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2690B1 - 매체자동지급기의 셔터장치 - Google Patents

매체자동지급기의 셔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2690B1
KR101072690B1 KR1020100078438A KR20100078438A KR101072690B1 KR 101072690 B1 KR101072690 B1 KR 101072690B1 KR 1020100078438 A KR1020100078438 A KR 1020100078438A KR 20100078438 A KR20100078438 A KR 20100078438A KR 101072690 B1 KR101072690 B1 KR 101072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media
cabinet
exit module
shut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8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장욱
박세훈
연제성
조우연
고광훈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100078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26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의 이루는 매체입출모듈의 인출 과정에서 캐비넷의 개구 부위에 대한 안정적인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외부에서의 누름이 발생되더라도 움직임 발생 및 유동 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며, 동작상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매체자동지급기용 셔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캐비넷을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지지포스트, 상기 지지포스트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캐비넷의 개구 부위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셔터부, 그리고, 매체입출모듈과 상기 셔터부를 연결하여, 상기 캐비넷으로부터 상기 매체입출모듈이 인출 또는 수납됨에 따라 상기 셔터부를 승강시키는 연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매체자동지급기의 셔터장치{shutter for media dispenser}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매체입출모듈모듈이 캐비넷으로부터 인출될 경우 캐비넷에 형성된 관통부를 차폐하는 셔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체자동지급기는 매체(media)(예컨대, 지폐, 수표, 티켓, 문서 등)를 고객에게 자동 지급하는 기기로써, 통상의 지폐나 수표 등을 지급하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예로 들 수 있다.
기존의 일반적인 매체자동지급기는 외관을 이루는 캐비넷과, 이 캐비넷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면서 각종 매체가 입출 가능하게 구성된 매체입출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매체입출모듈은 수표나 지폐의 입출을 위한 입출유닛을 가지며, 상기 캐비넷에는 고객이 각종 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입력부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일반적인 매체자동지급기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고객의 요구에 따라 매체입출모듈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지면서 상기 입출유닛을 통한 매체의 입출이 이루어지도록 동작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매체자동지급기는 그의 유지보수나 혹은, 매체입출모듈의 유지보수 및 매체를 새로 채워넣는 작업을 수행할 경우 상기 매체입출모듈을 캐비넷의 후면을 통해 상기 캐비넷의 외부로 인출한 후 전술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매체입출모듈이 인출될 경우 상기 캐비넷의 각 부위 중 상기 입출유닛이 노출되도록 관통된 부위는 개구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때에는 매체자동지급기의 전방에 위치된 고객이 상기 매체입출모듈의 인출 여부를 미처 인지하지 못하여 상기한 개구 부위로 손이나 지폐 등을 투입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매체입출모듈이 캐비넷으로부터 인출될 경우 상기 개구 부위를 폐쇄하도록 안전셔터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한 종래의 안전셔터장치는 상기 매체입출모듈의 인출 동작에 따라 연동되면서 상기 매체입출모듈의 인출이 이루어질 경우 캐비넷에 형성되는 개구 부위를 폐쇄하도록 위치된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의 매체자동지급기를 구성하는 셔터장치는 캐비넷 내의 상단 양측면과, 전방 양측면에 레일이 각각 구비되고, 셔터는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됨으로 인해, 각 레일과 셔터 간의 정확한 연동을 위한 조립이 필요하고, 이로 인해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특히, 종래의 셔터장치는 외부에서 고객이 밀거나 누를 경우 일부의 하향 움직임이 발생됨으로써, 상기 셔터와 상기 캐비넷의 개구 부위 사이로 고객의 손이 끼이는 등의 안전사고 및 셔터의 파손이 우려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셔터장치는 셔터가 좌우측 레일과의 연결 및 유연성의 확보를 위해 스프링강판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셔터의 동작시 유동이 발생될 우려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매체자동지급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매체입출모듈의 인출 과정에서 캐비넷의 개구 부위에 대한 안정적인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외부에서의 누름이 발생하더라도 움직임 발생 및 유동 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며, 동작상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매체자동지급기용 셔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매체자동지급기용 셔터장치는, 캐비넷을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지지포스트, 상기 지지포스트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캐비넷의 개구 부위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셔터부, 그리고, 매체입출모듈과 상기 셔터부를 연결하여, 상기 캐비넷으로부터 상기 매체입출모듈이 인출 또는 수납됨에 따라 상기 셔터부를 승강시키는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동부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매체입출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매체입출모듈과 함께 이동되는 연결리브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롤러, 그리고 일단은 상기 연결리브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롤러 및 상기 지지포스트의 상단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셔터부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리브의 이동에 따라 상기 셔터부를 상향 이동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동부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매체입출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매체입출모듈과 함께 이동되는 연결리브와, 상기 캐비넷을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상기 연결리브의 이동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지지를 받으면서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브라켓, 상기 이동브라켓의 후단에 탄력적으로 기립되거나 혹은, 뉘어질 수 있도록 설치되는 연동블럭,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중 상기 지지포스트의 전방측 부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롤러, 그리고 일단은 상기 이동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롤러 및 상기 지지포스트의 상단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셔터부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브라켓의 이동에 따라 상기 셔터부를 상향 이동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면 후방측 끝단 부위에는 상기 연동블럭이 뉘어지면서 요입될 수 있도록 도피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는 금속 와이어나 합사, 로프, 체인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상기 셔터부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캐비넷의 개구 부위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셔터플레이트와, 상기 셔터플레이트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포스트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동부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매체입출모듈 및 상기 셔터부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매체입출모듈이 인출되면 상기 와이어를 사용하여 상기 셔터부를 상승시키되, 상기 매체입출모듈이 수납되면 상기 셔터부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매체자동지급기용 셔터장치는 매체입출모듈이 캐비넷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넷의 개구 부위를 안정적으로 폐쇄함과 더불어 고객이 캐비넷 외부에서 셔터부를 가압하더라도 상기 셔터부의 하향 이동이 방지되기 때문에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매체자동지급기용 셔터장치는 연결부재에 의해 셔터부가 매체입출모듈의 인출 동작에 연동되면서 상승 이동되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매체입출모듈이 수납될 때에는 상기 셔터부의 자중에 의해 하향 이동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연동 구조가 간단함과 더불어 동작상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매체자동지급기용 셔터장치는 가로측으로의 설치 공간이 좁기 때문에 복수로의 제공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캐비넷에 대한 둘 이상의 개구 부위의 폐쇄가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용 셔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용 셔터장치 중 매체입출모듈이 수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용 셔터장치 중 연동부를 구성하는 연결리브와 이에 대응되는 이동브라켓 및 연동블럭 상호 간의 연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용 셔터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용 셔터장치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매체자동지급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10)과, 상기 캐비넷 내에 수용됨과 더불어 선택적으로 상기 캐비넷(10)의 배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매체입출모듈(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발명의 매체자동지급기용 셔터장치는 상기 매체입출모듈(20)이 상기 캐비넷(10)의 외부로 인출될 경우 상기 캐비넷(10)의 개구 부위(이하, “개구부”라 함)(11)에 대한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자동지급기용 셔터장치(이하, “셔터장치”라 함)는 크게 지지포스트(100)와, 셔터부(200) 및 연동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지지포스트(100)는 셔터부(200)의 승강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캐비넷(10)을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상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한 지지포스트(100)의 양측면에는 후술될 셔터부(200)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승강 레일(110)이 각각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셔터부(200)는 상기 매체입출모듈(20)이 캐비넷(10)으로부터 인출될 경우 상기 캐비넷(10)의 개구부(11)가 폐쇄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서포터(210) 및 셔터 플레이트(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셔터 플레이트(220)는 상기 매체입출모듈(20)이 캐비넷(10)으로부터 인출될 경우 상기 캐비넷(10)의 개구부(11)를 막는 부위이고, 상기 서포터(210)는 상기 지지포스트(10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위이다.
이때, 상기 서포터(210)는 상기 셔터 플레이트(220)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그의 양측 중 상기 지지포스트(100)의 승강 레일(110)에 맞물리는 부위에는 상기 승강 레일(110)의 안내를 받아 이동되는 지지브라켓(211)이 각각 구비된다.
이와 함께, 상기 서포터(210)의 양측 끝단 사이에는 서로 간을 연결하는 연결 브라켓(230)이 일체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연동부(300)는 상기 매체입출모듈(20)이 인출 혹은, 수납 동작에 따라 상기 셔터부(200)를 상향 이동시켜 상기 캐비넷(10)의 개구부(11)가 차폐되도록 하거나 혹은, 상기 셔터부(200)를 하향 이동시켜 상기 캐비넷(10)의 개구부(11)가 개방되면서 상기 매체입출모듈(20)과의 간섭이 회피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상기한 연동부(300)는 연결리브(310)와, 가이드프레임(320)과, 이동브라켓(330)과, 연동블럭(340)과, 지지롤러(350) 및 연결부재(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리브(310)는 상기 매체입출모듈(20)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매체입출모듈(20)과 함께 이동되는 구성이다.
상기 연결리브(310)의 선단은 상기 매체입출모듈(2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매체입출모듈(20)이 캐비넷(10)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되더라도 상기 연동블럭(340)의 구속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지지포스트(100)의 하단측에는 상기 연결리브(310)가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과공(101)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통과공(101)은 상기 매체입출모듈(20)이 상기 캐비넷(10) 내로 완전히 수납될 경우 상기 연결리브(310)가 통과되도록 하여 상기 연결리브(310)의 이동에 따른 지지포스트(10)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프레임(320)은 상기 캐비넷(10)을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상면에 상기 연결리브(31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프레임(320)의 상면에는 가이드홀(321)이 상기 연결리브(310)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홀(321)은 후술할 이동브라켓(330)의 이동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브라켓(330)은 상기 가이드프레임(32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프레임(320)의 지지를 받으면서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이동브라켓(330)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프레임(320)에 형성된 가이드홀(321) 내로 요입되면서 상기 이동브라켓(330)의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돌기(331)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동블럭(340)은 상기 이동브라켓(330)과 함께 동작되면서 상기 연결리브(310)의 전진 이동이나 후퇴 이동시 상기 이동브라켓(330)이 전진 이동될 수 있도록 하거나 혹은, 후퇴 이동될 수 있도록 연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한 연동블럭(340)은 상기 이동브라켓(330)의 후단에 선택적으로 기립되거나 혹은, 뉘어질 수 있도록 탄력 설치된다. 즉, 상기 연결리브(310)가 전진 이동될 때에는 상기 연결리브(310)의 후단에 걸린 상태로 상기 이동브라켓(330)이 상기 연결리브(310)에 비해 더욱 전방측으로 전진되지 않도록 하게 되고, 상기 연결리브(310)가 후퇴 이동될 때에는 상기 연결리브(310)의 후퇴 이동에 따른 이동력을 제공받으면서 상기 이동브라켓(330)이 상기 이동력에 의해 후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연동블럭(340)의 탄력 설치 구조는 통상의 비틀림 스프링(도시는 생략됨)을 이용하면 되며, 이러한 비틀림 스프링을 이용하여 특정 물건을 상대되는 물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기립되도록 하는 구조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기 때문에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연동블럭(340)이 반드시 비틀림 스프링을 이용하여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기립되거나 뉘어질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로도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한 연동블럭(340)은 매체입출모듈(20)이 캐비넷(10)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리브(310)에 의해 구속력을 제공받아 상기 이동브라켓(330)이 전진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프레임(320)의 상면 후방측 끝단 부위에는 상기 연동블럭(340)이 뉘어질 경우 상기 연동블럭(340)이 요입될 수 있도록 도피홀(32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이동브라켓(330)이 상기 가이드프레임(320)의 후방측 끝단에 이르기까지 이동되어 더 이상의 후퇴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연결리브(310)가 추가적으로 후퇴 이동된다면 연동블럭(340)이 상기 연결리브(310)의 이동력에 의해 젖혀지면서 상기 도피홀(322) 내로 수용되기 때문에 상기 연결리브(310)의 계속적인 후퇴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롤러(35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상면 중 상기 지지포스트(100)의 전방측 부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지지롤러(350)의 양단은 롤러 브라켓(3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롤러 브라켓(351)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360)는 상기 연결리브(310)의 후퇴 이동에 따라 상기 셔터부(200)를 상향 이동시키는 구성으로써, 일단은 상기 이동브라켓(33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롤러(360) 및 상기 지지포스트(100)의 상단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셔터부(200)를 이루는 연결 브라켓(23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한 연결부재(360)는 금속 와이어로 구성됨을 제시하지만, 합사(合絲)나 로프 및 체인 중 어느 하나로도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연동부(300)는 상기 매체입출모듈(20)이 캐비넷(10) 외부로 인출될 경우 상기 셔터부(200)를 상향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매체입출모듈(20)이 캐비넷(10) 내부로 수납될 경우에는 상기 셔터부(200)가 그의 자중에 의해 하향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술한 구조의 연동부(300)는 상기 매체입출모듈(20)의 인출 거리가 상기 셔터부(200)의 승강 거리에 비해 길 경우에 더욱 유효한 구조이다.
즉, 통상의 매체자동지급기를 구성하는 캐비넷(10)은 전후측 길이가 상하측 높이에 비해 길다는 것을 고려할 때 전술한 구조의 연동부(300)로 구성함으로써 셔터부(200)와 매체입출모듈(20) 간의 원활한 연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매체입출모듈(20)의 인출 거리가 상기 셔터부(200)의 승강 거리에 비해 짧거나 혹은, 동일하게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의 경우에는 전술한 연동부(300)의 각 구성 중 가이드프레임(320)과 이동브라켓(330)과 연동블럭(340)을 삭제함과 더불어 상기 연결부재(360)의 일단을 상기 연결리브(310)에 직접 연결되도록 하면 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셔터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그 동작 과정별로 더욱 상세히 하도록 한다.
먼저, 도 2 및 도 7은 매체입출모듈(20)이 캐비넷(1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고객에 대한 통상적인 매체의 입출 동작을 하는 최초의 상태이다.
이때, 셔터부(200)는 지지포스트(100)의 하측 부위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매체입출모듈(20)과의 간섭은 방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이때에는 연동부(300)를 구성하는 연동블럭(340)이 기립된 상태를 이루면서 연결리브(310)의 후단을 가로막도록 위치되며, 이는 도 5 및 도 7과 같다.
상기한 최초의 상태에서 매체의 부족이나 유지보수 등을 위해 상기 매체입출모듈(20)을 캐비넷(10)의 후방측으로 인출하게 되면 상기한 매체입출모듈(20)의 후퇴 이동에 의해 연결리브(310) 역시 후퇴 이동되면서 그 후단을 가로막고 있던 연동블럭(340)을 함께 후퇴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동블럭(340)과 결합되어 있던 이동브라켓(330)은 가이드프레임(320)의 지지를 받으면서 후퇴 이동하면서 연결부재(360)를 당기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연결부재(360)의 당김이 이루어지면 이 연결부재(360)의 타단이 연결된 셔터부(200)는 지지포스트(100)의 지지를 받으면서 점차적으로 상향 이동된다.
또한, 상기의 과정에서 연동부(300)를 구성하는 이동브라켓(330)이 가이드프레임(320)의 후방측 끝단에 도달되면 상기 이동브라켓(330)의 지지돌기(331)가 가이드프레임(320)에 형성된 가이드홀(321)의 끝단에 걸려 이동브라켓(330)의 이동을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이동브라켓(330)의 이동이 중지된 상태에서도 상기 매체입출모듈(20)은 미처 캐비넷(10)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계속적인 후퇴 이동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매체입출모듈(20)의 후퇴 이동력이 상기 연동블럭(340)의 복원력을 초과하여 제공되면 상기 연동블럭(340)은 후방측으로 젖혀지면서 가이드프레임(320)의 후방측 끝단에 형성된 도피홀(322) 내로 요입된 상태를 이루게 되고, 계속해서 상기 매체입출모듈(20) 및 이에 결합된 연결리브(310) 만이 계속적으로 후퇴 이동된다.
이후, 상기 매체입출모듈(20)이 완전히 후퇴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리브(310)가 상기 연동블럭(340)의 상면을 가압하는 상태로 위치되면서 상기 연동블럭(340)의 기립됨을 방지함과 더불어 이로 인한 이동브라켓(320)의 전방 이동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매체입출모듈(20)이 캐비넷(10)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되면 상기 셔터부(200)를 이루는 셔터 플레이트(220)는 지지포스트(100)로부터 완전히 상승 이동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매체입출모듈(20)의 인출로 인해 개구된 캐비넷(10)의 개구부(11)를 차폐하게 된다. 이는, 도 1 및 도 6과 같다.
특히, 외부에서 고객의 부주의로 인한 셔터 플레이트(220)의 가압이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상기 셔터 플레이트(220)는 연결부재(360)의 당김에 의한 계속적인 상승 이동력을 제공받기 때문에 하향 이동되면서 캐비넷(10)의 개구부(11)를 개방시키는 문제점은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전술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매체입출모듈(20)에의 매체 보충 혹은, 유지보수가 완료되면 상기 매체입출모듈(20)을 캐비넷(10) 내로 수납하게 된다.
이렇듯, 상기 매체입출모듈(20)이 캐비넷(10) 내로 수납되는 동작이 이루어질 경우 그 이동 초기에는 도 3과 같이 연동블럭(340)이 계속적으로 도피홀(322) 내에 뉘어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매체입출모듈(20)만이 전진 이동된다.
이의 과정에서 상기 매체입출모듈(20)의 이동이 진행되는 도중 연결리브(310)가 상기 연동블럭(340)의 위치를 통과하면 상기 연동블럭(340)은 그의 복원력에 의해 기립되면서 상기 연결리브(310)의 후단에 밀착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연결리브(310)에 의한 이동브라켓(330)의 구속은 해제된다. 이는, 도 4와 같다.
이후, 계속적인 매체입출모듈(20)의 이동이 이루어지면 셔터부(200)를 당기던 힘이 해제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셔터부(200)는 그의 자중에 따른 영향을 받게 되고, 이러한 셔터부(200)의 자중에 의해 지지포스트(100)의 지지를 받으면서 하향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한 셔터부(200)의 하향 이동이 이루어지면 이 셔터부(200)에 연결된 연결부재(360) 역시, 상기 셔터부(200)가 이동되는 측으로 당겨지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이동브라켓(330)은 점차 전진 이동된다.
결국, 전술한 일련의 과정에 의해 매체입출모듈(20)이 캐비넷(10) 내로 완전히 수납되면 도 2 및 도 7과 같이 셔터부(200)는 지지포스트(100)의 하측 부위에 위치되면서 상기 매체입출모듈(20)과의 간섭은 방지된 상태로 유지되는 최초의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연동블럭(340) 및 이동브라켓(330)은 상기 연결리브(310)에 대하여는 자유로운 상태이지만, 가이드프레임(320)에 형성된 가이드홀(321)의 선단에 구속된 상태로 더 이상의 전진 이동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는, 도 5와 같다.
이렇듯, 본 발명에 따른 매체자동지급기용 셔터장치는 매체입출모듈(20)의 인출 동작에 의해 캐비넷(10)의 개구부(11)를 폐쇄함과 더불어 상기 매체입출모듈(20)의 수납 동작시에는 셔터부(20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캐비넷(10)의 개구부(11)를 개방하게 됨으로써 안정적인 개구부(11)의 개폐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매체자동지급기용 셔터장치는 셔터부(200)에 의한 캐비넷(10)의 개구부(11)가 폐쇄된 상태에서 고객이 그 부주의로 상기 셔터부(200)를 누르더라도 하향 움직임은 원천적으로 방지됨으로써 상기 셔터부(200)의 눌려짐에 따른 파손이나 안전사고는 미연에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매체자동지급기용 셔터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의 구조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연결부재(360)의 원활한 이동 동작을 위한 지지롤러(350)를 지지포스트(100)의 상단측 부위 중 셔터부(20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재(360)가 관통하여 경유되는 부위에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매체자동지급기용 셔터장치는 둘 이상의 복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매체입출모듈(20)의 인출로 인해 캐비넷(10)에 개구되는 부위가 둘 이상일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매체자동지급기용 셔터장치를 그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매체자동지급기용 셔터장치가 가로측으로 넓은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캐비넷 11. 개구부
12. 베이스 플레이트 20. 매체입출모듈
100. 지지포스틉 110. 승강 레일
200. 셔터부 210. 서포터
211. 지지브라켓 220. 셔터 플레이트
230. 연결 브라켓 300. 연동부
310. 연결리브 320. 가이드프레임
321. 가이드홀 322. 도피홀
330. 이동브라켓 331. 지지돌기
340. 연동블럭 350. 지지롤러
351. 롤러 브라켓 360. 연결부재

Claims (7)

  1. 캐비넷을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지지포스트;
    상기 지지포스트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캐비넷의 개구 부위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셔터부; 및
    매체입출모듈과 상기 셔터부를 연결하여, 상기 캐비넷으로부터 상기 매체입출모듈이 인출 또는 수납됨에 따라 상기 셔터부를 승강시키는 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부는, 상기 매체입출모듈 및 상기 셔터부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매체입출모듈이 인출되면 상기 와이어를 사용하여 상기 셔터부를 상승시키되, 상기 매체입출모듈이 수납되면 상기 셔터부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용 셔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매체입출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매체입출모듈과 함께 이동되는 연결리브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롤러, 그리고
    일단은 상기 연결리브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롤러 및 상기 지지포스트의 상단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셔터부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리브의 이동에 따라 상기 셔터부를 상향 이동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용 셔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매체입출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매체입출모듈과 함께 이동되는 연결리브와,
    상기 캐비넷을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상기 연결리브의 이동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지지를 받으면서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브라켓,
    상기 이동브라켓의 후단에 탄력적으로 기립되거나 혹은, 뉘어질 수 있도록 설치되는 연동블럭,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중 상기 지지포스트의 전방측 부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롤러, 그리고
    일단은 상기 이동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롤러 및 상기 지지포스트의 상단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셔터부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브라켓의 이동에 따라 상기 셔터부를 상향 이동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용 셔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면 후방측 끝단 부위에는 상기 연동블럭이 뉘어지면서 요입될 수 있도록 도피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용 셔터장치.
  5.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금속 와이어나 합사, 로프, 체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용 셔터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는, 상기 캐비넷의 개구 부위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셔터플레이트와,
    상기 셔터플레이트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포스트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용 셔터장치.
  7. 삭제
KR1020100078438A 2010-08-13 2010-08-13 매체자동지급기의 셔터장치 KR101072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438A KR101072690B1 (ko) 2010-08-13 2010-08-13 매체자동지급기의 셔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438A KR101072690B1 (ko) 2010-08-13 2010-08-13 매체자동지급기의 셔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2690B1 true KR101072690B1 (ko) 2011-10-11

Family

ID=45032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8438A KR101072690B1 (ko) 2010-08-13 2010-08-13 매체자동지급기의 셔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26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537B1 (ko) 2011-11-08 2013-04-08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입출금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921B1 (ko) * 2001-12-24 2007-08-08 엘지엔시스(주) 무인자동화기기용 밀폐박스의 입구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921B1 (ko) * 2001-12-24 2007-08-08 엘지엔시스(주) 무인자동화기기용 밀폐박스의 입구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537B1 (ko) 2011-11-08 2013-04-08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입출금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8365B2 (en) Toe guard assembly for an elevator system
KR101231391B1 (ko)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CN207069364U (zh) 便于检修的配电箱
KR101072690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셔터장치
CN112855469A (zh) 用于关闭风力涡轮机的底板中的开口的舱盖装置以及风力涡轮机
CN110719882B (zh) 电梯的底坑梯子装置
JP4454765B2 (ja) エレベータ
US5893619A (en) Drawer slide
JP4879531B2 (ja) 自然換気窓
CN209974025U (zh) 带安全开关的电梯底坑爬梯构造及电梯
KR102424529B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
CN209328116U (zh) 一种自动售货机及其托盘拖链结构
KR102106864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잠금장치
KR101148120B1 (ko) 도어 개폐구조
CN104418199A (zh) 电梯装置及其作业台装置
CN219872506U (zh) 锁定结构及金融自助设备
KR200418222Y1 (ko) 모니터 승강장치가 구비된 책상
JP2565436B2 (ja) 給油装置
KR101062547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KR101094526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안전셔터장치
CN213751284U (zh) 一种快递柜的托盘锁止机构
KR102638611B1 (ko) 대용량 다단 서랍의 동시 열림 방지 안전 장치
US6282254B1 (en) Slidable comb assembly for burnable poison rod transfer device
KR102630862B1 (ko) 엘리베이터 점검용 사다리
KR102117091B1 (ko) 무인 현금 수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