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1348B1 - 플레이트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플레이트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1348B1
KR101071348B1 KR1020090045033A KR20090045033A KR101071348B1 KR 101071348 B1 KR101071348 B1 KR 101071348B1 KR 1020090045033 A KR1020090045033 A KR 1020090045033A KR 20090045033 A KR20090045033 A KR 20090045033A KR 101071348 B1 KR101071348 B1 KR 101071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rotrusion
upper plate
heat exchange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6010A (ko
Inventor
한상철
최신일
Original Assignee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델파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5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348B1/ko
Publication of KR20100126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12Elements constructed in the shape of a hollow panel, e.g. with channels
    • F28F3/14Elements constructed in the shape of a hollow panel, e.g. with channels by separating portions of a pair of joined sheets to form channels, e.g. by inf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3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conduits for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also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25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corrugated, plate-like elements
    • F28F3/027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corrugated, plate-like elements with openings, e.g. louvered corrugated fins; Assemblies of corrugated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 F28F3/04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 F28F3/046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the deformations being linear, e.g. corrug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레이트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의 유동성 및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레이트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트 열교환기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열교환유닛을 포함하고, 각 열교환유닛은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각 열교환유닛은 그 내부에 제1유체가 유동하는 제1유동채널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열교환유닛들 사이에는 제2유체가 유동하는 제2유동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는 융기부 및 골부분을 가지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융기부에는 하나 이상의 상부 이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융기부에는 하나 이상의 하부 이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골부분 및 하부 플레이트의 골부분은 서로 교차하는 부분이 상호 결합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의 상호 결합되는 골부분에는 소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045033
플레이트, 열교환기, 소통공, 골부분, 유동성

Description

플레이트 열교환기{PLATE TYPE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플레이트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의 유동성 및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레이트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라 함은 온도가 높은 유체로부터 전열벽을 통해 온도가 낮은 유체로 열을 전달하는 장치로서, 이러한 열교환기 중에서 차량 내의 공조시스템, 변속기 오일쿨러 등에 적용되는 열교환기는 그 설치공간의 협소화로 인해 보다 컴팩트한 사이즈로 구현될 필요가 있다. 이에 차량에 이용되는 열교환기는 보다 컴팩트한 사이즈를 구현하기 위한 플레이트 열교환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 열교환기는 다수의 열교환유닛으로 구성되고, 각 열교환유닛은 인접한 2개의 플레이트들 서로 대면하여 결합되며, 2개의 플레이트는 그 가장자리들이 브레이징 등을 통해 결합된다. 그리고, 각 열교환유닛은 그 내부에 제1유체가 통과하는 제1유동채널를 형성하고, 열교환유닛들 사이에는 제2유체가 통과하는 제2유동채널이 형성된다. 이에 서로 다른 열교환매체는 각 유동채널을 통과하면서 플레이트를 통해 열교환한다. 그리고, 각 플레이트는 그 단부 측에 유입통로 및 유출통로를 가지고, 각 플레이트의 유입통로 및 유출통로들은 서로 소통하도록 구 성된다. 최상측의 플레이트의 유입통로 및 유출통로에는 유입피팅 및 유출피팅이 브레이징 등을 통해 고정된다.
한편, 이러한 플레이트 열교환기는 제1 및 제2 유동채널의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좁을 뿐만 아니라 파형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각 유동채널을 통과하는 제1 및 제2 유체의 유동성이 저하되고, 이러한 유체의 유동성 저하로 인해 2개의 유체 사이의 열교환효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유체의 유동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열교환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플레이트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열교환유닛을 포함하고, 각 열교환유닛은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각 열교환유닛은 그 내부에 제1유체가 유동하는 제1유동채널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열교환유닛들 사이에는 제2유체가 유동하는 제2유동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면 및 하부 플레이트의 저면 각각에는 복수의 융기부 및 복수의 골부분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면 및 하부 플레이트의 저면 각각에는 복수의 상부 및 하부 이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골부분 및 하부 플레이트의 골부분은 서로 교차하는 부분이 상호 결합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의 상호 결합되는 골부분에는 소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의 상호 결합되는 골부분은 랜싱가공에 의해 전단된 후에 절곡됨으로써 소통공 및 상기 소통공에 인접한 돌출부를 각각 가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돌출부 및 하부 플레이트의 돌출부는 수직방향으로 직립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돌출부 및 하부 플레이트의 돌출부는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돌출부 및 하부 플레이트의 돌출부는 좌우 측면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융기부에 대해 소정각도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돌출부 및 하부 플레이트의 돌출부는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돌출부 및 하부 플레이트의 돌출부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유입통로 및 유출통로의 상부에서 돌출된 상부 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유입통로 및 유출통로의 하부에서 돌출된 하부 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부 유동홈 및 하부 유동홈이 서로 교차하게 형성됨으로써 제1유동채널을 구성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부 플랜지 주변과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단부 사이에는 상부 보조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보조홈은 상기 상부 유동홈과 교차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부플랜지 주변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단부 사이에 는 하부 보조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보조홈은 상기 하부 유동홈과 교차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이격돌기는 인접하는 2 이상의 융기부들 사이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열교환유닛의 유입통로 및 유출통로 주변에서 제1유체의 유동성을 증대시킴과 더불어, 적층된 복수의 열교환유닛 들 사이에 형성된 제2유동채널들 사이를 상하방향으로 서로 소통시킴으로써 제2유체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열교환기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레이트 열교환기는 복수의 열교환유닛(10)을 포함하고, 복수의 열교환유닛(10)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된다.
각 열교환유닛(10)은 그 내부에 오일, 냉매 등과 같은 제1유체가 통과하는 제1유동채널(18)을 가지고, 각 열교환유닛(10)은 상부 플레이트(11) 및 하부 플레이트(1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상부 플레이트(11) 및 하부 플레이트(12)는 알 루미늄 등과 같이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1, 12)는 그 가장자리(11a, 12a)들이 브레이징 등을 통해 상호 접착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1)와 하부 플레이트(1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면(즉, 상부 플레이트(11)의 저면과 하부 플레이트(12)의 상면)에는 개별적으로 복수의 상부 유동홈(11b) 및 하부 유동홈(12b)이 형성되고, 상부 플레이트(11)의 상부 유동홈(11b)과 하부 플레이트(12)의 하부 유동홈(12b)들은 평면상에서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며, 특히 상부 플레이트(11)의 상부 유동홈(11b)과 하부 플레이트(12)의 하부 유동홈(12b)들은 서로 교차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유동홈(11b, 12b)들에 의해 교차하는 제1유동채널(18)이 형성되고, 이러한 교차구조의 제1유동채널(18)을 통해 오일은 지그재그 식으로 유동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유동하는 제1유체의 처리용량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제1유체의 접촉면적을 넓혀 그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유동홈(11b, 12b)은 주조공정 또는 스탬핑 등과 같은 프레스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동홈(11b, 12b) 구조에 의해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1, 12)는 복수의 융기부(13a, 14a) 및 복수의 골부분(13b, 14b)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파형구조(13, 14)를 가진다. 이에, 각 유동홈(11b, 12b)의 반대편에는 융기부(13a, 14a)가 각각 형성되고, 이 복수의 융기부(13a, 14a)들 사이에는 복수의 골부분(13b, 14b)이 각각 형성된다. 상부 플레이트(11)의 상부 유동홈(11b)들과 하부 플레이트(12)의 하부 유동홈(12b)들이 서로 교차함에 따라 상부 플레이트(11)의 골부분(13b)들과 하부 플레이트(12)의 골부분(14b)들이 서로 교차하고, 이에 상부 플레이트(11) 및 하부 플레이트(12)의 골부분(13b, 14b)들의 서로 교차하는 부분은 브레이징 용접 등을 통해 서로 결합된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여 적층된 열교환유닛(10)들 사이에는 냉각수 등과 같은 제2유체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2유동채널(28)이 형성되고, 복수의 제2유동채널(28)은 복수의 열교환유닛(10)들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됨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제2유동채널(28)의 형성을 위해, 각 열교환유닛(10)의 상면 및 저면에는 즉, 상부 플레이트(11)의 상면 및 하부 플레이트(12)의 저면 각각에는 복수의 상부 및 하부 이격돌기(21, 22)들이 돌출된다. 상부 이격돌기(21)의 상단은 상부 플레이트(11)의 융기부(13a) 상단 보다 높게 위치하고, 하부 이격돌기(22)의 하단은 하부 플레이트(12)의 융기부(14a) 하단 보다 낮게 위치한다.
예컨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상부 이격돌기(21)는 상부 플레이트(11)의 융기부(13a)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복수의 하부 이격돌기(22)는 하부 플레이트(12)의 융기부(14a)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에, 상부측 열교환유닛(10)의 하부 이격돌기(22)는 그 하부측 열교환유닛(10)의 상부 이격돌기(21)와 접촉하고, 이렇게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이격돌기(21, 22)들이 서로 접촉함에 따라 열교환유닛(10)들 사이의 이격 간격이 증가되고, 이에 의해 제2유동채널(28)의 단면적이 대폭 증대된다. 그리고, 서로 접촉하는 이격돌기(21, 22)들은 브레이징 등을 통해 접착될 수도 있다. 상부 및 하부 이격돌기(21, 22)들은 상부 플레이트(11)의 상부 유동홈(11b) 및 하부 플 레이트(12)의 하부 유동홈(12b)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즉, 상부 플레이트(11)의 융기부(13a) 및 하부 플레이트(12)의 융기부(14a)가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 상호 대응되게 위치함으로써 그 적층구조를 더욱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부 및 하부 이격돌기(21, 22)들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2 이상의 융기부(13a, 14a)들 사이에 연장되고, 이에 상부 및 하부 이격돌기(21, 22)들은 하나 이상의 골부분(13b, 14b)을 가로지르게 된다.
각 이격돌기(21, 22)들은 사다리꼴 단면, 타원 또는 원형 등과 같은 곡률진 단면, 사각형 단면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면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상부 이격돌기(21)의 상면(21a) 및 하부 이격돌기(22)의 저면(22a)이 서로 기밀하게 접촉하고, 이에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1, 12)의 접착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그리고, 상부 플레이트(11) 및 하부 플레이트(12)의 상호 결합되는 골부분(13b, 14b)에는 상호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소통공(51, 52)이 각각 형성되고, 이 소통공(51, 52)을 통해 복수의 제2유동채널(28)들은 서로 소통할 수 있다.
이에 열교환유닛(10)을 매개로 서로 인접하는 제2유동채널(28)들은 각 플레이트(11, 12)에 형성된 소통공(51, 52)을 통해 소통함으로써 일측 제2유동채널(28) 내의 제2유체(예컨대, 냉각수 등)가 소통공(51, 52)을 통과하여 인접하는 열교환유닛(10)의 제2유동채널(28) 내로 자유롭게 유동함으로써, 제2유체는 전체 열교환유닛(10) 내에서 완전히 자유롭게 섞일 수 있으므로 그 열교환효율이 대폭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소통공(51, 52)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1, 12)의 상호 결합되는 골부분(13b, 14b)의 일부에서 랜싱(lancing)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각 플레이트(11, 12)의 상호 결합되는 골부분(13b, 14b)은 그 일부가 랜싱가공에 의해 전단된 후에 절곡됨으로써 하나 이상의 소통공(51, 52) 및 이 소통공(51, 52)에 인접한 돌출부(51a, 52a)가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51a, 52a)는 소통공(51, 52)을 통과하는 제2유체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그 열교환효율을 증진시키는 데 이용되는 방열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돌출부(51a, 52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플레이트(11, 12)의 골부분(13b, 14b)에서 수직방향으로 직립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상부 플레이트(11)의 돌출부(51a)와 하부 플레이트(12)의 돌출부(52a)는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하며, 이에 소통공(51, 52)들을 통과하는 제2유체는 그 흐름이 돌출부(51a, 52a)를 따라 안내됨으로써 제2유체의 흐름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소통공(51, 52)의 돌출부(51b, 52b)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측면방향으로 절곡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고, 각 돌출부(51b, 52b)는 각 플레이트(11, 12)의 골부분(13b, 14b)에 대해 소정각도로 경사진다. 이에 소통공(51, 52)의 일부는 돌출부(51b, 52b)에 의해 은폐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상부 플레이트(11)의 돌출부(51b) 및 하부 플레이트(12)의 돌출부(52b)는 대각선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이에 의해 소통공(51, 52)을 통과하는 제2유체는 그 흐름이 돌출부(51a, 52b)를 따라 안내됨으로써 제2유체의 흐름은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11)의 돌출부(51c) 및 하부 플레이트(12)의 돌출부(52c)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도 있 고, 이에 소통공(51, 52)을 통과하는 제2유체의 흐름은 곡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부 플레이트(11) 및 하부 플레이트(12)는 각 가장자리(11a, 12a)의 일측에 위치결정용 조립돌기 및 조립홈(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조립돌기 및 조립홈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11) 및 하부 플레이트(12)는 그 위치결정이 용이하여 그 가결합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1, 12)의 결합이 매우 정확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열교환유닛(10)은 그 양측에 이격된 유입통로(43) 및 유출통로(44)를 가진다. 각 열교환유닛(10)의 유입통로(43) 및 유출통로(44)는 제1유동채널(18)과 소통하고, 이러한 유입통로(43) 및 유출통로(44)는 제2유동채널(28)에 대해서는 밀폐된다. 복수의 열교환유닛(10)은 그 유입통로(43) 및 유출통로(44)들이 서로 소통되도록 적층된다.
상부 플레이트(11)는 유입통로(43) 및 유출통로(44)의 상부에서 상향으로 돌출되는 상부 플랜지(23)를 가지고, 하부 플레이트(12)는 유입통로(43) 및 유출통로(44)의 하부에서 하향으로 돌출되는 하부 플랜지(24)를 가진다. 그리고, 상부 플랜지(23) 및 하부 플랜지(24)는 상호 끼움결합된다. 상부측 열교환유닛(10)의 하부 플랜지(24)에 그 하부측 열교환유닛(10)의 상부 플랜지(23)가 끼움결합됨으로써 그 밀봉성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상부 플랜지(23) 및 하부 플랜지(24)들은 브레이징 등을 통해 밀봉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열교환유닛(10)의 유입통로(43) 및 유출통로(44)는 제2유동채널(28)에 대해 밀폐된다.
최상측 열교환유닛(10)에서 그 유입통로(43)측의 상부 플랜지(23)에 유입피 팅(25)이 결합되고, 유출통로(44)측의 상부 플랜지(23)에는 유출피팅(26)이 결합된다. 유입피팅(25)은 개구(25a)를 가지고, 이 개구(25a)에는 유입파이프가 연결된다. 유출피팅(26)은 개구(26a)를 가지고, 이 개구(26a)에는 유출파이프가 연결된다.
최하측 열교환유닛(10)은 그 하부 플레이트(12)의 하부 플랜지(24)에 폐쇄구(47)가 결합되고, 이에 폐쇄구(47)는 유입통로(43) 및 유출통로(44)의 하부를 폐쇄한다. 이 폐쇄구(47)의 중심에는 홈부(47a)가 형성되고, 이 홈부(47a)의 주변에는 평탄주변부(47c)가 형성되며, 홈부(47a)의 측벽(47b)은 경사진 구조로 형성된다.
최하측 열교환유닛(10)의 하부 플랜지(24)는 홈부(47a)의 측벽(47b)에 끼움결합되고, 특히 하부 플랜지(24)는 홈부(47a)의 측벽(47b) 보다 작은 경사각을 가짐으로써 하부 플랜지(24)는 홈부(47a)의 측벽(47b)에 보다 견고하게 끼움결합된다. 이렇게 끼움결합된 하부 플랜지(24)와 홈부(47a)의 측벽(47b)은 브레이징 등을 통해 결합된다.
최하측 열교환유닛(10)의 하부 플레이트(12) 즉, 최하측 하부 플레이트(12)는 하부 플랜지(24)의 주변부영역이 평탄주변부(47c)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한다. 이렇게 접촉된 평탄주변부(47c) 및 하부 플레이트(12)는 브레이징 등을 통해 결합된다.
한편, 열교환유닛(10)은 상부 플레이트(11)의 상부 유동홈(11b) 및 하부 플레이트(12)의 하부 유동홈(12b)이 서로 교차하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교차구조의 제1유동채널(18)을 형성한다. 이에, 유입통로(43)로부터 제1유동채널(18) 내로 유입되는 제1유체는 상부 플레이트(11)의 상부 유동홈(11b) 및 하부 플레이트(12)의 하부 유동홈(12b)을 타고 지그재그방향으로 유동한 후에 유출통로(44)를 통해 유출된다. 특히, 유입통로(43) 및 유출통로(44) 주변에서 유동하는 제1유체는 교차하는 상부 유동홈(11b) 및 하부 유동홈(12b)을 타고 개별적으로 유동함에 따라 각 열교환유닛(10)의 유입통로(43) 및 유출통로(44) 주변에서 제1유체가 정체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유입통로(43) 및 유출통로(44)의 주변에는 제1유체의 흐름방향을 2 이상으로 유도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제1유체의 흐름이 정체됨을 방지함과 더불어 제1유체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11)는 상부 플랜지(23)의 주변에 상부 보조홈(63)을 형성시키고, 하부 플레이트(12)는 하부 플랜지(24)의 주변에 하부 보조홈(64)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보조홈(63)은 엠보싱공정 등을 통해 상부 플랜지(23)의 주변과 상부 플레이트(11)의 단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부 플레이트(11)의 상부 유동홈(11b)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상부 플레이트(11)의 상부 유동홈(11b)은 파형구조(13)의 융기부(13a) 이면에 있고, 이 융기부(13a)와 상부 유동홈(11b)은 동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부 보조홈(63)이 형성된 영역은 융기부(13a)에 대해서도 일정각도로 교차함을 알 수 있다. 이에, 상부 플레이트(11)의 상부 플랜지(23) 주변에서 제1유체는 상부 유동홈(11b)을 타고 흐르는 제1흐름(화살표 K방향)을 가짐과 더불어 상부 보조홈(63)을 타고 흐르는 제2 흐름(화살표 U방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상부 플레이트(11)의 상부 플랜지(23) 주변에서 제1유체는 방사형으로 유동함을 알 수 있고, 제1유체는 상부 플레이트(11)의 전체길이에 걸쳐 보다 원활하고 균일한 유동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보조홈(64)은 엠보싱공정 등을 통해 하부 플랜지(24)의 주변과 하부 플레이트(12)의 단부 사이에 형성되고, 하부 플레이트(12)의 하부 유동홈(12b)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하부 플레이트(12)의 하부 유동홈(12b)은 파형구조(14)의 융기부(14a) 이면에 있고, 이 융기부(14a)와 하부 유동홈(12b)은 동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부 보조홈(64)이 형성된 영역 또한 융기부(14a)에 대해서도 일정각도로 교차함을 알 수 있다.
이에, 하부 플레이트(12)의 하부 플랜지(24) 주변에서 제1유체는 하부 유동홈(12b)을 타고 흐르는 제1흐름방향(화살표 J방향)을 가짐과 더불어 하부 보조홈(64)을 타고 흐르는 제2흐름방향(화살표 W방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하부 플레이트(12)의 하부 플랜지(24) 주변에서 제1유체가 방사형으로 유동함을 알 수 있고, 이에 제1유체는 하부 플레이트(12)의 전체길이에 걸쳐 보다 원활하고 균일한 유동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 플레이트(11)의 상부 플랜지(23) 주변에 상부 보조홈(63)을 형성하고, 또한 하부 플레이트(12)의 하부 플랜지(24) 주변에 하부 보조홈(64)을 형성함에 따라, 열교환유닛(10)의 유입통로(43) 및 유출통로(44) 주변에서 제1유체의 흐름이 정체됨을 방지함과 더불어 제1유체가 각 플레이트(11, 12)의 전체 길이에 대해 균일하게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제1유체의 유 동성이 향상됨으로써 그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열교환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열교환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열교환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C-C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 7은 도 6의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화살표 D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화살표 E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이격돌기에 대한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F-F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열교환유닛 11: 상부 플레이트
12: 하부 플레이트 18: 제1유동채널
21, 22: 이격돌기 28: 제2유동채널
51, 52: 소통공 63: 상부 보조홈
64: 하부 보조홈

Claims (9)

  1.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열교환유닛을 포함하고, 각 열교환유닛은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각 열교환유닛은 그 내부에 제1유체가 유동하는 복수의 제1유동채널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열교환유닛들 사이에는 제2유체가 유동하는 복수의 제2유동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면 및 하부 플레이트의 저면 각각에는 복수의 융기부 및 복수의 골부분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면 및 하부 플레이트의 저면 각각에는 복수의 상부 및 하부 이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골부분 및 하부 플레이트의 골부분은 서로 교차하는 부분이 상호 결합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의 상호 결합되는 골부분에는 제2유체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소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소통공을 통해 복수의 제2유동채널들이 서로 소통하며, 상기 소통공에 인접하여 제2유체의 흐름을 안내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 열교환유닛은 그 양측에 서로 이격된 유입통로 및 유출통로를 가지고, 상기 유입통로 및 유출통로는 제1유동채널과 소통하며, 상기 유입통로 및 유출통로는 제2유동채널에 대해서는 밀폐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유입통로 및 유출통로의 상부에서 돌출된 상부 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유입통로 및 유출통로의 하부에서 돌출된 하부 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부 유동홈 및 하부 유동홈이 서로 교차하게 형성됨으로써 제1유동채널을 구성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부 플랜지 주변과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단부 사이에는 상부 보조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보조홈은 상기 상부 유동홈과 교차하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부플랜지 주변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단부 사이에는 하부 보조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보조홈은 상기 하부 유동홈과 교차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의 상호 결합되는 골부분은 그 일부가 랜싱가공에 의해 전단된 후에 절곡됨으로써 소통공 및 상기 소통공에 인접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열교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돌출부 및 하부 플레이트의 돌출부는 수직방향으로 직 립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돌출부 및 하부 플레이트의 돌출부는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열교환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돌출부 및 하부 플레이트의 돌출부는 좌우 측면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융기부에 대해 소정각도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열교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돌출부 및 하부 플레이트의 돌출부는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열교환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돌출부 및 하부 플레이트의 돌출부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열교환기.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이격돌기는 인접하는 2 이상의 융기부들 사이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열교환기.
KR1020090045033A 2009-05-22 2009-05-22 플레이트 열교환기 KR101071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033A KR101071348B1 (ko) 2009-05-22 2009-05-22 플레이트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033A KR101071348B1 (ko) 2009-05-22 2009-05-22 플레이트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010A KR20100126010A (ko) 2010-12-01
KR101071348B1 true KR101071348B1 (ko) 2011-10-07

Family

ID=43504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033A KR101071348B1 (ko) 2009-05-22 2009-05-22 플레이트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13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78079B (zh) * 2017-09-22 2023-11-03 Omexell(济南)传热技术有限公司 一种冲渣水涡旋管板式换热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9248Y2 (ja) * 1988-07-13 1994-10-12 株式会社ゼクセル 積層型熱交換器
KR100892111B1 (ko) * 2008-07-10 2009-04-08 한국델파이주식회사 변속기 오일 쿨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9248Y2 (ja) * 1988-07-13 1994-10-12 株式会社ゼクセル 積層型熱交換器
KR100892111B1 (ko) * 2008-07-10 2009-04-08 한국델파이주식회사 변속기 오일 쿨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010A (ko)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0689B1 (ko) 플레이트 열교환기
JP5403472B2 (ja) プレート熱交換器
JP4122578B2 (ja) 熱交換器
JP5882179B2 (ja) 外部マニホルドを備えた内部熱交換器
JP4158225B2 (ja) 熱交換器および筐体冷却装置
JP2010114174A (ja) ヒートシンク用コア構造
WO2014048228A1 (zh) 换热器的翅片及换热器
JP2011517757A (ja) 変速機オイルクーラー
KR100892111B1 (ko) 변속기 오일 쿨러
KR101900232B1 (ko) 판형 열교환기
KR20080006122A (ko) 판형 열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148925B1 (ko) 플레이트 열교환기
KR101071348B1 (ko) 플레이트 열교환기
JP2001041678A (ja) 熱交換器
JP4317983B2 (ja) プレート型熱交換器
US20050039899A1 (en) Turbulator for heat exchanger
KR101071351B1 (ko) 플레이트 열교환기
CN112146484B (zh) 板式换热器
KR100967181B1 (ko) 플레이트 열교환기
KR101071349B1 (ko) 플레이트 열교환기
KR100389699B1 (ko) 수냉식 열교환기
JP4340952B2 (ja) プレート型熱交換器
KR20140141960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열교환기
CN215337881U (zh) 换热器
KR100819010B1 (ko)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