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2559B1 -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방법 및 복조 장치 - Google Patents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방법 및 복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2559B1
KR101072559B1 KR1020090103066A KR20090103066A KR101072559B1 KR 101072559 B1 KR101072559 B1 KR 101072559B1 KR 1020090103066 A KR1020090103066 A KR 1020090103066A KR 20090103066 A KR20090103066 A KR 20090103066A KR 101072559 B1 KR101072559 B1 KR 101072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kelihood ratio
symbol
constellation
modulation symbol
radi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3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6188A (ko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03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2559B1/ko
Priority to PCT/KR2009/006293 priority patent/WO2011052821A1/ko
Publication of KR20110046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6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6Dc level restoring means; Bias distortion correction ; Decision circuits providing symbol by symbol detection
    • H04L25/067Dc level restoring means; Bias distortion correction ; Decision circuits providing symbol by symbol detection providing soft decisions, i.e. decisions together with an estimate of rel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방법 및 복조 장치가 개시된다.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복조 장치에 있어서, 삼각 형태로 배치된 성상점 및 상기 성상점에 매칭되는 변조 심볼을 저장하는 성상도 저장부, 상기 무선 신호에서 수신 심볼을 추출하는 변환부 및 상기 수신 심볼과 각 상기 변조 심볼의 차에 익스포넨셜 연산을 수행하고, 상기 변조심볼의 k번째 비트가 1 또는 0인 것에 따라 상기 익스포넨셜 연산된 값을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그룹 별 상기 익스포넨셜 연산된 값의 합을 산출하고, 상기 그룹 별 합을 이용하여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대수우도비 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k는 1 이상이고, 상기 변조 심볼의 비트수 이하인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삼각 형태의 성상도를 이용한 직교 진폭 변조 방식에서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대수우도비, 진폭변조.

Description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방법 및 복조 장치{Method and demodulator for calculating log-likelihood ratio}
본 발명은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방법 및 복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삼각 직교진폭변조에서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방법 및 복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변조 방식 중 대표적인 방식은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직교진폭변조, QAM)이며, 이는 비트열로 이루어진 디지털 신호를 미리 설정된 비트만큼 분류하여 반송파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변화시키면서 변조시키는 방법이다.
디지털 변조 방식은 디지털 신호에 대해 각 이웃 신호들 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성상도를 이용한다. 특히 삼각 형태의 성상도를 이용한 직교 진폭 변조 방식(이하 삼각 변조 방식이라 지칭)을 이용한 디지털 변조 방식은 변조심볼오류 확률을 기존과 유지하면서 전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지털 변조 방식에서는 대수우도비(log-likelihood ratio)를 산출하여, 검파, 전송 패킷 오류 검증 등에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대수우도비의 산출 방법으로 삼각 변조 방식에 상응하는 대수 우도비를 산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삼각 형태의 성상도를 이용한 직교 진폭 변조 방식에서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방법 및 복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시하는 이외의 기술적 과제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복조 장치에 있어서, 삼각 형태로 배치된 성상점 및 상기 성상점에 매칭되는 변조 심볼을 저장하는 성상도 저장부; 상기 무선 신호에서 수신 심볼을 추출하는 변환부; 및 상기 수신 심볼과 각 상기 변조 심볼의 차에 익스포넨셜 연산을 수행하고, 상기 변조심볼의 k번째 비트가 1 또는 0인 것에 따라 상기 익스포넨셜 연산된 값을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그룹 별 상기 익스포넨셜 연산된 값의 합을 산출하고, 상기 그룹 별 합을 이용하여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대수우도비 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k는 1 이상이고, 상기 변조 심볼의 비트수 이하인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조 장치가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신호에서 수신 심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심볼과 미리 저장된 변조 심볼의 차에 익스포넨셜 연산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변조심볼의 k번째 비트가 1 또는 0인 것에 따라 상기 익스포넨셜 연산된 값을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 별 상기 익스포넨셜 연산된 값의 합을 산출하고, 상기 그룹 별 합을 이용하여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k는 1 이상이고, 상기 변조 심볼의 비트수 이하인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우도비 산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복조 장치에 있어서, 삼각 형태로 배치된 성상점 및 상기 성상점에 매칭되는 변조 심볼을 저장하는 성상도 저장부; 상기 무선 신호에서 수신 심볼을 추출하는 변환부; 상기 수신 심볼과 각 상기 변조 심볼의 차를 제곱한 값 중 상기 변조 심볼의 k번째 비트가 1 또는 0인 값에 따른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각 그룹의 최소값 간의 차를 이용하여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대수우도비 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k는 1 이상이고, 상기 변조 심볼의 비트수 이하인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조 장치가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신호에서 수신 심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심볼과 각 상기 변조 심볼의 차를 제곱한 값 중 상기 변조 심볼의 k번째 비트가 1 또는 0인 값에 따른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각 그룹의 최소값 간의 차를 이용하여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k는 1 이상이고, 상기 변조 심볼의 비트수 이하인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우도비 산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복조 장치에 있어서, 삼각 형태로 배치된 성상점 및 상기 성상점에 매칭되는 변조 심볼을 저장하는 성상도 저장부; 상기 무선 신호에서 수신 심볼을 추출하는 변환부; 상기 수신 심볼에 따른 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지수를 크기에 따라 재배열하고, 상기 재배열된 지수 중 미리 지정된 개수의 상위 지수에 따라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대수우도비 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수는 상기 수신 심볼과 각 상기 변조 심볼의 차의 제곱에 익스포넨셜 연산을 취한 값의 지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조 장치가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신호에서 수신 심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심볼에 따른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지수를 크기에 따라 재배열하는 단계; 상기 재배열된 지수 중 미리 지정된 개수의 상위 지수에 따라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지수는 상기 수신 심볼과 각 상기 변조 심볼의 차의 제곱에 익스포넨셜 연산을 취한 값의 지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우도비 산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삼각 형태의 성상도를 이용한 직교 진폭 변조 방식에서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조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조 장치는 변환부(110), 성상도 저장부(120), 대수우도비 산출부(130)를 포함한다.
변환부(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무선 신호에서 변조 심볼을 추출한다. 이 때, 변조 심볼은 삼각 형태의 성상도에 따라 생성된 변조 심볼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성상도는 추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성상도 저장부(120)는 변조 심볼을 복조하는 과정에서 참조할 성상도를 저장한다. 이 때, 성상도에는 복수의 성상점이 포함되고, 각 성상점에 상응하는 변조 심볼의 비트열이 포함될 수 있다.
대수우도비 산출부(130)는 변환부(110)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에서 추출한 변조 심볼(이하 수신 심볼이라 지칭)과, 성상도 저장부(120)에 저장된 변조 심볼(이하 저장 심볼이라 지칭)을 이용하여 미리 지정된 수식에 따라 대수우도비를 산출한다.
이하 대수우도비를 산출부(130)에서 수행하는 대수우도비를 산출하기 위한 수식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삼각 형태의 성상도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조 장치에서 이용되는 삼각 형태의 성상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성상도에는 복수개의 성상점(m1~m16)이 삼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각 성상점에는 변조 심볼이 매칭되어 있다. 예를 들어, 성상점 m1에는 저장 심볼 1101이 매칭되어 있다.
변환부(110)는 성상도 상의 좌표계에서 수신한 무선 신호의 크기와 위상에 상응하는 좌표를 산출한다. 변환부(110)는 성상도 상에서 설정된 복수의 영역 중 산출된 좌표가 위치하는 영역에 상응하는 성상점에 매칭된 저장 심볼을 해당 무선 신호에 상응하는 수신 심볼로 추출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조 장치가 대 수우도비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대수우도비 산출부(130)는 성상도 저장부(120)에 저장된 저장 심볼, 수신한 무선 신호에 상응하는 수신 심볼을 하기의 수학식 1에 대입하여 대수우도비를 산출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09066264973-pat00001
여기서, x는 전송한 m진 변조 심볼, y는 수신 심볼,
Figure 112009066264973-pat00002
는 변조 심볼을 구성하는 k번째 비트이고, 함수 P(a)는 조건 a를 만족할 확률이다. 상술한 수학식 1을 시그마를 포함하는 식으로 변환하면, 수학식 2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09066264973-pat00003
이 때,
Figure 112009066264973-pat00004
는 전송 과정 중 발생한 가산성백색가우시안 잡음의 분산이다. 가산성백색가우시안 잡음은 일반 채널의 정규 분포를 나타내는 잡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복조 장치에 가산성백색가우시안 잡음의 분산은 미리 지정된 값일 수 있다.
수학식 2에서 k에 1 내지 4를 대입하면 하기의 수학식 3 내지 수학식 6과 같이 도출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09066264973-pat00005
[수학식 4]
Figure 112009066264973-pat00006
[수학식 5]
Figure 112009066264973-pat00007
[수학식 6]
Figure 112009066264973-pat00008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과정에는 다수의 log, 익스포넨셜 연산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그 계산 복잡도가 높다. 이 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조 장치의 대수우도비 산출 과정보다 계산 복잡도가 낮은 복조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조 장치는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6에서 사용된 log 및 익스포넨셜 연산을 최대값 및 최소값을 산출하는 연산으로 대체하여 수행함으로써 그 계산 복잡도를 낮출 수 있다.
log 및 익스포넨셜 연산을 대체하는 연산은 하기 수학식 7 및 8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7]
Figure 112009066264973-pat00009
[수학식 8]
Figure 112009066264973-pat00010
이 때,
Figure 112009066264973-pat00011
Figure 112009066264973-pat00012
의 지수이고, Max[A, B]는 A 및 B 중 최대값이고, Min[A, B]는 A 및 B 중 최소값이다.
수학식 7 및 수학식 8에서 Max[A, B] 또는 Min[-A, -B]를 제외한 항의 값은 그 수치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Max[A, B] 또는 Min[-A, -B]만을 수학식 3 내지 수학식 6에 대입한다.
수학식 3 및 6에는 익스포넨셜 연산이 음수에 대해 수행되기 때문에, 이를 간략하게 표현하기 위해 수학식 8을 수학식 2에 대입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복조 장치는 수학식 3 내지 수학식 6의 연산을 최대값 또는 최소값 연산으로 대체하여,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6에 따른 계산 결과에 근사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계산 과정을 적용한 k에 따른 대수우도비는 하기의 수학식 9 내지 수학식 12과 같이 도출된다.
[수학식 9]
Figure 112009066264973-pat00013
[수학식 10]
Figure 112009066264973-pat00014
[수학식 11]
Figure 112009066264973-pat00015
[수학식 12]
Figure 112009066264973-pat00016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조 장치의 대수우도비 산출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수학식 8의 마지막 항은 log 및 익스포넨셜 연산을 다수 포함하고 있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해당 항을 삭제한 근사값을 이용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학식 8의 마지막 항을 삭제하지 않고 근사화한 식을 이용하여 대수우도비를 산출한다.
Figure 112009066264973-pat00017
를 올림차순으로 재배열한 값들을
Figure 112009066264973-pat00018
라고 가정하면, 수학식 8은 하기의 수학식 14와 같이 변형된다.
[수학식 14]
Figure 112009066264973-pat00019
이 때, 수학식 14의 마지막 항은 하기의 수학식 15의 조건을 만족한다.
[수학식 15]
Figure 112009066264973-pat00020
수학식 15를 수학식 14에 적용하면 하기의 수학식 16이 도출된다.
[수학식 16]
Figure 112009066264973-pat00021
이 때,
Figure 112009066264973-pat00022
는 하기의 수학식 17과 같이 정의된다.
[수학식 17]
Figure 112009066264973-pat00023
본 실시예에 따른 복조 장치는 계산 복잡도의 감소를 위해
Figure 112009066264973-pat00024
값을 look-up table에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복조 장치는
Figure 112009066264973-pat00025
에 따라
Figure 112009066264973-pat00026
값이 매칭된 테이블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조 장치의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대수우도비의 산출 과정에서 각 단계에서 수행되는 연산은 상술한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6을 참조하여 상술하였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조 장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310).
복조 장치는 무선 신호에서 수신 심볼을 추출한다(320). 예를 들어, 복조 장치는 성상도를 참조하여, 수신한 무선 신호의 크기와 위상에 상응하는 저장 심볼을 변조 심볼로 추출한다.
복조 장치는 수신 심볼과 저장 심볼의 차를 제곱한 값을 산출한다(330).
복조 장치는 제곱한 값에 가산성백색가우시안 잡음의 분산을 나눈 값에 대한 익스포넨셜(exp) 연산을 수행한다(340)
복조 장치는 단계 340에서 산출된 값을 해당 저장 심볼의 특정 비트가 1인 그룹과 해당 저장 심볼의 특정 비트가 0인 그룹으로 분류한다(350).
복조 장치는 단계 350에서 분류한 그룹별 값들의 합을 산출한다(360).
복조 장치는 특정 비트가 1인 그룹의 합에서 특정 비트가 0인 그룹의 합을 나눈 값에 로그를 취하여 대수우도비를 산출한다(370).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조 장치의 장치의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대수우도비의 산출 과정에서 각 단계에서 수행되는 연산은 상술한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12를 참조하여 상술하였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을 참조하면, 복조 장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410).
복조 장치는 무선 신호에서 수신 심볼을 추출한다(420). 예를 들어, 복조 장치는 성상도를 참조하여, 수신한 무선 신호의 크기와 위상에 상응하는 저장 심볼을 변조 심볼로 추출한다.
복조 장치는 수신 심볼과 저장 심볼의 차를 제곱한 값을 산출한다(430).
복조 장치는 단계 430에서 산출된 값 중 저장 심볼의 특정 심볼이 1인 값과 특정 심볼이 0인 값의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의 최소값을 선정한다(440).
복조 장치는 단계 440에서 선정된 최소값의 차를 산출하고, 산출된 값에 가산성백색가우시안 잡음의 분산을 나누어 대수우도비를 산출한다(450).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조 장치의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대수우도비의 산출 과정에서 각 단계에서 수행되는 연산은 상술한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16을 참조하여 상술하였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조 장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510).
복조 장치는 무선 신호에서 수신 심볼을 추출한다(520). 예를 들어, 복조 장치는 성상도를 참조하여, 수신한 무선 신호의 크기와 위상에 상응하는 저장 심볼을 변조 심볼로 추출한다.
복조 장치는 수신 심볼과 저장 심볼의 차를 제곱한 값을 산출한다(530).
복조 장치는 단계 530에서 산출된 값에 익스포넨셜(exp) 연산을 수행한다(540).
복조 장치는 단계 540에서 산출된 값의 지수에 -1을 곱한 값을 올림차순으로 배열한다(550).
복조 장치는 단계 550에서 배열된 값 중 상위 2개와 테이블을 참조하여 추출된 값과 단계 550에서 배열된 값 중 최상위 값(최소값)의 차인 대수우도비를 산출한다(560).
상술한 복조 장치의 대수우도비 산출 과정은 변조 심볼이 16개인 성상도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변조 심볼의 수가 다른 성상도를 이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조 장치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조 장치에서 이용되는 삼각 형태의 성상도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조 장치의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조 장치의 장치의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조 장치의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

Claims (29)

  1.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복조 장치에 있어서,
    삼각 형태로 배치된 성상점 및 상기 성상점에 매칭되는 변조 심볼을 저장하는 성상도 저장부;
    상기 무선 신호에서 수신 심볼을 추출하는 변환부; 및
    상기 수신 심볼과 각 상기 변조 심볼의 차에 익스포넨셜 연산을 수행하고, 상기 변조심볼의 k번째 비트가 1 또는 0인 것에 따라 상기 익스포넨셜 연산된 값을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그룹 별 상기 익스포넨셜 연산된 값의 합을 산출하고, 상기 그룹 별 합을 이용하여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대수우도비 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k는 1 이상이고, 상기 변조 심볼의 비트수 이하인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대수우도비 산출부는 하기의 수학식에 따라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되,
    Figure 112009066264973-pat00027
    는 무선 신호의 전송 과정 중 발생한 가산성백색가우시안 잡음의 분산이고, x는 상기 변조 심볼이고,
    Figure 112009066264973-pat00028
    는 상기 변조 심볼을 구성하는 k번째 비트이고, y는 상기 수신 심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장치.
    Figure 112009066264973-pat00029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수우도비는 상기 수신 심볼의 k번째 비트에 대한 대수우도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무선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상기 성상도 상의 좌표계로 변환하고,
    상기 무선 신호에 상응하는 지점이 상기 성상도 상에 위치하는 영역에 매칭된 변조 심볼을 수신 심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수신 심볼 중 미리 지정된 개수끼리 결합하여 상기 무선 신호를 송신한 단말에서 송신한 데이터를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장치.
  6. 복조 장치가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신호에서 수신 심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심볼과 미리 저장된 변조 심볼의 차에 익스포넨셜 연산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변조심볼의 k번째 비트가 1 또는 0인 것에 따라 상기 익스포넨셜 연산된 값을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 별 상기 익스포넨셜 연산된 값의 합을 산출하고, 상기 그룹 별 합을 이용하여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k는 1 이상이고, 상기 변조 심볼의 비트수 이하인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우도비 산출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심볼은 삼각 형태로 배치된 성상점에 매칭되는 변조 심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우도비 산출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단계는 하기의 수학식에 따라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되,
    Figure 112009066264973-pat00030
    는 무선 신호의 전송 과정 중 발생한 가산성백색가우시안 잡음의 분산이고, x는 상기 변조 심볼이고,
    Figure 112009066264973-pat00031
    는 상기 변조 심볼을 구성하는 k번째 비트이고, y는 상기 수신 심볼이고, m은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우도비 산출 방법.
    Figure 112009066264973-pat00032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대수우도비는 상기 수신 심볼의 k번째 비트에 대한 대수우도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우도비 산출 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심볼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성상도 상의 좌표계로 변환하고,
    상기 무선 신호에 상응하는 지점이 상기 성상도 상에 위치하는 영역에 매칭된 변조 심볼을 수신 심볼로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우도비 산출 방법.
  11.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복조 장치에 있어서,
    삼각 형태로 배치된 성상점 및 상기 성상점에 매칭되는 변조 심볼을 저장하는 성상도 저장부;
    상기 무선 신호에서 수신 심볼을 추출하는 변환부;
    상기 수신 심볼과 각 상기 변조 심볼의 차를 제곱한 값 중 상기 변조 심볼의 k번째 비트가 1 또는 0인 값에 따른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각 그룹의 최소값 간의 차를 이용하여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대수우도비 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k는 1 이상이고, 상기 변조 심볼의 비트수 이하인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수우도비 산출부는 상기 각 그룹의 최소값 간의 차에서 무선 신호의 전송 과정 중 발생한 가산성백색가우시안 잡음의 분산을 나누어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수우도비는 상기 수신 심볼의 k번째 비트에 대한 대수우도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장치.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무선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상기 성상도 상의 좌표계로 변환하고,
    상기 무선 신호에 상응하는 지점이 상기 성상도 상에 위치하는 영역에 매칭된 변조 심볼을 수신 심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장치.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수신 심볼 중 미리 지정된 개수끼리 결합하여 상기 무선 신호를 송신한 단말에서 송신한 데이터를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장치.
  16. 복조 장치가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신호에서 수신 심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심볼과 각 상기 변조 심볼의 차를 제곱한 값 중 상기 변조 심볼의 k번째 비트가 1 또는 0인 값에 따른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각 그룹의 최소값 간의 차를 이용하여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k는 1 이상이고, 상기 변조 심볼의 비트수 이하인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우도비 산출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심볼은 삼각 형태로 배치된 성상점에 매칭되는 변조 심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우도비 산출 방법.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각 그룹의 최소값 간의 차에서 무선 신호의 전송 과정 중 발생한 가산성백색가우시안 잡음의 분산을 나누어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우도비 산출 방법.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대수우도비는 상기 수신 심볼의 k번째 비트에 대한 대수우도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우도비 산출 방법.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심볼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성상도 상의 좌표계로 변환하고,
    상기 무선 신호에 상응하는 지점이 상기 성상도 상에 위치하는 영역에 매칭된 변조 심볼을 수신 심볼로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우도비 산출 방법.
  21.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복조 장치에 있어서,
    삼각 형태로 배치된 성상점 및 상기 성상점에 매칭되는 변조 심볼을 저장하는 성상도 저장부;
    상기 무선 신호에서 수신 심볼을 추출하는 변환부;
    상기 수신 심볼에 따른 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지수를 크기에 따라 재배열하고, 상기 재배열된 지수 중 미리 지정된 개수의 상위 지수에 따라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대수우도비 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수는 상기 수신 심볼과 각 상기 변조 심볼의 차의 제곱에 익스포넨셜 연산을 취한 값의 지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장치.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심볼은 삼각 형태로 배치된 성상점에 매칭되는 변조 심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장치.
  23.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무선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상기 성상도 상의 좌표계로 변환하고,
    상기 무선 신호에 상응하는 지점이 상기 성상도 상에 위치하는 영역에 매칭된 변조 심볼을 수신 심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장치.
  24.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수신 심볼 중 미리 지정된 개수끼리 결합하여 상기 무선 신호를 송신한 단말에서 송신한 데이터를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장치.
  25.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성상도 저장부는 미리 지정된 개수의 지수에 상응하는 값을 포함하는 테이블을 저장하고,
    상기 대수우도비 산출부는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재배열된 지수 중 미리 지정된 개수의 상위 지수에 상응하는 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값과 상기 재배열된 지수 중 최소값의 차인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장치.
  26. 복조 장치가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신호에서 수신 심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심볼에 따른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지수를 크기에 따라 재배열하는 단계;
    상기 재배열된 지수 중 미리 지정된 개수의 상위 지수에 따라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지수는 상기 수신 심볼과 각 상기 변조 심볼의 차의 제곱에 익스포넨셜 연산을 취한 값의 지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우도비 산출 방법.
  27.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심볼은 삼각 형태로 배치된 성상점에 매칭되는 변조 심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우도비 산출 방법.
  28.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심볼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성상도 상의 좌표계로 변환하고,
    상기 무선 신호에 상응하는 지점이 상기 성상도 상에 위치하는 영역에 매칭된 변조 심볼을 수신 심볼로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우도비 산출 방법.
  29.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 장치는 미리 지정된 개수의 지수에 상응하는 값을 포함하는 테이블을 저장하고,
    상기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재배열된 지수 중 미리 지정된 개수의 상위 지수에 상응하는 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값과 상기 재배열된 지수 중 최소값의 차인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우도비 산출 방법.
KR1020090103066A 2009-10-28 2009-10-28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방법 및 복조 장치 KR101072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066A KR101072559B1 (ko) 2009-10-28 2009-10-28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방법 및 복조 장치
PCT/KR2009/006293 WO2011052821A1 (ko) 2009-10-28 2009-10-29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방법 및 복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066A KR101072559B1 (ko) 2009-10-28 2009-10-28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방법 및 복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188A KR20110046188A (ko) 2011-05-04
KR101072559B1 true KR101072559B1 (ko) 2011-10-11

Family

ID=43922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3066A KR101072559B1 (ko) 2009-10-28 2009-10-28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방법 및 복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72559B1 (ko)
WO (1) WO20110528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416B1 (ko) * 2019-07-24 2020-07-14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펄스진폭변조와 직교진폭변조의 대수우도비 생성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000B1 (ko) * 2014-09-24 2016-01-18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대수우도비 산출 장치 및 방법
KR102133415B1 (ko) * 2018-12-31 2020-07-14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직교진폭변조의 복조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09777B2 (en) * 2002-08-30 2009-10-27 Alcatel-Lucent Usa Inc. Maximum likelihood a posteriori probability detector
KR20040068771A (ko) * 2003-01-27 200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소프트 복조 방법 및 소프트 복조 장치
KR20090067352A (ko) * 2007-12-21 2009-06-25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로그 우도 율 생성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416B1 (ko) * 2019-07-24 2020-07-14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펄스진폭변조와 직교진폭변조의 대수우도비 생성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188A (ko) 2011-05-04
WO2011052821A1 (ko) 2011-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99622B (zh) 极化编码调制中信道可靠度的确定方法及装置
KR10065157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디코딩을 위한 로그 근사율연산 방법 및 장치
KR10208852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직각 진폭 변조를 위한 복호화 및 부호화 방법 및 장치
CN105723673B (zh) 一种高阶调制、解调装置、方法及系统
CN110191078B (zh) 发送方法
CN104956636B (zh) 无线通信系统中支持频率正交调幅的方法和装置
JP6991127B2 (ja)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CN1476705A (zh) 采用16-元正交调幅的通信系统中的解调设备和方法
JP3910586B2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でのチャネル復号器の入力軟性決定値計算装置及び方法
JP5030891B2 (ja) 雑音電力推定装置、受信装置、雑音電力推定方法、及び、受信方法
KR101072559B1 (ko) 대수우도비를 산출하는 방법 및 복조 장치
CN104956635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支持时间正交幅度调制的装置和方法
CN101404564B (zh) 8psk格雷映射的一种软解调方法
JP5287711B2 (ja) 復調方法
KR102664025B1 (ko) 초기 후보 감축에 기반한 심볼 검출을 위한 중첩 룩업 테이블
CN103560861A (zh) 星座映射方法
CN106534037B (zh) 一种高阶调制信号的软解调方法
CN112187684B (zh) 软解调方法、装置、接收机以及存储介质
CN101335729B (zh) 正交幅度调制技术定点软判决解调方法
CN115034255A (zh) 一种具有注意力机制时间卷积网络的信号调制识别算法
KR101586000B1 (ko) 대수우도비 산출 장치 및 방법
CN109474552B (zh) 软符号估计方法、接收机及计算机可读介质
CN109672501B (zh) 正交调制的软判决度量方法和装置
CN111147086B (zh) 一种编码调制方法、系统、介质及电子设备
CN106899532B (zh) 一种信号处理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