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3624B1 - 갈대순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갈대순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3624B1
KR101073624B1 KR1020100012794A KR20100012794A KR101073624B1 KR 101073624 B1 KR101073624 B1 KR 101073624B1 KR 1020100012794 A KR1020100012794 A KR 1020100012794A KR 20100012794 A KR20100012794 A KR 20100012794A KR 101073624 B1 KR101073624 B1 KR 101073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d
powder
obesity
activity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3019A (ko
Inventor
이미경
조영숙
박석규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12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3624B1/ko
Publication of KR20110093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갈대순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또는 항산화용 약제학적 또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체의 몸무게를 감량할 수 있고 혈중, 간조직 및 심장조직 내 등의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등의 함량을 감소시켜 비만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개선할 수 있으며, 또한 생체 내의 활성산소의 생성 및 세포의 산화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므로 생체 내 활성산소로 인한 다양한 질환 및 노화를 효과적으로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갈대순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Compositions comprising young Phragmites communis leaves or extracts thereof for preventing or improving obesity, or antioxidant activity}
본 발명은 갈대순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비만을 예방 및 개선할 뿐만 아니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 40대 이상의 주요 사망원인이 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당뇨병, 간질환, 고혈압, 동맥경화증 등 생활습관병으로 보고되었으며(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7.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death and death rates)"2005"), 그 유병률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Hwangbo JH, Son YA, Shin SR, Yoon KS, Kim KS, Kim KS. 2002. Studies on the food and daily habits and lipid concentrations in serum of adult man. Food Industry and Nutrition 7(2): 45-50.; Nam KH, Shin MS, Yoo JH, Bae JJ, Lee SH, Kim SS, Hong YS, Byun JJ, Park HK. 2003. The effect of exercise program during 16 weeks on leptin, HbAlc, BMI and body composition in middle aged men obesity and NIDDM. J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20: 1115-1126.). 특히, 동맥경화증의 주요 위험인자인 고지혈증은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태로서 고혈압 및 흡연과 더불어 관상동맥질환의 3대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Connor, WE, Stone, DB, Hodges, RE. 1994. The interrelated effects of dietary cholesterol and fat upon human serum lipid levels. J Clin Invest 43: 1691-1696.). 이와 같은 생활습관병의 증가는 비만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대한비만학회와 세계보건기구에서도 비만관리는 생활습관병의 예방과 조절을 위한 가장 중요한 전략으로 제시하고 있다.
비만은 한 가지 원인으로 발생하는 질병이 아니라 유전적, 환경-사회적, 정신적인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어느 한 가지 방법으로 치료하기는 어렵다. 즉, 비만은 에너지 소모량에 비해 에너지 섭취량이 많을 경우에 발생하기 때문에 비만치료는 결국 섭취하는 에너지 보다 소비하는 에너지를 많게 하여 에너지 불균형을 교정하는 것이다. 현재 비만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은 식사요법, 운동요법, 행동요법 등 생활 습관을 교정하는 방법과 약물치료 및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다.
이중 약물이나 수술적 치료에 앞서 생활습관을 교정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선행되어야 하지만 생활습관을 교정하는 일이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생활습관 교정만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체중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많은 경우에 생활습관 교정과 함께 약물치료가 필요하다.
현재 미국 FDA가 장기사용을 승인한 비만치료 약물은 2가지 뿐으로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과 세로토닌(serotonin)의 재흡수를 억제하는 작용을 가진 시부트라민(sibutramine; Reductil)과 췌장 및 소화기계에서 분비되는 리파제(lipase)를 억제하여 효과를 나타내는 오르리스타트(orlistat; Xenical)이 있다(Yanovski SZ, Yanovski JA. Obesity. N Engl J Med 2002; 346: 591-602.).
그러나 이 두 가지 약물 모두 몇 가지 제한점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고 있다. 시부트라민(Sibutramine)의 경우 혈압상승, 불면증, 구강건조, 어지러움 등의 부작용이 비교적 흔하고 심혈관질환,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을 가진 환자에게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박혜순. Sibutramine. 대한비만학회지 1998; 7(4): 270-3.). 오르리스타트(Orlistat)의 경우에는 설사, 지방변, 분실금 등의 부작용이 흔하고 한국인과 같이 지방섭취가 서양인에 비해 적은 경우에는 약물의 효과가 뚜렷하지 않다는 점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김상만. Orlistat에 대한 연구. 대한비만학회지 1998; 7(4): 287-92.). 또한 두 가지 약물 모두 아직까지는 장기간 사용시의 안전성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합성 비만 치료제가 아닌 천연물로부터 유래한 비만 치료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사람 몸의 정상적인 대사 과정에서는 활성산소라는 화학적인 입자가 부수적으로 생산된다. 이러한 활성산소들은 끊임없이 몸의 구성 세포들을 공격해 손상을 입히는데 이것을 산화라고 한다. 활성산소에 의한 손상들은 인체의 자연 치유력에 의해 회복되지만, 회복능력 이상의 손상들이 지속적으로 가해지게 될 경우 일생을 통하여 만성적으로 유해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즉, 이들 활성산소는 세포구성 성분들인 지질, 단백질, 당, DNA 등에 대하여 비선택적, 비가역적인 유해작용을 함으로서 노화는 물론 암을 비롯하여 뇌졸중, 파킨슨병 등의 뇌질환과 심장질환, 허혈, 동맥경화, 피부질환, 소화기질환, 염증, 류마티스 및 자기면역질환 등의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활성 산소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체내에는 일련의 산화 보호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보호 시스템으로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uperoxide dismutase; SOD), 카탈라아제(catalase) 등의 효소와 알파-토코페롤(α-tocopherol, vitamin E), 베타-카로틴(β-carotene),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vitamin C) 및 글루타치온(glutahione)과 같은 지용성 및 수용성 항산화제 또는 라디칼 소거제들이 포함된다.
최근 항산화제와 관련된 연구는 식품공업, 발효공업 및 의약산업 분야, 농업 분야 등 다방면의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국가 경제 산업적 측면에서 매우 큰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지금까지 알려진 항산화제가 약한 활성, 독성 및 사용상의 한계로 인하여 의약활성물질로 사용하는 데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천연으로부터 보다 안전하고 강한 활성을 지닌 신규 천연 황산화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갈대(Phragmites communis )는 외떡잎식물로 화본목 화본과로 분류된다. 온대와 한대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늪, 강기슭, 습지, 바닷가 기슭에서 떼지어 서식한다. 높이는 3m정도 이며 줄기 속은 비어있고 잎은 30∼50cm정도이다(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P. 990.). 갈대 중에서 갈대뿌리는 우리나라에서 예로부터 해열, 지갈, 이뇨제, 당뇨병의 소갈, 구역질, 변비, 식중독 등의 약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8-0000193호, 제1998-0000173호 등은 노근추출물이 첨가된 스포츠 또는 과실 음료 등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8-0000190호는 노근을 무수에탄올에 침지처리 또는 100℃ 물에 추출처리하여 노근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 공개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0-0008675호는 노근, 모과 및 미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로 회복 또는 스트레스 억제용 식품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갈대에 관한 연구는 식품 첨가물로써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것 이외에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며, 또한 거의 대부분의 연구가 갈대 뿌리에 집중되어 있다. 특히, 갈대 뿌리를 이용한 식품 등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갈대의 뿌리를 채취하기 위하여 땅을 파야하고, 갈대를 채취한 후에 새로운 갈대를 심고 갈대가 성장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등의 시간적 및 경제적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자들은 갈대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던 중 갈대 뿌리가 아닌 갈대의 어린 잎, 즉 갈대순이 비만 개선 및 항산화 활성이 우수함을 발견하였고, 이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갈대순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약제학적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갈대순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갈대순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갈대순 분말은 7월부터 8월사이에 크기가 5∼10cm인 갈대(Phragmites communis) 식물의 어린 잎을 채취하여 세척한 후 이를 잘게 세절한 것을 말한다. 상기 세절은 믹서기 또는 분쇄기 등의 통상의 세절기를 이용하여 잘게 절단한 것으로 세절된 갈대순 분말의 입도 크기는 하기에서 상술하는 적용 형태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나, 입도 크기가 40∼60 메쉬(mesh)인 분말이 개체에 투여되거나 개체가 섭취하기에 용이하므로 상기 범위의 입도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갈대순 분말의 추출물은 상기의 갈대순 분말을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추출하거나 이로부터 분리된 비만 개선 또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말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갈대순 분말로부터 추출한 추출액뿐만 아니라 이의 건조 분말 또는 이를 이용하여 제형화된 모든 형태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갈대순 분말의 추출물은 물 또는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는데, 추출한 액은 액체 형태로 사용하거나 또는 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 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이며, 추출물의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하는 유기용매에 따라 추출물의 유효성분의 추출정도와 손실정도가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알맞은 유기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등이 있다.
여과는 추출액으로부터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는 과정으로, 면, 나일론 등을 이용하여 입자를 걸러 내거나 한외여과, 냉동여과법, 원심분리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 과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액을 건조하는 단계는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감압건조, 포말건조, 고주파건조, 적외선건조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 최종 건조된 추출물을 분쇄하는 공정을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비만(obesity)"은 에너지 불균형에 의하여 과다한 체지방을 가진 상태(condition) 또는 질환(disease)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예방"이란 조성물의 투여로 비만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개선"이란 조성물의 투여로 비만으로 인한 과다한 체지방이 감소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상기에서, “투여”는 개체의 경구 또는 비경구를 통한 개체 내 흡수 또는 섭취를 말한다. 또한, 상기개체는 비만 또는 활성산소, 또는 이의 직, 간접적 원인에 의해 유발된 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여 증상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을 가진 인간을 포함한 말, 양, 돼지, 염소, 낙타, 영양, 개 등의 포유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함으로써, 몸무게를 감량할 수 있고 혈중, 간조직, 심장조직 내 등의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등의 함량을 감소시켜 비만을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고지방식이를 급여하여 비만을 유도한 마우스(이하에서는, 편의상 ‘고지방대조군’이라 한다)에 본 발명의 갈대순 분말을 급여한 경우(이하에서는, 편의상 ‘갈대순분말군’이라 한다)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갈대순분말군의 체중, 일일 식이섭취량과 에너지섭취량 및 부고환 백색지방 무게는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에 있어서 갈대순분말군이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19% 감소하였고, 중성지질 함량에 있어서 갈대순분말군이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36% 감소하였다. 또한, 갈대순분말군은 고지방식이로 축적된 간조직의 중성지질 함량에 있어서 변화가 없었으나 콜레스테롤 함량에 있어서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심장조직의 중성지질과 콜레스테롤 함량에 있어서 고지방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각각 45%, 12%의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갈대순분말군의 경우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중성지질 함량이 감소하고 콜레스테롤 함량이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개선되었다. 또한, 갈대순분말군은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변으로의 중성지질과 콜레스테롤 배설을 각각 27%와 28%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이외에도, 간조직 중 지방산 합성효소와 관련하여 갈대순분말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나 지방산 β-산화와 관련하여 정상군의 48% 정도로 감소되었으며, 갈대순분말군은 지방산 합성 효소의 활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간조직 중의 HMG-CoA 환원효소(3-hydro-3-methylglutaryl CoA(HMG-CoA) reductase)와 ACAT(acyl-coenzyme A: cholesterol acyltransferase) 활성도의 경우에도 갈대순분말군이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항산화” 또는 “항산화 활성”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생체 내 슈퍼옥사이드 라이칼(superoxide anion, O2 -), 수산화 라디칼(hydroxyl radical, OH-),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2O2), 일중항산소(singlet oxygen, 1O2) 등의 활성산소의 생성을 방지하고 세포에 회복 불가능한 손상을 야기하는 산화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함으로써 활성산소의 생성을 방지하고 세포의 산화현상을 방지하여 이로 인한 다양한 질환 및 노화를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에서, 적혈구 중의 SOD(Superoxide dismutase)와 CAT(Catalase) 활성은 정상군에 비하여 고지방식이 급여시 각각 1.2배, 1.4배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으나 GSH-Px(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은 고지방식이로 인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갈대순분말군의 경우 적혈구의 SOD와 CAT 활성을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추었다. 또한, 적혈구 중의 MDA(malondialdehyde) 함량을 측정한 결과 고지방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약 41%의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낸 반면, 갈대순분말군의 경우 MDA 함량이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약 24% 정도 유의적인 개선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갈대순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서 사용 가능하다.
하나의 구체적인 양태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만 예방 및 개선, 및/또는 항산화 활성을 위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한 약제학적 조성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실제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및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및 캡슐제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와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및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투약 단위는, 예를 들면 개별 투약량의 1, 2, 3 또는 4배를 함유하거나 또는 1/2, 1/3 또는 1/4배를 함유할 수 있다. 개별 투약량은 바람직하게는 유효 약물이 1회에 투여되는 양을 함유하며, 이는 통상 1일 투여량의 전부, 1/2, 2/3 또는 1/4배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용량은 100 내지 300mg/kg이고,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270mg/kg이며, 하루 1 내지 6회 투여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만 개선, 특히 억제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만 예방 및 개선, 및/또는 항산화 활성을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식품 조성물의 형태로 사용할 경우, 상기 식품 조성물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다른 식품에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이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0.4g, 바람직하게는 약 0.02 내지 0.03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중량부 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갈대순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개체의 몸무게를 감량할 수 있고 혈중, 간조직 및 심장조직 내 등의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등의 함량을 감소시켜 비만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갈대순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은 생체 내의 활성산소의 생성 및 세포의 산화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므로 생체 내 활성산소로 인한 다양한 질환 및 노화를 효과적으로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갈대순 분말을 급여한 고지방-갈대순분말군(HF-Pc)의 일일 식이섭취량(A) 및 에너지섭취량(B)을 정상군(Normal) 및 고지방식이군(High-fat)과 비교한 그림이다. 평균± 표준오차, ab실험군간의 다른 문자는 유의적 차이가 있음(p < 0.05).
도 2는 본 발명의 갈대순 분말을 급여한 고지방-갈대순분말군(HF-Pc)의 혈장 내 지질 함량을 정상군(Normal) 및 고지방식이군(High-fat)과 비교한 그림이다. 평균± 표준오차, ac실험군간의 다른 문자는 유의적 차이가 있음(p < 0.05).
도 3은 본 발명의 갈대순 분말을 급여한 고지방-갈대순분말군(HF-Pc)의 분변 내 지질(A: 중성지질, B: 콜레스테롤) 함량을 정상군(Normal) 및 고지방식이군(High-fat)과 비교한 그림이다. 평균± 표준오차, abc실험군간의 다른 문자는 유의적 차이가 있음(p < 0.05).
도 4는 본 발명의 갈대순 분말을 급여한 고지방-갈대순분말군(HF-Pc)의 간조직 중 지방산 대사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상군(Normal) 및 고지방식이군(High-fat)과 비교한 그림이다.평균± 표준오차, ab실험군간의 다른 문자는 유의적 차이가 있음(p < 0.05).
도 5는 본 발명의 갈대순 분말을 급여한 고지방-갈대순분말군(HF-Pc)의 간조직의 콜레스테롤 대사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상군(Normal) 및 고지방식이군(High-fat)과 비교한 그림이다.평균± 표준오차, ab실험군간의 다른 문자는 유의적 차이가 있음(p < 0.05).
본 발명은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이 좀더 이해될 수 있도록 예시적으로 제시되는 것이므로, 이들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해서는 안 될 것이다.
실시예 1: 시료의 준비 및 실험 방법
1-1. 갈대순분말 시료의 준비
순천만에서 자생하는 갈대의 어린 잎을 7월에서 8월까지 채취를 한 후 깨끗하게 세척하고 건조한 다음, 이를 믹서기에 넣고 입자 크기가 40∼60 메쉬(mesh)가 되도록 분쇄하여 갈대순분말을 제조하였다.
1-2. 갈대순분말의 일반성분, 식이섬유 및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 분석
시료인 갈대순분말의 일반성분은 AOAC(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에 준해 회분은 회화법, 조지방은 속슬렛(Soxhlet) 추출법, 조단백질은 단백질 자동분석기(Buchi-342)를 사용하여 시료 분해 및 함량을 측정하였다. 탄수화물은 100에서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회분을 뺀값으로 결정하였다. 식이섬유는 Johansson 등(Johansson CG, Hallmer H. 1983. Rapid enzymatic assay of insoluble and soluble dietary fiber. J Agric Food Chem 31: 476-482.)의 방법에 따라 정량하였다. 또한,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Folin-Densis법에 준해(Gut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 oils. J Am Oil Chem Soc 58: 966-968.) 측정하였으며, 그 함량은 탄닌산(tannic acid)을 이용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구하였다.
1-3. 실험동물 사육 등
갈대순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실험동물은 4주령의 수컷 ICR 마우스 24마리를 바이오제노믹스(Biogenomics, Seoul, Korea)로부터 구입하였다. 마우스는 1주간 고형식이로 적응시킨 후 난괴법에 의하여 정상군(Normal), 고지방대조군(High-fat)과 고지방-갈대순분말군(HF-Pc)으로 나누어 8주간 사육하였다. 동물 사육실의 환경은 항온(22±2℃), 항습(50±4%), 12시간 간격(08:00 ~ 20:00)의 광주기로 일정한 조건을 유지하고 동물들은 폴리카보네이트 사육상자(polycarbonate cage)에 두 마리씩 분리하여 사육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기본식이는 AIN-76(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1977. Report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Ad Hoc committee on standards for nutritional studies. J Nutr 107: 1340-1348.)의 식이조성에 준하였으며 단백질 급원으로는 카제인(Murray, UK)을 공급하고, 탄수화물 급원은 옥수수 전분(신동방), 지방 급원으로는 옥수수 기름(제일제당)을 사용하였다. 고지방 식이군들은 총 열량의 37%가 되도록 쇠기름(Wako, 일본)을 공급하였다. 갈대순분말은 사람이 섭취하는 양을 고려하여 갈대순분말 1% 수준이 되도록 조제(표 1 참조)하여 급여하였으며 식이와 식수는 자유롭게 섭취(ad libitum)하도록 하였고, 모든 실험식이는 사육기간 동안 냉장 보관하였다. 식이 100g당 에너지는 열량계(Parr-1351,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사육기간 마지막 5일 동안 분변을 수집하여 건조시킨 후 지질측정에 사용하였다.
Figure 112010009323462-pat00001
1-4. 실험동물의 혈장 및 장기 채취
사육이 끝난 실험동물은 희생 전 12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 에테르를 흡입시켜 마취시킨 다음 복부 하대정맥(inferior vena cava)으로부터 공복혈액을 채취하였다. 헤파린 처리된 혈액은 3,000 rpm(4℃)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하였다. 실험동물의 장기조직은 혈액 채취 후 즉시 적출하여 PBS(phosphate buffered saline)용액으로 수차례 헹군 후 표면의 수분을 제거하였으며, 즉시 액체질소로 급냉시켜 -70℃에 보관하였다.
1-5. 실험동물의 혈장, 조직 및 변 중의 지질 함량 측정
혈장 중의 중성지질 함량은 M의 방법(Mller PH. 1977. A fully enzymatic triglyceride determination. J Clin Chem Clin Biochem 15: 457-464.)으로 조제된 키트(아산제약, 한국)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Richmond의 방법(Richmond V. 1976. Use of cholesterol oxidase for assay of total and free cholesterol in serum continuous flow analysis. Clin Chem 22: 1579-1588.)으로 조제된 키트(아산제약, 한국)를 사용하였다. 한편, 조직과 변의 지질 함량은 Folch 등의 방법(Folch J, Mee L, Stanley GSH. 1975.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9.)에 준하여 클로로포름:메탄올(2:1,v/v) 혼합액으로 지질을 추출한 후 혈액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농도를 구하였다.
1-6. 실험동물의 적혈구와 간조직 중의 효소원 분리
실험동물의 혈액으로부터 혈장과 연막(buffy coat)를 완전히 제거한 후 McCord와 Fridovich의 방법(McCord JM, Fridovich I. 1969. Superoxide dismutase: An enzymatic function for erythrocuprein (Hemocuprein). J Biol Chem 244: 6049-6055.)에 준하여 적혈구를 분리하였다. 즉 분리한 적혈구는 0.9% 생리식염수로 3회 세척한 후 증류수로 용해한 다음 효소원으로 사용하였다. 적혈구의 효소활성도는 키트(아산제약, 한국)로 측정한 헤모글로빈 g당의 고유활성도로 나타내었다.
실험동물의 간조직은 4배량의 0.25M 수크로스(pH 7.4) 완충용액을 가하여 균질기(IKA, Rw20.7, USA)로 마쇄하여 얻은 균질액을 600g(4℃)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핵 및 미마쇄 부분을 제거한 후 상층액을 얻었다. 이를 10,000g(4℃)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미토콘드리아 분획을 취했으며, 분리된 상층액을 100,000g(4℃)에서 1시간 초원심분리하여 시토졸 분획과 마이크로좀 분획을 얻었다. 미토콘드리아과 마이크로좀 침전물은 사용된 완충용액에 녹인 후 효소원으로 사용하였다. 미토콘드리아 분획은 지방산 베타-산화(fatty acid β-oxidation) 활성 측정에 사용하였고 시토졸 분획은 지방산합성효소(fatty acid synthase; FAS) 활성 측정에 사용하였다. 마이크로좀 분획은 HMG-CoA 환원효소(3-hydro-3-methylglutaryl CoA(HMG-CoA) reductase)와 ACAT(acyl-coenzyme A:cholesterol acyltransferase) 활성 측정에 사용하였다. 조직의 효소활성도는 Bradford의 방법(Bradford MM.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Biochem 72: 248-254.)을 사용하여 측정한 단백질 mg당의 고유활성도로 나타내었다.
1-7. 실험동물의 간조직 중의 지질대사 관련 효소 활성도 측정
FAS 활성도는 Carl 등(Carl MN, Lakshmana MR, Porter JW. 1975. Fatty acid synthase from rat liver. Methods in Enzymology 35: 37-44.)이 실시한 방법을 수정보완하여 산화되는 NADPH 정도를 340 nm에서 측정하였다. 베타-산화(β-oxidation)는 Lazarow 방법(Lazarow PB. 1981. Assay of peroxisomal β-oxidation of fatty acids. Methods in Enzymology 72: 315-319.)을 수정보완하여 NAD+가 NADH로 환원되는 정도를 340 nm에서 측정하였다. HMG-CoA 환원효소 활성도는 Shapiro 등(Shapiro DJ, Nordstrom JL, Mitschelen JJ, Rodwell VW, Schimke RT. 1974. Micro assay for 3-hydroxy-3-methylglutaryl-CoA reductase in rat liver and in L-cell fibroblasts.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370: 369-377.)이 실시한 방법을 수정보완하여 [14C]HMG-CoA를 기질로 하여 생성되는 [14C]mevalonate의 양을 측정하였다. ACAT 활성도는 Erickson 등(Erickson SK, Schrewsbery MA, Brooks C, Meyer DJ. 1980. Rat liver acyl-coenzyme A: cholesterol acyltransferase: its regulation in vivo and some of properties in vitro. J Lipid Res 21: 930-941.)의 방법을 수정보완하여 [14C]Oleoyl-CoA를 기질로 하여 생성되는 [14C]cholesteryl oleate의 양을 측정하였다.
1-8. 적혈구 중의 항산화 효소 활성도 측정
SOD(Superoxide dismutase) 활성은 Marklund와 Marklund의 방법(Marklund S,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oxidation of pyrogallol &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469-474.)에 준하여 효소액을 넣지 않고 반응시킨 0.5mM 피로갈올(pyrogallol) 용액의 자동산화를 50% 억제하는 정도를 나타내었다. CAT(Catalase) 활성은 Abei의 방법(Aebi H. 1988. Catalase in vitro. Method Enzy 10: 121-126.)에 준하여 1분간 1g의 헤모글로빈에 의해 소실되는 과산화수소 양을 나타내었다. GSH-Px(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은 Paglia와 Valentine의 방법(Paglia ED, Valentine WN. 1967. Studies on the quantitative andqualitative characterization of erythrocytes glutathione peroxidase. JLab Clin Med 70: 158-169.)에 준하여 헤모글로빈 1g당 1분 동안 산화되는 NADPH 정도를 나타내었다.
1-9. 적혈구 중의 지질과산화물 함량 측정
적혈구 중의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Tarladgis 등의 방법(Tarladgis BG, Pearson AM, Dugan LR. 1964. Chemistry of the 2-thiobarbituric acid test for determination of oxidative rancidity in foods. J Sci Food Agri 15: 602-607.)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지질과산화물의 지표물질인 MDA(malondialdehyde) 함량은 테트라메톡시프로판(tetramethoxypropane) 표준검량선에 준하여 나타내었다.
1-10. 통계처리
실험결과는 SPSS packag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군당 평균±표준오차로 표시하였고 각 군간의 평균치의 통계적 유의성 검정은 one-way ANOVA를 실시하고 다군간의 차이는 p<0.05 수준에서 던칸의 다검정 테스트(Duncan's multiple test)로 사후 검정하였다.
실시예 2: 갈대순분말의 일반성분, 식이섬유 및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 분석
상기 실시예 1-2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갈대순 분말의 일반 성분과 식이섬유 및 총페놀화합물의 함량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0009323462-pat00002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갈대순분말 100g당 탄수화물은 64.92g이었으며, 단백질은 19.64g으로 함유량이 높은 반면, 조지방은 3.00g으로 소량 함유되어 있다. 한편 식이섬유소 함량은 갈대순분말 100g당 53.18g으로 높은 함유량을 보였으며, 총 폴리페놀화합물의 함량은 100g당 1.16g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 갈대순의 섭취에 따른 실험동물의 체중, 식이섭취량 및 내장지방 무게의 변화 측정
상기 실시예 1-3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갈대순이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마우스의 체중과 내장지방무게에 미치는 영향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으며, 일일 식이섭취량과 에너지섭취량을 도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0009323462-pat00003
그 결과를 살펴보면, 실험 개시 때의 마우스 체중은 실험군간 유사하였으나, 실험종료 8주에는 열량의 37%를 지방으로 급여한 고지방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인 체중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갈대순분말 급여군의 경우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갈대순분말 급여시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식이섭취량과 일일 에너지섭취량이 감소경향을 보이는 것과 유사하였다. 이와 같이 갈대순분말 급여군의 식이섭취량 감소경향은 갈대순분말의 높은 식이섬유소 함유에서 기인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다량의 식이섬유소 섭취는 포만감을 주어 식이섭취량과 체중 감소를 가져와 비만억제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내장지방량 측정을 위하여 부고환지방과 신장주변의 흰색지방 무게를 측정한 결과 신장주변 지방무게는 실험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부고환 지방무게는 고지방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1.6배 높았다. 그러나 갈대순분말 급여는 고지방으로 인해 증가된 부고환 지방무게를 유의적이지 않았으나 12% 낮추었다.
실시예 4: 갈대순의 섭취에 따른 실험동물의 혈장, 간조직, 심장조직 및 분변 중의 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갈대순의 섭취에 따른 실험동물의 혈장과 분변 중의 지질함량을 도 2 및 3에 나타내었으며, 실험동물의 간조직 중의 지질 함량을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0009323462-pat00004
고지방식이는 혈장과 간조직의 지질 함량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키는데(Ghasi S, Nwobodo E, Ofili JO. 2000. Hypocholesterolemic effects of crude extract of leaf of Moringa oleifera Lam in high-fat diet fed wistar rat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69: 21-25.), 본 실험에서도 8주간의 고열량 섭취는 정상군에 비해 혈장 중의 총 콜레스테롤은 171%, 중성지질은 118%의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갈대순 급여시 고지방 대조군에 비해 19% 감소되었고 중성지질 함량은 36%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특히, 최근 중성지방 농도감소는 관상심장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된바 있는데(Davignon J, Cohn JS. 1996. Triglyserides: A risk factor for coronary heart disease. Atherosclerosis 124(Suppl): S57-S64.), 본 실험 결과 갈대순분말은 고지방을 급여한 마우스 혈장의 중성지질을 개선하는데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8주간의 고지방식이 급여는 간조직의 중성지질과 콜레스테롤 함량을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였다. 그러나 갈대순분말 급여는 간조직의 중성지질 함량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추었다. 심장조직의 중성지질과 콜레스테롤 함량 역시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대조군이 각각 45%, 12%의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갈대순분말군의 심장 중 중성지질 함량은 감소경향을 보였으나 콜레스테롤 함량은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개선되었다. 이와 같이 갈대순은 고지방 섭취로 인한 간조직과 심장조직 중의 콜레스테롤 축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한편, 갈대순이 고지방을 섭취한 마우스의 지질 흡수 또는 배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변 중의 지질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낮은 반면, 중성지질은 약 6배 높았다. 이는 콜레스테롤을 첨가하지 않은 고지방식이를 6주간 급여한 선행연구에서도 같은 양상을 보였다(Davignon J, Cohn JS. 1996. Triglyserides: A risk factor for coronary heart disease. Atherosclerosis 124(Suppl): S57-S64.). 그러나 갈대순분말 급여는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변으로의 중성지질 배설과 콜레스테롤 함량을 각각 27%와 28%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이는 갈대순분말이 지방의 흡수를 저해하거나 배설을 촉진시킴으로써 혈중 지질 개선과 조직 중의 지질 축적을 억제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5: 간조직의 지질대사 관련 효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갈대순이 고지방을 급여한 마우스의 간조직 중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4 및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8주간의 고지방식이 급여군의 간조직 중 지방산 합성효소는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아진 반면, 지방산 분해 기전인 지방산 β-산화는 정상군의 48% 정도로 감소되었다. 지방산 β-산화는 미토콘드리아 기질에서 일어나는 반응으로 지방산을 분해하여 ATP를 생성할 수 있는 acetyl-CoA가 생성되는 과정으로 고지방식이에 의한 지질대사 이상이 체내 지질 축적을 유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갈대순 급여시 지방산 산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지방산 합성효소의 활성을 유의적으로 낮추어 정상군 수준으로 개선하였다. 지방산 합성효소는 생체내(in vivo)에서 에너지 저장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효소로서(Smith S. 1994. The animal fatty acid synthase: one gene, one polypeptide, seven enzymes. FASEB J 8: 1248-1259.) 비만과 암 등 인간의 질병에 관련되어 있다(Lin JK, Lin-Shiau SY. 2006. Mechanism of hypolipidemic and anti-obesity effects of tea and tea polyphenols. Mol Nutr Food Res 50: 211-217.). 따라서 최근 체내 지질 합성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지방산 합성효소 활성 저해는 동물실험에서 비만 치료의 중요한 타켓으로 제시되고 있다(Tian WX. 2006. Inhibition of fatty acid synthase by polyphenols. Curr Med Chem 13: 967-977.). 이와 같이 갈대순분말은 간조직에서의 지방산 합성효소를 저해함으로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마우스의 체내지질 저하에 부분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콜레스테롤 대사를 조절하는 효소에는 콜레스테롤 생합성 경로의 조절효소인 HMG-CoA 환원효소와 유리 콜레스테롤을 에스테르화하는 ACAT 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갈대순분말이 콜레스테롤 대사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HMG-CoA 환원효소와 ACAT 활성은 모두 정상군보다 고지방대조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갈대순 급여시 고지방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갈대순분말의 HMG-CoA 환원효소의 활성 저해는 간에서의 콜레스테롤 생합성을 억제하여 세포내 콜레스테롤 공급과 ACAT 활성을 감소시킴으로써 혈장 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개선하였을 뿐만 아니라 관상동맥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6: 적혈구 중의 항산화효소 활성도와 지질과산화물 함량에 미치는 영향
적혈구의 항산화효소 활성도와 지질과산화물 함량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0009323462-pat00005
상기 표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적혈구 중의 SOD와 CAT 활성은 정상군에 비하여 고지방식이 급여시 각각 1.2배, 1.4배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으나 GSH-Px 활성은 고지방식이로 인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갈대순분말 급여는 적혈구의 SOD와 CAT 활성을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추었으며, GSH-Px 활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산화적 스트레스는 동맥경화, 당뇨병 등 질병을 일으키는 요인 중의 하나이며, 이러한 산화적 스트레스는 유리 라디칼 생성과 항산화계의 분균형에서 기인된다(Halliwell B. 1996. Mechanisms involved in the generation of free radicals. Pathol Biol 44(1): 6-13.). 특히, 적혈구는 산소와 헤모글로빈 농도가 높아서 산화적 손상에 민감하여 심혈관 질환과의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Clemens MR, Waller HD. 1987. Lipid peroxidation in erythrocytes. Chem Phys Lipids 45: 251-68.). 그러나 적혈구는 충분한 에너지 공급과 항산화방어 기전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Stocker R, Fewi B. 1991. Endogenous antioxidant defenses in human blood plasma. Oxidative stree. Oxidative stress. Academic Press 213-243.; Carrel R, Winterbourn C, Rachmilewitz F. 1975. Activated oxygen and hemolysis. Br J Haemat 20: 259.). 효소적 방어기전으로 SOD, CAT와 GSH-Px가 관여하는데 SOD는 동물의 거의 모든 조직에 분포되어 있는 효소로(William RP, Jolene JW, John FM. 1983. Increased of glutathione s-tansferases in response to anticarcinogenic antioxidants. J Bio Chem 258(3): 2052-2062.), 반응성이 크고 독성이 강한 산소를 과산화수소로 바꾸며 생성된 과산화수소와 유기과산화물은 CAT와 GSH-Px의 작용에 의해 물로 배설됨으로써 산소독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한다. 산화적 스트레스가 증가될 때 SOD에 의해 생성되는 과산화수소는 비가역적으로 SOD 활성을 감소시키며 이 때 생성된 과산화수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CAT는 활성화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Mittal PC, Kant R. 2009. Correlation of increased oxidative stress to body weight in disease-free post menopausal women. Clinical Biochemistry 42: 1007-1011.), 본 실험에서는 8주간의 고지방식이로 인하여 적혈구 SOD와 CAT 활성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즉, 고지방식이에 갈대순분말 보충은 적혈구 SOD와 CAT 활성 모두 정상군 수준으로 개선하였다. 이는 갈대순분말 급여로 인한 지질저하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개선함으로써 적혈구내 방어효소인 SOD 활성을 낮추었으며, 이로 생성된 과산화수소 생성 감소는 CAT 활성을 낮춘 것으로 생각되었다. 반면, GSH-Px는 고지방식이와 갈대순분말에 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생성된 과산화수소 제거 기전에 GSH-Px보다 CAT가 더 민감하게 반응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활성산소종에 의해 세포막 불포화지방산의 산화로 지질과산화물이 생성되며, 이들 지질과산화물의 분해는 독성이 큰 MDA(malondialdehyde) 축적을 유발한다. 따라서 MDA 측정은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지질과산화물 지표이므로 본 실험에서도 적혈구 중의 MDA 함량을 측정한 결과 고지방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약 41%의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갈대순분말 급여군의 MDA 함량이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24%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 이와 같이 갈대순분말은 고지방식이로 인한 지질과산화물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 사용된 갈대순분말 중의 총 폴리페놀화합물 함량은 11.6mg/g 정도로 효과적인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Claims (6)

  1. 갈대순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갈대순 분말은 5∼10cm의 크기를 가진 잎의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약제학적 조성물.
  3. 갈대순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갈대순 분말은 5∼10cm의 크기를 가진 잎의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갈대순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갈대순 분말은 5∼10cm의 크기를 가진 잎의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00012794A 2010-02-11 2010-02-11 갈대순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073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794A KR101073624B1 (ko) 2010-02-11 2010-02-11 갈대순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794A KR101073624B1 (ko) 2010-02-11 2010-02-11 갈대순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019A KR20110093019A (ko) 2011-08-18
KR101073624B1 true KR101073624B1 (ko) 2011-10-14

Family

ID=44929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794A KR101073624B1 (ko) 2010-02-11 2010-02-11 갈대순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36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078B1 (ko) 2013-09-12 2015-11-13 (주) 세광에스티코퍼레이션 갈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대사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16243A (ko) * 2022-01-28 2023-08-04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갈대 순 추출물을 이용한 가시아메바에 대한 항아메바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4254A (ja) 2008-04-15 2009-11-05 Intelligent Asset Management:Kk 醗酵生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醗酵生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4254A (ja) 2008-04-15 2009-11-05 Intelligent Asset Management:Kk 醗酵生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醗酵生成物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2:한국영양식량학회지
논문3:KOR.J.PHARMACOG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078B1 (ko) 2013-09-12 2015-11-13 (주) 세광에스티코퍼레이션 갈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대사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16243A (ko) * 2022-01-28 2023-08-04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갈대 순 추출물을 이용한 가시아메바에 대한 항아메바 조성물
KR102642638B1 (ko) * 2022-01-28 2024-03-04 경상국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갈대 순 추출물을 이용한 가시아메바에 대한 항아메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019A (ko)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67059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thyroid diseases, containing lonicera caerulea l. var. edulis fruit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You et al. Chronic effect of ferulic acid from Pseudosasa japonica leaves on enhancing exercise activity in mice
Al-Moraie et al. Effect of pomegranate juice on lipid profile and antioxidant enzymes in hypercholesterolemic rats
Zhao et al. Hazelnut and its by-products: A comprehensive review of nutrition, phytochemical profile, extraction, bioactivities and applications
Abdallah et al. Evaluation of antidiabetic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egle marmelos L. Correa fruit extract in diabetic rats
KR101073624B1 (ko) 갈대순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10068958A (ko)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개선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076535B1 (ko)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US20120225146A1 (en) Composition for alleviating fatty liver
KR101076185B1 (ko) 토마토 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간 개선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134251B1 (ko) 사상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개선용 식품조성물
KR101373493B1 (ko) 톳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08808B1 (ko) 벌나무 및 후박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016960A (ko) 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eccarini et al. Licium Barbarum cultivated in Italy: 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nutritional evaluation
Aispuro-Hernández et al. Cactaceae plants as sources of active bioavailable phytochemicals
Muthu et al. Evaluation of in vivo antioxidant and lipid peroxidation effect of various extracts of the whole plant of Borreria hispida (Linn) on rat fed with high fat diet
El-Shobaki et al. A dietary supplement to Ameliorate Hyperglycemia and associated complications in Streptozotocin injected rats
KR20190083071A (ko) 모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101743A (ko) 비타민나무잎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내 지질 개선 조성물
Tomas et al. Black Mulberry Juice
KR101800999B1 (ko) 친환경적으로 재배된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اسحق et al. Evaluation of Therapeutic Effect of Cantaloupe, Grape and Pumpkin Seeds on Cisplatin Induced Nephrotoxicity in Rats
KR20240003002A (ko) 마치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감소 방지용 조성물
Joanna et al. The effect of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Moench) groats addition to the lard diet on antioxidant parameters of plasma and selected tissues in Wistar R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