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9245B1 - 날개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비행체 발사 장치 - Google Patents

날개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비행체 발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9245B1
KR101069245B1 KR1020090043676A KR20090043676A KR101069245B1 KR 101069245 B1 KR101069245 B1 KR 101069245B1 KR 1020090043676 A KR1020090043676 A KR 1020090043676A KR 20090043676 A KR20090043676 A KR 20090043676A KR 101069245 B1 KR101069245 B1 KR 101069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buffer unit
fuselage
launch tub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4588A (ko
Inventor
신상훈
이우용
홍헌석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090043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245B1/ko
Priority to US12/779,346 priority patent/US8415597B2/en
Priority to FR1053824A priority patent/FR2945862B1/fr
Publication of KR20100124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4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0/00Means for influencing, e.g. improving, the aerodynamic properties of projectiles or missiles; Arrangements on projectiles or missiles for stabilising, steering, range-reducing, range-increasing or fall-retarding
    • F42B10/02Stabilising arrangements
    • F42B10/14Stabilising arrangements using fins spread or deployed after launch, e.g. after leaving the barrel
    • F42B10/18Stabilising arrangements using fins spread or deployed after launch, e.g. after leaving the barrel using a longitudinally slidable support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0/00Means for influencing, e.g. improving, the aerodynamic properties of projectiles or missiles; Arrangements on projectiles or missiles for stabilising, steering, range-reducing, range-increasing or fall-retarding
    • F42B10/02Stabilising arrangements
    • F42B10/14Stabilising arrangements using fins spread or deployed after launch, e.g. after leaving the barr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사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날개와, 상기 발사관의 내벽과 접촉하도록 상기 날개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날개가 상기 내부 공간에서 이탈 후에 상기 날개로부터 분리되는 버퍼 유닛을 포함하는 날개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비행체 발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날개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비행체 발사 장치{WING ASSEMBLY AND APPARATUS FOR LAUNCHING FLYING OBJEC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날개와 발사관의 일 부분들의 충돌을 완충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는 날개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비행체 발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도탄은 발사관에 수용된 채로 대기하다가 일 조작에 의해 발사관을 벗어나도록 발사된다. 이러한 수용 상태에서, 발사관의 내경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날개는 발사관 내에서 접혀진 상태가 된다.
발사관 내에서 날개의 일 부분은 발사관의 내벽과 충돌하여 마찰을 일으키게 된다. 이는 날개나 발사관의 손상을 유발한다.
이러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버퍼링(buffering) 가능한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종래와 다른 형태의 완충을 위한 메커니즘을 갖는 날개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비행체 발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완충을 위한 메커니즘이 날개가 발사관을 벗어난 후에는 날개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날개 조립체는 발사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날개와, 상기 발사관의 내벽과 접촉하도록 상기 날개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버퍼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버퍼 유닛은 상기 발사관과 날개 사이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완충하며, 상기 날개가 상기 내부 공간에서 이탈 후에 상기 날개로부터 분리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날개는 상기 이탈 후에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버퍼 유닛은 상기 회전에 의한 힘에 의해 분리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버퍼 유닛은, 상기 내벽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날개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져서 상기 날개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부는 테프론, 폴리아미드와 같은 비금속 윤활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결합 강도를 높이기 위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일 단은 상기 버퍼 유닛에 의해 지지 되고 타 단은 상기 날개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버퍼 유닛이 상기 날개로부터 멀어지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체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 발사 장치는 발사관과, 동체와, 날개 및 버퍼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발사관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형태의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동체는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발사관으로부터 발사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상기 날개는 상기 동체에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전개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버퍼 유닛은 상기 발사관의 내벽과 접촉하도록 상기 날개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동체가 발사된 후에 상기 날개의 전개력에 의해 상기 날개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버퍼 유닛은, 상기 내벽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날개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져서 상기 날개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일 단은 상기 버퍼 유닛에 의해 지지되고 타 단은 상기 날개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버퍼 유닛이 상기 날개로부터 멀어지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체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날개는, 상기 동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상기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에는 상기 회전에 토션과 같은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력 제공부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날개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비행체 발사 장치는 발사관과 날개 사이에 위치하도록 날개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버퍼 유닛이 날개가 발사관을 벗어난 후에 날개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날개가 발사관 내에 수용된 때에는 완충 작용을 하고 날개가 발사관을 벗어난 후에는 날개에 불필요한 하중을 가하지 않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날개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비행체 발사 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비행체 발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횡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비행체 발사 장치는 발사관(100)과, 비행체(200) 및 버퍼 유닛(300)을 포함한다.
발사관(100)은 전투기나 전투함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형태적으로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중공체의 형태를 가진다. 위 중공 부분은 비행체(200)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S)을 형성한다. 내부 공간(S)을 한정하는 발사관(100)의 내벽은 비행체(200)를 마주하게 된다.
내부 공간(S)에는 유도탄 등과 같은 비행체(200)가 대기 상태로 수용된다. 비행체(200)는 발사관(10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동체(210) 와, 상기 동체(210)의 외주에 돌출되게 결합되는 날개(220)를 포함한다. 내부 공간(S)에 비행체(200)가 수용될 때, 날개(220)는 접혀진 상태로 수용된다. 이는 내부 공간(S)의 직경을 최소화하고, 나아가 발사관(100)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이기 위함이다.
접혀진 날개(220)와 발사관(100)의 내벽은 전투기나 전투함 또는 지상차량의 이동에 의해 유동하면서 서로 충돌하게 된다. 이러한 충돌에 따른 충격을 완충하기 위하여, 날개(220)에는 버퍼 유닛(300)이 형성된다. 버퍼 유닛(300)의 자유 단은 발사관(100)의 내벽과 접촉하게 된다. 날개(220)와 버퍼 유닛(300)은 날개 조립체로 칭해질 수도 있다.
도 2a는 도 1의 날개 조립체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라인(Ⅱ-Ⅱ)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날개(220)는 동체(210, 도 1)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고정부(221)와, 고정부(22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개부(222)를 포함한다. 날개(220)가 발사관(100, 도 1)에 수용된 상태에서 접혀지는 부분이 바로 전개부(222)이다. 고정부(221)와 전개부(222)를 연결하는 힌지 부분에는 전개부(222)가 탄성적으로 전개되도록 하게 하는 탄성력 제공부(223)가 형성된다. 탄성력 제공부(223)는, 예를 들어 토션 바(torsion bar) 또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여, 전개부(222)가 접힘 상태(도 1 참조)에서 전개 상태(도 2a 참조)로 편향되도록 한다.
버퍼 유닛(300)은 날개(220)의 전개부(222)에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전개 부(222)에는 버퍼 유닛(300)이 수용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홈(225)이 형성된다.
도 3은 도 1의 버퍼 유닛(300)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버퍼 유닛(300)은 날개(220)의 결합홈(225)에 삽입되는 결합부(310)와, 발사관(100)의 내벽과 접촉하는 접촉부(3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부(310)가 접촉부(320)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접촉부(320)가 반구 형상을 가지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결합부(310)는 날개(220)에 대한 조립성 및 조립 강도의 강화를 위하여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알루미늄, 강철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접촉부(320)는 발사관(100)의 내벽과의 마찰을 저감하기 위하여 윤활 특성이 좋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내벽과의 마찰 시 잔유물이 생성되는 것을 막기 위해 윤활특성과 아울러 내마모성도 좋은 소재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소재로는, 예를 들어 테프론, 엠씨 나일론, 폴리아미드 등이 있다.
결합부(310)와 접촉부(320)가 각기 다른 소재로 형성되어 이들을 결합하는 경우에는, 접촉부(320)에 홈을 내어 결합부(310)를 그 홈에 압입할 수 있다. 또한, 위 홈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결합부(310)를 접촉부(320)에 나사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와 달리, 결합부(310)와 접촉부(320)를 동일한 소재로서 가공하며,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버퍼 유닛(300)은 탄성체(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330)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형태라면 결합부(310)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탄성체(330)의 일 단은 날개(220)에 의해 지지되고, 타 단은 접촉부(320)에 의해 지지 된다. 탄성 체(330)의 배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접촉부(320)에는 탄성체(330)의 타 단부가 수용되는 수용홈(34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날개(220)가 발사관(100)을 벗어남에 따른 날개 조립체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및 도 3)을 참조하면, 비행체(200, 도 1)가 발사관(100) 내에서 이동할 때, 버퍼 유닛(300)은 발사관(100)의 내벽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날개(220)와 발사관(100)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완충한다.
비행체(200)가 발사관(100)을 벗어나서 외부로 나온 경우에, 날개(220)의 전개부(222)는 탄성력 제공부(223, 도 2a)에 의해 전개된다. 그에 따라, 전개부(222)는 탄성력 제공부(223)를 따르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전개부(222)가 회전 후에 전개 위치에서 정지하게 되면, 버퍼 유닛(300)은 위 회전에 따른 관성력에 의해 전개부(222)의 결합홈(225)에서 이탈하게 된다. 이 경우에, 탄성체(330)는 탄성적으로 압축된 상태에서 신장 되면서 위의 이탈을 돕게 된다.
이러한 분리 메커니즘에 의해, 발사관(100) 내에서 비행체(200)의 대기 상태에서 완충 역할을 했던 버퍼 유닛(300)은 그 기능을 다하였으므로, 비행체(200)로부터 분리되어 불필요하게 비행체(200)에 남아있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날개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비행체 발사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 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비행체 발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횡 단면도.
도 2a는 도 1의 날개 조립체에 대한 정면도.
도 2b는 도 2a의 라인(Ⅱ-Ⅱ)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버퍼 유닛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날개가 발사관을 벗어남에 따른 날개 조립체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Claims (9)

  1. 동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동체의 발사 후에 전개되는 날개; 및
    상기 날개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동체가 발사관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발사관의 내벽과 접촉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날개가 상기 내부 공간에서 이탈 후에 상기 날개로부터 분리되는 버퍼 유닛을 포함하는 날개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상기 이탈 후에 상기 동체와 힌지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버퍼 유닛은 상기 회전에 의한 힘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버퍼 유닛은,
    상기 내벽과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 결합홈에 끼워져서 상기 날개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테프론, 엠씨 나일론, 폴리아미드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일 단은 상기 버퍼 유닛에 의해 지지되고 타 단은 상기 날개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버퍼 유닛이 상기 날개로부터 멀어지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날개 조립체.
  6.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형태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발사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발사관으로부터 발사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동체;
    상기 동체가 발사된 후에 전개되도록 상기 동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날개; 및
    상기 날개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동체가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발사관의 내벽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동체가 발사된 후에 상기 날개의 전개력에 의해 상기 날개로부터 분리되는 버퍼 유닛을 포함하는 비행체 발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버퍼 유닛은,
    상기 내벽과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 결합홈에 끼워져서 상기 날개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 발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일 단은 상기 버퍼 유닛에 의해 지지되고 타 단은 상기 날개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버퍼 유닛이 상기 날개로부터 멀어지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비행체 발사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상기 동체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에는 상기 회전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력 제공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 발사 장치.
KR1020090043676A 2009-05-19 2009-05-19 날개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비행체 발사 장치 KR101069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676A KR101069245B1 (ko) 2009-05-19 2009-05-19 날개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비행체 발사 장치
US12/779,346 US8415597B2 (en) 2009-05-19 2010-05-13 Wing assembly and apparatus for launching flying object using the same
FR1053824A FR2945862B1 (fr) 2009-05-19 2010-05-18 Ensemble d'aile et appareil utilisant celui-ci pour lancer un objet vol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676A KR101069245B1 (ko) 2009-05-19 2009-05-19 날개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비행체 발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588A KR20100124588A (ko) 2010-11-29
KR101069245B1 true KR101069245B1 (ko) 2011-10-04

Family

ID=43064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676A KR101069245B1 (ko) 2009-05-19 2009-05-19 날개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비행체 발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415597B2 (ko)
KR (1) KR101069245B1 (ko)
FR (1) FR29458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894B1 (ko) * 2018-09-28 2019-04-0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초소형 무인 비행체의 접이식 날개 전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사 시스템
CN111707146B (zh) * 2020-06-12 2022-11-25 湖北三江航天万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折叠定位装置及其对折叠翼进行限位的方法
CN112683114B (zh) * 2020-12-23 2022-11-11 北京航天飞腾装备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弹翼展开机构的降振自锁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4514A (en) 1976-01-20 1977-01-2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Roll rate stabilized wrap around missile fins
US20030146342A1 (en) 2000-03-21 2003-08-07 Ulf Hellman Fin-stabilised artillery shell
US20040011920A1 (en) 2000-07-03 2004-01-22 Stig Johnsson Fin-stabilized guidable missi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9304B2 (en) * 1999-02-05 2002-08-27 Davis-Lynch, Inc. Stand-off device
DE19906969B4 (de) * 1999-02-19 2004-10-14 Rheinmetall W & M Gmbh Aus einem Waffenrohr verschießbares leitwerkstabilisiertes Gescho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4514A (en) 1976-01-20 1977-01-2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Roll rate stabilized wrap around missile fins
US20030146342A1 (en) 2000-03-21 2003-08-07 Ulf Hellman Fin-stabilised artillery shell
US20040011920A1 (en) 2000-07-03 2004-01-22 Stig Johnsson Fin-stabilized guidable miss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94879A1 (en) 2010-11-25
KR20100124588A (ko) 2010-11-29
FR2945862B1 (fr) 2015-08-07
FR2945862A1 (fr) 2010-11-26
US8415597B2 (en) 2013-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5846B2 (en) Fin retention and deployment mechanism
US7829829B2 (en) Grid fin control system for a fluid-borne object
US6224013B1 (en) Tail fin deployment device
KR101234218B1 (ko) 비행체의 날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비행체
EP2604510A2 (en) Mechanisms for deploying and actuating airfoil-shaped bodies on unmanned aerial vehicles
KR101069245B1 (ko) 날개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비행체 발사 장치
KR101069246B1 (ko) 날개 전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비행체 발사 장치
CN110104161B (zh) 折叠尾翼展开机构及其展开方法
US10308347B2 (en) Wing tip aileron actuation system
US10946986B1 (en) Mechanism for increasing jettison clearance
US11255648B2 (en) Projectile with a range extending wing assembly
US755950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straining and deploying an airfoil
US7919740B2 (en) Wing-unfolding apparatus, folding wing assembly, and vehicle with folding wing assemblies
US704021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straining and releasing a control surface
KR20160116281A (ko) 접힘형날개 펼침장치
KR101338177B1 (ko) 휴대용 유도탄 조종날개 조정 장치
KR101794762B1 (ko) 유도탄 날개 지지 구조
KR100971770B1 (ko) 수중운동체의 케이블 전개장치
JP5984207B2 (ja) 飛翔体
JP2009008311A (ja) 飛翔体発射装置
JP4712511B2 (ja) 接続及び分離装置
CN110393923B (zh) 水面飞行器模型着水缓冲减震装置及水面飞行器模型
CN220743387U (zh) 一种尾翼机构及无人机
RU2563302C1 (ru) Хвостовой блок управляемого реактивного снаряда, запускаемого из трубчатой направляющей
US20230184526A1 (en) Device for detecting the absence of a mechanical barrier for a missile and missile comprising such a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