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3520B1 - 수강생 인증모듈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온라인 강좌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수강생 인증모듈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온라인 강좌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3520B1
KR101073520B1 KR1020090055775A KR20090055775A KR101073520B1 KR 101073520 B1 KR101073520 B1 KR 101073520B1 KR 1020090055775 A KR1020090055775 A KR 1020090055775A KR 20090055775 A KR20090055775 A KR 20090055775A KR 101073520 B1 KR101073520 B1 KR 101073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rse
student
consumer
onlin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7635A (ko
Inventor
방규선
Original Assignee
(주)지유에듀테인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유에듀테인먼트 filed Critical (주)지유에듀테인먼트
Priority to KR1020090055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3520B1/ko
Publication of KR20100137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강생 인증모듈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온라인 강좌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오프라인 학원에서 촬영된 강좌 등과 같은 콘텐츠를 온라인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강생에게 온라인으로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수강생의 오프라인 학원 등록 여부를 인증하는 과정을 포함시켜 학원 또는 수강생에게 수강료를 부과시키는 구조를 포함하는 온라인 강좌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프라인 학원을 등록한 수강생이나 비등록 수강생에게 오프라인 학원의 강좌를 제공함으로써 온라인 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콘텐츠 이용에 따른 비용을 수강생 또는 학원에 청구함으로써 새로운 수익 모델을 만들 수 있는 수강생 인증모듈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온라인 강좌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강좌, 수강, 인증, 플랫폼, 온라인

Description

수강생 인증모듈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온라인 강좌 제공 방법 {On and off line Integrated on-line lecture provision method using trainee identity module}
본 발명은 수강생 인증모듈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온라인 강좌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오프라인 학원에서 촬영된 강좌 등과 같은 콘텐츠를 온라인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강생에게 온라인으로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생이나 일반인들이 특정 분야에 대한 교육을 받기 위해서는, 해당 분야를 교육하는 교육기관, 예를 들어 학교 또는 학원 등에서 해당 분야에 대한 강좌를 수강하게 된다. 최근에는 유무선 통신망의 발달과 함께 인터넷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상기 인터넷을 통해 학습자가 필요한 강좌를 신청하거나, 온라인으로 강좌를 수강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온라인을 이용한 강좌 수강 방법은 학원 등을 직접 방문하지 않 고서도 자신이 원하는 강좌의 수강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수강생에게 최대한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즉, 오프라인 학원 수강생이 부득이한 사정으로 학원 수업을 결석했을 경우 온라인상으로 해당 강좌를 시청할 수 있고, 또한 결석이 아니더라도 수강생이 온라인상으로 복습할 수 있는 기회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소수의 대형 학원을 제외한 대부분의 학원은 중소 규모의 학원으로서, 자체적으로 홈페이지를 제작하기 어렵고, 서버 등의 네트워크 장비, 데이터베이스, 이러닝 솔루션 비용, 및 이들의 유지 보수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프라인 수업에 참여하지 못한 학원 수강생, 학원수업을 복습하고자 하는 수강생, 또는 오프라인 학원의 수업에 참여하고 싶은 학원 비등록 수강생에게, 온라인 상에서 강의를 수강할 수 있는 온라인 강좌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여 강좌 공급자(학원 등)와 강좌 수요자를 연결하는 수강생 인증모듈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온라인 강좌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소형 학원들에게 학습 관리 시스템(Learning Management System : LMS)을 지원하고, 온라인 강좌 서비스가 가능한 홈페이지를 각각 제공하며, 각각의 홈페이지에 있는 강좌 데이터 및 각종 콘텐츠를 사고 팔 수 있는 온라인 장터를 구축하는 수강생 인증모듈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온라인 강좌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해당 중소형 학원이 해당 과목별로 오프라인 등록 수강생과 비등록 수강생을 구별하여 수강료를 정책을 달리하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수강생 인증모듈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온라인 강좌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좌 공급자와 강좌 수요자를 연결하는 온라인 강좌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강좌 공급자의 컴퓨터에 강의 및 수강생을 관리하며, 강좌 수요자에 대해 수강생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수강생 인증모듈을 포함하는 학원 이러닝 플랫폼이 설치되는 제 1 단계, 상기 학원 이러닝 플랫폼을 통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강좌 데이터가 강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제 2 단계, 상기 강좌 수요자의 컴퓨터에, 구매한 강좌, 또는 구매 예정 강좌, 또는 강좌에 관한 학습 자료를 관리하는 개인 이러닝 플랫폼을 설치되는 제 3 단계, 상기 강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강좌 데이터가 상기 강좌 수요자에 의해 요청되는 제 4 단계, 상기 강좌 수요자가 오프라인 등록 수강생인지 또는 비등록 수강생인지의 인증을 위해 상기 강좌 수요자의 정보가 상기 강좌 공급자의 컴퓨터로 전송되는 제 5 단계, 상기 강좌 공급자로부터 인증 허가 입력을 받아서 수강생 인증을 완료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수강생 인증 여부에 따라 상기 강좌 공급자 및 상기 강좌 수요자 중에서 온라인 강좌 수강 이용료 납부 경로를 판단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강좌 데이터는 강의 음원 데이터, 강의 텍스트 데이터, 및 강의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강좌 데이터는 수강료 데이터, 강좌 요약 데이터, 및 강좌 기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강좌 데이터는 오프라인 등록 수강생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강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강좌 데이터가 상기 강좌 수요자에 의해 요청되었을 때, 상기 수강생 인증모듈은 상기 강좌 수요자의 컴퓨터에 인증 입력 요청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수강생 인증모듈은 상기 강좌 데이터를 요청한 상기 강좌 수요자의 컴퓨터에 오프라인 등록 여부를 확인 받기 위한 인증 입력 요청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제 5-1 단계, 상기 인증 입력 요청 이벤트를 통한 상기 강좌 수요자의 입력 정보가 상기 강좌 공급자에게 전송되는 제 5-2 단계, 및 상기 강좌 공급자가 상기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강좌 수요자의 오프라인 등록 또는 비등록 여부를 판단하는 제 5-3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강생 인증 결과, 상기 강좌 수요자가 오프라인 등록 수강생인 경우에는 제 1 수강료를 요청하고, 상기 강좌 수요자가 비등록 수강생인 경우 제 2 수강료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수강료는 상기 강좌 공급자에게 요청되며, 상기 제 1 수강료의 결제 완료 확인 시 해당 온라인 강좌가 상기 강좌 수요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강료는 상기 강좌 수요자에게 요청되며, 상기 제 2 수강료의 결제 완료 확인 시 해당 온라인 강좌가 상기 강좌 수요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수강생 인증모듈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온라인 강좌 제공 방법은 오프라인 학원 수강생이 오프라인 수업 시간에 참여하지 못했을 경우 또는 학원 수업을 복습하고자 할 경우, 및 오프라인 학원 비등록 수강생의 경우, 온라인 상에서 강의를 수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여 시스템을 이용하는 비용에 대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강생 인증모듈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온라인 강좌 제공 방법은 중소형 학원들에게 학습 관리 시스템(Learning Management System : LMS)을 지원하고, 온라인 강좌 서비스가 가능한 홈페이지를 각각 제공하며, 각각의 홈페이지에 있는 강좌 데이터 및 각종 콘텐츠를 사고 팔 수 있는 온라인 장터를 구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강생 인증모듈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온라인 강좌 제공 방법은 각각의 해당 중소형 학원이 해당 과목별로 오프라인 등록 수강생과 비등록 수강생을 구별하여 수강료를 정책을 달리하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강생 인증모듈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온라인 강좌 제공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온라인 강좌 제공 시스템에 회원 가입된 강좌 공급자의 컴퓨터에 강의 및 수강생을 관리하며, 강좌 수요자에 대해 수강생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수강생 인증모듈을 포함하는 학원 이러닝 플랫폼이 설치(S110)되고, 상기 강좌 공급자는 학원 등에서 실시된 오프라인 강의에 관한 강의 영상, 강의 음원, 또는 강의 텍스트와 같은 강좌 데이터를 상기 학원 이러닝 플랫폼 통해 강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S120)한다.
또한, 상기 온라인 강좌 제공 시스템에 회원 가입된 강좌 수요자의 컴퓨터에, 구매한 강좌, 또는 구매 예정 강좌, 또는 강좌에 관한 학습 자료를 관리하는 개인 이러닝 플랫폼을 설치(S130)된다.
즉, 상기 강자 수요자는 개인 이러닝 플랫폼을 통해 상기 강좌 제공자가 제공하는 강좌에 대해, 이미 구매한 강좌, 또는 구매 예정 강좌, 또는 강좌에 관한 학습 자료를 관리한다.
그 후, 상기 강좌 수요자가 상기 온라인 강좌 제공 시스템에 로그인하여 상기 강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강좌 중 하나의 강좌 데이터를 요청(S140)하면, 선택된 강좌 데이터에 대해 상기 강좌 수요자가 오프라인 등록 수강생인지 또는 비등록 수강생인지의 인증(S150)을 수행하게 되고, 수강생 인증이 완료되면 인증 여부에 따라서 상기 수강생이 선택한 강좌 데이터에 대한 온라인 강좌 수강 이용료의 납부 경로를 판단(S160)한다.
그 후 강좌 데이터베이스의 강좌 데이터가 상기 강좌 수요자에게 전송되어, 상기 강좌 수요자가 강의 영상, 강의 음원, 또는 강의 텍스트를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강좌 데이터는 상기 강좌 수요자에게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전송되거나, 미디어 파일 또는 문서 파일의 형태로 전송된다.
상기 인증의 구체적인 과정 및 온라인 강좌 수강 이용료의 납부 경로를 판단하는 과정은 추후의 도면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강좌 데이터는 강의 영상, 강의 음원, 또는 강의 텍스트에 대한데이터 외에도 강좌에 대한 수강료 데이터, 강좌 요약 데이터, 및 강좌 기간 데이터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좌 데이터에는 오프라인 등록 수강생 데이터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강좌 수요자에 의해 강좌가 요청되고, 인증 요청 이벤트에 의한 인증 입력 정보가 수신되어, 상기 인증 입력 정보를 상기 오프라인 등록 수강생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강좌 수요자가 오프라인 등록 사용자인지 비등록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도 있다.
도 2는 강좌 공급자와 강좌 수요자 사이에서 온라인 강좌 제공 시스템이 작동하는 구조에 관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작동에 관한 흐름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학원, 즉 학원A(310), 학원B(320)에서 제작된 각각의 강좌 데이터(a1, a2, b1, b2)가 온라인 강좌 제공 시스템(100)의 강좌 데이터베이스(112, 114)에 전송되어 저장(S110)된다. 그리고 강좌 수요자(200)에게 제공될 상기 강좌 데이터베이스(112, 114)에 저장된 강좌 데이터에 대한 강좌 목록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강좌 데이터(a1, a2, b1, b2)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은 이하에 설명되는 여러 단계를 거쳐 강좌 수요자(200)에게 전송된다.
상기 강좌 수요자(200)가 상기 온라인 강좌 제공 시스템(100)에 회원 가입(S205)을 하면 상기 온라인 강좌 제공 시스템(100)은 상기 강좌 수요자의 컴퓨터에 구매한 강좌, 또는 구매 예정 강좌, 또는 강좌에 관한 학습 자료를 관리하는 개인 이러닝 플랫폼을 제공하여 설치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강좌 수요자(200)가 상기 온라인 강좌 제공 시스템(100)에 로그인(S210)하여 상기 강좌 목록의 강좌를 선택(S220)하면, 상기 플랫폼의 수강생 인증모듈은 인증 요청 이벤트를 발생(S142)시켜 상기 강좌 수요자(200)에게 전송하며, 상기 강좌 수요자(200)가 상기 인증 요청 이벤트에 인증 입력 정보를 입력(S232)하고, 상기 온라인 강좌 제공 시스템(100)은 상기 인증 입력 정보를 수신(S144)하여 강좌 공급자(300)에게 상기 인증 입력 정보에 관한 인증을 요청한다.
상기 강좌 공급자(300)는 상기 인증 입력 정보를 통해서 상기 강좌 수요자(200)가 오프라인 등록 수강생인지 비등록 수강생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인증(S320)을 수행한 후, 인증 결과를 다시 상기 온라인 강좌 제공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 상기 온라인 강좌 제공 시스템(100)은 상기 인증 결과를 통해 강좌 수강 이용료를 강좌 공급자(300)에게 과금할 것인지, 또는 강좌 수요자(200)에게 과금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강좌 수강 이용료를 요청한다.
상기 강좌 공급자(300)에게 과금되는 강좌 수강 이용료를 제 1 수강료라고 하고, 상기 강좌 수요자(200)에게 과금되는 강좌 수강 이용료를 제 2 수강료라고 했을 때, 상기 제 1 수강료는 상기 온라인 강좌 제공 시스템(100)의 시스템 이용료이고, 상기 제 2 수강료는 상기 온라인 강좌 제공 시스템(100)의 시스템 이용료에 상기 강좌 공급자(300)에 의해 제작된 강의 데이터에 대한 콘텐츠 이용 요금이 추가된다.
이러한 과금 경로를 구분하는 구조는 다음과 같은 예로 설명된다. 만약 학원A(310) 의 강좌 a1의 수강료가 m1이고, 상기 강좌 a1을 오프라인 상에서 실제로 강좌 수요자 A(210)가 수강하고 있을 때, 상기 학원A(310)는 상기 강좌 수요자 A(210)에게 온라인 강좌 서비스 수강료로서 m2를 추가하여 최종적으로 m1+m2의 수강료를 과금하여 오프라인 수강생으로 등록시킨다. 그 후 학원A(310)는 강좌 a1에 관한 강좌 데이터를 온라인 강좌 제공 시스템(100)에 제공하고, 상기 수강생 인증모듈이 포함된 플랫폼(120)을 활용하여, 상기 강좌 수요자 A(210)가 상기 강좌 a1에 대하여 실제 오프라인상 수강생임이 인증되면 강좌 수요자 A(210)는 과목a1에 대한 강좌 데이터를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학원 A(310)는 강좌 수요자 A(210)로부터 받은 m2의 전부 또는 일부를 온라인 강좌 제공 시스템(100)의 이용료로서 제공하게 된다.
수강생 인증 방법은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강좌 공급자 각각에게 주어지는 LMS 기능이 포함된 개별 홈페이지의 각 강좌별 회원관리 페이지를 통해서 미리 각 강좌별로 실제 학원의 수강생 인증 정보(예를 들어 주민등록번호, 성명 등)를 등록해 놓은 경우, 또는 실제 학원의 수강생 인증 정보를 등록해 놓지 않은 경우에 각각 상기 수강생 인증 방법이 달라진다.
상기와 같이 상기 수강생 인증 정보의 등록 또는 비등록을 구분하는 이유는 강좌 공급자가 각 과목별로 실제 수강생 정보를 입력해놓을 수 있지만, 여러 가지 사정으로 상기 실제 수강생 정보를 입력하지 않을 경우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좌 제공 방법에서, 강좌 공급자에 주어진 홈페이지의 각 과목별 회원 관리 페이지에 미리 수강생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수강생 인증 방법에 관한 과정이 축소된다.
강좌 수요자 A(210)는 학원 B(320)의 강좌 b1 및 b2 과목은 실제 수강하였고, 강좌 b3 및 b4는 수강하지 않았다고 가정하고, 상기 학원 B(320)는 상기 강좌 수요자 A(210)에 대한 과목별 수강 등록 인증을 강좌 b1은 미리 해당 홈페이지의 과목별 회원관리 페이지에 등록하였으나, 강좌 b2는 등록하지 않았다고 가정했을 때, 상기 강좌 수요자 A(210)가 학원 B(320)의 강좌 b1을 온라인 상으로도 학습하고자 선택하고 수강 인증 요청을 한 경우, 수강생 인증 입력 요청 이벤트를 발생시켜 인증창을 강좌 수요자 A(210)에 띄우고 인증 키워드를 요청하게 된다.
이 때, 강좌 수요자 A(210)가 입력한 인증 키워드(예: 주민등록번호+성명 등)가 학원 B(320)가 미리 해당 홈페이지 과목별 회원관리 페이지에 등록한 학습자A 인증정보(예: 주민등록번호+성명 등)와 일치하게 되면 수강생 인증모듈은 자동으로 강좌 수요자 A(210)에 대한 강좌 b1의 오프라인 수강여부를 승인하고 수강료를 학원 B(320)에 청구하게 된다. 상기 학원 B(320)가 수강료를 납부했을 때 강좌 수요자 A(210)는 해당 강좌를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원 B(320)가 미리 인증받은 강좌 수요자(200)에 대한 시스템 이용 금액을 온라인 강좌 제공 시스템(100)에 미리 충전해 놓은 경우, 충전 금액에서 강좌 수요자 A(210)에 대한 수강료를 차감하고 즉시 강좌 수요자 A(210)가 해당 강좌를 수강할 수도 있다. 이는 학원 B(320)가 수강료를 수강생별로 인증이 이루어 졌을 때마다 매번 납부하는 절차를 생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온라인 강좌 제공 시스템(100)에 회원가입 시 강좌 수요자 A가 상기 온라인 강좌 제공 시스템에 입력한 고유 인증키를 학원B가 요구하는 인증키와 연동하여, 상기 강좌 수요자가 수강인증 요구 후 인증창에 인증키워드를 입력하는 절차 역시 생략될 수 있다.
또한, 강좌 수요자 A(210)가 강좌 b1, b2 및 b3에 대한 수강인증을 요구한 경우, 수강생 인증 모듈은 상기 강좌 수요자 A(210)에 대한 인증창을 통한 인증키워드 요청하고, 상기 강좌 수요자 A(210)가 입력한 인증키워드를 각 과목별 회원관리 페이지에서 확인하고 인증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위의 예와 같은 경우에 학원 B(320)는 강좌 수요자 A(210)에 대하여 강좌 b1 및 b2 과목은 수강인증하고 강좌 b3는 수강 인증을 거부하게 된다. 즉, 강좌 b1 및 b2의 수강료는 학원 B(320)측에 청구되고 강좌 b3은 강좌 수요자 A(210)에게 청구되어 각각의 납부 확인 후 상기 강좌 수요자 A(210)는 해당 과목을 볼 수 있다.
도 4는 강좌 수강 이용료 납부 경로를 판단하는 과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강좌 수요자가 온라인 강좌 제공 시스템에 로그인(S210)하여 원하는 강좌를 요청(S220)하게 되면 수강생 인증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고, 상기 강좌 수요자가 상기 수강생 인증 요청 이벤트에 대해 수강생 인증 정보를 입력(S230)하면, 상기 강좌 수요자가 선택한 강좌에 대해 오프라인 등록 수강생인지 오프라인 비등록 수강생인지의 여부를 판단(S240)하는 인증을 수행한다. 상기 강 좌 수요자가 오프라인 등록 사용자로 판단되면 강좌 수강 이용료는 강좌 공급자에게 요청(S250)되고, 오프라인 비등록 사용자로 판단되면 강좌 수강 이용료는 강좌 수요자에게 요청(S260)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좌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강좌 제공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2는 강좌 공급자와 강좌 수요자 사이에서 온라인 강좌 제공 시스템이 작동하는 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작동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강좌 수강 이용료 납부 경로를 판단하는 과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온라인 강좌 제공 시스템
112, 114 : 강좌 데이터 베이스
200 : 강좌 수요자 300 : 강좌 공급자
310, 320 : 학원

Claims (9)

  1. 강좌 공급자와 강좌 수요자를 연결하는 온라인 강좌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강좌 공급자의 컴퓨터에 강의 및 수강생을 관리하며, 강좌 수요자에 대해 수강생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수강생 인증모듈을 포함하는 학원 이러닝 플랫폼이 설치되는 제 1 단계;
    상기 학원 이러닝 플랫폼을 통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강좌 데이터가 강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제 2 단계;
    상기 강좌 수요자의 컴퓨터에, 구매한 강좌, 또는 구매 예정 강좌, 또는 강좌에 관한 학습 자료를 관리하는 개인 이러닝 플랫폼을 설치되는 제 3 단계;
    상기 강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강좌 데이터가 상기 강좌 수요자에 의해 요청되는 제 4 단계;
    상기 강좌 수요자가 오프라인 등록 수강생인지 또는 비등록 수강생인지의 인증을 위해 상기 강좌 수요자의 정보가 상기 강좌 공급자의 컴퓨터로 전송되는 제 5 단계;
    상기 강좌 공급자로부터 인증 허가 입력을 받아서 수강생 인증을 완료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수강생 인증 여부에 따라 상기 강좌 공급자 및 상기 강좌 수요자 중에서 누구에게 온라인 강좌 수강 이용료를 과금할지 판단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강생 인증모듈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온라인 강좌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좌 데이터는 강의 음원 데이터, 강의 텍스트 데이터, 및 강의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강생 인증모듈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온라인 강좌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좌 데이터는 수강료 데이터, 강좌 요약 데이터, 및 강좌 기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강생 인증모듈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온라인 강좌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강좌 데이터는 오프라인 등록 수강생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강생 인증모듈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온라인 강좌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강좌 데이터가 상기 강좌 수요자에 의해 요청되었을 때, 상기 수강생 인증모듈은 상기 강좌 수요자의 컴퓨터에 인증 입력 요청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강생 인증모듈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온라인 강좌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수강생 인증모듈이 상기 강좌 데이터를 요청한 상기 강좌 수요자의 컴퓨터에 오프라인 등록 여부를 확인 받기 위한 인증 입력 요청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제 5-1 단계;
    상기 인증 입력 요청 이벤트를 통한 상기 강좌 수요자의 입력 정보가 상기 강좌 공급자에게 전송되는 제 5-2 단계; 및
    상기 강좌 공급자가 상기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강좌 수요자의 오프라인 등록 또는 비등록 여부를 판단하는 제 5-3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강생 인증모듈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온라인 강좌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강생 인증 결과, 상기 강좌 수요자가 오프라인 등록 수강생인 경우에는 상기 강좌 공급자에게 제 1 수강료를 요청하고, 상기 강좌 수요자가 비등록 수강생인 경우에는 상기 강좌 수요자에게 제 2 수강료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강생 인증모듈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온라인 강좌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제 1 수강료는 상기 강좌 공급자에게 요청되며, 상기 제 1 수강료의 결제 완료 확인 시 해당 온라인 강좌가 상기 강좌 수요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강생 인증모듈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온라인 강좌 제공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강료는 상기 강좌 수요자에게 요청되며, 상기 제 2 수강료의 결제 완료 확인 시 해당 온라인 강좌가 상기 강좌 수요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강생 인증모듈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온라인 강좌 제공 방법.
KR1020090055775A 2009-06-23 2009-06-23 수강생 인증모듈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온라인 강좌 제공 방법 KR101073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775A KR101073520B1 (ko) 2009-06-23 2009-06-23 수강생 인증모듈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온라인 강좌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775A KR101073520B1 (ko) 2009-06-23 2009-06-23 수강생 인증모듈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온라인 강좌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635A KR20100137635A (ko) 2010-12-31
KR101073520B1 true KR101073520B1 (ko) 2011-10-17

Family

ID=43511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775A KR101073520B1 (ko) 2009-06-23 2009-06-23 수강생 인증모듈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온라인 강좌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35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3524A (ko) 2020-01-20 2021-07-28 안성혜 빅데이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의 학원 강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175B1 (ko) 2019-01-28 2019-10-01 현주건설(주) 도로구조물 배수 신축이음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3524A (ko) 2020-01-20 2021-07-28 안성혜 빅데이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의 학원 강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635A (ko) 201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409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ducational offering staking and token architecture
CN108734576B (zh) 一种基于区块链的教育资源共享方法及系统
CN110956470A (zh) 基于区块链的个人经历信息处理方法和装置
US20140351914A1 (en) Identity Verification for Online Education
Ebner et al. No sheriff in town: governance for online dispute resolution
CN110490776A (zh) 一种基于区块链的学习认证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0741390B1 (ko) 네트워크상에서 이루어지는 전세계 언어 지원 응용 프로그램에 의한 개인 간 매칭과 이를 통한 교육과 지불 및 정산 방법
Altieri The next generation of one-stop student service centers, Part II
KR101073520B1 (ko) 수강생 인증모듈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온라인 강좌 제공 방법
Draaijer START REPORT: A report on the current state of online proctoring practices in higher education within the EU and an outlook for OP4RE activities
KR100959817B1 (ko) 온라인 외국어 학습회원의 교육성취도 평가 및 온라인프랜차이즈 운영이 가능한 교육포탈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WO2013040095A1 (en) Learning application template management in a modular learning system
KR101482495B1 (ko) 디지털 지식 공유 플랫폼 모델 구현을 위한 엘엠에스 연동 컨텐츠마켓 시스템 및 그 이용 방법
Wang et al. Enabling Fairness‐Aware and Privacy‐Preserving for Quality Evaluation in Vehicular Crowdsensing: A Decentralized Approach
Fridgen et al.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DLT (blockchain) in mobility and logistics
CN108335049A (zh) 私教授课管理方法、装置、计算机终端及存储介质
KR102163780B1 (ko) 교수자를 위한 영어 교육 플랫폼
Giraud‐Carrier et al. Learning in the fast lane: The freeway game
WO2013040108A1 (en) Certification of learning applications in a modular learning system
Harel Ben Shahar Privatization of education in Israel
KR20160126731A (ko) 학습자 단말을 인증할 수 있는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Kolehmainen et al. SimplyMember: A human-centric digital membership solution based on Self-Sovereign Identity: Results from the JYU course TJTS570 Blockchain in Digital Business, spring 2021
KR101504499B1 (ko) 재능기부은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623571B1 (ko)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의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시스템
Trifiro’ How a misplaced attention to the student experience can limit the progressive impact of T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