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2033B1 -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2033B1
KR101072033B1 KR1020080096226A KR20080096226A KR101072033B1 KR 101072033 B1 KR101072033 B1 KR 101072033B1 KR 1020080096226 A KR1020080096226 A KR 1020080096226A KR 20080096226 A KR20080096226 A KR 20080096226A KR 101072033 B1 KR101072033 B1 KR 101072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cator
keyword
keywords
modul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6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6829A (ko
Inventor
김현호
윤보라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6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2033B1/ko
Priority to PCT/KR2009/004847 priority patent/WO2010024628A2/ko
Priority to JP2011524910A priority patent/JP5576376B2/ja
Priority to US13/061,503 priority patent/US8886624B2/en
Publication of KR20100036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03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개시한다.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시스템은 키워드의 속성과 연관성을 지표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지표를 생성하는 지표 모듈; 상기 키워드가 사용될 용도에 대응하여 상기 지표 중에 적어도 하나의 지표를 가중치 지표로 선택하는 지표 선택 모듈; 상기 가중치 지표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지표 값을 변경하는 가중치 보정 모듈; 상기 키워드의 상기 가중치 지표와 상기 지표를 기초로 상기 키워드를 평가하는 시뮬레이션 모듈 및 상기 키워드의 평가에 기초하여 용도에 적합한 키워드를 제공하는 검색 모듈을 포함한다.
Figure R1020080096226
가중치, 방향성, 지표, 키워드, 순위 점수.

Description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방법 및 시스템{SEARCH METHOD AND SYSTEM BASED USES}
본 발명은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키워드 검색 방법은 검색어에 대응하여 검색어에 일치하거나 유사한 키워드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키워드를 검색하는 목적이 연관 키워드가 아닌 특정 용도에 필요한 키워드를 검색하고자 하는 상기 특정 용도에 적합한 키워드를 정확하기 검색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키워드 검색 방법은 검색 기준이 유사하여 특정 키워드만이 반복하여 검색되고 새로운 키워드가 검색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키워드가 사용될 수 있는 용도에 대응하여 각 용도별로 적합한 키워드를 검색할 수 있으며, 연관도 이외에 다른 수치가 낮은 키워드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많은 신규 키워드를 검색할 수 있는 방법이나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키워드의 사용 용도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지표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가중치가 부여된 지표가 포함된 지표를 기준으로 키워드를 선택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 용도에 적합한 키워드를 검색할 수 있는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각각의 지표 값에 따라 우선 순위를 변경함으로써 일부 지표 값이 낮아서 선택되지 않았던 중요 키워드를 발굴할 수 있는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시스템은 키워드의 속성과 연관성을 지표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지표를 생성하는 지표 모듈; 상기 키워드가 사용될 용도에 대응하여 상기 지표 중에 적어도 하나의 지표를 가중치 지표로 선택하는 지표 선택 모듈; 상기 가중치 지표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지표 값을 변경하는 가중치 보정 모듈; 상기 키워드의 상기 가중치 지표와 상기 지표를 기초로 상기 키워드를 평가하는 시뮬레이션 모듈 및 상기 키워드의 평가에 기초하여 용도에 적합한 키워드를 제공하는 검색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표 선택 모듈은 상기 키워드가 사용될 용도에 대응하는 중요 포인트를 확인하고, 상기 중요 포인트를 기초로 상기 키워드가 사용될 용도에서 필요한 조건의 방향성을 설정하며, 상기 방향성을 기초로 상기 지표 중에 적어도 하나의 지표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시뮬레이션 모듈은 상기 검색 모듈이 제공한 키워드의 효과를 특정 지표를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시뮬레이션 모듈은 상기 가중치 지표와 상기 지표를 기초로 순위 로직 평가 지표를 생성하고, 상기 순위 로직 평가 지표에 포함되는 지표를 분류하며, 분류된 지표의 값들에 대응하여 키워드의 우선 순위와 비율을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진입 지표와 상기 경쟁도 지표의 값이 낮으면서 상기 서비스 지표와 상기 전환 지표, 및 상기 연관 지표의 값이 높으면 산포도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키워드로 판단하여 우선 순위를 최상위로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시뮬레이션 모듈은 상기 서비스 지표와 상기 전환 지표, 및 상기 연관 지표의 값이 높은 키워드 중에서 대표 키워드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키워드는 업종이 분류된 매출 상위 키워드의 집합에 다른 소스에서 추출한 키워드를 더 포함하는 키워드 풀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키워드 풀에 포함된 키워드는 키워드 업종과 광고주 업종에 대응하여 분류된 키워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방법은 키워드의 속성 과 연관성을 지표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지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키워드가 사용될 용도에 대응하여 상기 지표 중에 적어도 하나의 지표를 가중치 지표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가중치 지표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지표 값을 변경하는 단계; 상기 키워드의 상기 가중치 지표와 상기 지표를 기초로 상기 키워드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키워드의 평가에 기초하여 용도에 적합한 키워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키워드의 사용 용도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지표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가중치가 부여된 지표가 포함된 지표를 기준으로 키워드를 선택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 용도에 적합한 키워드를 검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지표 값에 따라 우선 순위를 변경함으로써 일부 지표 값이 낮아서 선택되지 않았던 중요 키워드를 발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시스템(100)은 지표 모듈(101)이 키워드의 속성과 연관성을 지표화 하여 적어도 하나의 지표를 생성하면, 지표 선택 모듈(102)이 상기 키워드가 사용될 용도에 대응하여 상기 지표 중에 적어도 하나의 지표를 가중치 지표로 선택하고, 가중치 보정 모듈(103)이 상기 가중치 지표에 가 중치를 적용하여 지표 값을 변경하면, 시뮬레이션 모듈(104)이 상기 키워드의 상기 가중치 지표와 상기 지표를 기초로 상기 키워드의 용도를 평가하며, 검색 모듈(105)이 상기 키워드의 평가에 기초하여 용도에 적합한 키워드를 제공한다.
지표 모듈(101)은 매출량이 상위에 속하는 키워드들의 집합을 확대하여 형성된 키워드 풀에 포함된 키워드를 지표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키워드는 업종이 분류된 매출 상위의 1만대 키워드의 집합에 포함된 키워드일 수 있으며, 상기 키워드 풀은 상기 매출 상위 키워드의 집합에 다른 소스에서 추출한 키워드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른 소스는 키워드별 조회수가 일정 이상 발생하는 키워드와, 뉴스, 블로그, 지식인, 쇼핑, 사이트 크롤링, 쇼핑몰 쿼리 정보 및 이슈성 키워드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워드 풀에 포함된 키워드는 키워드 업종과 광고주 업종에 대응하여 분류됨으로써 지표화하기 적합하게 될 수 있다.
지표 선택 모듈(102)은 상기 키워드가 사용될 용도에 대응하는 중요 포인트를 확인하고, 상기 중요 포인트를 기초로 상기 키워드가 사용될 용도에서 필요한 조건의 방향성을 설정하며, 상기 방향성을 기초로 상기 지표 중에 적어도 하나의 지표를 선택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모듈(104)은 상기 가중치 지표와 상기 지표를 기초로 키워드 제공 전에 키워드의 용도를 평가하기 위한 순위 로직 평가 지표와 키워드 제공 후에 사용할 키워드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퀄리티 평가 지표를 생성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모듈(104)은 상기 순위 로직 평가 지표에 포함되는 지표를 분류하고, 분류된 지표의 값들에 대응하여 키워드의 우선 순위와 비율을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순위 로직 평가 지표는 광고의 경쟁도를 나타내는 경쟁도 지표, 사용자의 방문량을 나타내는 서비스 지표, 노출 대비 클릭율을 나타내는 전환 지표, 연관도를 나타내는 연관 지표, 및 진입장벽의 난이도를 나타내는 진입 지표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쟁도 지표는 등록 광고수를 등록 광고주수로 나눈 값이 낮을수록 좋다고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진입 지표는 PPC 값이 낮을수록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지표는 QC를 클릭수로 나눈 값이 높을수록 좋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전환 지표는 CTR 값이 높을수록 좋다고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연관 지표는 연관 점수가 높을수록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모듈(104)은 추천 툴을 사용하여 실제 광고 등록을 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커버리지 표와, 단계(S206)에서 제공된 키워드의 매출이 상승하였는가를 나타내는 매출 지표가 포함된 퀄리티 평가 지표를 사용하여 제공된 키워드를 평가할 수 있다. 이때, 커버리지 표는 등록 광고수를 등록 광고주수로 나눈 값일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모듈(104)은 상기 진입 지표와 상기 경쟁도 지표의 값이 낮으면서 상기 서비스 지표와 상기 전환 지표, 및 상기 연관 지표의 값이 높으면 산포도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키워드로 판단하여 우선 순위를 최상위로 보정하고, 상기 진입 지표와 상기 경쟁도 지표의 값이 높으면서 상기 서비스 지표와 상기 전 환 지표, 및 상기 연관 지표의 값이 낮으면 홍보에 필요한 키워드로 판단하여 우선 순위를 중간으로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모듈(104)은 상기 서비스 지표와 상기 전환 지표, 및 상기 연관 지표의 값이 높은 키워드 중에서 대표 키워드를 선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S201)에서 지표 모듈(101)은 키워드의 속성과 다른 키워드와의 연관성을 지표로 생성한다.
이때, 지표 모듈(101)은 키워드의 자체 속성을 지표화하여 독립 지표를 생성하고, 키워드가 다른 키워드간의 연관성을 지표화하여 연관 지표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S202)에서 지표 선택 모듈(102)은 키워드의 사용 용도별로 중요 포인트를 기준으로 하여 어떠한 지표가 사용 용도에 적합한지에 대한 방향성을 설정한다.
이때, 지표 선택 모듈(102)은 상기 키워드가 사용될 용도에 대응하는 중요 포인트를 확인하고, 상기 중요 포인트를 기초로 상기 키워드가 사용될 용도에서 필요한 조건의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방향성을 설정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3을 통해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단계(S203)에서 지표 선택 모듈(102)은 키워드의 사용 용도에 대응하여 단계(S202)에서 설정된 방향성을 기초로 단계(S201)에서 생성된 지표를 적어도 하나 선택한다.
상기 지표를 선택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4를 통해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단계(S204)에서 가중치 보정 모듈(103)은 단계(S203)에서 선택된 지표의 값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보정한다.
이때, 가중치는 상기 키워드의 사용 용도에서의 상기 지표의 중요성에 따라 상기 지표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단계(S205)에서 시뮬레이션 모듈(104)은 단계(S204)에서 보정된 상기 가중치 지표와 단계(S201)에서 생성되며 가중치를 적용하여 보정되지 않은 상기 지표를 기초로 상기 키워드의 용도를 평가한다.
이때, 시뮬레이션 모듈(104)은 순위 로직 평가 지표에 포함되는 지표를 분류하고, 분류된 지표의 값들에 대응하여 키워드의 우선 순위와 비율을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순위 로직 평가 지표는 광고의 경쟁도를 나타내는 경쟁도 지표, 사용자의 방문량을 나타내는 서비스 지표, 노출 대비 클릭율을 나타내는 전환 지표, 연관도를 나타내는 연관 지표, 및 진입장벽의 난이도를 나타내는 진입 지표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쟁도 지표는 등록 광고수를 등록 광고주수로 나눈 값이 낮을수록 좋다고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진입 지표는 PPC 값이 낮을수록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지표는 QC를 클릭수로 나눈 값이 높을수록 좋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전환 지표는 CTR 값이 높을수록 좋다고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연관 지표는 연관 점수가 높을수록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시뮬레이션 모듈(104)은 상기 서비스 지표와 상기 전환 지표, 및 상기 연관 지표의 값이 높은 키워드 중에서 대표 키워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시뮬레이션 모듈(104)은 상기 진입 지표와 상기 경쟁도 지표의 값이 낮으면서 상기 서비스 지표와 상기 전환 지표, 및 상기 연관 지표의 값이 높으면 산포도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키워드로 판단하여 우선 순위를 최상위로 보정하고, 상기 진입 지표와 상기 경쟁도 지표의 값이 높으면서 상기 서비스 지표와 상기 전환 지표, 및 상기 연관 지표의 값이 낮으면 홍보에 필요한 키워드로 판단하여 우선 순위를 중간으로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키워드의 용도를 평가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5를 통해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단계(S206)에서 검색 모듈(105)은 단계(S205)에서 평가된 상기 키워드의 평가에 기초하여 용도에 적합한 키워드를 제공한다.
단계(S207)에서 시뮬레이션 모듈(104)은 단계(S205)에서 제공한 상기 키워드에 대하여 평가한다.
이때, 시뮬레이션 모듈(104)은 추천 툴을 사용하여 실제 광고 등록을 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커버리지 표와, 단계(S206)에서 제공된 키워드의 매출이 상승하였는가를 나타내는 매출 지표가 포함된 퀄리티 평가 지표를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이때, 커버리지 표는 등록 광고수를 등록 광고주수로 나눈 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확인된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방법에 대해서는 도 3, 도 4, 및 도 5의 일례를 통해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키워드의 방향성을 설정하는 과정의 일례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 용도가 키워드 스테이션용인 키워드(311)와, 사용 용도가 추천어 서비스 적용용인 키워드(321) 및 사용 용도가 SPM용인 키워드(331)의 방향성을 설정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 용도가 키워드 스테이션용인 키워드(311)의 중요 포인트(312)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천 키워드의 경쟁도나 PPC의 분포에서 첨도를 낮추고 산포도를 높여야 한다는 점과, 실제 등록되거나 게재된 후에 클릭이 발생할 가능성을 높여야 한다는 점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지표 선택 모듈(102)은 중요 포인트(312)를 기초로 '매출 발생 가능성이 있는가', '등록 또는 집행의 진입 장벽이 낮은가', 및 '관리자의 조정 반영이 잘되는가' 라는 조건이 포함되는 방향성(313)을 사용 용도가 키워드 스테이션용인 키워드(311)에 설정할 수 있다.
사용 용도가 추천어 서비스 적용용인 키워드(321)의 중요 포인트(322)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뷰즈 발생으로 인한 광고주 항의를 최소화한다는 점과, 서비스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최대한 반영한다는 점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지표 선택 모듈(102)은 중요 포인트(322)를 기초로 '어뷰징 데이터가 제외되었는가', 'QQ 연관도가 잘 반영되었는가', 및 '필터링이 잘 되었는가'라는 조건이 포함되는 방향성(323)을 사용 용도가 추천어 서비스 적용용인 키워드(321)에 설정할 수 있다.
사용 용도가 SPM용인 키워드(331)의 중요 포인트(332)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관도와 확장성을 최대화한다는 점과, 확장 노출되어 매출이 발생한 키워드를 연간 점수에 반영해야 한다는 점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지표 선택 모듈(102)은 중요 포인트(332)를 기초로 '노출 시 클릭 가능성이 많은가', 'QQ 연관도가 잘 반영되었는가', 및 '매출을 최대화 할 수 있는 노출인가'라는 조건이 포함되는 방향성(333)을 사용 용도가 SPM용인 키워드(331)에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 용도별로 지표를 선택하는 과정의 일례이다.
지표 선택 모듈(10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202)에서 설정된 사용 용도(421,422,423)에 대한 방향성을 사용하여 단계(S201)에서 생성된 지표들(410)에서 가중치를 높일 지표(431, 432, 433)를 선택한다.
사용 용도가 키워드 스테이션(421)일 경우에 단계(S202)에서 설정된 방향성은 기초로 매출 발생 가능성이 있는가, 등록 또는 집행의 진입 장벽이 낮은가, 및 관리자의 조정 반영이 잘되는가 이다. 따라서, 지표 선택 모듈(102)은 등록 또는 집행의 진입 장벽이 낮은가에 대응하여 경쟁도 지표를 선택하고, 매출 발생 가능성이 있는가에 대응하여 구매 연관 지표와 매출 지표를 선택하며, 관리자의 조정 반영이 잘되는가에 대응하여 소재 문맥 연관 지표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 용도가 추천어 서비스 적용 (422)일 경우에 단계(S202)에서 설정된 방향성은 기초로 어뷰징 데이터가 제외되었는가, QQ 연관도가 잘 반영되었는가, 및 필터링이 잘 되었는가 이다. 따라서, 지표 선택 모듈(102)은 기초로 어뷰징 데이터가 제외되었는가 및 필터링이 잘 되었는가에 대응하여 프라우드 비율 지표를 선택하고, QQ 연관도가 잘 반영되었는가에 대응하여 쿼리 연관 지표와 조회수 지표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 용도가 SPM(423)일 경우에 단계(S202)에서 설정된 방향성은 노출 시 클릭 가능성이 많은가, QQ 연관도가 잘 반영되었는가, 및 매출을 최대화 할 수 있는 노출인가이다. 따라서, 지표 선택 모듈(102)은 노출 시 클릭 가능성이 많은가 및 매출을 최대화 할 수 있는 노출인가에 대응하여 노출 연관 지표를 선택하고, QQ 연관도가 잘 반영되었는가에 대응하여 쿼리 연관 지표를 선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키워드의 용도를 평가하는 과정의 일례이다.
시뮬레이션 모듈(104)은 상기 진입 지표와 상기 경쟁도 지표를 지표 그룹 1로 그룹화하고, 상기 서비스 지표와 상기 전환 지표, 및 상기 연관 지표를 지표 그룹 2로 그룹화하며, 상기 지표 그룹 1에 된 지표의 값과 상기 지표 그룹 2에 포함된 지표의 값을 기초로 상기 키워드들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1 그룹(501), A2 그룹, A3 그룹(502), B1 그룹, B2 그룹, B3 그룹, C1 그룹 (503), C2 그룹, C3 그룹 (504)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경쟁도 지표는 등록 광고수를 등록 광고주수로 나눈 값이 낮을수록 좋다고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진입 지표는 PPC 값이 낮을수록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환 지표는 CTR 값이 높을수록 좋다고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연 관 지표는 연관 점수가 높을수록 좋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지표는 QC를 클릭수로 나눈 값이 높을수록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시뮬레이션 모듈(104)은 상기 지표 그룹 1에 포함된 지표의 값이 낮으면서 상기 지표 그룹 2에 포함된 지표의 값이 높은 A3 그룹(502)에 포함되는 키워드를 산포도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키워드로 판단하여 우선 순위를 1순위로 보정하고, 상기 지표 그룹 1과 지표 그룹 2에 포함된 지표의 값이 모두 높은 A1 그룹(501)에 포함되는 키워드는 중요도가 높으나 이미 등록된 키워드로 판단하여 우선 순위를 2순위로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모듈(104)은 상기 지표 그룹 1에 포함된 지표의 값이 높으면서 상기 지표 그룹 2에 포함된 지표의 값이 낮은 C1 그룹(503)에 포함되는 키워드를 홍보에 필요한 키워드로 판단하여 우선 순위를 3순위로 보정하고, 상기 지표 그룹 1과 지표 그룹 2에 포함된 지표의 값이 모두 낮은 C3 그룹(504)에 포함되는 키워드는 중요도가 낮은 키워드로 판단하여 우선 순위를 4순위로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시뮬레이션 모듈(104)은 상기 우선 순위에 대응하여 키워드를 제공하는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표 모듈(101)이 지표화하는 키워드의 업종을 분류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S601)에서 지표 모듈(101)은 매출 상위의 1만대 키워드를 추출한다.
단계(S602)에서 지표 모듈(101)은 단계(S601)에서 추출한 키워드를 분류한다.
이때, 지표 모듈(101)은 수동으로 단계(S601)에서 추출한 키워드를 항목이나 업종별로 분류할 수 있다.
단계(S603)에서 지표 모듈(101)은 단계(S601)에서 분류된 키워드들의 집합을 확대하여 키워드 풀을 생성한다.
이때, 지표 모듈(101)은 상기 매출 상위 키워드의 집합에 다른 소스에서 추출한 키워드를 더 포함하여 키워드 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른 소스는 키워드별 조회수가 일정 이상 발생하는 키워드와, 뉴스, 블로그, 지식인, 쇼핑, 사이트 크롤링, 쇼핑몰 쿼리 정보 및 이슈성 키워드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604)에서 지표 모듈(101)은 단계(S603)에서 생성된 키워드 풀을 조정한다.
이때, 지표 모듈(101)은 특정 조건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상기 키워드 풀에 추가하거나, 상기 키워드 풀에 포함된 키워드 중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키워드를 제거할 수 있다.
단계(S604)에서 지표 모듈(101)은 단계(S604)에서 조정된 키워드 풀에 포함된 키워드를 업종별로 분류한다.
이때, 지표 모듈(101)은 각각의 키워드에 업종 지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유사 업종의 키워드를 그룹화할 수 있다.
단계(S605)에서 지표 모듈(101)은 단계(S604)에서 조정된 키워드 풀에 포함된 키워드를 광고주 업종별로 분류한다.
이때, 지표 모듈(101)은 각각의 키워드에 광고주 업종 지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유사 광고주 업종이나 동일 광고주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그룹화할 수 있다.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시스템은 키워드의 사용 용도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지표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가중치가 부여된 지표가 포함된 지표를 기준으로 키워드를 선택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 용도에 적합한 키워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각각의 지표 값에 따라 우선 순위를 변경함으로써 일부 지표 값이 낮아서 선택되지 않았던 중요 키워드를 발굴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파일 데이터,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시스템이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시스템은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키워드의 방향성을 설정하는 과정의 일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 용도별로 지표를 선택하는 과정의 일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키워드의 용도를 평가하는 과정의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표 모듈(101)이 지표화하는 키워드의 업종을 분류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25)

  1. 키워드의 속성과 연관성을 지표화 하여 복수의 지표를 생성하는 지표 모듈;
    상기 키워드가 사용될 용도에 대응하여 상기 생성된 지표 중에 적어도 하나를 가중치 지표로 선택하는 지표 선택 모듈;
    상기 가중치 지표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지표 값을 변경하는 가중치 보정 모듈;
    상기 지표 값이 변경된 가중치 지표를 포함하는 상기 생성된 지표를 기초로 상기 키워드를 평가하는 시뮬레이션 모듈; 및
    상기 키워드의 평가에 기초하여 상기 키워드가 사용될 용도에 따라 상기 키워드를 제공하는 검색 모듈
    을 포함하는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 선택 모듈은 상기 키워드가 사용될 용도에 대응하는 중요 포인트를 확인하고, 상기 중요 포인트를 기초로 상기 키워드가 사용될 용도에서 필요한 조건의 방향성을 설정하며, 상기 방향성을 기초로 상기 가중치 지표를 선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모듈은 상기 검색 모듈이 제공한 키워드의 효과를 특정 지표를 사용하여 평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모듈은 상기 지표 값이 변경된 가중치 지표와 상기 생성된 지표를 기초로 순위 로직 평가 지표를 생성하고, 상기 순위 로직 평가 지표에 포함되는 지표를 분류하며, 분류된 지표의 값들에 대응하여 키워드의 우선 순위와 비율을 보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순위 로직 평가 지표는 광고의 경쟁도를 나타내는 경쟁도 지표, 사용자의 방문량을 나타내는 서비스 지표, 노출 대비 클릭율을 나타내는 전환 지표, 연관도를 나타내는 연관 지표, 및 진입장벽의 난이도를 나타내는 진입 지표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모듈은 상기 진입 지표와 상기 경쟁도 지표의 값이 낮으면 서 상기 서비스 지표와 상기 전환 지표, 및 상기 연관 지표의 값이 높으면 산포도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키워드로 판단하여 우선 순위를 최상위로 보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모듈은 상기 진입 지표와 상기 경쟁도 지표의 값이 높으면서 상기 서비스 지표와 상기 전환 지표, 및 상기 연관 지표의 값이 낮으면 홍보에 필요한 키워드로 판단하여 우선 순위를 중간으로 보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시스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는 업종이 분류된 매출 상위 키워드의 집합에 포함된 키워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는 상기 매출 상위 키워드의 집합에 다른 소스에서 추출한 키워드를 더 포함하는 키워드 풀에 포함된 키워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소스는 키워드별 조회수가 일정 이상 발생하는 키워드와, 뉴스, 블로그, 지식인, 쇼핑, 사이트 크롤링, 쇼핑몰 쿼리 정보 및 이슈성 키워드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풀에 포함된 키워드는 키워드 업종과 광고주 업종에 대응하여 분류된 키워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시스템.
  13. 키워드의 속성과 연관성을 지표화 하여 복수의 지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키워드가 사용될 용도에 대응하여 상기 생성된 지표 중에 적어도 하나를 가중치 지표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가중치 지표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지표 값을 변경하는 단계;
    상기 지표 값이 변경된 가중치 지표를 포함하는 상기 생성된 지표를 기초로 상기 키워드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키워드의 평가에 기초하여 상기 키워드가 사용될 용도에 따라 상기 키워드를 제공하는 단계
    을 포함하는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키워드가 사용될 용도에 대응하는 중요 포인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중요 포인트를 기초로 상기 키워드가 사용될 용도에서 필요한 조건의 방향성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방향성을 기초로 상기 가중치 지표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제공한 키워드의 효과를 특정 지표를 사용하여 평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지표 값이 변경된 가중치 지표와 상기 생성된 지표를 기초로 순위 로직 평가 지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순위 로직 평가 지표에 포함되는 지표를 분류하는 단계 및,
    분류된 지표의 값들에 대응하여 키워드의 우선 순위와 비율을 보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순위 로직 평가 지표는 광고의 경쟁도를 나타내는 경쟁도 지표, 사용자의 방문량을 나타내는 서비스 지표, 노출 대비 클릭율을 나타내는 전환 지표, 연관도를 나타내는 연관 지표, 및 진입장벽의 난이도를 나타내는 진입 지표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진입 지표와 상기 경쟁도 지표의 값이 낮으면서 상기 서비스 지표와 상기 전환 지표, 및 상기 연관 지표의 값이 높으면 산포도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키워드로 판단하여 우선 순위를 최상위로 보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진입 지표와 상기 경쟁도 지표의 값이 높으면서 상기 서비스 지표와 상기 전환 지표, 및 상기 연관 지표의 값이 낮으면 홍보에 필요한 키워드로 판단하여 우선 순위를 중간으로 보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방법.
  20. 삭제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는 업종이 분류된 매출 상위 키워드의 집합에 포함된 키워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는 상기 매출 상위 키워드의 집합에 다른 소스에서 추출한 키워드를 더 포함하는 키워드 풀에 포함된 키워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소스는 키워드별 조회수가 일정 이상 발생하는 키워드와, 뉴스, 블로그, 지식인, 쇼핑, 사이트 크롤링, 쇼핑몰 쿼리 정보 및 이슈성 키워드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풀에 포함된 키워드는 키워드 업종과 광고주 업종에 대응하여 분류된 키워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방법.
  25. 제13항 내지 제19항,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80096226A 2008-08-28 2008-09-30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방법 및 시스템 KR101072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226A KR101072033B1 (ko) 2008-09-30 2008-09-30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방법 및 시스템
PCT/KR2009/004847 WO2010024628A2 (ko) 2008-08-28 2009-08-28 확장 키워드 풀을 사용한 검색 방법 및 시스템
JP2011524910A JP5576376B2 (ja) 2008-08-28 2009-08-28 拡張キーワードプールを用いる検索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3/061,503 US8886624B2 (en) 2008-08-28 2009-08-28 Searching method using extended keyword pool and syste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226A KR101072033B1 (ko) 2008-09-30 2008-09-30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829A KR20100036829A (ko) 2010-04-08
KR101072033B1 true KR101072033B1 (ko) 2011-10-11

Family

ID=42214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226A KR101072033B1 (ko) 2008-08-28 2008-09-30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203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829A (ko) 201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6376B2 (ja) 拡張キーワードプールを用いる検索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4850845B2 (ja) 方法、システムおよびメモリ装置
JP6073345B2 (ja) 検索結果をランク付けする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検索方法および装置
US8352386B2 (en) Identifying training documents for a content classifier
US7836040B2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search result list
US8738436B2 (en) Click through rate prediction system and method
US20190012392A1 (en) Method and device for pushing information
US20140229281A1 (en) Taxonomy based targeted search advertising
KR100930786B1 (ko) 광고 리스트 생성 방법 및 시스템
US20150278341A1 (en) Data search processing
WO2018053966A1 (zh) 点击率预估
US200702200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tching advertising using seed
US879325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xtual analysis and segmentation using dynamically-derived topics
US20120078709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online advertising objects using textual metadata tags
CN104111933A (zh) 获取业务对象标签、建立训练模型的方法及装置
WO2010008800A2 (en) Query identification and association
US11144594B2 (en) Search method, search apparatus and non-tempora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text search
JP2013524382A (ja) ユーザー行為に基づく検索広告の選択
KR101970978B1 (ko) 상품 카테고리별 추천 키워드 추출 방법
WO2015124024A1 (zh) 一种提升信息的曝光率的方法和装置、确定搜索词的价值的方法和装置
CN115905489B (zh) 一种提供招投标信息搜索服务的方法
US96131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xtual analysis and segmentation of information objects
CN110020209B (zh) 内容和搜索词的相关性确定方法及系统、展示方法及系统
KR101072033B1 (ko) 사용 용도에 기초한 검색 방법 및 시스템
JP5832869B2 (ja) カテゴリーマッチングを用いたキーワード抽出システムおよびキーワード抽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