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9202B1 -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 Google Patents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9202B1
KR101069202B1 KR1020090133457A KR20090133457A KR101069202B1 KR 101069202 B1 KR101069202 B1 KR 101069202B1 KR 1020090133457 A KR1020090133457 A KR 1020090133457A KR 20090133457 A KR20090133457 A KR 20090133457A KR 101069202 B1 KR101069202 B1 KR 101069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ng plant
bid
project
module
information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3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6697A (ko
Inventor
황규환
Original Assignee
(주) 한길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길아이티 filed Critical (주) 한길아이티
Priority to KR1020090133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202B1/ko
Publication of KR20110076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6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3Resource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프로젝트 조직을 구성하도록 지원할 수 있는 프로젝트 조직관리 모듈, LNG 플랜트 사업의 견적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견적관리 모듈, LNG 플랜트 사업의 입찰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 처리를 지원하는 입찰관리 모듈, 입찰자의 LNG 플랜트 사업 계약과 관련된 정보 처리를 지원하는 계약관리 모듈, 계약 이후 사업 준비에 필요한 다양한 업무 정보 처리를 지원하는 사업 준비 업무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LNG 플랜트 사업과 관련된 기획 및 계약 관리를 시스템으로 구축하여, LNG 플랜트 사업 기획과 준비를 체계적이며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축적되는 정보들을 운용하여 보다 개선된 LNG 플랜트 사업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LNG 플랜트, 단말기, 계약, 기획

Description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Optim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LNG Plant And Apparatus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은 LNG 플랜트 지원에 관한 것으로, 특히 LNG 플랜트의 기획과 계약 시점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수집과 처리를 시스테마틱(Systematic)하게 구현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업무 지원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플랜트 산업은 엔지니어링(Engineering)과, 기계설비의 조달(Procurement), 시공(Construction)이 융합된 복합 산업(EPC)으로 산업효과가 높은 고부가가치 산업이며, 90년대 후반부터 건축 및 토목분야에서 업체 간의 가격경쟁이 심화되면서 해외공사 수주가 플랜트 중심으로 이동하여 우리나라의 수출동력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플랜트 건설의 프로젝트 수주에서부터 설계 시공은 물론 사전조사, 파이낸싱, 유지보수까지 전 분야에 대한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도 플랜트 시장의 수출 증대가 매우 중요한 과제로 여겨지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석유가스와 석유화학부문에 너무 치우쳐 있고 업체들 간의 수주 불균형으로 인한 인력부족, 그리고 여러 기술적ㅇ비용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 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시장 환경 분석을 통한 경영전략의 수립이 요구되며, 국내 건설업체들이 향후 지속적인 수익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최근의 시장동향을 고려할 때 시장발전이 제한적인 국내시장 대신 해외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전략의 확보가 요구된다.
조사 결과 해외 플랜트 시장의 발전 가능성에 비해 국내 업체들이 플랜트 시장에 진출하기에 시공분야에서는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충분한 경험을 갖고 있으나 고부가가치 분야인 엔지니어링, 사업관리 분야 등에 대해서는 매우 취약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로 인해 해외 업체들과의 수주 경쟁에서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술한 플랜트 건설 사업에 대하여 다시 정의하면, 플랜트 건설 사업은 시스템 또는 설비를 대상으로 기획과 타당성 조사, 기본 및 실시설계, 구매·조달, 시공 및 시운전, 운영 및 유지보수 등 전 단계에 걸친 업무를 일괄하여 수행하는 건설 분야이다. 이러한 플랜트 건설사업의 주요 특징은 복잡한 기술 집약형 물적 시스템, 기술 기준서의 산업, 산업설비기술의 역동성, 경험과 노하우가 중요, 고도의 프로젝트 관리기술 요구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랜트 건설 사업은 다양한 학문과 기술이 결합되어 복잡한 장치를 구성하며, 체계적인 기술기준과 절차서, 경험과 노하우의 축적, 관리기법 등에 의하여 성공 여부가 크게 좌우된다. 특히 현재 해외 LNG 플랜트 건설 시장의 규모가 꾸준히 확대될 것으로 분석되고 있는 상황에서 플랜트의 건설 사업을 수주하여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시공 위주의 수주가 아닌 보다 체계적이며 효율적인 LNG 플랜트 지원이 필 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효율적이며 체계적인 LNG 플랜트 사업 지원이 가능한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단말기는 입력부, 저장부 및 제어부의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는 LNG 플랜트 관련 정보의 입력 및 저장된 LNG 플랜트 관련 정보의 출력을 요청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저장부는 LNG 플랜트 지원 사업자가 프로젝트 조직을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젝트 조직관리 모듈, LNG 플랜트 사업에 필요한 견적을 추정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견적관리 모듈, LNG 플랜트 사업의 입찰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 처리를 지원하는 입찰관리 모듈, 입찰자의 LNG 플랜트 사업 계약과 관련된 정보 처리를 지원하는 계약관리 모듈, 계약 이후 사업 준비에 필요한 다양한 업무 정보 처리를 지원하는 사업 준비 업무관리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각 모듈들의 운용에 따라 항목별로 입력되는 LNG 플랜트 관련 정보를 정렬하고 입력부의 입력 신호에 따라 해당 정보들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항목별 LNG 플랜트 관련 정보를 서로 연계 및 통합하고 특정 항목에 따른 모델링하여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LNG 플랜트 사업과 관련된 ITB(Invitation To Bidder)를 등 록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ITB 등록에 따른 새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인력 정보 기반으로 구성된 프로젝트 조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해당 프로젝트의 견적과 입찰 설계 지침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지침에 따라 작성된 입찰 설계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입찰 설계를 기반으로 작성된 입찰 실행 예산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입찰 설계 및 상기 입찰 실행 예산을 기반으로 작성된 입찰 서류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방법을 지원한다. 상기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방법은 입찰 완료 이후 낙찰 시 보증과 면책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및 사업 준비 업무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기 등록된 LNG 플랜트 관련 정보들 및 상기 새 프로젝트의 규모와 공사 기간을 기반으로 상기 새 프로젝트에 필요한 프로젝트 조직, 견적, 입찰 중 적어도 하나의 모델링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법 및 단말기는 LNG 플랜트 사업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수집, 분류, 정렬 및 통합과 분석을 지원하여 정확하고 이상적인 사업 모델링을 지원하도록 함으로써, LNG 플랜트 사업에서의 견고한 사업 기획 지원과 운용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는 LNG 플랜트의 생애주기 분석을 통해 통합정보 및 지식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이와 병행하여 생애주기 프로세스의 개선사항을 발굴하여 공기단축을 위한 개선 프로세스 모델을 제시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술한 모델들을 기반으로 LNG 플랜트의 기획 및 타당성 평가기술을 확보하고 LNG 플랜트 사업관리 플랫폼을 탑재한 단말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는 LNG 플랜트의 생애주기 분석결과와 연계하여 사업관리 프로세스를 규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업관리체계의 구축 및 플랜트 생애주기 단계별로 의사결정모델을 개발하고 위험도 평가를 통해 최적의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사업관리시스템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를 위한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를 위한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표시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입력부(120) 및 통신부(110)를 통하여 입력된 다양한 LNG 플랜트 관련 정보를 기 설정된 모듈들로 분류, 정렬, 통합 및 연계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함으로써 LNG 플랜트 관련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도록 하고, 이를 기반으로 보다 효율적이며 체계적인 LNG 플랜트 사업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단말기(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단말기(100)가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저장부(140)에 저장된 데이터를 지정된 타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도록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상기 단말기(100)가 지원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단말기(100)가 IP 기반의 유선 네트웍을 지원하는 경우 IP 네트웍에 유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모뎀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단말기(100)가 IP 기반의 무선 네트웍을 지원하는 경우, IP 네트웍에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모뎀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단말기(100)가 이동성을 지원하는 경우 이동통신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통신부(110)는 특정 통신 모듈로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LNG 플랜트 관련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는 특정 통신 채널을 통신 네트웍과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모듈로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입력부(120)는 상기 단말기(100)의 부팅 과정에 필요한 입력 신호, LNG 플랜트 정보 입출력을 위한 입력 신호, LNG 플랜트 정보 송수신을 위한 입력 신호 등을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입력부(12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음성 인식기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접속 인터페이스 형태로 구성될 수 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력부(120)는 USB 접속 인터페이스, UART 접속 인터페이스 형태로 구성될 수 도 있다. 그러면 해당 단말기(100) 사용자는 상술한 접속 인터페이스를 특정 케이블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른 단말기에 저장된 LNG 플랜트 관련 정보를 상기 단말기(1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입력부(120)는 단말기(100) 운용자가 다양한 방식이나 특정 통신 방식 등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단말기(100)에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표시부(130)는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즉, 표시부(130)는 단말기(100)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대기화면, 메뉴 화면, 특정 응용 프로그램 재생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30)는 LNG 플랜트 관련 정보의 입출력과 관련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130)는 LNG 플랜트 관련 정보를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30)는 LNG 플랜트 관련 정보를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관련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LNG 플랜트 관련 정보를 송신하는 상태를 나타낸 화면, LNG 플랜트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상태를 나타낸 화면 등을 출력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13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LCD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130)는 입력수단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표시부(130)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터치센서를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표시부(130)의 터치스크린 지원에 따라 터치스크린 기반으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메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다양한 메모리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 형태에 따라 RAM, ROM, Cache, 버퍼 메모리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저장부(14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기(100)의 부팅 및 상술한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다양한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예를 들면, 상기 단말기(100)의 기능 지원 여부에 따른 통신기능 지원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MP3 응용 프로그램, 사진 등을 재생하기 위한 이미지 출력 응용 프로그램, 동영상 재생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프로그램 영역은 LNG 플랜트 관련 정보 통합 처리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NG 플랜트 관련 정보 통합 처리 프로그램은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어부(150)에 로드 되어 LNG 플랜트 관련 정보 입출력 및 분류와 정렬 그리고 분석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LNG 플랜트 관련 정보 통합 처리 프로그램에 관하여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단말기(100)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다양한 컨텐츠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데이터 영역은 상기 통신부(110) 및 입력부(1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상기 LNG 플랜트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단말기(100)의 각 구성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며, 초기화 과정이 완료되면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에 대하여 본 발명의 LNG 플랜트 지원을 위한 정보 처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들을 로딩하고, 로딩된 각 모듈들을 기반으로 입력되는 다양한 데이터들을 분류 및 정렬,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부(140)에 분류, 정렬 및 저장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부(130) 및 통신부(110)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LNG 플랜트 지원에 필요한 다양한 업무 지원 예를 들면, 의사 결정 모델링 지원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50)는 다양한 데이터 표준 예를 들면, Excel, AutoCAD, PDS, PDMS, SmartPlant, CAESAR, STAAD 등의 데이터 표준과 연계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 구성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추가로 상기 단말기(100)는 다양한 추가 구성 예를 들면 오디오 출력과 수집 등을 위한 오디오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와,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를 포함한다.
이하 상술한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LNG 플랜트 관련 정보 통합 처리 프로그램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LNG 플랜트 관련 정보 통합 처리 프로그램은 프로젝트 조직관리 모듈(10), 견적관리 모듈(20), 입찰관리 모듈(30), 계약관리 모듈(40), 사업 준비 업무관리 모듈(50) 및 데이터 통합 처리 모듈(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NG 플랜트 관련 정보 통합 처리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단말기(100)는 프로젝트 조직관리 모듈(10)을 이용 하여 LNG 플랜트 지원 사업자가 간단하게 프로젝트 조직을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견적관리 모듈(20)을 지원하여 LNG 플랜트 사업에 필요한 견적을 추정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입찰관리 모듈(30)을 이용하여 LNG 플랜트 사업의 입찰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 처리를 지원하며, 계약관리 모듈(40)을 이용하여 입찰자의 LNG 플랜트 사업 계약과 관련된 정보 처리를 지원하고, 사업 준비 업무관리 모듈(50)을 제공하여 계약 이후 사업 준비에 필요한 다양한 업무 정보 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각 모듈들은 프로그램 루틴의 형태로 작성되어 메모리에 저장되었다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어부(150)에 로드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LNG 플랜트 관련 정보 통합 처리 프로그램은 각 모듈이 지원하는 다양한 LNG 플랜트 관련 정보 처리와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100) 사용자가 상기 LNG 플랜트 통합 처리 프로그램 운용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면 상기 단말기(10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해당 LNG 플랜트 통합 처리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고, 그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부(13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기(100)는 상술한 각 모듈들 즉, 프로젝트 조직관리 모듈(10), 견적관리 모듈(20), 입찰관리 모듈(30), 계약관리 모듈(40), 사업 준비 업무관리 모듈(50)들에 대응하는 메뉴들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부(13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메뉴에 포함된 각 모듈 항목들을 선택하고, 각 모듈 항목이 지원하는 해당 LNG 플랜트 관련 정보 처리를 위한 기능들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100)는 상술한 각 모듈들이 지원하는 다양한 기능 지원을 위하여 다양한 알고리즘이나 연산 법칙, 특정 조건에 따른 해 선택 방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학습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특정 모델링을 제공할 수 있으며, 누적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보다 개선되고 유용한 LNG 플랜트 관련 정보 처리를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상기 각 구성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조직관리 모듈(1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프로젝트 조직관리 모듈(10)은 프로젝트 등록 모듈(11), 프로젝트 팀 구성 지원 모듈(13), 입찰 전략 회의 내용 등록 모듈(15), ITB 검토 모듈(17)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LNG 플랜트 관련 정보 처리를 위한 단말기(100)는 해당 플랜트 사업자가 선정하고 등록한 프로젝트 매니저의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프로젝트 매니저의 인증 과정을 수행한 이후 LNG 플랜트 관련 정보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보안과 관련된 사항으로서, 상기 프로젝트 매니저는 다양한 프로젝트 조직 구성에 있어서 자신을 중심으로 조직원들의 보안 등급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단말기(100)는 열람할 수 있는 정보 열람 등급을 프로젝트 매니저 또는 시스템 매니저의 설정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프로젝트 조직관리 모듈(10)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프로젝트 등록 모듈(11)은 다양한 LNG 플랜트 사업 중 어느 하나의 LNG 플랜트 사업을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구성으로서, 사업 등록을 위한 구성들을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루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로 젝트 등록 모듈(11)은 프로젝트 이름, 프로젝트 매니저의 인증 정보, LNG 플랜트 사업 발주처, ITB 등록을 위한 각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트 팀 구성 지원 모듈(13)은 프로젝트 매니저가 프로젝트 수주를 위한 팀을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듈로써, 사내 인력을 검색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사내 인력 DB를 접근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는 루틴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젝트 팀 구성 지원 모듈(13)은 프로젝트 매니저가 입력하는 다양한 조건 식 예를 들면 나이와 부서 및 경력 등을 조건식으로 입력하는 경우, 해당 조건식을 만족하는 인원들을 인력 DB에서 자동으로 필터링하고, 필터링 된 자료를 표시부(130)에 출력하도록 지원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로젝트 팀 구성 지원 모듈(13)은 부서, 직위, 현재 담당하고 있는 업무, 전공분야, 입사 후 현장이력조회, 타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면 그 프로젝트의 종료일 등과 관련된 조건식의 입력 또는 해당 정보들을 가지는 인력 정보의 출력을 지원하는 루틴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젝트 팀 구성 지원 모듈(13)은 선택된 후보군들에 대하여 각 부서나 직위 또는 나이나 현장 경험 등을 기반으로 개략적인 조직도를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자동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자동 구성된 조직도를 출력할 수 있는 루틴을 포함한다.
상기 입찰 전략 회의 내용 등록 모듈(15)은 입찰 전략 회의 발생 시, 입찰전략 회의 내용이나 히스토리를 기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듈이다. 즉 상기 입찰 전략 회의 내용 등록 모듈(15)은 회의일시, 안건, 내용, 장소, 참여부서 및 인원, 첨부자료 등을 등록할 수 있는 각각의 루틴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입찰 전략 회 의 내용 등록 모듈(15)은 특정 프로젝트에 소속된 팀원에 대하여 회의 내용을 등록할 수 있도록 등급에 따른 한정된 정보 입력 및 등록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상기 입찰 전략 회의 내용 등록 모듈(15)은 회의결과를 프로젝트 소속원 또는 기타 특정 권한을 획득한 사용자가 인가된 인원에게 메일 발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루틴, 등록을 위한 내용들을 결재할 수 있도록 하는 결재 기능을 지원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TB 검토 모듈(17)은 프로젝트 매니저 및 부서별 담당자가 ITB 항목별 전략을 수립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듈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ITB 검토 모듈(17)을 이용하여 담당부서, 담당자, 주요 검토 사항, 핵심 요구사항 분석, 필수/권장요소 구분, 최종마감일, 검토일자, 첨부파일 등을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ITB 검토 모듈(17)은 첨부 파일을 승인권자만 등록하거나 다운로드 및 열람할 수 있도록 보안 설정 루틴을 포함하며, ITB 항목별 등록 내용을 메일로 발송하는 메일발송 기능 및 결재 기능을 지원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견적관리 모듈(2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견적관리 모듈(20)은 견적 일정 관리 모듈(21), 실적 데이터 검색 모듈(23), 입찰 설계안 검토 모듈(25), 입찰 설계안 견적 모듈(27), 입찰 견적가 산정 모듈(2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견적 일정 관리 모듈(21)은 프로젝트 매니저 및 부서별 담당자가 견적일정을 등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듈이다. 이러한 견적 일정 관리 모듈(21)은 견적업무 항목 입력 루틴, 담당부서 지정 기능 루틴, 담당자 지정 기능 루틴, 주요내용 입력 루틴, 시작일 및 종료일 입력 루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견적 일정 관리 모듈(21)은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바 차트(Bar Chart) 등의 형태로 스케줄을 출력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적 데이터 검색 모듈(23)은 프로젝트에 포함된 모든 팀원이 입찰 설계안을 작성하기 위해, 각 자재에 대한 이름, 회사명, 주소, 연락처, 대표자 등을 검색할 수 있는 루틴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실적 데이터 검색 모듈(23)은 모든 프로젝트 소속원들이 빠짐없이 데이터를 입력한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데이터 입력 확인 기능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적 데이터 검색 모듈(23)은 프로젝트 소속원들이 입력한 각 자재에 대한 2D, 3D 모델링 상세 내용을 표시하도록 지원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실적 데이터 검색 모듈(23)은 프로젝트 소속원이 각 자재 등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할 때 해당 자재에 대한 2D, 3D 모델링 정보를 동시 또는 함께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루틴을 포함하며, 별도의 입력이 없는 경우 자체 검색 엔진을 활용하여 해당 자재에 대한 정보의 수집 및 등록을 지원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적 데이터 검색 모듈(23)은 자동 수집된 모델링을 해당 프로젝트 소속원이 확인하여 등록에 대한 결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입찰 설계안 검토 모듈(25)은 프로젝트 매니저 및 부서별 담당자가 입찰 설계안을 업로드 및 다운로드할 수 있는 루틴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이러한 입찰 설계안 검토 모듈(25)은 입찰 설계안 업로드 시 작성일, 검토일, 검토자, 검토 내용 등을 등록할 수 있는 루틴을 포함하며, 검토 내용에 대한 피드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재 기능을 지원하는 루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찰 설계안 견적 모듈(27)은 입찰 설계안에 기재된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견적을 산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듈이다. 즉 상기 입찰 설계안 견적 모듈(27)은 프로젝트 매니저 및 부서별 담당자가 견적 항목, 담당부서, 생산업체, 국명, 실적금액, 납기예정일 등을 등록 루틴에 따라 등록하면, 등록된 각 항목들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일정한 견적을 산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때 상기 입찰 설계안 견적 모듈(27)은 견적 항목 및 관련내용을 등록 시 실적 데이터를 검색 및 비교하여 다양한 견적을 출력함으로써 해당 정보 입력을 수행한 프로젝트 소속원이 보다 적절한 견적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입찰 설계안 견적 모듈(27)은 견적 산출 방법으로 상세 단가 견적법, 기기 비율법, 0.6승법, 자본회전율법 등을 지원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세 단가 견적법은 상세설계의 결과로 얻어진 기기, 장치, Bulk 자재물량 등에 실제 신뢰할 수 있는 단가 및 가격을 적용하여 산출하는 방법이며, 상기 기기 비율법은 프로세스용 주요기기의 가격을 기초로 하여 기타 필요한 기자재, 설치공사, 기타 간접비용 등 일체를 일정 계수(Factor)로 정리하여 둔 Factor를 곱하여 개략 건설 총비용을 산출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상기 0.6승법은 Plant의 Cost가 그 용량비의 0.6승에 따라 변화한다는 것을 기반으로 동종의 기기나 장치 류의 용량과 Cost를 대수 Graph상에 Plot하면 직선이 되며, 그 Slope는 거의 0.6이 되는 특성을 가지는 Curve를 기반으로 어느 용량의 기기 Cost를 알면 다른 임의의 동종기기의 Cost를 추산할 수 있도록 계산되는 방법이다. 상기 자본회전율법은 제품단가에 연간 생산량을 곱해 자본회전율로 나눔으로써 건설비를 추산하는 방법이다. 상기 입찰 설계안 견적 모듈(27)은 상술한 각 방법들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개별적으로 또는 통합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입찰 견적가 산정 모듈(29)은 등록된 견적 내용의 합계를 바탕으로 자동으로 입찰 견적가를 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루틴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이러한 입찰 견적가 산정 모듈(29)은 프로젝트 매니저 및 부서별 담당자가 해당 산정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보안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찰 견적가 산정 모듈(29)은 건설비용(Construction Costs), Alt별 견적대안, Alt별 견적대안 총합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결재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찰관리 모듈(3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입찰관리 모듈(30)은 입찰 일정 관리 모듈(31), 기술적 입찰서 관리 모듈(33), 상업적 입찰서 관리 모듈(35), 입찰서 패키지 검토 모듈(3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찰 일정 관리 모듈(31)은 프로젝트 매니저 및 부서별 담당자가 입찰일정을 등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듈로서 입찰업무 항목 입력 루틴, 담당부서 지정 루틴, 담당자 지정 루틴, 주요내용 입력 루틴, 시작일 및 종료일 입력 루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찰 일정 관리 모듈(31) 또한 해당 프로그램 사용자가 일정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스케줄을 바 차트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입찰서 관리 모듈(33)은 프로젝트 매니저 및 부서별 담당자가 기술적(Technical) 입찰서 항목별로 전략을 수립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듈이다. 상기 기술적 입찰서 관리 모듈(33)은 담당부서, 담당자, 핵심 전략 및 분석, 종료일, 첨부파일 등을 등록할 수 있는 루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업적 입찰서 관리 모듈(35)은 프로젝트 매니저 및 부서별 담당자가 상업적(Commercial) 입찰서 항목별 전략을 수립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듈이다. 이러한 상기 상업적 입찰서 관리 모듈(35)은 담당부서, 담당자, 핵심 전략, 분석, 종료일, 첨부파일 등을 등록할 수 있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찰서 패키지 검토 모듈(37)은 프로젝트 매니저 및 부서별 담당자가 입찰서 패키지(Proposal Package)의 각종 문서를 점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듈이다. 상기 입찰서 패키지 검토 모듈(37)은 각 문서들에 대한 담당부서, 핵심전략, 종료일, 첨부파일 등을 등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루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약관리 모듈(4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계약관리 모듈(40)은 사전 계약 작성 확인 모듈(Clarification)(41) 및 협의 사항 작성 모듈(Negotiation)(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전 계약 작성 확인 모듈(41)은 특정 프로젝트에 소속된 모든 팀원이 명확한 사전 계약을 임의적으로 작성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때 상기 사전 계약 작성 확인 모듈(41)은 항목, 내용, 담당부서, 시작일, 종료일 등을 등록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기 협의 사항 작성 모듈(44)은 발주처와의 Negotiation 회의 내용을 기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듈이다. 즉 상기 협의 사항 작성 모듈(43)은 회의일시, 안건, 내용, 장소, 참여부서 및 인원, 첨부자료 등을 등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젝트에 소속된 팀원은 상기 협의 사항 작성 모듈(43)을 이용하여 각각 자신이 기재하고 주재한 회의 내용을 등록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협의 사항 작성 모듈(43)은 회의결과에 대한 메일발송 및 결재 기능을 지원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업 준비 업무관리 모듈(5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업 준비 업무관리 모듈(50)은 사업관리방안 수립 모듈(51), 설계업무 수행계획 모듈(53), 구매업무 수행계획 모듈(55), 시공업무 수행계획 모듈(57), 시운전업무 수행계획 모듈(59)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업관리방안 수립 모듈(51)은 프로젝트 매니저 및 부서별 담당자가 사업관리 기본지침을 업로드 하여 각 항목별 세부방안을 등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듈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사업관리방안 수립 모듈(51)은 사업 관리 기본지침을 검색할 수 있는 루틴, 해당 사업 관리 기본지침을 업로드할 수 있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업관리방안 수립 모듈(51)은 사업 관리 기본지침에서 항목별 세부방안을 검색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검색된 세부방안들을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분류, 정렬 및 통합하여 자동 등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설계업무 수행계획 모듈(53)은 해당 프로젝트에 소속된 프로젝트 매니저 및 설계분야의 팀원이 업무일정을 등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듈이다. 이러한 설계업무 수행계획 모듈(53)은 설계업무 항목, 담당자, 주요내용, 시작일, 종료일, 설계업무 수행계획서를 업로드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루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매업무 수행계획 모듈(55)은 프로젝트 매니저 및 구매 분야의 팀원이 업무일정을 등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듈이다. 상기 구매업무 수행계획 모듈(55)은 구매업무 항목, 담당자, 주요내용, 시작일, 종료일, 구매업무 수행계획서를 업로드 등을 등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루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공업무 수행계획 모듈(57)은 프로젝트 매니저 및 시공분야의 팀원이 업무일정을 등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듈이다. 이러한 시공업무 수행계획 모듈(57)은 시공업무 항목, 담당자, 주요내용, 시작일, 종료일, 시공업무 수행계획서를 업로드 등을 등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운전업무 수행계획 모듈(59)은 프로젝트 매니저 및 시운전분야의 팀원이 업무일정을 등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듈이다. 상기 시운전업무 수행계획 모듈(59)은 업무일정 및 관련 정보 등록을 위하여 시운전업무 항목, 담당자, 주요내용, 시작일, 종료일, 시운전업무 수행계획서를 업로드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140)는 LNG 플랜트 관련 정보 처리를 위한 다양한 모듈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5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150)는 상술한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 모듈들을 로드 하여 입력부(120) 및 통신부(110)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해당 모듈들을 기반으로 LNG 플랜트 관련 정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다양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어부(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 조직 관리부(151), 견적 관리부(152), 입찰관리부(153), 계약관리부(154), 사업 준비 업무관리부(155) 및 데이터 통합 처리부(156)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술한 각 구성들을 기반으로 프로젝트에 소속된 소속원이 LNG 플랜트 사업의 기획과 계약 단계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고, 열람하며, 결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50)의 데이터 통합 처리부(156)는 특정 구성들을 기반으로 등록된 정보들을 다른 구성들이 활성화되는 경우에도 열람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젝트 매니저 또는 열람 권한을 획득한 소속원이 견적 관리부(152)를 기반으로 특정 소속원이 등록한 자재 등을 확인하면서, 해당 소속원의 인적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데이터 통합 처리부(156)는 프로젝트 견적 관리부(152)를 활성화하여 해당 소속원과 관련된 인적 정보와 관련된 사항들을 표시부(13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계약 관리부(154)를 활성화하여 특정 협의 사항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입찰 일정 관리를 확인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 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통합 처리부(156)는 입찰 관리부(153)를 활성화하여 입찰 일정 관리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 통합 처리부(156)는 단순히 입찰 일정 관리만을 출력하지 않고, 입찰 일정 관리와 함께 계약 관리 사항에 등록된 내용들을 함께 기재하도록 함으로써 입찰 일정과 계약 관리에 따른 정보 표시를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각 구성들의 운용에 따라 발생하는 다양한 등록 정보들을 저장부(140)의 데이터 영역에 저장하도록 하고, 이 과정에서 각 정보들을 입력된 시간별, 입력한 사용자별 등으로 정렬과 통합이 가능하도록 저장할 수 있다. 그러면 프로젝트 매니저 등은 상기 데이터 통합 처리부(156)를 운용하여 프로젝트에 소속된 특정 소속원이 프로젝트 조직관리 단계에서부터 사업 준비 업무관리 단계에까지 어떠한 작업을 수행하였는지를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시간별 정렬을 이용하여 경우 상기 데이터 통합 처리부(156)는 특정 프로젝트의 기획과 계약 과정에 있어서 어떠한 인원들이 어떠한 작업들을 정확하게 수행하고 그에 따른 결과물을 적절하게 등록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다양한 LNG 플랜트 관련 정보들에 대하여 누적된 정보들로부터 공통 사항들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50)는 LNG 플랜트 관련 정보들을 기반으로 다양한 LNG 플랜트 관련 정보들에 대한 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50)는 특정 프로젝트에 대한 입찰과 관련된 정보들 예를 들면 LNG 플랜트 사업의 발주 규모와 공사 기간과 같은 정보들이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경우, 해당 정보들을 기반으로 어떠 한 크기의 프로젝트 조직 관리가 효율적인지를 누적된 정보들을 바탕으로 조직 관리에 관한 모델링을 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젝트 매니저는 프로젝트의 규모에 따라 효율적인 조직 관리에 관한 모델링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조직 구성과 관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입찰의 규모와 다양한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적절한 견적의 산출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 요청에 따라 출력함으로써, 해당 기능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기획과 계약 단계에서 프로젝트 규모에 따른 전체적인 아웃 라인을 손쉽게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LNG 플랜트 사업과 관련된 소규모 또는 대규모 등의 다양한 사업 관련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들을 상술한 각 모듈들을 기반으로 분류, 정렬, 연계 및 통합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젝트 매니저 또는 LNG 플랜트 사업 지원자는 특정 프로젝트에 관하여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보다 능력 있고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위하여 적재적소의 노동력 제공 및 업무 지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통합 처리부(156)는 운용에 따라 전체 프로젝트 진행에 있어서 필요한 사항들이나 업무 분장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이에 따라 프로젝트 매니저 등은 보다 효율적이며 체계적인 LNG 플랜트 관련 정보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LNG 플랜트 사업 기획과 계약에 대한 정보들을 지속적으로 수집하는 경우, 본 발명의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단말기(100)는 타 플랜트와는 다른 LNG 플랜트 사업 진행에 필요한 다양한 사업 모델링을 적절하게 수행 할 수 있게 된다. 즉 누적된 LNG 플랜트 관련 정보 처리를 통하여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다양한 LNG 플랜트 사업들에 대하여 공사의 기간과 공사의 규모 등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으며, 해당 LNG 플랜트 사업들에 대한 보편적이며 필수적인 업무 처리 기능을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추출된 정보들을 통하여 이상적인 LNG 플랜트 사업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LNG 플랜트 사업과 관련된 기획과 계약 부분에 있어서 다양하고 적절한 기초 데이터 획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기초 데이터는 추후 LNG 플랜트 생애주기 분석과 처리 및 이를 기반으로 사업관리체계의 구축 및 플랜트 생애주기 단계별로 의사결정모델을 개발하고 위험도 평가를 통해 최적의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사업관리시스템을 지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단말기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LNG 플랜트 기획과 계약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 LNG 플랜트 기획과 계약 처리 과정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LNG 플랜트 사업 지원자 및 해당 프로젝트 소속원의 업무 처리 과정을 설명하며, 본 발명의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단말기 운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LNG 플랜트 사업 지원자는 901 단계에서 입찰 참여 심의 회의를 수행하고 ITB 접수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LNG 플랜트 사업 지원자는 입찰참여 심의회의를 거쳐 입찰 참여 여부 결정을 위한 사전 검토를 수행할 수 있으며, 검토 결과 참여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입찰 안내서류 접수 후 적정 시점이내 입찰 참가 결정을 위한 심의 회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고려사항으로서 발주처 신뢰도, 재원 및 지불조건, 사업내용 및 당사의 유사사업 실적, 경쟁력, 관련부서 업무 부하(Work Load)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ITB는 입찰 초청장(Invitation Letter to Bid), 입찰 안내서(ITB : Instruction to Bidders), 입찰 양식(Bid Form), 계약 조건(Terms and Conditions of Contract), 입찰용 사양서와 도면(Bid Specification & Drawing) 등을 포함하는 문서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LNG 플랜트 사업 지원자는 903 단계에서 프로젝트 조직 구성 및 입찰서 전략회의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LNG 플랜트 사업 지원자는 입찰사업의 특성, 규모, 역무범위에 적합한 입찰조직을 구성하도록 하기 위하여 지원이 필요한 부서 등에 사전 의뢰하고, 적절한 기준에 맞는 프로젝트 매니저를 선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사업 지원자는 상술한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100)의 제어부(150)는 공급된 전원을 기반으로 부팅 과정을 수행하면서 단말기(100)의 각 구성을 초기화하고, 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특정 화면을 표시부(13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LNG 플랜트 사업 지원자가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 운용을 위한 메뉴 또는 메뉴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100)는 사용자 요청에 따른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 운용을 위한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사업 지원자는 새로 지원한 LNG 플랜트 사업에 관한 ITB를 단말기(100)에 등록하여 새로운 프로젝트 생성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사업 지원자가 적절한 프로젝트 조직 구성을 할 수 있도록 인력 DB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수집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사업 지원자가 설정한 조건에 맞는 다양한 인력들을 자동으로 수집하고,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13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사업 지원자에 의하여 프로젝트 매니저가 선임되면 상기 프로젝트 매니저가 이후 조직 구성을 수행할 수 도 있다. 프로젝트 조직 구성이 완료되면 단말기(100)는 해당 정보를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젝트 조직 구성이 완료되면 다음으로 905 단계에서 프로젝트 소속원들은 견적/입찰 지침을 작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프로젝트 소속원들은 단말기(100)에 등록된 ITB 상세 검토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프로젝트 소속원들은 입찰사업의 규모, 특성, 업무범위, 입찰기간 등 제반조건을 고려한 입찰서 전략 회의를 수행할 수 있다. 즉 프로젝트 소속원들은 Risk 분석과 대책, 설계/구매/공사/사업수행 계획, 입찰서 수행계획/전략(Cost 전략, 견적방법 등), 입찰 전략 수립에 과한 회의를 수행하고, 회의에 논의된 내용들은 단말기(10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젝트 소속원들은 ITB 상세검토 및 전략회의의 입찰 전략을 근거로 향후 입찰서 수행계획 수립, 입찰서 실행예산 편성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프로젝트 소속원들은 각각 회의에 논의된 내용들을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루틴들에 따라 등록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젝트 소속원들은 907 단계에서 입찰 설계안 작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대 프로젝트 소속원들은 입찰 설계안 작성 및 검토, 입찰 설계안 시공성 검토, 입찰 설계안 개략 견적, 입찰 설계안 조정, 입찰 설계서 확정 및 물량 산출 등을 수행한다. 각 과정에서 수행된 자료들은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입찰관리 모듈(30)을 기반으로 등록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젝트 소속원들은 909 단계에서 입찰 실행 예산 논의를 수행할 수 있다. 즉 프로젝트 소속원들은 견적지침 검토사항 확인(수금조건, 환율/금리 등 Commercial 사항), 전체 투자비가 산출되어 총 투자비용 예산을 기초로 한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즉, 수익성이 확보될 수 있는지를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프로젝트 견적적산방법으로는 상세설계의 결과로 얻어진 기기, 장치, Bulk 자재물량 등에 실제 신뢰할 수 있는 단가 및 가격을 적용하여 산출하는 상세 단가 견적법, 프로세스용 주요기기의 가격을 기초로 하여 기타 필요한 기자재, 설치공사, 기타 간접비용 등 일체를 일정 계수(Factor)로 정리하여 둔 Factor를 곱하여 개략 건설 총비용을 산출하는 기기 비율법(Cost Factor법)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견적적산방법으로는 Williams와 Nelson은 일반적으로 Plant의 Cost는 그 용량비의 0.6승에 따라 변화한다는 것을 기반으로 동종의 기기나 장치류의 용량과 Cost를 대수 Graph상에 Plot하면 직선이 되며, 그 Slope는 거의 0.6이 되는 특성을 가지는 Curve에 의해 어느 용량의 기기 Cost를 알면 다른 임의의 동종기기의 Cost를 추산할 수 있는 0.6승법(Cost Curve법)을 적용할 수 도 있다. 또한 견적적산방법으로 제품단가에 연간 생산량을 곱해 자본회전율로 나눔으로써 건설비를 추산하는 자본회전율법, 단위 연간 생산량 당 건설비에 의한 방법 등을 적용할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방법들을 종합적으로 적용하고 그 평균을 획득하거나, 특정 방법으로 산출된 견적을 선택하는 등의 방법을 적용할 수 도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술한 각 견적적산방법을 지원하는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으며, 프로젝트 소속원 입력에 따라 특정 견적을 표시부(13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젝트 소속원들은 911 단계에서 입찰 서류 작성을 수행할 수 있다. 입찰 서류 작성 과정은 플랜트 건설 프로젝트의 입찰서에서 계약자가 공급하는 플랜트 설비의 내용과 기술적 사양, 수행방법 등 계약자로서 가격에 상응하는 능력과 품질과 기치를 발주자가 판단할 수 있는 자료를 포함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프로젝트 소속원들은 Total Price & Breakdown Price, Unit Price, Foreign Currency & Local Currency Cost Breakdown, Cost & Fee Breakdown, Escalation Rate, Plan of Progress & Payment Schedule, Deviation and/or Alternative Proposal 등을 포함하는 상업적 입찰 서류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젝트 소속원들은 설계관련사항, 공정관리, 현장품질관리 등 기술사항지원, Plant Description, P.F.D / Preliminary P&ID, Plot Plan / Layout, Equipment Arrangement Drawing, Single Line Drawing, Building Plan & Elevation Drawing, Other Required Drawing, Main Equipment List & Data Sheet, Control Logic Diagram, Preliminary Master Schedule, Project Organization, Manpower Mobilization Plan, Project Management Plan, Resume of Assigned Key Members, Design Execution Plan, Procurement Implementation Plan, Construction Management Plan, Commissioning & Start-up Plan, Quality Assurance Plan, Training Plan, Other Special Work Plan을 포함하는 기술적 입찰서 작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프로젝트 소속원들이 상술한 상업적 입찰서 및 기술적 입찰서 작성을 용이하게 지원하기 위하여 상술한 각 항목들을 등록할 수 있는 루틴들을 포함하고, 제어부(150) 제어에 따라 계약 관리부(154)를 운용하여 해당 항목 등록을 지원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프로젝트 소속원들은 입찰서(Proposal) 작성시점에서 효율성, 경제성, 합리성, 현실성을 감안한 견적이 포함되도록 입찰서 작성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며, 입찰서 패키지는 입찰안내서의 요구사항을 명확히 파악한 후 이에 근거해 작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프로젝트 소속원들이 상술한 입찰서 원칙에 입각하여 입찰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하여 입찰서 작성 시 상술한 입찰서 작성 원칙에 대하여 메시지 출력 등을 통하여 알람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프로젝트 소속원은 913 단계에서 입찰을 수행한다. 입찰에 따른 계약업체 선정은 수의계약방식과 입찰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수의계약은 하나 혹은 소수의 회사를 미리 선정하고 선정된 회사와 협상을 통해 계약에 이르는 방식이다. 입찰 방식은 경쟁을 전제로 하므로 경쟁 입찰이라고 하며, 누구나 자유롭게 입찰에 참여하는 공개(Open) 경쟁 입찰 방식과, 입찰 전 미리 입찰자의 자격을 예비심사(Pre-Qualification)하여 과거에 똑같은 프로젝트를 완료한 실적(Reference 혹은 Experience)을 근거로 하여 프로젝트의 수행능력이 충분하여 자격이 있다고 선정된 회사에 한하여 입찰에 초청하는 입찰자의 자격 제한 조건을 가지는 제한경쟁입찰방식이 있다. 상기 입찰 지원을 발주자가 온라인으로 지원받는 경우 상기 단말기(10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입찰 관련 서류를 상기 발주자가 제공하는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입찰에 성공하면, 프로젝트 소속원들은 915 단계에서 입찰 질의를 위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프로젝트 소속원들은 ITB 관련 질의를 작성하며, 기술적 질의 및 견적 관련 답변서 작성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프로젝트 소속원들이 ITB 관련 질의를 작성할 수 있도록 ITB에 포함된 다양한 정보들을 열람할 수 있도록 자동 제공하며, 질의서 작성 시 결재 과정을 통하여 해당 발주처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단말기(100)는 작성된 문서나 서류 등을 사용자 요청에 따라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발주자가 제공하는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917 단계에서 입찰 회의가 수행된다. 입찰 회의는 입찰자가 프로젝트를 수행할 기술적인 능력에 있어서 발주자의 요구사항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회의이다. 이러한 입찰 회의는 접수된 입찰서를 검토하여 입찰자들의 기술적인 능력을 평가하는 기술적 평가(TBE : Technical Bid Evaluation)를 수행하는 회의가 있으며, 1차적으로 평가된 회사들을 바탕으로 입찰 금액을 가지고 평가가 이루어지는 상업적 평가(CBE : Commercial Bid Evaluation 혹은 Cost Bid Evaluation)를 수행하는 회의가 있다. 입찰서의 내용을 명확히 하기(Clarification) 위하여 발주자는 입찰자를 직접 불러 기술적 협상(Technical Negotiation)을 실시할 수 도 있다. 이 과정에서 검토되는 항목들로서 Project명, Client명, Location, Capacity, Work Scope, Schedule 등의 일반 검토 항목이 있 다. 또한 검토 항목은 대가 산정 방법, On/Off-Shore 구분여부, 참여형태 등의 계약형태 검토 항목, 계약자의 책임 사항 검토 항목이 있으며, 또한 현장 Facility, Utility, Spare Parts, Special Tools, Commissioning, Chemicals, Feed Stock, Catalysts, Start-Up, 대관청 인허가 등을 포함하는 Contractor의 책임사항 검토 항목이 있다. 그리고 검토항목으로서 Utility, Catalysts, Chemicals, Lubricants, Feed Stock 공급, Commissioning, Start-Up, 대관청 인허가, 세금면제신청, Approval 등을 포함하는 Owner의 책임사항 검토 항목이 있으며, Advance Payment, Retention, Schedule Payment, Interest On Delayed Payment, Invoicing 등을 포함하는 Payment Terms 검토 항목이 있고, Contract Price 변경방법, Schedule Extension, Changes In Legislation, Escalation, Currency Appreciation, Adverse Physical Conditions 등을 포함하는 Change Order 검토 항목이 존재한다. 또한 검토 항목으로서 Priority, 승인절차 등을 포함하는 Subcontracting, Warranty(Defect Liability) Period, Final Acceptance 등을 포함하는 Acceptance And Completion 검토 항목이 있으며, 통지, Document/Vender Approval, Force Majeure 발생, Commissioning & Test Run, Provisional Acceptance, Final Acceptance, 입회검사, 납기지연, 연장, Claim 등을 포함하는 회신 의무기간 검토 항목이 있고, LAD(Liquidated And Ascertained Damages) for Performance(Capacity), Utility And Chemical Consumption 등을 포함하는 Guarantees 검토 항목, Liquidated Damage For Delay, Combined LAD 등을 포함하는 Liability 검토 항목, Contractor의 귀책과 관련한 인적, 물적 사고에 대한 사업주 의 면책 등을 포함하는 Indemnification 검토 항목, A/P Bond, Performance Bond, Retention Bond, Parental Guarantee 등을 포함하는 Bond And/Or Bank Guarantee 검토 항목이 있다. 또한 검토 항목 중에는 Construction All Risks, Third Party Liability, Workmen's Compensation, Social Security, Motor Vehicle, Marine Cargo 등을 포함하는 Insurance 검토 항목이 있으며, Corporate Tax, Sales Tax, Personnel Income Tax, Duties, VAT, Customs, Impost, Withholding Tax 등을 포함하는 Taxes And Government Charges 검토 항목이 존재한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술한 다양한 입찰 회의 검토 항목에 대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단말기(100)는 다양한 산업 분야 특히 LNG 플랜트 사업 분야에서의 상술한 각 검토 항목에 대한 자료를 검색하여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할 수 있으며, 해당 사업 지원자의 상술한 검토 항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단말기(100)는 프로젝트 소속원의 검색 요청에 따라 해당 정보를 표시부(13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919 단계에서 낙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낙찰이 이루어지면 계약을 수행하게 되는데, 계약은 둘 또는 그 이상의 상대방이 특정상품 또는 용역을 구매하고 공급하기 위하여 조건들을 정하여 합의하는 근거서류 및 법적인 책임과 의무가 구속되는 서류를 작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계약의 형태는 Business Risk의 정도에 따라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계약조건을 충실히 이행하면 일정금액을 보상 받는 계약으로서 가장 널리 쓰이는 보편적인 계약 형태로서 확정금액계약(Fixed Price Contract)이 있다. 이 계약은 License 선정에서부터 Performance Guarantee까지를 포함한 일체의 업무를 계약자가 수행하고 이에 대한 책임을 가지며, 계약자는 수행 중 발생하는 Risk 또는 문제에 대하여 해결하기 위한 모든 재무상 책임을 져야한다. 종류로는 Firm Fixed Price Contract(FFP), Fixed Price Plus Economic Adjustment Contract(FP+Award), Fixed Price Plus Incentive Contract(FPI) 등이 있다. 또한 발주자가 모든 Risk를 가지며, 계약자는 발생한 모든 비용을 정산하여 보상 받는 계약으로서 비용정산계약(Cost Plus Contract)이 있다. 이 계약은 계약이 완료될 경우 발주자가 계약자에게 일정 금액의 Fee를 지불하는 계약으로서, Cost Plus Fixed Fee Contract(Cost+FF), Cost Plus Award Fee Contract(Cost+Award), Cost Plus Incentive Fee Contract(CPI) 등이 있다. 계약 완료 시, 상기 단말기(100)는 해당 계약서에 대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에 저장되는 이미지는 계약서 위조 방지를 위한 알고리즘이 적용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단말기(100)는 공증된 알고리즘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LNG 플랜트 기획 및 계약 과정은 921 단계에서 보증 발급 및 요청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은 보험 및 면책에 관한 과정으로서, 공사 계약자가 공사에 필요한 제반보험에 대한 내용에 대한 것이며, 공사 계약자의 과실로 기인한 재산 및 인명의 손상으로부터 사업주를 보호, 면책해야 한다는 내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증 및 면책의 내용은 계약자의 보증과 관련하여 공사 계약자가 수행하는 설계, 기자재 구매, 건설공사 등의 제반업무를 성능보장 된 공장의 설계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공업규격과 사업주가 제공하는 사양서에 의해 수행해 야 하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증 및 면책의 내용은 공사 계약자가 수행한 업무에 하자가 발생 시 공사계약자의 비용과 책임 하에 이를 수정, 보완한다는 내용도 포함될 수 있으며, 계약상 업무수행을 보증하기 위한 계약이행 보증금, 차액 보증금 등을 납부하는 방법이 명기되어야 한다. 상기 보증 및 면책의 내용은 하자 보증에 관한 내용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공기 보장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보증 및 면책의 내용은 공사 계약자가 공사 계약일로부터 기계적 준공을 언제까지 완료하고 시운전 및 성능 보장을 언제까지 완료할 것을 보장하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으며, 성능 보장 지연 시 지체 상금 감액내용을 다룰 수 있다. 시설 성능 보장으로서, 상기 보증 및 면책의 내용은 사업주가 제시한 설계도서 및 공사 시방서에 맞게 건설되고 기계적 작동상태가 운전 및 유지보수에 이상이 없으며 기기성능에 하자가 없을 것을 보장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업주는 계약서에 명기된 시설의 성능보장이 된 경우 시설의 최종 인수를 한다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증 및 면책의 내용은 사업주가 시설을 최종인수한 후 1년간 공사 계약자의 책임 사유로 인한 시설의 하자가 발생될 경우 공사 계약자는 사업주가 요청하는 시일 내에 이를 수리, 보수 또는 교체해야 한다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보증 및 면책과 관련된 부분을 일정 관리로서 제공할 수 있으며, 일정 기간 이내에 실제로 보증되어야 하는 항목들과, 보증이 벗어난 항목들을 체크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는 면책이 가능한 부분에 대한 메시지를 프로젝트 소속원 요청에 따라 표시부(130)에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LNG 플랜트 기획 및 계약의 과정은 923 단계에서 주요 입찰 자료 검토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는 프로젝트 매니저가 사업수행 측면에서 계약서를 검토하며 종합한 후 계약서 검토 요약서를 작성하게 된다. 계약서는 상업적 계약서와 기술적 계약서로 구성될 수 있다. 가격, 단가, 계약기간, 지불조건, 성능보증조건, 책임사양 등 상거래에 필요한 계약조건들이 정해지는 것은 상업적 계약에 관한 것이며, 기술사양, 수행 시 지켜야 할 기술적 조건들이 각 분야별로 상세히 기술되는 것은 기술적 계약에 관한 것이다. 추가로 상기 주요 입찰 자료 검토 과정은 계약자가 입찰서 제출 시, 제출한 입찰문서, 계약협상 중의 회의록, 사업주가 입찰서를 요청한 입찰안내서(IBT)등의 계약서의 일부에 대한 검토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입찰 자료 즉 상업적 계약서의 내용과 기술적 계약서의 내용을 일정한 등급을 가지는 인원이 열람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공사 관련 지급보증 계약을 통보함으로써 925 단계에서 계약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LNG 플랜트 사업의 기획과 계약의 과정 중에 본 발명의 단말기(100) 운용은 플랜트 사업과 관련된 ITB(Invitation To Bidder)를 등록하여 저장, 상기 ITB 등록에 따른 새 프로젝트를 생성, 인력 정보 기반으로 구성된 프로젝트 조직 정보를 저장, 해당 프로젝트의 견적과 입찰 설계 지침을 등록, 상기 지침에 따라 작성된 입찰 설계를 등록, 상기 입찰 설계를 기반으로 작성된 입찰 실행 예산을 등록, 상기 입찰 설계 및 상기 입찰 실행 예산을 기반으로 작성된 입찰 서류를 등록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100) 운용은 입찰 완료 이후 낙찰 시 보증과 면책 정보를 등록 및 사업 준비 업무 관리에 필요한 정 보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젝트 조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100) 운용은 기 저장된 인력 정보를 출력하고,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인력 필터링 조건에 따라 인력 정보를 필터링하며, 필터링 된 인력 정보 중에서 선택된 인력들을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자동으로 조직 구성하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 운용은 상기 지침을 등록하는 단계에서 기 설정된 견적 적산 방법들을 이용하여 해당 프로젝트의 견적을 산정하도록 지원하고, 산정된 견적들을 개별적으로 또는 통합하여 출력하며, 출력된 견적 중 선택된 견적 산정가를 등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단말기(100) 운용은 기 등록된 LNG 플랜트 관련 정보들 및 상기 새 프로젝트의 규모와 공사 기간을 기반으로 상기 새 프로젝트에 필요한 프로젝트 조직, 견적, 입찰 중 적어도 하나의 모델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NG 기획과 계약 과정은 다양한 과정들이 수행되는데, 이 과정에서 단말기(100) 및 방법은 LNG 플랜트 사업의 기획과 계약 부분에서 소요되는 다양한 양식들과 절차들에 관련된 정보들을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기(100) 및 방법은 다른 LNG 플랜트 사업의 기획과 계약 단계에서의 지원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수반되는 절차들에 대하여 통지하고 필요한 자료와 필요한 서류들에 대한 알람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적절한 견적 적산과 입찰 의뢰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단말 기(100) 및 방법은 누적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LNG 플랜트 사업 분야에 입찰하고자 하는 특정 회사에 대하여 보다 체계적이며 효율적인 기획과 계약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산업 전반에 걸친 기획과 계약에 소요되는 불필요한 시간 및 인력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LNG 플랜트 사업 진행에 있어서 추가로 사업 준비 업무가 수행될 수 있다. 사업 준비 업무는 사업수행체계 및 조직구성, 사업관리방안 수립, 분야별 수행계획 수립, 사업기준예산 수립 및 사업 심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직 구성 업무는 프로젝트 업무 추진의 총책임자이며, 대외적으로 회사를 대표이고 프로젝트 업무 범위와 방침을 결정 추진하고 공사추진 조직을 구성 및 운영하는 프로젝트 매니저 선정과, 제반 서류관리와 설계 도서를 관리, Project와 관련된 제반보고서 작성과 행정자료 작성 및 기타 문서 수발을 담당하는 프로젝트 관리자(Project Administrator) 선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직 구성 업무는 Project의 제반 Schedule을 작성, 공정 보고서를 작성 보고하는 스케줄 엔지니어(Schedule Engineer) 선정, Project를 진행해 나가는 중에 공사전반에 걸쳐 Project Manager를 보좌하며, 공사 수행에 있어 안전과 환경 문제에 대하여 뿐만 아니라, 조직 구성원 전체의 효율적 관리를 도모하는 프로젝트 엔지니어(Project Engineer) 선정, 공사전반에 걸쳐 산재해 있거나 부주의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업무를 담당하며 또한 상세 설계시의 안전에 대한 인허가 업무를 수행하는 안전 요원(Safety Engineer) 선정, 공사와 관련하여 발생하거나 예측이 되는 제반 환경문제에 대한 대책업무를 수행하고 상세 설계시의 환경업무를 수행하며, 배출시 설과 관련된 인허가 업무를 수행하는 환경 엔지니어(Environmental Engineer) 선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조직 구성 업무는 기자재 구매, 검사, 구매 촉진 업무를 수행. 기자재 공급 업무를 관리하는 구매 엔지니어(Procurement Manager) 선정, 공사 시공관리, 기자재 관리 및 안전관리에 대하여 책임을 지는 설계 매니저(Construction Manager) 선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태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저장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프로젝트 조직관리 모듈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견적 관리 모듈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입찰 관리 모듈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계약 관리 모듈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사업 준비 업무 관리 모듈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LNG 플랜트 기획 및 계약과 관련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0 :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단말기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표시부
140 : 저장부 150 : 제어부

Claims (12)

  1. LNG 플랜트 관련 정보의 입력 및 저장된 LNG 플랜트 관련 정보의 출력을 요청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LNG 플랜트 지원 사업자가 프로젝트 조직을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젝트 조직관리 모듈, LNG 플랜트 사업에 필요한 견적을 추정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견적관리 모듈, LNG 플랜트 사업의 입찰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 처리를 지원하는 입찰관리 모듈, 입찰자의 LNG 플랜트 사업 계약과 관련된 정보 처리를 지원하는 계약관리 모듈, 계약 이후 사업 준비에 필요한 다양한 업무 정보 처리를 지원하는 사업 준비 업무관리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각 모듈들의 운용에 따라 항목별로 입력되는 LNG 플랜트 관련 정보를 정렬하고 입력부의 입력 신호에 따라 해당 정보들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항목별 LNG 플랜트 관련 정보를 서로 연계 및 통합하고 특정 항목에 따른 모델링을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조직관리 모듈은
    특정 LNG 플랜트 사업 등록을 위한 구성들을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젝트 등록 모듈;
    프로젝트 매니저가 프로젝트 수주를 위한 팀을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젝트 팀 구성 지원 모듈;
    입찰 전략 회의 발생 시, 입찰전략 회의 내용이나 히스토리를 기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입찰 전략 회의 내용 등록 모듈;
    ITB 항목별 전략을 수립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ITB 검토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적 관리 모듈은
    견적일정을 등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견적 일정 관리 모듈;
    각 자재에 대한 이름, 회사명, 주소, 연락처, 대표자 등을 검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실적 데이터 검색 모듈;
    입찰 설계안을 업로드 및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입찰 설계안 검토 모듈;
    입찰 설계안에 기재된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기 설정된 루틴에 따라 견적을 산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입찰 설계안 견적 모듈;
    등록된 견적 내용의 합계를 바탕으로 자동으로 입찰 견적가를 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입찰 견적가 산정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찰관리 모듈은
    입찰일정을 등록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입찰 일정 관리 모듈;
    기술적(Technical) 입찰서 항목별로 전략을 수립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적 입찰서 관리 모듈;
    상업적(Commercial) 입찰서 항목별 전략을 수립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상업적 입찰서 관리 모듈;
    입찰서 패키지(Proposal Package)의 각종 문서를 점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입찰서 패키지 검토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관리 모듈은
    특정 프로젝트에 소속된 모든 팀원이 명확한 사전 계약을 임의적으로 작성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전 계약(Clarification) 작성 확인 모듈;
    발주처와의 협의 내용을 기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협의 사항(Negotiation) 작성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 준비 업무관리 모듈은
    사업관리 기본지침을 업로드 하여 각 항목별 세부방안을 등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관리방안 수립 모듈;
    해당 프로젝트에 소속된 프로젝트 매니저 및 설계분야의 팀원이 업무일정을 등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설계업무 수행계획 모듈;
    구매와 관련된 업무일정을 등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매업무 수행계획 모듈;
    시공분야와 관련된 업무일정을 등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공업무 수행계획 모듈;
    시운전 관련 업무일정을 등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운전업무 수행계획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LNG 플랜트 지원 사업자가 프로젝트 조직을 구성할 수 있도록 인력 정보의 검색과 출력 및 입력을 지원하는 프로젝트 조직 관리부;
    기 저장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LNG 플랜트 사업에 필요한 견적을 추정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견적관리부;
    상기 LNG 플랜트 사업의 입찰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의 알람 및 입출력을 지 원하는 입찰관리부;
    상기 입찰자의 LNG 플랜트 사업 계약과 관련된 정보 처리의 입출력을 지원하는 계약관리부;
    상기 계약 이후 사업 준비에 필요한 다양한 업무 정보의 알람과 입력 및 출력을 지원하는 사업 준비 업무관리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각 정보들을 분류, 정렬, 연계 및 통합하고 상기 입력부의 입력 신호에 따라 해당 정보들을 입출력을 지원하는 데이터 통합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단말기.
  8.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단말기는 LNG 플랜트 사업과 관련된 ITB(Invitation To Bidder)를 등록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단말기는 상기 ITB 등록에 따른 새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단말기는 인력 정보 기반으로 구성된 프로젝트 조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단말기는 해당 프로젝트의 견적과 입찰 설계 지침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단말기는 상기 지침에 따라 작성된 입찰 설계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단말기는 상기 입찰 설계를 기반으로 작성된 입찰 실행 예산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단말기는 상기 입찰 설계 및 상기 입찰 실행 예산을 기반으로 작성된 입찰 서류를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단말기는 입찰 완료 이후 낙찰 시 보증과 면책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단말기는 사업 준비 업무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조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단말기는 기 저장된 인력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단말기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인력 필터링 조건에 따라 인력 정보를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단말기는 필터링 된 인력 정보 중에서 선택된 인력들을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자동으로 조직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침을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단말기는 기 설정된 견적 적산 방법들을 이용하여 해당 프로젝트의 견적을 산정하는 단계;
    상기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단말기는 산정된 견적들을 개별적으로 또는 통합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단말기는 출력된 견적 중 선택된 견적 산정가를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단말기는 기 등록된 LNG 플랜트 관련 정보들 및 상기 새 프로젝트의 규모와 공사 기간을 기반으로 상기 새 프로젝트에 필요한 프로젝트 조직, 견적, 입찰 중 적어도 하나의 모델링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방법.
KR1020090133457A 2009-12-29 2009-12-29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1069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457A KR101069202B1 (ko) 2009-12-29 2009-12-29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457A KR101069202B1 (ko) 2009-12-29 2009-12-29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697A KR20110076697A (ko) 2011-07-06
KR101069202B1 true KR101069202B1 (ko) 2011-09-30

Family

ID=44916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3457A KR101069202B1 (ko) 2009-12-29 2009-12-29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92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138B1 (ko) * 2016-12-30 2018-06-07 주식회사 지토 Epc 협업 지원 시스템
KR102018162B1 (ko) * 2018-11-13 2019-09-04 강신영 배관 보온과 관련한 작업대상과 문제점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47251B1 (ko) * 2018-12-24 2019-11-2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 플랜트 입찰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43520B1 (ko) * 2019-12-13 2022-09-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공사 입찰단계의 의사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점수 정량화 방법
KR102477756B1 (ko) * 2019-12-13 2022-12-16 제타시스템 주식회사 건설공사 입찰단계의 의사결정 방법에서 게이트 타당성 및 리스크 평가 방법
CN112330226A (zh) * 2020-12-02 2021-02-05 深圳市图元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环卫人员管理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2345B1 (ko) 2000-07-19 2002-09-11 (주)한스비투비 웹 서버상에서 구현되는 플랜트 건설을 위한 기업간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03157A (ko) * 2002-11-19 2003-01-09 최진익 인터넷 기반의 플랜트 제작을 위한 계산 및 설계자동화 시스템 비즈니스 모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2345B1 (ko) 2000-07-19 2002-09-11 (주)한스비투비 웹 서버상에서 구현되는 플랜트 건설을 위한 기업간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03157A (ko) * 2002-11-19 2003-01-09 최진익 인터넷 기반의 플랜트 제작을 위한 계산 및 설계자동화 시스템 비즈니스 모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해외 LNG 플랜트의 시공 전단계 업무프로세스 분석(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윤나리 외4인, 2009.11월 발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697A (ko)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umas et al. Introduction to business process management
Safa et al. Supplier selection process in an integrated construction materials management model
Hausman et al. A process analysis of global trade management: an inductive approach
Lacity et al. Information systems sourcing: examining the privatization option in USA public administration
KR101069202B1 (ko) 최적 lng 플랜트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Olson Supply chain information technology
KR20130047776A (ko) 도메인 독립형 개별공사용 웹사이트 및 자동생성기와 이를 이용한 그룹 시스템
Greer The project manager's partner: A step-by-step guide to project management
CN103177307A (zh) 一种工作流控制系统
KR101052585B1 (ko) Lng 플랜트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Zheng Deployment and Implementation of IFS System Procurement Management Module of Road Network Company
KR101276594B1 (ko) Lng 플랜트 업무 프로세스 표준화 방법 및 시스템
Pheng et al. Project procurement management
Loftus Project management of multiple projects and contracts
Vainio Developing procurement processes with RPA in a large international procurement organization: case study in an energy utility company
Nicoletti et al. Processes in agile procurement
Russell The ASQ supply chain management primer
Wirtz et al. Digital procurement
Rojas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A practical guide for building and electrical contractors
Tommelein et al. Review of the Project Resourcing and Schedule Management (PRSM) System used by Caltrans
Ladda Nature of the Audit
Moço Development of a model for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A practical application in a Corporate Center of a Logistics Company
Sarkola Developing global system-based indirect purchasing in the case company
Maisarah et al. Development of the conceptual business model of a third-party logistics provider for Indonesian small contractors
Sarferaz ERP Reference Archite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