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1726B1 - 물리 링크 정보를 고려한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물리 링크 정보를 고려한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1726B1
KR101071726B1 KR1020090081035A KR20090081035A KR101071726B1 KR 101071726 B1 KR101071726 B1 KR 101071726B1 KR 1020090081035 A KR1020090081035 A KR 1020090081035A KR 20090081035 A KR20090081035 A KR 20090081035A KR 101071726 B1 KR101071726 B1 KR 101071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ysical link
information
physical
link
tim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3268A (ko
Inventor
권성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지
Priority to KR1020090081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726B1/ko
Publication of KR20110023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41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by acting on aggregated flows or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52Delays
    • H04L43/0864Round trip d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76Network utilisation, e.g. volume of load or congestion level
    • H04L43/0894Packet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호스트에 포함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리적 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리 링크와 결합하여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는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에 있어서, 결합되어 있는 물리 링크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정보를 수집하는 물리 링크 관찰부; 상기 물리 링크 관찰부에서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를 선택하는 트래픽 분배부를 포함하며, 상기 트래픽 분배부에 의해 선택된 물리 링크 및 상기 선택된 물리 링크와 결합된 물리적 인터페이스에 의해 다른 호스트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와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링크 어그리게이션, 가중치

Description

물리 링크 정보를 고려한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LINK AGGREGATION DEVICE CONSIDERING PHYSICAL LINK INFORMATION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USING THE LINK AGGREGATION DEVICE}
본 발명은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네트워크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리 링크를 관리하는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에 있어서 물리 링크들의 상태와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를 선택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링크 어그리게이션(link aggregation)이라 함은, 복수개의 물리 링크(physical link) 또는 물리적 인터페이스(physical interface)를 논리적으로 하나의 가상 링크(virtual link) 또는 가상 인터페이스(virtual interface)로 보이도록 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러한 링크 어그리게이션은 물리 링크 및 물리적 인터페이스의 전송속도를 증가시키고, 통신 장치에 사용되는 각종 하드웨어 장치나 케이블 등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다른 링크 및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안전성을 위해 고안된 기술이다. 이러한 링크 어그리게이션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으로는 모든 링크에 동일한 양의 트래픽을 분배하는 라운드 로빈(Round-Robin) 방식과 각 링크에 가중치를 두어 트래픽을 분배하는 가중치 분배 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 이 중에서, 가중치 분배 방식은 사용자가 가중치를 직접 입력하는 직접 입력 방식과 대역폭을 스스로 측정하여 측정된 대역폭을 이용하는 가중치 적용 방법 등이 있다. 가중치 적용방식의 직접 입력 방식은 물리적 인터페이스의 사용 가능 대역폭에 대한 고려 없이 사용자가 임의로 정한 가중치에 따라 트래픽을 인터페이스상에 분배시키는 방법으로서, 물리적 인터페이스의 전송 속도 변화에 따라 여유 자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대역폭을 측정하여 이용하는 방식은 링크 어그리게이션의 시작시에 각 인터페이스의 사용 가능 대역폭을 측정하여 이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이지만, 이 또한 링크 어그리게이션의 시작시에만 부여되고 그 이후에는 변화되지 아니하므로 동적으로 계속적으로 변하는 트래픽이나 네트워크의 특성을 반영할 수 없다는 점에서, 비효율적인 대역폭의 사용을 야기할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한계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네트워크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리 링크를 관리하는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에 있어서 물리 링크들의 상태와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를 선택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트래픽을 실시간으로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네트워크 전체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호스트에 포함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리적 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리 링크와 결합하여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는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에 있어서, 결합되어 있는 물리 링크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정보를 수집하는 물리 링크 관찰부; 상기 물리 링크 관찰부에서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를 선택하는 트래픽 분배부를 포함하며, 상기 트래픽 분배부에 의해 선택된 물리 링크 및 상기 선택된 물리 링크와 결합된 물리적 인터페이스에 의해 다른 호스트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물리 링크 관찰부가 수집하는 물리 링크의 정보는 결합되어 있는 물리 링크들의 대역폭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트래픽 분배부 는 상기 물리 링크 관찰부에 의해 수집되는 물리 링크들의 대역폭 정보에 기초하여 각 물리 링크들에 대하여 전송할 데이터의 전송 예상 시간 정보를 계산하고 계산된 전송 예상 시간 정보가 가장 작은 물리 링크를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로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리 링크 관찰부가 수집하는 물리 링크의 정보는 해당 물리 링크의 패킷 왕복 시간(RTT)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래픽 분배부는 상기 물리 링크 관찰부에 의해 수집되는 물리 링크들의 대역폭 정보에 기초하여 각 물리 링크들에 대하여 전송할 데이터의 전송 예상 시간 정보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전송 예상 시간 정보를 각 물리 링크들에 대한 패킷 왕복 시간 정보에 의해 보정한 후, 보정된 전송 예상 시간 정보가 가장 작은 물리 링크를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로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물리 링크 관찰부가 수집하는 물리 링크의 정보는 해당 물리 링크의 마지막 데이터 전송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래픽 분배부는 상기 대역폭 정보에 기초하여 계산된 전송 예상 시간 정보와 상기 마지막 데이터 전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를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트래픽 분배부는 상기 대역폭 정보에 기초하여 계산된 전송 예상 시간 정보와 상기 마지막 데이터 전송 시간 정보와 패킷 왕복 시간(RTT)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를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를 이용하여 호스트에서 다른 호스트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물리 링크 관찰부가 결합되어 있는 물리 링크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정보를 수집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트래픽 분배부가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를 선택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선택한 물리 링크 및 상기 선택된 물리 링크와 결합된 물리적 인터페이스에 의해 다른 호스트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물리 링크 관찰부가 수집하는 물리 링크의 정보는 결합되어 있는 물리 링크들의 대역폭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트래픽 분배부가 상기 물리 링크 관찰부에 의해 수집되는 물리 링크들의 대역폭 정보에 기초하여 각 물리 링크들에 대하여 전송할 데이터의 전송 예상 시간 정보를 계산하고 계산된 전송 예상 시간 정보가 가장 작은 물리 링크를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로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물리 링크 관찰부가 수집하는 물리 링크의 정보는 해당 물리 링크의 마지막 데이터 전송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트래픽 분배부가 상기 대역폭 정보에 기초하여 계산된 전송 예상 시간 정보와 상기 마지막 데이터 전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를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계는 트래픽 분배부가 상기 대역폭 정보에 기초하여 계산된 전송 예상 시간 정보와 상기 마지막 데이터 전송 시간 정보와 패킷 왕복 시간(RTT)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를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네트워크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리 링크를 관리하는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에 있어서 물리 링크들의 상태와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를 선택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트래픽을 실시간으로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네트워크 전체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를 포함하는 호스트간의 전체적인 연결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의 개략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링크 어그리게이션(link aggregation) 장치(100, 200)는 호스트 A, B(10, 20)에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호스트 A, B(10, 20)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수개의 물리적 인터페이스(physical interface, 30, 40) 및 물리 링크(physical link, 5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100, 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호스트 A, B(10, 20)에 각각 포함되어 물리적 인터페이스(30,40)를 통해 결합되어 있는 물리 링크(50)들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물리 링크(50)들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를 선택한 후, 선택된 물리 링크 및 선택된 물리 링크와 결합된 물리적 인터페이스에 의해 다른 호스트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100,200)의 상세한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 이하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호스트 A, B(10, 20), 물리적 인터페이스(30,40) 및 물리 링크(50)들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종래 기술에 의해 자명한 것이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하며, 기타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자명한 구성도 생략하였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에서 물리 링크(50) 및 이들을 관리하는 물리적 인터페이스(30,40)는 하나의 가상 링크(virtual link) 또는 가상 인터페이스(virtual interface)를 구성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100)는 물리 링크 관찰부(110)와 트래픽 분배부(120)를 구비한다. 물리 링크 관찰부(110)는 결합되어 있는 물리 링크들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물리 링크들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수집하고, 트래픽 분배부(120)는 물리 링크 관찰부(110)에서 수집된 물리 링크와 관련된 각종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최적의 물리 링크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트래픽 분배부(120)에 의해 데이터를 전송할 최적의 물리 링크가 선택되면 호스트(10)는 선택된 물리 링크 및 상기 선택된 물리 링크와 결합된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호스트 예컨대 도 1에서의 호스트 B(20)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물리 링크 관찰부(110)는 결합되어 있는 물리 링크의 상태 즉, 사용가능한 상태인지 또는 불가능한 상태인지의 여부를 우선적으로 확인하고, 사용가능한 경우 물리 링크의 정보 예컨대, 물리 링크들의 패킷 왕복 시간(RTT) 정보, 대역폭 정보 및 마지막 데이터 전송 시간 정보 등과 같은 정보를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주기적으로 수집한다. 여기서, 패킷 왕복 시간(Round trip time, RTT)이란 하나의 패킷이 네트워크를 통해 왕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하는데, 물리 링크 관찰부(110)는 주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다른 호스트로 각 물리 링크를 이용하여 테스트 패킷을 전송하고 수신하면서 각 물리 링크들에 대한 패킷 왕복 시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물론, 패킷 왕복 시간 정보를 위한 별도 테스트 패킷을 이용하지 않고, 실제 데이터를 전송할 때 걸리는 시간 등과 같은 정보를 이용하여 패킷 왕복 시간 정보를 측정할 수도 있다. 대역폭(bandwidth)은 물리 링크를 통해 단위 시간 당 전송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으로서 예컨대 초당 바이트(Byte/sec)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대역폭 정보는 예컨대 도 1과 같은 경우라면 호스트 A(10)에서 호스트 B(20)로의 각 물리 링크들에 대한 전송 대역폭은 호스트 B(20)에서의 호스트 A(10)로부터의 각 물리 링크들의 수신 대역폭 정보와 같으므로 호스트 B(20)에서의 각 물리 링크들의 수신 대역폭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획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호스트 B(20)에서 호스트 A(10)로의 각 물리 링크들의 전송 대역폭은 호스트 A(10)에서 측정되는 각 물리 링크들의 수신 대역폭에 의하여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마지막 데이터 전송 시간이라 함은, 해당 물리 링크가 최종적으로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 시간 정보로 정의될 수 있는데, 이는 물리 링크를 사용할 때의 시간 정보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리 링크 관찰부(110)에서 물리 링크들에 대한 정보가 주기적으로 수집되면, 트래픽 분배부(120)는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 요청시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를 선택하게 된다.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를 선택하는 것은 우선 대역폭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즉, 결합된 물리 링크 각각에 대해 대역폭 정보를 알면 전송 예상 시간 정보 즉, 소정 크기의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데 걸리는 예상 시간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전송할 데이터 패킷의 크기가 A라고 하면, 전송 예상 시간 정보는 A/대역폭으로 계산될 수 있다. 전송 예상 시간 정보가 각 물리 링크들에 대해 계산되면 계산된 전송 예상 시간 정보가 가장 작은 물리 링크를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패킷 왕복 시간(RTT) 정보에 의하여 보정하고 보정된 전송 예상 시간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전송할 데이터 패킷의 양이 일정 크기 예컨대 1000Byte 보다 큰 경우에는, 계산된 전송 예상 시간에 패킷 왕복 시간(RTT) 정보를 더하거나 패킷 왕복 시간(RTT) 정보를 가중치로서 이용하여 소정 연산을 수행한 후 이를 전송 예상 시간에 포함시켜서 전송 예상 시간을 보정하고, 보정된 전송 예상 시간 정보가 가장 작은 물리 링크를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로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트래픽 분배부(120)는 마지막 데이터 전송 시간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를 선택할 수도 있다. 즉, 마지막 데이터 전송 시간이 가장 오래된 물리 링크를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로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2개의 물리 링크의 마지막 데이터 전송 시간이 11시 50분 10초, 11시 50분 20초라고 하면, 11시 50분 10초의 물리 링크가 마지막 데이터 전송 시간이 가장 오래된 것이므로 이 물리 링크를 선택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전송 예상 시간 정보와 병행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전송 예상 시간 정보가 가장 작은 물리 링크가 2 이상 존재하는 경우, 이들 물리 링크들의 마지막 데이터 전송 시간을 비교하여 마지막 데이터 전송 시간이 더 오래된 물리 링크를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트래픽 분배부(120)는 패킷 왕복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를 선택할 수도 있다. 즉, 패킷 왕복 시간 정보가 가장 작은 물리 링크를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로 선택할 수도 있다. 이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전송 예상 시간 정보 및/또는 마지막 데이터 전송 시간 정보와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전송 예상 시간 정보가 가장 작은 물리 링크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패킷 왕복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패킷 왕복 시간 정보가 더 작은 물리 링크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전송 예상 시간 정보가 가장 작은 물리 링크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그 다음 단계로서 마지막 데이터 전송 시간 정보를 비교하고, 여기에서도 동일한 마지막 데이터 전송 시간 정보가 있는 경우 패킷 왕복 시간 정보가 더 작은 물리 링크를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로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래픽 분배부(120)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가 선택되면,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100)는 이를 호스트에 보고하고, 호스트는 선택된 물리 링크 및 이에 결합된 물리적 인터페이스에 의해 데이터를 다른 호스트로 전송하게 된다.
도 3은 전술한 바와 같은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100,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100,200)의 물리 링크 관찰부(110)는 주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모든 물리 링크들의 상태를 확인하고 각 물리 링크들의 정보를 수집한다(S100). 물리 링크의 상태란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물리 링크가 사용가능한지의 여부, 고장이 발생했는지의 여부 등이고, 수집하는 물리 링크들의 정보는 패킷 왕복 시간, 대역폭 정보, 마지막 데이터 전송 시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다음으로, 호스트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S100),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100,200)의 트래픽 분배부(120)는 그 때까지 수집된 물리 링크들의 상태 정보와 물리 링크들의 정보에 의해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를 선택하게 된다(S120).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의 선택은 전술한 바와 같이, 대역폭 정보, 패킷 왕복 시간 정보, 마지막 데이터 전송 시간 정보 등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트래픽 분배부(120)에서 물리 링크가 선택되면, 호스트는 선택된 물리 링크 및 선택된 물리 링크에 결합된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다른 호스트로 전송하게 된다(S130).
도 4는 전술한 바와 같은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100)의 트래픽 분배부(120)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를 선택하는 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i개의 물리 링크가 결합된 경우에 대한 것이다.
우선, 첫번째 물리 링크에 대한 판단을 하기 위해서, i=1로 설정하고, 첫번째 물리 링크에 대한 전송 예상 시간 정보(Td1)을 계산한다(S200). 전송 예상 시간 정보(Td1)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대역폭 정보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대역폭 정보에 의해 계산된 전송 예상 시간 정보를 패킷 왕복 시간 정보에 의해 보정한 후, 보정된 전송 예상 시간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대역폭 정보 및 패킷 왕복 시간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물리 링크 관찰부(110)에서 미리 측정되어 있다(도 3의 S100 참조).
다음으로, BEST Tt=Tt1, BEST Td=Td1, BEST RTT=RTT1으로 각각 설정한다(S210). 여기서, BEST Tt는 최소 전송 예상 시간 정보를 의미하고, BEST TD는 최대 마지막 전송 시간 정보를 의미하며, BEST RTT는 최소 패킷 왕복 시간 정보를 의미하고, Tt1은 첫번째 링크의 전송 예상 시간 정보이고, Td1은 첫번째 링크의 마지막 전송 시간 정보이고, RTT1은 첫번째 링크의 패킷 왕복 시간 정보를 각각 의미한다.
다음으로, 다음 물리 링크가 존재하는지 즉, 다음 i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 다(S220). 다음 물리 링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물리 링크는 한 개이므로 해당 물리 링크 즉, 첫번째 물리 링크를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로 선택한다(S310). 만약 다음 물리 링크가 존재하는 경우, i를 1만큼 증가시키고(S230), i번째 물리 링크의 전송 예상 시간 정보(Tti)를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계산한다(S240).
다음으로, 계산된 i번째 물리 링크의 전송 예상 시간 정보(Tti)가 BEST Tt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S250). 만약 i번째 물리 링크의 전송 예상 시간 정보(Tti)가 BEST Tt보다 작다면 이는 i번째 물리 링크가 그 이전 단계의 물리 링크들의 전송 예상 시간보다 짧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해당 i번째 물리 링크에 대한 Tti, Tdi, RTTi를 각각 BEST Tt, BEST Td, BEST RTT로 설정하고(S260), 단계(S220)로 돌아가서 다음 물리 링크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i번째 물리 링크의 전송 예상 시간 정보(Tti)가 BEST Tt보다 작지 않다면 이는 같거나 큰 경우 둘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i번째 물리 링크의 전송 예상 시간 정보(Tti)가 BEST Tt와 같은지를 판단하여(S270), 다른 경우(즉, 큰 경우)라면 단계(S220)로 돌아가서 다음 물리 링크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같은 경우라면, 다음 단계로서 i번째 물리 링크의 마지막 데이터 전송 시간 정보(Tdi)가 BEST Td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S280). i번째 물리 링크의 마지막 데이터 전송 시간 정보(Tdi)가 BEST Td보다 작다는 것은, 최종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한 시간이 더 오래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단계(S260)으로 가서 해당 i번째 물리 링크에 대한 Tti, Tdi, RTTi를 각각 BEST Tt, BEST Td, BEST RTT로 설정하고, 단계(S220)로 돌아가서 다음 물리 링크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i번째 물리 링크의 마지막 데이터 전송 시간 정보(Tdi)가 BEST Td보다 작지 않은 경우에는 Tdi가 BEST Td와 같은지를 판단하고(S290), 다른 경우(즉, Tdi가 BEST Td보다 큰 경우)에는 단계(S220)으로 가서 다음 물리 링크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같은 경우라면, 다음 단계로서 i번째 물리 링크의 패킷 왕복 시간 정보(RTTi)가 BEST RTT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S300). i번째 물리 링크의 패킷 왕복 시간 정보(RTTi)가 BEST RTT보다 작다면 단계(S260)으로 가서 해당 i번째 물리 링크에 대한 Tti, Tdi, RTTi를 각각 BEST Tt, BEST Td, BEST RTT로 설정하고, 단계(S220)로 돌아가서 다음 물리 링크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i번째 물리 링크의 패킷 왕복 시간 정보(RTTi)가 BEST RTT보다 작지 않은 경우는 크거나 같은 경우인데, 큰 경우에는 단계(S220)으로 돌아가고 같은 경우라면 비교 대상이 되는 모든 정보(전송 예상 시간 정보, 마지막 데이터 전송 시간 정보, 패킷 왕복 시간 정보)가 같은 경우이므로 기존 값을 그대로 유지하고 단계(S220)으로 돌아가서 다음 물리 링크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모든 물리 링크들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수행하게 되면, 어느 하나의 물리 링크가 선택되게 되는데, 결국 선택된 물리 링크는 1) 전송 예상 시간 정보가 가장 작은 물리 링크, 2) 마지막 데이터 전송 시간 정보가 가장 작은 물리 링크, 3) 패킷 왕복 시간 정보가 가장 작은 물리 링크와 같은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 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예컨대, 도 4의 실시예는 전송 예상 시간 정보, 마지막 데이터 전송 시간 정보, 패킷 왕복 시간 정보의 순서에 따라 우선 순위(가중치)를 부여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를 선택하였으나, 이와 같은 우선 순위는 바꿀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패킷 왕복 시간 정보, 마지막 데이터 전송 시간 정보만을 이용할 수도 있고, 이들 중에서 패킷 왕복 시간 정보를 우선 순위로서 고려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서, 각각의 물리 링크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전송 예상 시간 정보, 마지막 데이터 전송 시간 정보, 패킷 왕복 시간 정보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설명하였으나, 예컨대 모든 물리 링크에 대해서 먼저 전송 예상 시간 정보를 다 구한 후, 이들을 비교하여 가장 작은 값을 갖는 물리 링크를 선택할 수도 있다. 즉, 우선적으로 모든 물리 링크에 대하여 전송 예상 시간 정보를 다 계산하고 이들을 비교하여 최소값을 갖는 물리 링크를 찾고, 동일한 값을 갖는 물리 링크가 존재하면 그 다음 단계로서 마지막 데이터 전송 시간 정보를 비교한다. 이 경우에도 동일한 값을 갖는 물리 링크가 존재하면, 다음 단계로서 패킷 왕복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물리 링크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나타낸 것이 도 5의 흐름도이다.
또한, 도 2에서 물리 링크 관찰부(110)와 트래픽 분배부(120)는 별도의 구성으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기능적으로 구분된 것으로서 하나의 구성으로 통합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전송 예상 시간 정보 대신 도착 예정 시간 정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착 예정 시간 정보는 현재 시간(T1)을 구하고, 전송 예상 시간 정보(T2)를 구한 후, 현재 시간(T1)+전송 예상 시간 정보(T2)=도착 예정 시간 정보(T3)의 수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각 물리 링크들에 대한 도착 예정 시간 정보가 구해지면, 이를 이용하여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최적의 물리 링크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를 포함하는 호스트간의 전체적인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의 트래픽 분배부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를 선택하는 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의 트래픽 분배부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를 선택하는 과정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Claims (9)

  1. 호스트에 포함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리적 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리 링크와 결합하여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는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에 있어서,
    결합되어 있는 물리 링크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정보를 수집하는 물리 링크 관찰부;
    상기 물리 링크 관찰부에서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를 선택하는 트래픽 분배부
    를 포함하며,
    상기 물리 링크 관찰부가 수집하는 물리 링크의 정보는 결합되어 있는 물리 링크들의 대역폭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트래픽 분배부는 상기 물리 링크 관찰부에 의해 수집되는 물리 링크들의 대역폭 정보에 기초하여 각 물리 링크들에 대하여 전송할 데이터의 전송 예상 시간 정보를 계산하고 계산된 전송 예상 시간 정보가 가장 작은 물리 링크를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로 선택하고,
    상기 트래픽 분배부에 의해 선택된 물리 링크 및 상기 선택된 물리 링크와 결합된 물리적 인터페이스에 의해 다른 호스트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링크 관찰부가 수집하는 물리 링크의 정보는 해당 물리 링크의 패킷 왕복 시간(RTT)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래픽 분배부는 상기 물리 링크 관찰부에 의해 수집되는 물리 링크들의 대역폭 정보에 기초하여 각 물리 링크들에 대하여 전송할 데이터의 전송 예상 시간 정보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전송 예상 시간 정보를 각 물리 링크들에 대한 패킷 왕복 시간 정보에 의해 보정한 후, 보정된 전송 예상 시간 정보가 가장 작은 물리 링크를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링크 관찰부가 수집하는 물리 링크의 정보는 해당 물리 링크의 마지막 데이터 전송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래픽 분배부는 상기 대역폭 정보에 기초하여 계산된 전송 예상 시간 정보와 상기 마지막 데이터 전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분배부는 상기 대역폭 정보에 기초하여 계산된 전송 예상 시간 정보와 상기 마지막 데이터 전송 시간 정보와 패킷 왕복 시간(RTT)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
  6.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의한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를 이용하여 호스트에서 다른 호스트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물리 링크 관찰부가 결합되어 있는 물리 링크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정보를 수집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트래픽 분배부가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를 선택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선택한 물리 링크 및 상기 선택된 물리 링크와 결합된 물리적 인터페이스에 의해 다른 호스트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물리 링크 관찰부가 수집하는 물리 링크의 정보는 결합되어 있는 물리 링크들의 대역폭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트래픽 분배부가 상기 물리 링크 관찰부에 의해 수집되는 물리 링크들의 대역폭 정보에 기초하여 각 물리 링크들에 대하여 전송할 데이터의 전송 예상 시간 정보를 계산하고 계산된 전송 예상 시간 정보가 가장 작은 물리 링크를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물리 링크 관찰부가 수집하는 물리 링크의 정보는 해당 물리 링크의 마지막 데이터 전송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트래픽 분배부가 상기 대역폭 정보에 기초하여 계산된 전송 예상 시간 정보와 상기 마지막 데이터 전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트래픽 분배부가 상기 대역폭 정보에 기초하여 계산된 전송 예상 시간 정보와 상기 마지막 데이터 전송 시간 정보와 패킷 왕복 시간(RTT)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물리 링크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0090081035A 2009-08-31 2009-08-31 물리 링크 정보를 고려한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071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035A KR101071726B1 (ko) 2009-08-31 2009-08-31 물리 링크 정보를 고려한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035A KR101071726B1 (ko) 2009-08-31 2009-08-31 물리 링크 정보를 고려한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268A KR20110023268A (ko) 2011-03-08
KR101071726B1 true KR101071726B1 (ko) 2011-10-11

Family

ID=43931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035A KR101071726B1 (ko) 2009-08-31 2009-08-31 물리 링크 정보를 고려한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17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28706A1 (en) * 2001-06-14 2003-07-10 Mark Barry Ding Ken Extension of link aggregation protocols over the network
US20040228278A1 (en) 2003-05-13 2004-11-18 Corrigent Systems, Ltd. Bandwidth allocation for link aggregation
US20070237172A1 (en) 2006-04-07 2007-10-11 Corrigent Systems Ltd. Two-way link aggreg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28706A1 (en) * 2001-06-14 2003-07-10 Mark Barry Ding Ken Extension of link aggregation protocols over the network
US20040228278A1 (en) 2003-05-13 2004-11-18 Corrigent Systems, Ltd. Bandwidth allocation for link aggregation
US20070237172A1 (en) 2006-04-07 2007-10-11 Corrigent Systems Ltd. Two-way link aggreg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268A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8868B1 (ko) 가상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서버와 클라이언트사이에서 각 회선별로 트래픽을 분배하여 데이터를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0301079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quality of service
US6711137B1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nd tuning a communications network
CN103259696B (zh) 网络带宽检测方法、装置及网络设备
JP2018191279A (ja) テストトラフィック生成および検査の方法、ならびに関連するスイッチ入力ポートまたは出力ポートおよびスイッチ
WO2005069558A1 (ja) 速度算出システム
WO2014031104A1 (en) Congestion notification in a network
JP5738324B2 (ja) 送信装置、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送信方法
CN108513703A (zh) 网络性能检测方法及装置
CN115473855B (zh) 网络系统、数据传输方法
KR101099447B1 (ko) 물리 링크 정보를 고려한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EP2936741A1 (en) Probing a network
CN105814850B (zh) 路由数据包的方法、节点和通信系统
US8243607B2 (en) Packet delay characteristic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071726B1 (ko) 물리 링크 정보를 고려한 링크 어그리게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US8559424B2 (en)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JP3929469B2 (ja) トラヒック計測システムおよびトラヒック計測方法
CN105900383B (zh) 通信系统、控制节点和通信方法
US10462032B2 (en) Probing a network
CN107171887B (zh) 一种网络带宽测试方法、客户端及网络带宽测试系统
JP7074018B2 (ja) 分散処理システムおよび分散処理方法
JP2018042164A (ja) 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フロー収集装置、ネットワーク管理装置、ネットワーク管理方法、フロー収集方法、ネットワーク管理プログラム及びフロー収集プログラム
Tedesco et al. A message-level monitoring protocol for QoS flows in NoCs
JP2011086982A (ja) 経路決定装置、経路決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148494A (ja) パケット集約装置及び伝送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