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1805B1 - 상변화 물질을 함유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 Google Patents

상변화 물질을 함유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1805B1
KR101071805B1 KR1020070127766A KR20070127766A KR101071805B1 KR 101071805 B1 KR101071805 B1 KR 101071805B1 KR 1020070127766 A KR1020070127766 A KR 1020070127766A KR 20070127766 A KR20070127766 A KR 20070127766A KR 101071805 B1 KR101071805 B1 KR 101071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meth
sensitive adhesive
acrylate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7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0827A (ko
Inventor
조병규
김장순
장석기
유승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70127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805B1/ko
Publication of KR20090060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0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변화 물질이 함유되는 고분자 캡슐 및 고형분 함량이 99% 이상인 아크릴계 중합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높은 고형분 함량을 가지는 아크릴계 중합수지를 포함하여 점착 시트 제조시 수분 또는 유기 용매를 휘발시키기 위한 고온 가공이 필요하지 않고, 열원이 아닌 자외선을 이용하여 점착시트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점착 시트의 제조과정 중 캡슐 외벽의 고분자의 파열로 인하여 캡슐 내부의 상변화 물질이 새어 나오지 않고, 점착 시트가 대상물체 적용되는 경우 피착제와의 밀착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점착시트의 열의 흡수 및 방출 효율이 높아져 점착 시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점착 시트의 가공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환경 오염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자외선, 고형분, 아크릴계 중합수지, 부분중합, 고분자 전구체, 상변화 물질, 점착 시트.

Description

상변화 물질을 함유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phase change material and adhesive shee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변화 물질을 함유하는 캡슐을 포함하여 액정 디스플레이용 패널 부품 및 기타 전자 부품 소자에 점착되어 열을 흡수 또는 방출하는 점착 시트에 관한 것으로, 가공시 캡슐 외벽의 균열 및 파열을 방지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시트, 백라이트 유니트 및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전기·전자용 또는 자동차용의 부품이나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을 제거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용 패널에서는 백라이트로서 색 재현율이 우수하고, 명암 대비비가 우수한 유기발광 다이오드가 적용된 제품을 출시하고 있는데,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게 되면 기존에 사용하던 냉음극 형광램프를 백라이트로 사용하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비하여 발열량이 매우 높기 때문에, 발생된 열을 제거하지 못하면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수명이 짧아지거나 열로 인하여 전소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전에는 히트 파이프를 이용하여 열을 방출하는 구조를 사용하였으나, TV의 슬림화에 기인하여 두께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백라이트로 사용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용 패널 부품 소자의 접착에는 고분자에 상변화 물질을 함유한 잠열축열캡슐을 이용한 점착 시트를 열이 발생되는 대상에 부착시켜 열을 용이하게 흡수 또는 방출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변화 물질(Phase Change Material)은 자체 잠열을 이용하여 주변의 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함으로써 주변의 온도 또는 적용 제품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되거나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열저장 매체로 사용되고 있다. 상변화 물질은 고체에서 액체로 상전이 될 경우 액체로 상전이 된 상변화 물질의 흐름성으로 인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상변화 물질을 고분자로 코팅하여 캡슐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변화 물질이 상전이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열을 흡수 또는 방출하기 위해서는 열 전달 속도가 높고, 열원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이 넓어야 하는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상변화 물질을 열을 흡수 또는 방출하기 위한 대상물체에 직접 접촉시키는 것이다.
대한한국 공개특허 제2004-0110594호는 상변화 물질을 포함한 열 흡수 유닛을 갖는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이 열 흡수 유닛은 열원에 직접 부착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케이스에 붙어 직접적인 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상변화 물질을 포함하는 열 전달 매개체에 관한 언급이 전혀 없다. 또한 상변화 물질을 함유하는 열 전달 매개체의 종류, 접착 정도 및 사용 환경에 따라 열을 흡수 또는 방출할 수 있는 조건이 달라지는데 이에 관련된 사항이 전혀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45508호는 상변화 물질을 함유하는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보호막 내부에 상변화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마이크로 캡슐을 바이더풀과 혼합시켜 스프레이방식으로 분사하고 있어, 압착 롤러로 접합시 고온으로 상승하면 분리되어 열을 흡수 또는 방출할 수 있는 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스프레이방식으로 분사할 시 일정 면적에 고르게 분포하지 못하여 열을 흡수 또는 방출 효율이 떨어지며, 공정 조건이 복잡하고 기기 설치비가 상승하여 원가 상승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092577호는 상변화 물질을 함유한 점착제 시트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수성 아크릴레이트계 점착제를 이용하여 점착 시트 제조시 열원을 이용하므로 100℃ 이상의 고온으로 상승하게 되면 캡슐의 표면 사이로 상변화 물질이 새어 나와 열을 흡수 또는 방출할 수 있는 효율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상변화 물질이 점착 시트 표면으로 이동하여 접착력이 감소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상변화 물질을 함유하는 캡슐을 포함하는 점착시트는 상변화 물질이 열을 흡수 또는 방출하기 위한 대상물체에 직접 접촉할 수 있어 열전달 속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수분이나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이용하여 수분 및 유기 용매를 제거하기 위하여 보통 100 ℃ 이상으로 가열해야 한다. 열원을 이용한 고온가공을 실시하는 경우 캡슐 내부의 상변화 물질은 고분자로 된 캡슐 외벽을 뚫고 새어 나와 점착 시트 표면으로 이행된다. 이는 온도 상승으로 인하여 고분자 로 된 캡슐이 열적 운동을 하게 됨과 동시에 상변화 물질 또한 고체에서 액체로 변하는 상전이가 일어나므로 부피가 팽창하기 때문이다. 상변화 물질이 점착 시트 표면으로 이행하게 되면 열을 용이하게 흡수 또는 방출하는 기능을 가진 상변화 물질의 함량이 줄어 점착 시트의 수명은 짧아지고 열을 발생한 대상과의 밀착성이 떨어져 분리되며, 점착 시트의 열 흡수 및 방출 효과가 줄어든다. 그러므로 액정 디스플레이용 패널 부품 및 기타 전자 부품 소자의 열을 흡수 또는 방출할 수 있는 기능이 떨어지고 온도가 상승하여 유기발광 다이오드 등 전자 부품 소자가 전소해버릴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캡슐 내부의 상변화 물질이 캡슐 외부로 새어 나오지 않음으로써, 장기적으로 열을 흡수 또는 방출할 수 있는 효율을 증가시키고, 접착력의 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점착시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변화 물질이 함유되는 고분자 캡슐 및 고형분 함량이 99중량% 이상인 아크릴계 중합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수지는 고분자 전구체의 함량이 50중량%이하인 부분 중합된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기재; 및 상기 기재의 단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고,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점착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시트; 및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니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니트; 및 빛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액정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점착시트는 수분이나 유기 용매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고형분 99중량% 이상인 아크릴계 중합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자외선을 이용하여 제조되므로, 제조과정 중 캡슐 외벽의 고분자의 파열로 인하여 캡슐 내부의 상변화 물질이 새어 나오지 않고, 점착 시트가 대상물체 적용되는 경우 피착제와의 밀착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점착시트의 열의 흡수 및 방출 효율이 높아져 점착 시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점착 시트의 가공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환경 오염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변화 물질을 함유하는 고분자 캡슐 및 고형분 함량이 99중량% 이상인 아크릴계 중합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수지는 고형분 함량이 99중량% 이상으로써, 높은 고형분 함량을 가지므로 수분 또는 유기 용매를 거의 포함하고 있지 않아 점착시트의 제조시 고온 가공이 필요하지 않고, 방사선을 이용한 가공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중합수지의 고형분 함량이 1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형분 함량이 99중량% 미만인 경우 미반응한 모노머가 점착제 표면으로 이행하여 피착제와의 밀착성이 저하되며, 고온에서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점착시트 제조시 방사선을 이용한 가공을 하여 가공 중 고분자 캡슐의 외벽이 파괴되지 않고, 캡슐 내부의 상변화 물질이 새어 나오지 않아 점착 시트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중합수지는 고분자 전구체(pre-polymer)의 함량이 50중량% 이하인 부분 중합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부분 중합 수지」란 고분자 전구체와 모노머의 혼합상태를 의미한다. 점착 시트의 가공성은 부분 중합 수지 중 불휘발분, 즉 고분자 전구체(pre-polymer)의 함량에 의존하는데,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중합수지는 고분자 전구체(pre-polymer)의 함량이 5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30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 전구체(pre-polymer)의 함량이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변화 물질이 함유된 캡슐의 혼합량이 적어져 점착시트의 열의 흡수 또는 방출 능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아크릴계 중합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 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중합수지는 상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와 공중합이 가능한 극성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극성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타)아크릴산, 말레인산, 또는 푸마르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하이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하이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및 아크릴 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또는 N-비닐 카프로락탐 등의 질소 함유 단량체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수지에 포함되는 극성 단량체의 함량은 알킬(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 이하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점착성 및 박리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변화 물질을 함유하는 고분자 캡슐은 점착 시트가 부착되는 전기·전자 부품 소자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 또는 방출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변화 물질은 고분자 물질로 캡슐화되어 점착 시트에 포함되는데, 상기 상변화 물질을 캡슐화하는 고분자 물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고분자 물질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는 우레탄, (메타)아크릴, 또는 멜라민-포름 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물질을 이용하여 상변화 물질을 캡슐화하는 방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캡슐에 함유되는 상변화 물질은 상온 및 점착시트가 적용되는 대상 물체의 발열 온도 구간 사이에서 상변화를 동반할 수 있는 물질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변화 물질의 구체적인 예로는 NaNH4SO4·2H2O, Na2SO4·10H2O, Na2SiO3·5H2O, Na3PO4·12H2O, Na(CH3COO)·3H2O, NaHPO4·12H2O, K2HPO4·3H2O, Fe(NO3)3·9H2O, FeCl3·2H2O, Fe2O3·4SO4·9H2O, Ca(NO3)2.3H2O, CaCl2·6H2O, K2HPO4·3H2O, 또는 K3PO4·7H2O 등을 포함하는 수화물 형태의 무기물; n-옥타코산, n-헵타코산, n-펜타코산, n-테트라코산, n-트리코산, n-도코산, n-헤네이코 산, n-에이코산, n-노나데칸, n-옥타데칸, n-헵타데칸, n-헥사데칸, n-펜타데칸, n-테트라데칸 또는 n-트리데칸 등의 파라핀계 탄화수소; 및 n-옥타노익산(n-octanoic acid), 타르타르산, 옥살산, 아세트산(acetic acid), 유산(lactic acid), 또는 클로로아세트산(chloroacetic acid) 등의 유기산이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변화 물질을 함유하는 고분자 캡슐의 사용량은 아크릴계 중합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2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5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너무 낮은 열량을 갖게 되어 액정 디스플레이용 패널 부품 및 기타 전자 부품 소자의 열을 용이하게 흡수 또는 방출할 수 있는 기능이 매우 떨어지게 되고, 20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혼합물의 점도가 증가하여 가공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중합수지의 점착 특성을 조절기 위하여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아크릴계 중합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교제는 가교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를 예로 들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토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1,2-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또는 1,12-도데칸디올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으며, 이 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중합수지의 중합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광개시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그 함량은 아크릴계 중합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광개시제는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 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a,a-메톡시-a-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2- 벤조일-2(디메틸아미노)-1-[4-(4-몰포닐)페닐]-1-부타논, 또는 2,2-디메톡시 2- 페닐 아세토페논 등이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분산제, 커플링제, 소포제, 증점제 및 습윤제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로 사용되는 분산제, 커플링제, 소포제, 증점제, 습윤제 등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 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기재 및 상기 기재의 단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고,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점착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시트는 기재의 단면 또는 양면에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점착층이 시트화되어 있다.
상기 점착층은 0.05 내지 3mm의 두께로 시트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층의 두께가 0.05mm 미만인 경우에는 열 전달 접촉면적이 작아져서 발열체와 시트의 충분한 열 전달이 이루어지기 어렵고, 3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시트의 열 저항성이 커지고 방열을 이루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상기 점착시트를 구성하는 기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플라스틱, 종이, 부직포, 유리 및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폴리에스테르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의 단면 또는 양면에 형성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형성된 기재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점착 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점착 시트 가공시 열을 가하게 되면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된 상변화 물질은 흐름성을 갖게 되는데, 열을 이용하여 100℃ 이상으로 가열하면 고분자로 된 캡슐 외벽이 균열 또는 파열되어 상변화 물질이 캡슐 외부로 새어 나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점착 시트의 점착력 저하 및 열의 흡수 및 방출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 시트의 제조방법은 열이 아닌 자외선을 이용하여 가공하는 것으로, 자외선을 이용한 가공은 많은 열이 발생하지 않고, 냉각기를 이용하여 온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100℃ 이상의 고온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고분자 캡슐 외벽이 균열 또는 파열되지 않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공정 시간의 단축 및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의 단면 또는 양면에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형성된 기재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에서는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자외선 램프는 효율성, 작업 비용, 램프의 전력, 램프의 길이, 램프가 작동하는데 걸리는 시간, 및 램프를 교환 비용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측면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외선 램프는 저압 수은등(Low Pressure Mercury Vapor Lamp), 중압 수은등(Medium Pressure Mercury Vapor Lamp), 고압 수은등(High Pressure Mercury Vapor Lamp), 무전극 램프(Electrodeless Lamp), 제논 램프(Pulsed Xenon Lamp), 또는 블랙 램프(Black Light Lamp) 등이 있다.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법에 있어서 위의 사항을 고려하여 자외선의 파장, 강도 및 노출양을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자외선 파장은 320 내지 4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파장이 320nm 미만인 경우에는 점착 시트의 가공 공정 시 표면만 경화가 일어나서 점착 시트 내부 경화가 일어나지 않을 우려가 있고, 400n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화 시간이 길어져서 고분자 길이가 길어져 점착력이 저하되고, 생산 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시트 및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니트;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 및 빛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액정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시트 및 이를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니트 및 빛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액정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니트를 사용하는 액정 표시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직하형 백라이트 유니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지-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니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액정 표시 소자는 액정 표시 패널(LCD 패널, 200) 및 백라이트 유니트(202)을 포함한다.
LCD 패널(200)은 하부 편광필름(204), 상부 편광필름(206), 하부 기판(208), 상부 기판(210), 칼라필터(212), 블랙매트릭스(214), 화소전극(216), 공통전 극(218), 액정층(220) 및 TFT 어레이(222)를 포함한다.
칼라필터(212)는 레드, 그린 및 블루에 해당하는 칼라필터들을 포함하며, 빛이 인가되는 경우 레드, 그린 또는 블루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발생시킨다.
TFT 어레이(222)는 스위칭 소자로서 화소전극(216)을 스위칭한다.
공통전극(218) 및 화소전극(216)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소정 전압에 따라 액정층(220)의 분자들을 배열한다.
액정층(220)은 소정 분자들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분자들이 화소전극(216)과 공통전극(218) 사이의 전압차에 상응하여 배열된다.
그 결과, 이하의 백라이트 유니트(202)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이 액정층(220)의 분자 배열에 상응하여 칼라필터(212)에 입사된다.
백라이트 유니트(Back Light Unit, 이하 "BLU"라 함, 202)은 LCD 패널(200)의 하부에 위치하며, LCD 패널(200)에 빛, 예를 들어 백색광을 제공한다.
한편, BLU(202)는 광원이 액정 패널의 아래에 위치하는 직하 방식(Direct-lighting)과 광원이 도광판의 측면에 위치하는 에지-라이트 방식(edge-light method)으로 나뉘며, 본 발명에 따른 LCD 소자에는 직하 방식과 에지-라이트 방식의 BLU(202)가 모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도 4을 참조하면, 직하 방식의 BLU(202a)는 광원(302), 투명 아크릴 플레이트(310), 반사 시트(320), 열전도성 반사시트(350) 및 광학필름(Optical film, 330)을 포함한다.
광원(302)은 복수의 냉음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 CCFL),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또는 외부전극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ourscent Lamp : EEFL)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LED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LED는 적색, 녹색 및 청색으로 구성되거나 백색광의 단일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BLU(202a)의 경우, BLU(202a)의 소형화 및 빛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빛의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다.
직하 방식의 BLU(202a)는 에지-라이트 방식과 달리, 복수의 광원(302)이 LCD 패널(200)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광원(302)에서 발생된 휘선이 LCD 패널(200)의 상부에서 일정한 패턴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때 투명 아크릴 플레이트(310)는 패턴이 형성되어 있어, 광원(302)에서 발생된 휘선을 제거하면서 빛을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투명 아크릴 플레이트(310)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BLU(202a)는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투명 아크릴 플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광학필름(330)은 확산 시트(332), 프리즘 시트(334), 보호 시트(336) 및 반사형 편광필름(338)을 포함한다.
확산 시트(332)는 입사하는 빛을 확산 또는 집광시켜 휘도를 균일하게 하고, 시야각을 넓혀준다.
확산 시트(332)를 통과한 빛은 휘도가 급격히 떨어지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프리즘 시트(334)가 사용된다. 프리즘 시트(334)는 확산 시트(332)에 의 해 확산 또는 집광된 빛 중 일부를 보호 시트(336) 방향으로 집광시키고, 나머지 빛을 확산 시트(332)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보호 시트(336)는 프리즘 시트(334) 위에 위치하여 프리즘 시트(334)의 흠집을 방지하고, 또한 프리즘 시트(334)에 의해 좁아진 시야각을 넓혀주는 기능을 한다.
반사형 편광필름(338)은 보호 시트(336)에 의해 확산된 빛 중 일부를 광원(302)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나머지 빛은 LCD 패널(도 1의 200)에 제공한다. 즉, 반사형 편광필름(338)은 특정 편광을 통과시키고, 나머지 다른 편광은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반사형 편광필름(338)은 보호 시트(336)에 의해 확산된 빛 중 종파(P파)를 투과시키고, 횡파(S파)는 도광판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반사형 편광필름(338)에서 반사된 횡파는 반사 시트(320)에서 재반사된다. 이 경우, 빛의 물리적 특성상, 상기 재반사된 빛은 종파 및 횡파를 포함한다.
즉, 반사형 편광필름(338)에 의해 반사된 횡파는 반사 시트(320)에 의해 재반사됨에 의해 횡파와 종파를 포함하는 빛으로 변화된다.
이어서, 상기 변화된 빛은 확산 시트(332), 프리즘 시트(334) 및 보호 시트(336)를 통과하여 반사형 편광필름(338)으로 다시 입사된다.
그 결과, 상기 변화된 빛 중 종파는 반사형 편광필름(338)을 투과하고, 횡파는 확산 시트(332) 방향으로 반사된다.
계속하여, 상기 반사된 빛은 다시 반사 시트(320)에 의해 반사되어 종파와 횡파를 포함하는 빛으로 변화된다.
또한, 보호 시트(336)와 반사형 편광필름(338)은 상술한 바와 같이 모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BLU(202a)는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빛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한편, 반사 시트(320)는 광원(302)의 하부에 위치하여 광원(302)으로부터 오는 빛을 투명 아크릴 플레이트(310)의 전면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반사 시트(320) 대신 광원(302)의 하부에 광원 반사판(미도시)을 위치시켜 광원(302)을 실장하고, 광원(302)에서 나온 빛을 확산 시트(332)로 입사시켜 광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성 점착 시트(350)는 상기 반사 시트(320)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 경우 광원에서 발생하는 열은 상기 반사 시트(320)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성 점착 시트(350)로 전달되고, 상기 점착시트는 우수한 열전도성에 기인하여 효과적으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을 참조하면, 에지-라이트 방식의 BLU(202b)는 광원부(300), 도광판(340), 반사 시트(320), 열전도성 점착 시트(350) 및 광학필름(330)을 포함한다.
광원부(300)는 하나 이상의 광원(302) 및 광원 반사판(304)을 포함한다. 광원(302)은 소정 파장을 가지는 빛을 발생시킨다. 한편, 광원(302)은 직하 방식의 BLU(202a)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CCFL, LED 또는 EEFL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광원 반사판(304)은 광원(302)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도광판(340) 측으로 반사시켜 도광판(340)으로 입사되는 빛의 양을 증가시킨다.
또한, 광학필름(330)은 확산 시트(332), 프리즘시트(334), 보호 시트(336) 및 반사형 편광필름(338)을 포함한다.
도광판(340) 내에 균일하게 확산된 빛은 확산 시트(332)를 통과한다. 확산 시트(332)는 도광판(340)을 통과한 빛을 확산 또는 집광시켜 휘도를 균일하게 하고, 시야각을 넓혀준다.
이하, 프리즘 시트(334), 보호 시트(336) 및 반사형 편광필름(338)의 구조 및 특성에 대해서는 상기 직하 방식의 BLU(202a)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광원(302)에 의해 발생된 빛은 광원 반사판(304) 및 반사 시트(320)에 의해 반사되며, 그 후 반사된 빛은 도광판(340) 전체에 걸쳐서 균일하게 확산된다.
반사 시트(320)는 광원부(300)의 하부에 위치하여 광원(302)으로부터 오는 빛을 도광판(340)의 전면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광 생성 과정에서 광원부(300)에서 발생된 열은 그 하부에 위치한 반사 시트(320)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성 점착 시트(350)로 전달되고, 상기 점착시트는 우수한 열전도성에 기인하여 효과적으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이하, LCD 소자의 발광 동작을 설명하겠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BLU(202)는 백색광인 평면광을 LCD 패널(200)에 제공 한다. 이어서, TFT 어레이(222)가 화소전극(216)을 스위칭한다. 계속하여, 화소전극(216)과 공통전극(218) 사이에 소정 전압차가 인가되고, 그 결과 액정층(220)이 레드 칼라필터, 그린 칼라필터 및 블루 칼라필터에 각기 상응하여 배열된다.
이 경우, BLU(202)로부터 제공된 평면광은 액정층(220)을 통과하면서 광량이 조절되고, 광량이 조절된 평면광이 칼라필터(212)에 제공된다. 그 결과, 칼라필터(212)는 소정 계조를 가지고 이미지를 구현한다. 상세하게는, 레드 칼라필터, 그린 칼라필터 및 블루 칼라필터가 한 개의 픽셀을 형성하며, 상기 픽셀은 상기 레드 칼라필터, 그린 칼라필터 및 블루 칼라필터를 통과한 빛의 조합에 의해 소정 이미지를 구현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직하형 또는 에지-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니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도 3 및 도 4에 각각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를 이용하는 액정 패널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액정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95 중량부(아크릴계 단량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함, 이하 동일)와 극성 단량체인 아크릴산 5 중량부를 1 리터 유리 반응기에서 열로서 부분 중합시켜 고분자 전구체(pre-polymer)의 함량이 20중량%인 고형분 100중량%인 부분 중합 아크릴계 중합 수지를 얻었다. 여기에 광개시제로서 이가큐어-651 (a,a-메톡시-a-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0.3 중량부, 가교제로서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HDDA) 0.5 중량부를 혼합한 후 충분히 교반하였다. 여기에 상변화 물질이 함유된 캡슐인 FT-51(멜라민-포름알데히드 계열, 일본 三菱製紙社) 100 중량부를 혼합하고 충분히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감압 탈포한 후, 나이프코팅을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위에 두께 0.5 mm로 코팅하였다. 이 때 산소를 차단하기 위해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코팅 층의 위에 씌웠다. 이후 메탈 할라이드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5분간 조사하여 상변화 물질이 함유된 점착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2
슬러리 혼합물에 상변화 물질이 함유된 캡슐인 Enercel 46 (아크릴, 멜라민-포름알데히드 계열, 한국 에네트사) 60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점착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1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90 중량부(아크릴계 단량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함, 이하 동일)와 n-부틸 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와 극성 단량체인 2-하이드록실 에틸 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를 용제가 물인 상태로 에멀젼 중합시켜 고형분 55중량%인 수성 아크릴계 수지를 얻었다. 가공 공정 시 100℃에서 3 분간 가열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점착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2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90 중량부(아크릴계 단량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함, 이하 동일)와 n-부틸 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와 극성 단량체인 2-하이드록실 에틸 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를 용제가 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용액 중합시켜 고형분이 20중량%인 유성 아크릴계 수지를 얻었다. 가공 공정 시 100℃에서 3 분간 가열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점착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3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90 중량부(아크릴계 단량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함, 이하 동일)와 n-부틸 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와 극성 단량체인 2-하이드록실 에틸 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를 용제가 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용액 중합시켜 고형분이 20중량%인 유성 아크릴계 수지를 얻었다. 가공 공정 시 100 ℃에서 3 분간 가열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점착 시트를 얻었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아크릴계 점착수지, 캡슐의 종류, 녹는점, 함량, 및 가공 방법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아크릴계
중합수지
캡슐 가공 방법
종류 Tm(℃) 함량(중량부)
실시예 1 고형분 100중량% 부분 중합 아크릴계 수지 FT-51 50~60 100 자외선
실시예 2 고형분 100중량% 부분 중합 아크릴계 수지 Enercel 46 40~50 60 자외선
비교예 1 고형분 55중량% 수성 아크릴계 수지 FT-51 50~60 100 가열
비교예 2 고형분 20중량% 유성 아크릴계 수지 FT-51 50~60 100 가열
비교예 3 고형분 20중량% 유성 아크릴계 수지 Enercel 46 40~50 60 가열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 시트의 물성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가공(경화) 상태 시험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 후 가공 공정이 끝난 후 점착 시트 내부까지 경화가 완전히 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 시트 내부 사이를 절단하여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O: 점착 시트 자체가 하나로 되어 있으며, 분리가 일어나지 않음.
△: 일부 미경화 상태(10% 미만)이며, 분리가 일어나지 않음.
X: 미경화 상태(10% 이상)로 되어 있거나, 분리가 일어남.
2. 표면 택 포스(tack force)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 시트가 미경화 되거나 부분 경화로 인하여 수분이나 유기 용매가 점착 시트 표면에 남아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점착 시트를 5.0 cm x 5.0 cm의 크기로 절단한 후 받침대에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고정시켜 접착한다. 이후 물성 측정기(Texture analyzer)를 이용하여 볼 프로브(ball probe)를 설치한 후 위치를 변경하면서 상온에서 각각 5 번을 측정한 후 최대, 최소값을 제외한 나머지 3개 값의 평균을 보고한다.
3. 열량 변화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 시트를 1 ~ 10mg을 채취한 후 알루미늄 팬에 넣은 후 시차주사열량계(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TA Instruments社 DSC/Q100)를 이용하여 25 ~ 100 ℃ 구간에서 분당 10 ℃의 승온 및 냉각 조건으로 가열 및 냉각 후 Tm(Melting Temperature) 구간에서의 흡열 열용량을 확인한다.
4. FT-IR을 이용한 점착시트의 측정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점착시트를 FI-IR로 측정하고, FI-IR 스펙트럼을 도 2에 나타내었다.
가공 상태 Tack Force (g) 흡열 열용량 (W/g)
실시예 1 O 170 90
실시예 2 O 110 60
비교예 1 O 90 20
비교예 2 100 25
비교예 3 60 10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캡슐 외벽을 이루는 고분자 성분이 멜라민-포름알데히드인 실시예 1의 경우는 캡슐 외벽을 이루는 고분자 성분이 아크릴 및 멜라민-포름알데히드인 실시예 2에 비하여 점착 시트 표면의 택 포스(tack force)가 조금 높으나 가공 상태는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 모두 자외선을 이용하여 가공을 하기 때문에 DSC를 이용하여 열량을 측정하여 변화를 본 결과 캡슐 내부의 상변화 물질이 캡슐 밖으로 새어 나오지 않아 가공 전의 열용량을 유지하고 있었다. 즉, 상변화 물질이 함유된 캡슐이 포함된 점착시트를 가공함에 있어서 캡슐 내부의 상전이 물질의 종류나 외벽의 고분자의 성분이 어떤 것이든지 자외선을 이용하여 가공을 하면 온도가 낮은 공정 조건이기 때문에 캡슐 외벽이 파열되지 않아 원래 그대로의 열용량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1은 실시예 1에 비하여 가공 상태는 유사하나 DSC를 이용하여 열량을 측정하여 변화를 본 결과 열용량 값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는데, 이는 점착 수지에 포함되어 있는 물을 휘발시키기 위하여 100℃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하는 과정에서 캡슐 외벽이 파열되어 내부의 상변화 물질이 새어 나왔기 때문이다.
비교예 2는 실시예 1에 비하여 점착 시트 내부 경화가 일부 일어나지 않았고,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캡슐 외벽이 파열되어 내부의 상변화 물질이 일부 새어 나와 열용량 값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택 포스(Tack force) 또한 값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3의 경우 실시예 2과 비교하여 택 포스(Tack force)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캡슐 외벽이 파열되어 내부의 상변화 물질이 일부 새어 나와 열용량 값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FT-IR 스펙트럼을 보면 이를 보다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FT-IR 스펙트럼에서 PCM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사용된 FT-51 캡슐의 FT-IR 스펙트럼인데, 캡슐 외벽의 두께가 얇아 멜라민 피크와 내부의 상변화 물질인 파라핀 피크가 나타난다.
실시예 1의 경우 1200cm-1 및 1700cm-1에 아크릴 피크가 나타나고, 캡슐 내부의 상변화 물질인 파라핀 피크 및 캡슐 외벽인 멜라민 피크는 PCM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이에 반하여 비교예 1의 경우는 아크릴 및 멜라민의 피크는 감소하고, 파라핀 피크는 PCM 만큼 잘 검출되었다.
즉, 실시예 1의 경우에는 캡슐 외벽 및 내부의 상변화 물질은 아크릴에 쌓여있어 피크가 감소하였고, 비교예 1의 경우에는 캡슐 외벽을 이루는 멜라민 성분이 깨짐으로 인하여 내부의 상변화 물질인 파라핀 성분이 새어 나와 파라핀 피크는 검출이 잘되고, 아크릴 및 멜라민 피크는 새어 나온 파라핀으로 인하여 묻히는 결과를 보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을 이용하여 상변화 물질을 함유한 점착 시트의 제조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점착 시트의 FT-IR 스펙트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니트를 사용하는 액정 표시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직하형 백라이트 유니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지-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니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의 설명>
200: 액정표시 패널 202: 백라이트 유니트
202a: 직하형 백라이트 유니트 202b: 에지-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니트
212: 칼라필터 220: 액정층
300: 광원부 302: 광원
320: 반사시트 330: 광학필름
350: 점착시트

Claims (26)

  1. 상변화 물질이 함유되는 고분자 캡슐 및 고형분 함량이 99중량% 이상인 아크릴계 중합 수지로 이루어지는 점착제 조성물로서,
    상기 아크릴계 중합 수지는 고분자 전구체(pre-polymer)의 함량이 1 내지 30중량%인 부분 중합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중합수지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알킬(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중합수지는 알킬(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와 공중합이 가능한 극성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극성 단량체는 (메타)아크릴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 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및 N-비닐 카프로락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7. 제 5 항에 있어서,
    극성 단량체의 함량은 알킬(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변화 물질은 수화물 형태의 무기물, 파라핀계 탄화수소 및 유기산으로 이 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수화물 형태의 무기물은 NaNH4SO4·2H2O, Na2SO4·10H2O, Na2SiO3·5H2O, Na3PO4·12H2O, Na(CH3COO)·3H2O, NaHPO4·12H2O, K2HPO4·3H2O, Fe(NO3)3·9H2O, FeCl3·2H2O, Fe2O3·4SO4·9H2O, Ca(NO3)2.3H2O, CaCl2·6H2O, K2HPO4·3H2O, 및 K3PO4·7H2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10. 제 8 항에 있어서,
    파라핀계 탄화수소는 n-옥타코산, n-헵타코산, n-펜타코산, n-테트라코산, n-트리코산, n-도코산, n-헤네이코산, n-에이코산, n-노나데칸, n-옥타데칸, n-헵타데칸, n-헥사데칸, n-펜타데칸, n-테트라데칸 및 n-트리데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11. 제 8 항에 있어서,
    유기산은 n-옥타노익산, 타르타르산, 옥살산, 아세트산, 유산, 및 클로로아세트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변화 물질이 함유된 고분자 캡슐의 함량은 아크릴계 중합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20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13. 상변화 물질이 함유되는 고분자 캡슐, 고형분 함량이 99중량% 이상인 아크릴계 중합 수지, 가교제 및 광개시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 조성물로서,
    상기 아크릴계 중합 수지는 고분자 전구체(pre-polymer)의 함량이 20중량% 이하이며,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아크릴계 중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가교제는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토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1,2-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1,12-도데칸디올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은 아크릴계 중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16. 제 15 항에 있어서,
    광개시제는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 트리메 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a,a-메톡시-a-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2- 벤조일-2(디메틸아미노)-1-[4-(4-몰포닐)페닐]-1-부타논, 및 2,2-디메톡시 2- 페닐 아세토페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17. 기재; 및
    상기 기재의 단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고,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점착시트.
  18. 제 17 항에 있어서,
    점착층은 두께가 0.05 내지 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시트.
  19. 제 17 항에 있어서,
    기재는 플라스틱, 종이, 부직포, 유리, 및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시트.
  20.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의 단면 또는 양면에 형성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형성된 기재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점착 시트의 제조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제 2 단계의 방사선의 조사는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의 제조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자외선 램프는 저압 수은등, 중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무전극 램프, 제논 램프 및 블랙 램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제 2 단계의 방사선 조사는 자외선 파장 320 내지 400 nm 인 것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24. 제 17 항에 따른 점착시트; 및
    광원
    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니트.
  25. 제 24 항에 있어서,
    광원은 유기발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니트.
  26. 제 24 항에 따른 백라이트 유니트; 및
    빛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액정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70127766A 2007-12-10 2007-12-10 상변화 물질을 함유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KR101071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7766A KR101071805B1 (ko) 2007-12-10 2007-12-10 상변화 물질을 함유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7766A KR101071805B1 (ko) 2007-12-10 2007-12-10 상변화 물질을 함유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827A KR20090060827A (ko) 2009-06-15
KR101071805B1 true KR101071805B1 (ko) 2011-10-11

Family

ID=40990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7766A KR101071805B1 (ko) 2007-12-10 2007-12-10 상변화 물질을 함유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18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575B1 (ko) * 2013-05-08 2014-08-26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래핀이 담지된 투명성을 나타내는 미립자와 이를 이용한 열전도성 접착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68451B1 (ko) * 2013-07-26 2014-12-0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접착제 및 그 제조방법
JP6438740B2 (ja) * 2014-11-06 2018-12-19 共同技研化学株式会社 蓄熱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KR102603623B1 (ko) * 2015-06-26 2023-11-17 동아연필 주식회사 열변색성 미세 입자 및 이를 이용한 열변색성 잉크 조성물, 필기구 및 스마트 윈도우
CN106814501A (zh) * 2015-11-30 2017-06-09 南京中云新材料有限公司 一种显示屏
TWI717895B (zh) 2018-11-12 2021-02-01 南韓商Lg化學股份有限公司 色彩轉換膜、製造其的方法、包含其的背光單元以及顯示器裝置
CN111902745B (zh) * 2018-11-12 2022-12-06 株式会社Lg化学 色彩转换膜、以及包括其的背光单元和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983B1 (ko) * 2005-02-18 2006-10-12 주식회사 에네트 상변화물질을 함유한 점착제 시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983B1 (ko) * 2005-02-18 2006-10-12 주식회사 에네트 상변화물질을 함유한 점착제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827A (ko) 200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1805B1 (ko) 상변화 물질을 함유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KR101302783B1 (ko) 백라이트 유닛의 제조 방법
JP5725680B2 (ja) 粘着剤組成物
JP5718551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感圧接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成形してなる粘着シート
JP6042897B2 (ja) 微細構造化転写テープ
KR101438397B1 (ko) 고열전도성 방열 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고열전도성 방열테이프 물품
JP6806555B2 (ja) 波長変換フィルムおよび波長変換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1056694B1 (ko) 열전도성 점착제 조성물
KR101379151B1 (ko) 백라이트 유닛
JP2013157152A (ja) 導光板、ハーフスリットシート、及び光学フィルム
JPH10199320A (ja) 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20130115461A (ko)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634817B1 (ko) 백라이트 유닛용 점착제 조성물,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 장치
KR101924567B1 (ko) 방열 차폐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39844A (ko)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부재,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23840B1 (ko) 가공성이 개선된 열전도성 점착제 조성물
KR20080057663A (ko) 열전도성 난연성 점착제
TWI722721B (zh) 黏著組成物、黏著膜以及製備黏著組成物的方法
KR101629522B1 (ko) 백라이트 유닛용 점착제 조성물,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 장치
KR101744980B1 (ko) 백라이트 유닛용 점착제 조성물,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 장치
KR101716505B1 (ko) 백라이트 유닛용 점착제 조성물,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 장치
KR101705218B1 (ko) 방열 반사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3016322A (ja) 導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置
KR20140023826A (ko) 고내열성 집광 시트, 이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