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571B1 -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의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의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571B1
KR102623571B1 KR1020210132334A KR20210132334A KR102623571B1 KR 102623571 B1 KR102623571 B1 KR 102623571B1 KR 1020210132334 A KR1020210132334 A KR 1020210132334A KR 20210132334 A KR20210132334 A KR 20210132334A KR 102623571 B1 KR102623571 B1 KR 102623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cture
portfolio
blockchain network
serve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9330A (ko
Inventor
박세진
나동준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32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571B1/ko
Publication of KR20230049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9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5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using asymmetric-key encryption or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e.g. key signature or public key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강의 서버에 강의 수강 데이터의 포트폴리오 발급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기; 강의 수강 데이터를 스냅샷 데이터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강의 서버; 및 스냅샷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해시 값을 생성하고, 스마트 컨트랙트 트랜잭션을 생성하되, 스마트 컨트랙트 트랜잭션을 기초로 포트폴리오를 발급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의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시스템{METHOD OF ISSUING PORTFOLIO SYSTEM BASED ON BLOCK CHAIN NETWORK,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의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의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의 강의 수강 데이터를 포트폴리오로 발급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의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기술은, 네트워크 통신상에서 이루어지는 거래내용을 신뢰성 있고 안전한 방법으로 기록하는 기술이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디지털화된 자산이나 거래내역의 교환이 가능한 분산 환경의 시스템으로, 공유된 장부를 이용하여 P2P(peer-to-peer) 네트워크에서 발생되는 전자적 거래 내역을 기록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탈중앙화된 구조 또는 분산된 합의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블록체인 P2P 네트워크는, 탈중앙화된 구조와 합의 알고리즘을 이용하기 때문에, 제3자에 의한 위변조가 불가능하므로, 거래 내역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보장할 수 있다.
포트폴리오는, 개인이 성취한 과정과 그 과정에서 파생된 결과물들을 보여주기 위하여 제공하는 자료의 모음으로 활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컴퓨터 테크놀로지의 발달에 힘입어 전자의 형태, 즉 e포트폴리오로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포트폴리오의 분야가 넓어지면서, 신뢰성을 담보하기 위해서, 위변조가 불가능한 블록체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강의 수강 데이터의 포트폴리오 내용을 토큰으로 발급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의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강의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의 강의 수강 데이터를 포트폴리오로 발급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강의 서버에 상기 강의 수강 데이터의 포트폴리오 발급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강의 수강 데이터의 포트폴리오 발급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포트폴리오 발급을 요청한 시점까지의 강의 수강 데이터를 스냅샷 데이터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강의 서버; 및 상기 강의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스냅샷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해시 값을 생성하고, 상기 스냅샷 데이터와 상기 해시 값이 포함된 스마트 컨트랙트 트랜잭션을 생성하되,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트랜잭션을 기초로 포트폴리오를 발급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포트폴리오를 토큰으로 발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사용자의 개인키로 서명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명을 수신하면, 상기 서명이 유효한지 여부를 검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의 수강 데이터는, 강의별 수강 기록과 강의별 시험 성적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토큰이 저장되는 전자지갑을 생성하고, 외부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포트폴리오 제출 요청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전자지갑에 저장된 토큰을 외부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강의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의 강의 수강 데이터를 포트폴리오로 발급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강의 수강 데이터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강의 서버에 상기 강의 수강 데이터의 포트폴리오 발급을 요청하고, 상기 강의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강의 수강 데이터의 포트폴리오 발급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강의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강의 수강 데이터의 포트폴리오 발급 요청 시점까지의 강의 수강 데이터를 스냅샷 데이터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강의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스냅샷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해시 값을 생성하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스냅샷 데이터와 상기 해시 값이 포함된 스마트 컨트랙트 트랜잭션을 생성하되,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트랜잭션을 기초로 포트폴리오를 발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트랜잭션을 기초로 포트폴리오를 발급하는 것은, 상기 포트폴리오를 토큰으로 발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제공함으로써, 강의 수강 데이터의 포트폴리오 발급시 사용자의 개인키 인증, 검증이 이루어져 투명성과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제공함으로써, 강의 수강 데이터의 포트폴리오를 토큰으로 발급하여, 토큰에 강의 수강 데이터의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3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서 포트폴리오를 발급하는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의 포트폴리오 발급 과정을 나타낸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도5는 강의 수강시 미션 수행결과에 따라 제공받은 보상 내용이 포트폴리오 내용에 추가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6은 강의 수강시 미션 수행결과에 따라 제공받은 보상 내용이 NFT 토큰인 경우에 마켓 서버에 등록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에 관한 개념도이다.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기(10), 강의서버(11)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12)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1)은 강의 수강 데이터를 증명할 수 있도록 포트폴리오를 발급할 수 있다. 이 때, 포트폴리오를 발급하는 것은 강의 수강 데이터를 담은 토큰을 발급하는 것일 수 있다.
토큰은 대체가능(Fungible)토큰과 대체불가능(Non-Fungible) 토큰으로 분류될 수 있다. 대체가능 토큰은 동일한 타입의 다른 토큰과 교환이 가능하지만 대체불가능 토큰은 동일한 타입의 다른 토큰과 교환이 불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토큰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ERC-721, ERC-1155 표준의 대체불가능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강의 수강 데이터는 강의별 수강 기록, 강의별 시험 성적 결과, 프로젝트 이수 여부, 강의별 과제 수행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강의 수강 데이터는 사용자가 강의서버(11)에서 수행한 모든 기록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강의서버(11)에서 회원가입절차를 수행하여 강의서버(11)에서의 사용자의 고유의 ID를 생성할 수 있다. 회원가입 절차 수행시, 사용자의 주소, 핸드폰 번호 등 개인정보의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회원가입을 하지 않더라도 비회원으로서 강의서버(11)에서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때, 사용자 단말기(10)는 본 발명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1)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보유한 데스크탑 PC, 랩탑 PC,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 등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기(10)가 직접 수행하는 것으로 전술하였으나,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강의서버(11)에 접속하면, 사용자 단말기(10)에 사용자의 강의별 관심사 항목을 선택하는 팝업창이 출력될 수 있다. 팝업창은 관심 키워드 정보를 자유롭게 입력하는 입력창이거나, 미리 마련된 카테고리 항목 중에서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관심 키워드 정보란, 학문 분야별 출간논문, 교수요목, 강의 내용에 포함된 키워드 정보일 수 있다. 미리 마련된 카테고리 항목은 학년 선택 항목, 학사/석사/박사의 학위 선택 항목, 인문계열, 자연계열, 교육계열, 의학계열, 예체능 계열 등의 계열 카테고리 선택 항목, 동일한 나이대별 인기 강의 추천 항목, 동일한 성별 인기 강의 추천 항목, 전체 강의서버의 회원들이 수강하고 있는 강의를 인기별로 정렬한 강의 추천항목 등일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복수개의 카테고리 항목을 선택할 수 있되, 복수개의 검색결과의 강의 중에서 우선하여 검색결과를 출력하도록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계열 카테고리 선택 항목과 동일한 나이대별 인기 강의 추천 항목을 동시에 선택한 경우에 동일한 나이대별 인기 강의 추천 항목에 가중치를 더 높게 두어 강의 검색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관심 키워드 정보 및 선택한 카테고리 항목들은 모두 강의서버(11)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와 연동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12)에도 동시에 저장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강의서버(11)와 통신할 수 있으며, 강의서버(11)에 강의 수강 데이터의 포트폴리오 발급을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강의서버(11)는 사용자의 강의 수강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강의 서버(11)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강의 수강 데이터의 포트폴리오 발급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강의서버(11)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강의 수강 데이터의 포트폴리오 발급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기(10)가 포트폴리오 발급을 요청한 시점까지의 강의 수강 데이터를 스냅샷(Snap Shot) 데이터로 블록체인 네트워크(12)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스냅샷(Snap Shot)이란, 특정 시점에서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별도로 복사하여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12)는 사용자 단말기(10) 및 강의서버(11)와 통신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12)는 강의서버(11)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실시간 강의 수강 데이터가 저장될 수도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12)는 복수개의 노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기(10)와 강의서버(11)는 복수개의 노드 중 하나의 노드로서 참여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12)는 사용자 단말기(10)와 강의서버(11)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달된 트랜잭션(Transaction)을 사전 결정된 합의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블록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12)에서 수행되는 합의 알고리즘은: PoW(Proof of Work) 알고리즘, PoS(Proof of Stake) 알고리즘, DPoS(Delegated Proof of Stage) 알고리즘, PBFT(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 알고리즘, DBFT(Delegated Byzantine Fault Tolerance) 알고리즘, RBFT(Redundant Byzantine Fault Tolerance) 알고리즘, Sieve 알고리즘, Tendermint 알고리즘, Paxos 알고리즘, Raft 알고리즘, PoA(Proof of Authority) 알고리즘 또는 PoET(Proof of Elapsed Time)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노드는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제출된 트랜잭션(Transaction)에 대한 스마트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실행하고, 하나 이상의 스마트컨트랙트 트랜잭션 블록(Smart Contract Transaction Block)을 생성하여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네트워크(12)는 스마트컨트랙트 트랜잭션 블록(Smart Contract Transaction Block)을 기초로 포트폴리오를 발급할 수 있다. 이 때, 포트폴리오를 토큰으로 발급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12)는 토큰이 저장되는 전자지갑을 생성할 수 있다. 전자지갑은 스마트 컨트랙트 트랜잭션 블록에 사용자의 서명이 기록되어 있으면, 사용자의 고유한 전자지갑이 자동으로 연동되어 생성될 수 있다. 전자지갑은 토큰을 저장하고 외부서버에 전송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고유의 개인 계좌 역할로서 작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전자지갑은 통합 API가 제공되어 METAMASK, Klay, MyCrypto 등의 웹 지갑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것일 수 있다.
외부서버가 사용자 단말기(10)에 포트폴리오 제출 요청신호를 송신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12)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2)에 저장된 전자지갑에 저장된 토큰을 외부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외부서버는 사용자의 지원회사, 학교, 기관의 서버일 수 있으며, 예시를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3에서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에 관한 개념도이다.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1)은 도1에서 도시한 것 외에도 마켓서버(13) 및 구매자 단말기(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서 강의 수강 중에 발생되는 강의별 미션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강의별 미션활동의 수행을 완료하고, 강의수강을 완료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강의 수강을 완료한 강의 수강 데이터의 포트폴리오 발급 요청을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하여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강의별 미션활동은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강의 수강 화면에 터치를 요청하여 사용자의 강의 수강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미션활동일 수 있다.
또한, 강의별 미션활동은, 강의 수강 마지막에 수강하는 강의와 관련된 퀴즈를 제공하여 일정 점수 이상을 획득하는 경우에만 해당 강의를 수강완료한 것으로 인정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강의별 미션활동은 강의별로 복수의 사용자가 함께 참여하는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미션활동일 수 있다.
만약,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사용자가 강의 수강 화면을 터치하지 않는 경우에, 터치하지 않은 첫번 째에는 1회 경고를 부여하고, 터치하지 않은 두번 째에는 2회 경고를 부여하며, 터치하지 않은 세번 째에는 수강하던 강의가 정지되고 1회 경고 시점의 영상부터 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만약, 강의 수강 마지막에 제공되는 퀴즈에서 일정 점수 이상을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강의를 다시 수강하도록 팝업창을 생성할 수 있고, 일정 점수 이상을 획득할 때까지 다음 강의의 수강이 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강의서버(11)에서 전술한 미션활동을 수행한 경우에만 강의 수강이 완료된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다만, 예시를 들었을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강의서버(11)가 미션수행 결과에 따라 복수개의 보상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보상리스트는 게임 아이템 제공권, E-상품권 제공권, 타강의 무료수강권, 교재 제공권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NFT 토큰의 디지털 자산이거나 게임 아이템 제공권, E-상품권 제공권, 타강의 무료수강권, 교재 제공권 등의 실물자산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강의서버에서 복수개의 보상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보상 받은 리스트가 포트폴리오 내용에 추가될 수 있다.
사용자가 복수개의 보상 리스트 중 게임 아이템 제공권, E-상품권 제공권, 타강의 무료수강권, 교재 제공권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NFT토큰을 선택하는 경우에, 전자지갑에 사용자가 보상으로 받은 NFT토큰이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보상받은 NFT토큰을 마켓서버(13)에 등록하여 판매할 수 있다. 마켓서버(13)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2)와 연동되어 토큰을 거래할 수 있는 서버일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10)와 통신할 수 있다. 이 때, 마켓 서버(12)는 Open Sea, Rarible, SuperRare 등의 서버로 마련될 수 있다.
강의서버(11)는 사용자에게 보상 리스트에 포함되는 NFT토큰을 제공할 때, 미리 가격을 책정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사용자가 강의 수강 화면을 터치하지 않는 경우에, 1회 경고를 받고 강의를 완강한 때의 가격이 2회 경고를 받고 강의를 완강한 때의 가격보다 크도록 책정할 수 있다.
또한, 강의별로 시험 성적을 부여할 때, 수강생들의 높은 등수별로 높은 가격을 높게 책정할 수도 있다.
또한, 강의별 미션활동은 강의별로 복수의 사용자가 함께 참여하는 프로젝트가 진행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사용자별로 프로젝트에 기여한 정도를 평가하여 기여도가 높은 순대로 가격을 높게 책정할 수도 있다.
가격이 책정되면, 사용자는 NFT 토큰의 소유권자가 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NFT 토큰의 소유권을 N개로 분할하여 마켓서버(13)에 판매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NFT 토큰의 소유권을 N개로 분할하기로 선택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12)는 N개의 분할소유권 NFT 토큰을 발행하고, 마켓서버(13)에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NFT 토큰의 소유권의 미분할을 선택하면, 단일소유권 NFT 토큰이 발행되고, 마켓서버(13)에 등록될 수 있는 것이다.
구매자 단말기(14)는 마켓서버(13)와 통신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 네트워크(12)의 복수개의 노드 중 하나의 노드로 참여할 수 있다. 구매자는 구매자 단말기(14)를 통하여 마켓서버(13)에 접속하여, NFT 토큰을 구매할 수 있다.
이 때, 마켓서버(13)에는 보상으로서 제공받은 NFT 토큰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포트폴리오로서 발급된 토큰이 등록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사용자의 강의 수강 데이터의 내용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로서 발급된 토큰이 거래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포트폴리오 제출을 요청하는 기관이 사용자 단말기(10)에 포트폴리오 제출 요청신호를 송신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하여 마켓서버(13)에 포트폴리오로서 발급된 토큰을 등록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포트폴리오로서 발급된 토큰의 가격을 미리 책정하여 마켓서버(13)에 등록할 수 있다.
포트폴리오 제출을 요청하는 기관은 마켓서버(13)에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토큰을 미리 책정된 토큰의 가격을 유틸리티 토큰을 이용하여 구매할 수 있는 것이다.
도3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서 포트폴리오를 발급하는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앱을 다운받아 실행하면, 강의서버(11)와 사용자 단말기(10)가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서 강의서버(11)에 접속하여 강의를 수강할 수 있다.
강의서버(11)에는 강의 수강완료 여부, 강의별 성적, 강의 수강 중에 발생되는 강의별 미션 수행여부 등의 강의 수강 데이터와 관련된 데이터가 모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강의 수강 데이터의 포트폴리오 발급을 강의서버(11)에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강의 수강 데이터의 포트폴리오 발급을 요청한 시점까지의 강의 수강 데이터만이 포트폴리오 내용에 포함될 수 있다.
강의서버(11)는 강의 수강 데이터를 스냅샷 데이터로 블록체인 네트워크(12)에 전송하며, 블록체인 네트워크(12)는 강의서버(11)로부터 수신한 스냅샷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 값으로 인가하여 스마트 컨트랙트 트랜잭션 블록의 해시 값을 생성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12)의 복수개의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 헤더(Block Header) 블록과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컨트랙트 트랜잭션 블록(Smart Contract Transaction Block)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블록체인 네트워크(12)는 스냅샷 데이터를 포트폴리오로 발급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위 요청을 하나의 스마트 컨트랙트 트랜잭션으로 구성하여 블록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블록 헤더(Block Header)는 INDEX 값, 이전 블록 헤더의 해시값 및 스마트 컨트랙트 트랜잭션 블록의 해시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인접한 블록들은 서로 체인 형태로 연결될 수 있으며, 블록 내에서의 정보가 무결성 있게 저장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가 포트폴리오 발급 요청을 한 시점에 블록체인 네트워크(12)는 강의서버(11)로부터 포트폴리오 발급 요청 시점까지의 사용자의 강의 수강 데이터를 스냅샷 데이터로 수신할 수 있다. 수신한 데이터는 N번째의 스마트 컨트랙트 트랜잭션 블록(Smart Contract Transaction Block)에 저장될 수 있다.
N+1번째 블록에서는 사용자의 강의 수강 데이터를 포트폴리오로 발급할 수 있다.
이 때, 포트폴리오는 "사용자1. A강의 수강완료, 사용자1. B강의 수강완료, 사용자1. C프로젝트 이수, 사용자1. A강의 성적 A+"의 내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2에서 전술한 사용자가 미션 수행결과에 따라 제공받은 보상 내용이 포트폴리오 내용에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사용자가 이미 발급된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강의 수강 데이터 중 일부를 포트폴리오의 내용에서 제외시키고 싶다면,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제외시키고 싶은 강의 데이터를 강의서버(11)에 송신할 수 있다. 강의서버(11)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2)에 수신한 제외시키고 싶은 강의 데이터를 송신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12)는 스마트 컨트랙트 트랜잭션 블록에서 삭제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포트폴리오를 재발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포트폴리오에 포함시키고 싶은 강의 수강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일정 기간을 선택하여, 그 기간 내에 수강완료한 강의만을 선택하여 포트폴리오를 발급하도록 요청할 수 있고, 일정 성적이상을 획득한 강의만을 선택하여 포트폴리오를 발급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또한, 수강완료한 강의 중 유사한 강의만을 선택하여 포트폴리오를 발급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블록체인 네트워크(12)는 강의서버(11)에 사용자의 포트폴리오 내용이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유효하다면 사용자의 개인키로 서명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강의서버(11)는 사용자 단말기(10)로 사용자의 포트폴리오 내용이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유효하다면 사용자의 개인키로 서명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블록체인 네트워크(12)가 직접 사용자 단말기(10)에 사용자의 포트폴리오 내용이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개인키로 서명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는 것이다.
블록체인 네트워크(12)가 사용자의 서명을 수신하면, 사용자의 서명이 유효한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개인키와 쌍을 이루는 공개키로 사용자의 서명이 유효한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는 것이다.
블록체인 네트워크(12)는 사용자의 서명이 유효하다고 검증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서명을 N+1번 째의 스마트 컨트랙트 트랜잭션 블록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네트워크(12)는 스마트 컨트랙트 트랜잭션 블록을 기초로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내용을 토큰으로 발급할 수 있다. 도3에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ERC-721, ERC-1155 표준의 대체불가능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도1에 도시된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상에서 진행되므로, 도1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의 포트폴리오 발급 과정을 나타낸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서 강의서버(11)에서 회원가입 절차를 수행할 수 있고, 강의서버(11)에서 강의를 수강하고, 강의별 미션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강의서버(11)에 강의 수강 데이터의 포트폴리오 발급을 요청하면, 강의서버(11)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강의 수강 데이터의 포트폴리오 발급 요청을 수신하고, 강의서버(11)는 사용자 단말기(10)가 강의 수강 데이터의 포트폴리오 발급 요청 시점까지의 강의 수강 데이터를 스냅샷 데이터로 블록체인 네트워크(12)에 전송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12)는 강의 서버(11)로부터 수신한 스냅샷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해시 값을 생성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12)는 스냅샷 데이터와 해시 값이 포함된 스마트 컨트랙트 트랜잭션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12)는 사용자 개인키 서명 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사용자로부터 서명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서명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서명이 유효하다면, 블록체인 네트워크(12)는 포트폴리오를 토큰으로 발급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네트워크(12)는 토큰이 저장되는 전자지갑을 생성할 수 있다. 전자지갑은 스마트 컨트랙트 트랜잭션 블록에 사용자의 서명이 기록되어 있으면, 사용자의 고유한 전자지갑이 자동으로 연동되어 생성될 수 있다. 전자지갑에는 포트폴리오로 발급된 토큰과 ETH, BTC와 같은 유틸리티 토큰이 저장될 수 있다.
만약, 서명이 유효하지 않다면, 블록체인 네트워크(12)가 사용자의 개인키로 서명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0)에 송신하는 단계부터 재반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하여 전자지갑에 마련된 유틸리티 토큰으로 강의서버(11)에 포트폴리오 요청 비용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포트폴리오 요청 비용은 무료로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5는 강의 수강시 미션 수행결과에 따라 제공받은 보상 내용이 포트폴리오 내용에 추가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강의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의 강의 수강 데이터를 포트폴리오로 발급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의 제어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서 강의서버에 로그인하는 단계(300),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서 추천받고자 하는 강의별 관심사를 선택하는 단계(310), 강의서버가 관심사를 기반으로 강의를 추천하는 단계(320) 및 사용자가 강의수강시 강의서버가 강의별로 미션활동을 할당하는 단계(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강의서버가 미션수행 결과에 따라 복수개의 보상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보상리스트는 게임 아이템 제공권, E-상품권 제공권, 타강의 무료수강권, 교재 제공권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NFT 토큰의 디지털 자산이거나 게임 아이템 제공권, E-상품권 제공권, 타강의 무료수강권, 교재 제공권 등의 실물자산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강의서버에서 복수개의 보상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350) 및 보상 받은 내용이 포트폴리오 내용에 추가되는 단계(3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6은 강의 수강시 미션 수행결과에 따라 제공받은 보상 내용이 NFT 토큰인 경우에 마켓 서버에 등록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강의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의 강의 수강 데이터를 포트폴리오로 발급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의 제어방법으로서, 사용자가 복수개의 보상 리스트 중 NFT 토큰을 선택하는 단계(400), NFT 토큰의 소유권을 N개로 분할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410), 분할을 선택시 N개의 분할 소유권 NFT 토큰을 발행하는 단계(420), 미분할을 선택시 단일 소유권 NFT 토큰을 발행하는 단계(430) 및 마켓서버에 분할 소유권 또는 단일 소유권의 NFT 토큰을 등록하는 단계(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1)의 제어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 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 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 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
10: 사용자 단말기
11: 강의서버
12: 블록체인 네트워크
13: 마켓서버
14: 구매자 단말기

Claims (9)

  1. 강의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의 강의 수강 데이터를 포트폴리오로 발급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강의 서버에 상기 강의 수강 데이터의 포트폴리오 발급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강의 수강 데이터의 포트폴리오 발급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포트폴리오 발급을 요청한 시점까지의 강의 수강 데이터를 스냅샷 데이터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강의 서버; 및
    상기 강의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스냅샷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해시 값을 생성하고, 상기 스냅샷 데이터와 상기 해시 값이 포함된 스마트 컨트랙트 트랜잭션을 생성하되,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트랜잭션을 기초로 포트폴리오를 발급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강의 수강 데이터는 강의별 수강 기록, 강의별 시험 성적 결과 및 강의 수강 중에 발생되는 강의별 미션 수행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강의 서버는 상기 강의 수강 데이터에 따라 게임 아이템, 상품권, 강의 무료수강권, NFT 토큰을 포함한 복수개의 보상리스트를 출력하되, 상기 복수개의 보상 리스트 중 NFT 토큰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선택되는 경우 상기 NFT 토큰의 가격을 상기 강의 수강 데이터에 따라 책정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가격이 책정된 NFT 토큰의 소유권을 마켓 서버에 등록하여 상기 NFT 토큰을 거래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포트폴리오를 토큰으로 발급하는 것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사용자의 개인키로 서명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명을 수신하면, 상기 서명이 유효한지 여부를 검증하는 것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
  4. 삭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토큰이 저장되는 전자지갑을 생성하고,
    외부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포트폴리오 제출 요청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전자지갑에 저장된 토큰을 외부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
  6. 강의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의 강의 수강 데이터를 포트폴리오로 발급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강의 수강 데이터를 포트폴리오로 발급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강의 서버에 상기 강의 수강 데이터의 포트폴리오 발급을 요청하고,
    상기 강의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강의 수강 데이터의 포트폴리오 발급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강의 서버는 상기 강의 수강 데이터의 포트폴리오 발급 요청 시점까지의 강의 수강 데이터를 스냅샷 데이터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강의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스냅샷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해시 값을 생성하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스냅샷 데이터와 상기 해시 값이 포함된 스마트 컨트랙트 트랜잭션을 생성하되,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트랜잭션을 기초로 포트폴리오를 발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강의 수강 데이터는 강의별 수강 기록, 강의별 시험 성적 결과 및 강의 수강 중에 발생되는 강의별 미션 수행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강의 서버는 상기 강의 수강 데이터에 따라 게임 아이템, 상품권, 강의 무료수강권, NFT 토큰을 포함한 복수개의 보상리스트를 출력하되, 상기 복수개의 보상 리스트 중 NFT 토큰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선택되는 경우 상기 NFT 토큰의 가격을 상기 강의 수강 데이터에 따라 책정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가격이 책정된 NFT 토큰의 소유권을 마켓 서버에 등록하여 상기 NFT 토큰을 거래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의 제어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트랜잭션을 기초로 포트폴리오를 발급하는 것은,
    상기 포트폴리오를 토큰으로 발급하는 것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사용자의 개인키로 서명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명을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서명이 유효한지 여부를 검증하는 것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의 제어방법.
  9.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210132334A 2021-10-06 2021-10-06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의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시스템 KR102623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334A KR102623571B1 (ko) 2021-10-06 2021-10-06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의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334A KR102623571B1 (ko) 2021-10-06 2021-10-06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의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330A KR20230049330A (ko) 2023-04-13
KR102623571B1 true KR102623571B1 (ko) 2024-01-11

Family

ID=85978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334A KR102623571B1 (ko) 2021-10-06 2021-10-06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의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57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28824A (ja) * 2020-06-05 2021-02-25 株式会社techtec 学習履歴および学習行動データをブロックチェーンで管理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6652A (ko) * 2018-05-02 2019-11-12 (주)스마트코인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서명을 위한 전자지갑시스템
KR102281901B1 (ko) * 2019-08-13 2021-07-2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이용한 데이터 관리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28824A (ja) * 2020-06-05 2021-02-25 株式会社techtec 学習履歴および学習行動データをブロックチェーンで管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330A (ko) 2023-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renas et al. CredenceLedger: a permissioned blockchain for verifiable academic credentials
Bacon et al. Blockchain demystified: a technical and legal introduction to distributed and centralized ledgers
Duy et al. A survey on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Blockchain technology adoption for revolutionary innovation
US202103905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uilding blockchains for verifying assets for smart contracts
Holotescu Understanding blockchain technology and how to get involved
Travizano et al. Wibson: A case study of a decentralized, privacy-preserving data marketplace
Hill et al. Blockchain Developer's Guide: Develop smart applications with Blockchain technologies-Ethereum, JavaScript, Hyperledger Fabric, and Corda
TW202107361A (zh) 區塊鏈網路中實現機密交易的方法及裝置
Rahut et al. Scientific paper peer-reviewing system with blockchain, IPFS, and smart contract
Irshad et al. Block-ed: The proposed blockchain solution for effectively utilising educational resources
Aldweesh et al. The Meta-Fusion: A Cloud-Integrated Study on Blockchain Technology Enabling Secure and Efficient Virtual Worlds
Girasa Technology Underlying Cryptocurrencies and Types of Cryptocurrencies
Lee Understanding blockchain
KR102623571B1 (ko)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포트폴리오 발급 시스템의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시스템
Ginsberg The Building Blocks of the Blockchain
Zeroual et al. A pedagogical orientation system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and machine learning
Thomason et al. Advancements in the New World of Web 3: A Look Toward the Decentralized Future: A Look Toward the Decentralized Future
Duwadi A Systematic Review on Blockchain in Education: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Judd Cryptocollege: how blockchain can reimagine higher education
Elhag et al. Blockchain and cryptocurrency technology in the Saudi Arabia
Paliwoda-Pękosz et al. Supporting Higher Education 4.0 with Blockchain: Critical Analyses of Automation, Data, Digital Currency, and Other Disruptive Applications
KR102613878B1 (ko) 블록체인 기반 포트폴리오 관리 시스템 및 채용 플랫폼과 통합된 블록체인 기반 포트폴리오 관리 시스템
Dugan Cryptocurrency for Beginners
Lim et al. NON-FUNGIBLE TOKENS: ITS POTENTIAL ROLE IN COMBATTING CERTIFICATE FRAUDULENCE IN MALAYSIAN EDUCATION
Miloslavskaya et al. Blockchain and Its Security: Ignore or Insert into Academic Trai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