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1905B1 - 방사성 폐기물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성 폐기물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1905B1
KR101071905B1 KR1020090108127A KR20090108127A KR101071905B1 KR 101071905 B1 KR101071905 B1 KR 101071905B1 KR 1020090108127 A KR1020090108127 A KR 1020090108127A KR 20090108127 A KR20090108127 A KR 20090108127A KR 101071905 B1 KR101071905 B1 KR 101071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ble material
transfer
radioactive waste
waste
metal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1511A (ko
Inventor
이기원
조광훈
홍상범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08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905B1/ko
Publication of KR20110051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28Treating solids
    • G21F9/30Processing
    • G21F9/32Processing by inciner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폐기물 이송장치는, 방사성 폐기물 중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을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을 소각로에 이송시켜 투입되는 것이, 밀폐된 공간에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이송의 경로가 굴곡진 곳에서도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사성 폐기물 이송장치는, 방사성 폐기물 중 분류된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을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을 소각로에 투입하는 투입부;를 포함하여, 굴곡 등이 존재하는 악조건 속에서도 방사성 폐기물을 연속으로 이송함으로써, 작업 중 방사성 분진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와 같은 처리과정이 밀폐된 공간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성과 작업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투입부를 통해 원하는 만큼 정량으로 소각로에 폐기물을 투입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방사성, 폐기물, 비금속성, 가연성, 분류부, 이송부, 투입부

Description

방사성 폐기물 이송장치{Apparatus for transporting of radioactive waste}
본 발명은 방사성 폐기물 이송장치로서, 방사성 폐기물 중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을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을 소각로에 이송시켜 투입되는 것이, 밀폐된 공간에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이송의 경로가 굴곡진 곳에서도 이루어지도록 개선된 방사성 폐기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 원자력 선진국에서도 방사성폐기물 소각시설에 투입되는 가연성폐기물의 분류는 컨테이너형 박스 안에서 작업자가 직접 분류하여 컨베어 벨트 등을 통해 소각로에 주입하는 형식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가연성폐기물의 분류 과정에서 분진 등을 작업자가 호흡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성을 해칠 우려가 있다.
물론 작업자가 방진 마스크 등을 착용한다고 하면 이를 방지할 수 있으나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며, 무더위가 심한 여름철에는 작업하기에 매우 곤란한 것이 현 재의 실정이다.
또한 컨베어 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폐기물은 굴곡 등의 매우 복잡한 형상의 경로를 거칠 수 없기에 공간 등을 많이 소비하게 되며,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방사성 물질이 환경으로 전이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이 거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일례로서, 국내 출원번호 제10-2000-0017887호에 개시된 분쇄기용 분쇄물 이송스크류와 같은 장치에서도, 이송스크류가 직선으로 구성된 장치이기 때문에 복잡한 경로를 가진 이송에 있어서는 한계점이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방사성 폐기물 중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을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을 소각로에 이송시켜 투입되는 것이, 밀폐된 공간에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이송의 경로가 굴곡진 곳에서도 이루어지도록 개선된 방사성 폐기물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사성 폐기물 이송장치는, 방사성 폐기물 중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을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을 소각로에 이송시켜 투입되는 것이, 밀폐된 공간에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이송의 경로가 굴곡진 곳에서도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사성 폐기물 이송장치는, 방사성 폐기물 중 분류된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을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을 소각로에 투입하는 투입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이송부는, 내부에서 상기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이 이송되는 이송관; 및 상기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을 밀어서 이송시키도록 상기 이송관 내에 설치된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이송부재는, 원형판으로서 복수 개가 마련되며, 중심을 관통하여 고정된 이음와이어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송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구비한 구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재의 일측부가 상기 웜기어에 치차체결되어 상기 웜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송부재가 상기 이송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한편, 상기 투입부는, 상기 이송부와 연통되어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상기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이 인입되어 낙하되는 투입관; 상기 투입관 내에서 상기 이송부에 대한 연결부위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투입관 내부를 가로질러 장착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설치되어 낙하되는 상기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이 수용되며, 상기 지지축이 편심되어 통과함에 따라 수용된 상기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의 중량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을 하측에 배치된 소각로에 낙하시키는 폐기물통; 및 상기 지지축에 설치된 상기 폐기물통을 수평지지하며, 상기 폐기물통에 수용된 상기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의 중량이 설정 중량보다 큰 경우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개폐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폐기물통은, 상기 투입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고 하측 으로 갈수록 더 큰 것이 배치되도록 복수 개가 마련되며, 상기 폐기물통을 수평지지하는 상기 개폐문은, 상기 폐기물통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상기 설정 중량도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방사성 폐기물 중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을 분류하는 분류부; 상기 분류부에 의해 분류된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을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을 방사성 폐기물 소각로에 투입하는 투입부;를 포함하는 방사성 폐기물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분류부는, 방사성 폐기물 저장고로부터 이송되어 분쇄기에 의해 분쇄된 상기 방사성 폐기물이 인입되도록 구성되는 밀폐형 글러브 박스; 및 상기 방사성 폐기물을 금속성과 비금속성으로 분류하도록, 상기 글러브 박스 내에 설치된 자석식 분류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밀폐형 글러브 박스와 연통되며, 내부에서 상기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이 이송되는 이송관; 및 상기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을 밀어서 이송시키도록 상기 이송관 내에 설치된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이송부재는, 원형판으로서 복수 개가 마련되며, 중심을 관통하여 고정된 이음와이어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이송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구비한 구동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이송부재가 상기 웜기어에 치차체결되어 상기 웜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송부재가 상기 이송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한편, 상기 투입부는, 상기 이송부와 연통되어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상기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이 인입되어 낙하되는 투입관; 상기 투입관 내에서 상기 이송부에 대한 연결부위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투입관 내부를 가로질러 장착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설치되어 낙하되는 상기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이 수용되며, 상기 지지축이 편심되어 통과함에 따라 수용된 상기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의 중량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을 하측에 배치된 소각로에 낙하시키는 폐기물통; 및 상기 지지축에 설치된 상기 폐기물통을 수평지지하며, 상기 폐기물통에 수용된 상기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의 중량이 설정 중량보다 큰 경우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개폐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폐기물통은, 상기 투입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더 큰 것이 배치되도록 복수 개가 마련되며, 상기 폐기물통을 수평지지하는 상기 개폐문은, 상기 폐기물통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상기 설정 중량도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폐기물 이송장치는, 굴곡 등이 존재하는 악조건 속에서도 방사성 폐기물을 연속으로 이송함으로써, 작업 중 방사성 분진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와 같은 처리과정이 밀폐된 공간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성과 작업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투입부를 통해 원하는 만큼 정량으로 소각로에 폐기물을 투입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방사성 폐기물 중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에 대한 분류, 이송, 투입, 및 소각 처리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사성 폐기물 이송장치가 이용되는 방사성 폐기물에 대한 처리과정을 알아보기로 한다.
먼저, 방사성 폐기물 저장고에서 수용된 방사성 폐기물을 운반하여 반출하는 데, 이때 방사성 폐기물은 컨테이너 내로 운반되어 분쇄기(shredder)로 분쇄시킨다.
이어서, 분쇄된 방사성 폐기물은 밀폐형 공간으로 이동되는데, 그 내부에서 자석식 분류기인 전자 자석을 이용하여, 상기 방사성 폐기물 중 금속성 물질을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다음으로, 방사성 폐기물 중 분류된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을 방사성 폐기물 이송장치의 이송부를 통해 투입부로 이송시킨다.
그 다음으로,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을 방사성 폐기물 이송장치의 투입부를 통해 소각로에 투입한다.
그리고, 소각로에 투입된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은 소각되며, 소각된 소각재는 모아져서 드럼에 저장되며, 마지막으로 드럼에 저장된 소각재를 고형화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사성 폐기물 이송장치에서 이송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Ⅰ-Ⅰ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술한 방사성 폐기물에 대한 처리과정에서 이용되는 본 발명의 방사성 폐기물 이송장치는, 방사성 폐기물 중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10)을 분류하고 분류된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10)을 소각로(90)에 이송시켜 투입되는 것이, 밀폐된 공간에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이송의 경로가 굴곡진 곳에서도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사성 폐기물 이송장치는, 방사성 폐기물을 금속성과 비금속성으로 분류하는 분류부(미도시), 상기 분류부와 연결된 이송부(20), 및 상기 이송부(20)와 연결된 투입부(4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분류부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방사성 폐기물 중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10)을 분류하는 부분으로서, 밀폐형 글러브 박스와 자석식 분류기를 포함한다.
상기 밀폐형 글러브 박스는 방사성 폐기물 저장고로부터 이송되어 분쇄기에 의해 분쇄된 상기 방사성 폐기물이 인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자석식 분류기는 방사성 폐기물을 금속성과 비금속성으로 분류하도록, 상기 글러브 박스 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자석식 분류기는 전자 자석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전자 자석은 방사성 폐기물 중 금속성인 비가연성인 물질을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10)로부터 분리한다.
즉, 상기 금속성 비가연성 물질은 소각로(90)에서 소각되지 않기 때문에, 따로 분류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이와 같이 밀폐형 글러브와 자석식 분류기로 구성된 분류부는, 밀폐된 공간에서 방사성 폐기물 중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10)을 분류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성 및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20)는 이송관(22)과 이송부재(24)로 구성되며, 분류부에 의해 분류된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10)을 이송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분류부와 밀폐된 연결로를 통해 연결된다.
여기에서 연결로는 물론 밀폐된 통로로서, 밀폐형 글러브 박스와 이송관(22)을 연결하며 이송관(22)에 호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송관(22)은 내부에서 상기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10)이 이송되는 관이며, 그 내부에는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10)을 밀어서 이송시키도록 이송부재(24)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이송부재(24)는 원형판으로서 복수 개가 마련되며, 중심을 관통하여 고정된 이음와이어(25)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이송부재(24)는 구동부재(26)에 의해 구동되는데, 이러한 구동부재(26)는 이송관(2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웜기어(27)와, 상기 웜기어(27)를 구동시키는 모터(28)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재(26)는 이송부재(24)의 일측부가 웜기어(27)에 치차체결되어 웜기어(27)의 회전에 의해, 이송부재(24)가 이송관(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이송부(20)는, 밀폐된 이송관(22) 내에서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10)을 이송시킴으로써 방사성 폐기물 이송작업에 있어서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고,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이송부재(24)가 상기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10)을 밀어서 이동시킴에 따라 직선이 아닌 굴곡된 경로에서도 안전하면서도 원 활하게 이송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방사성 폐기물 이송장치에서 투입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Ⅱ-Ⅱ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투입부(40)는 이송부(20)에 의해 이송된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10)을 방사성 폐기물 소각로(90)에 투입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투입부(40)는 상기 이송부(20)와 연통된 투입관(42), 및 상기 투입관(42) 내에 배치된 지지축(44)과 폐기물통(46), 그리고 개폐문(49)을 포함한다.
상기 투입관(42)은 이송부(20)와 연통되어 이송부(20)를 통해 이송된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10)이 인입되어 낙하된다.
구체적으로, 투입관(42)은 수직으로 배치되면서 이송부(20)의 이송관(22)과 연결되어 통하게 구성되며, 이에 따라 이송관(22)을 통해 이송되는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10)이 인입되어 낙하된다.
또한, 상기 지지축(44)은 투입관(42) 내에서 이송부(20)에 대한 연결부위 하측에 배치되며, 투입관(42) 내부를 가로질러 장착된다.
아울러, 상기 폐기물통(46)은 상기 지지축(44)에 설치되어 낙하되는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10)이 수용되며, 지지축(44)이 편심되어 통과함에 따라 수용된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10)의 중량에 의해 회전되어,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10)을 하 측에 배치된 소각로(90)에 낙하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지지축(44)은 수직으로 배치된 투입관(42) 내에서 가로로 배치되어 설치되고, 이러한 지지축(44)에 폐기물통(46)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이때 지지축(44)은 폐기물통(46)에 편심되도록 일측에 치우친 지점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폐기물통(46)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문(49)은 지지축(44)에 설치된 폐기물통(46)을 수평지지하며, 폐기물통(46)에 수용된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10)의 중량이 설정 중량보다 큰 경우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즉, 개폐문(49)은 투입관(42) 내에서 폐기물통(46)이 회전되어 내부에 수용된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10)이 배출되어 낙하되지 않도록, 폐기물통(46)의 하면에 배치되면서 폐기물통(46)을 지지한다.
이때, 개폐문(49)은 전기적으로 연계되면서 투입관(42) 외측에 구성된 제어부(50)에 의해, 폐기물통(46)에 수용된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10)의 중량이 설정 중량보다 큰 경우 개방되도록 제어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 및 전기적인 연계는, 상술한 기능적인 구성만 이루면 될 뿐 그 형태, 위치 및 부품에 대해서는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폐기물통(46)은 투입관(4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더 큰 것이 배치되도록 복수 개가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폐기물통(46)을 수평지지하는 개폐문(49)은, 폐기물통(46)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상기 설정 중량도 커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투입관(42)을 낙하하는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10)이 폐기물통(46)을 일정 중량 수용되고, 수용된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10)이 낙하되어 상기 설정 중량보다 더 큰 설정 중량을 지닌 큰 크기의 폐기물통(46)에 낙하 수용되면서 결국에는 맨 아래에 있는 소각로(90)에 인입되어 소각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굴곡 등이 존재하는 악조건 속에서도 방사성 폐기물을 연속으로 이송함으로써, 작업 중 방사성 분진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와 같은 처리과정이 밀폐된 공간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성과 작업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투입부(40)를 통해 원하는 만큼 정량으로 소각로(90)에 폐기물을 투입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방사성 폐기물 중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에 대한 분류, 이송, 투입, 및 소각 처리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사성 폐기물 이송장치에서 이송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Ⅰ-Ⅰ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방사성 폐기물 이송장치에서 투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Ⅱ-Ⅱ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 20 : 이송부
22 : 이송관 24 : 이송부재
25 : 이음와이어 26 : 구동부재
27 : 웜기어 28 : 모터
40 : 투입부 42 : 투입관
44 : 지지축 46 : 폐기물통
49 : 개폐문 50 : 제어부
90 : 소각로

Claims (14)

  1. 삭제
  2. 방사성 폐기물 중 분류된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을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을 소각로에 투입하는 투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내부에서 상기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이 이송되는 이송관; 및 상기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을 밀어서 이송시키도록 상기 이송관 내에 설치된 이송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재는, 원형판으로서 복수 개가 마련되며, 중심을 관통하여 고정된 이음와이어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 이송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구비한 구동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이송부재의 일측부가 상기 웜기어에 치차체결되어 상기 웜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송부재가 상기 이송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 이송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상기 이송부와 연통되어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상기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이 인입되어 낙하되는 투입관;
    상기 투입관 내에서 상기 이송부에 대한 연결부위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투입관 내부를 가로질러 장착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설치되어 낙하되는 상기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이 수용되며, 상기 지지축이 편심되어 통과함에 따라 수용된 상기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의 중량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을 하측에 배치된 소각로에 낙하시키는 폐기물통; 및
    상기 지지축에 설치된 상기 폐기물통을 수평지지하며, 상기 폐기물통에 수용된 상기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의 중량이 설정 중량보다 큰 경우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개폐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 이송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통은, 상기 투입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더 큰 것이 배치되도록 복수 개가 마련되며,
    상기 폐기물통을 수평지지하는 상기 개폐문은, 상기 폐기물통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상기 설정 중량도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 이송장치.
  8. 방사성 폐기물 중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을 분류하는 분류부; 상기 분류부에 의해 분류된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을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을 방사성 폐기물 소각로에 투입하는 투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류부는, 방사성 폐기물 저장고로부터 이송되어 분쇄기에 의해 분쇄된 상기 방사성 폐기물이 인입되도록 구성되는 밀폐형 글러브 박스; 및 상기 방사성 폐기물을 금속성과 비금속성으로 분류하도록, 상기 글러브 박스 내에 설치된 자석식 분류기;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밀폐형 글러브 박스와 연통되며, 내부에서 상기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이 이송되는 이송관; 및 상기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을 밀어서 이송시키도록 상기 이송관 내에 설치된 이송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재는, 원형판으로서 복수 개가 마련되며, 중심을 관통하여 고정된 이음와이어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 이송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구비한 구동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이송부재가 상기 웜기어에 치차체결되어 상기 웜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송부재가 상기 이송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 이송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상기 이송부와 연통되어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상기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이 인입되어 낙하되는 투입관;
    상기 투입관 내에서 상기 이송부에 대한 연결부위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투입관 내부를 가로질러 장착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설치되어 낙하되는 상기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이 수용되며, 상기 지지축이 편심되어 통과함에 따라 수용된 상기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의 중량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을 하측에 배치된 소각로에 낙하시키는 폐기물통; 및
    상기 지지축에 설치된 상기 폐기물통을 수평지지하며, 상기 폐기물통에 수용된 상기 비금속성 가연성 물질의 중량이 설정 중량보다 큰 경우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개폐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 이송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통은, 상기 투입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더 큰 것이 배치되도록 복수 개가 마련되며,
    상기 폐기물통을 수평지지하는 상기 개폐문은, 상기 폐기물통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상기 설정 중량도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 이송장치.
KR1020090108127A 2009-11-10 2009-11-10 방사성 폐기물 이송장치 KR101071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127A KR101071905B1 (ko) 2009-11-10 2009-11-10 방사성 폐기물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127A KR101071905B1 (ko) 2009-11-10 2009-11-10 방사성 폐기물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511A KR20110051511A (ko) 2011-05-18
KR101071905B1 true KR101071905B1 (ko) 2011-10-11

Family

ID=44361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127A KR101071905B1 (ko) 2009-11-10 2009-11-10 방사성 폐기물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190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511A (ko)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590B1 (ko) 스티로폼 파쇄장치
KR20110064394A (ko) 고형연료 생산 장치내 선별 및 정량공급 유니트
KR100809480B1 (ko) 폐 페인트통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81875A (ko) 가연성 폐기물의 자원화를 위한 분리선별 장치와 그 방법
KR101583788B1 (ko) 금속 분리 기능을 향상시킨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WO2008027303A3 (en) Continuous bulk bag discharging facility
KR101768096B1 (ko) 슬래그 처리장치
KR100872643B1 (ko) 풍력 선별 장치
KR101322303B1 (ko) 음식물류폐기물의 종량제 수거 및 자원화 장치
CN104399738A (zh) 一种飞灰熔融预处理系统及飞灰处理方法
KR20140105041A (ko) 폐기물의 파쇄 및 선별장치와 그 방법
KR101071905B1 (ko) 방사성 폐기물 이송장치
JP2012081434A (ja) 書類廃棄リサイクル処理システム
KR930017631A (ko)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100407539B1 (ko) 폐기물 쓰레기의 선별장치
KR102105126B1 (ko) 재활용쓰레기 분류장치
KR101740674B1 (ko) 쿨링타워 필러의 재활용을 위한 파쇄장치
KR101726289B1 (ko) 밀폐형 자력 선별기
KR100931621B1 (ko) 자동회전 방식의 수거함 승강기가 구비된 폐형광등 처리장치
KR100739427B1 (ko) 슬러지 및 음식물 쓰레기 건조 시스템
KR101806726B1 (ko) 폐기물 정량 연속공급장치
CN213557337U (zh) 一种建筑垃圾处理装置
JP7172936B2 (ja) ごみ分別処理方法及び装置
JP4083188B2 (ja) 塊状廃棄物の処理方法
KR101785218B1 (ko) 폐기물선별장치로 투입되는 폐기물을 정량으로 연속하여 공급하는 정량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