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3738B1 - 제어 채널 전송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 - Google Patents

제어 채널 전송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3738B1
KR101073738B1 KR1020117003149A KR20117003149A KR101073738B1 KR 101073738 B1 KR101073738 B1 KR 101073738B1 KR 1020117003149 A KR1020117003149 A KR 1020117003149A KR 20117003149 A KR20117003149 A KR 20117003149A KR 101073738 B1 KR101073738 B1 KR 101073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hannel
format
base station
channe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3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8469A (ko
Inventor
히로유끼 세끼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18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forma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8Formatting
    • H04L1/0029Reduction of the amount of signalling, e.g. retention of useful signalling or differential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8Formatting
    • H04L1/003Adaptive formatting arrangements particular to signalling, e.g. variable amount of b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AMC] sche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75Transmission of coding parameters to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38Negotiation of transmission parameters prior to communication
    • H04L5/1453Negotiation of transmission parameters prior to communication of modulati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데이터 채널의 전송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토탈의 스루풋을 향상시키는 제어 채널 전송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소정의 조건에 따라서 정보량이 서로 다른 복수의 제어 채널 포맷으로부터 하나의 제어 채널 포맷을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한 제어 채널 포맷을 이용하여 제어 채널을 전송 하는 단계를 갖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제어 채널 전송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CONTROL CHANNEL TRANSMISSION METHOD, BASE STATION AND TERMINAL}
본 발명은, 제어 채널 전송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적응적으로 통신 파라미터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제어 채널 전송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제3 세대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데이터 패킷의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적응 변복조,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스케줄링 등의 적응 무선 링크 제어가 이용된다. 이들의 적응 무선 링크 제어는, 개별 또는 공유의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행해지고, 제어 채널과 거의 동시에 전송되는 데이터 채널에서 사용하고 있는 링크 파라미터를 각 유저 단말기에 통지한다.
예를 들면 적응 변복조의 경우, 제어 채널은 데이터 채널의 변조 방식 및 부호화율 등의 정보를 전송한다. HARQ의 경우, 제어 채널은 데이터 채널로 전송되는 패킷의 패킷 번호나 재송 횟수 등의 정보를 전송한다. 스케줄링의 경우, 제어 채널은 유저 ID 등의 정보를 전송한다.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로 표준화되어 있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에서는, 비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HS-SCCH(Shared Control Channel for HS-DSCH)라고 불리는 공유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어 정보의 전송이 행해진다.
Figure 112011009568475-pat00001
적응 무선 링크 제어에 이용되는 종래의 제어 채널 전송 방법은, 데이터 채널의 복조에 필요한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 채널을 수신측에서 확실하게 복조하기 위해서, 제어 채널 포맷을 고정으로 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데이터 채널의 전송 효율을 떨어뜨리지 않기 위해, 종래의 제어 채널 전송 방법은 정보량을 최저한 필요한 것으로 좁힌 후에, 제어 채널 포맷을 고정으로 하여 사용하고 있어, 제어 채널 포맷을 가변으로 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없었다.
비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표 1에 나타낸 HSDPA의 제어 정보는 CRC 부여 및 R=1/3의 컨볼루션 부호화후에 합계 120비트로 되도록 레이트 매칭된다. 그 후, QPSK 변조 및 SF=128의 확산이 행해지고, HS-SCCH의 물리 채널에 맵핑된다.
[비특허 문헌1] 3GGP TS 25.212 v5.9.0(2004-06)
[비특허 문헌2] 3GPP TS 25.211 v5.6.0(2004-09)
차세대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실현하기 위해, 멀티 캐리어 전송이나 복수 안테나를 이용한 MIM0(Multiple Input Multiple 0utput) 전송이 이용된다. 이 경우에는, 서브 캐리어마다나 송신 안테나마다 무선 파라미터의 적응 제어를 행함으로써 전송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MIMO 전송은 가변 파라미터의 수가 증가하고, 제어 채널에 필요한 비트수가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하나의 프레임에서 동시 다중 유저수가 증가한 경우에도, 제어 채널의 정보는 유저수에 비례하여 증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채널 용량은 직교 다중 가능한 채널수로 상한이 결정되게 된다. 따라서, 제어 채널의 정보량이 증가한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에 사용할 수 있는 채널수가 적어지고, 그 결과, 데이터의 전송 효율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여기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 의한 유저 다중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동시 다중 유저수가 1일 때, 데이터 채널에 사용할 수 있는 코드수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은, 동시 다중 유저수가 1, 데이터 채널 및 제어 채널 모두에 SF=8의 확산에 의한 코드 다중 전송이 행해지고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어 채널의 전송에 필요한 코드수를 1로 한 경우, 남은 직교 가능한 코드 리소스를 모두 데이터 채널에 사용하면, 데이터 채널에 사용할 수 있는 코드수는 7로 된다.
도 2는, 동시 다중 유저수가 4일 때, 데이터 채널에 사용할 수 있는 코드수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와 같이, 동시 다중 유저수가 4로 되면, 제어 채널에 4코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데이터 채널에 사용할 수 있는 코드수는 4로 제한된다. 따라서, 프레임 당의 데이터 채널의 전송 효율은 4/7로 저하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 채널의 전송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제어 채널의 정보량을 필요 최저한의 것으로 좁힌 경우에는, 적응 무선 링크 제어에 의한 이득이 얻어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반대로 시스템 전체의 전송 특성이 향상하지 않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광대역 멀티 캐리어 전송에서는,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에 의해 서브 캐리어마다 통신 품질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항상 통신 품질이 좋은 서브 캐리어를 선택하여 통신을 행함으로써, 토탈의 스루풋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MIMO 전송에서는, 안테나 브렌치마다 독립적인 페이딩 변조가 발생한 경우, 항상 통신 품질이 좋은 송신 안테나를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안테나마다 적용 변복조를 행하거나 함으로써, 토탈의 스루풋을 향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응 무선 링크 제어에 이용되는 제어 채널 전송 방법에서는, 데이터 채널의 전송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토탈의 스루풋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데이터 채널의 전송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토탈의 스루풋을 향상시키는 제어 채널 전송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어 채널 전송 방법은, 소정의 조건에 따라서 정보량이 서로 다른 복수의 제어 채널 포맷으로부터 하나의 제어 채널 포맷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한 제어 채널 포맷을 이용하여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지국은, 소정의 조건에 따라서 정보량이 서로 다른 복수의 제어 채널 포맷으로부터 하나의 제어 채널 포맷을 선택하는 포맷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한 제어 채널 포맷을 이용하여 제어 채널을 단말기에 전송하는 송신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는, 소정의 조건에 따라서 정보량이 서로 다른 복수의 제어 채널 포맷으로부터 하나의 제어 채널 포맷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제어 채널 포맷을 이용하여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제어 채널 포맷을 통지받고, 상기 통지받은 제어 채널 포맷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어 채널을 복조하는 제어 채널 복조 수단과, 상기 제어 채널 복조 수단에 의한 제어 채널의 복조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채널을 복조하는 데이터 채널 복조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정보량이 서로 다른 복수의 제어 채널 포맷으로부터 소정의 조건에 따라서 하나의 제어 채널 포맷을 선택하고, 선택한 제어 채널 포맷을 이용하여 제어 채널을 전송하고 있다.
소정의 조건으로서는, 하나의 전송 프레임 내에 다중하는 유저수, 유저 단말기가 실장하고 있는 송수신 기능, 데이터 채널의 QoS, 전반로 품질 등이 있다. 소정의 조건에 따라서 하나의 제어 채널 포맷을 선택함으로써, 제어 채널의 정보량을 제한하고, 또한 제어 채널의 정보량을 늘려서, 데이터 채널의 전송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채널의 전송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토탈의 스루풋을 향상시키는 제어 채널 전송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동시 다중 유저수가 1일 때, 데이터 채널에 사용할 수 있는 코드수를 도시한 설명도.
도 2는 동시 다중 유저수가 4일 때, 데이터 채널에 사용할 수 있는 코드수를 도시한 설명도.
도 3은 동시 다중 유저수가 4일 때, 데이터 채널에 사용할 수 있는 코드수를 도시한 일례의 설명도.
도 4는 동시 다중 유저수가 4일 때, 데이터 채널에 사용할 수 있는 코드수를 도시한 다른 일례의 설명도.
도 5는 동시 다중 유저수가 3일 때, 데이터 채널에 사용할 수 있는 코드수를 도시한 다른 일례의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어 채널 전송 방법을 실현하는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7은 포맷 선택/할당부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8은 포맷 선택/할당부의 처리 수순의 일례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9는 포맷 할당부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
우선,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정보량이 서로 다른 복수의 제어 채널 포맷을 복수 준비해 두고, 소정의 조건의 일례로서의 상황(동시 다중 유저수, 유저 단말기의 송수신 기능(UE Capability), QoS, 전반로 품질 등)에 따라서, 제어 채널 포맷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여기에서는, 표 2 및 표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2종류의 제어 채널 포맷을 준비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내용 비트수 가변 범위
변조 방식(안테나 1) 2 4종류(QPSK, 8PSK, 16QAM, 64QAM)
변조 방식(안테나 2) 2 4종류(QPSK, 8PSK, 16QAM, 64QAM)
변조 방식(안테나 3) 2 4종류(QPSK, 8PSK, 16QAM, 64QAM)
변조 방식(안테나 4) 2 4종류(QPSK, 8PSK, 16QAM, 64QAM)
부호화율 2 4종류(1/3, 1/2, 2/3, 3/4)
확산율 3 8종류(1, 2, 4, 8, 16, 32, 64, 128)
코드 세트 128 최대 128코드
합계 141
제어 채널 포맷 A
내용 비트수 가변 범위
변조 방식(안테나 공통) 1 2종류(QPSK, 16QAM)
부호화율 1 2종류(1/2, 3/4)
확산율 2 4종류(1, 4, 16, 64)
코드 세트 64 최대 64코드
합계 68
제어 채널 포맷 B
표 2에 나타낸 제어 채널 포맷 A는, 적응 제어 파라미터로서 변조 방식(안테나 1)~변조 방식(안테나 4), 부호화율, 확산율, 코드 세트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변조 방식(안테나 1)~변조 방식(안테나 4)은, 가변 범위로서 4종류의 변조 방식(QPSK, 8PSK, 16QAM, 64QAM)이 설정되어 있다. 표 2에 나타낸 제어 채널 포맷 A는, 적응 제어 파라미터의 종류와 가변 범위가 넓어, 예를 들면 MIMO 전송 시, 안테나마다 변조 방식을 가변으로 할 수 있다.
한편, 표 3에 나타낸 제어 채널 포맷 B는, 적응 제어 파라미터로서 변조 방식(안테나 공통), 부호화율, 확산율, 코드 세트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변조 방식(공통)은, 가변 범위로서 2종류의 변조 방식(QPSK, 16QAM)이 설정되어 있다. 표 3에 나타낸 제어 채널 포맷 B는, 적응 제어 파라미터의 종류와 가변 범위가 제어 채널 포맷 A와 비교하여 제한되어 있으며, 비트수가 제어 채널 포맷 A의 약 1/2로 되어 있다.
또한, MIMO 전송에 대응하는 유저 단말기에서는 안테나마다 변조 방식을 가변으로 하지 않고, 변조 방식을 안테나 공통으로 제어하는 조건에 따르면, 제어 채널 포맷 B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동시 다중 유저수가 적은 경우, 제어 채널의 정보량의 많은 제어 채널 포맷 A를 사용하여, 적응 무선 링크 제어에 의한 이득이 크게 얻어지도록 함으로써, 토탈의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동시 다중 유저수가 많은 경우, 제어 채널의 정보량의 적은 제어 채널 포맷 B를 사용하여, 제어 채널의 정보량을 제한한다. 제어 채널의 정보량의 감소분만큼 데이터 채널의 정보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본 발명은 데이터 채널의 전송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CDMA에 의한 유저 다중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은, 동시 다중 유저수가 4일 때, 데이터 채널에 사용할 수 있는 코드수를 나타낸 일례의 설명도이다.
도 3에서는, 제어 채널의 정보량이 제어 채널 포맷 A의 약 1/2인 제어 채널 포맷 B를 이용함으로써, 하나의 확산 코드 내에 2개의 제어 채널(2 유저분)을 다중 하고 있다.
하나의 확산 코드 내에서 분할하는 방법은, 시간 방향의 타임 슬롯을 이용하는 방법과 주파수 방향의 서브 캐리어를 이용하는 방법이 생각된다. 또한, 도 3은 시간 방향의 타임 슬롯을 이용하여, 하나의 확산 코드 내에 2개의 제어 채널을 시간 영역에서 다중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예에서는, 4유저분의 제어 채널의 전송에 필요한 코드수가 2로 되기 때문에, 데이터 채널에 사용할 수 있는 코드수가 6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도 3의 예에서는 전술한 도 2의 예와 비교하여 데이터 채널의 전송 효율이 향상하고 있다.
또한, 시간 영역이나 주파수 영역에서 제어 채널을 다중하는 이외에도, 제어 채널의 확산율을 크게 함으로써, 코드 영역에서의 다중수를 증가시키는 것도 생각된다.
도 4는, 동시 다중 유저수가 4일 때, 데이터 채널에 사용할 수 있는 코드수를 나타낸 다른 일례의 설명도이다. 도 4에서는, 제어 채널의 확산율을 2배로 하고, 제어 채널의 정보량이 제어 채널 포맷 A와 비교하여 약 1/2인 제어 채널 포맷 B을 이용함으로써, 데이터 채널에 사용할 수 있는 코드수가 6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도 4의 예에서는 전술한 도 2의 예와 비교하여 데이터 채널의 전송 효율이 향상하고 있다.
또한, 유저 단말기가 MIMO 전송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제어 채널 포맷을 절환하도록 하여도 된다. 도 5는, 동시 다중 유저수가 3일 때, 데이터 채널에 사용할 수 있는 코드수를 나타낸 다른 일례의 설명도이다.
도 5에서는, MIMO 전송에 대응하고 있는 유저 단말기가 1대, MIMO 전송에 대응하지 않는 유저 단말기가 2대 혼재하고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 MIMO 전송에 대응하고 있는 유저 단말기에 제어 채널 포맷 A, MIMO 전송에 대응하지 않는 유저 단말기에 제어 채널 포맷 B를 할당한다.
MIMO 전송에 대응하지 않는 유저 단말기에 제어 채널 포맷 B를 할당함으로써, 하나의 확산 코드 내에 2개의 제어 채널(2 유저분)을 다중하고 있다. MIMO 전송에 대응하고 있는 유저 단말기에 제어 채널 포맷 A를 할당함으로써, 하나의 확산 코드 내에 하나의 제어 채널(1 유저분)을 다중하고 있다.
이와 같이, MIMO 전송에 대응하지 않는 유저 단말기에 대해서는, 제어 채널에 사용하는 코드 리소스를 제한하고, 데이터 채널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MIM0 전송에 대응하고 있는 유저 단말기에 대해서는, 송신 안테나마다 적응 무선 링크 제어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토탈의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5의 예에서는 전술한 도 2의 예와 비교하여 데이터 채널의 전송 효율이 향상하고 있다.
또한, 도 3~도 5에 도시한 제어 채널은, 적절히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서는 하나의 확산 코드 내에 2개의 제어 채널 포맷 B를 시간 영역에서 다중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제어 채널의 확산율을 2배로 하여 도 4과 같이 코드 영역에서 다중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 외에, 유저마다 서로 다른 QoS(Quality of Service)나 전반로 품질에 따라서 사용하는 제어 채널 포맷을 절환하는 것도 유효하다. 예를 들면 전반로 품질이 나빠서, 전반로의 상태가 심하게 변동하는 유저 단말기에 대해서는, 적응 무선 링크 제어의 가변 범위가 넓은 제어 채널 포맷 A를 사용하면 된다.
또한, 전반로 품질이 좋아서, 전반로의 상태가 비교적 안정되어 있는 유저 단말기에 대해서는, 정보량이 적은 제어 채널 포맷 B를 사용하면 된다. 또한, 요구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른 경우나 요구하는 전송 지연이 작은 경우 등, QoS의 요구가 높은 유저 단말기에 대해서는 적응 무선 링크 제어의 가변 범위가 넓어, 스루풋의 향상이 예상되는 제어 채널 포맷 A를 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황에 따라서, 사용하는 제어 채널 포맷을 선택 함으로써, 전송 효율(토탈의 스루풋)이 최대로 되도록 제어를 행한다.
이들 제어는, 주로 기지국에서 행해진다. 기지국은, 제어 채널 포맷의 선택을 행하고, 선택된 제어 채널 포맷을 기지국으로부터 유저 단말기에의 시그널링에 의해 통지한다. 시그널링은, 유저 단말기와의 접속 시나, 소정 시간마다 행하면 된다.
또한, 시그널링에서는 선택한 제어 채널 포맷 외에, 제어 채널의 확산율이나 확산 코드, 타임 슬롯(시간 영역에서 다중하는 경우), 서브 캐리어 배치(주파수 영역에서 다중하는 경우) 등의 정보도 동시에 통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지국으로부터 유저 단말기에의 하향 링크의 전송뿐만 아니라, 유저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에의 상향 링크의 전송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실시예 1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이하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해 간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어 채널 전송 방법을 실현하는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6의 시스템은, 기지국(1) 및 유저 단말기(2)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기지국(1)은, 포맷 선택/할당부(10), 시그널링 생성부(11), 제어 채널 생성부(12), 데이터 채널 생성부(13), 다중부(14), 선택부(15), 송신부(16), 전반로 측정부(17), 제어 채널 복조부(18), 데이터 채널 복조부(19) 및 수신부(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유저 단말기(2)는, 수신부(51), 데이터 채널 복조부(52), 시그널링 복조부(53), 제어 채널 복조부(54), 전반로 측정부(55), 제어 채널 생성부(56), 포맷 할당부(57), 데이터 채널 생성부(58), 다중부(59) 및 송신부(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우선, 기지국(1)으로부터 유저 단말기(2)에의 하향 링크의 제어 채널 전송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지국(1)의 포맷 선택/할당부(10)는, 제어 채널 포맷을 전술한 바와 같이 선택하고, 프레임 내에서의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의 할당(다중 방법)을 결정한다. 제어 채널 포맷의 선택에는, 다중 유저수, 유저 단말기의 송수신 기능, 하향 QoS, 하향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등의 정보가 사용된다.
선택된 제어 채널 포맷의 할당을 나타내는 포맷 할당 정보는, 시그널링 생성부(11)로부터 선택부(15), 송신부(16)를 통하여 유저 단말기(2)에 시그널링 정보로서 통지된다. 또한, 포맷 할당 정보는 제어 채널 생성부(12) 및 데이터 채널 생성부(13)에 통지된다.
제어 채널 생성부(12) 및 데이터 채널 생성부(13)에서 생성된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은, 포맷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다중부(14)에서 다중된 후, 송신부(16)를 통하여 유저 단말기(2)에 전송된다.
다음으로, 유저 단말기(2)의 시그널링 복조부(53)는, 기지국(1)으로부터 수신부(51)를 통하여 통지된 시그널링 정보(포맷 할당 정보)를 복조하고, 하향 링크의 제어 채널 포맷을 제어 채널 복조부(54)에 통지한다. 제어 채널 복조부(54)는, 시그널링 복조부(53)로부터 통지된 하향 링크의 제어 채널 포맷에 기초하여, 제어 채널의 복조를 행한다. 제어 채널 복조부(54)는 제어 채널로부터 복조한 하향 링크의 적응 제어 파라미터를 데이터 채널 복조부(52)에 통지한다.
데이터 채널 복조부(52)는, 제어 채널 복조부(54)로부터 통지된 적응 제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데이터 채널의 복조 처리를 행한다. 하향 링크의 제어 채널 포맷의 선택에 사용되는 하향 CQI는, 유저 단말기(2)의 전반로 측정부(55)에서 측정된다. 그리고, 하향 CQI는 상향 QoS나 유저 단말기(1)의 송수신 기능과 함께, 유저 단말기(2)로부터 기지국(1)에의 상향 링크의 제어 채널에 의해 기지국(1)에 전송된다.
다음으로, 유저 단말기(2)로부터 기지국(1)에의 상향 링크의 제어 채널 전송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향 링크의 제어 채널 포맷은 하향 링크의 제어 채널 포맷과 마찬가지로, 기지국(1)의 포맷 선택/할당부(10)에서 선택된다. 상향 링크의 제어 채널 포맷의 선택에는, 다중 유저수, 유저 단말기의 송수신 기능, 상향 QoS, 상향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등의 정보가 사용된다.
선택된 상향 링크의 제어 채널 포맷은, 시그널링 생성부(11)로부터 선택부(15), 송신부(16)를 통하여 유저 단말기(2)에 시그널링 정보로서 통지된다. 시그널링 복조부(53)는 기지국(1)으로부터 수신부(51)를 통하여 통지된 시그널링 정보를 복조하고, 상향 링크의 제어 채널 포맷을 포맷 할당부(57)에 통지한다. 포맷 할당부(57)는, 상향 링크의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의 할당(다중 방법)을 결정하고, 그 포맷 할당 정보를 제어 채널 생성부(56) 및 데이터 채널 생성부(58)에 통지한다.
기지국(1)에서는, 포맷 선택/할당부(10)가 선택한 상향 링크의 제어 채널 포맷을, 상향 링크의 제어 채널 복조부(18)에 통지한다. 제어 채널 복조부(18)는, 포맷 선택/할당부(10)로부터 통지된 상향 링크의 제어 채널 포맷에 기초하여, 제어 채널의 복조를 행한다. 제어 채널 복조부(18)는 제어 채널로부터 복조한 상향 링크의 적응 제어 파라미터를 데이터 채널 복조부(19)에 통지한다.
데이터 채널 복조부(19)는, 제어 채널 복조부(18)로부터 통지된 적응 제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데이터 채널의 복조 처리를 행한다. 상향 링크의 제어 채널 포맷의 선택에 사용되는 상향 CQI는, 기지국(1)의 전반로 측정부(17)에서 측정된다.
또한, 측정된 상향 CQI는 전반로 측정부(17)로부터 포맷 선택/할당부(10)에 통지된다. 또한, 유저 단말기(2)로부터 기지국(1)에의 상향 링크의 제어 채널에 의해 기지국(1)에 전송된 상향 QoS, 하향 CQI, 유저 단말기(1)의 송수신 기능은 포맷 선택/할당부(10)에 전송된다.
다음으로, 기지국(1)의 포맷 선택/할당부(1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포맷 선택/할당부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포맷 선택/할당부(10)는, 하향 제어 채널 리소스 할당부(100), 하향 데이터 채널 리소스 할당부(101), 상향 제어 채널 리소스 할당부(102) 및 상향 데이터 채널 리소스 할당부(10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 7의 포맷 선택/할당부(10)의 처리 수순에 대하여 도 8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해 간다. 도 8은 포맷 선택/할당부의 처리 수순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단계 S1로 진행하여, 하향 제어 채널 리소스 할당부(100) 및 상향 제어 채널 리소스 제어부(102)는 동시 다중 유저수 및 유저 단말기(2)의 송수신 기능에 따라서 각 유저 단말기(2)의 제어 채널에 무선 리소스를 할당한다.
단계 S2로 진행하여, 하향 제어 채널 리소스 할당부(100) 및 상향 제어 채널 리소스 제어부(102)는 CQI(수신 품질, 전반로 변동)에 따라서 각 유저 단말기(2)의 제어 채널에 할당하는 무선 리소스를 조정한다.
단계 S3으로 진행하여, 하향 제어 채널 리소스 할당부(100) 및 상향 제어 채널 리소스 제어부(102)는 QoS(전송 속도, 요구 지연)에 따라서 각 유저 단말기(2)의 제어 채널에 할당하는 무선 리소스를 조정한다.
또한, 단계 S4로 진행하여, 하향 제어 채널 리소스 할당부(100) 및 상향 제어 채널 리소스 제어부(102)는 데이터 채널의 무선 리소스가 충분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데이터 채널의 무선 리소스가 충분하다고 판정하면(S4에서 예), 단계 S5로 진행한다.
단계 S5에서는, 하향 데이터 채널 리소스 할당부(101) 및 상향 데이터 채널 리소스 할당부(103)가, CQI 및 QoS에 따라서 각 유저 단말기(2)의 데이터 채널에 무선 리소스를 할당한다.
또한, 데이터 채널의 무선 리소스가 충분하지 않다고 판정하면(S4에서 아니오), 단계 S1로 되돌아간다. 즉, 단계 S4에서 데이터 채널의 무선 리소스가 충분하다고 판정될 때까지, 단계 S1~S4의 처리가 반복하여 행해진다.
도 8의 처리 수순에 의해, 전술한 포맷 할당 정보를 작성할 수 있으므로, 시그널링 생성부(11), 제어 채널 생성부(12), 데이터 채널 생성부(13), 상향 링크의 제어 채널 복조부(18)에 포맷 할당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유저 단말기(2)의 포맷 할당부(57)를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포맷 할당부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포맷 할당부(57)는, 상향 제어 채널 리소스 할당부(151), 상향 데이터 채널 리소스 할당부(15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시그널링 복조부(53)로부터 통지되는 상향 링크의 제어 채널 포맷에 기초하여, 상향 제어 채널 리소스 할당부(151)는 각 유저 단말기(2)의 상향 링크의 제어 채널에 무선 리소스를 할당한다. 시그널링 복조부(53)로부터 통지되는 상향 링크의 적응 제어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향 데이터 채널 리소스 할당부(152)는 각 유저 단말기(2)의 데이터 채널에 무선 리소스를 할당한다.
따라서, 포맷 할당부(57)는, 전술한 포맷 할당 정보를 작성할 수 있으므로, 제어 채널 생성부(56), 데이터 채널 생성부(58)에 포맷 할당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르면, 동시 다중 유저수가 증가한 경우에, 제어 채널의 비트수를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채널의 전송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유저 단말기(2)의 송수신 기능이나 전반로 품질에 따라서 사용하는 제어 채널 포맷을 선택함으로써 적응 무선 링크 제어에 의한 이득을 크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토탈의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채널의 전송 효율의 저하를 억제하고, 동시에 다중 가능한 유저수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유연한 채널 할당이 가능하게 된다.
1 : 기지국
2 : 유저 단말기
10 : 포맷 선택/할당부
11 : 시그널링 생성부
12 : 제어 채널 생성부
13 : 데이터 채널 생성부
14 : 다중부
15 : 선택부
16 : 송신부
17 : 전반로 측정부
18 : 제어 채널 복조부
19 : 데이터 채널 복조부
20 : 수신부
51 : 수신부
52 : 데이터 채널 복조부
53 : 시그널링 복조부
54 : 제어 채널 복조부
55 : 전반로 측정부
56 : 제어 채널 생성부
57 : 포맷 할당부
58 : 데이터 채널 생성부
59 : 다중부
60 : 송신부
100 : 하향 제어 채널 리소스 할당부
101 : 하향 데이터 채널 리소스 할당부
102 : 상향 제어 채널 리소스 할당부
103 : 상향 데이터 채널 리소스 할당부
151 : 상향 제어 채널 리소스 할당부
152 : 상향 데이터 채널 리소스 할당부

Claims (2)

  1. 기지국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송을 행할지 여부에 따라서, 복수의 같은 종류의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변조 방식 정보의 가변 범위가 상이한 복수의 제어 채널 포맷으로부터 하나의 제어 채널 포맷을 선택하는 포맷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한 제어 채널 포맷을 단말기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과,
    상기 선택한 제어 채널 포맷에 기초하여 제어 채널을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된 제어 채널 포맷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2. 기지국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송을 행할지 여부에 따라서, 복수의 같은 종류의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변조 방식의 정보의 가변 범위가 상이한 복수의 제어 채널 포맷으로부터 하나의 제어 채널 포맷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제어 채널 포맷을 단말기에 통지하고,
    상기 선택한 제어 채널 포맷에 기초하여 제어 채널을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된 제어 채널 포맷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KR1020117003149A 2004-12-28 2004-12-28 제어 채널 전송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 KR1010737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4/019626 WO2006070466A1 (ja) 2004-12-28 2004-12-28 制御チャネル伝送方法、基地局及び端末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0645A Division KR101027575B1 (ko) 2004-12-28 2004-12-28 제어 채널 전송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469A KR20110018469A (ko) 2011-02-23
KR101073738B1 true KR101073738B1 (ko) 2011-10-13

Family

ID=36614593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8735A KR20110045104A (ko) 2004-12-28 2004-11-18 라이센스 중심의 콘텐츠 소비를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1020077014631A KR101027572B1 (ko) 2004-12-28 2004-12-28 제어 채널 전송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
KR1020097020645A KR101027575B1 (ko) 2004-12-28 2004-12-28 제어 채널 전송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
KR1020117003149A KR101073738B1 (ko) 2004-12-28 2004-12-28 제어 채널 전송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8735A KR20110045104A (ko) 2004-12-28 2004-11-18 라이센스 중심의 콘텐츠 소비를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1020077014631A KR101027572B1 (ko) 2004-12-28 2004-12-28 제어 채널 전송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
KR1020097020645A KR101027575B1 (ko) 2004-12-28 2004-12-28 제어 채널 전송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6) US8374189B2 (ko)
EP (2) EP3128678B1 (ko)
JP (1) JP4637860B2 (ko)
KR (4) KR20110045104A (ko)
CN (1) CN101091328B (ko)
WO (1) WO20060704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9711B2 (ja) 2004-12-14 2010-12-01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装置
KR20110045104A (ko) * 2004-12-28 2011-05-03 콘텐트가드 홀딩즈 인코포레이티드 라이센스 중심의 콘텐츠 소비를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JP4776292B2 (ja) * 2005-07-14 2011-09-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CN101273598B (zh) 2005-09-30 2012-11-21 富士通株式会社 控制信道信息传送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基站和终端
US7778246B2 (en) * 2005-12-01 2010-08-1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IP data transmission using legacy transmission system and broadband downstream transmission system in HFC network
US8374161B2 (en) * 2006-07-07 2013-02-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43288B2 (en) * 2006-07-24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Variable control channel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305923B2 (ja) 2006-12-26 2013-10-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基地局装置および制御チャネルのmcs制御方法
GB2448897A (en) 2007-05-01 2008-11-05 Nec Corp Control channel communications in a cellular communications network
GB2455056A (en) 2007-10-04 2009-06-03 Fujitsu Ltd Signalling mechanism in an OFDM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130612B2 (en) * 2008-01-07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Unified uplink control signal formats
JP5138416B2 (ja) * 2008-02-25 2013-02-06 京セラ株式会社 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8520559B2 (en) * 2008-04-02 2013-08-27 Alcatel Lucent Method for routing via access terminals
US8675550B2 (en) * 2008-06-14 2014-03-18 Alcatel Lucent Method for backhaul interference management with access terminal router
JP5042156B2 (ja) * 2008-07-30 2012-10-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KR101663313B1 (ko) * 2009-02-02 2016-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MY158329A (en) * 2009-02-05 2016-09-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uplink control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83150B2 (en) 2009-02-05 2013-07-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uplink control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2042872A1 (ja) * 2010-09-28 2012-04-05 京セラ株式会社 基地局及び基地局の制御方法
US9055604B2 (en) 2012-02-08 2015-06-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TFC selection for uplink MIMO communication
US8953713B2 (en) 2010-11-08 2015-02-1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
US9380490B2 (en) 2010-11-08 2016-06-2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
US9084207B2 (en) 2010-11-08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
US9007888B2 (en) 2010-11-08 2015-04-1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
US9516609B2 (en) 2010-11-08 2016-12-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
KR101892688B1 (ko) 2011-11-07 2018-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를 위한 제어 채널 검색 방법 및 장치
CN106571859B (zh) * 2015-10-09 2020-02-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输入多输出mimo传输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9258A (ja) 2001-04-03 2002-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符号分割多重接続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データ伝送方法
JP2003304195A (ja) 2002-04-10 2003-10-24 Fujitsu Ltd 送信フォーマット組み合わせ情報選択方法及び移動端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8390A (en) * 1973-05-15 1975-08-05 Martin Marietta Corp Multiple zone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US5761240A (en) * 1996-02-06 1998-06-02 Ericss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 optical communications channel without loss of channel messages on a current communications channel
US6138012A (en) * 1997-08-04 2000-10-24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ignal blocking in a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JPH11355860A (ja) 1998-06-08 1999-12-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ユーザ情報送受信方法
ATE358924T1 (de) 1998-06-15 2007-04-15 Motorola Inc Verfahren und gerät zur verbesserung der kapazität in einem funkkommunikationssystem
IL145548A0 (en) 1999-04-12 2002-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gated transmission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US6496496B1 (en) * 1999-04-22 2002-12-17 Nortel Networks Limited Crucial control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s
US20020114295A1 (en) * 2000-06-28 2002-08-22 Shoji Takahiro Base station apparatus and channel assigning method
US6934254B2 (en) * 2001-01-18 2005-08-2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llocating resour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630403B2 (en) * 2002-03-08 2009-12-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AC aggregation frame with MSDU and fragment of MSDU
US7224704B2 (en) * 2002-04-01 2007-05-2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Wireless network scheduling data frames including physical layer configuration
US6741587B2 (en) * 2002-04-02 2004-05-25 Nokia Corporation Inter-frequency measurements with MIMO terminals
EP1517456A4 (en) * 2002-06-25 2009-12-30 Fujitsu Ltd PERFORMANCE RULES AND DEVICE
US7391755B2 (en) * 2002-09-30 2008-06-24 Lucent Technologies Inc. Signaling and control mechanisms in MIMO harq schem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320301B2 (en) * 2002-10-25 2012-11-27 Qualcomm Incorporated MIMO WLAN system
US8391249B2 (en) * 2003-02-18 2013-03-05 Qualcomm Incorporated Code division multiplexing commands on a code division multiplexed channel
US9473269B2 (en) * 2003-12-01 2016-10-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efficient control channel struct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10045104A (ko) * 2004-12-28 2011-05-03 콘텐트가드 홀딩즈 인코포레이티드 라이센스 중심의 콘텐츠 소비를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9258A (ja) 2001-04-03 2002-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符号分割多重接続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データ伝送方法
JP2003304195A (ja) 2002-04-10 2003-10-24 Fujitsu Ltd 送信フォーマット組み合わせ情報選択方法及び移動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884A (ko) 2009-10-22
US20100074229A1 (en) 2010-03-25
KR101027575B1 (ko) 2011-04-06
US8374189B2 (en) 2013-02-12
US9019980B2 (en) 2015-04-28
EP3128678B1 (en) 2017-12-13
US8254341B2 (en) 2012-08-28
WO2006070466A1 (ja) 2006-07-06
JP4637860B2 (ja) 2011-02-23
KR101027572B1 (ko) 2011-04-06
CN101091328A (zh) 2007-12-19
US8861542B2 (en) 2014-10-14
EP3128678A1 (en) 2017-02-08
JPWO2006070466A1 (ja) 2008-06-12
US9432976B2 (en) 2016-08-30
CN101091328B (zh) 2015-08-26
US20150195825A1 (en) 2015-07-09
KR20110045104A (ko) 2011-05-03
KR20070086701A (ko) 2007-08-27
EP1835631A1 (en) 2007-09-19
US20140376503A1 (en) 2014-12-25
EP1835631A4 (en) 2012-02-22
US20130107839A1 (en) 2013-05-02
KR20110018469A (ko) 2011-02-23
US20140226598A1 (en) 2014-08-14
US20070248041A1 (en) 2007-10-25
US8737341B2 (en) 201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3738B1 (ko) 제어 채널 전송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
US83636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signaling information via channel IDS
JP5461609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チャネルのコンフィギュレーション
US8472394B2 (en) Base st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ssion method and reception method
US906551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32035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EP2495923B1 (en) Control channel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base station and terminal using the same method
JP2011530922A (ja) Lteの共有データチャネルについての変調及び符号化方式の調整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8553525B2 (en) Method of transmitting data based on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JP5230577B2 (ja) 制御チャネル伝送方法、基地局、端末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