(2b)(2c)의 조작 여부나 각 스위치(2a)(2b)(2c)의 누름시간의 적절성 여부가 판단될 수 있도록 한다.
기구조작정보 생성기구(62)는 센서(61)와 연결되어 센서(61)로부터 입력되는 기구조작신호를 통해 기구조작정보를 생성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기구조작정보 생성기구(62)는 다수개의 센서(61)로부터 전달되어 수집되는 기구조작정보를 통합하여 송신기구(63)로 전달하게 된다.
송신기구(63)는 기구조작정보 생성기구(62)와 연결되어 생성된 기구조작정보를 외부의 수신기구(64)로 전달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송신기구(63)는 무선송신기(631)를 구비하여 음성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게 되고, 수신기구(64)는 무선수신기(641)를 구비하여 송신기구(63)의 무선수신기(641)와 통신하여 기구조작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게 된다.
여기서, 영상정보 처리유니트(20), 음성정보 처리유니트(40), 기구조작정보 처리유니트(60)의 송신기구(23)(43)(63)와 수신기구(24)(44)(64)는 하나로 통합되어 사용되는데, 물론, 각 영상정보 처리유니트(20), 음성정보 처리유니트(40), 기구조작정보 처리유니트(60)가 별도의 송신기구(23)(43)(63)와 수신기구(24)(44)(64)를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기구조작정보 저장기구(65)는 수신기구(64)와 연결되어 수신된 기구조작정보를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센서(61), 기구조작정보 생성기구(62), 송신기구(63)는 사격임무 수행자(전차장, 포수, 탄약수)가 위치하는 전차 포술 훈련 현장의 포탑 내부에 배치되고, 수신기구(64), 기구조작정보 저장기구(65)는 사격임무 지휘/통제실이나 사격임무 지휘/통제자가 위치하게 되는 지휘/통제 구역에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구조작정보 처리유니트(60)는 기구조작정보 생성기구(62)나 기구조작정보 저장기구(65)에 연산기(66)가 구비되도록 하는데, 이와 같은 연산기(66)는 도 3에서와 같이 미리 설정된 포수 전동손잡이 조작 동작의 기구조작 기준정보와 센서(61)를 통해 센싱되어 생성되는 기구조작정보를 비교하고, 기구조작정보와 기구조작 기준정보 간 변위값을 산출하여 포수의 포수 전동손잡이 조작 동작의 적절성 유무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구조작정보 처리유니트(60)는 포수 전동손잡이에 형성되는 사거리측정용 스위치(2a)의 기준 누름시간(T₁), 방위각추적용 스위치(2b)의 기준 누름시간(T₂), 팜 스위치(2c)의 기준 누름시간(T₃)을 기준정보로 미리 설정한 후, 각 센서(611)(612)(613)로부터 센싱되어 생성되는 사거리측정용 스위치(2a)의 누름시간(t₁), 방위각추적용 스위치(2b)의 누름시간(t₂), 팜 스위치(2c)의 누름시간(t₃)와 비교하여 기구조작정보와 기구조작 기준정보 간 변위값(S₁= T₁-t₁, S₂= T₂-t₂, S₃=T₃-t₃)을 산출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산출되는 변위값을 통해 포수가 사격시 사거리측정용 스위치(2a), 방위각추적용 스위치(2b), 팜 스위치(2c)를 조작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사거리측정용 스위치(2a), 방위각추적용 스위치(2b), 팜 스위치(2c)의 누름시간의 적절성 여부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격임무 지휘/통제실이나 사격임무 지휘/통제자가 위치하는 사격임무 통제구역에는 영상정보 처리유니트(20), 음성정보 처리유니트(40), 기구조작정보 처리유니트(60)와 접속될 수 있는 모니터(80)나 노트북과 같은 컴퓨터(90)가 구비되어 영상정보, 음성정보, 기구조작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노트북과 같은 컴퓨터(90)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영상정보 처리유니트(20)의 수신기구(24)와 영상정보 저장기구(25), 음성정보 처리유니트(40)의 수신기구(24)와 음성정보 저장기구(45), 기구조작정보 처리유니트(60)의 수신기구(24)와 기구조작정보 저장기구(65)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에 대한 기록-감시 시스템(100)은 전차 포술 훈련시 고정표적 사격 훈련이나 이동표적 사격 훈련에 적용될 수 있다.
고정표적 사격 훈련절차는 다음과 같다.
1)포수 조종판의 사격방법 선택스위치를 "정상"으로 선택한다.
2)화기 선택을 "주포"나 "공축"(기관총)으로 한다.
3)탄종을 선택한다.
4)사거리선택 스위치를 조작하는데, 원거리 표적일 경우나 장애물이 많은 지역일 경우에는 "최초"를 선택하고, 시계가 양호한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최종"을 선택한다.
여기서, 1)~4)의 절차는 영상정보 처리유니트(20)를 통해 기록하고 확인하게 된다.
5)포수 조준경을 통해 표적을 확인하는데, 포수는 사격명령시 포수 조준경 결합체에 부착된 배율선택 스위치를 넓은 지역 관측일 경우 3배를 설정하고, 정밀 조준을 위하여 표적을 확대할 필요가 있을 경우 8배로 설정한다. 이와 같은 5)의 절차도 영상정보 처리유니트(20)를 통해 기록하고 확인하게 된다.
6)탄약수는 탄을 장전하는데, 이 과정에서 탄약수의 안전사항 위반 유무를 영상정보 처리유니트(20)를 통해 기록하고 확인하게 된다.
7)포수가 포수 전동손잡이에 형성되어 레이저를 통해 표적 간 사거리를 측정하게 되는 사거리측정용 스위치(2a)를 조작하여 표적간 사거리를 측정하게 되는데, 사거리측정용 스위치(2a)에 설치된 제1센서(611)를 통해 포수의 사거리측정용 스위치(2a) 조작여부와 스위치 누름시간의 적절성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8)포수는 정조준 완료시 사격을 수행하게 된다.
이동표적 사격 훈련절차는 다음과 같다.
1)포수 조종판의 사격방법 선택스위치를 "정상"으로 선택한다.
2)화기 선택을 "주포"나 "공축"(기관총)으로 한다.
3)탄종을 선택한다.
4)사거리선택 스위치를 조작하는데, 원거리 표적일 경우나 장애물이 많은 지역일 경우에는 "최초"를 선택하고, 시계가 양호한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최종"을 선택한다.
여기서, 1)~4)의 절차는 영상정보 처리유니트(20)를 통해 기록하고 확인하게 된다.
5)포수 조준경을 통해 표적을 확인하는데, 포수는 사격명령시 포수 조준경 결합체에 부착된 배율선택 스위치를 넓은 지역 관측일 경우 3배를 설정하고, 정밀 조준을 위하여 표적을 확대할 필요가 있을 경우 8배로 설정한다. 이와 같은 5)의 절차도 영상정보 처리유니트(20)를 통해 기록하고 확인하게 된다.
6)탄약수는 탄을 장전하는데, 이 과정에서 탄약수의 안전사항 위반 유무를 영상정보 처리유니트(20)를 통해 기록하고 확인하게 된다.
7)포수가 포수 전동손잡이에 형성되어 레이저를 통해 표적 간 사거리를 측정하게 되는 사거리측정용 스위치(2a)를 조작하여 표적간 사거리를 측정하게 되는데, 사거리측정용 스위치(2a)에 설치된 제1센서(611)를 통해 포수의 사거리측정용 스위치(2a) 조작여부와 스위치 누름시간의 적절성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8)포수는 이동표적에 대한 리드값 적용을 위하여 방위각추적용 스위치(2b)와 팜 스위치(2c)를 3초간 누르게 되는데, 이 경우 리드값이 포수 조준경의 자이로 신호를 제어하여 조준선을 30초 동안 안정화시키게 된다. 그리고, 재조준이나 타 표적을 사격하게 될 경우 리드값을 제거하기 위하여 팜 스위치(2c)를 오프(off) 시킨 후 다시 팜 스위치(2c)를 온(on)시켜 리드값이 새롭게 설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리드값이 새롭게 설정되지 않으면 직전 사격시의 이동표적의 리드값으로 새로운 사격이 수행되므로 명중률이 저하된다. 여기서, 방위각추적용 스위치(2b)와 팜 스위치(2c)에 설치된 제2센서(612)와 제3센서(613)를 통해 포수의 방위각추적용 스위치(2b)와 팜 스위치(2c)의 조작여부와 스위치 누름시간의 적절성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9)포수는 정조준 완료시 사격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표적 사격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에 대한 기록-감시 시스템(100)이 적용될 경우, 1)포수가 팜 스위치(2c)를 누르지 않고 사격하는 오류, 2)이동표적 사견 간 팜 스위치를 누르지 않고 방위각추적용 스위치(2b)만 누르고 사격하는 오류, 3)재 조준간 팜 스위치(2c)를 해제하고, 재 동작시키지 않는 오류, 4)포수의 급작 사격 오류, 5)포수의 자세 불안정 오류 등이 확인되고 판별되어 교정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 : 사격용 조작기구 2 : 포수 전동손잡이
2a : 사거리측정용 스위치 2b : 방위각추적용 스위치
2c: 팜 스위치 20 : 영상정보 처리유니트
21 : 촬영기구 211 : 제1촬영기
212 : 제2촬영기 213 : 제3촬영기
214 : 제4촬영기 22 : 영상정보 생성기구
23, 43, 63 : 송신기구 231, 431, 631 : 무선 송신기
24, 44, 64 : 수신기구 241, 441, 641 : 무선 수신기
25 : 영상정보 저장기구 40 : 음성정보 처리유니트
41 : 녹음기구 411 : 제1녹음기
412 : 제2녹음기 413 : 제3녹음기
42 : 음성정보 생성기구 45 : 음성정보 저장기구
60 : 기구조작정보 처리유니트 61 : 센서
611 : 제1센서 612 : 제2센서
613 : 제3센서 62 : 기구조작정보 생성기구
65 : 기구조작정보 저장기구 66 : 연산기
70 : DVR 80 : 모니터
90 : 컴퓨터 100 : 포술 기록-감시 시스템

Claims (5)

  1. 전차, 전함의 포탑 구조물을 포함하는 각종 전투용 구조물에 배치되는 각 사격임무 수행자의 포술 수행 동작을 촬영하는 다수개의 촬영기구와, 상기 다수개의 촬영기구와 연결되어 영상정보를 생성하게 되는 영상정보 생성기구와, 상기 영상정보 생성기구와 연결되어 생성된 영상정보를 외부로 전달하게 되는 송신기구와, 상기 송신기구와 통신하여 영상정보를 수신하게 되는 수신기구와, 상기 수신기구와 연결되어 수신된 영상정보를 저장하게 되는 영상정보 저장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각 사격임무 수행자의 포술 수행 동작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정보를 처리하게 되되, 상기 촬영기구는 포수의 포술 수행동작을 촬영하는 제1촬영기와, 탄약수의 포술 수행동작을 촬영하는 제2촬영기와, 포수 직사 조준경을 촬영하여 상기 포수 직사 조준경의 조준위치와 정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제3촬영기와, 상기 포수와 탄약수를 지휘하는 현장책임자(commander)의 영상 조준경을 촬영하여 상기 영상 조준경의 조준위치와 정렬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제4촬영기를 포함하는 영상정보 처리유니트와;
    각 사격임무 수행자의 음성 소통 과정을 녹음하는 다수개의 녹음기구와; 상기 다수개의 녹음기구와 연결되어 음성정보를 생성하게 되는 음성정보 생성기구와; 상기 음성정보 생성기구와 연결되어 생성된 음성정보를 외부로 전달하게 되는 송신기구와; 상기 송신기구와 통신하여 음성정보를 수신하게 되는 수신기구와; 상기 수신기구와 연결되어 수신된 음성정보를 저장하게 되는 음성정보 저장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각 사격임무 수행자의 포술 수행과 관련한 음성 소통 과정을 녹음하여 음성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음성정보를 처리하게 되는 음성정보 처리유니트 및;
    포수 전동손잡이에 설치되어 상기 포수의 포수 전동손잡이 조작 동작을 센싱하게 되는 센서와, 상기 센서와 연결되어 기구조작정보를 생성하게 되는 기구조작정보 생성기와, 상기 기구조작정보 생성기구와 연결되어 생성된 기구조작정보를 외부로 전달하게 되는 송신기구와, 상기 송신기구와 통신하여 기구조작정보를 수신하게 되는 수신기구와, 상기 수신기구와 연결되어 수신된 기구조작정보를 저장하게 되는 기구조작정보 저장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각 사격임무 수행자의 사격용 조작기구 조작 동작을 감지하여 기구조작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기구조작정보를 처리하게 되고, 상기 기구조작정보 생성기구와 기구조작정보 저장기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는 미리 설정된 포수 전동손잡이 조작 동작의 기구조작 기준정보와 생성된 기구조작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기구조작정보와 상기 기구조작 기준정보 간 변위값을 산출하는 연산기를 구비하여 상기 포수의 포수 전동손잡이 조작 동작의 적절성 유무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센서는 상기 포수 전동손잡이에 형성되는 사거리측정용 스위치, 방위각 추적용 스위치, 팜 스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포수의 사격간 스위치 조작 여부와, 스위치 누름시간의 적절성 여부가 판별될 수 있도록 하는 기구조작정보 처리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정보 처리유니트, 음성정보 처리유니트, 기구조작정보 처리유니트와 접속될 수 있는 모니터와 컴퓨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격임무 지휘통제실이나 사격임무 지휘통제자가 위치하는 사격임무 통제구역에 구비되어 상기 영상정보 처리유니트, 음성정보 처리유니트, 기구조작정보 처리유니트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영상정보, 음성정보, 기구조작정보를 통해 상기 각 사격임무 수행자의 포술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감시하여 평가할 수 있게 되되,
    상기 영상정보 처리유니트의 촬영기구, 영상정보 생성기구, 송신기구와 상기 음성정보 처리유니트의 녹음기구, 음성정보 생성기구, 송신기구는 상기 각 사격임무 수행자가 위치하는 포술 훈련 현장의 포탑 내부에 배치되고,상기 영상정보 처리유니트의 수신기구, 영상정보 저장기구와 상기 음성정보 처리유니트의 수신기구, 음성정보 저장기구는 사격 임무 지휘통제실이나 사격임무 지휘통제자가 위치하게 되는 지휘통제 구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에 대한 기록-감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10012774A 2011-02-14 2011-02-14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에 대한 기록-감시 시스템 KR101074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774A KR101074190B1 (ko) 2011-02-14 2011-02-14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에 대한 기록-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774A KR101074190B1 (ko) 2011-02-14 2011-02-14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에 대한 기록-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4190B1 true KR101074190B1 (ko) 2011-10-14

Family

ID=45032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774A KR101074190B1 (ko) 2011-02-14 2011-02-14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에 대한 기록-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419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336B1 (ko) * 2015-04-02 2015-08-19 (주)덕광 전차 사격 훈련용 무선 영상 및 조종데이터 전송장치
KR101779199B1 (ko) * 2017-01-10 2017-09-15 김경규 보안 영상 녹화 장치
EP3397919B1 (fr) 2015-12-30 2019-10-16 CMI Defence S.A. Procédé et dispositif de simulation de tourelle
KR102667100B1 (ko) * 2023-03-21 2024-05-20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함정 및 함정의 전술 평가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8834A (en) 1978-03-02 1980-08-26 Saab-Scania Ab Scoring of simulated weapons fire with sweeping fan-shaped beams
KR100376417B1 (ko) 2000-08-30 2003-03-17 다모쯔 미야모또 감시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8834A (en) 1978-03-02 1980-08-26 Saab-Scania Ab Scoring of simulated weapons fire with sweeping fan-shaped beams
KR100376417B1 (ko) 2000-08-30 2003-03-17 다모쯔 미야모또 감시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336B1 (ko) * 2015-04-02 2015-08-19 (주)덕광 전차 사격 훈련용 무선 영상 및 조종데이터 전송장치
EP3397919B1 (fr) 2015-12-30 2019-10-16 CMI Defence S.A. Procédé et dispositif de simulation de tourelle
KR101779199B1 (ko) * 2017-01-10 2017-09-15 김경규 보안 영상 녹화 장치
KR102667100B1 (ko) * 2023-03-21 2024-05-20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함정 및 함정의 전술 평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50032B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hit probability of a firearm
US7810273B2 (en) Firearm sight having two parallel video cameras
KR100963681B1 (ko) 원격 화기 사격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1147848B1 (ko) 저격수의 조준사격 및 관측수의 관측상황 통합통제시스템 및 그 방법
EP2536995B1 (en) Method and system of controlling a firearm
US20110315767A1 (en) Automatically adjustable gun sight
RU2379614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артиллерийским орудием при стрельбе
KR101074190B1 (ko) 전투용 구조물에서 이루어지는 포술에 대한 기록-감시 시스템
WO200202725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ecise alignment of a weapon relative to a sight
US11486677B2 (en) Grenade launcher aiming control system
KR101786793B1 (ko) 사격장 통제 시스템
US1111886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riking apparatus and remote controlled weapon system
KR102279589B1 (ko) 명중평가장치, 이를 구비하는 함정전투체계, 및 명중평가방법
JP6555804B2 (ja) 射撃訓練システム
KR101779199B1 (ko) 보안 영상 녹화 장치
KR100460522B1 (ko) 표적지의 탄착점 명중율 분석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561831B1 (ko) 실시간 디지털 자동 조준감사 장치
KR100929878B1 (ko) 화포 원격 운용 시스템
RU2226664C2 (ru) Комплекс управления вооружением танка
JP2021032426A (ja) 交戦訓練システム
RU2287189C1 (ru) Система имитации воздушного боя
KR102492127B1 (ko) 추적 레이더를 이용한 근접 방어 시스템의 자동 탄착 수정 방법 및 장치
KR102597807B1 (ko) 인공지능 전차 사격훈련시스템
RU65202U1 (ru) Боевая машина
CA2228018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ation and display of a miss h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