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0651B1 - 평판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탑 새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평판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탑 새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0651B1
KR101070651B1 KR1020090065929A KR20090065929A KR101070651B1 KR 101070651 B1 KR101070651 B1 KR 101070651B1 KR 1020090065929 A KR1020090065929 A KR 1020090065929A KR 20090065929 A KR20090065929 A KR 20090065929A KR 101070651 B1 KR101070651 B1 KR 101070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chassis
frame
panel display
flat panel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8540A (ko
Inventor
김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동양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동양강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동양강철
Priority to KR1020090065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0651B1/ko
Publication of KR20110008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2Heating or cooling of liquid crystal cells other than for activation, e.g.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emperature control, stabilisation or uniform distribution over the cell
    • G02F1/133385Heating or cooling of liquid crystal cells other than for activation, e.g.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emperature control, stabilisation or uniform distribution over the cell with cooling means, e.g. f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탑 새시를 압출 성형에 의해 제조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탑 새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로 이루어진 탑 새시를 제조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탑 새시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탑 새시의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 각각에 방열홈이 형성되는 상태로 상기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를 압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탑 새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탑 새시를 구성하는 소재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고도 충분한 깊이의 방열홈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원자재 소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충분한 깊이의 방열홈으로 인해 백라이트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원활하게 방열할 수 있어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PDP, LCD, 탑 새시, 압출, 방열홈, 백라이트, 두께

Description

평판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탑 새시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top sash for frame of plat panel display}
본 발명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레임에 관련된 것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탑 새시를 압출 성형에 의해 제조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탑 새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등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LCD는 대화면, 고화질, 경제성 등에서 우수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점점 더 큰 사이즈의 고화질 제품이 요구되는 추세에 부응하여 지속적인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에, LCD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LCD와 그에 부속되는 부품들을 모듈화한 LCD 모듈은, 첨부도면 도 1에 예시된 것처럼, 메인 인쇄회로기판(1)·반사판(2)·도광판(3)·확산 시트(4)를 포함한 광학 시트들 을 순차적으로 수납하여 고정하는 몰드 프레임(5)과, 상기 확산 시트(4)의 상측에 설치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LCD 패널(6)과, 몰드 프레임(5)의 하측에 설치되는 바텀 새시(7)와, 이 바텀 새시(7)와 조립되어 몰드 프레임(5)과 LCD 패널(6)을 고정하는 탑 새시(8)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가운데, 상기 몰드 프레임(5)과 바텀 새시(7) 및 탑 새시(8)는 LCD 모듈을 구성하는 부품들의 테두리를 고정하면서 보호하기 위한 프레임(즉, LCD 프레임)으로 통칭된다. 이렇게 구성된 LCD 모듈은 상기 각 구성 부품들이 순차적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바텀 새시(7)와 탑 새시(8)를 스크류와 같은 체결 수단으로 체결함으로써 완성된 모듈로 조립이 된다. 즉, 탑 새시(8)의 테두리 부위가 몰드 프레임(5)과 LCD 패널(6)의 외측을 덮도록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몰드 프레임(5)과 바텀 새시(7) 및 탑 새시(8)의 여러 개소에 구비된 체결 구멍에 스크류가 동시에 관통하여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LCD 모듈은 전술한 반사판(2)·도광판(3)·확산 시트(4) 및 형광 램프(도시 안됨) 등으로 구성된 백라이트 유닛과 같은 광원이 LCD 패널의 배면에 설치됨으로써 정보를 표시하게 되는데, 백라이트의 품질이 좋을수록 영상의 품질과 색 재현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백라이트는 LCD 패널의 휘도나 소비 전력에도 직접 관련되어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텀 새시와 몰드 프레임(미들 새시) 및 탑 새시로 구성되는 LCD 프레임에 탑재가 된다. 특히, 탑 새시는 바텀 새시와 함께 기존에는 스테인리스강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LCD TV의 대형화로 경량화의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스테인리스강 새시에 비해 가볍 고 저렴하면서도 열전도율이 뛰어난 알루미늄 합금 새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상기 탑 새시는 방열홈을 구비하고 있어서 백라이트 유닛의 작동 중에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켜 냉각되도록 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발열이 되는 백라이트의 회로가 백라이트 유닛의 상측에 위치하므로 상기 방열홈은 탑 새시의 상측 부위에 구비된다. 특히, 방열홈은 백라이트로부터의 발생열을 원활하게 방열할 수 있도록 탑 새시 두께(t)의 1/2 이상이 되는 깊이로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방열홈이 구비된 탑 새시를 제조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평면으로 이루어진 소재를 프레스 가공하는 방법만이 사용되어 왔다. 그런데, 주지하는 바와 같이, 프레스 가공을 하기 위해서는 소재의 두께가 두꺼워야 하는데, 비교적 두꺼운 소재를 사용하게 되면 적절한 깊이의 방열홈을 형성할 수는 있지만 원자재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비교적 얇은 두께를 사용하게 되면 원자재 비용을 절감할 수는 있지만 적절한 깊이의 방열홈을 형성할 수 없게 되어 결과적으로 방열 성능 저하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프레스 가공에 의한 탑 새시의 제조 공정에서는, 탑 새시와 스크류로 조립되는 부품과의 조립을 위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스크류 호울(8a)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방열 성능을 보강하기 위해 탑 새시 면에 프레스로 엠보(굴곡 : 8b)를 일정 간격을 따라 다수 형성한 다음에 스크류 호울(8a)을 뚫게 됨으로 인해 제조 원가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예컨대 백라이트로부터의 발생열을 원활하게 방열할 수 있는 충분한 깊이의 방열홈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방열 성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가급적 얇은 두께로 탑 새시를 제조할 수 있게 됨으로써 원자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탑 새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로 이루어진 탑 새시를 제조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탑 새시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탑 새시의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 각각에 방열홈이 형성되는 상태로 상기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를 압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탑 새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의 서로 연접하는 말단 부위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말단 부위를 가압하여 평탄화하고 용접하는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탑 새시에 조립될 부품과의 조립을 위한 스크류 호울을 형성하기 위해 엠보(굴곡)를 마련하지 않고 상기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에 각각 피어싱만으로 형성하는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탑 새시를 구성하는 소재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고도 충분한 깊이의 방열홈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원자재 소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충분한 깊이의 방열홈으로 인해 백라이트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원활하게 방열할 수 있어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탑 새시의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탑 새시와 종래의 탑 새시에 있어서,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의 용접부를 비교하여 나타낸 사진들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탑 새시의 스크류 호울 형성 부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비롯한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탑 새시(10)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탑 새시(10)는 편의상 가로 부재(11)와 세로 부재(12)로 구분된다.
이러한 탑 새시(10)는 종래에는 평면으로 이루어진 소재를 프레스 가공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탑 새시(10)를 구성하는 가로 부재(11)와 세로 부재(12) 각각을 압출 성형함으로써 탑 새시(10)를 형성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탑 새시(10)는 가로 부재(11)와 세로 부재(12)에 각각 도 3와 도 5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상기 가로 부재(11)와 세로 부재(12)의 길이방향으로 방열홈(10a)이 형성되는 상태로 압출 성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방열홈(10a)은, 백라이트(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발생열을 원활하게 방열할 수 있도록, 가로 부재(11) 또는 세로 부재(12) 두께(t)의 1/2 이상의 충분한 깊이(w)로 형성이 된다. 이와 같이 탑 새시(10)를 프레스 성형이 아닌 압출 성형에 의해 제조하게 되면, 탑 새시(10)의 두께를 슬림화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무게도 경량화되는 효과가 있다. 즉, 프레스 성형을 하기 위해서는 소재의 두께가 두꺼워야 하는데, 비교적 두꺼운 소재를 사용하게 되면 적절한 깊이의 방열홈을 형성할 수는 있지만 원자재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비교적 얇은 두께를 사용하게 되면 원자재 비용을 절감할 수는 있지만 적절한 깊이의 방열홈을 형성할 수 없게 되어 결과적으로 방열 성능 저하를 초래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압출 성형을 할 경우에는 방열홈(10a)이 함께 형성되는 상태로 압출이 이루어지므로, 소재의 두께가 두꺼울 필요가 없이 충분한 깊이의 방열홈(10a)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두께의 슬림화와 무게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탑 새시(10)의 가로 부재(11)와 세로 부재(12)는 서로 연접하는 말단 부위(11a,12a)가 용접에 의해 연결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 말단 부위(11a,12a)를 지그(jig)나 프레스로 가압하여 평탄화한 다음에 용접을 실시하게 된다. 즉,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의 연접하는 말단 부위를 그대로 마주 댄 상태에서 맞대기 용접을 실시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말단 부위(11a,12a)를 평탄화함에 따라 용접부의 표면적이 증대되어 방열 효과가 향상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가로 부재(11)와 세로 부재(12) 각각의 방열홈(10a)에 탑 새시(10)와 조립될 부품과 스크류로 조립하기 위한 스크류 호울(10b)을 피어싱(piercing)하여 형성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절한 사이즈의 방열홈(10a)이 형성되므로 방열 성능을 보강하기 위한 엠보를 더 형성하지 않아도 되고, 엠보를 형성하고자 할 경우에도 압출 성형시 엠보 형상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프레스 공정에 의한 엠보 형성 과정이 불필요하다. 이는 도 2를 참조로 설명하였던 종래의 탑 새시(8)가 스크류 호울(8a) 형성시 방열 성능 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탑 새시(8)의 표면에 별도의 프레스 공정에 의해 엠보(8b)를 일정 간격 형성하던 구조와 대비할 때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통상적인 LCD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탑 새시의 스크류 호울 형성 부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탑 새시의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탑 새시와 종래의 탑 새시에 있어서,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의 용접부를 비교하여 나타낸 사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탑 새시의 스크류 호울 형성 부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탑 새시 10a : 방열홈
10b : 스크류 호울 11 : 가로 부재
11a,12a : 말단 부위 12 : 세로 부재

Claims (3)

  1.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로 이루어진 탑 새시를 제조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탑 새시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탑 새시의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 각각에 상기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 두께(t)의 1/2이상의 깊이(w)를 갖는 방열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상태로 상기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를 압출 성형하는 단계;
    상기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의 서로 연접하는 말단 부위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의 말단 부위를 가압하여 평탄화하고 용접하는 단계;
    상기 탑 새시에 조립될 부품과의 조립을 위한 스크류 호울을 상기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의 방열홈 측에 각각 피어싱하여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평판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탑 새시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090065929A 2009-07-20 2009-07-20 평판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탑 새시 제조방법 KR101070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929A KR101070651B1 (ko) 2009-07-20 2009-07-20 평판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탑 새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929A KR101070651B1 (ko) 2009-07-20 2009-07-20 평판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탑 새시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540A KR20110008540A (ko) 2011-01-27
KR101070651B1 true KR101070651B1 (ko) 2011-10-07

Family

ID=43614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929A KR101070651B1 (ko) 2009-07-20 2009-07-20 평판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탑 새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06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404B1 (ko) * 2006-06-30 2006-12-27 주식회사 누리플랜 라인형 엘이디 조명등
KR100832241B1 (ko) * 2006-11-03 2008-05-28 주식회사동양강철 알루미늄 합금 압출재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패널용 보강프레임과 그 제조 방법
JP2008165101A (ja) * 2007-01-04 2008-07-17 Hitachi Displays Ltd Led照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404B1 (ko) * 2006-06-30 2006-12-27 주식회사 누리플랜 라인형 엘이디 조명등
KR100832241B1 (ko) * 2006-11-03 2008-05-28 주식회사동양강철 알루미늄 합금 압출재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패널용 보강프레임과 그 제조 방법
JP2008165101A (ja) * 2007-01-04 2008-07-17 Hitachi Displays Ltd Led照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540A (ko) 201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5696B1 (ko) 방열 장치 및 표시 장치
US20110310327A1 (en) Backlight module
KR200469840Y1 (ko) 백라이트 모듈 및 액정 디스플레이용 광원 소자
US20110176308A1 (en) Illumination device and light-emitting module thereof
US20070053165A1 (en) Thermal module and backlight system using the same
KR20110059955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CN104520759B (zh) 显示装置和电视接收装置
CN101004515A (zh) 直下式背光模组
CN107515490B (zh) 一种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JP2009224051A (ja) Ledバックライト装置
KR20130040661A (ko)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WO2012063666A1 (ja) 液晶表示装置
WO2014075357A1 (zh) 一种采用直下式背光的液晶模组及液晶显示器
CN104541101A (zh) 照明装置、显示装置以及电视接收装置
US20140376256A1 (en) Light source module
KR101070651B1 (ko) 평판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탑 새시 제조방법
KR101021640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JP5098778B2 (ja) 照明装置、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4862251B2 (ja) 放熱装置及び表示装置
CN100388078C (zh) 背光模块
KR101689649B1 (ko) 백라이트 모듈
US8727551B2 (en) Backlight system
TWI390298B (zh) 背光模組與其框架組合體
JP2007059405A (ja) 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
JP2010276628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